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ardware Implementation of GaN-HEMT Based ZVS DC–DC Converter Considering PCB Layout

        김종수,김현빈,이병국,김종수 대한전기학회 2019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 Technology Vol.14 No.1

        The gallium nitride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GaN HEMT) are among the most promising power semiconductor devices. However, these transistors have a small gate voltage margin compared with conventional power devices. In this paper, the gate voltage of GaN HEMTs is mathematically analyzed when it is applied to a zero voltage switching (ZVS) phase-shift full bridge (PSFB) DC–DC converter. The analysis accounts for nonlinear capacitance characteristics under the ZVS switching condition, and a critical parasitic inductance are derived to restrict the gate voltage to a safety operation area. The optimal layout for bridge topologies and gate drivers is proposed, to satisfy the derived parasitic inductance limitation. A 500-W-power laboratory phase-shift full-bridge DC–DC converter is implemented to verify the proposed layout.

      • KCI등재

        준원자층 적층 방법으로 형성된 2형 양자점의 광 발광 특성 연구

        김종수,조현준,소모근,김종수,김영호,이상준,이승현,Christiana B. Honsberg,김희대 한국물리학회 2019 새물리 Vol.69 No.8

        We have studied the optical properties of InAs/GaAsSb submonolayer quantum dots (SML-QDs) through excitation intensity (Iex) and temperature dependent photoluminescence (PL) experiments. The SML-QDs with type-I (T-1) and type-II (T-2) band structures were grown using a GaAsSb spacer with a Sb composition of 0% and 15.8%. At 13 K, the PL signals from the T-1 and the T-2 samples were observed at 1.42 eV and 1.37 eV, respectively, when the Iex was 8.7 mW/cm2. The PL signal of the T-1 sample is due to the recombination of electrons and holes in the InAs SML-QDs. The PL signal of the T-2 sample is due to the recombination of electrons (in the GaAs electron band) and holes (in the GaAsSb spacer hole band) by type-II band alignment formed between GaAs and GaAsSb. The full widths at half maxima (FWHMs) of the T-1 and the T-2 samples were 7.09 meV and 24.6 meV, respectively, because the T-2 sample has a lower uniformity than the T-1 sample. As the excitation intensity was increased, the PL signals of the T-1 and the T-2 samples shifted to lower energy because of the quantum-confined Stark effect. As a result of these temperature-dependent PL experiments, the activation energy of the T-1 sample was found to be 30 meV. InAs/GaAsSb submonolayer 양자점(SML-QD)의 광학적인 특성을 여기광 세기(Iex)와 온도에 따른광발광 (Photoluminescence; PL)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간격자인 GaAsSb 층의 Sb조성을 0%와 15.8%로 조절하여 Type-I (T-1) 과 Type-II (T-2) 밴드 구조의 SML-QD를 성장하였다. 13 K에서 Iex 가 8.3 mW/cm2 일 때 T-1과 T-2 시료의 PL신호는 각각 1.419 eV와 1.368 eV 에서 관측되었다. T-1 시료에서 관측된 전이신호는 InAs SML-QD의 전자와 정공간의 재결합에 의한것이다. T-2시료에서 관측된 PL신호는 GaAs와 GaAsSb 사이에 형성된 type-II 밴드 정렬에 의하여GaAs 전도대의 전자와 GaAsSb 간격자의 가전자대의 정공간의 재결합에 의한 것이다. 두 신호의 반값온폭 (Full-width at half maximum; FWHM)은 각각 7.09 meV와 24.6 meV 이었으며, 이는 T-2시료가T-1시료보다 균일성이 낮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여기광의 세기가 증가할수록 T-1와 T-2시료의 PL신호는낮은 에너지 쪽으로 이동하였는데, 이는 구속된 운반자에 의한 양자 구속 스타크 효과(quantum-confined Stark effect) 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온도 의존성 PL 실험의 결과, T-1 시료의 SML-QD의 활성화에너지는 30 meV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학교교육’ 용어 사용에 대한 비판적 접근 및 학교교육 용어 사용을 위한 전제 탐색

        김종수 한국교육원리학회 2015 교육원리연구 Vol.20 No.2

        ‘기존의 교육학’이 노정한 여러 오류 중에서 우리의 사고를 상식적 수준에 고착화시킴으로 써 교육에 대한 본격적인 교육학적 논의를 가로막는 오류로 ‘교육 = 학교태’의 도식을 답습하 는 오류가 있다. ‘학교교육’이라는 용어는 얼핏 보아 ‘교육 = 학교태’라는 상식적 논의를 벗어 나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학교교육’ 용어를 전면에 내세워 논의를 전개하고 있는 ‘학교 교육 위기론’에서의 ‘학교교육’ 용어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접근한 본 연구에 따르면 사정은 전 혀 그렇지 못하다. ‘학교교육’이라는 용어는 학교에 기대되는 여타 기능실현의 도구로서 개념 화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학교태 그 자체를 지칭하는 용어로서 개념화된다든지, ‘학교=교육하 는 곳’이라는 상식에 기대어 개념화됨으로써 거기서의 ‘교육’은 단지 잉여적(剩餘的)으로 사용 되고 있었다. 이 때문에 ‘학교교육’이라는 용어는 실체가 불분명한 용어일 뿐만 아니라 굳이 ‘교육’이라는 용어가 거기에 포함될 이유가 없다. 비판적 접근 이후에는 재건의 과제가 남는 다. 그러나 재건의 과제는 재건을 위한 전제 탐색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 교교육’ 용어에 대한 비판적 접근에 이어 학교교육이라는 용어가 교육학적 맥락에서 정당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전제들을 탐색하였다.

      • KCI등재

        기하학 정보와 객체 추출을 통한 실시간 높이 측정

        김종수,김태용,최종수,Kim Jong Su,Kim Tae Yong,Choi Jong Soo 한국통신학회 2004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29 No.12C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algorithm that automatically measures the height of the object to move on the base plane by using the geometric information. To extract a moving object from real-time images creates the background image and each pixel is modeled by the three values. The extracted region is represented by cardboard model and calculates the coordinate center in the each part. The top and bottom point of an object are extracted by the calculated coordinate center and an iterative computation. The two points, top and bottom, are used for measuring the height. Given the vanishing line of the ground plane, the vertical vanishing point, and at least one reference height in the scene; then the height of any point from the ground may be computed by specifying the image of the point and the image of the vertical intersection with the ground plane at that point. Through a confidence valuation of the height to be measured, we confirmed similar actual height and result in the simulation experiment.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기하학 정보를 이용하여 기저 평면에서 움직이는 객체의 높이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알고리즘은 설정된 위치에서 이동하는 객체의 높이를 각 프레임 마다 사용자 입력을 통해 측정하여 실시간에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입력 영상에서 움직임 객체의 영역을 추출하여 객체의 높이를 자동으로 측정한다. 입력 영상에서 픽셀 정보와 시간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움직임 객체를 추출하고 반복적인 계산을 통해 실제와 근소한 객체의 바닥점과 높이점을 추출한다 이 두 점 사이의 높이 계산은 기하학정보인 소실점(Vanishing point), 소실선(Vanishing line)과의 계산을 통해 이루어진다. 측정된 높이는 신뢰도 평가를 통해 모의실험에서 실제 높이와 유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플라톤의 대화편 [라케스]에 대한 교육학적 재해석

        김종수 한국교육원리학회 2018 교육원리연구 Vol.23 No.2

        The Dialogue [Lachēs], which is the object of reinterpretation of this study, is a work that has not received enough educational interest for the time being, and from other scholars' perspectives. It is true that the educational interest of the Dialogue [Lachēs] has been reduced to an ideological, or other scholarly point of view by the existing ‘educational’ framework. In this context, this study reinterprets Plato's Dialogue [Lachēs] as a drama of transition of the mode of education in terms of the endogenous theory of education, leading to education as autonomous disciplin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idered the premise and theoretical context for reinterpreting the Dialogue [Lachēs]. Then,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the Dialogue [Lachēs] was reinterpreted as a drama of the transition of the mode of education. 본 연구가 재해석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대화편 [라케스]는 그동안 교육학적 조명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있는 작품이기도 하면서, 일부 논의의 경우도 자율적 개념체계가 부재한 통념적 ‘교육’ 개념에 터한 여타 분과학문적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로 인해 대화편 [라케스]에 대한 그나마 교육학적 논의라는 것은 기존의 교육학적 틀에 의해 통념적, 여타 분과학문적 관점으로 환원되어 이루어진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자율적 학문분야로서의 교육학을 선도하는 교육본위론의 관점에서 플라톤의 대화편 [라케스]를 교육의 양태 이행의 드라마로 재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화편 [라케스]를 개관하고 재해석을 위한 전제를 밝힌 이후에 대화편 [라케스]를 교육의 양태 이행의 드라마로 재해석하기 위한 이론적 맥락으로서 교육본위론에서의 교육적 관계에 대한 논의로부터 외도교육, 공덕교육, 그리고 내재교육 등의 교육의 양태에 대해 고찰하고 이러한 이론적 맥락에 터해 대화편 [라케스]를 재해석하였다.

      • 비용과 최소요구충족율을 고려한 다단계 수리가능제품의 적정여유제품수준의 결정기법

        김종수,서병규 漢陽大學校 工學技術硏究所 1996 工學技術論文集 Vol.5 No.1

        This article concerns the problem of determining the optimal spare inventory level for multi-echelon repairable-item inventory system. The system we are concerned has several bases and a central depot. When an item fails, it is dispatched to a repair facility and, a spare, if available, is plugged in immediately. When the failed item is repaired, it is sent to the base and either used to fill a backorder or stored at a spare inventory point. We develop and approximate algorithm to find the spare inventory level which minimizes the total expected cost and, simultaneously, satisfies a specified minimun service rate. The algorithm is applied to examples with good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