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대립어 {가볍다/무겁다}의 의미 척도 체계 연구

        김억조(Eok Jo Kim) 언어과학회 2011 언어과학연구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calar system of gabyeopda[light]/mugeopda[heavy] in the corpus data. Their basic meanings were used antonymically. But their extended meanings were not used antonymically. In this paper, it has been attempted to analyze the different meaning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nouns and gabyeopda[light]/mugeopda[heavy]. First, in Chapter two, the basic scalar system types are presented. It`s because antonyms involve a single scale and two separate scales. Also, there are three basic types of biscalar system, depending on the relative disposition of the two scales. Second, in Chapter three, I explored the scalar system of gabyeopda[light]/mugeopda[heavy]. Their basic meanings are assigned to the monoscalar system. But it will be noticed that their extended meanings have been assigned to the different scalar pattern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국어』‘문법’ 영역 구현 양상

        김억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8 국어교육연구 Vol.- No.66

        이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법’ 영역 성취기준이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에 구현된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2018학년도부터 일선 학교에서 사용되는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전시본 9종을 대상으로 ‘문법’ 영역 단원의 구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중학교 1학년에 교과서에서는 ‘언어의 본질’, ‘품사’, ‘어휘’ 성취기준이 구현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성취기준과 교과서 단원 편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3개의 성취기준은 4차 교육과정부터 꾸준히 편성되어 왔다. 그 중 ‘품사’ 성취기준은 중학교 급에 지속적으로 비슷하게 배정되어 왔으며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언어의 본질’ 성취기준은 언어의 특성 중에서 내용이 변하기도 했으며 ‘언어의 기능’이 부가적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가장 변화를 많이 보인 것이 ‘어휘’ 성취기준인데 포괄적이던 내용이 구체적으로 나타나다가 다시 포괄적으로 제시되었다. 이로 인해 교육 내용 선정이 명확하지 않아 교과서마다 내용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교과서 단원 편성에서는 3개의 성취기준 중에서 2개를 하나의 단원으로 편성하고 나머지 한 개를 다른 영역과 하나의 단원으로 편성하였다. 그 하나의 다른 영역이 8종의 교과서에서는 ‘듣기·말하기’ 영역이었으나 1종의 교과서에서는 ‘읽기’ 영역이었다. 3장에서는 교과서마다 구현된 3개의 성취기준 내용에 관해 살펴보았다. ‘언어의 본질’은 9종의 교과서 중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언어의 자의성, 사회성, 역사성, 창조성’의 개념을 학습자들에게 제시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여 국어생활과 연계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그렇지 못한 교과서도 있었다. ‘품사’ 성취기준의 내용 구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는데 ‘품사 분류 기준’을 제시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어휘’ 성취기준 내용 구현 양상에서는 2장의 성취기준에서 나타난 것처럼 교육과정의 표현에서부터 다소 불명확한 면이 있었다. 그 결과 교과서에서도 내용의 편차가 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명시된 내용이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평가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교사들이 교과서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Grammar’ area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implemented in the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first- year students. To this end, implementation aspects of the grammar area units were examined with 9 display versions of middle school first-year Korean language textbook. In the middle school first-year Korean language textbooks, achievement standards for ‘essence of language’, ‘part of speech’, and ‘vocabulary’ were implemented,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Examin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extbook unit composition, it was found that three achievement standards have been consistently reflected in the textbooks since the fourth curriculum. Of the three achievement standards,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part of speech’ has been consistently assigned to the middle school level without significant change. In the case of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essence of language,’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conten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st changes was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vocabulary,’ as its contents, which had been comprehensive, were modified to be more specific, and then changed again to be comprehensive. Because of such changes, the textbooks differed in content without clear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n regard to textbook unit organization, two of the three achievement standards were organized in one unit and the remaining achievement standard was combin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a different area into one unit. That different area was ‘listening and speaking’ in eight of the nine textbooks, while it was ‘reading’ in the remaining one textbook. Examining the contents of three achievement standards reflected in each textbook, results showed that concepts such as ‘arbitrariness, sociality, historicity, and creativity of language’ were presented in most of the textbooks in the area of ‘essence of language,’ thus connecting the standard to the life practice of Korean language with various activities, although there were textbooks that did not show this aspect. As for the implementation of ‘part of speech’ conten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between textbooks, although slight difference was found in covering ‘classification criteria of part of speech.’ As for the implementation aspects of achievement standard for ‘vocabulary’ content, the textbooks rather lacked clarity even in the manner of describing the curriculum, bearing similarity to content changes mentioned earlier. As a result, contents differed greatly between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valuating how the contents specifi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re implemented in textbook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study results will be helpful for teachers in selecting Korean language textbook.

      • 견적과 시공도면 작성을 위한 통합 자료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정례화,김억 홍익대학교환경개발연구원 1999 환경개발연구논문집 Vol.4 No.-

        건축설계는 기능과 미적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경제성 및 시공타당성에 대한 검토가 요구되므로 설계와 시공 및 견적을 위해 필요한 정보들의 통합을 이룬 실용화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설계정보를 시공순서와 도면작성에 맞게 구성하여 관련정보를 통합하고 도면작성 자동화를 위한 전산자료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자료모델에 의한 설계정보의 구축은 물량산출과 견적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가능하게 하며, 바닥, 보, 복도 등의 구조도면 작성을 자동화하여 구조 부재에 대한 검토를 용이하게 한다. Building projects must satisfy functional and aesthetic requirements, and at the same time economical feasibility and technical constructability should be assessed carefully. To meet these conditions in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practice design database is needed at the core of the integrated building information system for cost estimation and construction drawing documentation. This study aims at the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data model for this design database which reflects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calculating bill of materials and in documenting construction drawings and building schedules.

      • 아파트 통합설계를 위한 컴퓨터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金億 홍익대학교 1996 弘大論叢 Vol.28 No.-

        This study aims at defining objects which compose apartment buildings and developing a data model for creating and maintaining these objects. The model is translated as a schema for an integrated database. There are various research efforts internationally to develop such an integrated data model, but it is not possible to apply to an apartment building directly. Thus a model for an apartment building is suggested which i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 KCI등재

        ‘길다/짧다’의 의미 확장에 관한 연구

        김억 한국어의미학회 2008 한국어 의미학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about the gilda[long]/jjalda[short]'s meaning extension in the corpus data. They were used with body-part terms, space domain, time domain and abstract domain widely. In this paper, it is extended through the metaphor and metonymy. If it changes the domain, I treated the change as the metaphor. But if it dosen't change the domain, I treated the change as the metonymy. First, the gilda[long] and the jjalda[short] are used with body-part terms widely. It is basic usage. Second, it is extended to the space domain, involving in things and actions. Space domain divides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domain. Third, it is extended to the time domain. And then it is extended to the abstract dom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