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잔’의 결합어 양상과 의미 해석

        김억조 한국문학언어학회 2023 어문론총 Vol.96 No.-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semantic extension by using aspects of “a Cup of Drink[han-jan]”, from the short-term diachronic perspective and newspapers published in the 1940s-2010s. It examined how the meaning of “a drink(han-jan)”, a combined word, has been used for 70 years, for the Dong-A ilbo corpus of 410 million syntactic words provided by the National Culture Research institute, Korea University. First, the frequencies of “wine[Sul]” and its sub-word “tea[Cha]” and “Coffee” were highest among the antecedents of “a drink”, followed by “water[Mul]”, “tea[Da(茶)]” and “cool water[Naengsu]”. The antecedents have been extended from “wine[Sul]” through “Coffee” and “tea[Cha]” to “beverage[Eumryo]”, as combined antecedents have been used by periods. Second, the frequencies of “do[Hada]”, “drink[Masida]” and “share[Nanuda]” were highest among the postmodifiers of “a Cup of Drink[han-jan]” and they would mean “gather together and have time to drink wine or tea” if they are combined with “a Cup of Drink[han-jan]”. “A Cup of Drink[han-jan]” first meant “wine[Sul]” but “Coffee” since the 1960s; “tea[Cha]” since the 1980s; “coffee from a vending machine[Japangi Coffee]” since the 1990s; and “[Somaek](Soju+beer)” since 2010s, based on the combined postmodifiers by periods. Third, “a Cup of Drink[han-jan]” was derived from the word “[Han Jan]” a phrase, and was combined with “-do[-Hada]”, a suffix, to create “have a drink[han-janhada]”. “A drink[han-jan]” or “have a drink[han- janhada]” was extended to “wine[Sul]”, “tea[Cha]”, “Coffee” and “wate r[Mul] or beverage[Eumryo]” over time, and were reflected in the definitions of dictionaries. Fourth, the components combined with “han-jan” were used as transparent collocations or opaque idioms. Even idiomized analogical expressions were transparently used, when some words, the parts of the components were successively used. This study provide a new direction to research on analogy or the semantic extension by elucidating the use aspect or meanings of “a Cup of Drink[han-jan]”

      • KCI등재

        ‘길다/짧다’의 의미 확장에 관한 연구

        김억조 한국어의미학회 2008 한국어 의미학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about the gilda[long]/jjalda[short]'s meaning extension in the corpus data. They were used with body-part terms, space domain, time domain and abstract domain widely. In this paper, it is extended through the metaphor and metonymy. If it changes the domain, I treated the change as the metaphor. But if it dosen't change the domain, I treated the change as the metonymy. First, the gilda[long] and the jjalda[short] are used with body-part terms widely. It is basic usage. Second, it is extended to the space domain, involving in things and actions. Space domain divides into vertical and horizontal domain. Third, it is extended to the time domain. And then it is extended to the abstract domain.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국어』‘문법’ 영역 구현 양상

        김억조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8 국어교육연구 Vol.- No.66

        이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법’ 영역 성취기준이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에 구현된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2018학년도부터 일선 학교에서 사용되는 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 전시본 9종을 대상으로 ‘문법’ 영역 단원의 구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중학교 1학년에 교과서에서는 ‘언어의 본질’, ‘품사’, ‘어휘’ 성취기준이 구현되어 있는데 그 내용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성취기준과 교과서 단원 편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3개의 성취기준은 4차 교육과정부터 꾸준히 편성되어 왔다. 그 중 ‘품사’ 성취기준은 중학교 급에 지속적으로 비슷하게 배정되어 왔으며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언어의 본질’ 성취기준은 언어의 특성 중에서 내용이 변하기도 했으며 ‘언어의 기능’이 부가적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가장 변화를 많이 보인 것이 ‘어휘’ 성취기준인데 포괄적이던 내용이 구체적으로 나타나다가 다시 포괄적으로 제시되었다. 이로 인해 교육 내용 선정이 명확하지 않아 교과서마다 내용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교과서 단원 편성에서는 3개의 성취기준 중에서 2개를 하나의 단원으로 편성하고 나머지 한 개를 다른 영역과 하나의 단원으로 편성하였다. 그 하나의 다른 영역이 8종의 교과서에서는 ‘듣기·말하기’ 영역이었으나 1종의 교과서에서는 ‘읽기’ 영역이었다. 3장에서는 교과서마다 구현된 3개의 성취기준 내용에 관해 살펴보았다. ‘언어의 본질’은 9종의 교과서 중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언어의 자의성, 사회성, 역사성, 창조성’의 개념을 학습자들에게 제시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여 국어생활과 연계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그렇지 못한 교과서도 있었다. ‘품사’ 성취기준의 내용 구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는데 ‘품사 분류 기준’을 제시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어휘’ 성취기준 내용 구현 양상에서는 2장의 성취기준에서 나타난 것처럼 교육과정의 표현에서부터 다소 불명확한 면이 있었다. 그 결과 교과서에서도 내용의 편차가 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명시된 내용이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평가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교사들이 교과서를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the ‘Grammar’ area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implemented in the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first- year students. To this end, implementation aspects of the grammar area units were examined with 9 display versions of middle school first-year Korean language textbook. In the middle school first-year Korean language textbooks, achievement standards for ‘essence of language’, ‘part of speech’, and ‘vocabulary’ were implemented,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Examin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extbook unit composition, it was found that three achievement standards have been consistently reflected in the textbooks since the fourth curriculum. Of the three achievement standards,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part of speech’ has been consistently assigned to the middle school level without significant change. In the case of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essence of language,’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conten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st changes was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vocabulary,’ as its contents, which had been comprehensive, were modified to be more specific, and then changed again to be comprehensive. Because of such changes, the textbooks differed in content without clear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n regard to textbook unit organization, two of the three achievement standards were organized in one unit and the remaining achievement standard was combin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a different area into one unit. That different area was ‘listening and speaking’ in eight of the nine textbooks, while it was ‘reading’ in the remaining one textbook. Examining the contents of three achievement standards reflected in each textbook, results showed that concepts such as ‘arbitrariness, sociality, historicity, and creativity of language’ were presented in most of the textbooks in the area of ‘essence of language,’ thus connecting the standard to the life practice of Korean language with various activities, although there were textbooks that did not show this aspect. As for the implementation of ‘part of speech’ content,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observed between textbooks, although slight difference was found in covering ‘classification criteria of part of speech.’ As for the implementation aspects of achievement standard for ‘vocabulary’ content, the textbooks rather lacked clarity even in the manner of describing the curriculum, bearing similarity to content changes mentioned earlier. As a result, contents differed greatly between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valuating how the contents specifi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re implemented in textbook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study results will be helpful for teachers in selecting Korean language textbook.

      • KCI등재

        초·중학교 국어 ‘문법’ 영역 용어 사용 양상과 개선 방안

        김억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1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문법’ 영역 용어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2011 개정 교육과정에 의하면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공통교육과정이기 때문에 연속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분석을 한 선행 연구 대부분 초등과 중등으로 나뉘어 분석되었다. 그래서 초·중학교 교과서를 연계하여 ‘문법’ 영역의 용어 사용 양상을 다루는 것도 의의가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것은 2011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국어 교과서 중 ‘문법’ 영역 성취기준이 구현된 단원이다. 먼저, 2장에서는 초·중학교 국어 교과서 문법 영역의 용어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교과서와 중학교 교과서의 ‘문법’ 영역 용어의 빈도를 추출하고 그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동일한 개념을 나타내는 용어를 초등학교 교과서에서는 대부분 ‘설명어’를 사용하였고 중학교 교과서에서는 ‘개념어’를 사용하였다. 이는 학교 급간의 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당연한 차이라고 생각된다. 3장에서는 초·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사용된 문법 영역 용어 사용의 문제점에 대해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2011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과서가 동일한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급의 차이 때문에 ‘문법’ 영역 단원의 용어 사용에서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개념을 나타내는 단어가 달리 사용되는 등 용어 사용의 측면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래서 ‘문법’ 영역의 용어 사용에서 학년 군별로 위계적으로 사용할 것과 통일하거나 수정하여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즉 초·중학교 교과서에서 연계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육과정을 개편할 때나 교과서를 편찬할 때 ‘문법’ 영역의 용어 사용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low of Korean grammar area and the use of terms throug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Korean language curriculums and suggest improvements. It observed the flow of grammar education through the contents of 'grammar area' of Koran language curriculum, and grammatical terms us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Korean text books.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f national level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1955, and has been revised and notified about 10 times. Among these, it can be said that 'grammar' area was established from the 4th Educational Curriculum. Thus, the study from the 4th Educational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conducted. The study inquired into the 'grammar' area system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ed 7 times from the 4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hanges of terms. As a result, it could be seen that the names in 'grammar' area have been changed into 'language', 'Korean language knowledge', 'grammar, and the terms of 'contents' have been changed into 'contents', the 'contents by grade', 'detailed contents by grade cluster and 'achievement standard'. What was discussed in this study can be stated as follows: In Chapter 2, the study reviewed the 'grammar' area unit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xt books published by the 2011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it could be found that a word with the same concept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xt books was used as different concepts or the consistency of concepts was lacked in terms of using terms despite the text books published by the same curriculum. In Chapter 3, it was suggested that at the time of develop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xt book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grammar area terms usable by unifying them are used like that and applied to text books by maintaining consistency.

      • KCI등재

        종속접속문과 부사절을 안은문장의 의미 차이 교육의 필요성 연구

        김억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통사론적인 관점에서 종속접속문이나 부사절을 안은문장으로 다루어 왔던 문장의 의미 차이에 관해 ‘전경-배경’ 이론에 근거해 논의하고 그 결과를 국어교육에 적용할 필요성에 관해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다. 동일한 문장을 ‘접속’의 관점에서는 종속접속문으로 처리하고 ‘내포’의 관점에서는 부사절을 안은문장으로 처리해 온 것이 전통적인 견해였는데 두 입장에서 의미의 차이에 관해 언급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내포와 접속은 의미론적인 문제이므로 통사론적인 관점에서 처리해 온 것에 의문을 제기하고, 문장의 형태가 다르면 의미도 다른 것으로 보는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이 두 문장의 의미 차이를 살펴보았다. 접속과 내포가 문장 확대의 범언어적인 문법적 절차이지만 어말어미에 의해 문법적인 범주가 결정되는 국어에서는 형태적으로 구분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국어에서 접속과 내포는 개별 문장에서 선행절과 후행절의 의미 관계에 따라 구분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문장의 구조가 다르면 의미도 다르다는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종속접속문과 부사절을 안은문장의 의미가 다르게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통사론적인 처리와 달리 인지언어학적인 측면에서 국어의 접속과 내포는 개별 문장에서 선행절과 후행절의 의미 관계에 따라 구분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 결과 인지언어학적인 입장에서 보면 문장의 구조가 다르면 의미도 달리 나타나는데 기존 입장에서 의미 차이에 관해 교육적 차원에서 논의하지 않았던 종속접속문과 부사절을 안은문장의 의미에 관해 교육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통일된 학교 문법 교육에서 지금까지 의미 차이에 관한 지적이 없었기 때문에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왔던 것처럼 동일한 의미를 지닌 것으로 기술되어 왔는데 지금부터라도 두 문장의 의미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여 문법 기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내포와 접속의 개념, 이들을 국어 교육적 관점에서 다룬 사항들을 2장에서 검토한 후 3장에서는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인 ‘전경-배경’ 이론에 근거하여 국어 교육적 적용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두 문장의 의미 차이에 관한 사실을 통일된 학교문법에도 반영하어 문법 기술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iscuss the semantic differences in sentences treat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in syntax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to provide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view, a sentence was treated as a subordinate conjunctive sentence from the perspective of ‘conjunction’and as an adverbial clause ‘embedment’. There seemed no semantic difference between them. However, this study raises questions about treating the meaning of the two sentences equally from the viewpoint of cognitive linguistics that sentence meaning varies depending on sentence structure and examined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ntences. Based on this, this paper consider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by highlighting semantic differences also in school grammar. Although ‘conjunction’ and ‘embedment’ are cross-linguistic grammatical processes for sentence extension, it is difficult to morphologically differentiate them in Korean language that grammatical category is determined by a word ending. Therefore, conjunction and embedment in Korean language should be differentiated by semantic relation between preceding and following clauses in individual sentences. This study proposes that subordinate conjunctive sentences and adverbial clauses should be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the viewpoint of cognitive linguistics that sentence meaning varies depending on sentence structure. Moreover, this study indicates that conjunction and embedment in Korean language should be separated by semantic relation between preceding and following clauses in individual sentences in terms of cognitive linguistics. Based on these results, sentence meaning differs depending on sentence structure from the standpoint of cognitive linguistics. Thus, the meaning of subordinate conjunctive sentences and adverbial clauses that have been previously regarded that they had the same meaning can be different. They have been described as if they had the same meaning in previous studies because there has been no indication of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hem thus far in unified school grammar. From now on, grammatical description should reflect the fact that there are semant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ntences.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s of embedment and conjunction and their problems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apter 2. Then, it examines the application of them in Korean language based on a cognitive-linguistic perspective ‘figure-ground relationship’ in Chapter 3. This paper proposes that grammatical description should be made by reflecting the fact of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ntences in the unified school grammar.

      • KCI등재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서 구현 양상 -8학년,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김억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4 No.3

        This paper aims at researching about the 8th grade Korean textbook which was published by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revised version) in 2007. The textbook is a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that embodies the intention and content of the curriculum. It takes an important role in the domain of education. We have used a kind of Korean textbook provided government-published textbook,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 since 2000. But we will select a new kind of textbook from 23 kinds of Korean textbooks last year. And, we will select a new kind of textbook from 15 kinds of Korean textbooks this year. So I studied the grammar domain that is a part of Korean education curriculum of 2007 revised version in Chapter Ⅱ. Second, in chapter Ⅲ, I am researching about aspects of the authorized textbook that has expressed five achievement standards established by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of 2007 revised version. As a result, I found it was very different in every textbook. So I think that it is important select very carefully the textbook for teaching students. And that, it is more important that each teacher study the 7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revised version) in 2007.

      • KCI등재

        문화재 명칭의 ‘寺址’ 사용 연원과 개선안 연구

        김억조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2 민족문화논총 Vol.81 No.-

        이 연구는 유형문화재 명칭에 사용된 ‘사지(寺址)’의 사용과 연원에 대해 고찰하고 개선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화재 명칭은 사람들이 쉽게 이해하고 기억될 수 있도록 붙이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사지’는 동음어가 많아서 한자가 병기되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렵다. ‘절터’와 ‘사기(寺基)’, ‘사지(寺址)’는 동의어이지만 한글 창제 이전의 자료에서는 ‘절터’를 나타내는 표기로 ‘사기(寺基)’가 주로 사용되었다. 사지(寺址)는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인들이 우리 문화재 이름을 붙이면서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사지’는 한글 표기만 사용될 경우 동음어가 20여 개나 있어서 쉽게 구분되지 않는 이름이다. ‘절터’라는 용어를 쓰면 알기 쉬운 문화재 이름이 될 것이므로 ‘寺址’ 대신 ‘절터’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사지’가 결합된 유형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황룡사지’처럼 고유명사에 붙은 ‘사’는 분리할 수 없으므로 ‘지’만 ‘터’로 바꾸고, ‘장항리사지’처럼 고유명사에 단어 ‘사지’가 결합된 유형은 ‘사지’ 전체를 ‘절터’로 바꿀 것을 제안하였다. 한자를 많이 사용하던 시기 또는 한자를 병기하던 시기에는 ‘사지’를 사용하더라도 그 의미를 알기 쉬웠다. 하지만 지금은 대부분 한자를 병기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자를 모르는 세대들이 많다. 국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이름으로 바꾸는 것이 옳다. 더욱이 ‘寺址’가 일제강점기에 공식적으로 사용된 것이므로 청산해야 할 필요성도 있다.

      •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ㄱ/ㄲ-g’ 음 고찰

        김억조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9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4 No.1

        This study is conducted to find ‘g’ sound in Chinese equivalent to ‘ㄱ’ in Korean. While there are two phonemes ‘ㄱ’ and ‘ㄲ’ in Korea, there is only one phoneme, ‘g’ in Chinese. Due to this difference, Chinese learners of Korean have a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lenis from fortis in Korean. Thus, this study aims to look for ‘g’ sound in Chinese equivalent to ‘ㄱ’ in Korean so that it can be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recorded various ‘g’ sounds in Chinese in native Chinese pronunciations and let native Korean speakers hear the sounds. And this study asked them to judge whether the sounds were closer to ‘ㄱ’ or ‘ㄲ’.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find ‘g’ sound similar to ‘ㄱ’ sound in Korean and to use i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letters of which the percentage of Korean people’s perception as ‘ㄱ’ was high include ‘估’ in Tone 1, ‘国, 革’ in Tone 2 and ‘葛’ and ‘古’ in Tone 3. With Tones 1 and 4, the tendency for their perception of ‘g’ as ‘ㄲ’ is high, and Letter ‘估’ appears to be an exception. It seems that the reason may be an impact of Chinese vowels. Focusing Chinese vowels, ‘革’ and ‘葛’ with the Chinese vowel ‘e’ and ‘国,’ ‘古’ and ’估’ with the Chinese vowel ‘u’ are included. To make Chinese learners of Korean recognize the pronunciation of ‘ㄱ,’ it is desirable to teach students, utilizing Chinese Tones 2 and 3 and Chinese vowels ‘e’ and ‘u,’ and especially, the pronunciations of ‘革’ and ‘葛’ and ‘国,’ ‘古’ and ‘估.’ In addition, there are lots of letter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education of the pronunciation of ‘ㄲ’; however, it is desirable to teach them choosing letters, which take a high percentage, such as ‘嘎,’ ‘更,’ ‘逛’ and ‘剛.’ 이 연구는 한국어 ‘ㄱ’에 대응하는 중국어 ‘g’음을 찾기 위한 연구이다. 한국어에는 ㄱ, ㄲ의 두 가지 음소가 존재하는 데 반해, 중국어에는 g의 한 가지 음소만 존재한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어의 평음과 경음을 변별하는 데 곤란을 겪는다. 그래서 한국어 ‘ㄱ’에 대응되는 중국어 ‘g’를 찾아서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어에 나타나는 다양한 g음을 중국어 원어민 발음으로 녹음하여 한국어 원어민 화자들에게 들려주었다. 그들에게 그 소리가 ㄱ이나 ㄲ 중 어떤 소리에 가까운지 판단하게 하였다. 청취 실험 결과 한국인이 중국어 성모 ‘g’를 한국어의 평음 ‘ㄱ’과 경음 ‘ㄲ’으로 판단하였다. ‘ㄱ’으로 들리는 것은 대체적으로 개구도가 작은 2성이나 3성인 글자였고, ‘ㄲ’으로 들리는 경우는 대개 개구도가 큰 1성이나 4성인 글자였다. 한국어 ‘ㄱ’ 소리에 가까운 ‘g’음을 찾아서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인이 ‘ㄱ’으로 인식한 비율이 높게 나타난 글자는 1성의 ‘估’, 2성의 ‘国, 革’, 3성의 ‘葛, 古’이다. 1성과 4성의 경우에는 g를 ㄲ으로 감지한 경향이 높게 나타나는데 ‘估’ 글자가 예외로 나타난다. 그 이유는 운모의 영향으로 보인다. 운모를 중심으로 보면 ‘e’ 운모의 ‘革, 葛’과 ‘u’ 운모의 ‘国, 古, 估’였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ㄱ’ 발음을 인식하게 할 때에는 중국어 2,3성과 ‘e, u’ 운모를 활용하되 그 중에서도 ‘革, 葛’과 ‘国, 古, 估’의 발음을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ㄲ’발음을 교육할 때에는 활용 가능한 글자가 많긴 하나 그중에서도 ‘嘎, 更, 逛, 剛’와 같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글자로 선정하여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