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rciprenaline ( Alupent ) 이 조기자궁 수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적 고찰

        조성진(SJ Cho),김용철(YC Kim),박형무(HM Park),송인철(IC S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6

        1975년 1월초부터, 1977년 12월 말까지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조기진통이라는 진단하에 Orciprenaline(Alupent)를 정주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산모의 연령은 평균 24.3세이었고, 가장 빈도가 많은 연령군은 21∼25세군이며, 초산부가 경산부보다 많았다. 2) 성공한 예(재태기간 36주 이상 지연분만한 경우)는 30예중 18예로 성공률은 60%이었다. 또한 24시간 이상 분만을 지연시킨 경우는 21예로 70%이었고, 7일 이상, 분만을 지연시켰던 예는 12예로 40%이었다. 3) 입원당시 자궁개대가 3cm이하이었던 산모 23예중 17예예가 36주 이후에 분만하여 성공률은 73.4%이었으나 4cm이상인 경우는 7예중 1예로 14.3%이었다. 4) 자궁수축억제 효과는 10분에서 20분 사이에 가장 현저하였으며, 이 효과는 자궁수축의 빈도 및 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총 30예중 orciprenaline 정주에 전혀 효과가 없었던 예는 2예이었다. 5) Orciprcnaline의 정주전 및 정주시의 맥박의 변화는 전자가 75±5회/분이었으나 후자는 124±6회/분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혈압은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6) 태아의 심음은 30예중 15예(50%)에서 증가하였으며, 주산기 사망률 과 특별한 관계는 없었다. 7) 전분만아의 주산기 사망률은 18.8%이었고, 36주 이전에 분만한 분만아의 주산기 사망률은 35.7%이었고, 36주 이후에 분만한 분만아의 주산기 사망률은 5.6%이었다.

      • KCI등재

        산과영역에 있어서 지속성 경막외마취에 관한 임상적 고찰

        조성진(SJ Cho),주경란(KR Joo),박찬용(CY Park),김경태(KT Kim),송인철(IC Song),주영철(YC Joo),박인서(I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2 No.5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서 1978년 1월 초부터 1978년 8월 말까지 산과적 합병증이 없었던 산모 100명을 정상 산모군 50예와 경막외마취 시행군 50예로 나누어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산모의 분만회수별 분포는 대조군에서 초산부 26예, 경산부 24예이었고, 경막외마취 시행군에서는 초산부 30예, 경산부 20예였다. 연령별 분포는 각각 공히 26∼30세군이 제일 많은 분포이었다. 2. 분만 제1기의 기간은 초산부에서는 자궁개대가 5cm 이하인 경우 및 5∼10cm인 경우 대조군은 각각 460.5±36.18분, 165.9±19.67분이었고, 경막외마취 시행군에서는 각각 480.3±32.43분, 158.5±18.39분이었다. 경산부에서는 대조군의 경우 각각 228.8±23.46분, 77.5±13.24분, 경막외마취 시행군의 경우 각 216.3±24.17분, 104.0±14.31분을 보여 초산부에서는 경막의 마취 사용할 때 분만기간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분만 제2기의 기간은 초산부에서 대조군이 48.0±6.62분, 경막외마취 시행군이 96.2±13.15분이었고 경산부에서는 각각 20.1±1.79분, 54.8±3.73분을 보여 분만 제2기의 기간은 경막외마취 시행시 지연되는 경향이었다. 4. 객관적 및 주관적 점수를 합하여 측정한 경막외마취의 효과는 0∼4(Good)군이 42예(84.0%), 5∼8(Fair)군이 7예(14.0%), 9∼12(Poor)군이 1예(2.0%)로 경막외마취 사용할 때 무통분만의 큰 효과를 볼 수 있었다. 5. 태아절박증은 대조군에서 50예 중 2예(4.0%), 경막외마취 시행군에서 50예 중 1예(2.0%)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1분 Apgar 평점은 7-10점군이 대조군 50예 중 47예, 경막외마취 시행군 50예 중 48예이었고 5분 Apgar평점은 7-10점군이 대조군 50예 중 49예, 경막외마취 시행군 50예 전례로서 경막외마취가 태아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6. 분만형태는 대조군에서는 정상분만 42예(84.0%), 흡인분만 5예(10.0%), 제왕절개술 3예(6.0%)이었고, 경막외마취 시행군에서는 각각 25예(50.0%), 23예(46.0%), 2예(4.0%)를 보여 경막외마취 시행시 흡인분만의 빈도가 4.6배 증가하였다. 7. 경막외마취 시행 후 진통효과는 평균 12.3±5.4분에 나타났으며, 약 반수(48.0%)에서 11∼15분 사이에 진통효과가 나타났다. 8. 총 lidocaine사용량은 분만 제1기에 144.3±21.7mg, 분만 제2기에 120±8.3mg이었고, 일회 투여량에 의한 진통효과의 지속기간은 각각 52.4±9.4분, 66.2±3.5분이었다. 9. 분만소요기간은 태아의 체중 Clinical research was made to clarify the effect of the continuous epidural analgesia on labor in 50 cases of uncomplicated pregnancies in comparison with 50 cases of control group who did not undergo analgesia during labor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from January to August, 197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ontrol group, 26 women were primipara and 24 women were multipara, while 30 women were primipara and 20 women were multipara who underwent labor and delivery under epidural analgesia. The most common maternal age ranged from 26 to 30 in both groups. 2. Duration of the first stage of labor was measured subdividely according to the extent of cervical dilatation, which revealed shortening of labor in primipara under epidural anesthesia. It took 460±36.18 minutes until cervix dilated to 5cm and 165±19.67 minutes over 5cm to full dilatation in the control primipara. It was 480±32.43 and 158±18.39 minutes in primipara under epidural anesthesia, respectively. In the multipara, it took 228.8±23.46 minutes and 77.5±13.24 minutes in the control group and 216.3±24.17 and 104±14.31 minutes in the anesthesized group. 3. Duration of the second stage of labor was lengthened in anesthetic group. While it took 48.0±4.62 minutes in the control primipara and 96.2±13.15 minutes in the women under anesthesia, it was 20.1±1.79 minutes in the control multipara and 54.8±3.73 minutes in the multipara under the epidural anesthesia. 4. Subjective and objective scoring were applied to evaluate the extent of pain relief in anesthetic group: 42 women(84.0%) had good score(0-4), 7(14.0%) fair score(5-8) and only one(2.0%) poor score(9-12). 5. Fetal distress occured in 2 cases in control group and 1 case in the anesthetic group. 47 and 48 cases had good 1 minutes Apgar score(7-10) in control group and anesthetic group, respectively. 49 cases of the control group and all cases of anesthetic group had 5 minutes Apgar score over 7, which showed no significant adverse effects of epidural

      • KCI등재

        악성 난소종양 환자의 혈청내 LDH황성도에 관한 연구 ( 제1보 )

        김용철(YC Kim),조성진(SJ Cho),박찬용(CY Park),이우홍(W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4

        혈청내 LDH치와 난소암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71예의 양성 난소종양의 혈청내 LDH는 평균 187.2 18.2 units로 정상군(241.4 21.0 unit)보다 높지 않았다. 2.13예의 양성골반 내 질환에서도 176.8 48.7unit로 특이한 사항은 없었다. 3.악성 난소암 13예의 수술 전 혈청내 LDH치는 정상보다 평균 2.6배(624.1 51.5 unit)ㄹ 증가를 보였으며 적절한 처치를 시행 치 않고 단지 시험개복만을 행하였던 2예에서는 수술 후 혈청내 LDH치는 (625/476,620/528 unit) 수술 전 보다 상승되는 경향을 보였다. 4.침윤성 자궁경부암 11예의 경우 LDH는 209.5 21.1 unit로 정상과 차이를 발견 할 수 없었으나 융모성 상피암 5예의 편균 LDH 치는 442.8 69.6 unit로 정상 보다 증가되어 있다. The incidence and prognosis of ovarian cancer were variable. Recently the diagnostic methods of other gynecologic malignancy such as cervical cancer and choriocarcinoma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ut unfortunately there was no effective secreening techinques available to detect the ovarian cancer in the early siage. In addition to variable familial methods for evaluation of ovarian cancer, biochemical investigations as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alpha-fetoprotein and lactic gehydrogenase were attempted. These studies were designed to gind correlation between serum-LDH activity and ovarian cancer. 97 patients who were impressed as ovarian tumor were checked by means of routine studies and serum-LDH at National Medical Center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977 to December 1979. The results were as follews: 13cases with ovarian cancer gad a signigicant elevated level of serum-LDH(mean; 642.1 51.5 unit) and which dropped agter proper managemen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serum-LDH level and voth cases of benign ovarian tumors (mean; 187.2 18.2 unit) and other benihn pelvic masses (mean; 176.8 48.7 unit), but other gynecologic malignancier had a normal or rather elevated value of serum-LDH in contrast to normal group (cervical cancer; 209.5 21.1 unit, choriocarcinoma; 422.8 69.6 unit).

      • KCI등재

        기능성 난소종양 ( 특히 여성난소종양 ) 의 임상적 관찰

        박인서(IS Park),강옥희(OK Kang),조성진(SJ Cho),박춘식(C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5

        1. 여성화난소종양의 발생빈도는 전 난소종양의 1.7%, 전 악성난소종양의 15.7%이었다. 2. 여성화난소종양중 과립막세포종이 62.5%, 세포막세포종 25.0%, 과립막 세포막 세포종 12.5%이 었다. 3. 여성화난소종양 환자의 최소연령은 23세, 최고연령은 72세이었고 평균연령은 42.6세 이었다. 4. 여성화난소종양 16예 중 7예(43.8%)는 5회 이상의 경산부이었고 6예(37.5%)는 미산부이었다. 5. 생식 연령층이 10례(62.5%)로 가장 많았고, 폐경기후가 5예(31.3%), 생식기전 연령충이 1예(6.3%)이었다. 6. 임상증세로 하복부 종양촉지가 13예(81.3%), 복수 9예(56.3%), 월경과다 6예(37.5%) 의 순위이었다. 7. 자궁내막선암이 공존하였던 경우가 8예(50.5%), 자궁내막중식증이 있었던 경우가 6 예(37.5%)이었다. 8. 치료는 외과적 절제술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방사선 치료를 선택적으로 시행하였다. 9. 수술 후 경과 및 예후는 16예 중 10예(62.5%)에서 재발없이 생존하고 있었다. Clinical observation was made on sixteen cases of granulosa-theca cell tumors collected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from January 1,1960 to December 31,197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feminizing ovarian tumors for all ovarian neoplasm and for all ovarian malignancy were 1.7% and 15.7%, respectively. 2. Granulosa cell tumor occupied 62.5%, theca cell tumor 25.0% and granulosa-theca cell tumor 12.5% of all feminizing ovarian tumors. 3. The youngest age and oldest age for feminizing ovarian tumors were 23 and 72 year old, respectively. The mean age was 42.6 year old. 4. Out of 16 feminizing ovarian tumors, 7 cases (43.8%) belonged to more than 5 parity group and 6 cases (37.5%) to nulliparous group. 5. Out of 16 feminizing ovarian tumors, 10 cases (62.5%) occured in menstruating period, 5 cases (31.3%) in postmenopausal period and 1 case(6.3%) in premenstrating period. 6. Clinical manifestations revealed palpable mass in 13 cases(81.3%), ascites in 9 cases (56.3%) and hypermenorrhea in 6 cases(37.5%) 7. Endometrial adenocarcinoma concomitantly existed in 8 cases (50.0%) and endometrial hyperplasis in 6 cases (37.5%) 8. Treatment primarily resorted to surgical intervention and followed by irradiation therapy in the selective cases. 9. Ten cases out of 16 (62.5%) were survival without sign of recurrence so far.

      • KCI등재

        자궁외임신에 대한 임상 통계학적 고찰

        박성구(SK Park),이명근(MK Lee),조성진(SJ Cho),박형무(HM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1 No.2

        국립의료원 개원이후 즉 1960년초부터 1976년 말까지 만 17년간 본원 산부인과에 입원 가료후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한 자궁외임신 환자 778예에 대하여 임상통계적 고찰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궁외임신의 분만수에 대한 빈도는 1:26.0(3.9%)였다. 년도별 발생빈도를 관찰할 때 현저한 증감의 추세는 볼 수 없었다. 2. 빈발연령은 25-34세로 64.1%를 점유했으며 평균 연령은 30.8세였다. 3. 불임자는 8.2%, 미산부는 14.4%이며, 1-4회 임신이 68.2%를 점유하였고 경산회수는 3회 이후에서 외임 발생빈도와 반비례 하였다. 4. 불임기간은 평균 4년 7개월이었다. 5. 기왕력은 인공유산이 56.3%로 가장 많았고 개복수술이 14.8%이며 이중 반복 외임이 11.2%, 충수절제수술이 2.2%, 골반내 결핵 2.0%이었다. 또 자궁내 장치를 삽입한 상태에서 외임이 된 2예가 있었다. 6. 주요증상은 동통이 99.9% 성기출혈이 91.3% 무월경이 62.1%였으며 오심구토가 37.3%, 현훈이 16.1%, 임신자각증상이 2.1%였다. 복부 진찰에서 압통이 87.7%, 팽창 67.7%, 종류촉지 68.0%였으며, 골반내진시 하복부 및 부속기 압통이 85.2%, 부속기 종류촉지 78.3%, 자궁경부 압통이 43.9%, 자궁증대, 더글라스와 팽만이 35.0%였다. 7. 쇽크의 증상을 보였던 예는 54.9%였고 혈색소 10gm% 이하의 빈혈을 보였던 예가 80.5%였다. 8. 임신 반응검사는 54.8%에서 양성이었다. 9. 증상발현후 입원까지의 기간은 6일 이상이 67.2%였다. 10. 진단의 정확도는 95.4%였으며 더굴러스와 천자의 적중율은 97.4%였다. 11. 이환은 우측이 다소 많았고 착상부위는 난관이 98.2%, 난소가 0.5%, 자궁경부가 0.4%, 난관절제후 자궁각임신이 0.1%였다. 난관임신에서는 팽대부 91.8%, 협부 4.1%, 체부 2.7%, 간질부 1.3%였다. 12. 복강내로 실혈된 혈액양은 60.5%에서 1,000-2,000cc로 측정되었다. 13. 중절양식은 파열이 87.5%, 유산의 11.8%, 무상이 1.4%였다. 14. 수술방법은 환측난관절제가 67.3%, 환측부속기절제가 33.4%였으며, 동시에 병행한 수술은 대측난관결찰이 9.3%, 충수절제수술이 1.8%, 대측난관성형술이 0.9%였다. 15. 외임에 동반된 타질환은 난관수종 2.1%, 골반내염증 1.4%, 난소낭종 0.9%, 자궁근종 0.4%, 골반결핵 0.3%였다. 16. 전 외임 예중 사망은 1예이었다. A clinico-statistical survey was made on a series of 778 ectopic pregnancies operated and confirmed with histopathological study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National Medical Center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 1960 to the end of December 1976.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During the same period, there were 20,209 deliveries, thus giving a rate of 1 ectopic per 26.0 deriveries, a rate of 3.9%. There has been no appreciabl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incidence of ectopic pregnancy. 2) The highest frequency of ectopic pregnancies was in 25-34 years of age, comprising of 64.1% and the mean age was 30.8 years. 3) The frequency of nulligravida was 8.2%, and nullipara, 14.4%, 68.2% of ectopic pregnancies was between gravida 1 to 4. 4) The mean duration of infertile period was 4 years and 7 months. 5) A history of previous curettage was noted in 56.3% of total. 14.8% of total cases had previous laparotomy. Among them, repeat ectopic pregnancies were 11.2% and appendectomy, 2.2%. A history of venereal diseases was detected in 4.0%, pelvic inflammatory disease, 2.2% and pelvic tuberculosis, 2.0% respectively. The intrauterine device in utero was noted in 2 cases of ectopic pregnancies. 6) The 3 most common symptoms in order of frequency were pain (99.9%), vaginal bleeding (91.3%) and amenorrhea (62.1%). Nausea and vomiting was found in 57.3%, dizziness and vertigo in 16.1% and subjective symptoms of pregnancy in 2.1%. Of the abdominal findings, tenderness was noted in 87.7%, distension in 67.7% and palpable mass in 68.0%. On pelvic examination, lower abdominal or adnexal tenderness was detected in 85.2%, adnexal mass in 78.3%, tenderness on the motion of cervix in 43.9%, the enlarged uterus in 36.0% and fullness in Cul-de-sac in 35.0%. 7) 54.9% of ectopic pregnancies was in shock state and hemoglobin level less than 10 gm% was found in 80.5% of cases. 8) The pregnancy test was positive in 54.8% of the total. 9) The period to admission after initial symptoms was more than 6 days in 67

      • KCI등재

        자궁내 피임장치와 동반된 골반 방선균증 1 예

        허택(T Hur),양남훈(NH Yang),김동석(DS Kim),이명아(MA Lee),조성진(SJ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9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1 No.9

        Actinomycosis is a slowly progressive infection due to an anaerobic gram-positive bacterium. Actinomycotic infection of the female genital tract are rare. The presence of a long-standing intrauterine contraceptive device (IUD) is a well-known risk factor in young women. The diagnosis is frequently missed preoperatively. Actinomyces infection should be born in mind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 young female with an IUD, fever, and abdominal mass. All patients with IUDs should undergo annual cytologic smears. We have experenced a case of pelvic actinomycosis associated with IUD and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계류유산에 관한 임상적 연구

        심재철(JC Sim),김수용(SY Kim),김종현(JH Kim),조성진(SJ Cho),김경태(KT Kim),박인서(I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7 No.13

        Missed abortion has been one of the major problems being confronted with the physician in the midtrimester of pregnancy. This is a clinical study of 31 cases of missed abortions recruited at National Medical Center during 5 years from January 1, 1978 to December 31, 1982. The resutls were as follows: 1. The age distribution was from 22 to 45 years of age and about 50% of cases in 20 to 29 years of age. 2. According to parity, 63.3% of cases were in para 4 or more. 3. Frequent chief complaints were absence or cessation of fetal movement(50%), vaginal bleeding(36.6%), and cessation of uterine growth or decrease in uterine size(13.3%). 4. Gestational ages at the time of fetal death were from 7 to 25 weeks. 5. Seventeen cases(56.1%) retained dead fetus for 1 or 2 months and 9 cases(30%) for 3 or 4 months. 6. None of the cases had abnormal value of blood coagulation tests and fibrinogen before treatment. 7. According to the method of treatment, 13 cases were evacuated by dilatation and curettage, 9 cases by extraovular prostaglandin induction, 6 cases by metreurynter method and 2 cases by highly concentrated intravenous pitocin induction.

      • KCI등재

        뇨실금을 동반하거나 하지않은 자궁탈에 대한 질식자궁적출술과 전질벽협축술의 임상적 및 요로 역학적 효과

        유지헌(JH Yoo),오세창(SC Oh),이명아(MA Lee),박찬용(CY Park),조성진(SJ Cho),박인서(I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4

        1983년 3월부터 1985년 2월까지 만 2년간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질식자궁적출술 및 질벽협축술을 시행한 27명의 자궁질탈출증 환자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환자의 평균연령은 55 1세로 모두 경산부이었다 긴장성 뇨실금을 동반한 예는 21례로 77 8%이었으며, 분만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자궁질탈출증 및 뇨실금의 빈도는 증가하였다 2 수술후 뇨실금, 빈뇨, 배란곤란, 급뇨 등의 요로증상은 현저히 호전되었으며, 수술후 뇨실금이 1예 발생하였는데 이는 배뇨근 부전증에 의한 것이었다 3 수술후 합병증은 질개구탈출술, 배뇨근 부전중, 질방광루, 신우신염 각 1예씩 있었으며, 그 빈도는 14 8%이었다 4 방광내압검사상 뇨실금군 및 뇨실금을 동반하지 않은 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복압을 가하였을 경우 방광기저부 및 PUV junction의 하강도는 수술후 양군 모두에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증상소실군과 지속군 사이에도 하강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수술후 복압을 가하였을 경우 angle of inclination의 변화는 뇨실금군에서 현저히 감소 하였으며, 증상소실군과 지속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7 수술후 PUV angle의 변화는 뇨실금 유 무에 관계없이 공히 감소하였으며, 증상소실군과 지속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위와 같은 결론으로 첫째, 방광내압검사는 뇨속도검사(uroflowmetry)와 함께 시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의의있는 정보는 얻을 수 없었으나, 배뇨근 부전증 및 신경성 방광을 감별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둘째, Chain을 이용한 방광뇨도촬영술은 비디오 방광뇨도 촬영술과 같은 특수검사시설이 없는 경우에 PUV angle의 변화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하여 볼 만한 가치가 있었다 Clinical and urodynamic studies were made on 27 cases of uterine prolapse with or without incontinence after vaginal hysterectomy and anterior colporrhapy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March 1, 1983 to February 28, 1985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ll patient were multiparous women whose mean age was 55 1 year The incidence of urinary incontinence associated with uterine prolapse was 77 8%, which tended to be increas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ity and age 2 Urinary symptoms such as stress incontinence, frequency, voiding difficulty and urgency were markedly improved after operation Urinary incontinence newly developed in one case due to detrusor instability 3 The overall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was 14 8% Complications induced each one case oe vaginal vault prolapse, detrusor instability, vesicovaginal fistula and pyelonephritis respectively 4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ystometr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ither with or without urinary incontinence 5 On straining, symptom improved group showed more decrease in the descended length of the bladder base and posterior urethrovesical junction than the symptom continued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each group 6 On straining, the postoperative change in the inclination angle was prominently noted in incontinent group than in continent on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symptom improved and continued group 7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crease in posterior urethrovesical angle between incontinent and continent group, which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symptom improved group and continued group

      • KCI등재

        양수내 Creatinine치에 관한 연구

        김영석(YS Kim),민병철(BC Min),이명아(MA Lee),박창서(CS Park),박찬용(CY Park),조성진(SJ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1 No.10

        정확한 태아 성숙도 판정을 위해서 임신 제 35주에서 제 41주까지의 정상임부 35례, 자간전 증을 합병한 임부 28예에서 양수와 모체혈청의 creatinine concentration측정 및 shake test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그리고 전례에서 호흡장해증후군의 발생을 관찰하여 위의 검사결과에 입각한 태아 성숙도 판정을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었다. 1. 양수내 creatinine concentration 및 AF/MS비는 정상임신군 및 자간전증군에서 임신주수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였다. 2. 자간전증군의 양수와 모체혈청 creatinine concentration 및 평균 AF/MS비는 정상임신군의 수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3. 태아 성숙기준을 임신 제 37주이상으로 정하였고 양수 creatinine concentration 2.0mg%이 상, AF/MS비 2.5이상 그리고 positive shake test를 성숙기준으로 선택할 때 ,그 정확도는 정 상임신군에서는 85.7%, 82.9% 88.9%이었고, 자간전증군에서는 89.3% 95.7% 92.9% 이었다. 그리고태아체중 2500g을 성숙기준으로 하고 똑같은 방법으로 예측한 태아 성숙판정의 정확 도는 정상임신군에서는 88.6% 91.4% 85.7% 이엇고, 자간전증군에서는 75.0% 78.6% 75.0%ㅇ 었다. 4. 총 7예의 신생아에서 신생아 호흡장해증후군이 발생했는데 4례는 정상임신군에서 3례는 자간전증군에서였다. Accurate estimation of fetal maturity is neccessary where termination of pregnancy before term is indicated. To predict the fetal maturity creatine concentration of amniotic fluid and maternal serum were measured and shake test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in the 35 normal pregnancy women and 28 preeclamptic women between 35 to 41 gestational wee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reatinine concentration of amniotic fluid and aminiotic fluid/maternal serum concentration of creatinine (AF/MS) ratio increased gradually related to gestational weeks in normal and preeclamptic pregnancy. 2. The mean amniotic fluid and maternal serum creatinine concentration and the mean AF/MS ratio in preeclamptic pregnan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f the the normal pregnancy. 3. Assuming a creatinine concentration 2.0mg% or greater in the amniotic fluid, AF/MS ratio of 2.5 or greater and positive shake test to corespond with 37 weeks of gestational age, the accuracy in predicting fetal maturity was 85.7%, 82.9% and 88.9% in normal pregnancy and 89.3% , 95.7% and 92.9% in preeclamptic pregnancy, respectively. Assuming same indication to correspond with 2500 mg of fetal weight , the accuracy in predicting fetal maturity was 88.6%, 91.4% and 85.7% in normal pregnancy and 75%, 78.6% and 75% in preeclamptic pregnancy, respectively. 4. Total 7 neonates develope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four in normal group and remainder in preeclamptic pregnancy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