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s 차단 시간 변화에 의한 InAs 양자점의 광학적 특성

        최윤호,류미이,조병구,김진수,Choi, Yoon Ho,Ryu, Mee-Yi,Jo, Byounggu,Kim, Jin Soo 한국진공학회 2013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2 No.2

        Arsenic interruption growth (AIG)법을 이용하여 GaAs 기판에 성장한 InAs 양자점(quantum dots, QDs)의 광학적 특성을 PL (photoluminescence)과 time-resolved P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IG법은 InAs 양자점 성장 동안 In 공급은 계속 유지하면서 셔텨(shutter)를 이용해서 As 공급과 차단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As 공급과 차단을 1초(S1), 2초(S2), 또는 3초(S3) 동안 반복하여 성장한 InAs QDs과 As 차단 없이 성장한 기준시료(S0)를 사용하였다. AIG법으로 성장한 시료들의 PL 세기는 기준시료보다 모두 강하게 나타나고, As 차단 시간에 따라 PL 피크는 적색이동(redshifted) 또는 청색이동 (blueshifted)하여 나타났다. 기준시료 S0의 PL 피크와 비교하였을 때 S1의 PL 피크의 적색이동은 양자점 평균 길이가 S0보다 증가하였기 때문이며, S3의 청색이동은 양자점 평균 길이가 S0보다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AIG법으로 성장한 QDs 시료들의 PL 세기의 증가는 cluster의 감소, 양자점 밀도의 증가, 균일도의 향상, 종횡비(aspect ratio) 향상으로 설명된다. 온도에 따른 PL 세기와 PL 피크 에너지, PL 소멸 시간과 발광 파장에 따른 PL 소멸 시간을 측정하였다. As 공급과 차단을 2초로 하였을 때 cluster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양자점의 밀도는 증가하였으며 균일도와 종횡비도 향상되었다. 또한 S2는 가장 강한 PL 세기와 가장 긴 소멸 시간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AIG법을 이용하여 InAs 양자점의 크기, 조밀도, 균일도, 종횡비 등을 조절하여 원하는 파장대의 양자점을 성장할 수 있으며 발광 특성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optical properties of InAs quantum dots (QDs) grown on GaAs substrates grown by molecular beam epitaxy have been studied using photoluminescence (PL) and time-resolved PL measurements. InAs QDs were grown using an arsenic interruption growth (AIG) technique, in which the As flux was periodically interrupted by a closed As shutter during InAs QDs growth. In this study, the shutter of As source was periodically opened and closed for 1 (S1), 2 (S2), or 3 s (S3). For comparison, an InAs QD sample (S0) without As interruption was grown in a pure GaAs matrix for 20 s. The PL intensity of InAs QD samples grown by AIG technique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sample (S0). While the PL peaks of S1 and S2 are redshifted compared to that of S0, the PL peak of S3 is blueshifted from that of S0. The increase of the PL intensity for the InAs QDs grown by AIG technique can be explained by the reduced InAs clusters, the increased QD density, the improved QD uniformity, and the improved aspect ratio (height/length). The redshift (blueshift) of the PL peak for S1 (S3) compared with that for S0 is attributed to the increase (decrease) in the QD average length compared to the average length of S0. The PL intensity, PL peak position, and PL decay time have been investigated as functions of temperature and emission wavelength. S2 shows no InAs clusters, the increased InAs QD density, the improved QD uniformity, and the improved QD aspect ratio. S2 also shows the strongest PL intensity and the longest PL decay tim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ize (shape), density, and uniformity of InAs QDs can be controlled by using AIG technique. Therefore the emission wavelength and luminescence properties of InAs/GaAs QDs can also be controlled.

      • KCI등재후보

        계면활성제가 돌연변이원성 물질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최윤호,정용,Choi, Yoon-Ho,Chung, Yong 환경독성보건학회 1992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7 No.3

        Recently, concerns of water pollution and health risks caused by synthetic detergents have emerged, as the use of various detergents has increased It has been suggested that some surfactants are cocarcinogens. The surfactants tested were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sodium lauryl sulfate,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 (tween 80), and the mutagens were 1-nitropyrene, N -methyl- N'-nitro-N -nitrosoguanidine, benzo (a) pyrene, and aflatoxin B$_1$.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rfactants on the activity of mytagens using the Ames mutagenic assay with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urfactants have no mutagenic activity of themselves. 2. Higher doses of surfactants than 100 $\mu\textrm{g}$/plate reduced the number of revertants. It is assumed that the reduction would inhibited cell growth. 3. When the comutagenic ratio is defined as the ratio between mutagenic activity itself and the activity with mutagen and surfactant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LAS showed the comutagenic ratio 0.86-1.17 and SLS 0.74-1.10 as well. According to the comparisons, it could not be recognised for the comutagenicity of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of surfactant. 4. As increasing the amount of mutagens, the designated amount of surfactant did not affected the mutagen's activity statistically. From the above result, syunthetic surfactants do not present mutagenicity and comutagenicity in the microbial assay.

      • KCI등재

        천리안 위성영상(MI)과 Landsat-8 위성영상(OLI, TIRS)을 이용한 화산재 정보 산출: 사쿠라지마 화산의 사례연구

        최윤호,이원진,박순천,선종선,이덕기,Choi, Yoon-Ho,Lee, Won-Jin,Park, Sun-Cheon,Sun, Jongsun,Lee, Duk Kee 대한원격탐사학회 2017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3 No.5

        화산재는 화산쇄설물 중 2 mm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작은 미세 암편으로 화산 분화 이후 낙하에 의해 여러 가지 피해를 가져온다. 화산재 피해는 운송업과 생산업 그리고 동 식물 및 인간의 호흡기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화산재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화산재 확산 정보가 중요하며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화산재 관측은 위성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사쿠라지마 화산의 두 번의 분화 사례를 연구하였으며 정지궤도 위성인 천리안 위성(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의 기상 탑재체(Meteorological Imager: MI) 영상과 극궤도 위성인 Landsat-8의 Operational Land Imager (OLI), Thermal InfraRed Sensor (TIRS) 영상을 활용하여 화산재 확산 정보를 산출하였다. COMSMI 영상으로부터 화산재 화소를 추출하여 화산재의 확산 방향과 속도를 분석하였으며, Landsat-8 영상에 대하여 그림자 측정법을 적용하여 화산재 높이를 산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산출된 결과를 도쿄 화산재 주의보센터(Volcanic Ash Advisories center: VAAC)와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화산재 확산의 방향은 두 연구에서 모두 유사한 방향으로 산출되었으나 화산재 속도는 화산재주의보센터에서 제공되는 속도에 비해 약 4배 느리게 산출되었다. 또한, 화산재 높이는 화산재 주의보센터 정보에서는 단일 값으로 제공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 확산위치에 따라 다르게 관측됨을 확인하였다. VAAC의 경우 화산 분화의 빠른 대응을 위해 분화구 주변 지역에 대해 대략적 값을 산정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 확산이 중요하기 때문에 실제 화산재 확산이 관측된 다양한 영상으로부터 화산재가 확산된 전체 지역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였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규모 분화가 발생할 경우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화산재 확산 관측이 중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는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화산재가 확산된 전체 영역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산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Volcanic ash is a fine particle smaller than 2 mm in diameters. It falls after the volcanic eruption and causes various damages to transportation, manufacturing industry and respiration of living things. Therefore diffusion information of volcanic ash is highly significant for preventing the damages from it. It is advantageous to utilize satellites for observing the widely diffusing volcanic ash. In this study volcanic ash diffusion information about two eruptions of Mt. Sakurajima were calculated using the geostationary satellite,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COMS) Meteorological Imager (MI) and polar-orbiting satellite, Landsat-8 Operational Land Imager (OLI) and the Thermal InfraRed Sensor (TIRS). The direction and velocity of volcanic ash diffusion were analyzed by extracting the volcanic ash pixels from COMS-MI images and the height was retrieved by adjusting the shadow method to Landsat-8 images. In comparison betwe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ose of Volcanic Ash Advisories center (VAAC), the volcanic ash tend to diffuse the same direction in both case. However, the diffusion velocity was about four times slower than VAAC information. Moreover, VAAC only provide an ash height while our study produced a variety of height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sh diffusion. The reason for different results is measured location. In case of VAAC, they produced approximate ash information around volcano crater to rapid response, while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ash diffusion whole area using ash observed images. It is important to measure ash diffusion when large-scale eruption occur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study, it can be used to produce various ash information about the ash diffusion area us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satellite image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유전자 다형성 ( Genetic Polymorphism ) 과 만성 HBV 감염의 관련성

        최윤호(Yoon Ho Choi),이종철(Jong Chul Rhee) 대한소화기학회 199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9 No.4

        N/A Background/Aims: The DD genotype of the AC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gene I/D polymorphism was found to be more frequent in centenarians and it was suggested that biologic functions of ACE may influence survival by resisting neoplasia or infection. ACE has been reported to enhance endogenous antigen presentation to MHC class I-restricted cytotoxic T lymphocytes, and the polymorphism intluences ACE levels in human T lymphocytes.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may progress to chronic active hepatitis and liver cirrhosis, and carriers of HBsAg have an increased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CE polymorphism and chronic HBV infection. Methods: A total of 670 apparently healthy Korean men who attended a priodic health examinatio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ll no signs or symptoms of acute vira] hepatitis within 6 rnonths. The ACE polymorphism was genotyped by PCR amplification of the 190 and 490 bp alleles. Serum HBsAg, anti-HBs, and anti-HBc were examined by radioimmunoassay. Results: Arnong the population, 479 subjects were anti-HBc-positive.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HBsAg positivity and ACE polymorphism among anti-HBc-positive subjects (Chi-Square = 6.03, p = 0.049) with an in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the genotypes (Mantel Haenszel Chi-Square = 5.05, p = 0.025). The odds of chronic HBsAg positivity was 2.18 (95% CI = 1.15 4.15) for individuals with the II genotype compared to those with a D allele (DD + ID).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D allele of ACE polymorphism may be associated with enhanced clearance of HBsAg or recovery from chronic HBV infection. Considering immunologic functions of ACE, this might be clinical evidence that helps explain a part of the long term beneficial effect of the D allele to favor human survival and longevity. (Korean J Gastroenterol 1997;29:489-496)

      • 영하의 외기온 조건이 콘크리트의 초기동해 피해에 미치는 영향

        최윤호 ( Choi Yoon-ho ),이영준 ( Lee Young-jun ),현승용 ( Hyun Seung-yong ),한민철 ( Han Min-cheol ),한천구 ( Han Cheon-goo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외기온 영하조건에서 노출시간 변화별 콘크리트의 초기동해 피해를 입는 온도이력을 확인하고, 실험연구결과 -10℃인 외기조건에서 200 mm 두께의 슬래브는 18시간까지는 외기온에 노출되어도 콘크리트의 수화열에 의해 초기동해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변속 무인 수중 잠수정을 위한 강인 경로 추적 제어

        최윤호(Yoon Ho Choi),김경주(Kyoung Joo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0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논문에서는 시간에 따라 종방향 속도가 변하는 무인 수중 잠수정의 경로 추적 제어기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경로 추적 제어기는 운동학적 제어기와 동역학적 제어기로 구성된다. 운동학적 제어기는 무인 수중 잠수정이 시간에 따라 속도가 변하는 기준 경로를 따라 가기 위해 종방향 속도와 yaw 각속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값이 동역학적 제어기의 기준 입력 값이 된다. 즉, 동역학적 제어기는 추진력과 회전력을 제어하여 무인 수중 잠수정의 종방향 속도와 yaw 각속도가 운동학적 제어기에서 계산한 값과 일치하도록 설계한다. 이 때 사용한 동역학적 제어기는 무인 잠수정의 옆 미끄럼 속도를 외란으로 가정하고, 종방향 속도와 yaw 각속도를 슬라이딩 모드 제어 기법을 이용하여 설계한다. 한편 설계된 제어기의 안정도 판별을 위해 Lyapunov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기의 안정성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설계된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bust path tracking control method for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with variable speed. The proposed path tracking controller consists of a kinematic controller and a dynamic controller. First, the kinematic controller computes the surge speed and yaw rate to follow the reference path with variable speed. Then the dynamic controller controls the thrust force and yaw torque to move the AUV actually. In the dynamic control, we assume that the sway speed is a disturbance. In addition the dynamic controller is designed based on sliding mode conrol. We also demonstrate the stability of the proposed control method by Lyapunov stability theory. Finally, simulation results illustr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tro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