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만성 B형 간염에서 라미부딘 치료중 발생한 Viral Breakthrough 예의 임상 결과

        안수현,장윤정,오성남,최도원,백수정,정원석,최창원,김경오,임형준,조남영,박종재,김재선,박영태,이명석,연종은,변관수,이창홍 대한간학회 2002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8 No.4

        목적: 만성 B형 간염의 치료 중 발생하는 약제 내성 변이종은 임상적으로는 치료 중 음전되었던 혈청 HBV DNA가 다시 양전되는 viral breakthrough 로 진단할 수 있다. 현재 약제 내성 변이종이 발생했을 경우라도 라미부딘 치료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viral breakthrough 발생 예들의 장기적 임상경과가 아직도 불명확하여 이것을 일반화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라미부딘 사용 중 viral breakthrough 가 발생한 예들을 대상으로 그 임상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9개월 이상 라미부딘을 투약한 만성 B형 간염 환자로 viral breakthrough가 발생한 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남/여 54/20, 평균연령 42세). Viral breakthrough 후 혈청 ALT치, 총 빌리루빈치, HBV DNA 역가, HBeAg, anti-HBe를 정기적으로 검사하면서 임상경과를 관찰하였다. Viral breakthrough 후 라미부딘의 투약기간은 평균 13개 월(1-41개월)이었다. 결과: Viral breakthrough 발생후 혈청 ALT치가 정상으로 유지되었던 환자는 8예(11%)에 불과했고 나머지 66예(89%)에서는 ALT치가 증가하였으며, 이중 30예(41%)에서 급성 악화(ALT 정상 상한치의 5배 이상 상승)를 보였다. 급성악화는 viral breakthrough 후 3개월 내에 19예 (63%)에서 발생하여 3개월 내에 발생한 예가 많았으나 12개월 이상 지나서 나타나는 예도 약 20%에서 있었다. 비대상성 악화는 6예에서 관찰되었다. Viral breakthrough 후 급성악화가 일어난 예와 없었던 예의 비교에서 급성악화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는 발견할 수 없었다. Viral breakthrough 후 발견할 수 없었다. Viral breakthrough 후 HBeAg이 음전된 예는 8예(11%)였으나 그 임상경과는 양호하지 않았다. 결론: 만성 B형 간염 환자 에서 라미부딘 투여 중 발생한 viral breakthrough 예 중 상당수에서 급성악화가 발생하였으며, HBeAg 이 소실되더라도 그 임상경과는 양호하지만은 않았다. Viral breakthrough 발생 후 주의 깊은 임상경과 의 관찰이 요구되며, 앞으로 viral breakthrough 후 급성악화 예에 대한 대규모 연구와 적절한 치료방향의 제시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Long-term lamivudine therapy can induce the emergence of lamivudine resistant hepatitis B virus (HBV) mutants. Clinically emergence of the mutant is expressed by the reappearance of disappeared HBV DNA in serum. Continued lamivudine treatment has been usually recommended in cases of viral breakthrough. However, the clinical outcome in patients with viral breakthrough is not cl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ourse of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after viral breakthrough during lamivudine therapy. Methods: A total of 74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who showed viral breakthrough after at least 6 months of lamivudine treatment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y had positive HBeAg and HBV DNA before treatment. The median follow-up duration after breakthrough was 13 months. Results: After viral breakthrough, only 8 patients (11%) maintained normal ALT levels and 66 patients (89%) showed elevation of ALT. 30 patients (41%) showed acute exacerbation of hepatitis (ALT increase over five-times upper normal limit). These acute exacerbations occurred within three months after breakthrough in 19 patients (63%). In the cases of acute exacerbation, 6 patients showed decompensated progression such as elevation of serum total bilirubin. One of them died of hepatic failure. A predictive factor for acute exacerbation was not found. HBeAg seroconversion occurred in 8 patients after viral breakthrough but their clinical course was highly variable. Conclusions: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ho had viral breakthrough during lamivudine therapy should be followed carefully and regularly in mind of potential clinical deterioration. New strategies are needed to manage the cases of acute exacerbation after viral breakthrough.(Korean J Hepatol 2002;8:389-396)

      •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의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 : Assessment of Risk Factors

        안중경,이홍기,황정혜,박세훈,이효락,송서영,이순일,박준오,김기현,김원석,정철원,임영혁,강원기,박근칠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2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7 No.1

        연구배경: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환자에서 집중 치료 시 예후가 매우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고, 기계 환기는 강력한 사망 예측 인자로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식 환자에서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를 밝힌 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기계 환기를 시행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살펴보고 기계 환기에 대한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삼성서울병원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환자 중 기계 환기를 시행한 23명과 기계 환기를 시행하지 않은 14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기계 환기에 대한 위험 인자의 여부에 관해서는 chi-square 또는 Fisher's exact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기계 환기에 대한 각 위험 인자의 영향에 관해서는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기계 환기를 시행한 23명의 환자 중 30일째 생존자는 1명이었고 6개월째 생존율은 0%였다. 생존자와 사망자 모두에서 다기관 기능부전이 관찰되었으며, APACHE II 점수와 SAPS II 점수에 의한 예측 사망률은 각각 56%, 59%였다. 조혈모세포이식 후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로는 선행 질환이 혈액질환, 부분불일치 동종이식, 간정맥폐색성질환, 이식 전 질병 상태가 재발하였거나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였다.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단지 부분불일치 동종이식을 시행한 경우였다. 결론: 현재까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집중 치료의 역할에 대해서는 확실히 정립되어 있지는 않으며, 이식 환자에서 기계 환기는 강력한 사망 예측 인자이다. 따라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환자에서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와 불량한 예후 인자를 고려하여 기계 환기 여부에 대한 신중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Background: Respiratory failure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is a frequent, critical complication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Patients who require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after HSCT generally have a very poor prognosis. Mechanical ventilation in HSCT recipients is a strong predictive factor of mortalit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SCT recipients undergoing mechanical ventilation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after HSCT.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all patients >15 yrs old who received HSCT at Samsung Medical Center and subsequently required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between 1996 and 2001. Results: Thirty-day mortality rate in HSCT recipients undergoing mechanical ventilation was 95.6%. The mean predictive mortality rates of APAHCE II score and SAPS II score were 56% and 59%, respectively. Reasons for mechanical ventila-tion were sepsis (47.8%) followed by fungal infection (13%) and diffuse alveolar hemorrhage (8.7%). Univariate analysis identified relapsed or refractory diseases at HSCT, hematologic disease, hepatic venoocclusive disease and allogeneic or HLA-mismatched transplant as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mechanical ventilation. 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ly allogeneic mismatched transplant remained significant. Conclusion: Overall outcome of HSCT recipients undergoing mechanical ventilation is very poor. Therefore, the risk factors and the poor prognostic factors for mechanical ventil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making further treatment decision for HSCT recipients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 十二變에 대한 考察 : 六元正紀大論을 중심으로

        채영진,남호현,이석모,여성원,한성규,이재원,안민식,정헌영,금경수 한국전통의학연구소 2003 한국전통의학지 Vol.13 No.1

        The six kinds of natural factors(It refers to wind, cold, summer-heat, dampness, dryness and fire.) is constantly moving to maintain the balance of whole climate of one year. Four seasons are the largest mediation of whole climate of one year. The cold and the heat have the relationship of mutual intervention. The dampness and the dryness have it also. In this process they raise various climate appearance. And that various climate appearance influence the whole lives on the earth.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classification of them.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용융침투법으로 제조한 알루미나-유리 복합체의 동적 피로 특성 평가

        원대희,안승근,배태성,강동완,진영철 대한치과기재학회 1998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25 No.3

        The fatigue characteristics of alumina-glass composites were evaluated by biaxial flexure test under the dynamic loading conditions. 88 specimens were tested by tested by testing 22 samples at each of four loading rates : 0.01, 0.1, 1, and mm/min. A Vickers-produced indentation crack was made at the center of the tensile surface with load of 49.0 N, and the microstructural aspects of crack propagation was investigated under statically loaded state in distilled water at 37℃.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fatigue parameter of alumina-glass composite containing 6 mol % yttria was n=22.2, σf0=319.6 MPa. 2. 10-year failure stress of alumina-glass composite containing 6 mol% yttria was 171.7 MPa. 3. Fracture surface of alumina-glass composite indicated the frictional interlocking of jogs having the tendency of toughening by crack deflection, rather than by crack bridging.

      • Matti-Russe술식을 이용한 주상골 불유합의 치료

        안상로,정진선,박원,우영길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3 충남의대잡지 Vol.20 No.2

        13 Cases of scaphoid nonunion had been treated by original Matti-Russe procedure and followed up more than 2 years, from September 1990 to September 1993, at th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ung 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Scaphoid nonunion occurs between 21 to 40 years of age( 13 cases ) and 13 cases were all male. 2. Most commonly, the site of fracture were confined to middle one third in 9 cases( 69 %), and fracture line were transverse in 6 cases( 46% ). 3. Radiological union was obtained with DISI deformity correction and normalization of intrascaphoid angle in all cases. 4. The result of treatment were excellent in 8 cases( 61%), good in 4 cases( 31%) and fair in 1 case( 8%)

      • KCI등재후보
      • Monoethanolamine을 이용한 화학 흡수법에 의한 지구온난화 가스 CO₂분리에 관한 연구

        안성우,송호철,박진원,김영국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7 논문집 Vol.29 No.1

        This study is on the separation of Global warning effect gas, CO₂ by chemical absorption from mixture CO₂-N₂ which was modeled after flue gas of fire power plant. Investigation of optimum condition for absorbent was carried out by using sparged vessel apparatus. Through packed tower experiments, applicabilities of two absorption models were tested by comparing experimental result with theoretical values. Absorbent used was Monoethanolamine(MEA). Diethanolamine(DEA) and gas mixture was made in the mole composition of 15% CO₂and 85% N₂. Through experiments, optimum concentration of absorbent was found in the range of 4-5M. Values of rate of absorption were calculated by Film model and Danckwerts model respectively. Danckwerts model showed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Therefore, this models is considered to be applicable to the CO₂separation process for flue gas from fire power plant.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