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세광장의 공간결정요소에 관한 연구

        남호현,민상충,Nam, Ho-Hyeon,Min, Sang-Choong 한국건축역사학회 2008 건축역사연구 Vol.17 No.4

        This study was firstly to reflect upon the background of the generation and the urban spatial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medieval plaza. The main aim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spatial determinants which give the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medieval plaza and in addition the endogenous rules and aesthetical grounds regarding the respective elements. Especially they could be applied to the design guideline. They are dimension(volume and scale), shape, elevation as the morphological elements and enclosure, proportion, grade difference, spatial sequence and plaza group as the spatial determinants and visual sequence, visual or spatial boundary, approaching axis and perspective effect as the aesthetic and visual elements and function(use), human behaviour as the social-behavioral elements and otherwise, for instance, plaza furniture, ground decoration and vegeta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each elements based on the classical historical literatures and to suggest the planning conditions for composing the ideal plaza referring to the cases and literature review on the medieval plaza and finall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plaza design methodology.

      • KCI등재

        朝淸關係의 초기 형성단계에서‘盟約’의 역할-丁卯胡亂期 朝鮮과 後金의 講和過程을 중심으로-

        남호현 조선시대사학회 2016 朝鮮時代史學報 Vol.78 No.-

        This paper emphasizes that during the first Manchu’s invasion in 1627, peace between Joseon and Manchu was signed in the form of a ‘maengyak(盟約, pledge)’. In this context, it aims to consider the process and practical effects of the pledge confirmed in 1627. In the Pre-modern era of East Asia, a pledge was signed frequently to seek peace between the two parties which didn’t have an established relationship like tributary system. Especially the Late Jin(後金) of 17th century utilized it actively in the purpose of integrating its nation and escaping from the influence of Ming Dynasty. This east-Asian pledge accompanies sacrifice, vow and curse as its form and during the Manchu’s invasion, Joseon and the Late Jin had negotiated for a long term about whether the peace is concluded by a pledge or not. Late Jin, who wanted to formalize its relationship with Joseon and to progress smoothly a war with Ming, forced a pledge. On the other hand, Joseon wanted to avoid the form of a pledge not only because it was reluctant to be formally connected with Late Jin but also because it was aware of the binding force that a pledge can possess. But in the end, these two dynasties made a pledge by which the foreign relations of Joseon would be restricted until the second Manchu’s Invasion in 1636. After signing, Manchu started the war of conquest against Ming with lessened threat in behind. Whereas, King Injo of Joseon dynasty had to endure internal criticisms that he made expedient decides as well as those of Ming that he betrayed its gratitude and started interacting with Late Jin. Besides, Joseon had to give much of economical supports to Manchu, but in the end, it brought about the second invasion in 1636 on the pretext of the pledge broken by Joseon. Although Joseon wanted to evaluate the pledge as another loose rein policy, effectively, it was rather Joseon who was isolated in the international east-Asian society of that time. At this point, we can understand the pledge not as a mere show, but as a kind of ritual with practical binding force. 이 논문은 정묘호란 당시 조선과 후금의 강화가 ‘盟約’이라는 형식으로 이루어졌음에 주목하여 ‘정묘맹약’의 체결 과정과 실질적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전통시대 동아시아에서 맹약은 조공-책봉과 같이 제도화된 관계가 수립되지 않은 양자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일시적인 평화를 구하는 과정에서 빈번하게 실시되었는데, 특히 17세기 후금은 주변 부족들을 통합하고 명 질서에서 벗어나는 과정에서 맹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맹약은 犧牲과 盟誓 그리고 詛呪라는 형식을 수반하는데, 정묘호란 당시 조선과 후금은 강화의 형식을 ‘맹약’으로 할 것인지의 여부를 두고 장기간 교섭을 진행하였다. 후금은 조선과의 관계를 공식화하고 대명 정복전쟁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목적에서 맹약을 강요하였고, 조선은 후금과의 공식적인 관계설정을 꺼려하였던 데다 맹약이 지니고 있는 구속력을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맹약의 체결을 최대한 회피하려 하였다. 하지만 결국 조선은 후금과 맹약을 체결하였고, 이후 병자호란 이전까지 조선의 대외관계는 정묘맹약으로 인해 상당히 제한되었다. 맹약으로 인해 後顧之患을 덜 수 있었던 후금은 본격적인 대명 정복전쟁을 시작하였고, 인조정권은 權道를 행했다는 내부의 비판과 함께 再造之恩을 잊고 후금과 교류하였다는 이유로 명나라의 비난 또한 감수해야 했다. 그뿐 아니라 조선은 후금에 많은 경제적 지원을 하게 되었으며,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는 조선이 정묘맹약을 저버렸다는 이유를 조선침략의 주요 명분으로 선전하였다. 조선은 정묘맹약을 어디까지나 羈縻政策의 일환으로 포장하려 했으나, 정묘맹약으로 인해 국제무대에서 실질적으로 ‘재갈’이 채워진 쪽은 오히려 조선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보았을 때, 정묘호란 이후 병자호란 이전까지 조선과 후금의 관계를 규정한 ‘맹약’은 단순한 겉치레가 아니라 보다 실질적인 구속력을 지닌 의례의 일종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百濟 官北里 百濟遺跡의 性格과 時間的 位置 -2008년 조사구역을 중심으로-

        남호현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0 百濟硏究 Vol.51 No.-

        Gawnbukli Baekje remains were divided into up and down of two life aspects on the boundary of the large embankment land of Sabi, and such land creation was related to expansion or redevelopment of the area around the palace. The study on ‘Ba’ district in Gawnbukli showed a low was reclaimed to expand the palace area, and the embankment and a wall in the end of reclaimed land made in a lot seemed to estimate that this area was the northwest boundary of the palace. Regarding the first life aspect and relevant remains in the reclaimed land, ‘folding and reversal-pattern roofing tiles’, which were considered as the major chronologically recorded materials about land creation of the area, were collected a lot. The fact that the same type of roofing tiles were collected indicates that the land creation work of the area was made in a certain range of time, but it still needs to review the existing chronological recording that uses roofing tile patterns. Considering the period with ceramic pieces or Jijimyung(foundation stone) Injangwa(roof tiles marked with a seal) of Namjo, China collected remains of the first embankment stage, the first land creation period seems to be hard to trace back to the fourth quarter in the 6th century and its lowest limit is the first quarter in the 7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a low in the ‘Ba’ district is considered as the part of embankment construction that was extensively made in the area in the fourth quarter in the 6th century, but it seems that ‘Ba’ district before embankment construction was almost left alone. According to changes in facilities in Gawnbukli, the current area seems to be transferred to the palace area in earnest after the first quarter in the 7th century, which shows the high possibility of relations with a series of redevelopment of the palace. 관북리 백제 유적은 사비기에 조성된 대규모의 성토대지를 경계로 크게 상하 두 개의 생활면으로 구분되며 이와 같은 대지조성 양상은 왕궁중심영역의 확대 내지는 재정비와 연관지어 해석되고 있다. 관북리 바지구 조사에서는 저습지를 메워 생활공간을 확대해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저습지에 조성된 매축지의 끝에서 축대와 담장렬이 발견됨에 따라 이 지역을 왕궁의 북서편 경계로 추정할 수 있게 되었다. 매축지내 1차 생활면 및 관련유구에서는 이 일대의 대지 조성시기에 대한 주요 편년자료로서 인식되고 있는 ‘꺾임반전형 수막새’가 다수 수습되어 주목되는데 동일 형식의 수막새가 일괄수습 되었다는 것은 이 일대의 대지 조성 작업이 일정한 시간적 범위내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이해되나 수막새 문양형식을 이용한 기존의 편년 방법은 아직 재검토할 여지가 있다. 1차 성토 단계의 유구에서 수습된 중국 남조의 자기편이나 지지명 인장와의 연대로 미루어 볼 때 최초의 대지조성시점이 6세기 4/4분기 이상 올라가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며 그 하한은 7세기 1/4분기 전반대로 비정된다. 바지구의 저습지 개발은 6세기 4/4분기경 이 일대에서 대대적으로 이루어진 성토공사의 일환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성토공사 이전의 바지구 일대는 거의 방치된 지역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관북리 일대 시설물들의 변화양상으로 미루어 볼 때 현 지역은 7세기 1/4분기 이후에야 본격적인 왕궁 영역에 편입되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양상은 사료에서 확인되는 일련의 왕궁 재정비 모습과 연관될 가능성이 높다.

      • KCI등재

        백제 사비기 지방통치거점의 복원을 위한 예비작업 –고고자료와 전통경제권의 비교를 통한 해석 모델의 검토–

        남호현 한국상고사학회 2010 한국상고사학보 Vol.69 No.-

        The local ruling system in the Sabi era of Baekje is named Ohbangje(五方制) and implies the existence of the ruling base that might be located outside a capital. The ruling base might serve as an administrative and military center as well as a place of tax. Therefore, the location of the ruling base was probably decided by considering not only strategic elements but also the local unit with concentration of human resources and goods. In the ancient society with slow technical development, overpopulated area like a settlement and the location of a traffic route seems to be traditionally handed down. It seems possible to restore economy of Baekje up to the meaningful level by reviewing periodic markets of Joseon Dynasty that serve as a trade base in the specific region under such a premise as well as their network. Meanwhile, small and large ancient tombs are densely distributed around Buyeo–eup where capital Sabi was located, and among them ‘cross sectional hexagon Nengsanli type stone tombs’are consistently found. Nengsanli type stone tombs are known it was controlled by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process of its planning and constriction, and comparatively strict standardization was made in terms of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tomb. However, elaboration made in the construction is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damage of stone materials used as members of tombs and attached facilities. The difference in construction elaboration r among tombs with the same type might be from the difference in social status of the dead person. If a dead person of the Nengsanli type stone tomb is considered as a local official or a bureaucratized local politician dispatch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of Baekje, the hierarchy of tombs should be compared to the political and social status of the relevant area. From this perspective, the approach to compare the traditional economy region expressed as periodic markets with the hierarchy of tombs in the relevant area is required for the advanced discuss on the restoration of the local ruling base in the Sabi Era of Baekje. 백제 사비기의 지방통치제도는 五方制로 지칭되며 도성 외부에 존재했을 통치거점의 존재를 암시하고 있다. 이러한 통치거점은 행정·군사적 중심지뿐만 아니라 조세 수취처로서도 기능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통치 거점의 위치는 전략적인 요소 뿐만 아니라 인력 및 물자의 집중이 이루어졌던 지역 단위를 고려하여 결정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기술적 발전이 더뎠던 고대 사회에서 취락같은 인구 밀집 지역과 교통로의 입지는 다분히 전통 계승적이었을 것이다. 이러한 전제하에 특정 권역내의 교역거점으로 기능했던 조선시대의 정기시들과 이들이 구성하고 있던 네트워크를 검토함으로서 백제 시대 당시의 경제권을 의미있는 수준으로 복원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사비도성이 위치하고 있던 부여읍 주변에는 크고 작은 고분군들이 밀집하여 분포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단면 육각형을 띄는 소위‘능산리형 석실분’의 존재가 일정하게 확인된다. 능산리형 석실분은 설계 및 축조 과정에 중앙 정부의 통제가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무덤의 구조나 규모에 있어 비교적 엄격한 규격화가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고분의 부재로 사용된 석재들의 치석 정도 및 부속시설의 존재여부에 따라 축조에 투여된 공력에 차이가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일형식의 고분간에 축조 공력의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은 결국 피장자의 사회적 위상 차이에서 기인했을 가능성이 높다. 능산리형 석실분의 피장자를 백제 중앙정부에서 파견한 지방관이나 관료화된 토착세력으로 파악하는 것이 허락된다면 고분의 위계는 당연히 해당 지역의 정치·사회적인 위상과 비교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기시로 표현되는 전통 경제권의 위상과 해당지역 고분군의 위계 정도를 비교할 수 있는 접근 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면 백제 사비기의 지방통치거점을 복원하는데 있어 보다 진전된 논의가 가능해질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Microscopic Study of Defects in Perovskite Oxide

        남호현,박철홍 한국물리학회 2005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47 No.2

        Through first-principles pseudopotential total-energy calculations, we investigate the formation energetics and the electronic structures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native defects available in LiNbO3. We found that the formation enthalpies of Li-vacancy and Nb-antisite defects where lower compared to other defects. We examined the detailed electronic structures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Nb-antisite. We identified a large Jahn-Teller distortion of Nb-antisite that can be induced by light illumination, by which the electronic structure is also remarkably changed. We discuss the role of the bistability of Nb-antisite in the hotorefractivity.

      • KCI등재

        18세기 조선의 위기의식과 海防 논의의 양상

        남호현 조선시대사학회 2018 朝鮮時代史學報 Vol.- No.87

        This paper explores a trend of haebang (Sea Defence, 海防) discuss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examines the sense of ‘crisis’ shared among Koreans in the 18th century. The term ‘haebang’ has been used since as early as during the Imjin War (1592-1597). While the narrow meaning of the term ‘haebang’ refers to the specifics of Joseon’s coastal defence policy, its broad meaning is the national strategy itself, which assumed the existence of various enemies that Koreans believed would invade Korea through the sea. Discussions regarding ‘haebang’ generally continued throughout the late Joseon period. But the ‘haebang’ in the broad sense, which assumed potential massive invasions of external forces, is a useful clue through which we can look into the Koreans’ perception of international affairs in the 18th century. The 18th century ‘haebang’ discussion took the form of a series of concrete responses to the real threats from the external forces (Qing China, Japan, pirates, etc.)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However, during King Yeongjo and Jeongjo era, Korean intellectuals assumed more abstract external forces such as Chinese ships called Hwangdangseon (荒唐船) and the group of traitors hidden in the isolated island, and invoked several historical cases in order to persuade the necessity of haebang. These facts show that in the reality of the 18th century Joseon Dynasty, which suffered only a few actual invasions, the sense of crisis was largely shared among the Koreans. The sense of crisis provided the latitude for the Koreans to maintain the defense of the sea, despite the lack of the crisis' reality. It also provided the intellectual foundation for a full-fledged discussion of haebang in the 19th century, when the Western invasion of East Asia became the reality. 이 글은 조선후기에 이루어진 海防 논의의 추이를 살피고, 특히 18세기 조선의 해방 논의의 양상을 통해 18세기 조선인 사이에서 공유된 ‘위기의식’의 단면을 고찰한다. ‘해방’이라는 용어는 임진전쟁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때의 해방 개념은 조선 조정의 해안 방어 정책의 구체적 내용을 가리키는 좁은 의미의 해방과, 조선인들이 바다를 통해 침입해 올 여러 적들의 존재를 상정하고, 이에 대비한 국가적 차원의 전략을 제시하는 넓은 의미의 해방으로 크게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해방과 관련된 논의는 조선후기 내내 대체로 끊임없이 이어졌다. 그런데 외부 세력의 대규모 침입을 가정한 넓은 의미의 해방 논의는 18세기라는 특정 시기에 집중되어 나타난다는 점에서, 당시 조선인들의 국제정세 인식의 단면을 보여주는 유용한 실마리가 된다. 이러한 18세기의 해방 논의는 숙종 대에는 대체로 실질적인 외부 세력(청나라, 대만, 일본, 해적 등)의 침입을 가정하여 비교적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논의한 반면, 영․정조 대에는 보다 추상적인 외부 세력(황당선, 해도에 은거한 역도의 무리 등)을 가정한 가운데 역사적 사례를 통해 해방의 ‘당위성’을 강조하는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사실은 실질적인 외침이 거의 발생하지 않은 18세기 조선의 현실에서, 조선인들 사이에 지속적으로 외부세력의 침입에 대한 일정한 ‘위기의식’이 공유되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조선인들이 공유한 위기의식은 그들이 상정한 위기의 실재 여부와는 관련 없이, 조선인들이 바다의 방어를 지속해야 할 당위성을 제공해 주었으며, 이후 서세동점이 본격화하기 시작한 19세기에 본격적인 해방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었던 지성사적 토대를 제공해 주었다.

      • KCI등재

        광양 용암세장의 건축적 가치

        남호현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7 南道文化硏究 Vol.0 No.32

        광양 용암세장은 광양시 진월면 차사리에 있는 근대 한옥으로, 안채와 사랑채의 건립 연대는 1929년이다. 용암세장의 여러 건물 중에서도 특히 안채와 사랑채는 근대 시기에 지어진 전통 한옥의 특징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겹집의 평면 유형과 같이 배면의 툇간의 폭을 1칸 규모로 하여 생활에 편리하도록 내부 공간을 확장하여 사용하였다. 수납공간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안채에서는 다락인 큰 규 모의 더그매 공간을 사용하여 안채 살림에 주요 물품을 보관했고, 사랑채에서는 서측에 있는 칸 전체를 모두 수납공간으로 활용했다. 고급주택으로서의 격조 높은 공간 구성을 위하여 각종 건축 구성을 의장성이 높은 부재로 장식하였다. 집의 내부를 훤히 들여다 볼 수 없도록 가름벽을 조성하여 공간의 구분과 함께 여성들의 공간을 지켜 유교적 생활 규범을 준수하려는 의지를 반영하였다. 이와 같은 건축적 의의를 통하여 용암세장은 후 손들에게 온전한 건축유산으로 남겨야 할 것이다. Yongamsejang in Gwangyang is the modern house is built in 1929. The building has a very high academic value because it retains the characteristics of a traditional Hanok built in modern times. Like the plan type of the Gyeopjip (double axis space), the width of the ToaetGan (half bay) of the back side is set to one bay, and the internal space is expanded so as to be convenient for living. By actively utilizing storage space, in the main building items are kept in the attic. All extra space on the west side of the other building is used as storage space. In order to construct high-quality space as high-class housing, various architectural structures were designed by high quality members. In order to prevent the inside of the house from being overlooked, a wall was created for keeping the women’s space and observing Confucian living standards. Through such architectural significance, Yongamsejang is a complete architectural heritage left for the descend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