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F]FDG PET을 이용한 강박증 환자에서 뇌 포도당 대사의 이상에 관한 연구

        권준수,이동우,이재성,최정임,이동수,정준기,조맹제,이명철,류인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2

        연구목적: 강박증에 대한 기능적 뇌영상 연구들에서 강박증 환자들의 안와전두엽과 미상핵의 대사율 증가 소견이 비교적 일과되게 발표되어 왔으며, 전두-피질하 회로의 이상이라는 이론이 수립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강박증의 유병기간에 따른 구분없이 시행된 연구였고, 영상분석 방법에 있어서도 관심영역 방법을 이용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강박증의 유병기간에 따라 환자군을 구분하여 PET 영상소견을 분석함으로써 유병 기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으며, 둘째, 강바증 환자의 포도당 양전자방출 단층촬영(18-Fluor-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FDG-PET) 영상분석에 통계적 매개변수 지도법(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 SPM)을 이용함으로써 강박증의 병인기전 및 강박증상과 뇌기능 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구조적 면담도구(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 SCID-IV)를 적용하여 진단된 12명의 강박증 환자들과 10명의 정상 대조군에 대해 FDG-PET을 촬영하여 SPM으로 분석하였다. PET 촬영 전 적어도 4주 동안에는 약물복용을 하지 않은 상태였다. 결과: 1) 환자군과 대조군의 비교 : 강박증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양측 두정 영역의 대사율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으며(P<0.01). 대사증가를 보인 영역은 없었다. 강박증의 유병기간이 10년 이상인 만성강박증 환자 4명은 양측 안와전두엽에서 유의한 대사증가 소견을 보였으며(P<0.01), 양측 두정영역에서 유의한 대사감소 소견을 보였다 (P<0.01), 유병기간이 10년 이하인 환자에서는 전체 환자군의 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대사증가 소견을 보인 영역은 없었으며, 양측 두정엽 부위에서 유 의한 대사 감소 소견을 보였다.(P<0.01). 2) 강박증상의 심각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 우측 두정엽의 대사율은 강박장애 척도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1), 양측 시상 영역의 대사율은 예일-브라운 강박장애 척도의 강박장애척도 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고된 안와전두엽의 대사 증가 소견이 강박증의 만성화로 인해 나타나는 2차적 장애이며, 두정엽의 대사 저하가 보다 1차적인 장애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Baxter가 수립한 전두-피질하 회로 이론은 두정엽의 이상을 포함하는 전두-두정엽 복합체 이론으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Functional imaging studies o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subjects have repeatedly reported increased metabolism in orbitofrontal lobes and caudate nucleus, resulting in the "frontal-subcortical" circuit abnormality theory.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to date include little consideration for the duration of illness, and the use of regions of interest methods, as an image analysis method. Our study objectives are 1) to include the duration of illness as an important study variable, and 2) to use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SPM) method in order to tap relations between the brain function and the psychopathology and symptoms of OCD. Methods: The [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FDG-PET) scans of OCD subjects and normal comparison subjects, as diagnosed by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SCID-IV), were analyzed using SPM. Results: 1) Comparison of OCD and control groups : OCD subjects had significantly decreased metabolism in both parietal lobes and didn't have any areas of increased metabolism in comparison to comparison subjects(p.<0.01). four OCD subjects with the illness duration of 10 years or longer, had significantly increased metabolism in both orbitofrontal lobes<p<0.01). OCD subjects whose illness duration is shorter than 10 years didn't have any areas of increased metabolism and had significantly decreased parietal lobe metabolism, as in the analyses of all subjects(p<0.01). 2)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reas and symptom severity : Metabolism of both thalamic srea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Y-BOCS) scores(p<0.01). Metabolism of right parietal area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 lation with Y-BOCS scores(p<0.01). Conclusions: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increased metabolism in orbitofrontal lobe, previously rported, may be a secondary phenomenon due to the extended illness dur- ation and that decreased metabolism in the parietal lobes are primary abnormality in OCD subjects. Thus Baxter's fronto-subcortical circuit theory should be extended into "fronto-pari-etal" complex theory, which includes the parietal lobes.

      • KCI등재

        Folie a Deux : FOLIE A DEUX IN FRATERNAL TWINS

        이정균,이기황,남명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68 신경정신의학 Vol.7 No.1

        The authors analyzed dynamically and discussed a case of folie a deux manifested as paranoid schizophrenic reaction in fraternal twins. The lives of the twins are just like that of a person. They have never seperated through their lives. They had lain in the mother's womb together, slept under a coverlet, sat side by side in the school and always went around everywhere in pairs. They have hardly had any intimate friends or neighbors, and even when they had a friend, he was not the friend of a twin but of both. It appears that they formed a microsociety, in which close association and free activity occurred sharing their thinkings, feelings, interests, apprehensions and hopes. Through such a life it is expected that they could not grow up independent personalities an their egos could not be differentiated to each individual. And it is probable that the two undifferentiated egos become a whole one and gain safety and satisfaction by their union. It will be very natural that the thought of one partner is transferred to the other through the symbiosis of personality. Most authors emphasize the dominant-submissiv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mary patient and the secondary partner, but we think it is not inevitable in folie a deux. The long intimate association of partners isolated from the society will promote to form the morbid personality structure that is the soil in which delusions may be sown and flourish.

      • 캐티온화제 처리에 의한 폴리에스테르/셀룰로오스 혼방직물의 일욕염색

        이정민,김명균 忠南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8 산업기술연구논문집 Vol.13 No.2

        The polyester/celluose blend fabrics were treated with cationic agent such as 3-chloro-2-hydroxy prop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dimer in presence of sodium hydroxide and their dyeing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Cationized polyester/cellulose blend fabric with 20 g/l cationic agent showed 99% dye exhaustion and good fixation under neutral pH condition. The wash and light fastness of cationized polyester/celluose blend fabricy by one bath dyeing method disperse/reactive dyes was grade 3~4.

      • 참외를 이용한 각종 절임식품의 품질

        이명희,오영애,노홍균,김순동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 1992 식품과학지 Vol.4 No.-

        생과로서 부적합한 미숙과 및 잉여분의 참외를 이용하여 절임식품을 개발코자 여러가지 절임액을 이용한 참외절임을 제조함과 동시에 절임과정중 성분 및 색상변화와 저장성을 검토하였다. 10일간 1차 소금절임(15%) 과정중 중량은 16%정도 감소되었으며, pH는 5.7에서 4.7로, vitamin C 함량은 20%가 손실되었다. 또 chlorophyll 함량은 35% 감소되었고 색상 L^(*)값은 6% 감소, a^(*)값은 17% 증가, b^(*)값은 7%가 감소되었다. 2차 절임시의 중량은 된장과 간장절임에서 약 8%의 감소가 있었다. pH는 간장, 된장에서는 큰 변화없이 유지되었으나 술지게미와 조미액은 pH 4.7에서 3.8로, 식초절임의 경우는 3.0으로 감소하였다. Vitamin C의 경우는 2차 절임후기에 약간의 증가현상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간장의 경우는 현저한 증가가 있었다. Chlorophyll은 모든 절임이 절임기간동안 계속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술지게미와 식초절임에서 감소율이 가장 컸다. L^(*)값은 감소현상을 나타냈고 그중 간장의 감소율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a^(*)값은 증가하는 경향으로 간장이 가장 높고 된장이 그 다음으로 높게 변화되었다. b^(*)값은 감소현상을 보였으며 간장의 감소가 가장 컸다. 15% 소금용액으로 10일간 절임한 후 각종 조미액으로 10일간 2차 절임한 결과 된장, 조미액, 간장, 식초절임의 품질은 제각기 기호성을 갖는 특성있는 절임이었으나 술지게미절임의 경우 숙성중 심하게 연화되어 앞으로의 연구가 요망되었다. 포장방법과 포장재료에 따른 저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0일간 20% 소금절임한 참외를 polyvinyl, polypropyene, polystylene film을 사용하여 각각 가열접착포장, 질소충진포장, 진공포장하여 20℃에서 저장한 결과 polystylene으로 진공포장했을 경우 부패율, 연화정도, 조위상태등에서 품질이 가장 양호하였다. 그러나 제염방법과 제염후의 2차 절임과정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2차절임을 끝낸 각종절임류를 polystylene film으로 진공포장한 후 4℃와 20℃에서 각각 25일간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 pH 변화는 20℃에서 저장한 경우 약간의 감소 현상을 보였다. Vitamin C 함량은 20℃에서 저장시 4℃에서 저장했을때 보다 함량의 손실이 컸다. Chlorophyll 함량은 4℃에서의 경우 전반적으로 25-30%의 감소를 보였고 20℃에서는 30%의 감소를 보였다. 색상 L^(*)값과 b^(*)값은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 관계없이 큰 변화는 없었다. a^(*)값은 4℃에서 저장시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20℃ 저장의 경우 평균 25%정도의 증가를 보였다. 2차절임한 참외의 4℃에서 50일간 저장중 경도변화는 저장 10일까지는 약간 증가하다가 그 후 간장, 된다, 조미액절임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식초, 술지게미절임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Considerable amounts of unripened and excessively produced oriental melon are discarded yearly from the rural vinylhouse. This investigation involved utilization of waste oriental melon to produce the pickles, and to study quality changes of the pickles during soaking and fermentation, and storage. During the 1st soaking and fermentation of the oriental melon in 15% brine solution for 10 days, weight, pH, vitamin C and chlorophyll content, color L^(*) and b^(*) value decreased, but a^(*) value increased. During the 2nd soaking and fermentation in various soaking materials for another 10 days, a similar trend in the quality change was observed as in the 1st soaking and fermentation except the followings. Vitamin C content and a^(*) value of the pickles, especial ly the one soaked and fermented in soysauce significantly increased. Results of sensory quality of the final products showed that each pickle has its own characteristic quality property. However, the pickle fermented in lees of refined rice wine was evaluated as too softening. In a storage study of the pickle, fermented in 20% brine solution and packed by various packing methods (sealing, nitrogen and vacuum-package) and packing materials (polyvinyl, polypropylene and polystylene), the vacuum-packed pickle into a polystylene bag showed the best storage stability in terms of the sensory qual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Success Factors for Capacity Building Activities

        Lee Myung-Kyoon 한국에너지기후변화학회 2010 에너지기후변화학회지 Vol.5 No.2

        The 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is expected to provide huge opportunities for developing countries to attract investment and transfer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ies from industrialized countries. To make it happen, what is required is the development of institutional capacity and human resource capabilities in those developing countries willing to participatein the CDM process. At the same time, the efforts need to be consistent with the national goals and priorit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an efficient implementation of capacity building programme, the stakeholders have to play their own roles and interact complementari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