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여성의 인권 : 실태와 요인

        심영희(Young-Hee Shim)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6 아시아여성연구 Vol.45 No.2

        본 글에서 필자는 북한여성의 인권 실태를 조명하려고 했고 이를 위해 두 가지 질문을 했다. 첫째, 기근 이후 여성인권의 상황은 어떠한가, 그리고 여성들은 여성이기 때문에 차별받고 있는가? 둘째, 여성의 인권 실태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은 무엇인가? 특히 남녀평등을 강조하고 있는 사회주의에서 여성인권 문제가 발생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와 관련하여 여성정책의 요인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첫 번째 질문에 대하여 여성인권의 네 영역에서 탐색되었다. 양성평등의 법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여성은 생존권, 경제활동권, 가족에 대한 권리에 있어서 차별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매매의 금지에도 불구하고 기근 이후 성매매는 북한에서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식량난 이후에 발생한 것이라기보다 그 이전부터 있던 것이 식량난 이후 확산되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질문, 즉 북한여성의 인권 침해의 요인에 관하여 북한의 여성정책과 여성운동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여성관련 법들에 제정된 형식적 평등에도 불구하고 실제에 있어서 괴리가 있으며, 이는 가부장적 사회주의의 실제 여성정책의 성격에 따른 성차별과 관련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북한에서는 독자적인 여성운동과 여성주의 의식이 아직 미발달하였음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북한에서 여성의 인권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근본적으로 중요한 두 가지 조치를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I tried to illuminate the reality of women’s human rights in NK and asked two questions: first, what is the situation of women’s human rights since the famine, and whether they have been discriminated against because they are women, and second, what are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More specifically, in NK where as a socialist country sex equality is emphasized, what are the effects of women’s policy? And based on this I tried to suggest what kinds of measures are available and desirable. As to the first question, answers were explored in four aspects of women’s human rights. And it was found that despite the laws of gender equality, women in NK are discriminated against in the right to life, economic activity, and the family among both the NK women in NK. And despite the forbidding of sexual trafficking by law, sexual trafficking has rapidly increased among the NK women since the famine. As to the second question, i.e., as to the influencing factors of violations of women’s human rights in NK, problems in women’s policy and women’s movement were discussed: With regard to women’s policy, the discrepancy between law and reality was pointed out and this was due to the patriarchal socialism of women’s policy of NK. With regard to women’s movement, there has not yet developed an autonomous women’s movement and feminist consciousness and discourse. Based on these discussions I suggested two measures to improve women's human rights in North Korea.

      • KCI등재후보

        임신·출산권에 관한 소고

        김채윤,김용화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영남법학 Vol.0 No.45

        The experience of pregnancy and delivery should be respected as a unique experience based on women’s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lso as women’s rights. However, women’s pregnancy and delivery have been restricted or been considered as women’s obligation for the purpose of public interest such as preserving families and have limited women’s social status within the boundary of their families. In particular, there is a strong ethical notion in Korea that it is women’s obligation to get pregnant and to deliver a child due to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Confucianism. If a country puts only ethical oblig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to women excluding women’s autonomy on pregnancy and delivery, it is clearly a sexual discrimination against them and it cannot be justified. Women's rights on pregnancy and delivery, which are not only women's rights but fundamental rights of a person, should be guaranteed as one of the self-determinative rights described i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Women's rights regarding pregnancy and delivery also include the active and passive rights of women's rights regarding the subject matter such as: 1) the right to use contraception; 2) the right to get pregnant; 3) the right to terminate one’s pregnancy; and, 4) the right to deliver a child. Guaranteeing the rights to pregnancy and delivery as women's rights ultimately promotes gender equality. Further, it allows to recover women's autonomy on the existing legislative policies regarding women's pregnancy and delivery and to approach this matter from a new point of view. Women’s pregnancy and delivery are unique experiences based on women’s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y should be respected and protected as parts of women themselves. Only when the change of recognition and social acceptance take place, the gender equality can be achieved ultimately. Thus, in order to ensure women’s self-determinative rights on pregnancy and delivery mentioned in the above, it is essential to provide the legal basis for women’s pregnancy and delivery and execute rational legislative policies regarding women’s pregnancy and delivery accordingly. 여성의 임신·출산 경험은 생물학적 특성에서 기인하는 특수한 경험이자, 개인의 인권으로 존중되어야 한다. 그러나 여성의 임신·출산은 종의 영속이라는 공익을 위하여 제한되거나 의무화됨으로써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가정 내 한정시켜왔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적인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가문을 위한 여성의 임신·출산 의무와 그 도덕적 당위성을 강하게 나타냈다. 임신·출산은 여성의 생물학적 특성에 따른 경험으로, 이는 여성과 남성의 생물학적 차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접근방식이 필요하다. 공익만을 위하여 임신·출산에 대한 여성의 자율성을 배제한 채 도덕적 의무와 사회적 책임만을 부여한다면, 이는 성(性)에 근거한 차별이며 정당화 될 수 없다. 여성인권이자 기본권으로서 임신·출산권이란,「헌법」제10조 자기결정권의 하나로 보장되어야 한다.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자기결정권에 여성만의 특수한 경험인 임신·출산에 대한 결정권까지 그 내용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임신·출산권은 피임권, 임신권, 임신중단권(낙태권), 출산권 등 적극적·소극적 권리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여성 인권으로서 임신·출산권을 보장하는 것은 궁극적인 성평등 실현 도모이자 기존 임신·출산 관련 입법정책에 대한 여성의 자율성 회복 및 새로운 시각에서의 접근을 통한 해결을 가능하게 한다. 여성의 임신·출산은 여성 고유의 생물학적 특성에 기인한 경험이자 여성 자아의 일부로써 존중되고 보호되어야 한다. 이는 여성에 대한 차별의 근거가 아닌, 여성과 남성의 근본적 차이이며 이에 대한 인식 변화와 사회적 수용이 이루어질 때 궁극적인 성평등 실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임신·출산에서 여성의 자기결정권 보장을 위하여 임신·출산권의 법적 수용 근거를 마련하고, 보다 합리적인 임신·출산 입법정책을 구현해야 한다.

      • 제3장: 국제 여성인권운동과 여성인권의 지역적 실천

        허민숙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13 세계정치 Vol.19 No.-

        여성인권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당위가 상승하고 있는 시점은, 무엇이 여성인권이며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의 확장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이 글은 국제사회에서의 보편인권담론의확산 과정에 대한 페미니스트 개입과 비판, 바로 그 지점에서의 국제 여성인권운동의 성장과 발전 과정을 추적하고, 여성인권 담론 실천의 문제를 조명한다. 국제 여성인권운동의 역사, 그로부터 구축된 여성인권담론의원칙과 기중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인식을 바탕으로 지역에서의 여성인권 실천의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고 보기 대문이다. 여성인권을 둘러싼 여러 논쟁들은 이제 인권이라는 개념이 특정한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 침투되어 그 사회의 공유된 개념으로 정착되어야 한다는 여성인권의 토착화 논의로 수렴되고 있다. 이 지형에서, 여성인권의 지역적 실천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a feminist intervention in the construc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system with the question of how global women`s human rights movements and the discourse of women`s human rights have been developed and flourish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it is important for women in their situated locations to specify the ways in which women`s human rights can be guaranted and protected, this paper shows the historical trajectory of the global women`s human rights movement and the discourse of women`s human rights. Because of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discussions surrounding the practice of women`s human rights, the notion of vernacularization of women`s human rights has been at the center of feminist inquiry. ln this vein, this paper sheds lights on a significant contextual factor that made it possible for lo-cally situated women to appropriate and apply a universal women`s human rights framework.

      • KCI등재후보

        북한의 여성권리보장법에 투영된 북한 민법의 특징과 평가

        김영규 법무부 2021 統一과 法律 Vol.0 No.47

        This paper examines the legal natures, basic principles, and civil regulations of Women's Rights Protection Act of North Korea. And then, it evaluates the traits of North Korea's Civil Law in reflection to Women's Rights Protection Act of North Korea, and suggests what the acceptability and limitations are in the integration of civil law between the two Koreas. In December 2010, North Korea enacted the Women's Rights Protection Act with the aim of ensuring women's human rights in all fields. North Korea's Women's Rights Protection Act contains related regulations that reflect the original civil regulations as they are: Chapter 5 ‘human body and property rights' and Chapter 6 ‘Marriage’ and ‘family rights.' North Korea's Women's Rights Protection Act has the character of a special law in civil relations, and it has the traits of a public law in that it regulates women's rights in terms of a governing relationship, and it has characteristics as a human rights law in that it regulates human rights as a key point. North Korea's Women's Rights Protection Act stipulates gender equality, the collectivist principle, and the international law compliance as basic principles. The features of North Korea's Women's Rights Protection Act are the acceptance of practical civil law, the principle of gender equality and limitations as a formal legal principle, the duplicity of human rights and violations, the emphasis of collectivism and political instrumentation, and the deepening of the gap between law and reality. In the integration of civil law between the two Koreas, the Liberal Democratic Basic Order, the private autonomy, the principle of gender equality, and the principle of personality equality are values that cannot be abandoned. Therefore, in North Korea's Women's Rights Protection Act, the provisions that deny or unreasonably restrict these principles above should be abolished. It is worth accepting for the integration of civil law between the two Koreas that North Korean Women's Rights Protection Act actively stipulates protection of personality right, prohibition of marital inequality and domestic violence in family life. 본 논문은 북한의 여성권리보장법의 성격과 기본원칙 및 민사규정을 살펴봄으로써 동법에 투영된 북한 민법의 특징을 평가하고, 이를 통하여 장차 이루어질 남북한의 민법 통합에 있어서 수용가능성과 한계가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있다. 북한은 2001년 2월 여성차별철폐협약에 가입하고, 2009년 11월 실시된 보편적 정례인권검토 이후 1차 보고서를 제출한 후인 2010년 12월 모든 분야에서 여성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목적 아래 여성권리보장법을 제정하였다. 북한의 여성권리보장법은 제5장(인신 및 재산적 권리)과 제6장(결혼, 가정의 권리)에서 인신의 불가침권(제37조), 건강, 생명의 불가침권(제38조), 여성 고유의 인격 및 명예존중(제41조), 상속에서의 남녀평등(제43조), 결혼, 가정에서 여성권리보장의 기본요구(제44조), 여성의 자유결혼권(제45조), 이혼시의 재산분할(제48조) 등 인격권과 재산권, 가족권과 상속권 등 기존 입법의 민사규정을 그대로 반영하는 규정들을 두고 있다. 북한의 여성권리보장법은 민사관계와 관련해서 북한법의 체계 중 일반법인 민법과 가족법 및 상속법에 대해 특별법적 성격을 띠고, 여성의 권리를 둘러싼 법률관계를 통치관계의 일환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공법의 성격을 가지며, 여성 관련 권리를 인권을 토대로 규율하는 점에서 인권법으로서의 특성을 띤다. 북한의 여성권리보장법은 그 해석 및 적용의 기본원칙으로서 남녀평등의 원칙, 집단주의원칙, 국제법 준수와 국제적 협력의 원칙 등을 명시하고 있다. 북한 여성권리보장법의 민사법적 특징으로는, 기존의 실질적 민법의 민사규정을 수용하고 있고, 남녀평등의 원칙의 중시와 형식적인 법 원리로서의 한계, 인격권 보호의 명시와 구체화, 민사적 권리로서의 인권보호와 인권침해의 이중성, 집단주의원칙의 중시와 정치의 도구화, 다수의 장식품적인 규정으로 인한 법과 현실의 괴리 심화 등을 들 수 있다. 남북한의 민법의 통합에 있어서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와 이를 민사관계에 반영한 사적 자치와 남녀평등의 원칙 및 법인격평등의 원칙은 양보할 수 없는 가치이다. 따라서 북한 여성권리보장법의 민사규정 중 사적 자치와 법인격평등의 원칙을 부정하거나 부당하게 제한하는 것으로서 집단주의원리를 명시하는 규정(제5조, 제7조), 사유재산권을 부정하는 전제 아래 생산수단이 아닌 소비자료를 전제로 한 개인소유권에 대한 재산분할을 규율하는 규정(제42조), 협의상 이혼을 부정하고 재판상 이혼을 전제로 하는 규정(제47조)과 민법이론 전반에서 주체사상을 반영하여 정치적 도구로 다루는 점 등은 남북한 민법의 통합에서 수용의 한계로서 폐기되어야 한다. 또 북한 여성권리보장법(제49조 제2항)이 친권자와 후견인을 혼동하여 잘못 명시하는 규정에 대하여는 이를 배제하는 입법조치를 해야 할 것이다. 다만 북한 여성권리보장법(제37조, 제38조, 제41조, 제43조, 제44조)이 적극적으로 인격권의 보호를 명시하고 있는 점, 가정생활에서 부부가 똑같은 권리를 가짐을 명시하고 있는 점, 가정폭행의 금지를 명시하는 점 등은 우리 민법 내지 남북한 민법 통합에 있어서 그 수용을 검토할 가치가 있다.

      • KCI등재

        여성인권의 딜레마

        김희강(Hee-Kang Kim) 한국정치학회 2009 한국정치학회보 Vol.43 No.4

        여성인권(women’s human rights)은 1990년대의 비엔나회의와 베이징대회를 필두로 국제사회의 핵심 담론과 페미니즘의 주요한 요구사항이 되었다. 이 두 대회를 통해 여성인권 논의는 여성의 지위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다고 하여 페미니즘 운동의 기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여성인권이 실제로 기적이라고 불릴 만큼의 성과를 얻었는지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시작한다. 논문은 여성인권의 딜레마에 초점을 맞추어 이 논의를 비판적으로 살펴본다. 여성에 대한 폭력으로 환원되는 여성인권 논의는 다음의 세 가지 전제에 기초한다 - 1)여성은 공통된 경험을 가진다 2)문화는 여성에게 나쁘다 3)여성은 인간이다. 이러한 전제는 여성들간의 차이와 다양성을 간과한다는 비판, 문화의 상호보완적이고 긍정적인 영향력을 묵인한다는 비판, 그리고 여성에 대한 폭력의 구조적이고 집단 관계적인 성격을 소홀히 한다는 비판의 대상이 된다. 논문에서는 각각의 전제와 이에 따른 비판을 보편과 차이의 딜레마, 젠더와 문화의 딜레마, 집단과 개인의 딜레마로 분석한다. 여성인권이 무비판적으로 수용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딜레마에 대한 해결에 앞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이러한 딜레마를 이해함으로써 앞으로의 여성인권 논의가 풀어야하는 숙제를 결론에서 간략히 함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the women’s human rights discourse in international feminist and human rights scholarship. In particular, it focuses on dilemmas that the discourse creates. Since the 1990s women’s human rights has become one of major demands of feminist and human rights activists as well as theorists. Significantly they have claimed that violence against women should be a core issue of women’s human rights violations. Thus it is generally considered that the idea of women’s human rights has contributed to revisiting and broadening a traditional concept of human rights to address various women’s issues including, importantly, that of violence against women. Although I do not intend to dismiss accomplishments that the women’s human rights discourse has brought to improve the status of women, in this paper, however, I critically assess the discourse by analyzing its underlying assumptions: a) women have shared experiences; b) culture is bad for women; and c) women are human beings. I argue that these assumptions of women’s human rights engender dilemmas of universality-difference, gender-culture, and group-individual, respectively.

      • 秋瑾의 反傳統思想과 女權運動

        김택중(Taek joong Kim)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논총 Vol.29 No.-

        추근은 20세기 초 중국의 저명한 여성계몽운동가, 혁명가, 사상가, 시인이다. 본문에서는 주로 추근의 반전통사상과 여권운동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본문은 머리말과 맺음말을 제외하고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에서는 추근의 반전통사상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첫째, 추근은 본래 남녀가 세상에 태어날 때 신체조건과 능력이 모두 동등하기 때문에 천부인권 역시 동등하다며 기존 중국사회의 뿌리 깊은 남존여비의식을 비판하였다. 둘째, 추근은 여성이 충분히 자유로운 혼인을 선택해야 부부가 사랑하며 가정이 화목하다면서 기존사회의 불합리한 혼인제도를 비판하였다. 셋째, 추근은 비과학적이고 비이성적이며 중국여성 굴종의 대표적인 상징인 전족관습에 대해 비판하였다. 제2장에서는 추근의 여권운동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첫째, 추근은 중국여성이 남편, 아들, 가족, 종가의 속박에서 벗어나 여성 스스로 자립할 것을 고취하였다. 둘째, 추근은 여성자립의 관건은 바로 교육에 있음을 깨닫고 남녀평등 교육의 확산과 여성교육 장려에 매진했다. 셋째, 추근은 여권신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사회를 개혁해야 한다며 사회개혁 추진에 앞장섰다. 총체적으로 볼 때, 20세기 초 중국에서 여성권리 문제는 여성뿐만 아니라 중국국가와 사회 전체의 가장 큰 주제이며 과제였다. 때문에 추근은 왜곡되고 위축된 여성권리를 되찾기 위해 남녀차별적인 기존의 사회제도, 사회의식, 사회관습 등 전통사상에 대해 신랄히 비판하였고, 여권신장을 위해 적극적인 계몽활동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는 사회개혁과 민주공화국 건립이 바로 여권신장의 지름길임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혁명 활동에 종사했다. 결과적으로 추근의 혁명 활동은 성공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혁명에 바친 그의 희생은 1911년 신해혁명을 통해 새로운 중화민국 건립의 밑거름이 되었다. 또한 추근이 일생동안 추진한 남존여비적인 전통사상 타파와 여권운동은 1910년대 크게 확산되는 신문화운동의 중심이 되었고, 아울러 후일 중국사회에 여권이 보장되고 남녀평등사회를 구현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추근의 반전통사상과 여권운동은 중국근현대사의 중요한 흐름인 신해혁명과 신문화운동 및 20세기 초 중국의 여성지위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Qiu Jin was an activist for the enlightenment of women, a revolutionist, a philosopher, and a poet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in China. I’ve mainly studied, through the text, her anti-traditional ideology and women's rights movement. This article consists of two major parts except the preface and the epilogue. In the first part, I analyzed Qiu Jin’s anti-traditional ideology. First of all, she gave criticism on the idea of predominance of men over women that had been deep-seated in Chinese society, by arguing that the natural rights of men and women are equal because everyone is born with same physical condition and ability. Second, she expressed her opinion that a harmonious family could be possible when a woman freely choose for marriage, criticizing the unreasonable marriage system of the society. Third, she also criticized the non-scientific and irrational foot-binding tradition, a typical symbol of submission of women. In the second part, I analyzed Qiu Jin’s women’s rights movement. First, she inspired women to be self-reliant by escaping from their husbands, sons, families, and the main houses of clans. Second, she realized that the key to the self-reliance of women could be found in education so strove for the spread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promotion of the women education. Third, realizing the importance of ultimate social reformation for the extension of women’s rights, she took the lead in a social reformation. On the whole,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in China, the matter of women’s rights was the largest subject and the biggest problem at the same time not only for the women but also for China and its society as a whole. Qiu Jin, therefore, criticized Chinese traditional ideologies as sexually discriminating social system of the society, social consciousness, social customs, etc. to regain the rights of women which was distorted and atrophied and, at last, positively dedicated herself to the revolutionary activities, recognizing that a social reformation and a democratic republic could be the most important key to promoting women’s rights. Consequently, her revolutionary activities were failed. The Republic of China, however, was founded through the Chinese Revolution (Xinhai Geming) in 1911 on the basis of her dedication to the revolution. The movements for the abolition of the idea of predominance of men over women and for women's rights which Qiu Jin had kept launching for a lifetime, also, became central to New Culture spread out widely in 1910s and it had influence on women’s rights to be guaranteed and the gender equality to be realized in Chinese society. Her anti-traditional ideology, therefore, was considered critical for understanding Chinese Revolution and New Culture which were important parts of the modern Chinese history and women’s position in Chinese society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 KCI등재

        유엔 여성차별철폐협약 이행보고서에 나타난 북한여성인권

        원재천,박소영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0 江原法學 Vol.61 No.-

        North Korea became a state party to the UN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CEDAW) on February, 2001. In 2016, North Korea submitted the 2nd, 3rd, and 4th state party’s combined to the UN CEDAW Committee. The CEDAW Committee reviewed North Korea and issued the concluding observation on 2017. The UN CEDAW is distinguished from other treaties since it is a representative treaty on the human rights of women. The CEDAW not only has demanded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in women’s rights and women’s lives, but also has concrete details that specify the areas wher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has persisted, and needed to be improve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integrated reports submitted by North Korea to the U.N. Committee of CEDAW, this study found that although the CEDAW has comprehensively reviewed current situation of women’s rights in North Korea, the committee overlooked essential factors that undermined the overall status of Human Rights of Women in North Korea. The factors include authoritarianism and patriarchy for the construction of a socialist state, which North Korea has long adher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first strategies and human rights, and Songbun Socio-Political Caste System. As a party to the U.N. CEDAW, this uniqueness, which hinders North Korea from complying with the convention, should not be condoned or exempted in implementing universal human rights standards because North Korea has the legal duty and obligation to make institutional and practical efforts to guarantee women’s rights. The U.N. Committee should continued to recommend that as a state party, North Korea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disseminating and educating the contents of the U.N.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Women’s Discrimination and laws related to women’s human rights among women, so that North Korean women themselves can develop an awareness of their rights and able to take an initiative to abolish discriminatory practice in North Korea in order to bring about meaningful improvement of women’s status in compliance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and standards. 북한은 2001년 2월 여성차별철폐협약의 당사국이 되었다. 이후 북한은 2002년부터 2015년까지의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 이행 사항을 다룬 제2ㆍ3ㆍ4차 통합보고서를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에 2016년에 제출하였으며 그 다음해에 위원회를 통해 검토 및 최종견해를 받았다. 유엔 여성차별철폐협약은 여성인권에 대한 대표적인 조약으로 여성인권과 여성의 삶 전반에서 차별철폐를 요구하는 포괄성을 가질 뿐 만 아니라 여성에 대한 차별이 지속되어 온 분야를 구체적으로 적시했다는 점에서 다른 조약과 구별 된다. 본 연구에서 북한이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에 제출한 제2ㆍ3ㆍ4차 통합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여성차별철폐협약이 북한여성인권의 현 상황을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지만 여성차별철폐위원회가 북한 여성인권 상황이 열악할 수밖에 없는 근본적 요인들을 간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요인으로는 북한이 오랫동안 고수해오던 사회주의 국가건설을 위한 권위주의와 가부장주의, 주체형 선군전략과 인권의 관계, 국가차원의 성분별 차별시스템이라는 특수성이 해당된다. 유엔여성차별철폐협약의 가입한 당사국으로써 북한은 여성인권 보장을 위해 제도적, 실천적 노력을 해야 하는 책무가 있으므로 협약을 준수하는 데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는 특수성은 보편적 인권실행에 있어서 타협하거나 면제할 부분이 아니다. 유엔여성차별철폐위원회는 북한 당사국이 유엔여성 차별철폐협약의 내용 및 여성인권 관련법제를 개선 및 교육하는 데 많은 관심을 가지도록 권고함으로써 북한 여성 스스로가 차별철폐의지를 갖고 보편적 인권 및 법적 지위 향상을 위한 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조선녀성』에 나타나는 남녀평등과 성 차별 및 여성의 권리 의식 연구

        김석향 ( Kim Seok Hyang ) 한국여성사학회 2005 여성과 역사 Vol.- No.3

        North Korean regime has argued that the North is a place where "gender equality is realized". However, many North Korean defectors believe that women are generally discriminated in the North.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North Korean official discourses, which explain how to realize gender equality in everyday life, might be one of the reasons behind this type of discrepancy. This study analyzes selected articles from 『Chosun Neosung』 (Korean Women), the only women`s magazine in North Korea. According to our analysis, initially, just after the division of 1945, the magazine was eager to argue that "gender equality" and/or ``women`s rights" had been realized in the North. At that early stage, this was presented as a result of the benevolent Soviet aid as well as of some other factors. Kim Il-sung`s leadership was shown as one such factors but clearly not as the only one. During the 1980s, however, the magazine began to argue that the only reasons why ``women`s rights" were realized in North Korea is the benign policies of the Kim family, i.e. Kim Il-sung, his first wife Kim Jung-suk, and their son Kim Jong-il. In the 1 990s, the concept of ``women`s right" has been replaced by that of ``women`s duty and their loyalty to the Kim family." After 2000, the magazine ceased to mention ``women`s rights" altogether and began to describe women`s enthusiastic and selfless work as a sign of their loyalty to the Kim family. In short, the study of the magazine articles demonstrates the gradual transformation of the North Korean official discourses in regard to the concepts of "gender equality" and ``women`s rights." This transformation shows what the regime expected from the women of North Korea at different stages of its history.

      • 1920-1930년대 한국교회의 여권의식과 성경해석

        홍인표(In-Pyo Hong) 한국기독교회사학회 2020 교회사학 Vol.15 No.1

        1934년 김춘배 목사는「기독신보」에 “사도 바울이 ‘여자는 조용하여라,’ ‘여자는 가르치지 말라’고 한 것은 ‘2천 년 전 한 지방교회의 교훈과 풍습’이요, ‘만고불변의 진리’가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당시 한국교회 최대 교단이었던 장로교단에서는 이것을 교회 안의 인권문제 혹은 평등 문제가 아닌 성경의 권위에 도전하는 문제로 받아들였다. 김양선은 이 사건을 같은 해 발생한 김영주 목사의 “창세기 모세 저작 부인 사건”과 함께 성경의 고등비평과 자유주의신학이 전교회적으로 문제화 된 최초의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이 사건이 지금까지 정통신학과 진보 · 자유주의신학의 대립에 기인한 것으로 이해되어왔다는 사실에서 볼 때, 그의 주장은 한국교회 전반에서 이견(異見) 없이 받아들여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연구자는 동의할 수 없다. 왜냐하면 1920-1930년대 한국교회에는 여권에 대한 진보적인 성경해석과 전통적인 성경해석이 혼재하였기 때문이다. 그러한 현상은 장로교단은 물론 감리교단과 성결교단을 포함하여 한국교회 전반을 아우른 것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한국교회 여권의식에 대한 전통적인 특성을 이른바 “근본주의적 성경 해석”에 기인한 것이었다고 보는 학자들이 적지 않다. 몇몇 여성학자들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서두에 언급한 여성에 대한 사도 바울의 언급을 여권에 대한 전통적 이해로 받아들인 당시 한국 장로교단의 태도를 근거로 그와 같이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자는 동의할 수 없다. 여기에는 두 가지 근거를 들 수 있다. 첫째, 구한말 초기 한국 기독교인들은 성경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는 근본주의적 성경 해석으로 한국 사회를 개혁하는 근거로 삼았기 때문이다. 둘째, 1920-1930년대 가장 보수적인 신학을 고수했던 평양신학교의 교수 선교사들 또한 성경을 근거로 여권에 대해 진보적인 견해를 피력했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1934년 김춘배 목사의 주장을 성경의 권위에 도전하는 문제로 받아들인 이들의 성경해석을 근본주의적 성경해석이 아닌 교리주의적 해석이라고 본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볼 때 1934년 김춘배 목사의 여권문제 제기에 대한 한국교회의 반응을 정통주의와 자유주의의 대립으로 볼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무교회주의자 가운데 하나였던 이찬갑이 「성서조선」에서 여권에 대한 매우 보수적인 견해를 언급했다는 사실 또한 1920-1930년대 한국교회의 여권의식에 대한 논쟁이 결코 신학적 정통주의와 자유주의의 대립에 기인한 것이 아님을 말해주고 있다. In 1934 Rev. Kim Chun-bae cited the sayings of St. Paul, in his article of the Christian Times, “A woman should learn in quietness,” and “not permit a woman to teach”(1Tim. 2:11). According to Rev., Kim, he asserted that such teaching of the apostle Paul had been very old-fashioned lesson and custom view of a local church in 2,000 years ago. The Presbyterian Church Association of Korea, the largest denomination, dealt with Kim’s indication as the challenge on the authority of the bible in not dealing with the issues of (women) human rights and equality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church. This incident has been understood as something originated from conflict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liberal theology. Based on it, his assertion seems to have been widely accepted by the Korean churches, with which the present contributor cannot agree. It is because there was a mixture of the progressive awareness of women s rights and conservativ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That was true to Korean churches in general including the Presbyterian, the Methodist, and the Holiness Church. Nevertheless, there are a great number of scholars who think that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women’s rights has been rooted in the Fundamentalistic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among whom there are a handful of female scholars representing. Their argument is founded on the contemporary tendency of Korean Presbyterian denomination that the teachings of Paul about women can be received as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women’s rights. The present contributor cannot agree with it either. My disagreement has two reasons as following: First, The early Korean Christians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took the Fundamentalistic and liter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for the foundation of social reform. Second, the missionary-professors of Pyong Yang Seminary with conservative theology in 1920-1930s maintained the progressive view on women’s rights based on scriptures. The present contributor regards the view of those who took the view of Rev. Kim Choon-Bae in 1934 as challenging the authority of the Scripture is the dogmatic interpretation not the Fundamentalistic one. In the light of this, it is known that the response of Korean churches toward the Rev. Kim’s questioning on women’s rights is not a conflict between conservatism and liberalism. Furthermore, that Lee Chan Gap was very conservative toward women’s rights in Sungseo-Chosun shows that the debate on the awareness of women’s rights of Korean churches in 1920-1930s was not from the conflict between theological conservatism and liberalism.

      • KCI등재

        북한의 여성관련 법제정을 통해 본 여성의 법적 지위의 변화 전망

        황의정,최대석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5 동북아법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최근 북한에서 제⋅개정된 법률에서의 여성관련 규정들을 분석하여 북한여성의 법적 지위 변화와 그 전망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1990년대 중반 경제위기 이후 북한은 사회변화 를 반영하여 1998년 헌법 개정을 시작으로 2000년대 들어 다수의 여성관련 법률들을 제⋅개정하 기 시작하였다. 사실 북한여성들은 식량난으로 인해 가족부양의 책임을 떠안게 되어 시장에서의 경제활동과 가정에서의 육아를 포함한 가사노동까지 책임져야 하는 이중부담을 겪어야 했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생계전선에서 인권침해까지도 감수해야 했다. 이들의 인권침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게 되어 국제사회는 여성인권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개선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이에 북한은 2001년 여성차별철폐협약에 가입, 2002년 국가보고서를 제출, 2010년 UN 여성차별철폐위원회의 권고를 일부 수용한 ‘여성권리보장법’을 제정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앞서 북한은 2004년 형법에 성매매 처벌규정을 신설, 2009년 북한헌법 최초 인권보장에 대한 명문규정을 신설하기도 하였다. 최근 북한 여성관련 법제도의 분석결과, 특히 여성권리보장법에서 북한여성의 법적 지위 변 화에 큰 영향을 끼치거나 향후 그러한 변화를 줄 수 있는 법적 근거들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의 몇 가지 의미 있는 전망을 내릴 수가 있다. 첫째, 북한여성의 정치 참여와 관련해서 이 법상 여성대의원의 비율제고 규정은 향후 각급 인민회의에서의 여성할당제 도입 또는 여성대표성 제고의 법적 근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북한여성의 공직 및 경제활동 참여와 관련해서 이 법은 국가기관에서의 여성채용 및 기관⋅ 기업소⋅단체의 여성간부 양성⋅선발 등에서의 여성차별금지 규정을 두고 있다. 이는 향후 북한여성들에게 공직참여 및 국가기관에서의 간부승진의 기회를 적극적으로 줄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가정폭력, 성매매, 성폭력 등 여성폭력행위를 포함한 각종 인권침해 금지와 관련해서 이 법은 상세규정들을 두어 북한여성의 인권을 폭넓게 보장하고 있 다. 이러한 규정들은 여성의 인신과 직접적 연관이 있는 규정들로 그간 제기되어 왔던 여성인권 침해를 개선할 법적 근거가 된다. 끝으로, 출산의 자유와 관련해서 이 법은 여성은 자녀를 출산 하거나 출산하지 않을 권리가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이는 법해석상 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법적 인정으로 볼 수 있어, 향후 북한여성의 재생산권 보장에 대한 법적 근거가 될 것으로 예상 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nge of women’s position and its prospects by analyzing women-related statutes legislated or amended recently in North Korea(NK hereafter). The food shortage beginning from the 1990s has made women’s shoulder doubly burdened with economic activity in the market as breadwinners for their families as well as domestic labor including child care. Moreover, their human rights have been violated in the process. As the human rights violations against North Korean women reached a serious level, the international society has been urging constantly to improve these human rights issues. As a result, NK joined the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2001, and submitted her report in 2002. In 2010, NK finally came to enact 'Women's Rights Protection Act' which includes some of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UN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Earlier, NK had established the clause of prostitution penalty in the Criminal Law in 2004, and for the first time established the provision as to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on the Constitution in 2009. By the result of analysis of recent NK women-related statutes, it is found that some legal grounds especially in Women's Rights Protection Act c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legal status of North Korean women or could contribute to a change of their future. The prospects of such change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North Korean women, the Act includes the provision on increasing percentage of women’s political representatives. It is expected to be a legal basis for introducing a quota system for women at all levels of the People's Assembly. Second, with regard to the participation of public and economic activities of North Korean women, the Act includes the provisions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employing in the national agencies and, selection of cadres in the institutions, enterprises and organizations. These can provide legal bases to actively give North Korean women more opportunities of public participation and promotion of cadres in the various institutions. Third, with regard to human rights violations including domestic violence, sexual violence, prostitution against North Korean women, there are detailed provisions to protect women's human rights in a broad range in this Act. These provisions are the legal bases to improve North Korean women’s human right issues that have been raised by international society constantly. Finally, with regard to the birth liberty of North Korean women, the Act includes the provision that women have a right to give birth to a child or not to give birth to. This Act recognizes women’s reproductive rights legally.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a legal basis for protecting North Korean women’s reproductive r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