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에서의 덕 윤리 적용 가능성 연구 : A. MacIntyre 덕 윤리에서 ‘실천’ 개념을 중심으로

        이지항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1 No.-

        This study attempts to approach sports from a ethical viewpoint, in keeping with the current trend of academic convergenc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ethical issues of sports typically brought up the several critical issues like biased judgment, drug use, beating and gender discrimination, and tried suggest ethical standards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s. However, it is often unclear to determine either ‘right' or 'wrong' without disputes. In particular,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oo much emphasis on the outcome of sports and disregards of the essence in sports, inevitably, results in ethical disputes among parties. Such situations, of course, are not limited to sports. Facing such incommensurable ethical judgements, A. MacIntyre proposes 'virtue ethics' as an alternative ethics applicable to sports. Based on MacIntyre's virtue ethics, sport science researchers like P. Arnold has also proposes a new sports ethics. When compared to the 'act-centered’ ethics, Virtue ethics are 'agent-oriented' approach of ethics in an effort to settle the ethical conflict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First, the necessity for applying MacIntyre's virtue ethics to sports was introduced by recognizing current problems. Then, discussions about the necessity of recovering the essence of sports followed. In particular,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sports' based on the concept of 'practice' proposed by MacIntyre in his definition of virtue, an effort was made to diagnose the problems of current sports and suggest a possible solutions. Thus, this paper concentrates mainly on re-establishment of sport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virtue ethics and the concept of virtue, and tries to avoid the conventional int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sports ethics as an applied ethics. The overall discussion puts significant emphasis on the convergence of sports and virtue ethics to evade the negative viewpoints toward sports, and to reestablish the original form of “healthy life,' the essence of sports. 본 논문은 학문간의 통합이 요구되는 시에 맞춰, 스포츠를 윤리학으로 시선으로 바라보는 하나의 시도이다. 그동안 스포츠에서의 윤리 문제는 편 정, 약물 복용, 구타, 성 차별 등을 극복하기 해서 도덕 기을 제시하는 방향 으로 논의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들에 해 일으로 ‘옳음’과 ‘그름’을 결정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스포츠의 본질을 잃고 결과만을 요하게 여기는 사회에서 상반된 도덕 단들은 마다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도덕 논쟁 에 그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상황은 스포츠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윤리학 자 맥킨타이어(A. MacIntyre)는 이러한 통약불가능한(incommensurability) 도 덕 단들이 직면한 상황 앞에 ‘덕 윤리’(Virtue Ethics)를 안으로 제시했다. 스포츠 학계에서도 아놀드(P. Arnold) 등 몇몇 학자들이 맥킨타이어의 덕론에 근거해서 새로운 스포츠 윤리를 제시하고 있다. 덕 윤리는 결과지향인 ‘행 심’이 아닌 ‘행자 심’의 윤리로의 이행을 통해 사회의 도덕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본 논문은 맥킨타이어 덕 윤리가 왜 스포츠에 용되어야 하는지에 한 문제의식을 시작으로 ‘덕 ’의 특성을 ‘스포츠’에 용하고, 이를 통 해 스포츠 본질 회복의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했다. 특히 매킨타이어가 덕을 정의 하면서 제시한 ‘실천’ 개념을 통해 ‘스포츠’를 재해석하면서, 재 스포츠의 문제 을 진단하고 그 해결의 단를 제시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반인 구성상 기존의 응용 윤리학으로서의 스포츠 윤리학에 한 소개 해석은 제외하고, 덕 윤리에 한 소개와 덕 개념을 통해 재구성된 스포츠를 규명하는 데 집했다. 본 논문은 ‘스포츠’와 ‘덕 윤리’의 만남이 사회에서 스포츠를 향한 부정인 시선이 극복되고 스포츠의 본질인 ‘좋은 삶’의 원형을 회복하기 한 하나의 시도 라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

      • KCI등재

        인성교육의 윤리학적 기초로서의 덕윤리

        서민철(Seo Min ch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3

        What I ve got to suggest in this paper is that character education could be and should be founded upon virtue ethics. Virtue ethics is a recent stream to be risen as the third camp in the world of normative ethics to be consisted of just two theoretical camps,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Virtue ethicists call the two camps duty ethics to tell themselves from the two. Duty ethics look into what right action is, but virtue ethics who virtuous agent is. For virtue ethicists think that right action come from virtuous agent. Duty ethicists believe that moral action come from understanding moral principles, while virtue ethicists don t approve it. Virtue ethicists take the position that moral actions are taken place just when agents have moral emotions and habits as well as moral understanding. However, in the middle between our moral understanding and moral actions always intervene our will, emotions, or habits. It s as like that our reason have to go through our bddy before it materialize itself. Therefore moral understanding don t always make sure to do good actions. It t the point of virtue ethics that only when agents build up moral emotions and habits as well as moral unterstanding, they could fill up the gap between moral understanding and actions. For virtue is a disposition to be willing to do some good actions, and the disposition is consist of moral understanding, emotions, and good habits. Therefore virtue is a good character which character education aims at. It s why character education is in line with virtue ethics in their focusing on character traits not actions. Character education movement began from the reflection about the problems of knowledge-centered education, and the limits of the understanding-centered moral education. Virtue ethics make clear the meanings of cardianal virtues as like justice, courage, temperance, patience as well as other virtues as like tolerance, creativity, esthetic, pride etc. and discuss why they have values in our life. The list of virtues in virtue ethics are same as the list of good characters in character education. We are able to add up some items of good character and array up a ranking of the items by referring to virute ethics. Virtue ethics may also be a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Therefore, virtue ethics can be a good foundation of character education under an increasing interest. 본 논문은 최근 대두되고 있는 인성교육이 윤리학에서 덕윤리에 기반할 수 있음 을 보이려 하였다. 덕윤리는 의무론과 공리주의를 중심으로 구성된 기존의 규범 윤 리학에 제3의 대안으로 등장한 비교적 최근의 경향이다. 덕윤리 학자들은 그 둘을 의무 윤리라 부르며 자신과 구별한다. 의무 윤리가 옳은 행위가 무엇인지를 논구한 다면, 덕윤리는 덕있는 행위자는 어떤 사람인가를 논구한다. 옳은 행위는 덕있는 행 위자로부터 나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의무 윤리는 도덕 원칙을 이해함으로써, 도덕적 행위가 보장된다고 보는 반면, 덕윤리는 그것을 부인한다. 덕윤리학자들은 도덕적 이해는 물론 도덕적 정서와 습관화까지 포함한 덕을 행위자가 갖추어야만 도 덕적 행위가 보장된다고 본다. 그런데 도덕적 이해와 도덕적 행동 사이에는 의지라 든가 정서, 그리고 습관과 같은 지식 이외의 요소가 개입한다. 그것은 마치, 우리의 이성이 구현되려면 우리의 몸을 거쳐야 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도덕적 이해가 도 덕적 행위를 곧바로 보장해주지 않는다. 덕윤리는 도덕적 이해는 물론 정서와 습관 까지 함양하므로써 도덕적 이해와 도덕적 행위의 간극을 메워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 이다. 덕은 좋은 행위를 하려는 성향으로서 도덕적 이해는 물론 정서와 습관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덕은 좋은 인성이고, 그것이 바로 인성교육의 목표이다. 그러므로 인성교육이 학생들의 행위보다는 품성을 기르는데 초점을 두는 것과 일맥 상통한다. 인성교육은 주지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비롯된 것이기도 하고, 도덕 판단력 교육의 한계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덕윤리는 정의, 용 기, 절제, 인내와 같은 핵심적 덕목은 물론 관대함, 관용, 창의성, 심미성, 자부심 등 과 같은 다양한 덕목의 의미를 규정하고, 그것이 인생에서 왜 가치있는 것인가를 논 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덕윤리의 덕목들은 그대로 인성교육의 좋은 인성 목록과 그대로 겹쳐진다. 덕윤리의 논의에 기대어 좋은 인성 목록을 보다 더 확충할 수도 있 으며, 좋은 인성 목록들 간에 위계를 세울 수도 있다. 또한 인성교육의 내용을 덕윤 리가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런 점에서 덕윤리는 인성교육의 훌륭한 윤리학적 기반이다.

      • KCI등재

        덕 윤리의 환경 윤리적 함의

        장동익 범한철학회 2010 汎韓哲學 Vol.57 No.2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필수적이지만, 그 관계 내용은 다양하며, 어떤 내용의 관계를 맺을 것인지는 우리가 결정해야 할 윤리적인 문제이다. 여기에서 환경 윤리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환경 윤리는 그 동안 환경 행위 윤리라고 불리는 관점에서 주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모든 윤리적 탐구가 그러하듯이 환경 윤리에서도 환경과 관련한 성품에 관한 해명이 없이는 불완전한 상태에 머물러 있을 뿐이다. 환경 덕 윤리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하여 특정한 성품이 환경적 덕으로 확장 가능하다는 것을 먼저 논의하였다. 우리가 일반적 덕으로 알고 있는 ‘선의’가 환경 영역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 즉 자연 일반에 선의를 갖는 성품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고서, 이에 제기될 수 있는 반론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환경 덕 윤리가 설정된다면, 그 환경 덕 윤리가 어떤 유형으로 나타날 것인지도 논의하였다. 이 유형은 통상 덕 윤리학자들이 말하는 ‘보완적 견해’와 ‘대체 견해’로 구분해 보았다. 그리고 환경 덕 윤리에 제기 될 수 있는 비판, 즉 행위 결정력의 결여, 덕이 항상 좋은 결과를 갖지 않는다는 점, 유덕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식별하기 어렵다는 점, 이 세 가지 문제점과 같은 비판에 해명을 시도하였다. 이 논의 전 과정을 통해 환경 윤리에 대한 덕 윤리적 관점이 개괄적으로 드러났다고 생각한다. Though it is necessary that we have relations with natural, their contents are various and it is ethical matter that we should choose which contents of relations we have with natural. So in this point we should begin to discuss environmental ethics. Environmental ethics has been treated in environmental act ethics for long time. However, without explanation of virtuous traits be related to environment, as all ethical discuss is, any environmental ethics could not be perfect. I, first, discussed that certain traits are developed to the environmental virtue for clarifying the possibility of environmental virtue ethics. Second, I discussed that a benevolence as virtue can be applied in environmental realm, and that the trait as a benevolence is suitable to nature in general, and tried to answer about the special objections which could be happen to this view. Third, I argued there are two types of environmental virtue ethics, complement environmental virtue ethics and substituted environmental virtue ethics. I defended environmental virtue ethics which against objections which environmental virtue ethics has defects, lack of decision to do what we should do, that virtue sometimes has bad results, difficulty of discern between virtuous human and not virtuous human. I think it is proved that virtue ethical approaches in environmental ethics are possible and necessary through these discuss.

      • KCI등재

        덕 윤리와 정약용의 덕론

        오주연 ( Oh Juyeon ),이장희 ( Lee Janghee ) 한국중국학회 2023 중국학보 Vol.106 No.-

        근래 덕 윤리의 부흥은 서양 규범윤리학의 확장뿐 아니라, 동아시아의 전통 사상인 유학(儒學)을 재해석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경향은 유학을 현대 규범윤리학의 시각에서 재해석함으로써 서양 윤리학과 동양철학의 소통 가능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일으킨다. 동시에 ‘덕’이 사회문화적으로 형성된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덕 윤리학적 관점에서의 유학 연구는 덕 윤리학 일반의 발달에 나름의 공헌을 할 수 있다는 기대를 품게 한다. 그러나 이 시도가 일정한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기존 논의구조의 전환이 필요해 보인다. 덕 윤리적 관점에서 유학을 해석하는 시도에는 두 가지 비판이 제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첫째로, 덕 윤리의 틀에 맞춰서 유학의 이론을 자의적으로 편집하는 문제다. 둘째로, 유학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평면적으로 전형화하는 문제다. 이 글에서는 유학에 대한 덕 윤리적 이해가 직면한 두 번째 비판점에 주목한다. 유학의 덕론을 단일한 모습으로 축소하는 것으로부터 이론의 자의적 편집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렇게 단편적으로 재구성된 유학을 비교 대상으로 삼을 때 유학에 대한 덕 윤리적 접근과 이해, 비판은 평면적 형태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조선후기 유학자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의 덕론을 덕 윤리적 관점에서 설명함으로써 유학적 덕론이 지닌 다양한 스펙트럼을 선보이고자 한다. 우선 선행 연구가 지닌 논의구조에 대한 정리를 통하여 유학과 덕 윤리를 비교하는 두 가지 관점을 제시하고, 이 관점을 토대로 정약용의 덕론을 살펴보려 한다. 이 작업을 통해 덕 윤리와 유학을 생산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하나의 방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recent resurgence of virtue ethics has not only expanded the Western normative ethics but also served as an opportunity to reinterpret Confucianism. This trend of research,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virtue ethics, enhances the potential for dialogue between Western ethics and Eastern philosophy. Simultaneously, considering that 'virtue' is culturally and socially constructed, research on Confucianism from a virtue ethics perspective holds the promise of making its own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virtue ethics in general. However, for this endeavor to achieve certain success, it appears that a transformation of the existing structure of discourse is necessary. This is because there are two potential criticisms that can be raised concerning attempts to interpret Confucianism from a virtue ethics perspective. First, there is the issue of selectively editing Confucian theories to fit the framework of virtue ethics. Second, there is the problem of simplifying the diverse spectrum of Confucianism in a superficial manner. This paper draws attention to the second criticism that the virtue ethical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has faced. This criticism stems from the reduction of Confucian virtue theories into a singular form, which often leads to arbitrary editing of these theories. Furthermore, when this simplified reinterpretation of Confucianism is used as a basis for comparison, the virtue ethical approach and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remains limited in scope. Therefore, this text aims to showcase the diverse spectrum inherent in Confucian virtue theories by explaining the virtue theory of Dasan Jeong Yag-yong (茶山 丁若鏞), a Confucian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a virtue ethics perspective. First, by organizing the discourse structure present in previous research, this text introduces two perspectives for comparing Confucianism and virtue ethics. Based on these perspectives, it seeks to examine Jeong Yag-yong's virtue theory. Through this work, it is expected to find a productive direction for comparing virtue ethics and Confucianism.

      • KCI등재

        덕 윤리학을 위한 덕 개념 고찰

        장동익 범한철학회 2011 汎韓哲學 Vol.60 No.1

        For more complete form of virtue ethics, definitions and explains about the virtue should be made of enough and obviously. Until now, discourses about virtue in ethics be made of two type. First type, duty rule is a primary conception, from which virtue conception be derived. Second type, virtue conception should take central position in ethics and position and function of moral rule should be understood through virtue conception. If we hope to have a virtue ethics which we can understand as the obvious, we should have a concept of virtue which, on one hand, in point of view on pure virtue ethics, can explain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virtue and, on other hand, in point of view on duty ethics, is consistent with the conception of duty and obligation. So I tried to analyze the conception of virtue and here this thesis is discussed on four type, "the perspective of duty ethics." the perspective of consequentialism, the perspective of Teleology, the perspective of common sense morality. 완성된 형태의 덕 윤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덕에 대한 정의와 해명이 충분하고 분명하게 이루어 져야 한다. 그동안 윤리학 내에서 덕에 대한 논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첫째, 의무 규칙이 윤리적 삶의 일차적 개념이며, 덕은 이들에서 파생되었다는 주장이며, 둘째, 덕이 윤리학 내에서 중심자리를 차지해야 하며, 규칙의 권위와 기능은 오직 덕을 통해 이해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덕 윤리에 소극적 기능만을 유지하는 입장이든, 적극적인 기능을 인정하여 덕 윤리만으로 윤리 영역 전체를 해명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이든, 무엇이 덕이며, 이러한 덕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분명한 해명이 있어야만 한다. 덕 윤리의 온전성을 강조하는 입장에서는, 윤리적인 덕의 주된 특징이 무엇인지에 관한 해명이 있어야 하며, 의무 윤리를 핵심적인 축으로 삼고, 덕 윤리를 보조적인 입장으로 받아들이려는 입장은 의무나 책무 개념과 잘 부합할 수 있는 덕 개념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덕 개념이 의무나 책무의 윤리 이론 내에서 잘 작동할 것이라는 해명이 필요하다. 본 논의에서는 이러한 일환으로 덕 개념에 대해 분석하고 해명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이러한 시도를 위해 덕 개념에 대한 입장을 세분하여 의무론적 관점, 결과론적 관점, 목적론적 관점, 또는 상식적 관점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 KCI등재

        덕과 아레테

        이호찬 한국도덕교육학회 2014 道德敎育硏究 Vol.26 No.1

        ‘Virtue’ in modern virtue ethics is conceptually related to ‘arete’ in ancient Greek philosophy as virtue ethics is often called the revival of Greek ethics. However more exactly, virtue that virtue ethicists insist is not arete of Socrates-Plato’s ethics but that of Aristotle’s. In fact, Aristotle’s ethics is not compatible with Socrates-Plato’s. Plato’s ethics is based on two fundamental elements: the proposition that ‘arete is knowledge’ and the theory of ‘the Idea of Good’. Aristotle, on the other hand, criticizes them and suggests the concepts of ‘moral ethics’ and ‘phronesis’(practical wisdom) as his core elements of ethics. Virtue ethicists principally depend on the concept of arete from Aristotle’s ethics; thus it can be conjectured that the concept of virtue in virtue ethics is different from the arete of Socrates-Plato’s ethics. But in ancient Greece, Socrates and Plato evoked the interest in morality and ethics, and systematized it as a theory. In spite of modern virtue ethicists’ reference to Aristotle’s concept of arete, Socrates-Plato’s concept may present a viable alternative to their concept of virtue. 현대 덕윤리학이 희랍 윤리학의 부활이라고 일컬어지듯이 덕윤리학의 ‘덕’(virtue)은 희랍 윤리학의 ‘아레테’(arete)와 개념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덕윤리학이 주장하는 ‘덕’은 소크라테스-플라톤 윤리학에서의 아레테 개념이 아닌,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에서의 아레테 개념과 관련되어 있다. 사실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적 관점은 소크라테스-플라톤의 윤리학적 관점과는 화해할 수 없는 관계에 놓여있다. 그도 그럴 것이, 플라톤의 윤리학은 ‘아레테(덕)는 지식이다’라는 명제와 ‘선의 이데아’ 이론을 핵심 요소로 하는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두 요소를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 ‘성품의 덕’과 ‘실천적 지혜’를 윤리학의 핵심요소로 삼는다. 덕윤리학의 덕의 개념이 주로 아리스토텔레스에 의존하는 한, 그것은 플라톤적 의미의 덕의 개념과는 다를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희랍철학에서 윤리학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그것을 하나의 사상으로 체계화한 인물은 바로 소크라테스-플라톤이었다. 소크라테스-플라톤의 중요성은 윤리학적 관심을 촉발한 것 이상으로 독보적인 윤리학 체계를 마련하였다는 데에 있으며, 그들의 윤리학 체계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과는 명백히 상이한 관점을 보인다. 소크라테스-플라톤의 윤리학 체계에 들어있는 아레테 개념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주로 의존하는 현대 덕윤리학에 대하여 대안적인 덕 개념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대주교에게 죽음이 오다』: 음식과 돌봄으로 살펴보는 덕 윤리(Virtue Ethics)

        변효정 대한영어영문학회 2020 영어영문학연구 Vol.46 No.1

        Byun, Hyojeong. “Death Comes for the Archbishop: Reading Virtue Ethics with the Meaning of Food and Care.” Studies in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46.1 (2020): 45-65. Virtue ethics has great meaning in that it embraces all the precious things of human life into the realm of ethics. Modern virtue ethics includes food, care, nature, environment, religion, and ethnicity, with the aim of enhancing the value of human life. Among them, food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sustaining human life, so diagnosing literature as food ethics can be a new way to examine virtue ethics in modern society. At the same time, care ethics, which grew up in the late 1960s, also contributes to the practical and future values of virtue ethics because it focuses on social relationships and social values of practice. So, the work in this context sheds mainly light on the practical and virtuous life of Bishop Latour, who practices virtue to realize the ideals of harmony and communication through religious activities in chaotic New Mexico. For the reason,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 of his efforts to turn back all ethical problems arising from food and care into practical ethics and contribute to the settlement of social ethics in New Mexico. Hence, it is to further expand the meaning of virtue ethics by showing that the implementation of ethics for better human lives can be realized as individual autonomy without distinction of any boundaries. (Daejin University)

      • KCI등재

        유교 윤리는 의무론인가, 덕윤리인가? - 측은지심을 중심으로 -

        정재현 한국유교학회 202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93

        유교 윤리를 서양의 의무론으로 보는 해석은 측은지심을 실천이성이나 선의지와 연결시킨다. 이러한 해석의 장점은 단순히 유교 윤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게 만들 뿐만이 아니라 칸트 의무론에 있어서 감정의 긍정적 역할을 더욱 제고할 수 있게 해준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유교의 측은지심에는 일반적으로 의무론에서 보이는, 실천이성이나 선의지와 연결되어 거론될 수 있는 자유의지, 선택과 같은 요소가 부재한다는 점에서 유교 윤리의 본성을 드러내는 데에 있어서는 취약점을 지닌다. 유교 윤리를 덕 윤리의 일종으로 보는 해석은 측은지심을 일종의 도덕 감정이나 자연감정으로 보고, 이러한 감정들이 도덕적 삶 혹은 덕의 주요 토대임을 더욱 잘 드러내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유교 윤리의 측은지심은 서양의 의무론이나 덕윤리의 그것과는 조금 다른 특징을 지닌 것이다. 그것은 유교의 덕이 서양의 의무론이나 덕윤리에서처럼 인간이 추구해야 할 목표로서의 이성적 사실이나 인간 본성, 혹은 인간의 자연적 본능과 같은 객관적 사실을 가리킨다기보다, 사회 정치적 안정이라는 현실의 구체적 목표를 두고 추진되는 일종의 전략, 즉 자기 희생을 통한 평화로운 문제 해결방식을 가리키고 있기 때문이다. 유교 윤리는 과학이나 형이상학과 같은 이론적 활동의 강조, 감정과 이성의 엄격한 구분에 기초하기보다는 구체적 상황 속에서의 합리적 활동의 강조나 감정과 이성의 느슨한 구분 등에 기초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는 유교 윤리는 단순히 서양의 의무론이나 덕윤리 체계에 귀속되지 않는 제3의 입장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Western de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Confucian ethics links compassion to practical reason or good will. The advantage of this interpretation is that it not only allows for a mor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Confucian ethics, but also for a greater appreciation of the positive role of emotions in Kantian deontological ethics. However, this interpretation has a weakness in revealing the nature of Confucian ethics in that Confucian compassion lacks the elements of free will and choice that are typically associated with practical reason and good will of deontology. An interpretation that sees Confucian ethics as a form of virtue ethics has the advantage of seeing compassion as a kind of moral or natural emotion, and better reveals that these emotions are the main foundation of the moral life or virtue. However, Confucian compassion is characterized in a slightly different way from that of Western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This is because Confucian virtue does not refer to objective facts such as facts of reason, human nature, or natural instincts as goals to be pursued by human beings as in Western deontology or virtue ethics, but rather to a strategy, a peaceful way of solving problems through self-sacrifice, that is promoted with the specific goal of social and political stability. Confucian ethics is not based on an emphasis on theoretical activities such as science and metaphysics, nor on a strict distinction between emotion and reason, but rather on rational activities in concrete situations and a loose distinction between emotion and reason. As such, we can say that Confucian ethics is a third position that is not simply attributable to Western deontological or virtue ethics systems.

      • KCI등재

        인공지능 개발자 윤리

        목광수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102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rgue that an artificial intelligence(hereafter AI) ethics for professionals is important and necessary to realize AI ethics and that a virtue-based AI ethics for professionals is effective and relevant. In the current AI boom, a lot of AI ethical guidelines has been released in recent years. According to some meta-researches which analyze and compare these guidelines, these ethical guidelines do not have an actual impact on AI professionals’ ethical decision-making to realize an ethical AI such as artificial moral agents. For this reason, some scholars criticize that the current AI ethical guidelines are only to support the self-justification of AI industry as ‘ethics washing’ in order to claim that outside regulations such as monitoring are unnecessary. In my analysis, the relative ineffectiveness of these guidelines result from the lack of ethics for AI professionals, which contributes to motivate their normativity in the first-person perspective. In order to compensate for weaknesses of AI ethical guidelines, I argue that a virtue-based AI ethics for professionals should be constructed to be effective as well as justifiable in the cooperation with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es. In this paper, I try to show that a virtue-based AI ethics for professionals is theoretically possible and necessary for ‘ethics realizing.’ In order to catch some ideas, I examine Robert Pennock’s scientific virtue model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have an ethical impact on scientists. In order to make a virtue-based AI ethics for professionals at the theoretical level, we should ask “What is the purpose of AI technology?”, “What is the vocational virtue of AI professionals?”, “What is the list of AI virtues which AI professionals should cultivate?” etc. When these questions are answered in the discussion with AI professionals and theoretical researches, a virtue-based AI ethics for professionals can be constructed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ethical problems caused by AI.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의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이하 AI) 윤리 논의에서 결여되어 있는 AI 개발자 윤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부각하고, AI 개발자 윤리로 덕성(virtue) 기반의 모델이 적합함을 보여 이를 제안하는 것이다. AI는 고정된 과학기술이 아니라 발전 노정에 있는 동적이라는 특성과 인간과의 상호작용에서 AI를 만든 인간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재귀적 특성이 있는 과학기술이다. 이러한 AI의 특성으로 인해, AI가 초래할 리스크에 대응하려는 AI 윤리는 발전 과정에 따라 제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체계적이고, 실천을 도모하는 동기부여의 구조를 가져야 한다는 점에서 기존 도덕의 형식적 특징인 1인칭, 2인칭, 3인칭 관점이 통합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최근에 활발하게 제시된 많은 AI 윤리 지침에 대한 메타 분석에 따르면, 현재의 지침으로서의 AI 윤리 논의들은 1인칭 관점의 동기부여가 없는 3인칭 관점에만 한정되어 실질적인 ‘윤리 실현’(ethics realizing)을 도모하기에 취약하다. AI 윤리 지침 자체가 추상적이고 모호할 뿐만 아니라, AI를 개발하는 사람들에게 아무런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윤리 세탁’(ethics washing)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AI 개발자들이 AI 윤리를 내면화하여 규범적으로 실천하게 할 수 있게 하는 AI 개발자 윤리가 필요한데, 본 논문은 덕성 기반의 AI 개발자 윤리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덕성 기반의 AI 개발자 모델은, 과학적 덕성 모델(scientific virtue model)이 그랬던 것처럼 AI 개발의 목적이 무엇인지, AI 개발자들의 전문직 덕성(vocational virtue)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덕성을 함양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은 무엇인지 등의 이론 연구와 AI 개발자들과의 소통을 토대로 하는 경험 연구의 결합을 통해 실천적 차원의 모델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이론적으로 제안하는 덕성 기반의 AI 개발자 윤리가 추후 한국 사회의 경험 연구를 통해 실천적 차원의 모델로 구체화되어 AI가 초래하는 윤리적 문제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AI의 혜택이 풍성히 향유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Xunzi"s Theory of Ethics and Universality Thesis from a Stand point of Virtue Ethics

        Kang Jiyeon(강지연) 한국동양철학회 2007 동양철학 Vol.0 No.27

          순자철학은 서구의 덕 윤리학(virtue ethics)와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순자 철학은 현재 지적되는 덕 윤리학의 한계의 일부분을 극복할 논점도 제시할 수 있다.<BR>  덕 윤리학에서 인간존재는 구체적이고 특정한 문화전통에 뿌리를 둔 인간 존재일 뿐, 보편적 의무 개념에 지배 되는 추상적 인간 존재를 가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덕의 개념 역시 그 시대 사회 구조와 전통 가치에 의해서 정의된다. 그러므로 덕 윤리학은 특정 시대, 문화에 국한되어진다는 한계성을 가진다. 덕 윤리학이 특정한 문화의 한계성을 벗어나 보편성을 지니기 위해 어떻게 할 것인가? 이 부분에 대해 덕 윤리학자들은 순자윤리학의 구조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BR>  먼저 필자는 순자윤리학과 서구 덕 윤리학의 유사한 부분을 설명한다. 다른 유가 윤리학에서 보이듯 순자윤리학에서도 역시 한 인간이 공동체 속에서 자신의 사회적 역할에 맞는 사회적 의무를 습득하고 준수하는 과정에서 덕을 습득한다고 본다. 또한 도덕함양의 과정에서 전통을 전수하는 교사의 역할을 중시하는데 순자 윤리학에서 전통과 공동체를 연결시키는 점은 덕 윤리학과 유사하다.<BR>  그리고 순자윤리학에서 덕윤리학의 한계를 뛰어넘는 보편성에 관한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인간본성론과 수양, 성인, 예에 대한 논의를 살펴본다. 성인은 도덕성의 기초를 세우기 가능한 존재로 성인을 공동체 내의 전통전수의 기반으로 세우려한 점이 순자 윤리학의 장점이다.<BR>  필자는 순자 윤리학이 인간 본성 안에 덕성이 실현될 가능성을 존재론적으로 남겨둔 점, 예라는 사회적 장치와 사회 도덕의 기초로서 성인의 존재에 대한 설명에서, 특수한 사회, 문화의 한계성을 뛰어 넘는 보편성을 담지하고자 했고, 이 점이 서구 덕윤리학의 한계를 극복할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고 본다.   Xunzi"s philosophy has common threads with that of Western virtue ethics. Xunzi"s philosophy, however, presents its own that go beyond the limits of virtue ethics.<BR>  In virtue ethics, human beings are viewed as rooted in particular cultural traditions and thus not as abstract individuals governed by universally applicable concept of obligation. Furthermore, the concept of “virtue” itself is defined specifically within the boundary of social structures and traditional values of a particular era. In view of this, virtue ethics has its own congenital limitation that it is just one ethics in a local culture and community, thus losing the ground for claiming universally applicable governing ethics of human beings beyond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To begin with, author explains similarities between Xunzi"s ethics and virtue ethics. According to Xunzi, students of texts and rituals learn directly a teacher who has already achieved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Confucian tradition. Rituals are important guides in organizing society and in the process of moral cultivation.<BR>  The author that especially in his ethics that makes for realization of virtues within human nature, in his emphasis on rituals as social contrivances and in exploration of the existence of sage, may provide theoretical frames that may limits of virtue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