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의 생명윤리 인식 및 생명윤리 교육의지에 미치는 영향

        신수경,황신영,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1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effects of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on the perception on bioethics and bioethics education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this purpose, a bioethics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5 classe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general biology experiment classes in the science education department of a university in Seoul.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 survey was conducted with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on the awareness of bioethics and bioethics education. Also, their primary tasks and experiment reports were analyzed. Seven of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interviewed for in-depth analysis on how their perception on bioethics and bioethics education chang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improved the awareness of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bout bioethics. Second,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helping them recognize the importance of bioethics education and encouraging the willingnes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serve in bioethics education. Future science teachers suggested audio-visual class and role playing as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bioethics. If bioethics experiments-based education programs are adopted in college education, it will be useful to boost awareness of pre-service teachers and strengthen their willingness to serve in bioethics and bioethics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의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5차시로 구성된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서울에 소재한 대학교의 과학교육과에 개설된 일반생물학실험 수업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시작 전과 후에 예비과학교사들의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조사를 하고, 이들이 작성한 사전과제와 실험보고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후 수업에 참여한 예비과학교사들 중 7명을 선정하여 면담을 통해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은 예비과학교사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켰다. 둘째,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은 예비과학교사로 하여금 생명윤리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의지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예비과학교사들은 효과적인 생명윤리 교육방법으로 시청각 교육, 역할극 등을 제시하였다. 대학교육에서 생물실험과 연계한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다면 예비교사들의 생명윤리 인식 및 생명윤리교육 실행의지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Bioethics Policy" : As a New Interdisciplinary Study

        Choi, Kyungsuk Ewha Institute for Biomedical Law & Ethics 2007 BIOMEDICAL LAW & ETHICS Vol.1 No.1

        Bioethics is often called "applied ethics." But the idea of "mechanical or simple application" of traditional ethical theories is wrong. For bioethical issues are so novel and unprecedented that many of them do not give a great help. In addition, "applied ethics" does not reflect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 of bioethics. Bioethical problems require bioethics as an interdisciplinary study to respond to challenges of societal policy-making relevant to them. I argue for "bioethics policy study" as an new interdisciplinary discipline. The reason most of bioethical issues are difficult to be resolved lies in the fact that there are reasonable disagreements. Reasonable disagreement means "disagreement among reasonable persons." What Rawls calls "the burdens of judgment" explains why we have such disagreement. We should accept reasonable disagreement and pluralism as facts of our pluralistic society. While bioethics just tries to give an answer to bioethical issues from its own perspective, bioethics policy study tries to give a societal agreement with respecting and tolerating various reasonable comprehensive doctrines and perspectives. Thus the main research question of "bioethics policy" as a study is "how can we make policies on ethical issues to which answers are elusive and often conflicting among individuals consisting of a society?"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bioethics policy are important in that they have to deal with fundamental questions to each discipline relevant to bioethics policy. Bioethical issues require us to reconsider fundamental philosophical and/or theological questions modem philosophers avoided and may lead philosophy to a new project. Bioethical issues also raise the question "What is the role of law in ethical issues?" for law. I argue that an interdisciplinary study is meaningful when it stimulates each discipline involved, I emphasize "spiral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 KCI등재

        생명윤리의 세속화에 대한 고찰

        김승호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9 기독교사회윤리 Vol.17 No.-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flection to the secularization of bioethics and its implication to the Korean Churches. In the first stage, the beginning of bioethics will be examined. In this part, we will see the fact that christian theologians had a crucial role in the emergence of modern western bioethics. In the second stage, the secularization of bioethics will be explored. Here we will look at the reason why bioethics has been secularized in relation to the western historical background. And, we will recognize that theological approaches to bioethics have gradually been replaced by philosophical approaches to bioethics in the secularization process. In the third stage, the limitation of secular (or philosophical) bioethics and the recovery of theological bioethics will be discussed. We will find that there is no consensus in modern secular (or philosophical) bioethics. Due to this, theological approaches to bioethics is positively being requested to engage in modern bioethics debate. Actually, many theological bioethicists in various countries are deeply involved in the National bioethics committees as well as the Hospital bioethics committees. In conclusion, this article proposes the Korean churches’ positive engagement to the present bioethics debate.

      • 한국 생명윤리의 과거와 현재

        황상익(HWANG Sang-Ik)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17 생명, 윤리와 정책 Vol.1 No.1

        한국에서 생명윤리에 관해 본격적으로 논의와 활동이 전개된 것은 1990년대 후반부터이다. 하지만 이미 1960년대부터 생명윤리에 관련된 사건과 사안들이 생겨났고 그에 따른 사회적 논의도 대두했다. 1997년은 한국 생명윤리 역사의 전환점이라고 할 만하다. 복제 양 돌리의 탄생을 계기로 생명윤리에 대한 관심이 본격적으로 떠올랐고, 의료계에 큰 충격을 던진 보라매병원 사건이 발생했다. 또한 대한의사협회의 ‘의사윤리선언’의 전면 개정과 ‘의사윤리강령’의 제정,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와 한국생명윤리학회의 창립 등이 있었다. 2005년의 ‘황우석 스캔들’은 한국 생명윤리 역사에서 아직까지도 가장 큰 사건이자 끊임없이 교훈을 주는 사안으로 계속적인 검토와 반추가 필요하다. 황우석 스캔들을 겪으면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등 생명윤리 관련 법령이 정비되었으며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역할도 한층 충실해진 것으로 비쳐진다. 또한 대부분의 인체 대상 연구기관과 병원 등에 IRB가 설치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과 같은 전문 연구기구도 설치되어 활발한 사업을 벌이고 있다. 한국의료윤리학회와 한국생명윤리학회도 20년의 연륜을 쌓으면서 생명윤리관련 학술단체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무엇보다도 생명윤리에 대한 관련 연구자들과 일반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진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하지만 2014년의 정00 청와대 행정관(뒤에 보건복지부 생명윤리정책과장)의 환자 정보 누출 사건과 2016년의 백남기 농민 사망과 관련된 생명의료윤리 문제들을 보면서 묻지 않을 수 없다. 한국사회 생명윤리의 현 주소는 어디인가? 그리고 생명윤리의 존재 의미는 무엇인가? It was in the late 1990s that discussions and activities began in earnest on bioethics in Korea. However, since the 1960s, there have been cases and issues related to bioethics, and there have been social debates and discussions. The year 1997 is a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bioethics in Korea. With the birth of the cloned sheep Dolly, interest in bioethics rose and there was a case of Boramae Medical Center that shocked the medical profession. In addition, the total revision of the "Doctors" Ethics Declaration"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was enacted, the "Code of Ethics for Physicians" was established, and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Education and the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were established. The "Hwang Woo-suk scandal" in 2005 is still the biggest incident in Korea"s history of bioethics, and it has been constantly a lesson for us, and we need continuous review and rumination on it. As a result of the scandal, the laws related to bioethics, such as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have been put in place and the role of the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has become more fulfilled. In addition, IRBs are installed in most human subject research institutes and hospitals, and research institutes such as the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Bioethics Policy are also established and active in business.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and the Korean Bioethics Association have also established themselves as academic institutions related to bioethics. Above all, it is fortunate that the interest of related researchers and citizens in bioethics has increased. However, I can not help but ask when I see the incident of the secretary official Jeong, M.D. to leak patient"s information illegally in 2014 and the case of the death of a peasant Baek Nam-ki in 2016. What is the current address of bioethics in Korean society?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bioethics?

      • KCI등재

        초·중·고등학교 생명윤리교육의 구조화 : 생명의 복음에 근거하여 도덕 교과를 중심으로

        유혜숙(Hae-Sook Yu)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0 가톨릭신학 Vol.0 No.37

        본고는 초·중·고등학교 생명윤리교육이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조화되어 있다고 평가하기는 어렵다는 현실에서 출발한다. 초·중·고등학교에서 도덕, 생활과 윤리, 보건, 실과, 기술·가정 등 범교과적 차원에서 생명윤리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생명윤리교육이라는 관점에서 초·중·고등학교 교육 과정을 마련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에 생명윤리의 주요 문제를 포괄할 수 있는 인간 생명의 시작과 마침에 초점을 맞추어 제9차 교육과정(2015-) 도덕 교과를 중심으로 관련 교과 내용을 살펴보면서 초·중·고등학교 생명윤리교육의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구조화를 제안한다. 생명윤리를 크게 생명의 시작과 마침으로 구분하고, 이를 기초 이론, 관련 쟁점, 성찰과 실천의 구도로 전개한다. 기초 이론으로는 ‘생명이란 무엇인가?’와 ‘죽음이란 무엇인가?’, ‘언제 인간의 생명이 시작되는가?’와 ‘언제 인간의 죽음이 시작되는가?’ 등 생명윤리의 가장 기본적인 물음을 다룬다. 관련 쟁점으로 생명의 시작에서는 배아연구, 줄기세포연구, 인공수정, 유전자 진단과 조작, 생명복제, 응급피임, 낙태 등을 다루고, 생명의 마침에서는 자살, 안락사와 무의미한 연명의료 중단, 뇌사와 장기이식, 장기기증과 장기매매, 인간과 동물 실험, 폭력과 살인, 사형제도 등을 다룬다. 성찰과 실천에서는 생명 파괴의 삶과 죽음의 문화를 성찰하고, 생명 존중의 삶과 생명의 문화 건설로 나아가도록 인도한다. 더 나아가 이를 뒷받침하는 제반 여건으로, 초·중·고등학교 생명윤리교육의 양적 질적 확대를 위한 수업 시수 확보, 다양한 분야의 생명 관련 전문가들을 통한 초·중·고등학교 생명윤리교육의 다학제적이고 범교과적인 구조화, ‘생명윤리교육지원법’ 내지 ‘생명윤리교육진흥법’ 등 관련 법 제정을 제안한다. This study is based on premise that it is difficult to evaluate how bio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s systematically structured in stages. Although schools provide bioethics-related education at a cross-curricular level through subjects like Moral Education, Living and Ethics, Health,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bioethics education is not a central part of the curriculum at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level. Therefore, focusing on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human life, we proposed a step-by-step systematizing of bioethics education in these levels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related subjects that focus on Moral Education in the ninth curriculum (2015-). Bioethics is largely concerned with the beginning and end of life, devolving into a composition of the basic theory, related issues, and reflection and practice. The theory deals with the most basic questions in bioethics: What is life?, What is death?, When does human life begin?, When does death begin?. On one hand, the beginning of life deals with embryo research, stem cell research, artificial insemination, genetic diagnosis and manipulation, life cloning, emergency contraception, and abortion. On the other hand the end of life deals issues such as suicide, euthanasia, and purposeless survival medical treatment interruption, brain death, organ transplantation, organ donation and trafficking, human and animal testing, violence and murder, and death penalty. All of these make up the issues related to bioethics. Under reflection and practice, we examine replacing the idea of life and culture of death with one that places a high value on life and living right. Furthermore, we propose three conditions to support this: securing the number of hours of instruction for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xpansion of bioethics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multidisciplinary and cross-curricular systematizing of bioethics education in these schools through life-related experts in various fields; and enactment of laws such as the “Bioethics Education Support Act” or the “Bioethics Education Promotion Act.”

      • KCI등재

        간호사의 생명윤리의식 훈련 프로그램 설계에 관한 연구

        최미선 한국생명윤리학회 2019 생명윤리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consciousness of bioethics’ training program for nurses as a practical method of bioethics that can be used in nursing workplace. This researcher designed the Personalist Bioethics Education Program (PBEP) composed of two hours a week for 4 weeks as a learning process to understand and reflect on the concepts and the essential of personalist bioethic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educational goals include understanding the concepts of bioethics and personalist bioethics in the first class,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on the concepts of life beginning and life respect ethics in the second class,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on the concepts of life ending and bio-medical ethics in the third class, and lastly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the processes of life and biotechnology ethics in the fourth class. The teaching method is a workshop for adults that includes lectures, reviews, activities, reflections, etc. consisting of the beginning (20 minutes), deployment (90 minutes), and termination (10 minutes). And, finally, consciousness of bioethics’ training program for nurses designed has been validated by five bioethics experts(CVI=1). The applic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bioethics’training program for nurses designed in this study in the future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and enhancement of the bioethics consciousness of nurses, and in particular, will help expand the horizon of knowledge on personalist bioethics.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명윤리의 한 실천 방안으로써 간호사의 생명윤리의식 훈련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존재론적 인격주의 생명윤리를 이론적 배경으로 삼아 인격주의 생명윤리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성찰하는 학습 과정으로, 주 1회 2시간씩, 4주간의 인격주의 생명윤리 교육 프로그램(Personalist Bioethics Education Program, PBEP)을 설계하였다. 구체적 교육 목표는 1차시 ‘생명윤리와 인격주의 생명윤리의 개념을 이해한다.’, 2차시 ‘생명의 시작과 생명존중윤리 개념을 이해하고 성찰한다.’, 3차시 ‘생명의 끝과 생명의료윤리 개념을 이해하고 성찰한다.’, 4차시 ‘생명의 과정과 생명공학윤리의 개념을 이해하고 성찰한다.’이다. 교수학습 방법은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워크숍으로 강의 및 리뷰, 활동, 성찰 등이 포함되며 시작(20분), 전개(90분), 종료(10분)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설계된 간호사의 생명윤리의식 훈련 프로그램은 5명의 생명윤리 관련 전문가에게 타당도를 검정 받았다(내용타당도 계수 CVI=1). 추후 본 연구에서 설계한 간호사의 생명윤리의식 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은 간호사의 생명윤리의식 확립 및 증진에 기여할 것이며, 특히 인격주의 생명윤리에 관한 앎의 지평을 확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생명윤리에 관한 입법상의 문제점

        김혜경(Kim Hye-Kyung)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法學論叢 Vol.18 No.-

        생명과학이나 의료와 관련하여서는 많은 윤리적 문제들이 대개 도덕적 의무내지 결과적 이익사이의 갈등을 함축하면서 윤리적인 측면을 법으로 규제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는 듯한 행위가 사회적으로 보다 큰 이익을 초래하게 될 때, 예컨대 환자의 치료과정에서 알게 된 정보가 의학계에 큰 공헌을 하는 반면 환자의 개인정보유출의 문제를 발생시킬 경우, 또는 치료목적으로 인간배아복제를 해야 하는 경우 등 결과면의 이익이 행동을 정당화시킬 수 있을지에 관하여 숙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떠한 윤리문제에 법적 개입을 허락할 것인가라는 명제위에서 생명윤리라는 용어가 발생되었다. 여기에서부터 생명윤리가 무엇인지 즉, 보호대상으로서의 인간생명의 시작은 언제부터인지 그리고 윤리적인 면에 대한 법의 개입이 어디까지 허용되는지에 관한 문제가 제기된다. 본 논문에서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법률명에서부터 사용되고 있는 생명윤리의 정의로부터 출발하여 파생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생명윤리법 제3조에서 생명과학기술에 있어서의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하여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동법에 의한다고 하여 생명윤리에 관한 한 일반법임을 선언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생명공학 전반에 대한 고민과 규제를 회피하고 인간에 대한 문제로 국한한 동법이 생명공학에 관한 윤리법의 모법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러한 역할수행을 외면한다면 동법은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아니라 인간복제금지 및 배아연구 등에 관한 법률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속도에 맞춰 윤리 및 법의 정비가 이루어지지 않는 점도 있지만, 생명윤리 자체의 정의를 분명히 하지 않은 채 법률을 제정하였기 때문에 초래된 것이다. 둘째, 동법은 배아보호에 관한 몇 가지 규정들을 두고 있다. 그런데 배아의 생명권 또는 인간존엄의 인정문제는 비단 생명윤리법만의 문제는 아니다. 오히려 헌법상의 문제라고 볼 수 있다. 개별법들은 헌법을 근거로 헌법상의 기본권보호를 중심으로 제정 또는 개정되기 때문이다. 형법 또는 생명윤리법 역시 헌법의 보호범위라는 벗어날 수 없는 한계 내에서 그 내용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헌법상의 생명권 또는 인간존엄이 논의의 시작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 헌법은 제10조에서 모든 국민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가진다는 점을 규정하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이러한 인간의 존엄과 가치의 법적 성격이나 권리성에 대하여는 아무런 언급이 없어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켜 왔다. 대체로 헌법상으로는 개별적 권리를 우선으로 하되 권리의 사각지역에서 기본권의 흠결을 보완하는 보충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생명이라는 문제가 생명공학이라는 기술적인 영역을 넘어서 법영역으로 들어올 때에는 단순히 자연발생적인 사실만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법규범의 적용이라는 면에서 가치규범적인 판단을 내리지 않을 수 없다. 요컨대 생명의 시작 자체는 자연발생적인 사실을 기준으로 판단하되, 생명권이 상대적 권리라는 점에서의 해석은 가치규범적으로 접근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생명이라는 개념 자체는 자연발생적으로 판단한 결과 인간이 생물학적으로 단계적이고 불연속적인 발전과정을 거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수정란 역시 생명의 연속선상에 존재한다고 판단하여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규범적으로는 생명권 역시 법률유보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법률에 의한 제한은 가능하다고 본다. 그리고 법률에 의한 제한은 형법상 제20조 정당행위 중 법령에 의한 행위로서 위법성조각사유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개별규정상의 문제점들이다. 이는 특히 법정형에 있어서의 형평성의 문제로 나타난다. 형법에 관한 특별법으로서 작용하는 생명윤리법 제49 내지 제53조의 규정들은 형법상의 처벌규정과의 형평성에 있어서 합리적인 타당성을 결여한 규정들을 담고 있다. 따라서 입법상의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In dealing with biotechnology or medical treatment, many ethical problems imply a dilemma between moral duty and the resulting profit, and present the issue of how to regulate ethical matters with laws. Serious consideration needs to be given to the whether or not an action that ultimately produces profit can be justified, an action that seems to have ethical problems but produces a bigger social benefit, such as when a some information gained during the treatment of a patient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the world of medical science but necessitates the exposure of that patient's private information, or when human embryo cloning needs to be done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In order to resolve these difficult problems, on the proposition that certain ethical issues should allow legal intervention, the term, bioethics came about. It is from here that the questions of , bioethics are dealt with, such as when human life as an object of protection begins and how far laws can intervene in the matters of ethic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laws regarding, bioethics and safety that start with the definition of bioethics as used in legal situations. First, regarding bioethics and article 3 of the bioethics and security act proclaims that laws regarding bioethics are the same as regular laws excluding situations where special provisions exist in other laws.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by evading the dilemmas and regulations concerning life engineering in general such as mentioned above and dealing with issues only as problems about human beings, the limited laws can fully carry out its role as the mother law to the ethics laws regarding biotechnology. If carrying out such a role is evaded, than the same laws will have to become not laws concerning bioethics and security but rather laws concerning such things as embryo research and prohibition of human cloning. Such situation has arisen not only because the tools . of ethics and laws have not kept pace with the speed at which biotechnology is developing, but also because laws were enacted without a clear definition of bioethics itself. Second, the same laws have several provisions regarding the protection of embryos. The issue of acknowledging the rights of embryos to live or of human dignity, however, is not only an issue of bioethics. Rather, it can be viewed as an issue of constitutional law. The laws are each based on the constitution and are enacted or revised around protecting the basic rights stated in the constitution. Criminal law or the bioethics and security act, too, must shape its content within the limitations protected by the constitution, outside of which it cannot exist, and therefore, rights regarding life or human dignity as stated in the constitution must become the starting point of discussion. Our constitution, however, although it stipulates in article 10 that all citizens have dignity and value as human beings, nevertheless fails to say anything concretely about the legal characteristics or rights of such human dignity and value, and has caused countless debates. In general, it seems proper to understand the constitutional law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giving priority to the rights of individuals, and of carrying out the additional function of supplementing any deficiencies of basic rights that may exist in certain blind spots in defining those rights. When the issue of life steps over the technological boundaries of biotechnology and enters the realm of law, the fact of its natural occurrence must not simply become the only basis for judgment but also, in terms of application of legal provisions, judgment must be made based on values and norms. In other words, the beginning of life itself is judged based on the fact of natural occurrence, but the interpretation of right to life as something relative can only be made using an approach that utilizes values and norms. In conclusion, as the result of judging the

      • KCI등재

        [연구논문] 생명윤리교육 연구동향과 분석

        오석준(Oh, Suk-Joon),김경이(Kim, Kyung Yee)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22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12 No.1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생명 존중 사상이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인식되었고 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또한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술지 분석을 통해 지난 10년 동안 생명윤리 교육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생명윤리 교육이란 초보적인 수준에서 생명윤리의 개념과 그에 관련된 여러 문제들을 이해하고 생명윤리에 대한 높은 감수성과 열정으로 그에 대처하는 능력과 실천 성향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생명윤리 교육과 관련된 연구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10년 동안 KCI에 게재된 연구논문 78편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박지영 외(2005)이 교육의 내용으로 세 가지로 분류한 방식으로 연구주제와 교육평가 부분을 같은 맥락으로 접근하여, 생명존중윤리. 생명의료윤리. 생명공학윤리 세부분으로 나누고 이를 세부항목으로 구분을 통해 어떤 계통을 다루고 있는지 향후 생명윤리 교육의 방향성에 대하여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분석은 학문배경에 따라서 논문의 성격을 구분하고 연구방법을 통해 어떤 식으로 파악을 하려고 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대상자를 통해 교육이 누구에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연구주제를 통해 논문들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생명윤리 연구를 하면서 제일 많이 이루어지는 연구는 요인연구였다. 생명윤리적 판단을 할 때에 종교, 학교교육, 가정환경 등이 영향을 주었다고 조사되었다. 생명윤리 교육만으로 우리의 인식을 변화시키는 것을 기대하는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사회적인 환경의 변화가 필요하다. 교육 대상자 분석을 보면 의사에 대한 생명윤리교육이 간호사에 비하여 너무 적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주제 분석에서는 생명공학윤리 교육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생명윤리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꾸준히 이어오고 있지만 교육의 내용이나 교육 대상자에 대한 다양성은 아직 부족한 것으로 나타난다. 생명윤리의식은 사회적 분위기에 영향을 받고 그것이 온전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 많은 대상자에게 활용할 수 있는 교육개발과 그 기회가 많아야 한다. 또한 약품 검증을 위한 인간 대상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는 상황이므로 그에 대한 생명공학윤리 교육 연구도 필요하다고 본다. Respect for life has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as an important idea in the society with the lapse of time, and necessity of bioethics education also has become a critical issue accordingly. Hence, I would like to review what bioethics education has been provided and what changes have been caused by the education for the past 10 years based on journals. The purpose of bioethics education is to help understand basic concept of bioethics and associated issues at the elementary level. Its purpose is also to help foster the ability to cope with the issues and promote tendency to practice with high sensitivity and passion about bioethics.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bioethics education, I studied and analyzed 78 research papers among theses published from 2011 to 2121, approximately for 10 years, in local journals by using Korea Citation Index or KCI database during my paper search. In addition, I categorized bioethics into ethics of respect for life, biomedical ethics, and bioengineering ethics in the area of bioethics education, and then subcategorized them to see their lines in my approach to research theme and education assessment, which is in alignment with the categorization from Park Jiyoung(2005), in order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way ahead of bioethics education. I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of the papers based on study background and looked at study methods to see their way of understanding. In addition, I checked education targets by identifying to whom the education is delivered, and reviewed the papers to apprehend the contents in detail through research theme. The most popular research method used for bioethics research is factor analysis. Surveys show that one’s religion, public education, and family environment have impact on decision making for bioethics. We need to go one step further and move towards social environment changes, going beyond simply expecting our awareness to change just with bioethics education. Analyses on education targets let us know far less education has been provided for doctors compared to nurses. What we have to consider most seriously in research theme analysis is that research on bioengineering ethics education has seldom been conducted. We have continuously maintained the awareness of bioethics education thanks to research trends on the education. However, diversity in education targets or contents is still insufficient. Bioethics is deeply influenced by social atmosphere. Thus, for bioethics education to be fully provided, the education targeting a good number of people ought to be developed, and many chances for the education ought to be available. Also studies for bioengineering ethics education related to human research ought to be vigorously conducted, for a lot of such research is executed for the purpose of drug verification.

      • KCI등재

        한국의 생명윤리학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

        최경석 대동철학회 2014 大同哲學 Vol.69 No.-

        이 글은 학제적 생명윤리학을 생명윤리학, 생명윤리정책학, 생명윤리 분야로 나누고, 각 분야별로 한국의 생명윤리학의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며 인력 양성을 포함한 향후 과제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생명윤리학 분야는 개별적인 쟁점들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에만 집착해 왔던 단점이 있었다. 철학은 생명윤리학을 단순히 응용학문으로 이해하기보다 새로운 철학함의 도전에 대응하는 학문 분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생명윤리정책학 분야는 그동안 비교법적인 연구에 그친 경우가 많았다. 향후 생명윤리정책학 분야의 발전을 위해 철학자들은 합의에 대한 인식론적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성적 불일치의 판단 기준 등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한국인들의 윤리의식에 대한 보다 내실 있는 경험적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생명윤리 분야에서는 IRB 위원이나 간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 있었지만 향후 보다 양질의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병원윤리위원회 전문가, 의사나 생명과학자 대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초중등 학생 및 시민 대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다. 향후 생명윤리학은 학문병렬적 연구가 아니라 보다 내실 있는 학제적 연구를 수행해야 하며, 철학의 근본적인 문제와 맞닿아 있는 주제들에 대해 연구해야 한다. 생명윤리정책학은 한국의 특수성을 고려한 정책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의사소통의 방법이나 의견수렴의 방법에 대한 연구 역시 필요하다. 생명윤리 분야에서는 더욱 실무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고, 다양한 첨단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가이드라인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며, 현장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문후속세대와 전문가 양성은 필수적이다. 여타 학문처럼 학제적 생명윤리학 분야의 학문후속세대로서의 학술 연구자, 연구기관이나 교육기관에서 활동할 전문가가 양성되어야 한다. 아울러 IRB 전문가, 병원윤리위원회 전문가 및 의료윤리 전문상담사 등이 양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인력의 양성은 기존 철학과의 변신을 통해 또는 특수 목적의 협동과정 설치를 통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reviews a history of bioethics in Korea and deals with its future tasks including bringing up experts under the subclasses of bioethics and bioethics policy as a discipline as well as bioethics as a system of ethical norms. Bioethics as a discipline revealed its limitation in that it has carried out mainly ethical reviews on particular bioethical issues. Philosophers had better consider bioethics as a response to new challenges to philosophy rather than as a mere applied ethics. Bioethics policy has focused on comparative legal studies. For the improvement of bioethics policy, philosophers need to do an epistemological research on consensus and criteria of reasonable disagreement. In addition, we need empirical research on ethical consciousness of Koreans. For bioethics as a system of ethical norms, we have run educational programs for IRB members and experts. We also need educational programs for hospital ethics committee, doctors, biologist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citizens. Bioethics as a discipline should have interdisciplinary studies rather than multi-disciplinary ones and research fundamental philosophical issues relevant to bioethics. Bioethics policy needs to consider features of Korean culture and research ways of communication to reach consensus. For bioethics as a system of ethical norms, we have to research more practical and concrete issues, develop guidelines for advanced bio-technologies, and provide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 For these tasks of bioethics, future academic generation and experts are developed. We need scholars and experts of bioethics including experts who work for IRB, hospital ethics committee, and ethical consultants, For those scholars and experts, a department of philosophy has to be changed. We also have to try to establish a joint degree program in which a department of philosophy participates.

      • KCI등재

        생명윤리 관련 심의기구에 관한 한일 규정의 비교법적 분석

        류일현,안영하,오정균,우제창,추정완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47 No.-

        본 연구는 생명윤리와 관련한 심의기구에 관한 한일 양국 간의 관련 규정을 소개하고, 그 차이점을 통해 우리나라 생명윤리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생명윤 리 관련 심의기구에 관한 현행 규정과 그 체계라고 하는 제한된 범위에서 한국과 일본의 양 국 사이의 규제방식과 그 내용을 확인하고 비교해 본다.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는 인간을 대 상으로 하는 분야 전반에 대한 일반적인 법률에 의해 통일적으로 규제하느냐, 개별 문제에 대하여 개별 법률 혹은 행정부의 지침을 통해서 규제하느냐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지금껏 생명윤리와 관련한 외국의 법제를 검토함에 있어서 일본의 것을 자세하게 소개한 선행연구 가 충분하지 않은 것에는, 이와 같은 한일 양국에 있어서의 생명윤리 규제방식의 차이에 그 이유가 있었는지도 모른다. 한일 양국 간의 규정을 소개하고 비교⋅검토하는 작업을 통하여, 국가(정부)가 허용할 수 있는 범위를 일반적으로 설정한 다음, 그 범위 내에서 개별적으로 구체적인 연구활동이 진행 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한국과 일본의 생명윤리 관련 심의기구에 관한 규제방식은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생명과학 분야가 또 하나의 국가 경쟁력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가 되는 한편 성장동력이 될 수 있는 산업분야라는 점에서 국가가 주도적으로 방향 을 제시하고 한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점, 그리고 기관 단위의 생명윤리위원회의 운영을 통하여 교육⋅연구기관 및 병원이 주체적으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활동 등을 추진하 도록 한다는 국제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점 등에 비추어보아 현 시점에서는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구체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발견되는데, 예를 들면, ① 국가단 위 심의기구의 구성, ② 기관단위 심의기구(IRB)의 구성 및 심의방법 등에 관한 사항이다. 일본의 경우와 비교하자면, 한국은 국가단위 심의기구의 구성에 있어서 정부 각료를 6명이나 당연히 포함시키는 점, 기관단위 심의기구(IRB)와 관련하여 그 구성에서 일반인의 입장을 반 영할 수 있는 자를 포함시키지 않는다거나 심의방법에 있어서 ‘과반수 출석과 출석자 과반수 찬성’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 점 등에서 차이점이 발견된다. 우리와 다른 외국의 태도를 무조 건 수용하자는 의미에서가 아니라, 우리가 생명윤리법에서 생명윤리 관련 심의기구를 둔 제 도적 취지 등을 고려했을 때 우리와는 다른 일본 측의 규정은 여러 가지로 의미를 갖는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regulations for the committee relevant to bioethics of Korea and Japan, and to find out any suggestions for Bioethics and Safety Act in Korea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regu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there is a structural difference in regulating the human subjects research: to regulate a every area in accordance with a general Act or to regulate the several fields by the individual acts and the administrative instructions. This might be the reason why it is hard to find preceding comparative researches regarding a bioethics regulation system in Japan so far. With a simple comparison, we can find that Korea and Japan have a similar stance in regulations for bioethics-related committee in general, to establish a scope which is granted by state(government) roughly first, then to make the specific researches go on within the limits. I think this is reasonable because a state should suggest directions of improvement or limit range today, which life science can be a index to show of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a growth engines industry in. Also, we have a international consensus that a research(educational) institute or hospital can conduct their own human subjects studies independently through the institutional bioethics committee(IRB).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Japan, as to ①organization of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② organization of institutional bioethics committee(IRB) and its review procedure, for example. In comparison with Japan, 6 government officers participate in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naturally, and a ‘majority rule’ applies as a rule in institutional bioethics committee(IRB), in Korea. And, these remind us to review these regulations are proper or not, on the purpose of Bioethics and Safety 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