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암호화폐에 관한 사법상의 여러 문제와 공법상 감독제도의 고찰

        박웅광 한국지급결제학회 2020 지급결제학회지 Vol.12 No.1

        In Korea as well as in foreign countries, the examination of various judicial matters about cryptocurrency determines the legal nature of cryptocurrency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traditional legal concept, and based on that, tries to lead the interpretation theory of various matters in individual judicial matters. It seems to have come. However, this method does not seem to lead to a valid interpretation theory for a completely different entity from the conventional currency of cryptocurrency. Therefor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not only the legal property theory but also the policy theory of how it is desirable to deal with judicial problems due to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cryptocurrency. In addition, Bitcoin, which is the most widely used among cryptocurrencies, is taken as an example. In addition, among the users of Bitcoin, the network participants who are secret key holders and the non-participating users who do not have a secret key and buy Bitcoin through a Bitcoin trader and leave it to the trader, the actual problem is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fore, we want to divide them into two. For the judicial matters related to cryptocurrency, it seems that there are not many unanswered questions or divided opinions. It is not easy to predict how distributed ledgers and blockchain technology, a representative example, will be used and deployed in the future, including fields other than cryptocurrency. As technology progresses, it may become unnecessary to protect the right holder by judicial law, for example, property rights such as ownership. This is because the exclusive use rights – even without judicial decisions – are considered technically achievable. However, the supervisory law will continue to exist, and perhaps it will be necessary from the viewpoint of protecting the payment system or protecting users or investors. The following describes some issues related to payment-related regulations and user protection regulations or investor protection regulations. 우리나라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암호화폐에 관한 사법상 여러 문제의 검토는 전통적인 법률개념의 틀에 근거하여 암호화폐의 법적 성질을 결정하고, 거기에 근거해 개별 사법상 여러 문제에 대한 해석론을 이끌려고 해 온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암호화폐라는 종래의 통화와 전혀 다른 존재에 대해서, 유효한 해석론을 이끌 수 없는 것 같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법적 성질론뿐 아니라, 암호화폐의 기술적인 특색으로 인해, 사법적 문제에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라는 정책론을 섞어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암호화폐 중에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트코인을 예로 든다. 또한 비트코인 이용자 중에서 비밀키 보유자인 네트워크 참여 이용자와 비밀키를 보유하지 않고 비트코인 거래업자를 통해 비트코인을 구입하여 거래업자에게 맡기고만 있는 네트워크 비참여 이용자로 실제상의 문제는 크게 다르다. 따라서 양자를 나누어 검토하고자 한다. 암호화폐에 관한 사법상 여러 문제에 대해서는 답이 나오지 않은 문제나 견해가 나뉘어 있는 문제가 적지 않아 보인다. 암호화폐 이외의 분야를 포함하여 향후 분산대장(distributed ledgers)과 그 대표적인 예인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이 어떻게 이용되고 전개되어 가는지를 전망하는 것은 쉽지 않다. 기술이 진행되면 사법, 예를 들어 소유권 등의 물권에 의한 권리자의 보호는 불필요해 질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배타적 이용권은 (사법이 없어도) 기술적으로 달성 가능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다만, 감독법은 계속 존재할 것이고, 또 아마 결제 시스템의 보호나 이용자 또는 투자자 보호라는 관점에서 감독법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암호화폐의 결제 관련 규제와 이용자 보호 규제 내지 투자자 보호 규제에 관한 약간의 공법적 과제 등에 대해서도 함께 기술하였다.

      • KCI등재

        최근 지급결제 환경변화에 대응한 감시체계 및 제도 개편 방향에 관한 연구

        김자봉 ( Jabonn Kim ),홍정훈 ( Chung-hun Hong ) 한국지급결제학회 2007 지급결제학회지 Vol.1 No.1

        금융시스템의 하부구조로서 지급결제시스템의 중요성은 지급결제제도에 대한 충격이 금융제도 전체로 확산되어 경제 전반이 마비될 수 있다는데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지급결제시스템에서는 안정성이 특히 강조되고 있는데 지급결제시스템 감시(oversight)는 지급결제시스템의 안정성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9년 자본시장통합법의 시행을 계기로 증권사는 “조건 없이” 소액결제시스템 참가자로서의 법적 지위를 얻게 되는데 이에 따라 지급결제시스템의 안정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감시를 포함한 제도의 정비가 필요하다. 특히 현재 제도에서 미흡한 참가자에 대한 적격성 기준을 해외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명시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급결제법의 도입에 대한 논의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some legal uncertainty on the oversight function of BOK under the changing legal environments. The Capital Market Consolidation Act (CMCA) that will be in effective since 2009 allows security firms to take legal positions as direct participants into Korean Retail Payment System without eligibility standard for the participation. However, the law does not explicitly deal with the issue of oversight function of BOK even though the participation of security firms will create controversies regarding the issues. With the new act, BOK may face two possibilities: either to become stronger or to become weaker in the supervisory function as well as the oversight function. This implies that some safety concerns on the Retail Payment System may take place if the uncertainty is not appropriately dealt with. We suggest that the issue should be seriously discussed to produce desirable results with well-founded legal basis.

      • KCI등재

        임상시험에서 피험자 보상 유형의 윤리적 문제

        백수진(Su-Jin Baik) 한국생명윤리학회 2008 생명윤리 Vol.9 No.1

        피험자의 자발성은 임상시험의 윤리성 확보에서 가장 중요하다. 그러므로 임상시험 절차상 피험자의 자발성을 훼손할 우려가 있는 것들은 배제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피험자에 대한 보상은 다양한 윤리적인 논쟁을 제공한다. 또한, 국내외 인간 대상 연구 관련 규정 및 지침에서 다양한 기준이 제시되고 있으나, 여전히 논란거리이다. 임상시험에서 피험자에 대한 보상의 형태로는 참여에 대하여 지불되는 것과 상해게 발생한 경우 이에 대한 배상으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이는 임상시험의 모집 및 결과에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각각 다른 윤리적 쟁점과 기준을 가진다. 또한, 적절한 피험자 보상은 피험자와 그 가족은 물론 연구자 및 연구기관, 후원자 등 임상시험의 모든 참여자를 보호해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참여에 대한 지불은 실비에 근거한 변상 모델을 원칙으로 하며, 직접적인 이익이 없는 피험자에 한해 최저임금기준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소비된 시간에 대해 보상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며, 상해에 대한 배상은 피험자는 물론 연구기관 및 후원자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지침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The voluntary consent of participants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linical trials. And the procedures of research must not undermine voluntary decision-making and consent. From this point of view, rewards for human subjects such as payment for participation and compensation for research-related injuries provide a wide range of ethical issues. There are some ethical principles and guidelines of payment and compensation for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in many countries. However, the issues of payment and compensation are still controversial. The types of reward for subjects are payment for participation in research and compensation for research-related injuries. They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enrollment of subjects and result of research, and have ethically different issues and guidances. Good practice to reimburse for subject should be able to protect not only participant and his family but also all parties in clinical trial such as investigator, research institution, and sponsor. In payment for participation, it is reasonable that subjects may be reimbursed for expenditure such as travels, meals, and other expenses incurred in taking part in research. Subjects, particularly those who receive no direct benefit from research, may also be paid or otherwise compensated for inconvenience and time spent. However, the payments should not be so large to consent against their better judgement. While in compensation for injuries, the guideline for compensation should be establish for investigator to protect all parties in research.

      • KCI등재

        육아휴직제도의 고용유지 효과: 사후지급금 제도를 중심으로

        윤자영 ( Yoon Jayoung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9 사회보장연구 Vol.35 No.2

        육아휴직 활성화의 수혜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육아휴직 활용 뒤 직장에 복귀하지 않는 근로자가 상당히 존재하고 있다. 육아휴직 제도가 출산과 육아로 인한 여성의 경력 단절을 예방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다양한 이유로 육아휴직을 활용한 근로자가 경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육아휴직 이용자의 고용 유지를 촉진하기 위하여 정부는 사후지급금 제도를 도입하고 육아휴직 활용자의 직장 복귀 유인을 강화하고자 했다. 육아휴직 종료 이후 최소 6개월 재직한 자에게만 잔여 급여(육아휴직 급여의 15%에서 25%로 이상됨)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후지급금 제도는 기업의 폐업·도산, 임금체불 등 비자발적인 사유로 불가피하게 6개월 이상 계속 근무하지 못한 근로자의 실질 육아휴직 급여를 감소시킨다는 비판을 받고 있기도 하다. 본 연구는 사후지급금 제도의 효과를 고용보험 DB 자료를 가지고 이중차분법을 적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사후지급금 미수령자 가운데 대략 30% 정도가 비자발적 퇴직자이다. 사후지급금 비중을 15%에서 25%로 높이는 제도 개편은 동일직장 고용 유지율에 미미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There are a large number of workers who are not returning to work due to voluntary reasons after the utilization of parental leave, while the number of beneficiaries of parental leave is increasing. In order to reduce negative effects of parental leave on the retention rate, the government introduced a post-leave-payment system and tried to reinforce incentives for workers to return to work. The post-leave-payment system is being criticized for reducing the actual amounts of benefit for workers who have been unable to continue to work for more than six months due to involuntary reasons such as corporate closure, bankruptcy, and contract expir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post-leave-payment system empirically and analyzed whether it achieved the policy goal. First,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 workers who failed to receive the post-leave-payment. Second, the effect of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post-leave-payment is analyzed by applying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DI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pproximately 30% of those who did not receive the post-leave-payment quit their jobs due to involuntary reasons. The raise in the proportion of post-leave-payment from 10% to 25%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tention rate of the same workplace,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상속세 연대납부의무에 대한 연구 ―정당화 근거 및 법적 성질을 중심으로―

        신호영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2018 세무와 회계 연구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justifying ground, legal nature, and scope of the joint obligation for inheritance tax payment(‘JOITP’) of co-successors(heirs and legatees) in “Inheritance and Gift Tax Act(‘IGTA’)”. This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JOITP is different from Joint and Several liability(JSL) under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FANT’)” on the ground of justifying. The justifying ground of the JOITP is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ng management and disposal, division of jointly- inherited property by co-successors(possibility of participating by co-successors, ‘PPCS’). The JOITP is similar to the joint guarantee under the civil law. The JOITP has appendant nature, but does not have supplementary nature. However, there is a supplementary nature of claims for tax obligations. The purpose, justifying ground, and legal nature of JOITP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the successor him or herself’s original inheritance tax obligation (‘SOITO’)imposed on inheritance inherited by the successor. Therefore, the scope and limitations of JOITP must be discussed independently, distinguised from those of the SOITO. It is not justified and void against the Constitution for co-succcessor to bear JOITP even if there is no PPCS. What the JOITP is limited to the limit of the property received is matter of course, not a consderation. It is reasonable to distinguish the the exclusion period of the JOITP from that of SOIO’. This study suggests legislative improvements to solve the problem related to the JOITP. The provisions related to JOITP should be made similar to the provisions related to surety obligation of sub-section 4. of Civil Act. If the successor is not likely to be involved in the management, disposition or division of inherited property, the JOITP must not be allowed. It should be provided shortening the exclusion period of JOITP. Clear and systematic legislation is needed, in order to pay a reasonable burden of JOITP. This study suggested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reality such as de facto deprivation of inherited property due to JOITP. I hope that this paper presented a miningful viewpoint on the problem of JOITP and proposed a way to improve the system of JOITP. 이 연구는 공동상속인의 상속세 연대납부의무의 정당화 근거․법적 성질․범위에 대해서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상속세 연대납부의무의 목적, 정당화 근거, 법적 성질은 고유의 상속세 납부의무와 다르다. 상속세 연대납부의무의 근거는 상속인의 상속재산 관리․처분․분할에 대한 관여 가능성에 있다. 상속세 연대납부의무는 고유의 상속세 납부의무의 종된 의무로서 부종성은 있지만 보충성은 없다. 민법상 연대보증채무와 유사한 점이 있다. 다만, 상속세 연대납부의 이행청구는 보충적이다. 상속세 연대납부의무의 범위와 한계는 그 정당화 근거나 법적 성질에 맞추어 고유의 상속세 납부의무와 독립적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상속인이 관여할 수 없는 상속재산의 처분이나 분할에 대해서 상속인에게 상속세 연대납부의무를 부담시키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고 무효이다. 상속세 연대납부의무를 받은 재산을 한도로 부담하는 것은 배려가 아니라 당위이다. 상속세 연대납부의무의 제척기간을 고유의 상속세 납부의무와 별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상속세 연대납부의무제도의 합리화를 위한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상속세 연대납부의무의 내용을 보증채무와 유사하게 규정해야 한다. 고유의 상속세 납부의무의 체납을 상속세 연대납부의무의 성립요건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고유의 상속세 납부의무와 연대납부의무의 고지를 분리하는 등 상속세 납부고지 방식을 변경해야 한다. 상속인이 상속재산의 관리․처분․분할 등에 관여 가능성이 없는 경우에는 연대납부의무를 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상속세 연대납부의무의 제척기간을 고유의 상속세 납부의무보다 짧게 해야 한다. 이 연구가 향후 상속세 연대납부의무제도의 개선작업에 보탬이 되고, 연대납부의무제도의 대안 모색의 시작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보조금 부정청구에 대한 부정이익 환수 및 제재에 관한 연구

        임성훈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019 행정법연구 Vol.- No.58

        In the case of applying subsidies by improper means, Subsidy Management Act and other specific laws have provisions on the return of all or part of the subsidy without distinguishing the improper gain as the subsidy applied by improper means from the portion that was in excess of the improper gain. However, the Public Finance Restitution Act, which was recently enacted as the General Act on applying Subsidies by improper means Fraud Claims, stipulates only the return of the improper gain, and the return of the portion exceeding the improper gain is not separately prescribed, but also the suspension of payment and the additional sanction amount as a sanction against improper application of subsidy. This can be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fact that improper gains are from the viewpoint of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and sanctions are applied to the portion exceeding the improper gain. The dual view of such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and sanctions should also be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Subsidy Management Act and other specific laws. First of all, the subsidy corresponding to the improper gains is subject to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so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discretion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can not be acknowledged in the return of improper gains. On the other hand, improper gains are the basis for the calculation of the additional monetary sanction, so that any portion that has a punitive nature beyond the scope of the unjust enrichment should not be included in improper gains. Since the return of subsidies exceeding improper gains has the nature of a sanction similar to the additional monetary sanctions, it should not be double imposed with the additional monetary sanctions. Furthermore, the Public Finance Restitution Act does not have any specific provisions on the scope of the suspension of payment, which may be regarded as a violation of non-delegation doctrine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scope of the suspension of payment in Subsidy Management Act and other specific laws are variously defined. Finally multi-layered sanction of (1) the return of the portion exceeding the improper gain, (2) the suspension of payment, (3) restriction of participation, (4) additional monetary sanctions, (5) criminal penalty needs to be reorganized institutio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proportional principle and equality principle so that aggregate sanction is not overly excessive and the level of sanctions does not vary though the level of illegality is similar. 거짓 신청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보조금을 교부받거나 보조금을 다른 용도에 사용하는 부정청구에 대하여 보조금법 및 다른 개별법에서는 부정이익에 해당하는 부분과 부정이익을 초과하는 부분을 구분하지 않고, 보조금 전부 또는 일부의 반환, 보조금 지급제한, 보조사업 참여제한, 제재부가금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었다. 그런데 부정청구에 관한 일반법으로 최근 제정된 공공재정환수법은 부정이익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하여는 반환 규정을 두고, 그와 별도로 부정청구에 대한 제재로 지급중단과 제재부가금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이는 부정이익에 해당하는 부분은 부당이득반환의 관점에서, 부정이익을 초과하는 부분은 제재적 관점이 적용된다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부당이득반환과 제재의 이원적 관점은 보조금법 및 개별법 해석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우선 부정이익에 해당하는 보조금은 부당이득반환의 대상이라는 점에서 그 반환 여부 및 범위에 행정청의 재량이 인정된다고 보기 어렵다. 다만 민법상 부당이득반환의 범위도 선의의 수익자의 경우 현존 이익으로 제한된다는 점 등을 감안할 때, 부당이득반환의 관점에서 당사자에게 고의나 중과실이 없는 경우 그 반환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부정이익은 제재부가금의 산정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부당이득반환의 범위를 초과하여 제재적 성격을 가지는 부분이 포함되지 않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부정이익을 초과하는 보조금 환수는 제재부가금과 유사한 제재금의 성격을 가지므로, 제재부가금과 중복부과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나아가 공공재정환수법은 지급중단 범위에 관하여 별다른 구체적인 규정을 두고 있지 않은데, 이는 개별법에서의 지급제한 및 참여제한의 기간과 범위가 다양하게 규정되어 있는 점에 비추어 법률에서 보다 명확한 규정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부당이득반환의 성격을 가지는 부정이익 환수를 제외한 (1) 부정이익을 초과하는 보조금 환수, (2) 보조금 지급중단, (3) 참여제한, (4) 제재부가금, (5) 형사처벌이라는 다중적 제재는, 그 총합이 지나치게 과중하지 않도록 그리고 위법 정도가 동일한 부정청구에 대하여 제재 수준이 달라지지 않도록 비례원칙 및 평등원칙의 관점에서 입법론 및 해석론상 재정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하이브리드 미스매치의 해소와 관련된 국내세법 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이준봉(Jun Bong Lee) 한국국제조세협회 2016 조세학술논집 Vol.32 No.3

        OECD는 과세기반 잠식 및 소득의 이전을 방지하기 위한 15개의 액션을 발표하였다. 본고의 연구대상 보고서인 액션 2는 법인세 과세에 있어서 국제적 정합성을 확립하기 위한 새로운 권고사항들을 시행하는 방법을 통하여 하이브리드 미스매치 약정에 기인한 과세 상 불일치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는 보고서 상 권고사항을 소개하고 분석 및 평가한 이후에 권고사항들에 대한 우리의 대응방안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보고서를 분석하고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고서는 모든 소득들은 적어도 한번은 과세되어야 한다는 점을 중시하고 소득이 어느 곳에서 과세되는지 또는 어느 권고사항에 기하여 과세되는지 여부는 중시하지 않는다. 둘째, 보고서의 권고사항들이 통합적 원리에 근거한 것이 아니라 협상의 산물로서 도출되었고, 어느 국가의 세수가 감소하는지 또는 어느 국가의 세수가 증가하는지 여부를 의도적으로 결정하지 않는다. 셋째, 보고서의 권고사항들에는 많은 한계가 있고 그 집행가능성 역시 낮다. 보고서의 대응방안을 모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가 먼저 나서서 보고서의 권고사항들을 도입할 필요는 없고, 국제사회의 논의 특히 미국과 OECD 사이의 논의에 계속하여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설사 보고서의 권고사항들을 도입하여야 할 상황에 직면한다고 할지라도 먼저 손금산입/익금불산입 결과(D/NI outcome)와 관련된 특별권고사항 등 우리 국내세법 상 일방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세제를 도입하고 우리의 실질과세원칙을 적정하게 적용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타당하다. 나아가 하이브리드 미스매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원천징수 제도를 정비하고, 정보교환 및 징수협조 등과 관련된 국제적인 흐름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셋째, 만약 국제사회 대부분 국가들이 하이브리드 미스매치 규칙들을 도입한다면, 우리 역시 국제적으로 정합성을 갖는 방식으로 그 규칙들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ECD has released the 15 actions. This paper explores Action 2 which aims at neutralizing the effects of hybrid mismatch arrangements through the new recommendations on the changes to domestic tax law for the coherence in the international tax regime. This paper introduces, analyses and evaluates the contents of Action 2, the results of which are as follows. Firstly, Action 2 focuses on the results that income should be taxed at least once between parties involved with hybrid mismatch arrangements and is indifferent as to whether it is the tax base of the payer country or the payee country that has been enhanced by the recommendations or which recommendation is applied, primary response or defensive rule. Secondly, the recommendations are not based on the integrative principles, but on the give-and-take negotiations. Therefore, in some cases, the recommendations lack coherence as remedies against hybrid mismatch arrangements. Thirdly, the recommendations are subject to many limits and low feasibilities as remedies against hybrid mismatch arrangements. This paper explores applicable domestic measures based on the analyses and evaluations, the results of which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no need to introduce the recommendations of Action 2 earlier than most of the OECD members and the US. Secondly, if we are to introduce the recommendations, it is appropriate to first adopt the unilateral domestic measures including the special recommendations relating to D/NI outcome and apply GAAR in an appropriate manner. Also, we need to enhance the withholding system and keep up with the international trends on the information exchange and collection assistance. Thirdly, if most of the countries introduce hybrid mismatch rules, it is desirable for us to adopt such rules as international norms and comply with the procedures thereo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