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자보건법 제 조의 재구성과 입법방향

        이인영 ( In Young Lee ) 한국의료법학회 2004 한국의료법학회지 Vol.12 No.2

        Most countries have different ranges of the legal allowance for abortion due to their own culture, beliefs and social structure. In Korea, abortion in the Criminal Law is an illegal act in exception of limited cases stated in the Mother and the Child Health Law. The Criminal Law regulates the mother's act of abortion and the doctor's surgical performance of abortion. Abortion is defined as artificially removing the fetus from or killing it within the mother's womb prior to the date of the delivery. the abortion regulations have a purpose of granting punishment for a crime occurred in the past and preventing for future crimes. But many people tend to abuse of abortion even though they are fully aware of its illegality. The law lead to be inconsistent with its enforcemen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proposals toward the legal reforms in the Criminal Law and the Mother and the Child Health Law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existing regulations. There are specified reasons of the exception cases for the illegal act of abortion in the Mother and the Child Health Law(the Article 14). The purpose of the Mother and the Child Health Law is the to protect the mothers life and health and to help their childbearing and breeding. It is hard to revise regulations in the Criminal Law as the need arises. Therefor, the exception provisions of the abor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Mother and the Child Health Law. It has some specific procedures of the legal abortion act The Mother and the Child Health Law prescribes the medical, ethical, and genetic reasons for the legal permission of abortion. But this law does not include social and economic reasons. In cases of when the continuation of pregnancy is proved to be harmful for the mother and when the mother has a impossibility to breed her child because of her social situations and financial conditions. In order to consider the legal boundaries for the protection of women rights of choice, we should accepted the legal acceptance of abortion due to social and economic reasons. And I suggest that a counsel procedures should be provided to specify the acceptance of abortion. The counsel procedures lend woman assistance to make her autonomous decision. In this procedures she make a rational decision to have a continuation of pregnancy or to discontinue a pregnancy with the aid of doctor's explanation and professional advice of the social worker.

      • KCI등재

        태아의 생명보호에 관한 헌법적 고찰

        표명환(Pyo, Myoung-Hwa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0 土地公法硏究 Vol.51 No.-

        본고는 태아의 생명보호에 관한 헌법적 제문제를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헌법상 보장된 권리로서 생명권은 헌법상 예정하고 있는 모든 인간의 권리로서 인정되고 있다. 나아가 인간형성의 발전단계에 있는 태아의 주체성 또한 일반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헌법 제10조 제2문에 따라 국가는 태아의 생명권을 보호할 의무를 진다. 생명권의 주체로서 태아 의 보호와 관련하여 형법은 낙태를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형법의 낙태에 관한 죄의 규정은 태아의 생명보호를 보호법익으로 하고 임신부의 자기결정권을 부차적인 것으로 하는 태아를 위한 보호입법으로서의 성질을 가진다. 그러한 점에서 형법의 낙태죄 규정은 기본권제한측면에서가 아니라 기본권보호입법의 관점에서 헌법적 정당성이 심사된다. 이와 달리 모자보건법 제14조의 인공임신중절허용의 한계 규정은 임신부의 보호규정으로서의 의미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 태아의 생명보호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모자보건법 제14조의 인공임신중절의 허용사유는 태아의 생명권을 제한하는 성질을 더욱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모자보건법 제14조의 헌법적 심사는 기본권제한법률의 심사기준으로서 과잉금지의 원칙 및 명확성의 원칙 등이 적용된다. 본고에서는 생명의 차등적 취급을 규정하고 있는 보호입법으로서 형법의 낙태죄규정에 관하여는 기본권보호의무이론 및 인간형성 단계에서의 생명가치에 대한 차별적 취급의 헌법적 가능성을 제시하면서 헌법적 정당성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모자보건법 제14조의 인공임신중절의 허용한계규정과 관련한 적응사유에 대하여는 명확성의 원칙 및 과잉금지의 원칙 등을 적용하여 그 문제점을 제시하고 새로운 입법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고에서는 기한사유를 규정하고 있는 모자보건법 시행령 제15조와 관련한 태아의 생명보호에 대한 헌법적 문제를 제시하면서 적응사유별로 다른 기한사유를 규정할 것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described laying stress on constitutional several problems about the protection of an unborn child's life protection. The right to life as constitutional right is acknowledging as the right of all humans. Furthermore, the basic right to life of an unborn chid, who is in development stage of formation of human, is admitted. Therefore, the state takes duty to protect the right to life of an unborn chid according to sentence 2 of Art. 10 of Constitutional law. In concerning of the protection of an unborn child, who is the subject of the right to life, Criminal law keeps a regulation that prohibits abortion in principle. Regulation of crime about abortion has characters which are as benefit and protection of an unborn child's life and legislative protection law for an unborn child in pregnant's secondary self-determination. So, regulation of illegal abortion on criminal is judged from not viewpoint of restriction of nature right but the legislative protection law of nature right. In contrast, regulation of restricted permission of induced abortion on Art. 14 of Mother and Child Health Law has meanings which are as a pregnant's protective regulation as well as protection of unborn child's life. However, the reason of regulation of permission of induced abortion on Art . 14 of Mother and Child Health Law involves character restricting of right to an unborn child's life more strongly. On that score, examination of constitutional justice on Art. 14 of Mother and Child Health Law is applied the anti-overrestriction principle and the principle of definiteness as a screening of restrictive act of nature rights. In this paper, I have drawn constitutional justice with showing constitutional possibility of discriminative treatment about life's value on stage of forming human and theory of protection of required nature rights on regulation of criminal abortion on Criminal law as a legislative protection law enacting graded treatment of life. But, about regulation of restricted permission of induced abortion on Art. 14 of Mother and Child Health Law, this paper showed that problem and presented direction of new legislation, applying the antioverrestriction principle and the principle of definiteness. Also, this paper suggested regulating another reason of deadline showing constitutional problems about protection of an unborn child's life related to Art. 15 of Mother and Child Health Law which enacts the reason of deadline.

      • KCI등재

        국가정책과 법이 양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유혜숙(Yu, Hae Soo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7 神學展望 Vol.- No.196

        한국 정부는 인구증가에 따른 빈곤을 해결하기 위해 1960년대부터 출산억제 내지 금지 차원의 가족계획정책을 실시하였다. 1970년대에 이르러 미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에서 낙태를 합법화하기 시작하자, 한국 정부는 모자보건법 제14조 인공임신중절 수술의 허용한계를 통해 합법적인 낙태의 길을 열어놓았고, 출산억제를 위해 불법 낙태 역시 묵인해왔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초저출산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정부는 전과는 반대로 출산장려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하였고, 최근에는 그동안 묵인해왔던 불법 낙태 처벌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하였다. 더구나 일부 의료계와 여성계 반대에 부딪혀 이마저도 철회하고 말았다. 이런 시점에서 우리는 한국의 국가정책과 법이 얼마나 근시안적으로 마련되고 추진되었는지 성찰해야 하고, 국가정책과 법의 영향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진단해야 한다. 정부는 불과 반세기 전에는 공공연하게 출산금지정책을 추진하면서 낙태를 묵인해오더니 이제는 반대로 출산장려정책을 추진하면서 낙태죄 처벌을 강화하겠다고 말한다. 하지만 사람들은 더 이상 출산금지정책 이전처럼 자녀를 출산하지 않고, 낙태를 하면서도 별다른 죄의식을 느끼지 못하며, 낙태 합법화를 주장한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이런 주장의 저변에는 국가가 주도적으로 실시한 가족계획정책과 모자보건법이 자리한다. 오랜 세월 국가가 주도적으로 실시한 가족계획정책과 모자보건법 탓에 낙태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인식 자체가 많이 달라졌고, 그런 탓에 죄의식 역시 반감(半減)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회칙 『생명의 복음』(Evangelium Vitae)에 근거하여 한국의 가족계획정책과 모자모건법이 야기한 낙태에 대한 인식과 실태의 문제점을 성찰하면서, 잘못된 국가정책과 법이 인간의식과 사회실태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진단하였다. 특히 잘못된 국가정책과 법이 인간의 올바르고 선한 윤리적 선택을 가로막고, 여기서 더 나아가 잘못된 윤리의식, 곧 잘못된 양심을 형성하여 인간존재의 근원적인 차원에까지 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한국의 가족계획정책과 모자모건법이 야기한 낙태에 대한 죄의식의 부재와 낙태 만연 현상에 근거하여 제시하면서 그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In order to solve problems of poverty caused by increased population, the Korean government started implementing the family planning policy in the 1960s to prevent or ban births. In the 1970s, while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began legalizing abortion, the Korean government allowed legitimate abortions through a limited tolerance for artificial abortion surgeries under Article 14 of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and tolerated illegal abortions to suppress the birth rate. However, as the country’s ultra-low birth rate was recognized as a serious problem after the 2000s, the government began to issue birth promotion policies to go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recently announced that it would strengthen the punishment for illegal abortions that had previously been tolerated. In addition, some medical and women’s objections have been withdrawn. At this point, we should reflect on the short-sightedness apparent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nd laying out Korea’s national policies and laws in order to diagnose the true impact of such national policies and laws. Only half a century ago, the government publicly promised to formulate an abortion policy, while it now opposes abortion by promoting a childbirth promotion policy. However, following these abortion policies, people no longer have to give birth, nor do they feel guilty about undergoing an abortion but rather insist on the legalization of abortion. There are many reasons for this, but at the base of this argument are the state-led family planning policy and Mother and Child Health Law. These initiatives have been conducted by the government for many years, helping to change the perception of abortion itself and helping to significantly lessen the associated sense of guilt. In this article, I reflect on the problems tied into the recognition and reality of abortion caused by Korea’s family planning policy an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based on Pope John Paul Ⅱ’s Evangelium Vitae, and I propose that this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human consciousness and on the social reality. In particular, I review the fact that inappropriate national policies and laws interfere with the proper and good ethical choices human beings make. Furthermore, I search for a solution to an erroneous ethical consciousness, that is, the erroneous conscience, that has arisen from the absence of guilt and the prevalence of abortions resulting from Korea’s family planning policy an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 낙태에 대한 한국 교회의 입장

        이경직 ( Kyung Jik Lee ) 백석대학교 기독교철학연구소 2007 기독교철학연구 Vol.8 No.-

        이 글의 목적은 한국 교회가 낙태 문제에 대해 어떤 입장에서 있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우선 낙태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전문용어가 모두 가치중립적이지 않다. 낙태라는 표현은 주로 윤리학계나 종교계에서 사용되는데 반해, 인공임신중절이라는 표현은 법조계와 의료계에서 사용된다. 용어 자체가 이미 이 문제에 대한 태도를 반영한다. 한국은 세계적으로 매우 높은 낙태율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법적으로는 낙태가 금지되어 있으면서도 실질적으로는 낙태가 허용되는 모순된 상황 속에 한국은 있다. 한국 정부의 산아제한 정책과 임신 여성들의 권리 주장이 그 이유이다. 현실 의료현장에서는 태아의 생명권은 고려되지 않았다. 한국의 형법과 모자보건법 사이의 모순을 해소하기 위한 시도들은 다양하다. 낙태 옹호론자들은 모자보건법의 취지를 형법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형법을 개정하려는 반면, 낙반연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 기독교의 낙태반대운동은 형법과 모순되는 모자보건법을 폐지하려 한다. 그 결과는 낙태 옹호론자와 낙태 반대론자 모두에게 불만족스러웠다. 낙태죄를 명시하는 형법 조항은 그대로 남았으며, 실질적으로 낙태를 허용하는 모자보건법도 그대로 남았기 때문이다. 한국 기독교가 낙태를 반대하는 이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기독교인은 낙태율에 있어서 비기독교인과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한국 기독교 여성들은 태아의 생명권을 인정하면서도 막상 자신의 문제가 되는 경우 태아의 생명권보다 자신의 권리를 더 주장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태아의 생명권에 근거해서 낙태를 금지하는 한국 기독교의 규범은 낙태 여성들에게 필요한 위로와 치유를 제공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래서 기독교의 정의 개념뿐 아니라 사랑 개념도 필요하다. 현실적 어려움 때문에 낙태를 선택한 여성들에게 위로와 치유를 주는 사랑의 태도를 한국 기독교가 가져야 한다. 결국 낙태 금지라는 이상적 규범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낙태 여성들을 위로해야 하는 이중적 과제가 한국 기독교에 있다. 또한 한국 기독교는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 통용되는 윤리와, 종교와 가치를 넘어서는 보편적 윤리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한국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만 통용되는 논리를 그 공동체 밖에 강요하는 것은 일종의 제국주의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 기독교는 공공의 영역에서 현실적으로 낙태를 줄여나가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한국 기독교는 모자보건법을 무조건 폐지하라는 주장에만 그치지 말고 차선책으로서 모자보건법의 철저한 이행을 촉구함으로써 불법적으로 시행되는 낙태를 방지해야 할 책임을 지녀야 한다. 이는 한국 기독교의 낙태반대운동이 미국의 낙태반대운동처럼 극단적으로 나가지 않도록 도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Korean church`s attitude toward abortion. The term `abortion` is used in areas of ethics and religion, whereas the term `artificial termination` can be heard in the areas of laws and medicine. These terms are not value-free. They reflect some kinds of worldview. Korea has higher proportion of abortion in the world. Abortion is prohibited in laws but allowed in the reality because of the policy of birth control by Korean government and the right claim of pregnant women. Fetus` right of life is not counted in fields of medicine. Attempts to resolve inconsistency between criminal law an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are various but not successive. Upholders of abortion have tried to revise criminal laws in order to reflect the intent of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whereas those against abortion want to abolish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In spite of their attempts nothing is changed. It means that the inconsistency concerning the problem of abortion remains. It is true that the proportion of abortion among Korean Christians shows no difference with that among Korean non-Christians. Christian women admit fetus` right of life in theory but think that their right is more important than fetus` right of life in practice. Korean church teaches that abortion is sin but cannot give consolation and healing enough to cure the women who has experienced abortion. Korean church gives them only sense of guilty which discourages them from living as Christian. So not only the concept of justice but also of love is necessary in this case. In this sense Korean church has dual tasks, namely not to abandon ideal standard and to consolate the women who has committed abortion. Korean church don`t have to coerce Korean society to follow its norm, for its norm is admittable for Christians. It should attempt to find ways to reduce the proportion of abortion in public areas. For this purpose it should have a second best policy, namely that the exhaustive performance of 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 KCI등재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오영인,이얼 미국헌법학회 2017 美國憲法硏究 Vol.28 No.3

        낙태문제는 역사적으로나 세계적으로 민감한 문제이며, 세계 각국은 태아의 생명과 임신부의 낙태자기결정권의 조화로운 보호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법률로써 낙태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낙태율이 높은 기이한 상황에 놓여 있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낙태에 대한 담론이 현저히 부족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태아의 생명과 임신부의 건강이 모두 보호받지 못하고 있다. 반면, 미국의 경우 1973년 Roe v. Wade 결정에서 임신부의 낙태할 권리가 헌법상의 기본권으로서 인정받은 이래, 다양한 낙태규제 절차가 마련되었다. 연방대법원은 이들 낙태규제 절차들의 위헌 여부를 심사함으로써 합리적인 낙태규제 절차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2013년 Whole Woman’s Health v. Hellerstedt 사건에서 연방대법원은 ‘부당한 부담 심사기준’을 공고히 함으로써 임신부의 낙태 선택에 부당한 부담을 주는 조치는 위헌이라 결정하였다. 낙태를 예외적으로 허용하고 있는 우리나라 모자보건법은 매우 경직되어 현실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낙태의 태양을 유연하게 포섭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의 다양한 낙태규제 절차에 대한 위헌심사 결과를 참고하여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합리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Abortion is a sensitive issue both historically and globally, and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trying to find harmonious protection of the fetus' life and pregnant woman's abortion right as self-determination. However, in Korea, abortion is strictly prohibited by law, but abortion rate is high in reality. This is due to the lack of social discourse on abortion. For this reason, both the fetus' life and the health of the pregnant woman may not be protected in danger. On the other hand, US Supreme Court recognized the right to abortion of women as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s in Roe v. Wade case(1973). Nevertheless, various abortion regulatory procedures have been established by states' law. The Supreme Court is working to create a rational abortion regulatory procedures by review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se states' law. In particular, in Whole Woman's Health v. Hellerstedt case(2013), the Supreme Court has determined that laws of the Chicago are unconstitutional, because the laws put an undue burden on women's choice of abortion. The Korean Mother and Child Health Law, which allows abortion to be exceptional, is so rigid that it can not be flexibly applied to various types of abortion. So it should be improved reasonably within social consensus. We can refer to the US Supreme Court's decisions on the abortion procedures by states' law.

      • KCI등재

        출산억제정책으로서 모자보건법과 낙태에 대한 반성적 접근

        김성진 ( Sung Jin Kim ) 한국법정책학회 2010 법과 정책연구 Vol.10 No.1

        There is the strong forbidden clause of criminal law about abortion. But in reality, a lot of illegal abortion are performed despite of the permissible clause in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The law lead to be inconsistent with its enforcemen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proposals about the analysis of the Abortion Regulation to reform the existing regulation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regulations.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prescribes the medical, ethical, and genetic grounds for the legal permission of abortion. But the right of life is an essential part of human dignity, and the life of fetus is virtually all in the fetus` dignity. Therefore the abortion must to be permissible in more strict condition. And the permissible period of abortion must be shortened from gestation 24 weeks to gestation 12 weeks. It is necessary to be revised of the penalty provision against illegal abortion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life and preventing the illegal abortion. In conclusion, I basically oppose to abortion for human dignity, except special cases. Therefore the abortion may be morally permissible for the case of a woman`life is threatened by pregnancy and unavoidable abortion after rape, because nobody is morally required to sacrifice her life to keep another person life.

      • KCI등재

        특별기고 : 형법상 낙태와 모자보건법상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의료법리학적 이해

        손영수 ( Young Soo So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6

        우리 사회가 불법 인공임신중절과 낙태와 관련하여 논의가 뜨겁다. 어찌보면, 모든 사람들의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 무감각속에서 사회 전반에 만연해 있었던 불법 인공임신중절의 문제를 그 동안 누구도 문제화·공론화하여 제기하지 못했었기 때문에 표면에 드러나지 않았을 뿐이지, 내용과 의미의 중대성으로 보면 우리 사회에서 벌써 오래전부터 심도 있는 논의와 열린 담론의 장이 만들어졌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형법상의 낙태죄의 전제가 되는 `낙태`는 자연분만기 이전에 자궁에서 발육 중인 태아를 인공적으로 배출시키거나, 모체내에서 살해하는 것을 말하며, 모자보건법 제2조 (정의) 제7항에 의하면, `인공임신중절수술`은 `태아가 모체 밖에서는 생명을 유지할 수 없는 시기`에 태아와 그 부속물을 인공적으로 모체 밖으로 배출시키는 수술을 말한다. 낙태와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법리구성은 법적 견해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의료 현장에서는 어떤 법리구성을 하든, 모자보건법상 인공임신중절의 허용 사유가 없는 경우에는 그 수술 시기에 상관없이 언제든지 낙태죄의 처벌 대상이 되며, 또한 수술 시기가 임신 24주일을 지나는 경우에는 인공임신중절의 허용 사유의 존부와 상관없이 언제든지 현행 형법상의 낙태죄의 처벌 대상이 된다. Recently, in our society, there have been a lot of talks about fetocide and artificial abortion. I suppose it would be natural in a way. Because the very problem of fetocide and artificial abortion has been always there in our society and various concerns about it still hover above our lives. Fetocide in the criminal law, by legal definition, means the artificial evacuation of growing fetus from mother`s uterus or killing the fetus in the mother`s uterus. Meanwhile, artificial termination in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by legal definition, means artificial evacuation of growing fetus and gestational by-products through medical procedure within such an early period in fetal life unable to survive outside the mother`s uterus. A couple of jurisprudential reasoning about fetocide and artificial abortion could be possibly constituted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point of view. But, in the scene of medical practice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there would be very little difference in terms of criminal charges. It is concluded that both occasions of any artificial abortion with no allowable reasons and any artificial abortion with allowable reasons committed in the period beyond 24 weeks of gestation are to be punished by the current criminal law.

      • KCI등재

        낙태죄와 생명보호

        정효성 대한의료법학회 2009 의료법학 Vol.10 No.1

        In Korea, Abortion in the Criminal Law is an illegal act in exception of on which abortion may be carried out through the grounds are very limited and related such a emergency situation of women's physical health, rape, incest and genetic diseases. The Criminal Law regulates the mother's act of abortion and the doctor's surgical performance of abortion. The Mother and the Child Health Law prescribes the medical, ethical, and genetic grounds for the legal permission of abortion. Many people tend to abuse of abortion even though they are fully aware of its illegality. The law lead to be inconsistent with its enforcement.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some proposals about the legal analysis of the Abortion Regulations th reform the existing regulation and increase th effectiveness of the regulations. Recently, in a case of the a maternity hospital where a midwife left alone a diabetes pregnancy women who had a baby, and the overweight baby(5.2Kg) died in the uterus due to hypoxic states. Supreme Court of Korea 2007.6.29. 2005do3832) had given a verdict of not guilty. It looked like there were very fair with current crime law. But, we want this case to be investigated if there weren't any logical contradictions as well as concurrent translation within Constitution Law. Now the Mother and the Child Health Law prescribes the medical, ethical, and genetic grounds for the legal permission of abortion. But this law does not include social and economic grounds.

      • KCI등재

        특별기고 : 모자보건법 제14조 개정의 필요성과 방향

        김향미 ( Hyang Mi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5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여성의 사회참여가 증가하게 되고, 여성이 가지고 있는 자유로운 발전을 할 권리와 자기결정권에 대한 존중으로 인해 인공임신중절의 허용하자는 주장과 함께 이에 대한 찬반이 논의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낙태와 관련하여서 형법상의 강력한 규제조항에도 불구하고 실제 불법적인 인공임신중절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사회적으로 인공임신중절의 허용사유를 규정하고 있는 모자보건법 제14조의 개정을 촉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모자보건법 제14조의 개정방향을 제시해 보면 아래와 같다. 인간의 생명을 존중하는, 특히 태아의 생명권을 존중하는 차원에서 그리고 의학적으로 모성에 건강상의 위해를 초래하는 합병증이 발생될 가능성을 예방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인공임신중절의 허용에 대해서는 반대를 한다. 인공임신중절허용시기와 관련하여 임신한 날로부터 28주 이내에 대해 임신 24주까지로 허용시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한다. 태아측의 심한 기형 등 태아측의 사유에 대한 적응증을 허용사유에 별도로 규정하자는 의견에 대해서는 따로 이 규정이 필요치 않으나 태아의 출생 후 생존 가능성에 대하여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며, 기존의 허용사유에 태아의 병인적 사유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는 규정이 있었으면 한다. 인공임신중절의 허용사유에 있어 사회·경제적 사유에 대한 규정은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자의적인 허용을 의미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중하게 결정을 하여야 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사회·경제적 사유에 대한 허용을 반대하지만, 필요하다면 실효성이 있는 사전 상담절차의 마련으로 절차적 요건에 대한 개정이 필요하다. 모자보건법 내에 제14조의 위반행위에 대한 처벌규정이 없으므로 위반에 대한 처벌규정을 포함시켜는 문제에 대해서는 적절한 벌칙조항의 규정을 추가함으로써 생명의 보호를 한다는 취지의 목적을 달성하고 그 위반에 대한 방지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인간의 생명은 절대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고 또한 절대적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배아 역시 장차 완전한 개체로 발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존재하는 인간의 생명체이므로 보호의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배아의 보호에 관심을 가지고 향후 이를 위한 윤리규정이나 법적인 절차의 마련이 필요하다. According to the social development, women`s participation of social work is increased, and it is argued that artificial abortion of fetus can be accepted freely and easily as the respect of the women`s right of self-decision on reproduction. This is the conflicts of view in prolife and prochoice. In Korea, there is the strong forbidden clause of criminal law about abortion. But in reality, a lot of illegal abortion are performed despite of the permissible clause in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So I reviewed and recommended the revision of Article 14 in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to the active direction. I am basically opposed to abortion for human dignity especially the right to life of fetus and the prevention of the mother`s health from the complication of abortion procedure. The permissible period of abortion must be shortened from gestation 28 weeks to gestation 24 weeks. The reason of severe fetal abnormality need not to be inserted to the permissible clause to abortion, but it is desirable that the meaning of that reason should be included. The socioeconomic reason of the permissible clause to abortion could mean the permission of abortion. So I object to adding the socioeconomic reason for artificial abortion to the revise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But if need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effective procedure on consultation before abortion. I agree to the revision of the penalty provision against illegal abortion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life and preventing the illegal abortion. It is rightful to prevent human life and keep the value, and in addition, we must concern to the prevention of embryos who have the potential to the individual in the future. So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ethical guidelines or the regulations for the protection of embryos.

      • KCI등재

        ‘낙태죄’ 헌법재판소 헌법불합치 결정의 취지와 법률개정 방향- 헌법재판소 2019. 4. 11. 선고 2017헌바127 전원재판부 결정에 따라 -

        이석배 대한의료법학회 2019 의료법학 Vol.20 No.2

        Even after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on August 23, 2012 that the provisions of abortion were constitutional, discussions on the abolition of abortion continued. The controversy about abortion is not only happening recently, but it has already existed since the time when the Penal Code was enacted, and it shares the history of modern legislation with the Republic of Korea. Legislators whom submitted amendment while insisting upon the eradication of abortion in the process of enacting criminal law at that time, presented social and economic adaptation reasons as the core reason. From then on, the abolition of abortion has been discussed during the development dictatorship, but this was not intended to guarantee women's human rights, but it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national policy projects of “Contraception” and “Family Planning” of the Park ’s dictatorship. Since then, the enactment of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which restrictively allow artificial abortion, was held on February 8, 1973, in an emergency cabinet meeting that replaced the legislative power after the National Assembly was disbanded. It became effected May 10th. The reason behin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Law that included legalization of abortion in part was that the Revitalizing Reform at that time did not allow any opinion, so it seem to be it was difficult for the religious to express opposition.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Law” enacted in this way has been maintained through several amendments. It can be seen that the question of maintenance of abortion has been running on parallel lines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time when the Penal Code was enacted. On August 23, 2012,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at the Constitutional Opinion and the unonstitutional Opinion were 4: 4. However, it was decided by the Constitution without satisfying the quorum for unconstitutional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This argument about abolition of abortion is settled for the the time being with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inconsistency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now, the National Assembly bears the issue of new legislation. In other words, the improved legislation must be executed until December 31, 2020, and if the previous improved legislation is not implemented, the crime of abortion (Article 269, Paragraph 1, Article 270 of the Criminal Code) Article 1 (1) will cease to be effective from 1 January 2021. Therefore, in the following, we will look into the reas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constitutional discordance adjudication on criminal abortion(II), and how it structurally differs from the previous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After considering key issues arised from the constitutional discordance adjudication(III), the legislative direction and within the scope of legislative discretion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present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We reviewed the proposed revisions to the Penal Code and the Mather and Child Health Act of Korea(IV). 헌법재판소가 2012년 8월 23일 낙태죄 규정을 합헌으로 결정한 이후에도 낙태죄 폐지에 대한 논란은 지속되어 왔다. 낙태죄의 존폐논란은 최근에만 일어난 일이 아니라 이미 형법제정 당시부터 있었던 것으로, 대한민국의 근대입법과정과 역사를 같이 한다. 당시 형법제정과정에서 낙태죄의 전면삭제를 주장하면서 수정안을 제출했던 의원들은 사회․경제적 적응사유를 핵심적인 제안이유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이후 개발독재기에도 낙태죄의 폐지가 논의되었으나, 이는 여성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박정희 독재정권의 ‘산아제한’, ‘가족계획’이라는 국책사업과 관련이 있었다. 이후 인공임신중절을 제한적으로나마 허용하는 「모자보건법」의 제정은 유신으로 국회가 해산된 후 입법권을 대신하게 된 비상국무회의에서 1973년 2월 8일 이루어졌고, 1973년 5월 10일부터 시행되었다. 그나마 일부라도 낙태의 합법화를 포함하는 「모자보건법」이 가능했던 배경은 당시 유신독재가 어떠한 이견도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종교계에서도 반대 의견을 표명하기 어려웠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제정된 「모자보건법」은 지금까지 약간의 수정만을 거치며 그대로 유지되어왔다. 낙태죄 존폐론의 논거들도 형법제정 당시와 큰 차이 없이 그대로 평행선을 달려왔다고 볼 수 있다. 2012년 8월 23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서도 합헌의견과 위헌의견이 4:4로 팽팽하게 맞섰었다. 다만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을 위한 정족수를 채우지 못하여 합헌으로 결정하였다. 이 낙태죄 폐지 논쟁은 이번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결정으로 일단락되었고, 국회는 새로운 입법이라는 과제를 부담한다. 즉 국회는 적어도 2020년 12월 31일까지 개선입법을 이행하여야 하고, 그때까지 개선입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낙태죄조항들(「형법」 제269조제1항, 제270조제1항)은 2021년 1월 1일부터 효력을 상실한다. 따라서 아래에서 우선 형법상 낙태죄 규정에 대한 헌법재판소 헌법불합치 결정의 논거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II), 과거의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논증구조와 어떠한 점에서 차이를 가지는지, 그리고 헌법재판소 헌법불합치 결정에서 나타난 쟁점을 무엇인지를 검토한 후(III), 헌법재판소가 제시한 기준에 따른 입법재량의 범위 안에서 입법방향과 이미 제출된 「형법」과 「모자보건법」의 개정안에 대하여 검토(IV)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