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The Theatre of Difference in The Buddha of Suburbia: Focused on Gilles Deleuze`s concepts of Difference, Repetiton and Dramatization

        ( Hyun Sook Oh ) 한국영어영문학회 2015 영어 영문학 Vol.61 No.1

        This paper explores ways of rethinking difference, in particular racial difference, in Hanif Kureishi’s novel, The Buddha of Suburbia,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Gilles Deleuze’s conceptions of difference itself and dramatization. In the novel, the protagonist Karim, as a mixed-race of Pakistani father and English mother, is forced to recognize his racial identity as a negativity in London, where mass immigration has left hybridizing marks everywhere. On a quest for his identity, Karim remarks, “I am an English man born and bred, almost.” His self-recognition of identity implies an incompletion of identity, as suggested by the nuance of the word “almost.” However, from Deleuze’s perspective of difference itself and dramatization, Karim, as a theatre actor, repeats his identity differently and comes to affirm his difference as a plethora of differences rather than as the negativity of identity as a non-whiteness. Throughout this paper, I argue that Deleuze’s approach offers more potentialities for the study of difference than Homi Bhabha’s “difference within” and “hybridity,” which is still trapped in difference between black and white. It is my contention here that we need to look beyond identity as a centralised or organisational force, and rather to the creative process of affirmation through difference.

      • KCI등재

        회계이익과 세무이익의 차이와 이익의 질

        김영철,고종권 한국세무학회 2011 세무학 연구 Vol.28 No.4

        We examine the information content of temporary difference of book-tax difference toward earnings quality. Our perspectives are, first,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magnitude of temporary difference and, earnings quality, earnings persistence, predictability and income smoothing. Second, we follow the prior literature that reports positive relation between higher earnings quality and,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ERC) and futur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 (FERC)(Collins and Kothari, 1989;Tucker and Zarowin, 2006). Our research period is from 1999 to 2007 and we analyze 3,192 firm-year data of companies traded in KOSPI market. Ou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er temporary difference have propensity to decrease earnings quality, earnings persistence, predictability and income smoothing. Second, higher temporary difference tend to lower ERC and FERC. Additionally, we find that earnings quality properties, ERC and FERC of the group with high temporary difference are lower than those of the group with low temporary difference. Also, the results are supported in, not only the group with positive temporary difference, but also the group with negative temporary difference. It implies that without regard of the sign,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higher temporary difference decrease the quality of accounting income, and temporary difference is useful indicator for measuring earnings quality. We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by examining the usefulness of temporary difference toward earnings quality with broad perspective. For investors, our result will promote the use of temporary difference data in the disclosures. 본 연구의 목적은 회계이익과 세무이익의 차이 가운데 일시적 차이를 중심으로 다양한 관점에서이익의 질과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이익의 질에 대한 일시적차이의 정보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관점에서 이익의 질에 대한 일시적차이의정보효과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일시적차이의 절대값과 발생액의 질, 이익지속성, 예측가능성, 이익평준화 지수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이익의 질에 대한 일시적차이의 정보효과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 이익의 질이 높을수록 이익반응계수(ERC)와 미래이익반응계수(FERC)가 높다는선행연구(Collins and Kothari, 1989;Tucker and Zarowin 2006)를 토대로 일시적차이와 ERC와FERC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주가-이익반응을 이용하여 이익의 질에 대한 일시적차이의 정보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1999년부터 2007년까지 12월 결산 주권상장법인 가운데 비금융업에 속하는 총 3,182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일시적차이가 클수록 발생액의 질, 이익지속성, 예측가능성, 이익평준화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일시적차이가 클수록 이익반응계수와미래이익반응계수가 모두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일시적차이가 큰 집단이 작은집단보다 이익의 질적 속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익반응계수 및 미래이익반응계수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시적차이가 양(+)의 값을 갖는 집단과 음(-)의 값을 갖는 집단에서모두 일시적차이가 클수록 이익의 질적 속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익반응계수 및 미래이익반응계수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량적 일시적차이가 비재량적 일시적차이보다 이익의 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호와 관계없이 일시적차이가 클수록 회계이익의 질이 하락함을 의미하며, 일시적차이가 이익의 질을 나타내는 유용한 지표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렘 콜하스 건축 디자인에 나타난 공간 경계의 차이 연구

        김소영 ( Kim Soyoung ),이대겸 ( Lee Daegyeo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건축가들은 새로운 공간 형성을 위해 기존의 관습적 방법에서 벗어나기 위해 모색하고 있다. 공간 형성에 대한 공간 경계에 대한 탐구는 건축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나 외부사이의 경계 공간 및 다양한 공간 생성에 관련되어 있다. 또한 공간에서 현대 건축가들이 추구하는 소통을 위한 공간의 역할이 증가 하고 있으며, 현대의 건축에 있어서 공간 경계의 해석을 통한 다양한 공간 생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서 바라 볼 때 렘 콜하스의 건축은 불확정성의 독창적인 공간을 보여주고 있으며 공간 형성에 있어서 철학적 사고를 통해 공간의 다양성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렘 콜하스의 건축은 들뢰즈 철학의 ‘차이 ’개념을 통해 공간 형성의 불확정성, 탈중심성, 탈영역성의 리좀 구조로 나타난다. 렘 콜하스 건축을 살펴보면서 차이의 공간 생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것은 건축가와 사용자에게 연속면의 유동적 흐름의 구조, 리좀적 구조의 비위계성, 사건에 의한 잠재성의 내재적 시간성을 담고 있다. 이것은 낯설지만 참신한 공간으로 인식되며 소통의 공간이 된다. 이러한 불확정성의 리좀적 공간 경계 개념을 들뢰즈 차이의 철학을 기반으로 렘 콜하스 건축을 통해 공간 경계의 구축적 구성 방법을 파악하고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먼저 렘 콜하스 건축을 인식적 관점으로 공간 경계를 파악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 자료조사를 바탕으로 들뢰즈의 차이 개념을 정리하고, 들뢰즈의 차이에 철학적 개념으로 렘 콜하스 건축에 나타난 공간의 경계적 특성을 도출한다. 도출된 경계의 특성으로 렘 콜하스의 건축으로 분석하여, 렘 콜하스 건축의 공간 경계의 차이로 결과를 이룬다. 경계의 차이 특성 파악하여 공간 구성과 공간 경계 인식의 활용 방안을 연구의 기대효과로 제시한다. (결과) 렘 콜하스의 건축에 나타난 공간 경계의 차이 특성은 공간 경계 요소와 들뢰즈의 차이 이론을 바탕으로 유연성과 차이, 비위계성과 차이, 잠재성과 차이로 도출 하였다. 렘 콜하스 건축의 특징인 불확정성의 공간을 만드는 구체적인 특성을 렘 콜하스 건축을 차별적이고 독창적인 공간의 차이로 파악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로 본 연구는 현대 건축에서 나타나고 있는 공간 생성과 낯선 새로움을 보여주는 렘 콜하스 건축을 통해 현대 건축에서 나타나는 불확정성과, 탈중심성, 탈영역성의 철학적 사유와 공간 경계의 차이에 개념을 통해 파악하였다 첫째, 유연성과 차이는 유동적 흐름의 선의 사유에 의한 탈영역성을 나타내고 둘째, 비위계성과 차이는 리좀에 의한 공간 확장의 탈중심성이 나타나며 셋째, 잠재성과 차이는 사건에 의한 무한 생성에 불확정성이 나타난다. 이에 새로운 공간 창출을 위한 다양하고 끊임없는 지각작용으로 유연하고, 비위계적이며, 잠재성의 공간 표현이 가능하며, 이러한 공간 경계에 대한 인식적 연구가 현대 건축가들이 설계자와 사용자간의 지각과 인식의 확장과 건축의 구축적 차이로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architects are seeking to break away from conventional methods to create new spaces. The exploration of spatial boundaries for spatial formation is concerned with the generation of various spaces and boundary spaces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areas as well as the surface architecture. In addition, modern architects are increasingly giving importance to the role of space in communication. In modern architecture, various types of space creation is required through interpretation of spatial boundaries. In line with these demands, Rem Koolhaas' architecture shows the original space of uncertainty and expresses the diversity of space through philosophical thinking in the formation of space. Rem Koolhaas's architecture is also understood through the concept of "difference" in Deleuze philosophy, as a rhizome structure of uncertainty, decentralization, and de-regionality of spatial formation. We would like to explore Rem Koolhaas’s architecture to examine space creation based on differences. It uses the structure of continuous flow, the non-criticality of the rhizome structure, and the inherent temporal nature of event-induced potential. It is perceived as an unfamiliar but novel space and becomes a space for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concept of uncertainty is to identify and present the constructive composition of spatial boundaries through Rem Koolhaas’s architecture based on the philosophy of Deleuze Difference. (Method) First, to identify spatial boundaries from an epistemological perspective, we summarize Deleuze's difference concept based on prior research, literature, and data investigation, and derive the boundary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shown in Rem Koolhaas’s architecture as a philosophical concep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rived boundaries are analyzed, revealing differences in spatial boundaries of Rem Koolhaas’s architecture. (Results) The difference characteristics of spatial boundaries in Rem Koolhaas's architecture are derived from flexibility and difference, non- hierarchy and difference, and potential difference based on the difference theory of spatial boundary elements and Deleuze. The specific characteristic of Rem Koolhaas’s architecture, which creates a space of uncertainty, is identified as a difference in the differentiated and original space. (Conclusion) The results revealed differences in the philosophical reasons and spatial boundaries of uncertainty, decentrality, and deregionality in modern architecture through Rem Koolhaas’s architecture, which shows spatial generation and unfamiliar novelty. First, flexibility and difference represent deregionality due to flow. Second, non-criticality and difference exhibit de-centrity of spatial expansion by the rhizome structure. And third, potential and difference show uncertainty in infinite generation by event. Therefore, various and constant perceptual actions to create new spaces allow for flexible, non-critical, and potential spatial representation. We hope that the cognitive study of these spatial boundaries will be studied by modern architects as architectural differences.

      • KCI등재후보

        부동산 교환차액 관련 취득세 과세표준에 관한 고찰: 대법원 2019. 11. 28. 선고 2019두45074 판결을 중심으로

        류지민 한국지방세학회 2020 지방세논집 Vol.7 No.1

        최근 대법원은 교환계약 당사자 일방이 본인 소유의 높은 가치의 부동산을 상대방의 낮은 가치의 부동산과 교환하는 동시에 교환차액을 증여한 사안(대법원 2019. 11. 28. 선고 2019두45074 판결, 이하 ‘대상판결’이라 한다)에서, 교환차액은 증여한 것이며 당사자 일방이 취득하는 데 들은 비용이라고 볼 수 없기 때문에 그 취득세 과세표준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시한 바 있다. 대상판결은 부동산 교환계약에서 그 교환차액이 증여된 경우 이를 취득세 과세표준에 산정할 것인지에 관하여 대법원이 최초로 입장을 밝힌 의미 있는 판례라고 할 수 있다. 대상판결 이전에는 위와 같이 ‘교환차액’을 증여의 목적으로 하는 거래를 단순히 가치가 서로 다른 교환 목적물 간의 1 : 1 교환으로 보고, 가치가 높은 목적물과 낮은 목적물 중 어떤 것을 취득세 과세표준으로 삼을 것인가의 평면적인 논의가 있었을 뿐이다. 대상판결 사안에서 하급심 판결은 교환거래 시 증여의 대상이 된 교환차액이 취득가격에 반영되는 것을 부정하였지만, 대법원은 증여 약정의 대상인 교환차액이 취득가격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판시하였다. 보충금을 수반하는 교환의 경우 그 보충금을 취득세 과세표준에 반영(차감)하는 것으로 실무상 정리된 것과는 달리, 교환차액이 증여의 대상이 되는 경우 과세표준에 반영할 것인지의 문제에 대한 조세심판원 결정이나 행정해석의 입장은 정립되지 않은 상태였다. 보충금 지급의 특약이 있는 교환에서, 보충금에 관하여는 매매대금에 관한 규정이 준용되고 보충금부 교환은 교환과 매매의 혼합계약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보충금의 법리를 반영하여 보충금을 지급한 당사자에 대하여는 보충금을 비용으로 보아 취득가격에 포함시키며, 보충금을 받은 당사자에 대하여는 이를 비용으로 보지 않고 따라서 취득가격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현재의 실무이다. 교환과 동시에 교환차액을 증여하는 약정을 하는 경우, 이는 앞에서 본 보충금을 수반하는 교환과 법률적으로 유사하다. 즉 교환차액을 증여하는 때에도 보충금을 수령하는 교환거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교환차액을 직접비용으로 볼 수 없으므로 취득가격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상당하다. 즉 높은 가치의 부동산 소유자가 교환으로 낮은 가치의 부동산을 취득할 때에, 해당 교환차액을 보충금으로 수령하든 또는 증여하든 간에, 교환차액은 취득세 과세표준에 포함되지 않는다. 대상판결은 부동산 교환거래 당사자 간에 대등액의 범위를 초과하는 감정평가 차액을 증여하기로 약정하는 경우, 감정평가 차액에 관하여 별도의 증여계약이 성립하고 따라서 취득세 과세표준 산정시 감정평가 차액이 취득가격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이는 보충금을 수반하는 교환계약 사례, 즉 가치가 높은 부동산 소유자가 가치가 낮은 부동산을 교환으로 취득하면서 그 교환차액을 보충금으로 수령하는 경우 보충금을 과세표준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과 같은 결론으로 타당한 판단이라고 생각된다. 대상판결은 교환차액의 취득세 과세표준 산정 방식과 관련하여 상당한 기간 동안 주먹구구식으로 시행되어 온 지방세 실무행정 관행에 대하여 합리적인 방향을 제시한 판결이라고 할 수 있다. The Supreme Court of Korea recently ruled in its 2019Du45074 Decision on Nov. 28, 2019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arget decision') that the exchange difference in the case at issue is a gift, not being included in the acquisition tax assessment standard, because the exchange difference is not considered to be the cost of the acquisition tax. The target judgment is a significant case in which the Supreme Court first expressed its position on whether to base the transaction on the acquisition tax assessment when the exchange difference is being granted in a real estate exchange contract. Prior to the decision, there was only a discussion of 1:1 exchange between exchange real property of different values regarding a tax base for acquisition taxes, without consideration of its price difference. While the lower court's ruling included the exchange difference subject to the gift in the acquisition price in the exchange transaction,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the exchange difference is the subject of the separate gift agreement and therefore should be deducted in the acquisition price. For exchanges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the payment of a supplementary disbursement, the civil law provisions concerning the purchase and sale of the supplement could be applied, and the payment of the supplement can be regarded as a hybrid contract of the exchange and the sale. In the exchange transaction, it is a current practice not to include the supplement as an expense to the party who receives the supplement. The case of an arrangement to donate the exchange difference is similar to an exchange involving a supplement in terms of the legal structures. Therefore it is not appropriate to include the exchange difference being donated in the acquisition price, because in the same way as receiving a supplement, the difference cannot be regarded as a direct expense. That is, when a high-value property owner acquires a low-value property in exchange, the exchange difference is not included in the acquisition tax standard, whether the exchange difference is received as a supplement or given. According to the target judgment, when the parties to a real estate exchange transaction agree to give an appraisal difference exceeding the range of equal amounts, a separate donation contract is established for the assessment difference and therefore the valuation difference is not included in the acquisition price for calculating the tax basis of acquisition tax. The target judgment provides a reasonable direction for the practice of local tax administration in respect of calculation of the standard of acquisition tax on the exchange difference.

      • KCI등재

        탈근대 담론의 '차이의 선'에 대한 계보학적·윤리적 연구 : 크리스토프 멘케의 미학적 담론을 중심으로

        김동규(Kim Dong-Gyu)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12 사회와 철학 Vol.0 No.23

        이 글의 목적은 탈근대 담론의 전제가 되고 있는 '차이의 선'의 의미와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이 글은 특히 '차이의 선'의 확립 과정이 미학의 성립 과정과 연동되어 있다는 테제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이 작업을 통해서 탈근대담론의 계보학적 뿌리는 물론이거니와 근대 이래로 부단히 지속되어 온 '철학의 미학화' 과정의 의미와 '미학의 (윤리/정치) 철학적 의미'를 새로운 반성적 지평에서 조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차이의 선을 산출하는 원천이 결국 (이성적 주체만이 아닌 감성적 인간의) '자유'임을 밝힐 것이다. 추가적으로 '차이의 선'의 한계는 바로 '자유' 개념의 '서양적 한계'에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근대에 이르러 감각적인 것(미학적인 것)은 더 이상 거짓과 오류의 원천이 아니라, '또 다른 선'으로 등장한다. 미학적인 것은 규정할 수 없는 어두운 힘이지만 실천적 주체를 변형시키는 위력으로 이해된다. 미학은 이런 위력이 현상하는 장소로 출발한다. 이런 점에서 미학은 근대의 산물이다. 그리고 근대의 미학화의 과정은 선의 분화 과정, '선의 차이화' 과정으로 명명될 수 있다. 그러나 '선의 차이'는 한 순간 '차이의 선'으로 전도된다. '선의 차이'를 '차이의 선'으로 전복시킨 사람이 바로 니체다. 선의 차이화로 말미암아 더 이상 통일적인 '선'을 말할 수 없게 될 때, 차이의 생성은 일단 조건 없이 긍정될 수밖에 없다. 차이는 "선악의 저편"에서 실천적 주체를 변형시키는 미학적 힘이기 때문이다. 이런 전복적인 변화의 핵심부에는 인간에 대한 상이한 존재이해가 놓여있다. 즉 근대에 인간이 '이성적 주체'로 이해 되었다면, 탈근대적 인간은 '미학적 존재'로 이해된다. 이런 계보학적 탐구를 통해서 볼 때, 탈근대 담론은 이성적 자유만이 아닌 감각의 자유, 미학적 자유를 추구하는 담론이며 그런 담론이기에 '차이의 선'을 핵심 모토로 삼을 수 있었다. 하지만 '차이의 선' 역시 서구적 자유개념의 연장선상에 있다. 결국 '차이의 선'은 외관상 타자성을 극대화시킨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 서양의 자기-중심-자유론, 그것의 최신 버전일 뿐이다.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is to consider genealogically significances of the goodness of difference, which postmodernism has presupposed. The thesis, that I would like to focus on specially, is that the goodness of difference related to the birth of aesthetics. Through this study, I will analyze a philosophical sense of the autonomic aesthetics as well as a meaning of the inevitable aestheticization of philosophy in postmodernism. Finally I hold that the deepest ground of the goodness of difference is the human's freedom which belongs to the aesthetic being as well as to the reasonal subject. In addition, I will suggest that the limit of the goodness of difference is that of the occidental freedom concept. One didn't consider the sensible(aesthetic/aisthesis) thing as the other goodness until modern times. Instead it had been regarded as the source of the fallacy and mistake. In the modern age, aesthetic things are understood as the power that can transform practical subject, in despite of their undefined dark force. Aesthetics starts as the place where this force emerges. And the process of the modern aestheticization can be named as the process of the differentiation of the goodness. But the process of the differentiation of the goodness could not be recognized clearly from the beginning, because the aesthetic could not be recognized directly as the ethical/practical goodness. Therefore it was called as autonomy of the aesthetic. In postmodernism, the difference of goodness has been transformed dramatically. In a moment, the difference of goodness was reversed as the goodness of difference. Man expected the unified goodness, i.e supreme goodness, but this turned out to be hopeless after Hegel's philosophy. Nietzsche is the first philosopher who reversed the difference of goodness. After the independence of aesthetics, aesthetic things became not only the other goodness, but man also manifested the sovereignty of the aesthetic. The history of aesthetics is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of the practical goodness, and at the same tim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f the goodness of difference. While human being was understood as a rational subject in modern, it is understood as a aesthetic being in post-modern. But both of them presuppose the freedom, which is the necessary condition of the rational and aesthetic being as well. Postmodernism requests us not only the rational freedom but also the aesthetic freedom. Therefore the goodness of difference is in fact the latest version of the occidental self-centric freedom, although it seems to be not.

      • KCI등재

        <완득이>에 나타난 다문화 사회에서의 “차이” 형상화 연구

        이영아 ( Young A Le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2 No.-

        다문화 사회는 다양한 존재들이 만들어 내는 삶의 모습이 공존하기 때문에 동질화되기 어렵다. 그래서 ‘차이’는 강조된다. 그런데 그 ‘차이’는 전통적인 존재론을 극복하기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차이’에는 모든 경험적 나타남을 가능케 해주는 근원적 요소가 잠재되어 있어 더욱 존중된다. <완득이>에서는 존재, 사물, 단어 등 모든 것이 ‘차이’가 있고 그 차이가 파편화되지 않고 소통한다. 먼저 교회는 이미 고정화된 장소가 아니라 인식 안에서 탈주하여 이주노동자들의 쉼터가 되고, 댄스 교습소가 되어 하나의 의미로 규정되지 않는 ‘아토포스적’ 공간이다. 또한 등장인물들의 타자를 배려하지 않는 솔직한 말투, 비속어 등의 ‘욕설’은 상대를 기분 나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유머의 정서를 형성하고 오히려 차이들과 소통할 수 있는 단어가 된다. 뿐만 아니라 이웃에 대한 관심과 애정의 표현이자 공동체의 따뜻한 정의 표현인 ‘폐닭’도 소통의 기능을 하는 단어로 의미화 한다. 한편, 이 작품에서의 등장인물들은 나이와 국적을 불문하고 차이를 가진 존재들로 서로에게 영향을 주어 상호주체성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완득은 아버지의 통념대로 살지 않고, 자신의 적성에 맞는 일을 선택하게 되고, 완득의 아버지는 완득이 자기의 일에 열정을 다하는 모습을 보며 반성적인 주체가 되어 완득의 삶을 인정한다. 완득의 어머니는 국제결혼을 한 불쌍하고 힘없는 존재가 아니라 어머니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당당하게 행사할 줄 아는 주체적 인물로 재현되고, 완득은 어머니의 당당함으로 주체적 삶에 더 가깝게 다가가게 된다. ‘똥주’는 학교 선생님이지만 이주노동자를 위해 일하는 인권노동자, 이웃과 더불어 살려는 주민, 학생들의 눈높이를 맞출 줄 하는 교사 등 다양한 모습으로 현시된다. 이렇듯 <완득이>에서는 등장인물들에게 내재해 있는 ‘차이’가 타자화되지 않고 주체가 되고, 이 이질적인 항들이 소통하여 등장인물들이 상호주체임이 증명된다. Multicultural society is difficult to become homogeneous because of the coexistence of plentiful reality and various existence. Therefore ‘difference’ is emphasized. ‘Difference’ is important in order to overcome the traditional ontology and is respected since it contained intrinsic factors to be able to reveal every experience. ‘Difference’ is manifold. In 『Wandeuki』existences, objects, words etc everything has ‘difference’ and ‘difference’ makes manifold by itself. In this novel church is not fixed space. Sometimes it is a shelter for foreign labors and sometimes become dancing studio. Church is a ‘Atopos’ space. The words such as explicit language, abuse, slang of characters don`t offend people. On the contrary these words work as communication language and reveal the ‘difference’. The characters, meanwhile, play roles forming mutual identity regardless of age and nationality. Wandeuk doesn`t live to his father`s will and go his own way. Wandeuk`s father admits his son`s life since he sees Wandeuk`s passion. Wandeuk`s mother, who married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is not a pitiful and weak existence but an independent one who exerts her rights and obligation proudly. Wandeuk accepts his mother as she is. ‘Ddongju’, Wandeuk`s school teacher, has various chatacters such as human rights activist for foreign labors, citizen living with neighborhood and teacher understading students words. Likewise, the difference itself of characters become not otherness but subjectivity and shows that each character is mutual identity through change and communication among difference. In conclusion, a role model of multi-cultural society that suggested in 『Wandeuki』is the one as a mutual identity who recognizes the othernized ‘difference’ hidden in oneself and the ‘difference’ of the others.

      • KCI등재후보

        들뢰즈의 차이 개념에 관련한 여성주의 재정립 가능성

        신지영 한국여성철학회 2007 한국여성철학 Vol.7 No.-

        This paper is written so as to answers to the question that the feminist camp asks to the philosophy of Deleuze in regards to the concept of Difference. This concept is so important both to Deleuze and the feminist theory that its comprehension could bind or not these two camps. Difference as a philosophical concept can be used for minorities to fight against fascist positions because this concept is engineered with the power of deconstruction. However, as we can infer easily, this concept is auto-deconstructed. That is to say, this concept is useful to break up the fascist theories but it also dismantles the basis of minor theory. And there exists paradoxal point of the concept of Difference, which is to be unraveled especially for feminist theory. So, the relation of feminists with Deleuze or Deleuzian philosophy is not so simple. Feminist such as Rosi Braidotti is a good exemple critically adopting Deleuze. She criticised that in Deleuze the sexual difference is one of the other differences, while she considers it as most important structural and critical difference among others. She reaches a compromise at the point where she can maintain her positions of feminist and deleuzian, and she considers this method as the best solution to save feminism in the middle of the postmodern times. Our debates begin just at this point : "Could we save feminism with the concept of Difference?"; "Saving feminism, is it ultimately good thing for feminism?" We think that this is the fundamental and radical question to be solved in the area. We begin considering the compromising concept of difference in Braidotti, conclude that this concept is not properly that of Deleuze in itself, and that Deleuzian difference does not agree with another center such as feminism in spite of its minor position. And we try to redefine feminism with deleuzian difference as war machine, which fight against any centripetal mouvement without interrupt. If we redefine feminism as war machine, it is not necessary to worry about its annihilation. This feminism would be more fighting outward and more solidary inward.

      • KCI등재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발표가 지역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 : 이중차이분석(Difference-in-Difference Analysis)을 이용한 올림픽 개최 효과 검증

        허찬현(Hur, Chan Hyeon),김기한(Kim, Kihan)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20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발표가 개최 지역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올림픽 개최 발표가 있었던 2011년 전 · 후의 부동산 가격 변동을 2009년부터 2017년까지의 강원도 내 모든 행정구역에서 거래된 182,391건의 아파트 실거래가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올림픽을 개최한 강원도의 총 18개 행정구역 중 올림픽 경기가 개최된 강릉시, 평창군, 정선군과 올림픽을 계기로 KTX 고속철도 노선과 정류장이 신설된 원주시와 횡성군을 포함한 5개 행정구역을 올림픽의 수혜 지역으로 구분하였고, 그 밖의 13개 행정구역은 비수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올림픽 개최 발표 전 · 후의 아파트 실거래 가격의 차이를 수혜 지역과 비수혜 지역으로 나누어 평균값의 변동을 단순 비교한 분석과 이중차이분석(difference-in-difference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올림픽 개최 발표 이후 수혜 지역과 비수혜 지역의 아파트 실거래 가격이 모두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올림픽 개최 발표가 올림픽 수혜 지역의 아파트 실거래 가격의 상승에 미친 영향이 비수혜 지역 대비 유의미한 수준으로 컸음을 보여주었다. 즉, 시간이 지남에 따른 자연적 가격 상승과 올림픽 개최 발표와 무관하게 수혜 지역과 비수혜 지역 사이에 존재하는 본질적 차이를 제거한 이후에도 올림픽 개최 발표가 수혜 지역의 부동산 가격 상승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의 학술적, 실무적 의미와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valuates the influence of PyeongChang 2018 Olympic Winter Games’ bid announcement on the real estate prices of the host regions. The fluctuations in real estate prices around 2011, when the bid announcement was held, were analyzed using 182,391 apartment transaction price data found in all administrative districts in Gangwon Province from 2009 to 2017. Among the total of 18 administrative districts in Gangwon Province, five administrative districts, including three Olympic host areas: Gangneung City, PyeongChang County and Jeongseon County, and two others: Wonju City and Hoengseong County, where KTX high-speed railroads and stations were newly established, were considered as the benefited areas (treatment group) by hosting the Olympics, while the rest of the 13 districts as non-benefited areas (control group). Simple cross-sectional analyses to separately compare the difference of the apartment transaction prices before and after the Olympic bid announcement in each treatment and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in-difference model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dicate that the apartment prices in both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specifically the impact of the Olympic bid announcement on the apartment prices in the treatment group was more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apartment prices of the treatment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even after eliminating the essential difference that had already existed before the Olympic bid announcement betwee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regardless of the natural price increase and the impact of the bid announcem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비감사서비스가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일시적 차이에 미치는 영향 : 국제회계기준도입 용역서비스를 중심으로

        박재홍,배지헌,이호영 韓國公認會計士會 2009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0 No.-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이 동일 기업에 대하여 감사와 비감사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회계이익과 과세소득의 일시적 차이(이익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비감사서비스의 유형 중 최근의 회계환경 변화에 따라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국제회계기준도입 용역서비스가 기업의 일시적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2007년부터 2008년까지 2년 동안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결과에 따르면, 비감사서비스 보수의 수준 및 전체 보수에서 차지하는 비감사서비스 보수 비율은 기업의 일시적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감사서비스를 유형별로 세분화한 분석에서 세무자문서비스는 기업의 일시적 차이에 음(-)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제회계기준도입 용역서비스는 양(+)의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세무자문서비스의 경우 회계감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감사인의 독립성을 저하시키기보다 감사인의 전문성을 증가시켜 기업의 일시적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국제회계기준도입 용역서비스의 경우 최근 회계법인의 중요한 신규 수입원 중 하나이므로 감사인의 독립성을 저하시켜 일시적 차이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금융감독원 및 한국공인회계사회에서 제시하는 ‘자기검토위협을 통제할 수 있는 적절한 안전장치를 구비한 경우 자문수준의 국제회계기준도입 용역을 감사대상법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규정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시행세칙의 정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동일 감사인에 의해 제공되는 비감사서비스 유형 중 국제회계기준도입 용역서비스가 기업의 일시적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adoption of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IFRS) cause various practical issues on recent accounting atmosphere. As one of important issues, IFRS introduction advisory service could be controversial in auditor independence perspective. IFRS introduction advisory service became lucrative revenue source for audit firms due to relatively big amount of payment, leading audit market to be severely competitive. IFRS introduction advisory service, however, has two contradictory aspects in auditor independence view. On one hand, IFRS introduction advisory service could enhance auditor expertise because it enables auditors to understand audited company more thoroughly. On the other hand, however, IFRS introduction advisory service could impair auditor independence due to economic dependence on audited company. This paper examines whether auditors can affect the book-tax temporary difference(a proxy for earnings management) of audited companies if non-audit service was concurrently provided with audit service to audited companies.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whether IFRS introduction advisory service can affect the temporary difference(earnings management) of audited company. The study sample is composed of 773 firms with both audit service and non-audit service,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KSE) and Korean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s(KOSDAQ) in 2007 and 2008. Of those samples, 59 companies are classified as those that have received IFRS introduction advisory services from their auditors while 714 companies are classified as those that have not. This study uses four regression model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four aspects of non-audit services and the book-tax difference. These four non-audit services include the natural logarithm of total non-audit fees (NAF), the natural logarithm of fees paid for tax consulting (TAX), the natural logarithm of fees paid for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and the natural logarithm of other fees than the fees mentioned above (OTHERS).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control variables include cash flows from operating activities scaled by total assets (CFO), the natural logarithm of total assets (SIZE), leverage ratio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total liability to total assets (LEV), an indicator representing a Big 4 auditor (BIG4), the ownership by primary owners (OWN), the ownership by foreign investors (FOR), a firm growth measured as asset growth (GROW), and a measure of capital intensity (CAPINT). As additional analyses, this study als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non-audit services and the direction of earnings management by separating the sample in terms of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earnings.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ation, level of non-service fee and the ratio of non service fee occupying in the revenue from audited company can't effect on temporary difference(earnings management) of audited company. In addition to, tax consulting service fee which is kind of non-audit service can significantly have negative effect on temporary difference(earnings management) of audited company and IFRS introduction advisory service can significantly have positive effect on temporary difference(earnings management) of audited company. Because of close relation with auditing, the result of tax consulting service is interpreted that tax consulting service increases specialty of auditor rather than impairs the independence of auditor. However, the result of IFRS introduction advisory service is interpreted that IFRS introduction advisory service impair the independence of auditor to effect on temporary difference(earnings management) of audited company because IFRS introduction service which is the major revenue source of accounting firm. This paper contributes two things compared to prior studies. To begin with, we examine IFRS introduction advisory service independently from non-audit services. Prior studies mainly classify non-audit services into tax consulting service and other service. By separating IFRS introduction advisory service from other non-audit service, the results could provide policy makers with insights whether IFRS introduction service could be concurrently provided with audit service or not. In addition, we use the temporal book-tax difference as an earnings management measure. Most of prior studies use discretionary accruals as a measure of auditor independence. However, as we know, the measurement error problem of discretionary accruals has been stated in many prior studies. Compared to discretionary accruals, book-tax difference is relatively free from measurement error. The rationale for book-tax differences comes from the less lenient regulations of tax codes in Korea compared to financial accounting principles. If firms manage the book income upwards without affecting the taxable income, such management would be reflected in the tax footnotes of financial statements. Taxable income could serve as a benchmark for the quality of book income which can be managed more easily. Temporal book-tax differences are measured as discretionary components of book and taxable income.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that regulatory bodies need to revisit the current regulations on the restriction of non-audit services. Some of the restricted non-audit services may not lower the quality of earnings while some of the permitted non-audit services have a negative effect of earnings quality without proper safeguards. In order to maintain the independence of auditors, detailed practical guidelines for safeguards can be considered. With the introduction of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 (IFRS), we expect the auditing industry in Korea will experience a dramatic change pertaining to non-audit services. This is because of the change in primary financial statements from individual to consolidated statements. With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udit

      • KCI등재

        박서보의 묘법 : 반복이 만든 차이의 미술

        박정애 한국미술이론학회 2021 미술이론과 현장 Vol.- No.32

        이 논문은 미술가 박서보(朴栖甫 1931-)의 《묘법》에 내재된 예술적 의도와 실천의 과정을 프랑스의 철학자 질 들뢰즈의 이론으로 해석한 글이다. 추상적인 《묘법》의 선들은 목적 없는 반복에 의해 만들어진 표현적 특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표현적인 미술을 생산하기 위해 박서보는 반복 행위를 통해 마음을 비우길 시도한다. 이와 같은 자의식의 제거를 뜻하는 마음의 비움이 들뢰즈에게는 기관 없는 몸이다. 자아가 해체된 기관 없는 몸이기 때문에 그것은 목적을 가지지 않는 반복 행위를 수행한다. 따라서 박서보의 목적 없는 반복이 들뢰즈의 ‘개념 없는 반복’이다. 그러한 기관 없는 몸에 새겨진 박서보의 추상의 선들은 강도의 차이에 의해 순수 차이를 만든다. 그것이 바로 들뢰즈가 말하는 개념 없는 반복이 만든 ‘개념 없는 차이’이다. 개념 없는 반복이 강도적 차이 또는 관계적 차이에 의한 개념 없는 순수 차이를 만드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개념 없는 반복이 만든 개념 없는 차이의 미술이기 때문에 그것은 자의식이 관여된 앵포르멜이 추구한 자아 표현과 구별되는 것이다. 박서보가 그의 예술적 생애를 걸쳐 추구하는 ‘묘법’은 바로 이러한 개념 없는 반복이 만든 개념 없는 차이의 순수 표현에 의한 것이다. 박서보의 행동에 내재된 매번 다른 강도가 만든 그러한 순수 표현과 차이를 드러내는 각각의 《묘법》들은 서로 유사하면서도 다르다. 그러한 순수 차이로서의 미술은 또한 들뢰즈가 개념화한 시뮬라크르로 설명이 가능하다. 따라서 각각의 《묘법》들은 또한 차이의 시뮬라크럼이다. 결과적으로 박서보의 예술 실천은 들뢰즈가 설명한 개념 없는 반복이 순수 표현을 통해 개념 없는 차이의 독특성을 획득하는 예술작품을 본질을 증명하는 것으로 말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n interpretation of the artistic intention and the practice process inherent in the artist Park Seo-Bo’s (1941 -) ‘Écriture’ with the theory of the French philosopher Gilles Deleuze. The lines in ‘Écriture’ aimed at expressing the mind are created by his purposeless repetition. In oder to produce such expressive art, Park Seo-Bo tries to empty his mind through repetitive purposeless actions. The emptying of the mind, which means the removal of self-consciousness, is the body without orgrans for Deleuze. Because the ego is a disorganizzed, organless body, it carries out repetitive actions that have no purpose. Therefore Park Seo-Bo’s purposeless repetition is Deleuze ‘repetition without concept.’ Park Seo-Bo’s abstract lines engraved on a body without such an organ make a pure difference by the difference in intensity. That is what Deleuze calls ‘difference without concept’ created by ‘repetition without concept.’ Repetition without concept makes pure difference without concept by intensity difference or relational difference. Since it is the art of difference without concepts created by repetition without concepts,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self-expression pursued by Art Informel, which involves strong self-consciousness. The method of écriture that Park Seo-Bo pursues throughout his artistic life is the pure expression of the difference without a concept created by repetition without a concept. Each of pure expression of écriture made by a different intensity each time inherent in Park Seo-Bo’s actions in similar to and different each time. Art as such a pure difference is also the simulacre concepturalized by Deleuze. Therefore, each Écriture is also a simulacrum of difference. As a result, Park Seo-Bo’s artistic practice can be said to prove the essence of a work of art in which the repetition without concepts acquires the uniqueness through repetition without concepts through pure expression described by Deleu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