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반 논문 : "지혜" 규정을 위한 소고 -지식기반 시대에서 지혜의 변호를 위하여

        이기흥 ( Ki Heung L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인문학연구 Vol.0 No.41

        ``지혜``란 무엇인가?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지혜 연구들에서 제시되고 있는 지혜의 (개념론적 성격의) 규정들은 다양하다. 필자의 관찰에 의하면, 그것들은 대체적으로 삶 운영에 관한 메타적 지식으로서의 지혜, 성격적 특성으로서의 지혜, 행위적 성취로서의 지혜, 균형으로서의 지혜, 이렇게 네 가지로 대별될 수 있을 것 같다. 필자는 먼저 이것들을 테제 중심으로 그리고 그것도 필자에 의해 구성된 문제사적 관계에서의 발전관계의 형식으로 소개하면서, 이에 대한 비판적이고 종합적인 평가를 지혜에 대한 필자의 규정에로 연결시킨다. 지혜의 정의는 한편에서는 인간행위가 지혜로운 행위가 되기 위한 규범적 기준들과 그리고 그러한 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인간활동이 구비해야할 조작적 특성들이 고려되는 가운데 제시된다. 그리고 결국 지혜가 외적/물질적 자원이 아닌 내적/인간 자원의 창조적 사용에 따라 플러스 섬(plus sum)의 결과를 산출하는 그리고 그것도 공정성의 규범을 해치지 않는 유의미한 가치창조 활동의 일종으로 규정된다. 그리고 나서 이러한 지혜의 규정이 경험 과학적 지혜 연구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가 간략하게 언급될 것이다. What is called the thing ``wisdom``? Recent investigations have presented various conceptions of wisdom. According to my observation, the main concepts of wisdom can be mainly classified in four groups: wisdom as meta-knowledge about the life-management, wisdom as personal traits, wisdom as behavioral performances or situated wisdom and wisdom as balance capacity. First I sketch these wisdom concepts and then I, using them critically to my purpose, propose my own conception of wisdom. Considering normative and operative conditions of wisdom, the wisdom or wise action is defined as a kind of plus-sum game which uses creatively various person-internal resources in relation to the life situations, but mainly not or minimal outer resources. And then a short explanation about the theme, how to connect the wisdom concept to the empirical investigation of wisdom, is presented.

      • KCI등재

        지혜의 개념화와 지혜 교육의 방법

        김종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지혜를 개념화하고, 지혜교육의 방법을 제시한다. 방법 지식과 지혜, 그리고 통찰을 정의하고, 동양의 철학 사상을 기반으로 통찰과 지혜를 고찰한다. 철학과 과학의 관점으로 통찰과지혜를 이해하여 지혜의 모습을 설명함으로써 지혜를 개념화한다. 지혜 개념화를 바탕으로 지혜 교육의 방법을 제시한다. 결과 지식과 지혜는 앎이라는 면에서는 같지만 앎의 차원이 다르다. 통찰이 있어야 새로운 관점에서 현상이나 대상을 볼 수 있다. 변화에 대해 불변의 실체 없이 완전히 다르다고 통찰함으로써 십팔계에 계합할 수 있다. 십팔계에 계합한 상태가 지혜이다. 양자 물리학의 창시자들은 미시세계에 대해 통찰함으로써 양자 역학을 창시할 수 있었다. 양자역학적 패러다임은 지혜이다. 지식을 기반으로 통찰하여 지혜로 나아가고, 다시 확장된 지식을 기반으로 통찰하여 더 깊은 지혜로 나아갈 수 있다. 이러한 지혜를 교육하는 방법으로 알아차림 명상을 제안하였다. 다른 관점과 인식 대상으로 지혜의 개념화를 시도하였으나 지혜를 얻는 방법은 알아차림 명상으로 귀결되었다. 결론 지혜를 개념화하고, 알아차림 명상 체험을 기반으로 지혜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지혜 개념화와 알아차림 명상의 관련성을 설명하였다. 이제 지혜교육이 필요하고 시급하다.

      • KCI등재

        지혜 암묵이론의 성차

        김민희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4

        The present research is aimed at to explore the gender differences in implicit theories of wisdom in Korea. Three studies investigated different aspects of gender differences in implicit theories of wisdom. In study 1, participants rated characteristics of wisdom concerning their importance for wisdom. Gender differences are reported in 'moderation and balance' factor and 'sympathetic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ctor. This result suggest a slightly affection and relation oriented view of wisdom in women. Study 2 showed gender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ascribed to a male wise person and a female wise person. 'sympathetic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were rated as slightly more typical for a female wise person. and male participants nominated male wise person more whereas women participants nominated female wise person more. Study 3 showed gender differences in participants' reports of an event in which they were wise. Men most often reported events from their professional life whereas women most reported children-related events. In sum, the findings suggest gender differences in conception of wisdom namely implicit theory of wisdom. Finally, gender difference was discussed from gender-role and gender-specific socialization. 지혜의 암묵이론에서 성차를 조사하기 위해 세 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지혜 관련 특질들이 얼마나 전형적인 지혜 특질인지를 평정하게 하였다. 연구 1의 결과 절제와 균형 요인과 공감적 대인관계 요인에서 유의미한 성차가 나타났다. 여자가 남자보다 절제와 균형, 공감적 대인관계 특질들을 더 전형적인 지혜 특질로 평정하였다. 연구 2에서는 참가자들에게 가장 지혜롭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지명하게 하고, 지명된 지혜자의 지혜를 평정하게 하였다. 공감적 대인관계 요인에서 지혜자 성별에 따른 지혜의 차이가 나타났다. 여자 지혜자의 공감적 대인관계 특질들이 남자 지혜자보다 높다고 평정하였다. 연구 3에서는 자서전적 이야기기법을 활용하여 노년기 성인들에게 살아오면서 자신이 지혜로웠다고 생각하는 사건에 대해 보고하게 하였다. 남자와 여자들이 보고하는 지혜로운 사건 범주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남자들은 직업과 관련된 사건을 가장 많이 보고한 반면, 여자들은 자녀와 관련된 사건을 가장 많이 보고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지혜의 암묵이론의 성차 즉, 지혜 지각에 있어서 남자와 여자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혜의 암묵개념의 성차를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역할 사회화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불교의 ‘지혜’ 도덕성 탐색을 위한 시론

        장승희 ( Jang¸ Seung-h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7

        본 연구는 미래사회를 위해 요구되는 도덕성으로 ‘지혜’에 초점을 두고, 불교의 깨달음 담론에 나타난 지혜의 역할과 추구 방법, 도덕교육적 쟁점들을 탐구하여 지혜 도덕성을 보편화하기 위한 시론이다. 미래학자들은 코로나 이후의 사회에서 직면할 문제 해결을 위해 인간의 ‘제3의 능력’이 필요하며 그 능력으로 ‘지혜’를 제시한다. 불교에서 지혜는 불교의 목적인 해탈과 열반에 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깨달음과 긴밀하게 연관되는 개념이다. 불교에서 깨달음을 의미하는 말은 보디(bodhi)의 음사인 ‘보리(菩提)’이며, 지혜란 ‘반야(般若, pannā)’를 의미하는데, 이 둘은 거의 유사하게 사용되며 여실지견(如實知見)으로 이해된다. 즉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통찰력으로, 개인은 이러한 깨달음을 통하여 인식적 전환을 이룸으로써 이전과는 다른 자아와 세계관을 형성하여 도덕적으로 도약할 수 있게 된다. 초기불교에서 깨달음[지혜]에의 도달 방법으로 제시한 위빠사나와 사마타는 이후 ‘이해’와 ‘마음’의 차원으로 확대되어 불교사상의 전개에 영향을 미친다. 이해가 인식적 전환을 통한 일상적 궁극적 앎과 관련된다면, 마음은 선정 수행을 통한 초월적 앎의 영역과 연계된다. 이 두 차원은 사상사적으로는 초기불교의 합리주의와 선불교의 초월주의로 드러나는데, 도덕성으로서의 지혜는 이해와 마음의 조화, 합리와 초월의 조화를 추구할 필요가 있다. 초기불교에서 인식전환으로서의 앎에 더하여, 선불교의 초월에의 추구는 인간으로 하여금 외경심을 일으킴으로써 도덕적 지향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도덕과 교육과정에서도 중시하고 있는 바이다. 앞으로 지혜 도덕성의 보편화를 위해 다루어야 할 도덕교육적 쟁점을 세 가지로 제시해 보았다. 첫째, 일천제(一闡提, icchantika)의 성불가능성 문제, 둘째, 완전한 지혜에의 도달과 확인 문제, 셋째는 지혜와 자비의 조화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 논의한 지혜 도덕성 탐색은 하나의 시론으로서 아직은 보완해야 할 점들이 많다. 지혜 도덕성 정립을 위해 필요한 후속 과제들은 지혜 도덕성 개념과 구성 요소의 상세화, 도덕성 발달로서 지혜 위계의 구체화, 지혜로운 사람의 특성과 도달 방법 등이다. 최근 서양윤리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혜 연구에서 시사점을 얻을 필요가 있을 듯하다. This study is a trial theory to explore the wisdom in Buddhism and to make this universal in terms of a morality required for future society. To this end, I explore the role of wisdom, the way of pursuit, and moral educational issues in enlightenment. Futurologists predict that our society after Covid-19 will face new and complex problems that are different from before. They present 'wisdom' as the 'third capacity' of man required to solve ethical problems. In Buddhism, wisdom started from the complete wisdom of Buddha as a key concept for nirvana, the purpose of Buddhism. Bori(菩提), the enlightenment, and Banya(般若), the wisdom, are used in almost the same sense; wisdom of seeing the truth as it is (如實知見). We can make a moral leap forward by creating a different self and different world views by making a change of perception through enlightenment. Understanding as a way of reaching enlightenment is related to everyday knowledge, and the mind is linked to transcendental knowledge. These two dimensions are developed into rationalism of early Buddhism and transcendentalism of Zen Buddhism. As morality, wisdom must seek harmony between mind and understanding, rationality and transcendence. In addition to knowledge as a change of perception in early Buddhism, the pursuit of transcendence is important. It is also important i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because it creates an external mind and enables moral orientation. There are three moral education issues concerning wisdom morality. First, it is the question of authorization of complete wisdom; second, the possibility of the holy Buddha of icchantika(一闡提); and third, the harmony of wisdom and mercy. The necessary follow-up research is on the specification of the concept and component of wisdom morality, the embodiment of the hierarchy of wisd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se man, and how to reach that state. Note/Query: this is help required for what purpose? To achieve the follow-up research? To these ends, we need help from the study of the wisdom of Western ethics'

      • KCI등재

        지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사전 설계도: 동양의 지혜담론을 통한 철학적 성찰

        서명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목적 이 논문은 지혜로움과 어리석음의 개념틀 안에서 지혜교육을 위한 설계도를 구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혜로움과 어리석음의 문제를 기반으로 지혜교육의 이론적 위상을 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4단계 지혜교육 과정을 입체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이 연구의목적이다. 방법 이것은 문헌적 고찰을 통한 철학적 탐구 방법이다. 연구자는 동양학에서 추구하는 한자 어원학의 탐구라는 방법론을 통해 지혜와 어리석음의 세계를 탐구하였다. 그리고 이 안에서 연구자는 타일러의 교육과정과 수업의 연구와 개발 모형을 참조하여 지혜교육의 설계도를 만들었다. 결과 타일러 모형대로 지혜교육의 설계도는 지혜교육의 목적, 지혜교육 내용의 선정, 지혜교육 내용의 조직, 그리고 지혜교육의 평가라는 4단계 모형으로 구성된다. 첫째, 지혜교육의 목적은 지혜로운 인간의 양성에 있다. 둘째, 지혜교육 내용의 선정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을 하는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지혜로움은 무엇인가? 어리석음은 무엇인가? 교육과 지혜로움-어리석음은 어떤관계에 있는가? 셋째, 지혜교육 실천가는 지혜교육 내용을 인지적 지혜, 정의적 지혜, 그리고 행동적 지혜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조직해야 한다. 넷째, 지혜교육의 평가는 지혜교육의 목적에 맞게 지혜교육의 수혜자들이 모두 어리석음을 제거하고 지혜로움을 획득하였는가 하는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지혜교육 설계도는 특히 네 가지 단계가 유기적으로 통합되어 선순환하는 구조를만들어야 하는데, 이 속에서 교육과정 얼라인먼트 또는 수업 얼라인먼트는 반드시 교육적으로 숙고해야 하는 핵심 항목이다. 결론 현대교육은 지혜교육을 위한 그 어떤 설계도 없으니 지혜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 지점이 현대교육이가지고 있는 근원적 약점이다. 그러니 지식을 중심으로 설계된 현대교육과 지혜교육이 상호 병진하는 교육구조를 만드는 일이 교육적으로 매우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Objectives This paper is to draft a design for the education for wisdom within the framework of the concepts by wiseness and foolishness.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set of education for wisdom based on the problems of wiseness and foolishness, and to construct a three-dimensional 4-step process of education for wisdom. Methods This is a method of philosophical inquiry through literary review. The researcher explored the world of wiseness and foolishness through the methodology of the exploration of the Chinese character etymology pursued in Eastern Studies. In it, the researcher created a design of education for wisdom with reference to Tyler’s mode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curriculum and instruction. Results Using the Tyler’s model, the design of education for wisdom consists of a 4-step model of the purpose of education for wisdom, the content selection of education for wisdom, the content organization of education for wisdom, a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for wisdom. First, the purpose of education for wisdom is to nurture Homo sapiens. Second, the content selection of education for wisdom is made through the process of answering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wisdom? What is foolishnes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wiseness—foolishness? Third, educators of education for wisdom should organize the content of education for wisdom in three dimensions: cognitive wisdom, affective wisdom, and psychomotor wisdom. Fourth, the evaluation of education for wisdom should be made from the perspective of whether all the beneficiaries of education for wisdom have eliminated foolishness and acquired wisenes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education for wisdom. In particular, the design of education for wisdom requires the perfect integration of the four phases to create a circular structure, in which curriculum alignment or instructional alignment is key item that must be considered educationally. Conclusions It is a self-evident fact that modern education does not carry out education for wisdom because it has no design of education for wisdom. This is the fundamental weakness of modern education. Therefore, the creation of an educational structure in which modern education designed by knowledge-based frame and education for wisdom, are mutually inter-woven, is emerging as a very urgent task in education.

      • KCI등재

        '지혜'의 개념과 과학교사들의 '지혜'에 대한 인식

        임인숙,송진웅,Lim, Insook,Song, Jinwoong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4

        지식 기반사회이자 스마트 시대에 접어든 오늘날, '지혜로서의 과학'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는 과학교육에서 새로운 접근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식교육의 한계를 인식하고 새로운 교육적 대안으로서 '지혜'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먼저 철학, 심리학, 교육학에서의 지혜 관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혜개념의 4가지 영역과 20개의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인식조사 설문지를 제작하여 세 집단(예비 과학교사, 과학교사, 타교과 교사)의 지혜 개념 인식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항들이 속해 있는 지혜의 4가지 영역별 평균을 낸 결과, 세 집단 모두 공통적으로 실제적, 지능적, 정신적, 대인적 영역의 순서대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둘째, 20개의 문항 각각에 대해 평균을 낸 결과,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문항은 '무엇이 중요한 문제인지 잘 포착한다.(문항5)'였다. 셋째, '주변의 지혜로운 사람'의 특징을 묻는 개방형 질문에 대해서는 실제적 영역 다음으로 대인적 영역에 해당하는 응답이 많이 기술되어 첫 번째 연구결과와 대조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응답자의 80% 정도가 학교교육을 통해 지혜가 길러질 수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방법으로 교과지식 위주의 학습적 측면과 교과지식 외의 활동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과학 과목에 등장하는 핵심 개념들 중에서 '지혜'라는 말을 듣고 떠오르는 개념과 그 이유를 적게 한 개방형 문항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네 가지 유형-(1) 해당 개념을 이해하거나 적용하는 데 지혜가 요구됨 (2) 해당개념의 의미에 지혜의 요소가 포함됨 (3) 해당 개념을 만든 사람 또는 만든 과정이 지혜로움 (4) 지혜 계발에 도움이 되는 과학관련 활동 또는 역량-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part of our research project that considers 'Science as Wisdom (SaW)' as a new approach to science education. We presented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wisdom from relevant areas as philosophy, psychology and education, and drew a few educational meanings. We also conducted a survey of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wisdom to obtain implications for a follow-up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service science teachers, and teachers of other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ree groups of participants perceive 'practical' domain of wisdom as most important while 'interpersonal' domain was perceived as least important. Second, all three groups of participants perceive that 'to catch what the most important problem is,' is the most important among 20 elements of wisdom. Third, when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the 'wise people around them', the interpersonal domain followed as the second most frequent response after the 'practical' domain, which was in contrast to our first finding above. Fourth, about 80% of all participants answered that wisdom can be cultivated through school education. Finally, answers to the question asking the scientific concepts related to wisdom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as follows: (1) the wisdom required to understand and apply scientific knowledge, (2) the wisdom included in the meaning of scientific knowledge, (3) the wisdom needed to discover scientific knowledge, (4) the wisdom that can be developed through scientific activities.

      • KCI등재

        고대세계의 지혜의 개념

        유명복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7

        Since the end of the 20th century, wisdom has become the subject of research in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including the concept of wisdom and the components of wisdom, is the main focus. Since wisdom is formed by a cultural environment in which the concept of wisdom is embedded,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research on wisdom is needed. In this study, the concepts of wisdom in the East and the West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cient Greek philosophers thought that wisdom included religion, values, and morality as well as cognitive domains. Compared to the West, in the East, such as India and China, there are views that view wisdom only as pure intelligence and that it is related to emotional parts such as humanity and mercy. In the case of ancient Israel, wisdom refers to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reality with high knowledge and skills, acquiring skills, obtaining moral virtues and establishing strategies. Wisdom offers a sense of the world and laws in which humans live and practical solutions to the big problems of life. In addition, wisdom was closely related to keeping God's law. The concept of ancient wisdom commonly includes moral elements, and knowledge is a component of wisdom, but knowledge is not wisdom itself, and wisdom is understood to be sensible and select knowledge and apply it to real life. 20세기 말부터 지혜가 사회과학, 행동과학의 연구주제가 되었다. 특히 지혜의 개념, 지혜의 구성요소를 비롯하여 측정도구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 지혜는 지혜의 개념이 내재된 문화적 환경에 의해 형성되므로 지혜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서양의 지혜에 대한 개념을 비교 분석하였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지혜가 인지적 영역뿐만 아니라 종교, 가치, 도덕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서양에 비해 인도, 중국 등 동양에서는 지혜를 순수한 지능으로만 보는 견해와 인(仁)이나 자비와 같은 감성적인 부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고대 이스라엘의 경우 지혜는 고도의 지식과 기술로 현실에 대한 정확한 이해, 기술을 습득하는 것, 도덕적 미덕을 얻고 전략을 세우는 것 등을 말한다. 지혜는 인간이 사는 세상과 법칙에 대한 분별력과 인생의 큰 문제들에 대한 실용적인 해결책을 제시한다. 그뿐아니라 지혜는 하나님의 율법을 지키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고대의 지혜의 개념에는 공통적으로 도덕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지식은 지혜의 한 구성요소이지만 지식이 지혜 그 자체는 아니며, 지혜는 분별력을 갖고 지식을 취사선택하여 실생활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 KCI등재

        지혜교육의 개념화와 모형화

        서명석(Seo, Myoung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이 논문은 지혜를 정의하고 이를 기초로 해서 지혜교육과 지혜교육 모형을 개념화하는 것이다. 방법 이것은 개념적 명료화를 통한 철학적 연구 방법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우선 서로 반대되는 지혜와 어리석음의 대척선을 이용하여 이 속에서 지혜를 개념화하였다. 이때 지혜란 지식과는 다른 차원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삶의 질을 끌어올리는 인간의 고차적 능력이다. 결과 이 안에서 지혜교육은 어리석음에 빠져있는 인간을 지혜로움의 세계로 나아가도록 도와주는 일련의 총체적 활동이다. 이러한 지혜교육은 현대교육과 매우 다른 패러다임이다. 또한 지혜교육 모형은 교사는 학생들을 어리석음에서 지혜로움으로 나아가도록 중재하는 깨우침과 학생들은 교사의 도움을 통하여 지혜를 획득하는 깨달음을 기본 축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지혜교육 모형은 현대교육 패러다임의 교수-학습 장치와 다른 차원에 위치한다. 오늘날 지혜를 가르치고 배우지 않는 교육 관행에 지혜교육의 세계는 교육의 또 다른 차원을 열어주고 있다. 결론 지혜교육이란 교사가 학생들의 지혜적음에서 지혜많음으로 나아가도록 중재하는 모든 교육 활동의 총화다. 그러니 지혜교육의 프로그램과 방법론을 더욱 구체화해야 하는 후속 과제를 우리 앞에 남겨 놓고 있다 하겠다. Objectives This paper is to define wisdom and conceptualize education for wisdom and model of education for wisdom based on it. Methods This is a method of philosophical research by conceptual clarification. To this end, I first conceptualized wisdom by using the opposite lines of wisdom and foolishness. In this case, wisdom is located on a different level from knowledge, and is a higher human ability to raise the quality of life. Results In this context, education for wisdom is a series of holistic activities that help students who are immersed in foolishness into the world of wisdom. Such education for wisdom is a paradigm very different from modern education. In addition, the model of education for wisdom is designed on the basis of mental awakening, where the teacher mediates students to transfer from foolishness to wisdom, and the enlightenment that students acquire wisdom through the help of the teacher. Such a model of education for wisdom is located on a different level from the teaching-learning device of the modern education paradigm. Today, the world of education for wisdom opens up another dimension of education to the teaching practice without teaching and learning of wisdom. Conclusions Education for wisdom is the sum total of all educational activities that intervene to move students from less wisdom to more wisdom.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follow-up task to further detail the program and methodology of education for wisdom is left before us.

      • 시편 1편과 잠언 2장으로 보는 이스라엘의 지혜

        이운령 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 2023 신학지평 Vol.36 No.-

        ‘여호와를 경외하는 것이 지식의 근본 이어늘 미련한 자는 지혜와 훈계를 멸시하느니라 (잠언 1장 7절) 우리는 신앙의 삶에서 하나님께 지혜를 구한다. 그리고 그 지혜를 이야기 할 때 잠언을 빼놓을 수 없다. 그러나 그 지혜는 잠언에서 뿐만 아니라 성경의 많은 부분에서 선한 사람의 복된 삶과 고난을 말하며 그 삶의 복과 고난의 맞물림 끝에 지혜를 말한다. 특히 시편은 많은 편수를 할애하여 지혜를 말하고 있으며 지혜시로 구분된 시편1편과 잠언 2장은 그 구조가 같은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포로 후기 고난 의 상황에서 공동체에게 하나님의 응답과 교훈을 주며 신앙을 고취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배치 되었된 시편은 그 시작인 1편에서 하나님을 경외할 것을 교 훈하며, 하나님 경외에서 나오는 자발적 율법의 실천으로 인애와 의를 계속해 서 행함으로 자신과 공동체를 세우는 자가 복있는 자이며 지혜로운 자임을 피 력한다. 잠언의 지혜 또한 여호와 경외를 우선하고 삶의 수평적 차원인 타인이나 자연세계와의 관계의 중요성을 말한다. 즉 지혜자는 여호와를 경외하고 교제 하며 여호와 경외를 통해 시작되는 경외와 거기서 파생되는 실천적 지혜인 신 중함을 가지고 공의와 의를 실천하는 모습으로 가정과 공동체를 세우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이 시편 1편과 잠언 2장의 주제와 목적은 한결같다. 즉 여호와를 경 외함으로 신앙과 가정과 공동체를 세우는 것이 이스라엘과 그 공동체들이 추 구해온 그들의 지혜이다. “The fear of the LORD is the foundation of knowledge; Fools despise wisdom and instruction.” (Proverbs 1:7). We ask God for wisdom in our life of faith. And when we talk about wisdom, we cannot leave out Proverbs. But that wisdom speaks not only in the book of Proverbs, but also in many places in the Bible, referring to the blessed life and suffering of a good man, and wisdom at the end of the interlocking of the blessings and sufferings of that life. In particular, the Psalms devote a large number of chapters to wisdom, and we can find that Psalm 1 and Proverbs 2, which are divided into wisdom poems, have the same structure. Strategically placed to inspire faith and to give God's answers, instruction, and faith to the community in the context of post-exile suffering, the Psalms begin in the first section with the instruction of the fear of God and declare that blessed are the ones who build themselves and the community by continuing to practice charity and righteousness through the voluntary practice of the law that comes out of the fear of God. The wisdom of Proverbs also speaks of the importance of prioritizing the fear of the Lord and the horizontal dimension of life, our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he natural world.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e wise is to fear and fellowship with the Lord, and to build families and communities in the form of practicing justice and righteousness with the fear of Jehovah and prudence, which is the practical wisdom derived from the fear of Jehovah. As shown above, the theme and purpose of Psalm 1 and Proverbs 2 are the same. In other words, building faith, families, and communities in the fear of the Lord is the wisdom that Israel and its communities have sought.

      • KCI등재

        복음서에 나타난 지혜전승과 그 함의성

        김형동(Kim, Hyung Dong) 한국신약학회 2013 신약논단 Vol.20 No.1

        복음서는 초기 그리스도교 역사에 있어서 예수-사건을 해석하기 위하여 지혜전승을 활용하였다. 지혜전승은 어휘와 사상뿐만 아니라 해석학을 제공하였다. 각 복음서는 예수에게서 중재된 지혜가 각 공동체의 정황에 의해 새롭게 해석되었음을 보여준다. Q공동체는 지혜전승을 활용하여 예수의 거부당함과 죽음, 그리고 자신들의 정체성에 정당성을 부여하며, 마가는 박해의 정황에 직면한 공동체에게 그리스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예수를 따르는 제자도의 참된 의미를 지혜묵시적 얼개 속에서 전개한다. 무엇보다도 지혜에 대한 거부 모티프는 Q와 마가복음 전반에 퍼져 있는 주된 모티프이다. 마태공동체는 구체적으로 예수를 하나님의 지혜의 구현(embodiment)으로 간주하였다. 마태는 지혜전승에 힘입어 예수야말로 율법의 참된 메시아적 해석자로서 유일한 “스승”이자 지혜 자체임을 선포한다. 누가는 음식과 잔치에 관한 많은 비유와 식탁교제로써 소피아-하나님의 “포괄적 은혜와 선함”을 계시한다. 왜냐하면 복음은 하나님의 약속이 예수에게서 성취된 유대인과 이방인, 곧 모두에게 주어지는 소피아-하나님의 선하심을 드러내는 구원의 소식이기 때문이다. 요한은 예수를 성육화된 지혜로 확정한다. 이러한 요한의 선포는 공관복음서보다 보다 발전된 기독론적 선포임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복음서에서 지혜전승은 사람들에게 거부당함과 계시됨이라는 주제와 더불어 율법, 성령, 말씀(로고스)과의 깊은 연관성을 보여준다. 간략히 요약하면, 복음서에서의 지혜는 중재된 지혜이다. 따라서 지혜에 대한 이해는 기독론과 교회론을 함의한다. Gospels employed the wisdom tradition to interpret the Jesus-event in the history of the early Christianity. The wisdom tradition provided not only a content of language and ideas but also a hermeneutic. Each community interpreted the Wisdom mediated by Jesus to cope with its distinctive situation. The Q community employed wisdom tradition to justify Jesus’ rejection and death, and their identity. The Gospel of Mark deployed the discipleship and the true understanding of Christ within the framework of wisdom-apocalyptic perspectives. It is evident that the motif of the rejected Wisdom is primary throughout Q and Mark. Matthew, however, regarded Jesus as the embodiment of Wisdom. It is no doubt that God’s wisdom is to be found in Jesus the Son of God. In Matthew’s Gospel, Jesus is the single teacher of the Law, and fulfillment of the Law, and the very personification of the Law. In Luke, there is a significant connection between the Spirit and wisdom. Luke presents wisdom as an eschatological gift and effect of the Holy spirit. The Gospel of Luke reveals the “inclusive grace and kindness” of the Sophia-God in its parables and table-fellowship. For Luke, the gospel is the proclamation of salvation revealing the mercifulness of Sophia-God to all, Jews and gentiles alike. The Gospel of John is reaching a degree of profunity concerning Jesus as the wisdom of God for which the first three Gospels prepared and anticipated. John affirms that Jesus is the incarnated Wisdom. The affirmation of John is more developed christologically than the synoptic Gospels. The wisdom tradition of the Gospels shows the connection of the Law, the Holy Spirit, the word (Logos) in addition to Jesus’ rejection by the people. In short, wisdom in the Gospels is mediated wisdom. An understanding of wisdom implies an christology and an ecclesi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