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후변동을 고려한 조건부 GEV 분포를 이용한 비정상성 빈도분석

        김병식,이정기,김형수,이진원 한국습지학회 2011 한국습지학회지 Vol.13 No.3

        전통적 수문빈도분석의 기본가정은 기후와 수문사상이 정상성이라는 것으로 즉, 분포형의 매개변수들이 시간에 따라 불변이라는 것이다. 댐, 제방, 운하, 교량 등 수공 관련 기간시설물을 계획하고 설계할 때는 과거 상황을 이해하고 미래에도 그 상황이 유지될 것이라는 것을 근거로 한다. 그러나 현실은 기본가정과는 달리 수문자료들은 비정상성을 지니고 있으며 수자원관리자들에 의해 항상 기간시설물을 계획하고 설계 할 때 비정상성을 다루고자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비정상성 수문빈도분석기법을 소개하고, 조건부 Generalized Extreme Value(GEV) 분포를 이용하여 비정상성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6개 기상관측소지점의 24시간 연최고치 강우량을 대상으로 비정상성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우도법(Maximum Likelihood)을 사용하여 GEV 분포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비정상성 GEV 분포가 확률 강우량을 산정하는데 있어 적합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ENSO(El Nino Southern Oscillation)를 나타내는 지수인 SOI(Southern Oscillation Index)를 이용하여 기후변동 고려한 비정상성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 기후변화를 고려한 배수관련 기반시설 설계를 위한 비정상성 I-D-F곡선 작성

        정세진,김병식,이동섭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기후변화와 변동으로 인한 기상이변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발생 빈도도 잦아짐에 따라 현재의 배수관련 사회기반시설(Drainage Infrastructure)이 이런 문제에 대처할 준비가 잘되어 있는지에 대해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의 배수관련 사회기반시설의 설계는 이른바 정상성 (stationarity)이라는 가정 하에 강우의 강도(Intensity), 지속기간(Duration), 빈도(Frequency)의 관계를 나타내는 I-D-F 곡선을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기후변화로 인한 극치사상(extremes)의 유의한 변화를 나타낼 수가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는 극한기후(climatic extremes)의 특성을 비정상성(nonstationarity)이라 일컫는 개념으로 바꾸고 있기 때문에 배수관련 기반구조 설계(Drainage Infrastructuredesign)의 기본 가정의 하나인 강우 통계 매개변수의 정상성은 기후변화의 시대에는 더는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비정상성을 고려하여 조건부 GEV 분포를 이용하여 지속시간별 확률강우량과비정상성 I-D-F 곡선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분포형 홍수유출모형인 S-RAT(Spatial Runoff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강우강도의 증가가 설계 최대유량(design peak flows)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기간별 차이는 있었지만 고빈도로 갈수록 전반적으로 현행 I-D-F 곡선이 실질적으로 극한강수를 과소평가하고 있으며 정상성 I-D-F 곡선 작성 방법이 기후변화의 배수관련 기반구조물의 능력설계에 적합지 않을 수도 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정상성 속에 있는 죽음: 아도르노의 철학으로 본 코로나 시대의 병든 건강성

        강한 철학연구회 2022 哲學硏究 Vol.- No.137

        코로나-19 시국에 호명되는 평범한 일상이라는 표어는 코로나 이전의 시기를 정상성의 범주로 규정한다. 정상과 비정상의 이분법으로 현 사태를 보면, 코로나라는 문명사적 파국은 블랙스완의 비유처럼 예측하지 못한 우발적 사건이 된다. 하지만 아도르노는 정상성의 문화가 자연과 동물에 대한 절대적 폭력에 기초해 있다고 말한다. 그에게 정상성은 죽음인데, 그 이유는 평범한 일상이야말로 잘못된 사회가 타자화시킨 것들에 대한 지배에 기초해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인간의 기대수명은 100세를 바라보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사회적 주체성, 그 사회적 생명은 그러한 기대수명에 부합하는가? 100세를 산다 한들, 개인이 사회 속에서 자유하지 못하면, 그러한 건강성은 병든 건강성일 뿐이다. 평범한 일상의 회복이라는 표어가 범람하는 요즘, 아도르노와 함께 이 사태를 해석할 때, 우리는 정상성이야말로 죽음이고 평범한 일상이야말로 시대의 질병이라는 진실을 발견하게 된다. 이 글의 목적은 아도르노와 함께 건강성의 모순을 해독하여 정상성의 문화를 사회적 병리의 관점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지성‧과학기술‧동물지배에 대한 아도르노의 성찰을 경유하여, 오늘날 개인이 경험하는 고통은 평범한 일상의 정상성 속에 있는 죽음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 KCI등재

        비정상성을 가정한 서울지역 미래 확률강우량 산정

        정민수(Jeong, Minsu),이태삼(Lee, Taesam),이주헌(Lee, JooHeon),최현석(Choi, Hyeonseok),윤선권(Yoon, Sunkwon)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1

        본 연구는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정상성 및 비정상성을 가정하여 빈도분석을 수행하였고, 관측 및 예측 자료에따른 현재와 미래의 지속시간별 확률강우량 산정 및 비교·검토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현재 상태의 확률강우량 산정을 위해 기상청에서제공되는 지속시간별 강우자료를 수집하였고, 미래 입력 자료 구축을 위해 29개 GCMs 시나리오별 RCP 8.5에 대한 일별 강우량자료를 이용하여 시간적 상세화(Downscaling) 및 편의보정(Bias correction) 등의 과정을 통해 지속시간별 1, 2, 3, 6, 12, 24, 48시간에대한 예측자료를 생성하였다. 지속시간별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연최대치 계열을 추출하여 관측치는 정상성을 가정한 빈도해석을수행하였으며, 최적확률분포형 적용을 통한 확률강우량 산정으로 미래 기간별 강우강도-지속시간-빈도(Intensity-Duration-Frequency, IDF) 곡선을 작성하였다. 또한, RCP 8.5에 대한 비정상성(Non-stationary) 빈도분석을 위해서는 베이지안을 기반으로 샘플링이 이루어지는DE-MC 기법을 적용하였다. 예측에 활용된 29개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에 대한 각각의 산정 결과는 분위추정을 통해 결과를 제시하였다. 서울지점을 대상으로 비정상정 빈도해석 결과 재현기간 30년은 94.4mm이고, 50년은 101.7 mm, 100년은 111.5 mm로 분석되었으며, 정상성 빈도해석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앙상블 평균값은 약 5mm/hr 정도 높게 산정되었다. 서울지역의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특성의변화를 고려하는 경우 지속시간이 커질수록 경향성 및 변동폭이 증가를 보임에 따라 방재성능목표강우량에 대한 보다 세밀한 검토가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an estimation of the future probable rainfall in Seoul, Korea, was performed, using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current probable rainfall. Hourly rainfall data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ith durations of 1, 2, 3, 6, 12, 24, and 48-h were used as input. For the future projection of precipitation, the RCP 8.5 scenario was selected with the same durations. Moreover, the future hourly rainfall was extracted from using the daily precipitation from 29 Global Climate Models (GCMs), based on the statistical temporal down-scaling method and their corresponding bias corrections. Subsequently, the annual maximum precipitation was extracted for each year. In this study, both stationary and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was applied based on the observed and predicted time series data sets. In particular, for the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the Differential Evolution Markov Chain technique, which combines the Bayesian-based Differential Evolution and Markov chain Monte Carlo methods, was adopted. Finally, the current and future intensity-duration-frequency curves were derived from the optimal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each probable rainfall was estimated. The results of the 29-scenario are presented with quantile estimations. The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results for Seoul revealed rainfalls of 94.4 mm/h for 30 y, 101.7 mm/h for 50 y, and 111.5 mm/h for 100 y return periods. The average value of the 29-GCM model ensemble was estimated to be approximately 5 mm/h higher than that obtained from the 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Considering the changes in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due to climate change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to pro-actively respond to natural disasters due to such phenomena.

      • KCI우수등재

        베이지안 기법을 이용한 제주지역 극치풍속의 비정상성 빈도해석

        김경민,권현한,권순덕 대한토목학회 201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9 No.6

        Global warming may accelerate climate change and may increase disaster caused by strong winds. This research studied a method fora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considering the linear trend over time. The Bayesian method was used to estimate the posteriordistribution of the parameters for the extreme value distribution of the annual maximum wind speed at Jeju Airport. The nonstationary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Monte Carlo Markov Chain simulation and the Gibbs sampling. The estimated windspeeds by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was larger than those by stationary analysis. The conventional frequency analysisprocedure assuming stationarity is likely to underestimate the future design wind speed in the region wh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exists. 지구 온난화로 인해 기후변화가 가속화되고 이에 따라 강풍에 대한 재해가 늘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간에 따른 선형 경향성을 고려한 비정상성 빈도해석 모형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으로 Bayesian 기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제주공항 지점의 연 최대풍속자료를 이용하여 극치분포 매개변수들의 사후분포를 추정하고 비정상성 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재현기간 100년 빈도의 풍속을 추정한 결과를 보면, 경향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이로 인해 비정상성 빈도해석에 의한 기본풍속이 정상성 빈도해석의 기본풍속보다 크게 추정되고 있다. 이처럼 기상자료의 정상성을 가정한 현재의 빈도해석 절차는 경향성이 존재하는 지역의 경우에 미래의 기본풍속을 과소 추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사회적 정상성의 희화 또는 극복 -<세 얼간이>를 중심으로-

        박치완 ( Tchi Wan Park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2 철학연구 Vol.0 No.45

        라즈쿠마 히라니(Rajkumar Hiran) 감독의 영화 <세 얼간이>는 인도사회를 견인하고 있는 정상성(normality)에 대해 물음을 던지고 있다. 인도의 명문대 ICE(Imperial College of Engineering), 심지어는 그곳에서도 동료들을 제압하고 사회적으로 강자가 되는 것만이 살아남는 길이라고 교육한다. 이 영화에서 우리는 또한 무한경쟁의 논리, 시장 경제의 파급력과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엿볼 수 있으며, 관객들에게 대학교육은 물론이고 한 사회·국가가 지향해야 할 미래상이 어떤 것인지를 되돌아보게 한다. 이 영화에 등장하는 세 주인공의 역할은 곧 인도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이러한 ``비정상적인 정상성``, 즉 이기적인 성공의 신화를 비판·극복하는데 있으며, 히라니 감독은 이를 위해, i) 인도의 대표 종교인 힌두교 관습에 도전하고, ii) 성공신화, 약육강식의 논리에 저항하며, iii) 21세에도 변함없이 유습되고 있는 카스트제도에 맞서는 장면들을 관객들에게 코믹하게 그리고 유감없이 보여준다. 그리고 그 정점에 주인공 란초(Aamir Khan)가 ICE 대학기숙사의 사동(使童)인 밀리미터(Rahul Kumar)와 함께 무상으로 운영하는 ``Skitsal [평화의 정원(Garden of Peace)이란 의미의]``이라는 초등학교가 등장한다. 바로 이 학교가 인도의 다종교, 다언어, 다인종, 다신분을 하나로 녹아내는 새로운 정상성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인도는 잠재력이 많은 국가 중의 하나다. 그 잠재력을 <세 얼간이>에서는 인도의 다양한 문화코드를 통해 전달하고, 로컬이 건재할 때 글로벌시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는 점을 암시적으로 보여주기도 한다. 시장경제의 세계화도 모자라 한 사회·국가의 정상성까지도 다른 나라(이 영화에서는 미국을 지칭함)로부터 위임받아 운영되는 국가는 이미 국가라 할 수 없다. 이 영화를 통해 우리는 문화적 주체의 자각과 사회적 정상성의 회복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이다. <3 Idiots> by director Rajkumar Hirani shows the normality of the Indian society, which is the uniform view on education expressed in the movie through ICE (Imperial College of Engineering), a representative Indian college, or put differently, the law of the global market that emphasizes only individual success while disregarding communal success. By this, the movie shows its viewers a desirable model of higher education and a future direction of a society and a nation. The role of the three main characters of the movie is to caricature the abnormal normality that dominates the Indian society, i.e. the myth of selfish success, in order to overcome it. For this, Hirani describes comically and without hindrance scenes that i) challenge the Hindu customs, ii) resist the myth of success and the law of the jungle, and iii) stand against the chronic caste system. At its peak is a free elementary school named ``Skitsal`` (meaning the ``garden of peace``), which is run by Rancho (Aamir Khan), the hero of the movie, together with Millimeter (Rahul Kumar), who is an errand boy of the dormitory of ICE. This school is a symbol of a new normality that melts the multi-religion, multi-language, multi-race, and multi-stratum. India is one of the nations that have a lot of potential. <3 Idiots> shows the potential through the culture code of India and demonstrates that a healthy local is a prerequisite of a global. A nation that is not satisfied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market economy and is run by the perceived normality of another country (i.e. the USA in this movie) is no longer a nation. This movie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cultural identity and the recovery of social normality.

      • KCI등재

        팬데믹 시대와 애도, 인간, 정상성의 문제 : 버틀러와 호니그의 <안티고네> 비평을 중심으로

        김순배(Soonbae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1

        본고는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에 대한 현대 비평가의 이론적 접근을 애도와 인간에 대한 이해, 그리고 정상성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다룬다. 본고는 고전 비극 작품 자체에 대한 해석적 접근을 통해 안티고네라는 인물을 이해하는 또 하나의 길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21세기 비평에서 소포클레스의 텍스트가 드러내는 현대적 의미가 팬데믹 시대를 지나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 지 정상성의 해체와 재정립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기획이다. 주디스 버틀러의 <안티고네> 비평은 인간 사회의 유대와 공동체 구조가 드러내는 정상성에 대한 근본적 의문으로부터 출발한다. 친족 유대의 정상성은 그것이 비정상으로 치부하는 관계 구조와 맞물려 있다. 더불어 정상에서 비정상으로 흐르는 궤적에는 안티고네 이전의 오이디푸스로부터 비롯된 역병과 전쟁이라는 재난 상황이 맞물려 있다. 비정상이 어느 순간 인간됨의 새로운 영역으로 전환되는 것은 이런 상황이 중첩되어 만들어진 변화의 기운이 안티고네의 강력한 고통의 외침을 매개로 하여 비롯된 것인지 모른다. 비정상의 정상화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전개하고 있는 보니 호니그의 􋺷안티고네􋺸에 대한 정치적 비평은 갈등, 대립, 경쟁을 의미하는 애고니즘적 휴머니즘으로 정리된다. 애고니즘적 휴머니즘은 죽은 자를 공적 공간에서 애도하고 자 몸부림치는데서 비롯된 사회적 갈등과 반목으로 생길 수 있는 존재의 간극을 적극 포용한다. 더불어 이는 그 간극을 민주적으로 작동시키는 가운데 대안적 정상성으로의 재편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적극적 기획이다. This essay critically examines two of the recent theoretical readings of Sophocles’ Antigone in terms of alternative possibilities of humanism and/or its normativity: Judith Butler and Bonnie Honig deal with this exigent issue in their insightful criticism of the text respectively. In so doing, it does not aim to produce another interpretation of the Greek tragedy, but rather weigh the validity of the critics’ theories of humanities, particularly in our age of pandemic full of distanced mourning and lamentation. Butler’s Antigone can be easily misunderstood as a mere example of queer subjectivity, but I argue that the critic’s notion of the tragic heroine represents all the negative feature or aberration of the norm already accepted and circulated around the societal space. Rather, her argument leads us to the new realm of the human by embracing the aberrant features. On the other hand, Honig broaches the idea of agonistic humanism via her reading of the conflict and suffering caused by Antigone’s excessive public lamentation and grieving. Agonistic humanism is oriented toward alternative form of humanism through overcoming the conventional idea of humanism or mortalist humanism that does not necessarily differentiate human from animal.

      • KCI등재

        동물의 마음을 어떻게 아는가?

        김태희(Kim Tae-Hee)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6 No.4

        ‘타자의 마음’에 대한 철학적·과학적 논의들이 ‘정상 성인’의 마음을 넘어 이른바 ‘비정상적 주체들’의 마음까지 포괄해야 한다는 전제 하에, 본고는 특히 동물이라는 비정상성에서 ‘타자경험’ 및 ‘공동세계구성’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후설의 상호주관성 이론의 얼개 안에서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에 따르면, 동물에 대한 타자경험은 인간에의 이입감의 변양으로 가능하며, 동물과 인간의 공동세계구성은 이러한 타자경험에 기초하여 동물을 초월론적 주체로 받아들임에 의해 가능하다. 이러한 분석에서 정상성과 비정상성의 ‘경계’는 타자경험의 ‘극한’이면서 공동세계구성의 ‘접경’으로 드러난다. 나아가 발생적 현상학에 이르러 비로소 정상성의 ‘발생의 이전단계들’인 비정상성들이 정상성의 ‘구조의 하부층위들’로 현존함을 통찰한다. 이때 초월론적 자아는 ‘경계양상들’을 함축한 것으로서 완전한 구체성에 있어 고찰된다. Supposing that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discussions on ‘other minds" should include not only minds of ‘normal adults", but also those of so-called ‘abnormal subjects", this paper applying Husserlian theory of intersubjectivity to animals as abnormalities intends to analyze possibilities of ‘experience of others" and ‘co-constitution of the common world". According to such analyses, experiences of animals are possible as a modification of empathy into other humans and based on such experiences of others co-constitutions between animals and humans are possible through accepting animals as transcendental subjects. In this context, a border between normalities and abnormalities is considered either as a ‘limit" for experience of others or as a ‘shared boundary" for co-constitution. Furthermore,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not until genetic-phenomenological analyses that abnormalities as ‘genetically prior stages" of a normality are regarded as its still existant ‘structurally inferior layers". With these analyses, transcendental subjectivities are considered in their full concreteness as implicating ‘modi of borders".

      • KCI등재

        정상성으로의 귀환 : 서구이론 편향의 극복을 위한 성찰

        권용혁(Kwon Yong-hyek)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8 사회와 철학 Vol.0 No.16

        This paper is starting from a reflection on the study of West-European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in which Korean philosophers have a main interest. Specially, the arguments about theories and their histories of the western social philosophy now seem to be a main stream in Korea, but the role of its enlightenment has been exhausted very rapidly. In case of social philosophy, it is a necessary to go up to the phase of normal characteristic philosophy that communicates with realities. I will call it 'the return to the normal Social philosophy in Korea'. In order to reach this phase, the philosophical subjects must be found in a concrete existence of ordinary life. This is very important to get a self-identity for Korean social philosophy to be able to contribute world-wide philosophical debates. The social philosophers in Korea now have to endeavor to make a conceptual frame with which man can catch a changing speed of the Korean society and its peculiarities. As a social philosophic instance, I am trying to analyze the aspects of modern-self which are introduced and shaped in the Korean modernization process in this paper. This analysis leads to show the unique feature of the self-identity of Korean. In this paper, I am also trying to examine the various viewpoints of the self-identity of the family members, as a instance which supports this investigates. According to this examination, the aspect of modern self of Korean has a very different form comparing with its West-European form. Through this work, I am trying to give a guideline to shape a normal social philosophical way in Korea which communicate with concrete realities. It is a great honor, if the validity of my arguments would be thoroughly proved by the participants. 이 글은 기존의 서구이론 중심의 인문학 및 철학 연구에 대한 반성에서 출발한다. 특히 서구 사회철학의 이론 및 이론사 중심의 논쟁은 그 계몽의 역할이 소진되었다고 파악하고 있다. 사회철학의 경우 이제는 현실과 소통하는 정상적인 철학함의 단계로 이동할 필요가 있다. 논자는 이를 철학의 정상성으로의 귀환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논자는 이를 위해서는 추상적인 기호중심의 철학에서 구체적인 삶과 기호에 대한 분석과 반성활동에서 출발하자고 제안하고 있다. 즉, 철학함이 서구이론의 계몽에서 벗어나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그 사유의 대상이 구체적인 삶의 맥락 안에서 찾아져야 한다. 이는 한국 철학의 정체성 확보를 위해서도 세계 철학계에 생산적으로 이바지 할 수 있기 위해서도 매우 필요한 일이다. 따라서 이제는 사회철학자들도 한국사회의 변화 속도나 그 특이성을 포착할 수 있는 개념틀에 대한 구체적 반성 작업을 철학함의 전면으로 등장시킬 필요가 있다. 논자는 그 구체적인 사회철학적 사례로서 한국 근대화 과정에서 도입된 근대적 자아관에 대한 실체적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자아정체성의 독특한 특징이 정리되고 있다. 논자는 이를 뒷받침하는 사례로서 가족 구성원들의 자아관을 고찰한다. 이에 따르면 한국의 근대적 자아는 서구와는 매우 다른 형태를 띠고 있음이 확인된다. 논자는 이러한 작업을 통해 현실과 소통하는 구체적인 철학함의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 방법의 타당성은 독자들에게 열어둔 채로.

      • KCI등재

        미적 감정과 상호주관성

        박인철(In-Cheol Park) 한국철학회 2012 철학 Vol.0 No.111

        미의 문제를 대상의 성질에서가 아니라 오직 주관의 감정에 근거해 해명하고자 하는 칸트는 이 미적 감정이 어떻게 상호주관적 성격을 지니는 지에 대해 집중적인 관심을 갖는다. 칸트는 여기서 미적 감정의 본질적인 성격을 ‘무관심적 쾌감’으로 보고 이것이 야기된 계기를 경험적, 심리학적으로가 아니라 선험적으로 정초하고자 한다. 즉, 선험적인 인식능력인 상상력과 오성의 자유로운 놀이를 통한 양자 간의 조화로운 합치 속에서 미적 쾌감이 야기된다고 봄으로써 이른바 미적대상이 우리의 인식능력에 대해 갖는 주관적인 형식적 합목적성이 미적 감정의 상호주관적 근거임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칸트의 주장은 모든 미의 문제를 주관의 내적인 형식에로만 집중시킴으로써 대상과 세계와의 연관을 배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참된 의미의 상호주관성을 정당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비록 미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을 전개하지는 않았지만 후설은 미적 감정의 상관자로서 미적 가치를 전제하면서 이 가치는 주관과 객관의 중간영역, 말하자면 주관과 세계의 상관성 속에서 존재함을 밝히고 있다. 그런 점에서 가치의 객관성을 주장하는 후설의 주장은 나름대로 설득력을 지니게 된다. 나아가 후설에서 가치는 궁극적으로 정상성에 기반을 두게 되며 이 정상성은 하나의 보편적이고 이상적인 세계를 지향하는 목적론에 의해 다시금 정초 지어짐으로써 가치가 지닌 보편적이고 상호주관적인 성격을 밑바탕에서 지지해준다. 따라서 후설에서 미적 감정은 이것이 미적 가치와 이를 지지해주는 정상성과 연관되는 한 칸트에서 나타나는 주관주의적 한계를 나름대로 넘어서게 된다. 그러나 칸트의 미 이론은 감정에 대한 분석에서 만큼은 후설에 비해 어떤 면에서 보다 현상학적인 측면을 보이는데 바로 이는 현상학적 미학이 어떤 성격을 지녀야 할지에 대해 나름의 방향성을 제시해준다. 그런점에서 양자는 상호보완적인 경향을 지닌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philosophical basis for the intersubjective character of an aesthetic emotion through comparing Kant’s aesthetic theory with Husserl’s one. According to Kant, an aesthetic emotion is characterized by its disinterested feeling of pleasure which is completely free of all interests in the presence of objects. Kant argues that this disinterested pleasure should be a foundation stone of the intersubjectivity or universal validity of an aesthetic judgement for the taste. The point is then that an aesthetic emotion arises when two cognitive abilities, namely imagination(Einbildungskraft) and understanding(Verstand) accord with each other without any mediation of concepts of understanding. Kant regards this subjective accordance between them as an a priori principle. So the feeling of beauty might have a right to claim for the intersubjective validity to everyone on the ground of the a priori condition of the aesthetic judgement. However, Kant’s argument has a problem in that the a priori condition is not able to be verifiable objectively, but proves to be just a subjective conviction. Husserl’s theory of aesthetic value might be a solution for Kant’s problem. Husserl alleges that an aesthetic value as a correlative of the aesthetic feeling is objective because it is different from the act of feeling and so transcends the limit of a subjective feeling. The aesthetic value, considered from a phenomenological prospective, lies between subject and object. My thesis is then that the value is founded on the normality which is basically supported by the teleology of history and that the intersubjective character of the aesthetic emotion might be finally justified by the aesthetic value rooted in normality and tel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