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구성품 변경에 따른 항공기 공허중량 무게중심 수정 및 검증

        이진원,권나은,김지홍,박재현 한국항공우주학회 2022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50 No.8

        군용항공기는 노후화로 인해 LRU 개조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최근 KA-O 공중통제기에 대해 사출좌석 교체 및 항공전자장비 추가 등 LRU 개조가 진행되면서 연료소비곡선 상의 항공기 운용 무게중심이 요구 사양 범위를 벗어나게 되었다. 이러한 범위를 벗어난 무게중심은 적절한 방법을 도입하여 수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KA-O와 같은 군용 소형항공기의 LRU 개조로 인해 변경된 공허중량 무게중심을 수정하고 검증하는 절차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LRU 수정에 따른 공허중량 무게중심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관찰한 뒤, 다수의 밸러스트를 엔진 설치대에 추가되어 연료소비곡선의 공허중량 무게중심을 안전한 작동 범위로 복원시킨다. 제안된 밸러스트 배치는 다양한 작동 조건에 대한 응력 및 피로해석을 통해 설치를 검증한다. 공허중량 무게중심 수정에 대한 공개 정보가 많지 않은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항공기 개조 시 공허중량 무게중심을 수정하고 검증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 박귀희 명창 판소리 연구 : 박록주 단가 <백발가> 및 흥보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진원,김영주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12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1 No.-

        박귀희는 일제강점기 박지홍을 비롯하여 조학진, 장판개, 이화중선, 박동실, 유성준, 이기권 등에게 판소리를 배웠다. 해방 이후 1960년부터 박록주에게 흥보가를 배워 그 음 악을 장시간음반(LP)에 취입하기도 하였다. 본고에서는 박귀희가 박녹주에게서 배운 흥보가를 1960년대 초반에 킹스타 레코드에 서 제작한 <大興夫傳 全集 唱:朴貴姬 長鼓:李正業> 세 장짜리 음반을 발굴하고, 이를 그 의 스승인 박녹주가 1967년 지구레코드에서 취입 발매한 <大興夫傳 全集 唱:朴貴姬 長鼓: 李正業><興夫傳 唱:朴綠珠 북:鄭權鎭> 음반과 비교하여 그 판소리에 대해 음악적으로 살 펴보았다. 아울러 박귀희의 단가 <백발가> 또한 박녹주가 남긴 <백발가> 음원과 비교하 여 그 전승도 함께 검토하였다. 그 결과 박귀희의 단가 <백발가>는 초입 부분의 사설의 차이를 제외하고는 박록주의 단가 백발가와 음악이 같았으며, 박귀희가 흥부가뿐만 아니라 단가 또한 박녹주에게서 학습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흥보가의 경우, 박녹주가 김정문에게서 배운 소리를 1960년에 박귀희에게 전승하였음 을 「나의 이력서 박녹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박녹주는 자신의 성격과 성음에 맞춰 소 리를 바꾸었는데, 박귀희의 녹음이 1960년대 초로 추정되며 1967년 지구레코드에서 녹음 한 박녹주의 흥보가 이전의 녹음으로 박녹주가 김정문에게서 배운 소리가 보다 온건히 기록된 녹음으로 이해가 가능했다. 본고에서는 아울러 박녹주 음악을 연구한 연구자들의 채보를 살펴보고, 우조, 평조 선 율에 있어서 음조직 연구가 더 필요함을 지적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박귀희의 흥보가는 이보형이 언급하듯이 ‘고정성’이 강한 소리로서 박녹주 흥보가의 음악적 특징을 잘 잘 간 직한 판소리임을 알 수 있었다. 현재 박귀희의 단가 및 판소리 음악은 그의 가야금병창에 비해 남겨진 자료가 매우 적다고 할 수 있다. 박귀희 명창의 흥보가 음원 발견은 따라서 김정문, 박녹주, 박귀희 흥보가 계보 및 박녹주 이후 김정문제 흥보가의 전승 과정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으며, 앞으로 이 류파 전승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다는 점이 의미 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저압 Ar 개스중 증발법에 의한 Al 초미분의 크기특성

        이진원,김동관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90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28 No.10

        Size distribution of Al ultra fine particles (UFP) generated by evaporating Al vapor into low pressure Ar environment is studied with varied gas pressure, evaporation temperature, position of particle collection, and inert gas velocity. Particles are observed to be spherical irrespective of operating conditions, which shows that they are formed by homogeneous nucleation process and the size distribution is very close to log -nomal. The mean size increases with increased pressure, temperature and the distance to collection and reduced gas whereas the standard deviation decreases with increased gas velocity and temperature.

      • SCOPUSKCI등재

        트랙 - 에칭한 막가공을 통한 진한 라텍스입자의 제한확산에 관한 실험연구

        이진원,김재진,박철환,전명석,강은아 한국화학공학회 1999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37 No.1

        좁은 막기공내에서의 확산이 자유로운 벌크에서의 확산보다 낮아지는 제한확산(hindered diffusion)현상은 용질입자와 기공의 크기는 물론이고 입자의 농도와 이온화 세기(ionic strength)에도 영향을 받는다. 씰린더형 막기공에서 진한 농도를 갖는 라텍스입자의 제한확산 현상에 대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확산쎌(diffusion cell)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른 입자농도의 변화에 대한 물질수지 관계식과 물질전달 원리를 실험결과에 적용하여, 물질전달계수(mass transfer coefficient)와 제한확산계수(hindered diffus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일정한 이온화 세기에서의 입자농도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입자와 기공크기의 비(=λ)가 약 0.33인 범위에 걸쳐 라텍스 농도를 20vol%까지 증가시켰다. 실험결과, λ가 작을수록 그리고 주어진 동일한 λ에서는 라텍스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한확산계수는 증가하였다. 이것은 막기공을 통한 입자의 물질전달계수의 산출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입자농도가 증가하면 라텍스입자와 기공 벽면간의 정전반발력(electrostatic repulsion)보다 라텍스입자들 상호간의 정전반발력이 우세하게 작용되어 벌크에서 막기공 내부로의 확산이 활발히 진행된 결과이다. 한편, 1 vol% 라텍스 농도에 대해 KCl 용액의 이온화 세기를 0.1, 0.01, 0.01 M로 변화시켜 얻은 확산실험의 결과는 이온화 세기가 감소할수록 제한확산계수도 감소하였다. 이 거동은 비교적 묽은 라텍스 농도에서 이온화 세기가 감소하면, 라텍스입자와 기공 벽면간의 정전반발력이 크게 증가된 영향으로 인하여 벌크에서 기공으로의 확산이 억제되어 나타난 현상을 의미한다.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a solute particle within a membrane pore of comparable size is found to be less than its value in bulk solution. This hindered diffusion obviously depends on the sizes of solute and pore, and it is known both the solute concentration and the solution ionic strength are considerably influenced, although very little experimental data is available. In order to examine this fact,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latex particle through the track-etched membranes with well-defined cylindrical pore geometry has been measured by using diffusion cell apparatus. Note that both the relation of mass balance for the latex concentration and the principle of diffusional mass transfer across membranes are applied, which were provided in the previous studies, for the analysis of particle diffusional coefficient in the pore. Based on the Stokes-Einstein relation with virial type for the solute concentration, the bulk diffusion coefficient of latex for any KCl concentrations can be effectively estimated. The solute concentration dependence of hindered diffusion as a function of relative solute size has been observed, from which the hindered diffusion increases with increasing of solute concentration. This behavior suggests that, with increase of solute concentration, the repulsive interaction between a pore wall and a latex particle becomes strongly important than that of between pairs of latex particles. Therefore, as expected from the estimation of mass transfer coefficient, the particles are increasingly diffused from bulk to pore region. Experimental results for latex concentration of 1 vol% showed that the hindered diffusion coefficient is decreased when the ionic strength of KCl is reduced ranging from 0.1 to 0.001 M. When the ionic strength decreases, the corresponding repulsion increment between a pore wall and a particle results in more restricted diffusion.

      • KCI우수등재

        댐건설(建設)로 인한 5대수계(大水系) 본류(本流)의 유황변화(流況變化) 분석(分析)

        이진원,김형섭,우효섭,Lee, Jin Wo,Kim, Hyoung Sup,Woo, Hyo Seop 대한토목학회 199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13 No.3

        한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영산강 등 우리나라 5대강 본류 주요지점에서의 광범위한 수문자료(水文資料)를 토대로 유황분석(流況分析)을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하천유량 자료의 신뢰도상의 한계를 감안하여, 특히 저수위시수위(低水位時水位)-유량(流量) 관계곡선의 검토 동 본 유황분석에서 이용된 유량자료의 검토에 세심한 배려를 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 주요 수계의 유황은 상류에 다목적댐 건설로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유황개선 효과는 주요 수계의 하상계수(河狀係數)가 댐 건설이전 자연상태에서 300-400 정도이었으나 댐 건설이후 100-300 정도로 감소한 사실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유황계수(流況係數)'가 대폭 감소한 사실 등에 의해서 확인되어진다. 수계별로는 한강과 영산강의 유황은 상대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금강과 섬진강의 유황은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금강과 섬진강에 새로운 수자원 개발의 필요성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An analysis of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ve major rivers in Korea was conducted with extensive river flow data available. The analysis reveals that, for most river stage-gauging stations at the river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flow duration characteristics have changed drastically at some stations after major dammings in the river basins. Streamflow variability. which is newly defined in this study as the ratio of the 2.5 percents (or 10 day) duration discharge over the 97.5 percents (or 355 day) duration one, was also reduced by the damming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Han and the Yeongsan rivers have relatively small flow variation, while the Seomjin and the Keum rivers have relatively large now variation, which implies that the latter two river basins need new water resources development.

      • 최승희 무용작품에 활용된 음악에 대한 연구 - 전통음악을 중심으로

        이진원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21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6 No.-

        신무용을 대표하는 무용가 최승희는 일제강점기와 해방공간을 거쳐 현재까지도 우리나라의 세계적인 무용수로 기억되고 있다. 최승희는 그 의 무용 예술을 창조함에 있어 매우 신중했다. 특히 무용 작품에 따르는 음악의 선택 및 활용에 있어서 또한 최선을 기울였으며, 특히 우리 의 전통음악을 활용하는데 매우 적극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최승희의 무용 작품에 활용된 전통음악에 대해서 그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문헌, 음반, 영상 등)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최승희의 무용에 대해 무용계에서는 창작된 작품의 경향과 활동 영 역 등을 고려하여 세 시기로 나누고 있는데, 1930년부터 1931년까지를 1기로, 1933년에서 1944년까지를 2기로, 그리고 1945년에서 1964년까지 를 3기로 보고 있다. 1기에서는 레코드 즉, 유성기음반을 활용한 무용 음악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피아노, 바이올린, 장구 등의 몇 가지 악기로 무용 반주를 시 도한 바 있다. 이러한 그의 시도는 이후 실제 현장음악에 대한 필요성 이나, 한국 전통음악에 대한 활용에 대한 인식을 싹트게 하였을 것이다. 최승희는 1기 후반과 2기 시기에 본격적으로 전통음악의 명인들을 통해 자신의 무용에 맞는 음악을 주문하기 시작하였으며, 본인 스스로 도 무용 음악 창작에 많은 관여를 하기 시작한다. 최승희는 해외 공연 중에 전통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연주자가 반드시 필요함을 인식했고, 일본으로 돌아온 후, 박성옥을 비롯하여 전통음악의 명인들로 구성된 무용반주단을 꾸려 일본에서 공연을 하기도 하였다. 최승희는 기악인들 에게 영감을 주어 박성옥의 경우 산조아쟁이나 철가야금을 만들어 그의 반주 음악을 풍부하게 하기도 하였다. 3기에 해당하는 월북 이후에는 최승희무용연구소에 전문적인 기악 반주인을 두었고, 월북한 가야금산 조의 명인 최옥삼이 그의 무용 음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기도 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최승희가 직접 저술한 『조선민족무용기본』과 『조선아 동무용기본』 등 『가야금 교칙본』, 『타악기 교칙본』등 당시 전통악기 교본에 최승희의 무용에 활용된 악곡들이 수록이 되어 있어 확인 가능 했으며, 이를 통해 최승희 무용음악이 전통악기 분야의 창작에도 영향 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hoi Seung-hee(崔承喜) created many dance works using traditional Korean music. This thesis is purpose to show what traditional music was used according to the period for Choi Seung-hee's dance creation. Information on Korean dance music created in North Korea has not been well known in South Korea so far, but in this thesis, we were able to review the music by examining Choi Seung-hee's books, such as Basics to National dance in Joseon<조선민족무용기본> and Basics to Children Dances in Joseon<조선아동무용기본>, and Dance music scores from Textbooks<교칙본> of Gayageum and Percussion Instruments. Choi Seung-hee's dance career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In the first period, dance music using phonograph records(SP records) was used, and dance accompaniment was attempted with several instruments such as piano, violin, and janggu. However, such dance music was not satisfactory to Choi Seung-hee herself. During the late 1st and 2nd periods, Choi Seung-hee began ordering music suitable for her dance through masters of traditional music, and she herself began to be involved in creating dance music. Choi Seung-he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a performer who could play traditional music during overseas performances, and after returning to Japan, she also performed in Japan by forming a dance band consisting of masters of traditional music, including Park Sung-ok(朴成玉). Choi Seung-hee inspired instrumentalists to enrich his accompaniment music by making Sanjo-ajaeng or Cheol-gayageum in the case of Park Sung-ok. In the third period after she moved to North Korea, Choi Seung-hee had a professional instrumental accompanist at Choi Seung-hee’s Dance Research Institute. Among the instrumental accompanists hired in this way were Choi Ok-sam(崔玉三), a master of Gayageum Sanjo, who composed many dance music based on Korean tradition for Choi Seung-hee's dance accompaniment.

      • KCI등재

        『시용무보(時用舞譜)』연구(硏究)를 위한 중국(中國) 무보(舞譜) 초탐(初探)

        이진원 한국무용기록학회 2003 무용역사기록학 Vol.5 No.-

        현재 무보로서 유일하게 전승되는 『시용무보』의 특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여러 관련 무보들을 살펴보고 독창성과 합리성 방면에서 연구를 진행해야 함이 선결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중국의 전통적인 무보의 종류와 형식 및 내용에 대하여 초보적인 조사를 통해 그 성격을 살펴보고, 『시용무보』와의 비교 가능성 및 실제 비교에 대하여 초보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중국의 도보 형식의 무보로 명청제공무보(明淸祭孔舞譜)가 『시용무보』와 비교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국의 역대 전통 무보에서, 주재육의 『율려전서』나 『율려정의』와 같은 문헌에 보이는 인무, 영성무, 자무 등과 명청제공무에 일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도보 중 명청제공무보(明淸祭孔舞譜)중 명대의 『삼재도회』 무보, 『원락지악』 무보, 그리고 문자보 중 『문묘사전고』 무보의 무절해 등의 술어가 『시용무보』와 초보적으로 비교되었으며, 상호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revival in recent times of the dance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has stirred a heated debate among scholars. Some insist that such dance underwent heavy changes and alterations during the 1930s. Their claim is based on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current royal ancestral shrine dance and the one recorded in Siyong Mubo. Although today's performance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dance in Korea is different from the Confucian shrine dance of China, they share many similarities, like the division between Munmu (civil dance) and Mumu (military dance), or the Ilmu (line dances). Due to these similarities, their comparison is much beneficial to both the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these two traditions and the right understanding of Siyong Mubo. During the Ming dyansty there were many Chinese labanotations of Ilmu, such as the Jiwupu, the Lingxingwupu and the Renwupu recorded in Zhu Zaiyu's Ll Jingyi and Ll Quanshu and so on. Also the Qing dyansty produced numerous notations for the same dance, such as the Mingqing Jikong Wupu which contains the Sancai Tuhui Wupu, the Yanle Zhiyue Wupu, etc. By investigating the Chinese labanotations and other relevant sources, we come to know that the Chinese Ilmu, especially that recorded in the Mingqing Jikong Wupu, has a deep historical relationship with the royal ancestral shrine dance reported in the Siyong Mub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