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합에 의한 공예 창작의 가능성

        박중원,해문천,노혜신,김원석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1

        융합에 의한 공예 창작의 가능성20세기 후반 산업시대가 막을 내리고, 디지털 시대로 전화되면서, 사람들은 그들이 가져온 부작용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감성존중의 본질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공예에 주목하고 있다. 인공지능(AI)을 통해 가상과 실제가 공존하는 새로운 세상이 성큼 다가온 오늘날, 인간의 삶에 필요한 도구로서 인간의 역사와 함께해온 공예는 미래시대를 위한 창의적인 해답을 내놓아야 하는 새로운 국면에 직면해 있다. 이에 공예는 지속적 발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현대사회의 대표적인 트렌드인 융합과의 창발적 조우를 시도하고 있다. 이 연구는 공예와 이질적인 것들과의 융합을 시도한 창작의 실험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융합을 창작의 요소로 활용하려는 공예가들에게 창의적 사고와 영감에 도움을 주고 나아가 새로운 창작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장에서는 오늘날의 공예와 한국공예의 현황을 설명했고, 3장에서는 공예에서 융합의 의미와 공예의 창작과정에서 보이는 다양한 형태의 융합사례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융합공예의 특성과 가능성을 살펴본다. 현대공예에서 보이는 융합의 현상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융합공예의 작용 영역과 잠재적 가능성을 통해 21세기 공예의 미래를 전망해보고자 한다. The Possibilities in Craft Creation through Convergence The late 20th century saw the industrial period end only to transform into the digital era where people have begun to pay attention to craft because it a field that respects emotion as the essential value,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side effect that people have created. Today a new world - where the virtual and the real co-exist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I) – has suddenly approached us and the future of craft is faced with a new situation as it needs to present a new creative solution as a tool that is necessary for human way of life - a tool that has been a necessity throughout history and the evolution of life. As a result for a continued development, craft attempts to establish a new paradigm through current trends represented by our modern society, which is the emergence of creative development through convergence. This study presents creative experiments attempt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craft with other heterogeneous tendencies connected to the field.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nable makers to acquire a more creative way of thinking at the same time as inspiring them and suggesting new creative possibilities in order to develop their work through creative convergence. In Chapter 2, the study investigates on the current status of craft in general, and compares it with what is taking place in Korea; in Chapter 3 the significance of convergence in craft and the process of creating is addressed through case studies. Lastly in Chapter 4, with the basis on analytical case studies, the attribute and the potential of convergence in the field of craft is observed. By analyzing different phenomena presented through attempts to converge in contemporary craft, it has been possible to view the future of the 21st century craft through assessments on what is active and what is as yet hidden potential.

      • KCI등재

        융합기술 개발연구의 실현과정

        김학수(Hak-Soo Kim),김사라(Sara Kim),김청희(Cheonghee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6 현상과 인식 Vol.40 No.3

        전세계적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융합연구’ 내지 ‘융합기술’ 관련 기존 탐구는 주로 ‘의미분석’ 차원의 개념적 논의에 머물렀다. 그런 논의에 바탕을 둔 융합기술(融合技術) 관련 정의들은 크게 수렴적(converging) 융합기술, 통합적(integrative) 융합기술, 또는 다학제적(interdisciplinary) 융합기술 등의 용어로 대변되었다. 그러나 그런 개념들은 실제로 융합기술을 개발연구 하는 데 구체적으로 유용한 아이디어들을 거의 제공해주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몸체(body)’ 못지않게 중요한 ‘행위과정(behavior)’ 자체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통해, 융합기술 개발연구 실현과정의 토대가 될 새로운 사회과학 패러다임과 그것으로부터 어떻게 융합기술이 구현될 수 있는가를 제시하고 있다. 한 마디로 ‘융합을 위한 기술’과 ‘융합을 통한 기술’을 차례로 성취하는 것이 융합기술 개발연구의 핵심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그것은 곧 팀워크(teamwork)의 실현과 그것을 통한 팀 전체의 창작력(創作⼒)을 극대화시킴으로써 혁신적인 융합기술을 생산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First, this study reviewed why the concepts of technology convergence, technology integration, and interdisciplinarity came to currently attract more attention in the arena of science and technology. We find that those concepts have been defined mainly in view of ‘meaning analysis’ type by/for grouping particular instances, and so, provide no useful insight on effectively developing converging, integrative or interdisciplinary technology. Second, this study introduced a new concept of ‘unifying/unified technology,’ derived from a theory of (collective) behavior per se, and then, elaborated on a new social science paradigm that is vital to realize it. Finally, we came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not only realizing “teamwork” but also developing its “compositional capability” to accomplish ‘unified (innovative) technology.’

      • KCI등재

        디자인·기술융합의 D.I.O형 교육 시뮬레이션

        현혜정(Hyun, Hye Jung),김경훈(Kim, Kyung Ho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8 No.-

        융합형 교육이 화두이나 교육현장에서는 아직까지 융합교육에 대한 다양한 고민과 실효성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적인 형태의 융합형 교육이 아니라 좀 더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융합교육의 목표를 이루어나갈 수 있는 수업모델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최근 과학관, 도서관, 주민센터 등 생활공간에서 운영되는 창의, 상상의 공간인 무한상상실을 운영하면서 좀 더 다양한 연계형 교육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다. 실험, 공방형, 초중고 학교 연계형, 스토리텔링형, 아이디어 클럽형 등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연령대의 국민들이 다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과학과 기술의 융합, 인문사회와 예술의 융합이 중요해지면서 융합인재양성을 위해 융합교육이 화두가 되고 있는 교육현장에서 무한상상실이나 Fab Lab과 같이 서로의 아이디어를 제안하여 만들어 내는 D.I.O(DO IT Ourselver) 형 교육모델을 제안하고, 교육프로그램을 시뮬레이션 해 보았다. 향후 지속적인 추가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교육운영모델을 정립하고 평가방안, 교수법, 인력풀 구축 등에 대해서도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e convergence type education has come into limelight, but requires various considerations and researches that aim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tailored to the sites. It would be necessary to apply the teaching model designed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convergence education through more aggressive activities, rather than the static convergence education currently being provided at education sites. Recently, more diverse linked education systems have been created while operating the Unlimited Imagination Room, a space for creativity and imagination, in the living space such as science hall, library, resident center, etc. The space is configur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the lab, atelier, elementary/middle/high school-linked type, story-telling type, idea club type, etc., allowing the people of all age to participate in concerned activities. As the convergence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convergence between humanities and art tend to take on an added importance, this researcher presented D.I.O(DO IT Ourselver) type education model based on the proposal of ideas such as the Unlimited Imagination Room or Fab Lab for the education site where the convergence education has come into the spotlight for the cultivation of talented workforce in convergence, along with the simulation of education program. This researcher intends to establish systematic education management model through constant additional research, and explore the evaluation plan, teaching methods, manpower pool creation, etc.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예술매체 기반 융합형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형재,김형숙,이순애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8

        Pre kindergarten teachers are values to be equipped with one of the personalities, beliefs, attitudes, such as toughness, qualities and professional qualities you should have as a teacher is makin raised through pre-kindergarten teachers training course, from before the introduction of teachers continue to internalize the positive humanity this process, which is desperately needed. In this paper,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vergence program for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art media of pre-kindergarten teachers. The process used to create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art media is divided into six categories which are; evaluation for the need, objective or direction, art media selection, development of convergence program model for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development and the complete guide to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model goes through five activities; language, physical, art and integration representation. Hence the class for personality education applied the personality education activities of convergence based on art media follows a six-step procedure. There are a total of twenty four activities have been developed convergence program for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art media. 예비유아교사가 하나의 인격체로 갖추어야 할 가치관, 신념, 태도 등 인성적 자질과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가적 자질은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을 통해 길러지는데, 교사로 입문하기 이전부터 꾸준히 긍정적인 인성을 내면화하는 과정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성을 증진시키고자 예술매체 기반 융합형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예술매체 기반 융합형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과 활동을 개발한 절차는 예비유아교사의 융합형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진단, 예술매체 기반 융합형 인성 프로그램의 기본방향 설정, 예술매체 선정, 융합형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융합형 인성교육 프로그램 활동 개발, 최종 융합형 인성교육 프로그램 완성의 총 6단계를 거쳤다. 이에 예술매체 기반 융합형 인성교육 프로그램 모형은 예술매체를 활용하여 언어표상, 신체표상, 미술표상, 통합표상 활동으로 전개되는 활동으로 진행된다. 예술매체 기반 융합형 인성교육 활동을 위한 수업은 6단계를 거친다. 예술매체 기반 융합형 인성교육 프로그램 활동은 총 24개가 개발되었다.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창의·융합 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적 글쓰기 수업설계

        강정구(Kang Jeongg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이 글의 문제의식은 대학교 1-2학년의 평범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해서 창의·융합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글쓰기 수업을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가였다. 창의·융합 역량이 강조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글쓰기 교육의 방향을 새롭게 모색하거나 창의·융합의 실제 방법이 필요함을 역설한 선행 연구사들이 공통적으로 요구했던 것은 융합적 글쓰기의 구체적인 수업설계였다. 이 글에서는 여러 전공의 평범한 학습자들이 함께 고민할 수 있는 실생활의 문제를 선정한 뒤에 토의와 협력을 통해서 자기 나름의 해결안을 선정하고 개요를 짜는 융합적 글쓰기의 수업설계를 제안했다. 우선적으로 융합적 글쓰기 수업의 필요성과 특성을 역설했다. 융합적 글쓰기 수업은 국내외적인 교육 방법·여건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이었고, 융합의 세 특성들-시너지 효과, 토의·협력, 다양성·차이-을 효율적으로 드러냈다. 또한 융합적 글쓰기 수업 과정 모형은 협력적 문제해결 교수모델을 활용·참조해서 준비, 문제해결, 정리의 세 단계로 제시했다.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자신의 전공 지식을 활용해서 1차 의견을 제시하게 한 뒤에 토의와 협력을 통해서 시너지 효과를 얻은 탈학문적인 해결안을 도출하도록 모형을 구성했다. 이후 융합적 글쓰기 수업 과정의 시연이 있었다. 융합적 글쓰기 수업 과정 모형에 따라서 화학공학과, 경영학과, 미디어문예창작학과 학습자 3인으로 한 모둠을 형성했고, ‘퍼져나가는 것들은 왜 퍼져나갈까?’로 공동의 문제를 탈학문적인 융합 방식으로 해결하도록 했다. 이 과정에서 교수자는 적절하게 개입해서 학습자들이 탈학문적으로 융합하게끔 도왔고, 학습자들은 자신의 전공 지식을 넘어서서 다른 학습자의 의견을 수용·참조하고 발전시켜서 문제 해결에 도달했다. This article examined how to design a writing lesson to strengthen creative and convergent abilities for ordinary learner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First of all, I emphasized the necessity and characteristics of a convergent writing class. Convergent writing classes were an active response to new educational methods at home and abroad. Convergent writing classes effectively revealed three characteristics of convergence. The model of the convergence writing curriculum used and referenced in the teaching model focuses o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t is presented in three stages: preparation, problem solving, and theorem. Learners used their knowledge to first give their opinion. Through discussion and cooperation, a solution was drawn with synergies. Students then found relevant material and outlined it. Since this experience, there has been a demonstration of a fusion writing course. The team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model of the integrated writing curriculum. The common problem was “Why are they spreading?” The learners found solutions through discussion and cooperation. Learners solved their problems by looking beyond the knowledge of their major and developing other students’ opinions.

      • KCI등재

        창의융합 교육의 관점에서 본 문학 교과서의 문제와 대안 : 창의융합 교육 제재로서의 드라마 <대장금>

        주현식(Hyunsik Ju),백성혜(Seoung-Hey Paik),오윤선(Yoonsun Oh)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6

        While most scholars know about the theories of convergence education, efforts are underway to address their application to educational sites. This paper examines how a literary textbook currently establishes convergence education. We present the learning model of a more desirous,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with this examin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V series Dae Jang Geum: Jewel in the palace. The ten textbooks examined in this paper has more than one creative convergence learning activities. However, the sum of activities in each textbook is extremely different. This difference means that students do not get equal opportunities to approach these activities. Moreover, the degree of convergence is different. In this regard, there are twenty-two multidisciplinary and five interdisciplinary convergent activities in the textbooks. However, there are not any on transdisciplinarity. Now, the challenge is to identify transdisciplinary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present textbook. The transdisciplinarity originates from not a certain discipline but real-life problems, thus marking the feature of it. This paper focuses on ‘creative thinking’ as one of the problems for addressing a transdisciplinary object. Students can develop creative thinking with the project-based learning about investigating the intelligence of the drama protagonist, Jang Geum, in light of the abstraction in the operating system of Artificial Intelligence. Jang Geum’s abstraction capability to reformulate the conventional cooking recipes and medical knowledge into new ones is similar to the cognitive ability of AI. Nonetheless, the difference between humankind and AI lies in Jang Geum’s passion, as her personality supports her creativity. Thus, the exploration of creativity that traverses the literary storytelling and the scientific discourse can produce a new appraisal of the problematic concept of creativity, allowing students to do an experience of synergic learning effects among them. As a result, beyond the fragmentation of each discipline, the transdisciplinary convergence education suggests that the knowledge students learn in school can be applicable to real life. Although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is difficult to be actively incorporated in textbooks or school, it will be possible in the present curriculum, if teachers deeply understand educational contents and skillfully lead students’ activity in the classroom. Therefore, we can realize that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grow their practical knowledge to be able to help student s activity as well as increase theoretical knowledge. This way, students can enhance their capability and be able to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ge. This practical knowledge can be achievable by restructuring the pre-teacher education or retraining incumbent teachers in the teacher education institute. 융합 교육 이론에 관한 연구들은 국내외에서 다수 나왔지만,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문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논의된 적은 많지 않다. 본고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를 대상으로 융합교육의 실현양상을 살펴본다. 이에 대한 분석과 함께 바람직한 창의융합 교육의 교수학습법에 대해 <대장금>을 대상으로 고민해 볼 것이다. 검토된 10종 교과서에서 창의융합 활동은 모두 하나 이상은 있었지만, 교과서마다 그 차이가 심하다. 이는 선택된 교과서에 따라 학생들이 접할 수 있는 창의융합 활동의 기회가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융합의 정도도 다른데, 이 중에서 다학문적 융합교육에 해당하는 것이 22개, 간학문적 융합교육에 해당하는 것이 5개가 있다. 탈학문적 접근방법의 경우 한 개의 활동도 찾아볼 수 없다. 그렇다면 현재 교과서에서 탈학문적 접근의 융합 수업은 어떤 방식으로 실현되어야 할 것인가? 탈학문적 접근 방법은 계획과정에서 특정 학문으로부터 시작하기보다는 오히려 실생활 맥락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다른 접근 방법과는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를 실생활에서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탈학문적 융합 수업의 주제로 보았다. 문제 중심의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고안하고자 텔레비전 드라마 <대장금>의 주인공 장금이 지닌 총명함을 인공지능의 구동수단인 추상화 관점에서 검토한다. 기존 음식 조리법과 의학적 지식을 새로운 음식 조리법과 의학적 지식으로 재공식화하는 데에 사용되는 장금의 추상화 능력은 AI의 인지적 능력에 견줄 수 있다. 그러나 장금의 창의성이 열정이라는 인성의 한 요소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는 점은 인간과 AI의 차이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대장금>의 문학적 스토리텔링과 인공 지능에 관한 과학적 담론을 가로질러 인간의 창의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탐구함으로써, 창의성의 문제에 관한 새로운 이해가 형성되고, 학습자들 간에 시너지 효과가 형성될 수 있다. 문학과 과학의 학문적 파편화를 넘어, 교실 내에서 배우는 지식이 사회 속에서도 소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방안은 이러한 탈학문적 융합 수업에 의해 제안된다. ‘창의융합 교육’이 실제 교과서에서나 수업에서 활발하게 구현되기 어려운 면이 있지만, 본고에서 보았듯이 교사가 교육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학생들의 활동을 잘 이끌어간다면, 현 교육과정 안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다. 교사가 4차 산업혁명시대를 이끌어갈 인재 양성을 주도할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이론적 지식 뿐 아니라 학생들의 활동을 잘 끌어낼 수 있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practical knowledge) 함양의 중요함을 새삼 알 수 있다. 이는 교원양성기관의 예비교사교육 또는 교사 재교육을 통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융합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융합연구 진흥법의 필요성과 방향에 관한 연구

        노영희(Younghee Noh),박민수(Minsu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5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다양한 진흥법제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융합연구가 직면한 이슈들을 해결하고 융합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 필요한 관련 법 제정 및 지원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교육, 학술, 연구, 기술개발과 관련한 293개 진흥법들을 조사하여 각 진흥법의 추진 배경과 법률상의 공통점을 2000년도 전·후로 정리하였다. 이들 진흥법제들의 구조를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융합연구진흥법이 추진된다고 하면, 융합연구의 특성상 기존 법제의 개정을 통한 지원이 아닌 신규진흥법의 제정을 통해 정책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그 내용은 융합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재정지원과 지원체제정비, 융합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정책 개발 및 교과과정 개편, 대형과제개발과 국제협력을 목적으로 하는 융합연구의 브랜드 사업화로 추진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various existing promotion acts in Korea and the relevant legislation and support measures needed to address the issues facing convergence research today and promote convergence research. First, 293 promotion acts related to education, academics, research, and technology 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and the background and legal commonalities of each promotion act were summarized before and after 2000. From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 of these promotion acts, we found that, if future convergence research promotion laws are to be implemented, policy support should be provided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New Promotion Act, and not through the revision of existing laws. Moreover, the contents of the Act should be the reform of education policies and curricula to nurture convergenc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projects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 KCI등재

        뉴 노멀시대 융합보안 산업의 발전 방향과 전망

        박현호 미래융합통섭학회 2022 현대사회와 안전문화 Vol.5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뉴 노멀시대 융합보안 산업의 발전 방향과 전망에 대해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2년 1월부터 2022년 2월까지 각 보안 분야에서 10년 이상 활동 중인 전문가를 중심으로 심층면담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뉴 노멀시대 융합보안에 대한 인식은 융합보안은 미래의 핵심사업, 연구소 R&D 개발 등 통합된 보안, 산업의 융합화로 노출된 위협을 보호하는 활동 및 기술 등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뉴 노멀시대 융합보안 산업의 전개 방향으로 공공기관의 융합보안센터 설립, 연구개발인 R&D 단계부터 보안 분야 추가, 물리보안과 정보보안 기술의 통합솔루션 개발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셋째, 융합보안 산업의 글로벌 역량을 위해서는 국가 주도 융합보안 컨트롤 타워 설립, 혁신기술 개발 위한 벤처기업 투자 및 육성, 기업의 보안 분야 강화를 위한C-level조직의 역량이 뒷받침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넷째, 융합보안 산업의 정책적 방향은 융합기술발전에 따른 ICT융합산업 보안기준 수립 및 시험・평가방법 개발, 융합보안 전문 인력 양성, 국가차원 융합보안검증센터 설립, 기업 및 연구소에 융합보안 전문가 필수 채용, 블록체인 접목한 보안기술 개발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융합보안 산업 강화를 위한 정부지원 방향은 정보통신망법 개정, 중소기업 및 지역 지원체계 구축, 의무교육 보안교과 편성, 산업기술 인력유출 방지 방안 구축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결론 융합보안 산업은 미래에 신 안보차원에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국가차원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

      • KCI등재

        융합 수업모형 사례 연구 : 중학교 수학과 역사를 중심으로

        김수철(Kim Soo Cheol),이해영(Lee Hae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중학교 수학과 역사의 융합 수업모형 사례를 제안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미래사회에서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역량, 미래형 수업과 교실의 의미 탐색, 융합 수업 설계방법 탐색, 수학과 역사 교과의 융합 수업모형 사례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학과 역사의 융합 수업 단계 및 절차, 학습 형태 및 활동 등을 제안하였다. 연구자들은 교육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융합 수업모형 예시를 제안하기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교과에서 역사적 소재를 추출하고, 추출된 소재가 융합적 사고력과 긴밀한 관련이 있는지 논의하였다. 결과 중학교 수학의 ‘기하’ 영역에서는 융합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기에 적절한 소재가 다수 발견되었으며, 융합적 사고력의 하위 요소인 문제해결력, 논리적 판단력, 추론 능력, 창의력 등 4가지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융합 소재를 전문가 검토 결과를 토대로 추출하였다. 또한, CPS 모형과 Polya의 문제해결 과정을 활용하여 융합 수업모형 사례를 제안하였으며, 수학과 역사의 융합 수업지도안 예시를 작성하였다. 수학과 역사의 융합 수업지도안 교육현장의 실제를 반영하여 1차시 분량으로 제안되었다. 결론 제안된 수업모형 사례에는 문제해결력, 논리적 판단력, 추론 능력, 창의력 등 융합적 사고력 요소를 수업 절차 및 교수⋅학습 활동에 따라 제시되어 있으며, 학습자들의 역량 개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 case of convergence instructional model of mathematics and history that can be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Methods To explore the convergence instructional model,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learners in the future society, the search for the meaning of future classes and classrooms, the search for convergence class design methods, and cases of convergence class of mathematics and history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it proposed the convergence class steps and procedures of mathematics and history, learning forms and activities, and suggested the convergence instructional model. In order to propose an example of a convergence instructional model that can be used in the middle school classes, the researchers extracted historical materials from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ccording to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and discussed whether the extracted materials are closely related to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geometry’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a number of suitable materials were found to enhance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The convergence material was extracted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t review. In addition, using the CPS model and Polya s problem-solving process, a convergence instructional model was typified, and an example of a convergence teaching and learning plan of mathematics and history was suggested.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was proposed as 45-minute class reflecting the reality of the educational field. Conclusions In the instructional model,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such as problem-solving ability, logical judgment, reasoning ability, and creativity are presented according to instructional procedures and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and information on the competency development of learners is also provided.

      • KCI등재

        인문융합 교육에 대한 교수자의 관점 : 국내 C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은주(Lee Eunju)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2

        본 연구는 2016년 인문역량강화(CORE) 사업에 선정된 C대학교의 인문융합 교과목을 대상으로 교육현장에서 교수자들은 인문융합 교육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고, 수업운영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교과목 설계(강의계획서)를 보면 기존에 운영했던 인문교양 교과목과 변별되는 점이 크게 눈에 띄지 않는다. 융합교육의 원론적인 측면만 언급하고 주차별 교육내용은 교재의 목차를 그대로 나열하고 있는 사례, 2개 이상의 다른 영역의 협업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학습자들이 무엇을 어떻게 융합하고 있는지 유추하기 어려운 사례, 이종 영역 간 접점을 찾는다는 개념을 수용하고 있지만 수업내용은 주제중심의 다양한 텍스트 호출에 머무는 경우, 기존 교양수업 체계에 인문적 요소(문학, 역사, 철학 텍스트)를 수업자료나 도구로 활용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수업내용도 교수자가 융합하고, 융합한 지식이나 융합해야 할 지점을 교수자가 전달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인문융합 교과목을 담당한 교수자들이 이 교육의 방향에 대해서는 공통감각을 명시하고 있지만 실제 수업에서 실천되고 있지는 않다는 뜻이다. 융합교육에 대한 합의점이 공식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교수자에게는 교과목 개발은 물론 수업자체가 부담이 될 수 있다. 또한 인문융합 교육에서 기대하는 학습자 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수업으로 운영되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많은 수강인원이 대형 강의실에 모여야 하는 여건 상 수업은 강의식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 종래의 교수학습 방식으로 새로운 교육모형을 실현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그것이 인문융합 교과목 설계에서 그대로 노출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how teachers accept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and operate classes in practice with humanities convergence subjects of C University, which was selected for the project “CORE,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2016.” The course design (class syllabus) did not show distinctive differences from that of the existing liberal arts subjects. For example, some syllabuses mention only a theoretical aspect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list the contents of class materials; emphasize cooperation between two or more areas but leave students doing the convergence work for themselves; appear to be accepting the concept of finding a point of contact between different areas but only list subject-centered texts for class content; or simply utilize humanistic factor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texts) as class materials or tools in the existing structure of liberal arts class. As for the class content, it could be seen that teachers performed convergence or delivered converged knowledge or a point of convergence in performing tasks. This means that although teachers in charge of humanities convergence subjects specify the common sense regarding educational directions of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it is not practiced in classes in reality. Among the subjects selected for C University’s project of education content development, the number of subjects for humanities convergence is relatively small. In a condition where there is no official agreement on convergence education, it can be a burden on teachers to not only develop subjects but also operate classes. And classes should be operated in a way that encourages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so as to develop the learners’ competence expected in 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However, in reality, over 60 students gather in a large lecture room and the class cannot depart from lecture-style delivery. In other words, it is difficult to design a new education model using the existing teaching-learning methods. This difficulty is revealed in the subject design for humanities conver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