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생명윤리교육이 간호보건대학생의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김인순(Kim, In-Soon) 한국생명윤리학회 2013 생명윤리 Vol.14 No.1

        본 연구는 생명윤리교육이 간호보건대학학생의 생명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생명윤리교육 방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1개 대학 1학년 학생으로 2012년 1학기에 핵심교양으로 개설된 생명윤리과목을 수강한 학생 86명과 비 수강학생 83명이며, 연구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생명윤리의식은 생명윤리교과목을 수강한 학생과 비 수강학생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생명윤리의식의 하위영역에서 생명윤리과목을 수강한 학생과 비 수강학생 모두에서 낮은 순위를 보인 영역은 인간생명과학, 인공임신중절과 안락사이었다. 생명윤리의식의 예측변인으로 개인 도덕성만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나 생명윤리교육이 학생들의 생명윤리의식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생명윤리교육 방법에 변화가 요청되며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bioethics education on the consciousness of bioethics of freshman nursing and health student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bioethics education.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Subjects were 86 bioethics class students and 83 non-bioethics class students at a university in korea. The average scores for consciousness of bioethics in bioethics class students was 3.05, and in non-bioethics class students, 2.98. When differences in the consciousness of bioethics of bioethics class students and non-bioethics class students were compared, human biotechnology, euthanasia, artificial abortion were equally lower rank. Variable which influenced consciousness of bioethics was individual mortality.

      • KCI등재

        생명윤리의 정언적 성격에 대한 재인식

        박찬구(Park Chan-Goo) 한국생명윤리학회 2006 생명윤리 Vol.7 No.2

        이 글은 인간배아줄기세포 논문조작 사건 이후 갑자기 부각된 우리 사회의 생명윤리 및 연구윤리 담론에 관한 비판적 성찰을 담은 것이다. 과학 연구의 윤리에는 미시적 연구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는 데 요구되는 ‘필요악’ 차원의 윤리, 즉 가언적 차원의 윤리뿐만 아니라, 거시적으로 인류의 생존과 공영에 대해서도 책임을 지는 정언적 차원의 윤리도 포함된다. 생명윤리는 이 후자와 관련된다. 특히 인간배아복제 연구와 관련하여서는 인간 존엄성의 관점에서 매우 신중한 접근이 요청된다. 어떤 이는 인간배아복제 연구를 지지하는 근거로서 불치병이나 난치병 환자의 고통을 덜어준다는 의미에서 휴머니즘에 호소하는 논변을 펼치기도 하지만, 이는 잠재적 인간인 배아를 수단화하는 것이요, 인간 존엄성에 위배되는 일이다. 또 다른 이는 인간배아복제 연구를 집중 지원하는 근거로서 애국주의에 호소하기도 하지만, 이것 역시 궤변에 불과하다. 관련 연구 분야의 제반 요소에 대한 ‘균형과 적정화’를 무시하고 특정 분야에 편중된 지원을 하는 것은 진정한 과학입국도 애국의 길도 아니기 때문이다. 인간존재는 출산 전이나 출산 후를 막론하고, 심지어 부모가 아기를 갖고자 진지하게 계획하는 단계에서부터 이미 잠재적으로 인격지위를 갖는다. 따라서 인격지위의 시작은 생물학적으로가 아니라 인간학적으로 규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그리고 인격은 항상 목적으로 대우받아야 하기 때문에 다른 인격의 이익을 위해서 배아를 창출하거나 희생시키는 행위는 모두 부당하다. 생명윤리의 역할은 생명과학 연구가 인간의 존엄성을 지키고 인류의 생존과 행복에 진정으로 기여하는 것이 될 수 있도록 인도하는 것이다. This essay contains critical reflections upon discourses of bioethics and research ethics of korean society since "Hwang Woo Suk Scandal" last year. The ethics of scientific research consists not only of the ethics of hypothetical imperatives, which functions as a necessary evil, but also of categorical imperatives,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survival and the happiness of mankind. Bioethics is related to the latter. In the perspective of human dignity, the research on human embryo should be performed very cautiously. Someone supports the research on human embryonic stem cells on the ground (of humanism) that it can relieve the sufferings of hopeless cases. But it is against human dignity because it deals with human embryos only as means. A human being has personhood(status of person) not only after birth but also before birth, even from the time when his(her) parents make a plan to have a child. So the personhood should be defined anthropologically, not biologically. It is wrong to make or to sacrifice human embryos in order to rescue other persons, because a person should always be treated as an end, never as a mean. Bioethics should make Biotechnology contribute to the protection of human dignity and the survival of mankind. It is the mission of bioethics.

      • KCI등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상돈(Kim Sang Don) 한국생명윤리학회 2006 생명윤리 Vol.7 No.2

        황우석 사건은 우리 사회에 많은 교훈을 남겼다. 생명 공학자와 의학자의 연구 윤리도 중요하지만 일반 시민들의 생명의료윤리가 그에 못지않게 심각하게 검토되어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 주었다. 왜냐하면 논문조작과 연구 과정에서 있었던 지속적이고 거대한 기만의 배후에는 일반시민들의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무관심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러한 사건의 재발을 막는 데 일반시민들의 성숙된 생명의료윤리 의식과 태도가 절실히 요구된다. 일반시민들의 생명의료윤리 관련 가치와 덕목의 신장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예비 시민들인 중,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철저하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행 7차 교육과정과 시안이 개발된 8차 교육과정에서의 생명의료윤리교육은 교육과정 내용체계와 교과서 서술에서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교육과정 내용체계에서 다루는 생명의료윤리교육이 양적, 질적으로 아직 미흡한 수준이며, 교과서 수술에 있어서 생명의료윤리를 직접 가르치기보다 우회적으로 관련 주제를 다루고 있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This paper is on moral education of bio-medical ethics, specially for middle and high school. Whang's scandal gave us a lot of lessons. Above all we learned that a rigid ethical standard should govern bio-medical researches. But Research Ethics may be not the essence of Whang's scandal, for many people of us still wait for junior Whang who willingly observes the rule about an egg donation procedure etc.. Therefore they do not think Whang's research itself has moral problems. Except Research Ethics, their bio-medical ethical consciousness has not changed. At this point something is wrong. We must rethink our moral beliefs about bio-medical situations such as life, death, pain and happiness. Our history of moral debates on bio-medical issues is not long, moreover it's density and extent too is not enough. From now we need to reorganize festina lente the program for our bio-medical consciousness' maturity. In this paper, the importance of a moral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about modern bio-medical issues is proposed. Our present level of it is not high. Particularly the bio-medical ethics education of a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does not get out of traditional moral principle about bio-medical issues, and then does not touch the core of modern bio-medical ethical issues. Some problem in curriculum and text books are needed to resolve.

      • KCI등재

        인격주의 생명윤리의 도덕적 단초 : 인간의 기본적 선, 인간 생명의 존엄성과 인격

        김수정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3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3 No.1

        의생명공학기술은 인간의 고통을 경감하고 여러 가지 편의와 혜택를 가져다 주었지만 기술의 적용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도덕적 윤리적 문제들을 제기하였다. 이제 생명공학기술은 인간이 태어나며 살아가며 죽어가는 모습에 까지 직접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개별 의생명공학기술의 목적과 가치가 무엇인지, 어떤 식으로 오용될 수 있는지, 의생명공학기술의 진보를 통해 인간이 이루는 것은 무엇인지, 학문적 자유는 어디까지 보장할 수 있는지, 정의와 공정함은 무엇을 요구하는 지 등 생명윤리의 문제들은 의공학기술 내에서 답변될 수 없다. 인간의 자유와 권리 및 효율성에 중심을 둔 생명윤리적 접근은 곧 한계를 드러내고, 보다 근본적인 접근인 인간 본질에 대한 이해, 인간 생명의 고귀함과 인간 존엄성을 강조하는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접근이 요청된다. 이 논문은 생명윤리 문제를 인간의 행위의 구조인 행위본질, 의도, 수단, 결과를 통한 분석을 통해서 접근하고 인간의 본질과 기능을 중심으로 생명윤리 주요 원칙들을 소개하며 인간 존엄성과 인격 및 인간 선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인격주의 생명윤리의 단초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Biomedical technology has relieved human suffering and brought various benefits, but necessarily raised ethical moral issues in its adoption. Its impacts influences directly and indirectly on the way we are born, live, and die. What the purpose and value of particular biomedical technology is, how it is abused, what we can achieve through the particular biomedical technology, what the limit of scientific freedom is, what justice and equity requires are not answered within the medicine, science, and technology. The bioethical approaches which focus on human freedom, right, and efficiency reveals its limitation and requires deeper understanding on human being, respect for human life and human dignity in order to seek the answer of bioethical problems. This paper deals with bioethical issue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structure of human action, introduces bioethical principles, and finds the roots of personalism bioethic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human dignity, person, and human good.

      • KCI등재후보

        새로운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서의 생명가치관 모색- 환경윤리를 중심으로 -

        조용개 한국윤리학회 2002 倫理硏究 Vol.49 No.1

        오늘날 우리가 환경을 문제 삼는다는 것은 그 관심의 대상을 '생명'에 두고 있음을 의미한다. 최근 환경윤리학자들은 '생명'의 개념을 재조명하면서 생태학적 환경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태학적 양식(ecological conscience)'에 따른 도덕적 가치 판단의 기준을 생명에 두고, 생명에 대한 도덕적 배려를 인간과 인간 이외의 모든 존재들과의 관계까지 포괄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생명가치관을 확립하고자 한다.그들은 21세기 환경문제는 지금까지의 환경개량주의나 환경기술주의로는 원천적으로 해결 불가능한 상황이라고 판단하면서 생명에 대한 심층적인 인식에 바탕을 둔 새로운 가치관과 생활양식, 태도 변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즉 환경문제와 생태학적 생명위기 문제가 자연환경의 문제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간사회의 왜곡된 의식과 구조적 모순에 기인한다고 본다. 특히 생태주의자들에 따르면, 오늘날 생태학적 환경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인간중심적 패러다임에서 생태중심적 패러다임으로의 이동을 통해 기존의 사회체계를 전면적으로 재구성할 것을 주장한다. 이러한 새로운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은 지금까지 유지된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철학적 작업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철학적 작업은 '환경윤리(environmental ethics)'를 통한 '윤리가치에 의한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생태중심주의 윤리를 통하여 개개인의 태도변화를 개인윤리적 차원에서 사회구조의 개선을 촉구하는 사회윤리적인 차원에서 그 근본해결책이 모색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고에서는 환경문제와 생태학적 생명위기의 본질을 올바로 이해하고, 인간과 생명현상에 대한 개별과학의 인식을 넘어서 총체적인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해 나가기 위하여 생태중심적 사고와 생태중심주의 윤리를 토대로 하는 소위 '생태중심 생명가치관(eco-centred life values)'을 새로운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생태중심 생명가치관은 생태중심주의 윤리에 입각한 전체론적 가치관으로, 인간과 자연, 그리고 환경과 생명에 대한 분절화된 개체론적 접근을 넘어서 전체론적인 접근을 통해 환경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해 나가고자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생태중심 생명가치관을 인본주의의 교리와 물질주의의 악으로부터 인간을 구하는 21세기 새로운 생태학적 세계관으로, 인류를 포함한 모든 생명체와 지구 전체의 운명론적 입장에서 공생(symbiosis)하는 시대적 가치로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생명가치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통하여 오늘날 우리가 직면한 환경문제와 생태학적 생명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생태학적 패러다임으로서 '생태중심 생명가치관(Eco-centred Life Values)'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의 생명윤리 인식 및 생명윤리 교육의지에 미치는 영향

        신수경,황신영,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1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effects of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on the perception on bioethics and bioethics education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this purpose, a bioethics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5 classes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general biology experiment classes in the science education department of a university in Seoul.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 survey was conducted with preliminary science teachers on the awareness of bioethics and bioethics education. Also, their primary tasks and experiment reports were analyzed. Seven of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interviewed for in-depth analysis on how their perception on bioethics and bioethics education chang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improved the awareness of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bout bioethics. Second, the bioethics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helping them recognize the importance of bioethics education and encouraging the willingnes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o serve in bioethics education. Future science teachers suggested audio-visual class and role playing as effective methods of teaching bioethics. If bioethics experiments-based education programs are adopted in college education, it will be useful to boost awareness of pre-service teachers and strengthen their willingness to serve in bioethics and bioethics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의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총 5차시로 구성된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서울에 소재한 대학교의 과학교육과에 개설된 일반생물학실험 수업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시작 전과 후에 예비과학교사들의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조사를 하고, 이들이 작성한 사전과제와 실험보고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후 수업에 참여한 예비과학교사들 중 7명을 선정하여 면담을 통해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은 예비과학교사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켰다. 둘째,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은 예비과학교사로 하여금 생명윤리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천의지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예비과학교사들은 효과적인 생명윤리 교육방법으로 시청각 교육, 역할극 등을 제시하였다. 대학교육에서 생물실험과 연계한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한다면 예비교사들의 생명윤리 인식 및 생명윤리교육 실행의지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규제에서 소통으로

        이일학(Ilhak Lee)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17 생명, 윤리와 정책 Vol.1 No.2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는 생명과학연구 분야의 거버넌스 일환으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운영되고 있다. 법률 규정상 생명과학 연구 외에도 위원회의 판단에 의해 심의 대상을 결정할 수 있으나, 지금까지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는 배아연구, 유전자관련 연구의 허용 여부 결정이 주된 기능이었다. 법률의 규정이 구체적인 상황에서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심의 기능은 축소되었고 현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는, 논쟁의 여지가 있으나, 그 기능이 축소된 상황이다. 본 논문은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기능이 구체적인 사안을 심의하는 데서 다양한 가능성을 검토, 최선의 대안을 탐색하는 한편 이 과정에서 시민의 참여를 보장하는 것으로 옮겨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현행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규정과 외국의 국가생명윤리위원회 제도를 검토하여 현재 우리 체계를 다른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우리 사회가 생명과학기술을 받아들이는 윤리적 규범이 변화함에 따라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목표와 기능에 변화가 필요함을 발견할 것이다. 그 방향성으로 미국 대통령직속 생명윤리자문위원회가 추구했던 시민의 참여를 통한 윤리적 결정-‘공적 숙고(public deliberation)’-의 내용과 실현방안을 검토했다.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는 첨단 연구와 관련된 ‘생명윤리전문가’의 원탁이 아니라 공론장을 마련하고 보존하는 수호자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가 수행해야 할 활동의 주제를 제안하였다. Korean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KNBC) is deliberating body with functions designated by Bioethics and Safety Act (2013). After 10 years of its establishment, it is necessary to review its achievement and how it can serve the society in safeguarding the sound ethical judgement and practice in biomedical researches. Considering the nature of ethical governance, KNBC worked successfully in institutionalising bioethical consideration into research practice. KNBS worked through deciding the permissible topics in genetic and embryonic researches, about which there existed conflict. Since the ecosystem of ethical oversight has been changed, in which foundational, clinical, and public bioethics body(Evans, 2006) collaborate, KNBC should transform its function and structure to adapt the changes. Considering the nature of bioethical conflicts and pluralistic society, the ideal and practice of bioethics should take into account of deliberative democracy. To explore this possibility, this article review the functions and status of current KNBC and the European national bioethics committees. And the proposal for transformation is given.

      • KCI등재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안영하(Young-Ha An),서순택(Soon Taek Seo),우제창(Jechang Woo),오정균(Chung-Kyoon Auh),엄애용(Aeyong Eom) 미국헌법학회 2014 美國憲法硏究 Vol.25 No.2

        생명에 관한 연구는 인간 및 생명체를 직접 연구대상으로 함에 따라 과학성과 함께 윤리성의 확보가 전제되어야 한다.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재 진행되고 있는 생명에 관한 연구는 인류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반면에, 윤리성이 결여된 연구는 인류에게 심각한 재앙을 초래할 위험성도 동시에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우리의 실정에 맞는 생명윤리관련 법제의 구축과 정착을 목적으로 한 연구의 일환이다. 우리의 현실에 맞는 법제도의 구축 및 정착을 위한 1단계로서 생명윤리 법제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 법적 문제점을 기존의 연구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을 기초로 하여, 생명에 관한 연구에 대한 헌법적 문제와 생명윤리법 자체에 내제된 문제, 연구윤리와 관련된 조직의 문제 및 윤리위반에 관한 처벌의 형사정책적 문제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는 헌법적 기본권과 관련하여 (1) 배아의 헌법상의 지위, (2) 인간의 존엄성과 관련된 문제, (3) 미국의 헌법상의 기본권과 관련된 생명윤리 및 연구지원정책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생명윤리에 대한 기본법이라 할 수 있는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검토하였다. 생명윤리심의위원회(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및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피험자 보호문제(인간대상연구 및 유전자검사의 동의), 배아 등 생성과 연구관련사항의 정비, 인체유래물은행, 유전자 검사기관에 대한 문제, 인체유래물의 개념과 범위, 위임입법의 한계, 법규위임체계상의 문제, 생명윤리법의 적용 범위의 문제 등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생명윤리에 관한 처벌규정상의 문제와 관련하여 (1) 벌칙규정의 상한제한방식 및 (2) 법정형의 형평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현행 생명윤리 법제는 헌법적 문제뿐만 아니라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자체에서도 여러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제기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생명윤리법제를 정비할 필요성이 있다. Ethicality and scientific character are required for researches on human beings or living animals, for those researches can result in a terrible disaster if they are devoid of ethicality as well as high-tech those researches will bring about a great improvement in human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life research related laws that is appropriate for Korean society. First, we examined generally legal problems in existing bioethics legislation based on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of Korea, focusing on constitutional and legal problems, bioethics institution, and penalty of bioethics violations. Furthermore, the following are studied in regard to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s: constitutional status of the embryos, respect of human dignity, protection of human subject, human genome study,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Second, we also examined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closely to study the following: national bioethics committee and institutional bioethics committee, protection of human subject in the human subjects research project (consent to human subjects research and genetic test), prohibition of human cloning, rules on production and research of embryos, human material bank, genetic testing institution, concept and scope of human materials, limit of delegated legislation, and applicative scope of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Lastly, we examined maximum sentences of penal provisions and fairness of legal penalty in regard to the bioethics punishment regulation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current bioethics and safety act has several problems, constitutionally or legally.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revise the bioethics legislation partl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생명윤리적 의사결정 모델 정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

        김승주(Kim, Seung Ju)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철학 Vol.- No.39

        본 연구는 생명윤리적 이슈가 발생할 때 일반적으로 어떠한 의사결정을 하게 되는지에 대한 모델을 정립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생명이란 무엇인가?’, ‘무엇을 생명윤리의식이라 생각하는가?’, ‘생명윤리의식을 구성하는 요소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등의 질문을 만들고 생명관련 키워드수집, 포커스그룹인터뷰(FGI), 1:1인터뷰 등을 통해 자료수집을 하고 질적 연구방법론 중 발견적 연구로 분석하였다. 먼저, 131명의 보건복지 전공의 대학생에게 ‘생명’과 ‘생명윤리의식’이라는 단어를 보고 떠오른 4~6개의 키워드를 적게 하였다. 둘째, 생명윤리 전문가 및 생명운동 실천가 5명을 대상으로 1:1 전문가 인터뷰를 하였는데 인터뷰 내용은 ‘생명이란 무엇인가?’, ‘무엇을 생명윤리의식이라 생각하는가?’, ‘생명윤리의식은 어떤 요소들로 구성된다고 보는가?’ 등이었다. 또한 생명문제에 관심이 있고 생명운동을 실천하고 있는 대학생 6명을 의도표집하고, 1인당 평균 60분간 동일한 질문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셋째, 브레인스토밍을 위해 8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포커스그룹 1팀과 대학생 포커스 그룹 1팀을 운영하여 생명윤리의식의 구성요소를 논의하였다. 그 결과 생명관련 키워드 분석 결과인 828개의 개념과 인터뷰 내용분석 결과인 179개의 개념, 총 1,007개의 개념이 추출되었으며 범주화를 통해 생명윤리적 의사결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새로운 모델을 통해 생명윤리의식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 등 여러 방면에서의 활용을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decision making model are generally made when bioethical issues arise. For this purpose, the data which was analyzed as a heuristic study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ere gathered/ through a collection of bio-related keywords, a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one-to-one interviews in order to establish a model of what decisions would normally be made when bioethical issues arise. First, 131 college students of health and welfare major were asked to write 4 to 6 keywords which were related to life and ‘Bioethics Awareness’. Second, one-to-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persons who were bioethics experts and doers of bioethics and one-to-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college students who were interested in bioethics problems and doers of bioethics. Third, we discussed the components of Bioethics Awareness with the focus group /consisting of 8 experts and the focus group consisting of 8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828 concepts were extracted through bio - related keyword analysis and 179 concepts were extracted through interview contents analysis (a total of 1,007 concepts), and a bioethical decision model was developed by categorization. Through a new model, We look forward to its use in various fields, such as developing a bioethics awareness scale.

      • KCI등재

        생명윤리와 문화에 대한 소고

        정화성 ( Hwa Seong Jeong ) 중앙대학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15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9 No.2

        오늘날 의·생명과학기술은 급진적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특히 생명의료기술은 인간의 삶과 죽음 사이에 펼쳐지는 생명과 관련된 분야와 연계됨으로써 많은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렇게 야기된 윤리적 문제는 생명윤리의 탐구를 통해 이를 해결하려고 한다. 이와 같이 생명윤리란 ‘사람이 어떠한 삶을 살고 싶은지’, ‘어떠한 삶을 사회가 제공할 것인가’가 관련되어있기 때문에 문화적 측면의 고려는 당연한 일이다. 또한 생명윤리는 항상 사회나 문화의 차이를 의식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생명윤리란 용어가 언론을 통해 이슈화되면서 생명윤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그런 면에서 생식기술, 뇌사와 장기이식, 연명치료중단 등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생명윤리의 문제들은 모두 문화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생명윤리에 대한 문화적 측면을 고려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는 알 수 없으며, 단지 문화비교나 문화설명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문화는 다양하며 인간의 인식과 가치관은 문화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상대주의와 문화제국주의의 대립은 기본적으로 문화이해의 본질과 보편적 인간정신의 규명이 가능한가 하는 문제를 둘러싼 이론적 논의의 양상을 띠고 있다. 왜냐하면 각각의 문화는 고유의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그 가치는 다른 문화의 자로 잴 수 없다는 사고가 문화상대주의이고, 이에 대하여 아시아·아프리카 등 제3세계 나라들에게 서양 제국이 말하는 보편적 인권의 사상에 대한 지배문화를 강요하는 것이 문화제국주의이기 때문이다. 또한 문화가 상대적인 것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윤리가 상대적인 것을 정당화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상대주의에서 윤리적 상대주의를 분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윤리적 상대주의가 문화상대주의를 배경으로 삼을지라도 윤리적 상대주의를 거부하면서 문화적 상대주의를 인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초문화적 생명윤리가 문화간의 이해를 촉진시킨다. 그러므로 초문화적 생명윤리는 적극적인 측면에서 다른 민족의 문화와 가치를 이해하고 자신들의 가치와 신념체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특정문화를 벗어나는 보편적인 핵심가치들을 확인하는 것들이 강조되어야만 한다. 그런 이유로 어떤 문화권에서 다른 문화권의 개념을 수용한다 하더라도 이를 내면화하여 그 문화권에서 순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These days medical and biological have radically advanced. Especially life-medical technology is in liaison with life which is related with the field of human``s life and death, this brings up many ethical problems. By looking through the research of bioethics, we will try to solve ethical problems which have been brought up. Considering the cultural aspects is natural since bioethics is related with questions such as ``What kind of life does human want to live``, ``What kind of life will society provide``. Also, bioethics has to be always conscious of cultural or social difference. Because of this, the jargon ``bioethics`` has got attention from the public, and interest to bioethics has grown. From this aspect, bioethics problems such as production technique, brain death and organ transplantation, withdrawing life sustaining treatment, and more that we face all need to consider cultural aspects. But even though it is necessary, we still can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considering the cultural aspects of bioethics, and just comparison and explanation of culture are being used in reality. Meanwhile, culture is various and, perception and values of human is different following their cultures. From this point, opposition of cultural relativity and cultural imperialism is basically showing theoretical discussion aspect of whether essence of cultural apprehension and universal human mind investigation is possible. Because each culture has their own inherent value and this value cannot be measured is the thinking of cultural relativity, and to this, cultural imperialism emphasizes thoughts of Western dominant culture of universal human right to the Third World such as Asia, Africa and more. Also, even if cultural relativity is true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ethics justifies relatives. Thus, it would be important to separate ethical relativity from cultural relativity. Denying ethical relativity while accepting cultural relativity is possible even if ethical relativity comes from cultural relativity background. From these settings, transcultural life-ethics stimulate understandings between different cultures. Transcultural life-ethics should actively emphasize understanding of other nation’s culture and value, and rationally analyzing their own values so that universal core values, transcending from any certain culture, can be recognized. Because of this reason, even if a cultural area accommodates rations of other cultural area,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internalize it to do a proper function in that cultural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