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동물행동학 기반 동물 동작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신지호(Jiho Shin),강태영(Taeyoung Kang)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2 애니메이션연구 Vol.8 No.3

        최근 10년 동안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할리우드 애니메이션을 살펴보면, 공통적인 특징 중의 하나로서 동물이 등장하는 작품들이 많았다는 것이다. 동물 애니메이션의 형태로는 인간처럼 말하고 두 발로 걸어 다니는 스타일의 인간형 애니메이션이 있으며, 그 밖에 실제 동물과 똑같은 형태로 움직이는 동물형 애니메이션이 있다. 1990년대 이전에 제작된 애니메이션 중에는 <톰과 제리>처럼 인간형 애니메이션이 많았지만 이후에 개봉 된 <아이스 에이지>, <니모를 찾아서>, <마다가스카>와 같은 작품들은 자연 상태 그대로의 동물들의 움직임을 적용한 동물형 애니메이션의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완성도 높은 동물형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연구들이 선행되어야 하는지 외국의 사례를 살펴본 결과 동물학에 기초를 두고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게 됐다. 그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도 애니메이션 제작에 앞서 동물행동학(ethology) 연구에 더욱 초점을 맞춰 완성도를 끌어올려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동물학과 애니메이션의 연구를 병행하여 효과를 극대화 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로, 먼저 동물행동학(ethology)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동물행동학이 애니메이션에 어떤 식으로 접목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로, 동물학에 기초하여 들개(Bush Dog) 애니메이션 제작하기를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사례연구를 통하여 동물학에 기초한 동물 동작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이를 통해 국내 동물 애니메이션 동작 표현에 있어서 새로운 기술적 체계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Because of rapid development of animation technology, needs of audience for animation quality is getting higher and higher. When we see the hollywood animation, we can find that their achievement for animation quality is advance level compare to our animation quality level. If we think about the reason how hollywood animation could have great achievement for animation quality. They have been keep researching to find out way to develop perfect quality animation. For example, when they made a animal animation, they had a different approach than others. At first, they studied animal behavior. they even invented small camera to see in animal’s point of view and analyze animal behavior. And they also studied research-based behavior learning under an ethology-based animal animation. Someone might say “is this really necessary to study research-based behavior learning under an ethology-based animal animation to make animal animation?” However to achieve great animation quality, I think that kind of approach is very important. Because that is smiler kind of thing that when they develop modeling skill, they study anatomy. In this research, I paid attention to Research-based Behavior Learning under an Ethology-based animal animation to develop animal animation skill.

      • KCI등재

        근대 미술과 동물: 윌리엄 호가스의 <네 단계 잔인성>

        김숙영 인문예술학회 2023 인문과 예술 Vol.- No.15

        본 연구는 계몽주의 화가 윌리엄 호가스의 작품을 비롯한 근대 미술에서 동물이 어떻게 재현되는지 분석하고 인간-동물 관계의 변화를 고찰한다. 더 나아가 동물도 감정을 지니는가 하는 문제를 다룬다. 호가스의 판화 <네 단계 잔인성>과 피에트로 롱기의 회화 <코뿔소> 및 <코끼리>를 분석하여 미술작품이 불러일으키는 공감에 관해 논할 것이다. 가축 사용, 동물싸움과 경주, 사냥, 전시를 다룬 유럽 근대의 미술작품에서 동물의 고통과 감정에 관하여 비판적 동물연구를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호가스는 동물학대를 다룬 작품에서 동물의 고통을 인간의 아픔으로 치환하는 충격요법으로 인간의 감각적 공감을 유도했다. 산업화 시기의 미술작품은 인간의 가속화된 동물 유용과 동물에 대한 인간의 인식변화를 반영한다. 오늘날의 동물행동학은 인간중심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동물도 감정을 느끼고 고통을 회피하며 쾌락을 누릴 줄 안다고 보고하며 그들의 권리를 주창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미술가의 예술적인 표현과 생명윤리 및 동물윤리에 관한 철학적 논의를 통합하고자 시도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how animals are represented in modern art, including the work of Enlightenment painter William Hogarth, and examines the changing nature of human-animal relationships. Furthermore, it addresses the question of whether animals have feelings. Hogarth's print Four Stages of Cruelty and Pietro Longhi's paintings Rhinoceros and Elephant will be analyzed to discuss the empathy they evoke. Drawing on critical animal studies, Hogarth will analyze the suffering and emotions of animals in modern European artworks dealing with the use of livestock, animal fighting and racing, hunting, and exhibition. In his works dealing with animal cruelty, Hogarth used shock therapy to replace animal pain with human suffering in order to elicit human sensory empathy. The artworks of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reflect the accelerated human use of animals and the changing human perception of animals. Today's animal behaviorism has moved away from an anthropocentric view, reporting that animals are capable of feeling emotions, avoiding pain, and enjoying pleasure, and advocating for their right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integrate the artist's artistic expression with philosophical discussions on bioethics and animal ethics.

      • KCI등재

        동물과 인간의 차이와 연속성 아리스토텔레스의 생물학과 윤리학의 ‘점진주의’에 대하여

        조대호 범한철학회 2010 汎韓哲學 Vol.59 No.4

        이 논문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이른바 ‘점진주의’를 논의하는 데 있다. 논의의 초점은 인간과 다른 동물들 사이의 양적인 정도 차이를 주장하는 두 가지 해석이다. 두 해석은 각각 동물과 인간의 인지 능력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 생물학 내의 생리학적-해부학적 설명에 호소하거나 덕의 생물학적 뿌리들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발언들에 의거해서 인간과 동물 사이에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주장한다. 필자의 관심은 이 두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동물의 인지 능력들은 모두 감각능력에 속하며 그런 점에서 인간의 지성적 인지 능력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사실을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논증하는 데 있다. 동물들의 인지 능력과 관련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에 대한 이런 해석은 그의 동물행동학에 대한 보다 정교한 ‘차이론적’ 해석을 전개하는 데 첫걸음이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so-called ‘gradualism’ in Aristotle's philosophy. It focuses on two interpretations which argue for the gradual difference between humans and other animals, each by appeal to the physiological and anatomical explanations for cognitive capacities in Aristotle' biology and to his remarks on the biological roots of virtue. My concern here is to deal critically with these approaches and to argue by means of examples that Aristotle ascribes the cognitive capacities of other animals to their aisthētikon and in this way differentiates them from human noetic capacities. My reading of Aristotle' view on animal cognition would be the first step in developing a more specified version of ‘differentialist’ understanding of Aristotle's ethology.

      • KCI등재

        나치 시대 콘라트 로렌츠(Konrad Lorenz)의 학문과 정치

        송충기 ( Song Chung-ki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7 역사학연구 Vol.65 No.-

        동물행동학의 개척자이자 1973년 노벨상 수상자인 콘라트 로렌츠는 전후 탈나치화의 시기부터 학문적으로 나치에 부역한 혐의로 논란을 빚었다. 최근까지도 이러한 논란이 지속되었는데, 여기에는 동물행동학 자체에 대한 학술적인 비판과 더불어 로렌츠의 나치 때 행적도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본고에서 학술적 측면보다 학문 밖의 행동을 중심으로 학자들이 나치 이데올로기에 친밀해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로렌츠는 어릴 적부터 동물과 함께 살다시피 하면서 그들을 관찰했다. 그가 의학을 포기하고 동물행동학으로 선회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하인로트 등 학술공동체가 형성되면서 새로운 학문에 대한 야심을 가졌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경제적 정치적 여건이 문제가 되자, 당시 구축하던 학술적 네트워크를 통해 동물행동학의 연구에 대한 경제적 정치적 여건이 훨씬 더 나았던 독일로 진출했다. 여기에서 그는 학문적 돌파구를 위해 나치당에 입당하는 등 정치적 행동도 마다하지 않았다. 이러한 정치적 행보를 통해 그는 결국 쾨닉스베르크 대학의 교수로 임용되면서 학문적 전기를 마련되었지만, 소련의 참전으로 학문을 중단했다. 전쟁시기에 그는 연구활동을 지속했지만, 이미 정치적 이데올로기에 상당히 감염되었다. 전후 나치 청산이 느슨해지면서 `학자`로서의 전문성을 강조한 덕분에 정치적 책임에서 벗어나 중단했던 연구를 계속할 수 있었다. Konrad Lorenz, who shared the 1973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and is regarded as one of the founders of modern ethology, had been suspicious of his collaboration with Nazi Germany since the denazification was carried out. The controversy over his nazi past has continued recently.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what he did politically under National Socialism. At the request of his father, he became a doctor, but he could not but help study ethology, because he was very enthusiastic about animals since his childhood. The political atmosphere for biology in Austria was very bad at that time, whereas eugenics was welcomed and its issues were extensively researched in Germany, especially in the Kaiser-Wilhelm-Society. So he made efforts to go to Germany for the study. After he joined the Nazi party in 1938, he had taken a university chair. Due to his party membership and help of his scientific colleagues, he could focus on studying ethology. However his science was already politically contaminated.

      • 동물윤리와 과학적 창의성 사이의 정합적 관계 : 동물행동학을 중심으로

        하대청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9 생명윤리정책연구 Vol.3 No.3

        How can the attention to bioethics be compatible with the pursue of scientific creativity and productivity? In this article, I explore the possibility of this compatibility through the redefinition of scientific practices. The dominant discourses in animal ethics haven’t taken scientific practices into account seriously even if it contributed much to understanding animal rights. I examine major points made by STS scholars, Bruno Latour, Isabelle Stengers and Vincianne Despret, Donna Haraway, which I call ‘practical epistemology.’ From those works, I try to reconfigure what scientific practices really are and should be, which is summarized as these four themes; (1) From representation to re-presentation (2) from ‘disinterested’ to ‘interesting’ (3) from ‘true’ to ‘articulated’ (4) from judges to care-takers. And then I show that these themes in this practical epistemology apply well to several researches in ethology, such as McClintock’s study of rat, Rowell’s sheep, Pepperberg’s parrot. I also argue that this practical epistemology can channel animal ethics into its adjustment toward the attention to scientific practices, becomings of animals and humans, companionship between them. Most important, thanks to this practical epistemology, one doesn’t have to only choose between ethics and science but can choose both. In the end, I introduce my personal experience of an animal research in a laboratory and carefully suggest that animal ethics in the context of invasive animal researches can also obtain some insight from this practical epistemology.

      • KCI등재

        돈 들릴로의 『바디아티스트』 읽기 : 인지 동물행동학과 동물의 마음

        김수임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3 스토리&이미지텔링 Vol.26 No.-

        In The Body Artist, known as Don DeLillo's shortest novel, the main character, Lauren Hartke, spends more time alone and pays attention to the various birds that fly around her house. Then one day, her interest turns to the striking Blue Jay, which leads her to wonder what the difference between human and his perception is. This study tries to analyze Lauren's curiosity using cognitive ethology as an analytical framework. Through this, it seek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understanding of animal others. To this end, it explores various matters related to cognitive ethology based on such theoretical logic, captures the possibilit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birds in The Body Artist. In this way, this study examines the converging point of the two disciplines through the metaphorical network established in the languages of literature and science. 돈 들릴로의 가장 짧은 소설로 알려진 『바디아티스트』에서 주인공 로렌 하트케는 홀로 지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집 주변으로 날아드는 다양한 새들에게 주의를 기울인다. 그러던 어느 날 그녀의 관심은 도드라져 보이는 파란 어치에게로 향하면서 인간과 그의 지각에 어떠한 차이가 있을까 하는 호기심으로 이어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로렌의 궁금증에 초점을 맞추어 동물의 마음에 대한 진화론적 및 생태학적 비교연구인 인지동물행동학을 분석 틀로 삼아 동물 타자에 대한 이해의 확장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Ⅱ장에서 인지 동물학과 관련된 여러 제반 사항들을 살피는 것으로 시작하고 Ⅲ장에서는 그러한 이론적 논리를 토대로 『바디아티스트』에서 인간과 새의 관계성에 대한 흥미로운 가능성을 포착하고자 한다. 이로써 본 연구는 문학과 과학의 언어 사이에 구축된 은유적 연결망을 통해 두 학문의 접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동물의 자발적 행동과 숙고

        조대호(Dae Ho Cho) 철학연구회 2009 哲學硏究 Vol.0 No.86

        Dieser Aufsatz zielt darauf ab, Aristoteles` Grundgedanken uber die Differenz und Kontinuitat bei menschlichem und tierischem Verhaltenzu besprechen. In seinen Schriften, bes. in der Nichomachischen Ethik, behauptet Aristoteles, dass das tierische Verhalten von der Wahrnehmung bestimmt sei und dass ihm die Diemension des menschlichen Handelns, die mit der Intelligenz verbunden ist, fehle. Auf den ersten Blick mogen derarige Außerungen den Eindruck erwecken, als ob Aristoteles den Tieren keine kognitive Tatigkeit zugeschrieben hatte, und zwar im Gegensatz zu Darwin und den modernen Ethologen. Dieser Eindruck ist aber irrefuhrend. Es gehort zu den festen Uberzeugungen des Aristoteles, dass sowohl der Mensch als auch die Tieren zur freiwilligen zweckgerichteten Tatigkeit fahig sind und dass dies das Begehren nach einem bestimmten Ziel und das Erkennen eines begehrenswerten Objektes voraussetzt. Aristoteles ist also der Auffassung, dass auch die Tiere als freiwilliges Subjekt bei der Verfolgung ihrer Ziele das Erkennen und Beurteilen zur Verfugung haben. Aber dies bedeutet fur ihn noch nicht, dass sich das tierische Verhalten in jeder Hinsicht nur graduell von dem menschlichen unterscheidet, wie Darwin annimmt. Aristoteles will einen wesentlichen Aspekt des menschlichen Verhaltens darin finden, dass dies vermittelst der Uberlegung verwirklicht wird. Das heisst: Anders als die Tieren setze sich der Mensch bewusst Ziele und reflektiere uber die moglichen Mittel dazu, und zwar in einer syllogistischen Form. Eine solche Uberlegungsfahigkeit besteht laut Aristoteles bei den Tieren nicht, auch wenn diese andere niedrigere Formen des Erkennens zur Verfugung haben, wie etwa Wahrnehmung, Vorstellung, Erinnerung, Erfahrung usw. Insofern lasst sich sagen, dass der Begriff Uberlegung einen Schlussel nicht nur zum Verstandnis der aristotelischen Ethologie, sondern auch zu einer vergleichenden Untersuchung ihrer mit der modernen Ethologie bietet.

      • KCI등재

        들뢰즈의 기호와 정서

        이찬웅 ( Chan Woong Lee ) 한국기호학회 2011 기호학연구 Vol.29 No.-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Deleuze`s conception of sign and of affect according to his three periods which can be named as expressionism, machinism and a study of the image. In the period of the expressionism, the sign is the reflection of an essence, whereas, in the period of the machinism with Guattari, the basic elements of the sign don`t have any meaning, but those combinations product a meaning. In Deleuze`s last period, images form a sign of thought for itself in the universe of omnidirectional variation where the distinction of essence and phenomena is completely abolished. With regard to the affect, in departing from the Spinozist distinction between affection and affect, it is enriched by synthesizing originally psychoanalysis and ethology. The concept of affect which is thought as a real becoming in this way is enlarged into the problem of esthetics which consists in abstracting pure aff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