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긍정심리 자본이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정효정,조성제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3

        In this study,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adolescents on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i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For this purpos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administered to 14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S City, and data from a total of 125 people were analyzed, excluding 15 who omitted answering some questions or responded insincere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b-factors, self-efficacy, and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role orientat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mong the sub-factors,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relationship tendencies. Additionally, amo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b-factors,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expressiveness.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on the impa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ies confirmed that gri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imply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ffe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ndencies through gri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help develop the character or psychological education programs of the youth and improve their ability to adapt to school life by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grit, and interpersonal tendencies.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실과/가정과 가족생활 영역의 내용 비교 :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정효정 한국실과교육학회 201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1 No.4

        This study aims to obtain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ontents of family life area in the Korean practical arts course and the Japanese home economics course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s of curriculum and textbooks in both countries. To this end, the authors of this study selected and compared the Korean 2011 revised curriculum, Korean four authorized textbooks for the practical arts course, and the Japanese elementary school teaching instruction for home economics and two Japanese authorized textbooks for Japanese cou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pters titled “My Growth and Family” and “Family Life” were commonly included in both countries, and the chapter titled “Relations with Family and Neighbors” was included only in the Japanese home economics course. Considering that the family life is not a separate area from the community, it could be suggested that extending the scope of the learning content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units of specific learning contents in the same titled chapters. In the case of the Korean practical arts course, the contents were knowledge-oriented and focused on providing a detailed explanation of meaning, including one’s own personal background, meaning of the family, and various forms of family. In the case of the Japanese home economics course, on the other hand, the definition and kinds of family and explanations of examples were barely discussed in the textbooks. As a result, in this stud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drawn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on the area of family life in Korea and Japan respectively. These findings may serve as an opportunity to raise the overall interest in family life through the learning of family life areas and to consider the study of links with other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초등학교 실과와 일본 소학교 가정과의 가족생활 영역에 대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향후의 실과 가족생활 영역의 내용 개선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 실과는 2011 개정 교육과정과 4종의 검정 교과서, 일본 가정과는 2008년에 개정된 소학교 학습지도요령 가정 편 및 그 해설과 2종의 검정 교과서를 선택하여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양국 모두 ‘나의 성장과 가족’, ‘가정일과 가족원의 역할’에 관한 단원은 공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었는데, 일본 가정과에는 ‘가족·이웃과의 관계'에 관한 단원이 추가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가정이 지역사회와 분리된 영역이 아닌, 연계된 영역이라는 것을 고려했을 때 학습내용 대상의 범위 확대를 제안할 수 있겠다. 또한 양국이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단원에 있어서도, 구체적인 학습내용에는 차이가 보였다. 한국 실과는 자신의 성장 과정의 특징, 가족의 의미, 다양한 가족의 형태 등 구체적인 설명에 중점을 둔 내용인 데 비해, 일본 가정과는 학습내용에 관한 정의 및 종류, 예시 설명은 거의 다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자신의 성장을 돌이켜 보거나, 자신과 가족의 생활시간을 살펴봄으로써 가족의 소중함을 깨닫고, 가정생활(의식주생활, 소비생활과 환경)의 협력의 필요성을 이끄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었다. 이렇듯 본 연구에서는 가족생활 영역에 관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한일 비교 분석을 통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가족생활 영역의 학습을 통해서 가정생활 전반에 관한 관심을 높이는 동시에 타 영역과의 연계 학습을 고려하는 데 있어서 참고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평생교육차원의 정보화 교육 특성에 관한 연구

        정효정 한국산업융합학회 2023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26 No.1

        In the rapidly changing information age, as the need for Informatization education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further activate Informatization education for adults. First, in terms of lifelong learning, this researcher suggested learner analysis, class subject materialization, and lecture environment confirmation as three things to be considered first before the course is opened. And as a matter to be continuously considered in terms of lifelong learning, this researcher considered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next quarter class and the continuity of learning opportunities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informatization education in terms of lifelong education by presenting and analyzing three actual class cases taught by this researcher at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ts characteristics included customized education in the information age, continuous upgrades of equipment, instructor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information age, and expansion of employment opportunities. Based on the case of information education classes,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education at the lifelong education level, can help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ors and self-development of learners in the actual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is,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will also be needed.

      • KCI등재

        학술연구의 동향 및 정책과의 상호관계 분석 :중소기업 기술혁신정책을 중심으로

        정효정 기술경영경제학회 2018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6 No.4

        In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sector, research has shown an increasing trend due to changes in industrial society and policy. Therefor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research and policy is relatively high.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rends of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SMEs innovation policy. Moreover, we examined the interrelationships. By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we have identified key themes and changes in domestic policy papers published since the announcement of the 『Five-Year Plan for Innovation of SMEs』. Also, we compared them with 『Five-Year Plan for Innovation of SMEs』 of each period. The result shows that the gap between academic research and policy has been closing over time.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 studies that verify policies at the relevant time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and that policy issues are in turn influencing academic research due to government-driven policies.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time gap between academic research and policy. Academic research tended to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s level, when the policy had been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2019~2023 five-year plan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hich will be announced in the future, and this study will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devising evidence-based policy. 중소기업 분야는 산업사회와 정책 변화에 기인하여 관련 연구들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정책과의 연계성이 비교적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전제로 중소기업 기술혁신정책 관련 학술연구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중소기업 기술혁신정책과의 상호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학술연구와 정책간의 주제적 유사성이 높아지고 있었다. 이를 통해 해당 시기의 정책을 학술적 관점에서 검증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과 정부주도정책으로 인해 정책적 이슈가 학술연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술연구와 정책간의 시간차가 존재하는 연주주제가 나타났으며, 해당 정책이 시행되는 시기에 학술연구가 이전연도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향후 발표될 ‘중소기업 기술혁신 5개년 계획(2019~2023)’의 수립에 있어 주요 논의사항을 파악하고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기여하고, 증거 기반 정책 설계의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어린이집 부모 민원 제기 요인에 대한 논점과 대안

        정효정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5

        Beginning with consumer-oriented childcare, which was the keynote of Korea’s national childcare policy, and recent emphasis on state-responsible childcare, the Korean government’s childcare administrative delivery system has responded to parents’ requests with caution. Moreover, with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childcare centers and enactment of free childcare policy, most childcare centers provide easy access and personalized services for parents’ desires and expectations. Since parents’ choice is a key factor in the structure of childcare center operation where the replacement rate of children is the most important, it is considered natural for centers to provide childcare service that prioritizes customers’ needs. Rather than considering whether the parents’ requests or claim of right might influence the development or protection of children in positive ways, there are more people who think that customers’ claim of right can control the providers’ attitudes. When parents’ extended requests are not met, these lead to filing of complaints and various conflicts. As there are conflicting positions that customers can rightfully request for qualitative enhancement of childcare or that excessive filing of complaints is distorting the essence of childcare and generating chaos and difficulties for childcare faculty,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adjustment of the positions and a rational solution. Thus this study seeks solutions for the aforementioned problems based on cases of parents’ requests and conflicts that turn into causes of filing complaints at childcare centers. 우리나라 보육정책 기조였던 수요자중심보육을 시작으로 최근 국가책임보육이 강조되면서 정부 보육행정 전달체계는 부모의 요구에 민감하게 대처해 왔다. 더욱이 어린이집의 양적 확충과 무상보육 시행으로 입퇴소의 접근성이 용이하여 대부분의 어린이집은 부모의 욕구와 기대에 따르는 맞춤형 보육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다. 영유아 충원률에 민감할 수밖에 없는 어린이집 운영구조에서 부모의 선택이 관건이다 보니 수요자 입장이나 필요에 우선하는 보육서비스 제공이 당연시되고 있다. 부모의 요구나 권리 주장이 영유아의 발달권과 보호권에 어떠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고려하기보다는 보육수요자 권리 주장이 공급자의 태도를 주도할 수 있다는 의식이 팽배해지고 있다. 부모의 요구가 늘어난 만큼 이를 충족되지 못했을 경우, 이는 민원 제기로 이어지고 다양한 형태의 갈등을 양산하게 된다. 보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수요자의 요구이자 정당한 권리의 적극적 표출이라는 인식과 과도한 민원 제기로 보육의 본질이 왜곡되고 업무의 혼란과 어려움을 호소하는 입장이 상충되고 있는바, 그 조정과 합리적 해결 방안이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에서 민원 제기 요인으로 작용하는 부모 요구 및 갈등 사례를 통한 논점을 근거로 그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어린이집 경계성 영유아 문제행동지도에 대한 논점과 대안

        정효정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4

        As more children are spending longer time at childcare centers from young age, childcare teachers are increasingly complaining of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problematic behaviors of borderline children. Borderline children are not classified as disabled but have non-categorized risk factors for disability so that it is important to detect them early on and mediate them at proper time. Problems in emotions and behaviors during early childhood are closely related to psychological disabilities after childhood and can bring about social isolation. Major influential factors of problematic behaviors are children’s characteristics of temperament and parenting environment. For effective correction of problematic behaviors, appropriate interven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cooperation of parents are important. However, many parents mistrust childcare teaching staff’s consultation and advice and avoid dealing with their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children are neglected and teachers are burned out.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issues and solutions on correcting problematic behaviors of borderline children at childcare centers. 저연령기부터 장시간 어린이집에 머무르는 영유아가 늘어나는 가운데 증가 추세인 경계성 영유아의 문제행동 대처에 보육교사는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경계성 영유아란 장애유형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비범주 장애위험요소를 지니고 있어 조기 발견과 중재의 적기성이 중요하다. 영유아기에 정서․행동 상의 문제는 아동기 이후의 심리적 장애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 사회적 고립을 야기할 수 있다. 문제행동의 주 영향요인은 영유아의 기질적 특성 및 부모 양육환경으로 효과적인 문제행동지도를 위한 교사의 적절한 개입과 부모의 협조가 중요하다. 그러나 보육교직원의 상담과 조언을 신뢰하지 않고 자녀의 문제행동을 회피하는 사례가 빈번하여 영유아는 방치되고 교사는 업무 소진으로 이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경계성 영유아의 문제행동지도에 대한 논점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아동권익 관점의 유보통합을 위한 논점과 제언

        정효정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2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6

        As part of its 110 governmental tasks, the Yoon administration has announced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 that is currently dualized into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The vision seeks to provide high-quality service that is equal for all children and guarantee the parents’ convenience and choice in using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Since 1997, the discussion for integration of the system has continued for about 25 years, but in-depth tasks lie scattered such as the unification of administrative departments and systems for childc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merging of human resources procurement and support, and integration of teacher training systems and qualification standards. For a successful integration of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the government’s will and effort are much more in need. Collecting consumer needs, persuading interested parties to agree and participate, and securing appropriate finances and support are such tasks for the government. Above all, the social implication must be established that the direction and aim of integration policy prioritize the children’s rights and interests. The flow of Korean policy for childcare has been partial to ‘a society for raising children well’ rather than ‘a society where children are happy’, through ameliorating parents’ burdens, reducing costs, and securing the labor force. However, the aim of the integration policy must be set based on the values that are children-oriented so that their rights and interests are prioritized. Integration that is buried under the interests of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or administrative opportunism, or one that is oriented toward only parents’ convenience or political propaganda must be strictly guarded against. The integration must entail a policy that can support children’s rights and benefits as well as their holistic growth. This study thus suggests the issues and alternatives of the integration of departments and 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s, which are the core parts of the integration, with the imperative that the integration of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must be done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rights and interests. 윤석렬 정부는 110개 국정과제로 현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으로 이원화되어있는 유아교육 체제의 통합을 발표했다. 모든 영유아에게 차별 없고 균등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부모의 이용 편의성과 기관 선택권을 보장한다는 것이다. 1997년부터 25년여 동안 통합 논의는 지속되어 왔으나 보육과 유아교육의 관리 부처 및 행정체계 일원화를 비롯하여 재원 조달 및 지원 통합, 교사양성 및 자격기준 통합 등 숙원과제가 산재해 있다. 성공적인 유보통합 실행을 위해서는 수요자의 욕구 수렴, 이해관계자의 동의와 참여, 적절한 재정확보와 지원 등 정부의 의지와 노력이 한층 요구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유보통합 정책 시행의 방향과 목적이 아동의 권익에 우선해야 한다는 사회적 함의가 확립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아동정책의 흐름은 부모의 양육부담 완화, 비용경감, 노동력 확보 등 ‘아이가 행복한 사회’ 보다 ‘아이 기르기 좋은 사회’를 위한 정책에 편중되어왔다. 영유아가 중심이 되고 영유아의 권리와 이익을 최우선시해야 한다는 가치 확립이 유보통합정책의 목표로 설정되어야 한다. 어린이집과 유치원 당사자의 이해관계나 행정편의주의에 매몰된 통합, 부모편익중심이나 정치적 여론몰이식 유보통합은 단호히 경계해야한다. 영유아의 권익과 전인적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을 수반한 통합이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유보통합 정책 시행은 영유아의 권익 관점에서 추진되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가지고 통합의 핵심 부분인 부처 통합과 교사자격 통합에 따른 쟁점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초등학생을 위한 노작중심형 계발활동 프로그램 개발

        정효정,남용 한국실과교육학회 201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4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Work Based Development Activities Program to make up for lack of Practical Arts education related work experiences in the 3rd and the 4th graders.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s in the work experiences and the development activities and the analysis of work experiences in the Practical Arts subject, the Work Based Development Activities Program was developed. The model for developing the Work Based Development Activities Program was suggested in 5 steps including 'configuring the work experience area', 'configuring themes and objectives for each area', 'selecting activities', 'selecting methods', and 'selecting contents of activities.'The 5 areas of the Work Based Development Activities Program were 'Raising Animals', 'Cultiviting Plants', 'Crafting', 'Cooking", and 'Handicrafting.' Each area has 10 units and each units requires 2 class hours, that is, 20 class hours are needed to complete each area activities. All of activities are not overlapped with the Practical Arts subject activities and are corresponded with the work experience theory. 이 연구는 제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따라 3, 4학년의 실과 교과교육의 부재로 인한 아동들의 실과 관련 노작활동 경험의 결손을 보완할 수 있는 노작중심형 계발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작활동 및 계발 활동 관련 이론을 고찰하고, 제7차 초등학교 5~6학년 실과 교과서에 나타난 노작활동의 영역별 내용을 분석하여 노작중심형 계발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노작중심형 계발 활동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있어서는 통합교육과정과 선행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노작중심형 계발활동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노작활동 영역 설정 ⇒ 노작 활동 영역별 주제 선정 및 목표 설정 ⇒ 단계별 활동 내용 선정 및 조직 ⇒ 단계별 활동 방법 선정 ⇒ 각 단위 활동별 내용 구성의 5단계로 제시하였다. 노작중심형 계발 활동 프로그램은 사육부, 재배부, 공작부, 조리부, 수공예부의 5개 부서에 대한 프로그램을 작성하였으며 총 10 단위의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각 단위 프로그램은 2시간을 기준으로 활동하며 총 프로그램 시간은 20시간이다. 계획단계 1단위, 중심활동단계 8단위, 발표평가단계 1단위로 구성하였으며 중심활동단계의 각 단위별 활동 프로그램은 5~6학년 실과교과내용 분석의 결과와 중복되지 않으며 사전 활동으로 가능한 활동들과, 노작 활동의 원리에 부합하며 계발 활동의 목표에 적합한 활동을 선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