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ultilingualism in the Linguistic Landscape of Konkuk University Glocal Campus

        장인철,황병후,Liu Zhuolin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9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8 No.-

        The glob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has reshaped language use and practice on campus. As increasing numbers of international students change the campus into a more multilingual space, a variety of multilingual signs posted on bulletin boards and streets on campus become commonplace. Against such a backdrop of sociolinguistic changes on the globalizing campus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in which multiple languages are chosen and used in South Korean higher education. Drawing on the framework of linguistic landscape, the present project analyzes multilingual signs displayed in public spaces of Konkuk University Glocal Campus, a local university that has pursued internationalization policies over the past decade. For this purpose, 208 public signs were collected from thirteen locations and analyzed in terms of language, producers, and communicative functions. The analysis reveals that a typical multilingual sign is in English and Korean and is created by the university authorities for referential functions. The most multilingual spaces are the library, a building for international education, and the dormitory, as these locations display various languages and language combinations. English is the most dominant foreign language in multilingual signage. Chinese and Vietnamese signs have begun to be increasingly present at KU, but their communicative functions are relatively limited. Based on such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university’s language and internationalization polici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신데렐라』 다시읽기: ‘원초적 어머니’와 ‘불가의 소녀’ 여성 원형상을 중심으로

        최율리(Choi, Yul-lee)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0 스토리&이미지텔링 Vol.20 No.-

        이 글은 현대 페미니즘의 집중 포화 아래서 이제는 사라지고 다시 써져야 하는 구시대의 산물로 취급되는 “신데렐라”가 어떤 이유로 보편적이고 생명력 있고 원형적인 서사인지, 다시 말해 어떻게 인간 안에 내재하는 인지적 스키마 및 윤리적 방향성과 일치하는지를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인간을 인간 되게 하는 가장 선명한 속성을 스토리텔링의 향유 능력으로 볼 때, 시대와 장소를 초월해서 수많은 이형들로 발견되는 신데렐라 서사가 구체적으로 어떤 지점에서 우리 삶에 대한 영향력과 형성력을 가지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두 가지 여성 원형상, 즉 ‘원초적 어머니’와 ‘불가의 소녀’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심층적으로 읽고 해석한다. 먼저 ‘원초적 어머니’(primary mother)는 생명을 출산하고 양육하는 모성상으로, 신데렐라 이야기 속에서 죽음을 넘어서까지 되돌아와서 딸을 돕는 어머니, 나무와 가축의 형상으로 변신해 딸에게 필요한 물질과 애정을 제공하는 절대적이고 희생적인 어머니로 나타난다. 이 원초적인 모성상은 한편으로 딸의 성장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양육을 담당하는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자식을 의존과 퇴행의 위치에 묶어두는 양가적이고 역설적인 존재로 기능한다. ‘불가의 소녀’(a girl who sits beside the fire)는 ‘재투성이’라는 이름에서 유추되듯, 불 가까이에 머무르며 그 불의 파괴력과 생성력 양편으로 담금질을 받는 어린 샤먼 후보생으로서의 신데렐라에 관한 형상이다. 기존의 공동체 내에서 가장 어리고 순결한 존재, 신성한 불을 돌보는 임무를 위해 분리되어 유폐된 존재, 성스러운 불이라는 제의적 폭력의 희생양이라는 원형상이 신데렐라라는 다성적인 이미지 속에 겹쳐져 보임을 여러 버전의 이야기들을 비교함으로써 논의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ain some aspects, for which Cinderella is a universal, vital and archetypal narrative, in other words, a narrative of which the cognitive schema and ethical direction correspond to the elements inherent in humans, In view of the ability to enjoy storytelling as an essential attribute that makes us humans, Cinderella"s narrative, which is found in numerous variants, transcending times and places, shows at what specific point this narrative has influence and shaping power in our lives. For this purpose, the story need to be re-read and interpreted in-depth, focusing on two archetypal images, “the primary mother” and “the shaman girl who sits beside the fire”. “The primary mother” is a maternal image that gives birth and nurtures life. In the Cinderella story, this mother who returns beyond death to help her daughter, transforms into the shape of trees and livestock to provide the necessary materials and affection. She appears as an absolute and sacrificial motherhood. This primitive maternity functions as an ambivalent and paradoxical element, mother to nurture and save on the one hand, mother to kill and destruct on the other. “A girl who sits beside the fire” is an image as a young shaman candidate who stays close to the fire and get burned with both the destructive and generating power of the fire. This young, pure and beautiful girl, confined and separate for the task of caring for the sacred fire, is a victim or scapegoat of ritual and initiative violence, and has the ability of the mastery of fire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supernatural world.

      • KCI등재

        유튜브 인기 광고 영상의 텍스트 특성 연구

        윤재연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2 스토리&이미지텔링 Vol.24 No.-

        씽크위드 구글(Think with Google)’에서는 구글 검색 데이터에 기반하여 조회 수와 시청자 반응이 높은 유튜브 우수 광고 영상을 뽑아 분기별로 제공하고 있다. 이들 광고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선정되었다는 점에서 수용자에게 영향력이 높고, 대중에게 영향력이 매우 커진 유튜브에 노출된 광고라는 점에서 의사소통적 관점에서 매우 효과적인 텍스트라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 ‘유튜브 인기 광고 영상’의 텍스트 구성상의 특징을 분석하고, 그 특성에 따라 텍스트 유형을 분류하여 보았다. ‘유튜브 인기 광고 영상’은 텍스트 구성에 있어 일반적인 TV 광고에 비해 러닝타임이 길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유튜브 인기 광고 영상’의 다양한 텍스트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유튜브 인기 광고 영상’은 텍스트 구성 방식에 따라 ‘일반형, 영화/드라마형, CMsong형, 프로그램형, 기타’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 KCI등재

        상호텍스트성 관점으로 모리스 샌닥의 삼부작 읽기

        서병철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7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4 No.-

        This paper is to analyze Maurice Sendak's trilogy, which are Where the Wild Things Are, In the Night Kitchen and Outside over There, depending on the literary theory such as "Intertextuality". This study is going to be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 is to compare Where the Wild Things are to Little Red Riding Hood which is one of the famous traditional fairy tales, specifically focusing on characters and settings in two works. When it comes to In the Night Kitchen, this paper will concentrate on the relationship with Little Nemo in Slumberland, which had been composed between 1905 to 1914. His work, Outside over There, has been thought to bear the characteristic of Baroque art. In conclusion, what is going to be considered most in this paper is to expand the interpretation of his trilogy by investigating a variety of literary works. 본 연구는 미국 어린이 문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그림책 작가 중 한 명인 모리스 샌닥(Maurice Sendak)의 그림책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리스 샌닥의 작품을 보다 폭 넓은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현재 모리스 샌닥 그림책에 대한 상호텍스적 연구가 부재한 상태라서 더욱 본 연구가 유의미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본 연구는 모리스 샌닥의 3부작 그림책인 『괴물들이 사는 나라』, 『깊은 밤 부엌에서』 그리고 『저 너머 건너편에』를 중심으로 그의 작품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을 살펴보려 한다. 본 연구는 본론을 크게 3파트로 나누어 논지를 전개시키려 한다. 『괴물들이 사는 나라』는 전래동화 「빨간 모자」이야기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주인공인 맥스와 빨간 모자의 모습을 비교 분석해 보도록 한다. 본론의 두 번째 파트는 『깊은 밤 부엌에서』와 윈저 맥케이의 『잠의 나라의 리틀 네모』를 비교 분석하도록 한다. 이 부분에서는 모리스 샌닥이 맥케이의 만화 형식에서 어떤 부분을 차용했는지를 분석해 보도록 한다. 본론의 마지막 파트는 『저 너머 건너편에』이 지니고 있는 바로크 미술의 특징을 살펴보도록 한다. 각각의 본론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룰 사항은 그림책으로서의 그림의 형식과 내용 그리고 스토리텔링의 변화가 가져다주는 문학적 즐거움과 교육적 기능의 탐색이다.

      • KCI등재

        동서양 고전에 나타난 사회개혁 의지와 유토피아 건설: 『걸리버 여행기』와 『허생전』을 중심으로

        신만철(Shin, Man-chul)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0 스토리&이미지텔링 Vol.20 No.-

        과학만능주의 시대에 과연 인류의 숙원인 유토피아는 건설될 수 있는가? 이 연구의 출발은 바로 이 질문에 관한 답을 찾고자 하는 시도에서였다. 인류는 고대로부터 수많은 이상향을 꿈꾸어왔다. 사람의 발길이 닿을 수 없는 깊숙한 고원, 누구도 가보지 못했던 섬나라, 또는 꿈이나 상상의 형태로 존재해왔다. 필자는 조나단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와 연암 박지원의 『허생전』을 통해 공통으로 발견되는 유토피아적 요소와 사회개혁의 실천 의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은 동양과 서양을 막론하고 유토피아 관념이 현실 자체와 동떨어져 있지 않다는 것을 입증할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이상적 사회건설을 위한 선결 조건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연구는 조나단 스위프트와 연암 박지원이 공유하고 있는 사회비판 정신과 사회개혁 의지가 작품 속에서 체현되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두 작가 모두 사회 격변기에 활동하였으며 시대를 앞서보는 통찰력이 그들의 작품과 사유 속에 내포되어 있다. 『걸리버 여행기』와 『허생전』에서 목격되는 유토피아 건설에 관한 인간의 욕망과 유토피아 건설의 한계점을 탐색함으로써 필자는 유토피아 건설을 위해 인류 공통으로 선결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한다. 스위프트와 연암 박지원이 수백 년 전 영국과 청나라에서 목격한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전이 오늘날 ‘4차 산업혁명’이라는 이름으로 우리 앞에 재현되고 있다. 더는 젖과 꿀이 흐르는 무릉도원과 같은 유토피아는 요구되지 않는다. 현재 인류는 지식과 기술이 인간을 진보케 한다는 유토피아적 사유로 이상적 사회건설을 위한 욕망을 발현하고 있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 『걸리버 여행기』와 『허생전』을 통해 도출되는 유토피아 건설의 한계점을 포착함으로써 기술과 지식이 집약된 이상적 사회건설을 위한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Can Utopia, the long-cherished desire of mankind, be built in the age of scientism? The start of this study was in an attempt to find answers to this question. Human beings have dreamed of numerous ideals since ancient times. It has existed in the form of a deep plateau that no one can reach, an island country that no one has ever been to, or a dream or imagination. I would like to look at the utopian elements found in common through Jonathan Swift’s Gulliver’s Travels and Yeonam Bak Jiwon’s Heosaengjeon and his willingness to practice social reform. This proves that utopian ideas, both in the East and the West, are not far from reality itself, furthermore it allows us to explore pre-determined conditions for constructing of ideal societies.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process in which the spirit of social criticism and the social reform are embodied in the work, which are shared by Jonathan Swift and Yeonam Bak Jiwon. Both authors have been active in social upheaval, and their insights are embedded in their works and thoughts. By exploring the human desire for constructing of Utopian societies and its limitations which are witnessed in the Gulliver’s Travels and Heosaengjeon, I am trying to figure out what tasks should be predetermined to build Utopia.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itnessed by Swift and Yeonam Bak Jiwon in Britain and the Qing Dynasty hundreds of years ago is presented today in the name of th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topia such as Mureung Dowon, where milk and honey flow, is no longer required. Currently, mankind is expressing its desire for building ideal societies by the utopian reasoning that knowledge and technology make human progress. Through this study, I attempt to provide the clue for the construction of an ideal society where technology and knowledge are concentrated by figuring out the limitations of the construction of Utopia, which are derived through the Gulliver’s Travels and Heosaengjeon.

      • KCI등재

        러시아 소수민족언어의 겉과 속: 캐슬스와 밀러(Castels & Miller)의 유형이론 분석을 중심으로

        전병국(Chon, Byung-kuk)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0 스토리&이미지텔링 Vol.20 No.-

        러시아의 체제 전환기는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혼란스럽고 불(不)분명한 시기였다. 당연히 기존과는 다른 특성이 드러날 확률이 높은 시기라 할 수 있다. 상황이 어렵고 급할수록 속에 있는 마음이 드러나기 쉽기 때문이다. 이시기 ‘러시아 내 비명목 민족언어는 어떤 상황에 처해 있었으며, 러시아 정부는 과연 어떤 입장에서 비명목 민족언어를 대했을까?’ 이 질문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당시 언어환경과 언어정책에 관한 경제적 효율성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 아니다. 정체성과 방향성을 살펴보는데 중심을 두었다. 이를 통해서 러시아가 지녔던 약자와 타자에 대한 시야를 확인해 보고 미래 러시아가 나아가고자 하는 다문화국가로의 향방(向方)을 예측해보고자 하였다. 본고는 캐슬스와 밀러의 유형이론 틀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정책이 표면적으로는 다문화주의 유형의 정책이었지만, 실행 면에서는 동화주의 유형에 가까웠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러시아와 러시아 정부의 정책은 ‘나’ 라는 테두리 안에 갇혀 있었던 것이다. The transition period in Russia was a politically and economically confusing and uncertain time. It is natural that this period was highly likely to reveal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from before. Humans tend to easily expose their inner feelings in a difficult and urgent situation.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What was the situation that non-nominal ethnic languages in Russia faced, and which position did the Russian government took to deal with non-nominal ethnic languages?’ This study is not intended to examine the economic efficiency of language environments and language policies of the time. Instead, this study is focused on considering the identity and the directivity. It is to understand Russia’s perspective towards the weak and the other and forecast the direction of Russia as a multicultural state in the future. For analysis, the frame of Castels & Miller’s type theory was used, and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although on the surface, the policies claimed to multiculturalism, the implementation was rather close to assimilation. In other words, the policies of Russia and Russian government were stuck in the framework of ‘me’, at that time.

      • KCI등재

        극장과 OTT 영화의 표현 방법 차이 연구: 클로즈업 쇼트와 음성언어의 비율을 통한 분석

        김삼력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2 스토리&이미지텔링 Vol.24 No.-

        OTT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정 내 모니터를 시청하는 주요 방식으로 정착되고 시장이 커짐에 따라 콘텐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OTT 플랫폼들은 오리지널 IP의 확보를 위해 영상 제작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리고 그 중심에 있는 것이 자체 제작 영화인데, OTT 영화의 등장과 제작의 활성화는 극장 영화와 OTT 영화가 근본적으로 같은 것인가? 아니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인가? 라는 질문을 하게 한다. 본 연구자가 생각하는 가장 큰 차이는 수용환경이다. 수용자가 보게 될 화면의 크기에서 극장 영화 쪽이 훨씬 큰 화면이고, 영화를 수용하는 공간적 환경을 살펴보면 극장 영화는 폐쇄적 공간에서 상영되고 OTT 영화는 개방적 공간에서 시청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수용환경의 차이가 작품 제작에서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에 차이를 만들 것으로 생각되는데, 극장 영화에 비해 OTT 영화의 클로즈업 쇼트와 음성언어 사용 비율이 높을 것으로 추론된다. 이 추론이 실제로 타당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추론의 근거를 2장에서 제시하고 3장에서는 극장 영화와 OTT 영화에 사용된 클로즈업 쇼트와 음성언어의 비율을 실제로 조사하는 연구를 진행해 두 매체를 구분하는 유의미한 기준이 성립될 수 있는지 확인해 보았다. 연구 결과 같은 스토리텔링을 가진 작품임에도 OTT 영화가 극장 영화에 비해 클로즈업 쇼트 수, 클로즈업 빈도수, 전체 러닝타임 대비 클로즈업 비율, 전체 러닝타임 대비 음성언어 비율 등이 많거나 높았다. 이에 연구는 앞선 추론처럼 극장 영화와 OTT 영화의 수용 매체와 수용 방식이 달라 화면 구성 방식과 음성언어의 사용량이 다르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므로 극장을 위한 영화와 OTT를 위한 영화가 같은 성질의 ‘영화’라고 완전히 규정하기에는 아직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 남아있다.

      • KCI등재

        예술로서의 그림책 연구

        박혜숙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7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4 No.-

        Why is a picture book an art? This study is an answer to that question. The words of a picture book combine with pictures to create a third artistic sense and meaning that other genres do not have. Therefore, the Aura of the picture book is to make the third artistic sense and meaning through the painting and the literary elements of the writing. Picture books are books for children, but they are worthy of being a unique art. I discussed four reasons as follows. Firstly, the picture book is a genre with a unique artistic characteristic that fuses storytelling and imagery with other arts. In other words, the picture book is a special genre completed through storytelling. Secondly, the world that the artist pursues is conveyed to the reader in a deep sense. In the picture book, the text meets the formative art of painting and is transformed into the art of wide and deep meanings together with the sense of image. Thirdly, the picture book is an artwork of unique formative sensitivity. Pictures of a picture book can not be seen only as art of simple practicality of general illustration. The picture book is a comprehensive art that accommodates various visual art devices. Finally, the picture book is an art of margins, compressing, unfolding and images. 이 연구는 그림책이 독자적인 예술임을 파악한 논문이다. 예술이란 작가가 창조한 가상적인 세계라고 할 때, 독창적인 많은 그림책들은 이에 부합된다고 본다. 그림책의 글은 언어를 매체로 한 문학으로서 그림과 결합하여 그림책이 되었을 때 다른 장르가 갖지 못하는 제3의 예술성과 의미를 생성하는 독자적 미학의 독특한 장르이다. 필자는 그림책을 단순한 어린이용 도서로만 인지하지 않고, 독특한 성격의 예술로서 평가하는 이유에 대하여 다음의 몇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논의했다. 첫 번째로 그림책은 스토리텔링(storytelling)과 이미지텔링(imagetelling) 이 어울려 타 예술과 융합한 독특한 예술적 특성을 갖고 있다. 두 번째는 작가가 추구하는 세계가 깊이 있는 의미로 독자에게 전달된다. 즉, 그림책의 글은 이미지로서는 도달할 수 없는 언어의 깊이를 통해서 명확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세 번째, 그림책은 독자적인 조형적 감성의 예술품으로서, 다양한 시각적 예술장치들을 수용한 종합적인 예술이다. 마지막으로 그림책은 여백ㆍ압축ㆍ펼침 그리고 환상의 예술이다.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이주홍의 만화

        최윤정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7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4 No.-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aspects of Hyangpa Lee Ju-Hong as a cartoonist. He was one of the representative authors in children literature in modern Korea. He was such a versatile author that was capable of creation across all the areas of literature in addition to children's literature and active even in the domain of art beyond literature. He started to have his comics published in the correspondence column of DongA Ilbo in 1929 and continued to create comics until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resent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his comics published in DongA Ilbo, Shindonga, and Jogwang in the 1930s and also the characteristics and reality awareness issues of his comics based on the results. In the 1930s, Lee was creative across various types of comics including cartoons, satirical cartoons, cartoons on current affairs, and short cartoons. The world of his comics had freedom, not being restricted by particular techniques or fixed frameworks. His satire and humor, which were his literary features, were also found in his cartoons. He understood comics as a genre fit for showing the joys and sorrows of colonial people and the contradictions of modern civilization rather than simple fun and laughter.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cooperated with the ruling Japanese in another paper, which was an irony like the one found in his comics. 본 논문은 향파 이주홍의 만화가로서의 면모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한국 근대 아동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인 이주홍은 아동문학 외에도 문학의 전 분야에 걸쳐 창작이 가능했으며, 문학 외의 예술 영역까지 넘나들었던 다재다능한 작가였다. 1929년 동아일보 독자투고란에 만화를 게재한 이주홍은 이후 일제말기까지 만화를 지속적으로 창작하였다. 본 연구는 『동아일보』, 『신동아』, 『조광』 등에 게재된 1930년대 이주홍 만화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이주홍 만화의 특징과 만화에 나타난 현실인식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930년대 이주홍은 만문만화, 만평, 시사만화, 단편만화 등 다양한 형식의 만화를 두루 창작하였으며, 그의 만화 세계는 특별한 기교나 고정된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움을 갖고 있었다. 특히 그의 문학적 특징이기도 한 풍자와 해학은 그의 만화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또한 그는 만화라는 장르를 단순히 재미와 웃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닌, 식민지인의 애환과 근대문명의 모순을 드러내기에 적합한 장르로 이해하고 있었던 것 같다. 따라서 일제 말기 또 다른 지면을 통해 대일협력의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는 점은 그의 만화에서와 같이 아이러니한 일이다.

      • KCI등재

        TV사극 속 궁중 직업여성 캐릭터 고찰: <옷 소매 붉은 끝동>과 <신입사관 구해령>을 중심으로

        최지운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2 스토리&이미지텔링 Vol.24 No.-

        2021년에 방영되었던 TV사극은 모두 저마다의 특징과 매력을 발산하면서 시청자를 유인했다. 이들 작품은 모두 여성 캐릭터가 전면에 나서거나 남성 캐릭터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위상의 상승이 이루어졌다는 공통점이 자리한다. 이중 <옷 소매 붉은 끝동>은 궁녀의 세계를 세밀하게 묘사해 큰 인기를 얻었다. 본고는 이 점에 주목해 궁녀처럼 궁중에서 일하는 직업여성 캐릭터가 어떠한 함의가 자리하기에 이러한 반응을 얻어내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본고의 주제에 부합하기에 함께 논의하는 게 적절하다고 여긴 <신입사관 구해령>을 연구 대상에 포함했다. <옷 소매 붉은 끝동>의 궁녀 덕임과 <신입사관 구해령>의 여자 사관 해령으로 대표되는 궁중 직업여성 캐릭터에게 발견되는 함의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여성 캐릭터가 신분 상승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는 왕이나 왕자의 연인이 되는 과정을 로맨스와 매력이 넘치게 그려내기 위함이었다. 둘째, 공무원을 소망하는 현대 여성들의 바람과 이들의 활발한 공직 진출을 여성 캐릭터를 통해 적극적으로 투영한 것이었다. 셋째, 현재 한국 TV사극이 해외 시청자들로부터 큰 인기와 관심을 받는 상황에서 화려하고 다채로운 볼거리를 바탕으로 한 영상미의 상승을 염두에 두어서이다. 궁중을 배경으로 자신의 역량과 재주를 펼쳐 보이는 직업여성은 이미 많은 TV사극에서 다룬 무대와 캐릭터 설정이 결합한 것에 불과하지만 이처럼 새로운 의미들을 형성해내었다. <옷 소매 붉은 끝동>과 같은 성공사례가 자리하기에 궁중 직업여성은 앞으로의 TV사극에서 매력적인 여성 캐릭터의 설정으로 다가갈 것임이 분명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