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reptomces sp. MET 0515의 균체외 Alginate lyase의 정제 및 특성

        김현경,이재창,강남현,김송희,김종국,정기철,Kim, Hyun-Kyoung,Lee, Jae-Chang,Kang, Nam-Hyun,Kim, Song-Hee,Kim, Jong-Guk,Chung, Ki-Chul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5

        알긴산분해효소(EC 4. 2. 2. 3)를 균체외로 생산하는 새로운 방선균을 전라남도 완도의 연안토양으로부터 분리하고 이 균주를 Streptomyces sp. MET 0515라 명명하였다. 이 균주가 생산하는 균체외 알긴산분해효소를 아세톤 침전, 음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Q-Sepharose and DEAE-Sepharose), 젤 크로마토그래피(Sephacryl S-200 HR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이 효소의 최적 활성 온도과 pH는 각각 $70^{\circ}C$와 pH 7.5이고, 온도 안정성은 $0-50^{\circ}C$, pH 안정성은 pH 6.0-9.0였다. 이 효소는 $Mn^{2+}$ 이온 첨가시에는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1mM $Fe^{3+}$, 1mM EDTA, 1mM $Zn^{2+}$ 이온 첨가시에는 활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이 효소는 poly-alpha 1,4-L-guluronate와 poly-beta 1,4-D-mannuronate두 종류의 기질에 대하여 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효소는 다른 미생물 기원의 효소와 비교해 볼 때 Streptomyces sp.가 생산하는 첫번째 효소로 인정되었다. We isolated a new extracellular alginate lyase-producing microorganism, which displayed alginate-depolymerizing activity in plate assays, from coastal soils in Wando, Jeollanam-do, Korea. This alginate-depolymerizing bacterium belonged to the genus Streptomyces and it was named Streptomyces sp. MET 0515. An extracellular alginate lyase(ALY1) secreted by Streptomyces sp. MET 0515, was purified to homogeneity by a combination of acetone precipitation,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Q-Sepharose and DEAE-Sepharose) and Sephacryl S-200 HR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Its molecular mass was 26 kDa as determined by SDS-PACE analysis. The enzyme had an optimal temperature of $70^{\circ}C$ for its activity, and was most active at pH 7.5. The thermal and pH stability were $0-50^{\circ}C$, and pH 6.0-9.0, respectively. The enzyme activity was stimulated by 1mM $Mn^{2+}$, and inhibited by 1mM $Fe^{3+}$, 1mM EDTA and 1mM $Zn^{2+}$. Preliminary analysis of substrate specificity showed that this alginate lyase had activity on both poly-alpha 1,4-L-guluronate and poly-beta 1,4-D-mannuronate in the alginate molecule.

      • KCI등재후보

        유아 교사의 자아분화와 정서신념에 관한 연구

        김현경(Kim Hyun Kyoung),권정심(Kwon Jung Sim)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아분화와 정서신념에 관한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유아 교사 186명을 대상으로 하여 Bowen(1986)이 개발하고 제석봉(1989)과 김원금(2004)이 사용한 자아분화 검사도구와 Hyson과 Lee(1996)가 개발한 정서신념 평가 척도(Caregiver"s Beliefs About Feelings, CBAF)를 검사도구로 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자아분화와 정서신념 수준은 3.73과 3.23으로 각각 중간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자아분화 수준은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으나, 정서신념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유아교사의 자아분화수준과 정서신념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교사의 자아분화 하위 요소 중 인지적 기능 대 정서적 기능, 정서적 단절 가족 퇴행, 사회적 퇴행은 정서신념과 매우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가족 체계적 관점에서 볼 때 유아교사의 성장과정에서 얻게 되는 원가족 경험이 유아교사의 개인적 경험에 국한되기보다는 유아교사의 전문적 지식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아교사의 자아 분화 촉진을 위한 교사 지원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고 볼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crutinize the relativity between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differentiation of self based on base family and belief about emotion. The sample group of this research is 186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or Gyeonggi area. Self-differentiation measurement tool which Bowen developed and Jae-seckbong(1989), Kim-wangum(2004) used and assessment scale of belief about emotion which Hyson and Lee developed is revised, complemented and then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had higher levels of self-differentiation than average (M=3.73), and their belief about emotion (M=3.23). According to the result,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based on kindergarten teachers" career back ground is not different but the level of belief about emotion, based on kindergarten teachers" career is significantly different. Rel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and belief about emotion is closely related. It was found that especially cognitive functions vs. emotional functions, emotional rupture, family regression and social regression among kindergarten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factor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ub factors of belief about emotion, This finding shows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y system,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 of base family affects professional knowledge of kindergarten teachers beyond the limit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 experience and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of teachers supporting program for kindergarten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 KCI등재

        비지터블 추출물 및 유산균 발효물의 진생사포닌 대사산물과 장건강 활성성분 효과

        김현경,Kim, Hyun Kyou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본 연구에서는 사과, 배, 무 등 8종 과채류를 절단하고 열수추출물과 과채류 증숙열수추출물을 제조하고 실험기질로 사용하였다. 실험기질에 홍삼추출물 1%(W/V)와 유산균발효 추출물에 유산균 8종 혼합스타터를 첨가하여 발효한 결과, ginsenosides의 패턴과 함량은 과채류 추출물군과 증숙 처리군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유산균 발효군에서는 발효과정과 처리에 따라 TLC 패턴이 변하여 Rg<sub>3</sub>(S) 및 Rg<sub>5</sub>으로 전환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하였다. 4종의 과채류추출물 모두에서 유산균 수(cfu)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유산균 CFU의 수는 과채류 추출물의 4가지 발효군에서 약간 감소하였으나 유익균의 생장 억제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3가지 유해균의 증식억제 효과는 4가지 과채추출물에서 대장균과 슈도모나스의 증식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살모넬라균의 증식은 억제되었으며, 이는 과채류 증숙 열수추출물 및 홍삼추출물 첨가 여부에 관계없이 과채류 추출물의 생장억제효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홍삼함유 과채류 복합 추출물의 증숙열처리 및 유산균 발효에 의한 장관면역 활성

        김현경,Kim, Hyun Kyou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과채류 복합추출물에 소량의 홍삼을 첨가하여 증숙가열 및 유산균 발효에 의한 진세노사이드 대사산물의 활성 증가와 장내면역 활성이 현저히 개선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홍삼 단독 추출물 또는 과채류복합추출물에 비해 홍삼을 함유한 과채류 복합추출물에서 시너지 효과에 의한 장내면역 활성의 증가가 관찰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홍삼을 함량별로 첨가하여 유산균 발효에 따른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홍삼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 홍삼을 과채류 혼합물 질량에 대하여 3~10%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증숙 및 유산균 발효 추출하였을 때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홍삼을 함유한 과채류 복합추출물은 200㎍/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홍삼이 함유되지 않은 과채류 복합추출물에 비해 NO 생성을 약 60% 억제하였으며, IL-1β의 발현은 63%, IL-6의 발현 69%, TNF-α의 발현 76% 수준으로 억제하여 장내면역 활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말기환자 돌봄 교육 후 의과대학생의 인식과 태도 변화

        김현경,남은미,이경은,이순남,Kim, Hyun-Kyung,Nam, Eun-Mi,Lee, Kyoung-Eun,Lee, Soon-Nam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2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우리나라에서는 의과대학에서 말기환자 돌봄에 대한 교육이 충분치 못하다. 이 연구는 의과대학생에서 말기환자 돌봄 교육이 학생들의 말기환자의 돌봄에 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4학년 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말기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관한 설문조사를 교육 전과 후에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시기에 관한 질문에 교육 전에는 '임종이 가까운 말기'가 33.6%로 가장 빈도가 높았으나 교육 후에는 '건강할 때'가 58.7%로 가장 많았다.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유보나 중지에 관하여는 수업 전과 후에 심폐소생술은 48.1% 대 92.5%, 기관삽관이나 인공호흡기 38.3% 대 92.5%, 혈압상승제 39.1% 대 85.8%, 혈액투석 60.9% 대 94.8%, 총정맥영양공급 27.8% 대 56.0%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안락사에 대한 반대 의사는 46.6%에서 82.1%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모든 학생이 말기환자 돌봄 교육이 필요하다고 동의하였다. 결론: 대부분의 의과대학생은 임종환자관리 교육과정을 통해 죽음의 의미에 대해 성찰하는 시간을 갖고 말기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또한 말기환자의 돌봄에 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가 컸다. 향후 이러한 교육과정이 모든 의과대학에서 정규교육과정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s: Most medical schools in Korea do not provide adequate education in end-of-life ca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llustrate the need to improve end-of-life care education and to assess the effect of the education on fourth-year medical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erminally ill patients. Methods: One hundred sixty six fourth-year medical students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on end-of-life care before and after they received the education. Results: Before receiving the education, students most frequently answered "at the end of life" (33.6%) was appropriate time to write an advance medical directive. After the education, the most frequent answer was "in healthy status" (58.7%). More students agreed to withholding or withdrawing futile life-sustaining treatment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 (48.1% vs. 92.5% (P<0.001)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38.3% vs. 92.5% (P<0.001) for intubat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39.1% vs. 85.8% (P<0.001) for inotropics, 60.9% vs. 94.8% (P<0.001) for dialysis and 27.8% vs. 56.0% (P<0.001) for total parenteral nutrition). Significantly more students opposed euthanasia after the education (46.6% vs. 82.1%, P<0.001). All students agreed to the need for education in end-of-life care. Conclusion: After reflecting on the meaning of death through the end-of-life care education, most stu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the education. The education brought remarkable changes in student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s patients at the end of life. We suggest end-of-life care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regular curriculum of all medical schools in Korea.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성인간호실습 가상현실 교육 중재: 체계적 고찰

        김현경,고은정,Kim, Hyun Kyoung,Ko, Eun Ju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인간호실습 가상현실 교육 중재 연구를 체계적 고찰 방법으로 탐색하여, 추출된 문헌들로부터 중재 방법, 연구 주제, 결과 변수, 효과성의 근거합성을 하였다. CINAHL, 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RISS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7편의 연구가 추출되었고, 무작위 실험연구가 3편, 비무작위 실험연구가 4편이었다. 고찰 결과 간호대학생의 지식, 수행, 태도, 비판적 사고, 자기효능감, 정보수집능력, 문제해결능력, 자신감, 효율성에서 효과를 보였으므로, 성인간호실습에서 가상현실 교육 중재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과채류껍질 추출물의 학습능력수행 및 기억력증진에 미치는 효과

        김현경,Kim, Hyun Kyou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3

        본 연구는 광범위한 식품 용도에서 독성을 일으키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과일껍질은 질기고 거친 식감과 떫은 맛이 많은 관능성의 문제로 껍질의 섭취를 꺼려하여 폐기물로서 버려지고 있지만, 과일껍질은 무기질, 비타민, 폴리페놀과 같은 유용한 생리활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일반적으로 소비하는 과일류 중 과일껍질 유래의 과피 부분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사과 또는 배의 과채류 껍질추출물을 활용하여 최근 문제시 되고 있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예방 및 치료 할 수 있는 학습능력 수행 또는 기억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사과껍질과 배껍질의 혼합 추출물은 사과껍질과 배껍질의 추출물 각각에 비하여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억제활성이나 스코폴라민 유도 동물 모델의 수미로 실험에서 학습능력 수행방 및 기억력 증진효과가 더욱 현저하였다. 이는 추출물에 함유된 성분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볼 때 과채류 껍질 추출물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 단기기억, 장기기억 활성 촉진으로 콜린성 신경계를 자극하여 기억 및 학습증진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항치매 물질로 사료된다.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the effecs of fruit and vegetable bark resources rich in beneficial substances on the learning ability and memory improvement. It functions to inhibit the activity of acetylcholinesterase in brain tissue and improve cognitive functions in a simulation model of cognitive impairment induced by scopolamine. Hence, it can promote memory and learning ability. The formulation of the fruit and vegetable bark uses the extract of fruit and vegetable peels, which has long been used without causing toxicity in a wide range of food applications. Therefore, it can be used safely without a risk of side effects, even in the case of a long-term administration for the preventive purpose. Furthermore, the present study is a very beneficial study in the environment-friendly aspect in association with recycling of resources as it is based on the novel efficacies of fruit and vegetable barks which have been conventionally disposed as a refuse of fruits due to their poor sensory qualities despite the content of beneficial substances.

      • KCI등재후보

        초임계 열처리된 무 성분을 이용한 상피세포성장인자(EGF) 유사소재 개발 및 광노화(주름개선) 효과

        김현경,Kim, Hyun Kyou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3

        무의 껍질과 무청은 식용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질기고 거친 식감으로 인하여 제거 후 부산물로서 폐기되거나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초임계 열처리가공 무추출물이 UVB로 유도된 Hos:HRM-2 주름생쥐동물모델에서 항-광노화 주름개선 효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초임계 열처리된 무 추출물을 7주령의 HRM-2 생쥐에 UVB 램프로 등피부에 조사하여 피부 노화를 유발하여 피부두께, 탄력, 그리고 주름생성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초임계 열처리된 무추출물의 UVB 조사에 의한 HRM생쥐의 주름 측정 결과는 정상군에 비해 음성대조군의 주름의 깊이가 증가되는 것을 관측할 수 있었다. 반면 무 추출물의 처리군에서는 음성대조군에 비해 주름의 깊이가 감소되었다. 초임계 열처리된 무추출물의 UVB 조사에 의한 의한 주름관련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음성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MMP-2 및 MMP-9 유전자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무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상기 유전자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전자의 발현 정도는 무 추출물의 처리량에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해 볼 때, 초임계 열처리된 무 추출물은 피부에 도포 시 뿐만 아니라 경구로 섭취시에도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어,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무는 오랫동안 복용 시에도 전혀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식품으로 장기간 꾸준히 복용하는 것에 의해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수 있었다. The radish skin and radish greens (mucheong) are an edible part of the radish. But they are removed before eating the radish and used as a byproduct or an animal feed material because of their tough and rough tex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ercritical heat-treated radish-extract on UV-induced Hos: HRM-2 wrinkled mouse animal model on anti-aging wrinkles. Supercritical heat-treated radish-extract was applied on the back of seven-weeks old HRM-2 mice. The effect of HRE on skin thickness, elasticity and wrinkle formation of the mice was observed by using UVB lamp to induce melanogenesis and wrinkle formation. As the result, increased depth of wrinkles was observed 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in comparison to the normal group. In contrast, decreased depth of wrinkles was observed in the radish-extract-free group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group. In the study of the effect of radish-extract on wrinkle-formation related gene expression and protein what protein expression, MMP-2 and MMP-2 gene ex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The gene expression reduced independence to the mass of radish-extract treated. Similar to quantitative results of mRNA expression, the expression of MMP-2 protein increased as a result of UVB-irradiation. The MMP-2 expression was inhibited in dependence to the mass of radish-extract treated. In conclusion, the supercritical heat-treated radish-extract has an effect on improving skin wrinkles not only when it is applied to the skin but also when orally ingested. Thus, it can be effectively used as a composition to health functional products. Thereafter, we can also conclude that radish, a food that does not show any side-effects even upon long-term intake, can reduce wrinkle formation as well as improve skin elasticity when taken regularly for a long period.

      • KCI등재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평가지표 이해, 평가과정 주도성 차이와 유보 통합 평가지표 요구 간 상관성

        김현경 ( Hyun Kyoung Kim ),송경섭 ( Kyoung Seob So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2

        본 연구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의 평가지표 이해도와 평가과정의 주도성, 평가지표 통합 요구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보기 위해 유아교사 263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치원교사의 유치원 평가지표 이해도는 3.70으로 평균(2.5)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교육과정> 건강 및 안전> 교육환경> 교육과정> 운영관리 영역 순으로 높았다. 어린이집 교사의 경우 평가지표에 대한 이해도는 4.13으로 평균(2.5)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상호작용> 안전> 보육환경> 건강과 영양> 보육과정> 운영관리 영역의 순서로 높았다. 또한 유치원 교사의 평가지표 이해도는 직위, 경력, 학력, 평가경험, 연수경험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으며, 어린이집 교사는 직위, 경력, 연수경험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고 유치원교사보다는 어린이집 교사의 평가지표 이해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평가과정의 주도성은 유치원(3.91) 및 어린이집 교사(3.97) 모두 평균(2.5)보다 높았으며, 어린이집 교사와 다르게 유치원 교사의 경우 직위와 경력, 평가경험, 연수경험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고, 어린이집 교사의 주도성이 유치원 교사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유보 통합 평가지표에 대한 요구도는 유치원 교사의 경우는 보통수준(2.04)이며, 어린이집 교사는 2.34로 유치원 교사보다 평가지표 통합 요구도가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유아 교사의 유보 통합 평가지표에 대한 요구와 평가지표이해도 및 평가참여주도성 간에는 정적인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평가지표에 대한 이해와 평가과정의 주도성 수준이 높을수록 유보평가지표통합에 대한 인식 수준도 함께 높음을 유추할 수 있어서 이에 대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for comparing the recognition o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index of assessment, the initiative in the process of assessment and the degree of integrated demand of the index of assessment of the teachers of kindergarten with the teachers of nursery school, I investigated 263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issue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case of the teachers of kindergarte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index of assessment was 3.70 that was higher than the average(2.5), followed by curriculum> health and safety> educational environment>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In the case of the teachers of nursery school,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n the evaluation areas was 4.13 that was far higher than the average(2.5), followed by interaction> safety> nursing situation> health and nutrition> childcare curriculum>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re was the meaningful difference for the teachers of kindergarten according to the position, career, academic background and the experience of training and for the teachers of nursery school according to the position, career, and the experience of training. Moreover, the level of the degree of the understanding of the index of assessment of the teachers of nursery schoo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eachers of kindergarten. Secondly, in the initiative in the process of the assess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both the teachers of kindergarten(3.91) and the teachers of nursery school(3.97) were higher than the average(2.5). There was a difference for the teachers of kindergarten according to position, career, the experience of assessment and the experience of training. However, for the teachers of nursery school, the initiative of the teachers of nursery school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the teachers of kindergarten. Thirdly, the degree of integrated demand on the index of assess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that the teachers of kindergarten were the average level(2.04) and the teachers of nursery school were 2.34,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Lastly, between the integrated demand of the index of assessment 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n the index of the assessment and the initiative of the participation in the assess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s in this study. Such results could be inferred that the higher level they have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ndex of assessment and the initiative of the process of assessment, the higher level they have on the recognition of the degree of integrated demand of the index of assess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I did suggest some implications.

      • KCI등재

        탄력성(resilience) 관점에서 조명한 북한이탈여성의 생애 연구 : 북한과 중국에서의 생활을 중심으로

        김현경(Hyun Kyoung Kim)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1 젠더와 문화 Vol.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여성이 난민이주자로서의 역경과 고난을 견디어내며 생존가능하게 해 주었던 강점으로서의 탄력성의 의미를 탐색하고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그녀들의 생의 탄력성을 조명하고자 함이다. 자료는 본 연구의 질문인 북한이 탈여성의 북한과 중국 생활에서의 탄력성이란 어떠한 것인가? 에 대한 생애 경험이 담긴 텍스트에서 수집한 자료를 상호주관적 삶의 역동성과 의미를 잘 나타내주는 파시(Parse)의 현상학적 해석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과 중국 생활에서의 탄력성이란 새로운 가능성을 향한 일탈로서의 탈북이며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해체로서 삶을 향한 애착과 불굴의 의지를 발휘하고, 솟구치는 한을 끌어안는 것이라는 구조로 나타났다. 구조를 전환시키면 피폐해진 일상에서의 새로운 도전으로 관계성을 활용한 생존기회를 구축하고, 과거를 묻으며 강인성으로 버텨내며, 과거의 응어리를 바라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해석은 파시의 추상성 높은 개념으로 통합하여 가치화를 가능 제한시켜 강화성과 변형성의 과정으로 재해석되었다. 끝으로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lived experience of resilience for North Korean refugee woman who has lived in North Korea and China by knowing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empirical phenomena. Methods were applied to Phenomenological and heuristic Human Becoming Methodology, an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text of a North Korean refugee woman's autobiography. Results were the structures of 'escaping the North for new possibility, '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social capital, ' 'attachment and strong willingness for life, ' and 'embracing resentment'. The structural transpositions were the following: 'new challenge against destroyed daily life' ; 'making a chance for survival by constructing relationships' ; 'enduring suffering with hardiness' ; and 'reflecting on resentment of the past'. The conceptual integration of relationship issues were powering enabling limiting in valuing with transforming. Finally, it's relation to feminism was revie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