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 교사의 자아분화와 정서신념에 관한 연구

        김현경(Kim Hyun Kyoung),권정심(Kwon Jung Sim)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8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자아분화와 정서신념에 관한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유아 교사 186명을 대상으로 하여 Bowen(1986)이 개발하고 제석봉(1989)과 김원금(2004)이 사용한 자아분화 검사도구와 Hyson과 Lee(1996)가 개발한 정서신념 평가 척도(Caregiver"s Beliefs About Feelings, CBAF)를 검사도구로 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자아분화와 정서신념 수준은 3.73과 3.23으로 각각 중간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자아분화 수준은 유아교사의 경력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으나, 정서신념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유아교사의 자아분화수준과 정서신념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교사의 자아분화 하위 요소 중 인지적 기능 대 정서적 기능, 정서적 단절 가족 퇴행, 사회적 퇴행은 정서신념과 매우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가족 체계적 관점에서 볼 때 유아교사의 성장과정에서 얻게 되는 원가족 경험이 유아교사의 개인적 경험에 국한되기보다는 유아교사의 전문적 지식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아교사의 자아 분화 촉진을 위한 교사 지원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고 볼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crutinize the relativity between the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differentiation of self based on base family and belief about emotion. The sample group of this research is 186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or Gyeonggi area. Self-differentiation measurement tool which Bowen developed and Jae-seckbong(1989), Kim-wangum(2004) used and assessment scale of belief about emotion which Hyson and Lee developed is revised, complemented and then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had higher levels of self-differentiation than average (M=3.73), and their belief about emotion (M=3.23). According to the result,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based on kindergarten teachers" career back ground is not different but the level of belief about emotion, based on kindergarten teachers" career is significantly different. Rel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and belief about emotion is closely related. It was found that especially cognitive functions vs. emotional functions, emotional rupture, family regression and social regression among kindergarten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factor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sub factors of belief about emotion, This finding shows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y system,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 of base family affects professional knowledge of kindergarten teachers beyond the limit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 experience and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of teachers supporting program for kindergarten teachers" self-differentiation.

      • KCI등재후보

        장애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 이해의 차이 및 통합학급 상호작용의 실제

        강상(Kang, Sang),권정심(Kwon, Jung Sim),신지혜(Shin, Ji Hy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유아의 장애와 장애유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장애 통합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의 장애 통합교육 실시유무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와 장애유아의 이해정도를 측정하였으며, 더불어 실제 장애 통합학급에서는 어떠한 양상으로 상호작용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관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먼저 장애에 대한 인식 영역에서는 장애 통합학급의 일반유아가 비통합 학급의 일반유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장애유아에 대한 수용도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장애 통합학급에서 관찰된 상호작용의 양상은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간 상호작용은 교사 중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향이 두드러졌으며,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거부적·공격적 태도가 빈번히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수용이 통합학급에서의 경험만으로는 큰 실효를 거둘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일반유아가 장애유아를 친구로 수용하기에는 장애 통합학급에서의 경험만으로는 부족하며, 실제적인 교육적 접근과 새로운 교사의 역할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through young children's awarenes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For this purpose, the awareness and the acceptance of young children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evaluated in the groups classified by the availability of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The actual social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integrated class were examined through the participant observ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with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had significantly higher awareness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n young children without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ceptance rate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social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an integrated class had an obvious tendency to be occurred by a teacher's intervention. This result revealed the problem that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lack required social skills to participate in play, along with the fac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rate of young children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Young children also showed both a considerate attitude and an alert/rejective attitude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