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키장 의무실에서 골절 진단을 위한 응급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이성실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31996

        배경 외상환자의 진단적 검사에서 초음파는 흉 · 복부의 해부학적 구조의 변화와 출혈성 병변을 조기에 감별하는데 유용하며 이를 통해 외상환자의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또한 응급 초음파 검사는 재해, 전쟁 등으로 인한 대량 환자 발생 시나 항공기 내 등의 제한된 특수 상황에서 방사선 촬영을 대체하여 중요한 임상적 결정 수단으로 쓰일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응급실에서 초음파를 이용하여 사지 및 흉곽의 골절을 확인하여 초음파가 골절의 진단적 도구로 유용하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 검사가 제한된 스키장에서 외상이 발생한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방침을 결정하기 위하여 응급 초음파를 시행하였고 이들 환자의 추적 관찰을 통하여 응급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07년 12월 31일 ~ 2008년 1월 12일, 2008년 1월 19일 ~ 2008월 2월 2일 6주 동안, 외상에 의한 손상 환자가 내실시 이학적 검사를 시행한 후 검사상 골절, 인대 · 건의 손상 및 근육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준비된 양식의 스키장 외상환자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초음파 검사는 5-10 MHz 탐촉자와 2-5 MHz 탐촉자를 이용하여 진행하였고 초음파 시행자는 본원 응급의학과의 골절 초음파 교육을 이수하고 2년 이상 초음파 검사 경력이 있는 전공의 2인으로 구성하였다. 검사 시행 2주후에 추적 관찰을 하여 환자의 최종 진단을 확인하고 이를 스키장 외상환자 초음파 검사의 결과와 비교하여 일치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의 대상은 총 168명으로 전체 평균 연령은 27.1±8.2세 였다. 대상 환자의 손상 부위는 손목 관절 103명, 손 17명, 발목 관절 13명, 무릎 관절 11명, 정강뼈 9명, 갈비뼈 6명, 팔꿈치 5명, 기타 4명 순이었다. 추적 관찰 결과를 기준으로 스키장 외상환자 초음파 검사의 민감도는 94.2%, 특이도 89.9%로 나타났고, 양성 예측도 86.7%, 음성 예측도 95.7%, 정확도 91.7% 로 나타났다. 추적 관찰 결과와의 일치율은 K값 0.830 (P = 0.000) 였다. 결론 방사선 검사가 제한된 특수한 상황에서 응급의학과 전공의에 의하여 시행된 초음파검사는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졌으며 방사선 촬영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재해 및 전쟁 등의 대량 환자 발생시, 항공기내, 스키장 등의 특수한 상황에서 응급 초음파 검사가 방사선 검사를 대체하여 유용한 의사결정 수단으로 쓰일 수 있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Background: Ultrasound has the proven accuracy in abdominal and thoracic trauma. But for the fractures of the extrimities, the diagnosis has been suggested by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and typically confirmed with radiography. The ultrasond might be useful for diagnosing extremity injury in the situations where radiography is not available such as disasters, military and aerospace applications, and field-sports ground. We prospectively evaluated the value of ultrasound performed by trained emergency physician (EP) for the diagnosis of traumatic injuries in the skiing ground`s without the radiography. Method: After EP's physical examinations for fractures, the emergency ultrasound (EM US) was performed by trained EP using a portable ultrasound device with a 10- to 5-MHz linear and a 5- to 2- MHz curved transducer, on the suspected patients. After 2 weeks, the final diagnoses confirmed by simple radiolography, CT, or MRI were checked by mobile communication. The agreement between two diagnoses were analyzed using the Kappa statistics Result: One hundred sixty-eight patients were enrolled in our study. The average age was 27.1±8.2 years. Two thirds of the all the injuries had occurred on the wrist and hands (103, 17 patients respectively). We found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accuracy of EM US was 94.2%, 89.9%, 86.7%, 95.7%, and 91.7% respectively. Kappa`s value between the EM US and final diagnoses was 0.830 (P = 0.000). Conclusion: EM US performed by trained EP without radiography had a excellent agreement with the final diagnoses for the fractures of the extremities. We think that EM US could be used effectively for the fractures in the remote locations such as in disaster areas, military and aerospace applications, and field-sports ground and should be added to FAST (focused abdominal sonography trauma) examination.

      • 호흡이 곤란한 응급 환자에게 시행한 ED-BLUE (Emergency department-Bedside Lung Ultrasound in Emergency) protocol의 유용성

        전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15614

        목적 : BLUE protocol은 중환자실에 입원이 필요한 급성호흡부전의 훌륭한 진단도구로 알려져 있다. 응급상황에서는 호흡곤란의 원인이 심장인지에 대한 감별도 필요하기 때문에, 우리는 BLUE protocol에 심장을 포함하여 ED-BLUE protocol이라고 하였으며, 호흡곤란을 주소로 하는 응급환자에서 ED-BLUE protocol의 유용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1단계, 2단계에서 폐 미끄럼 현상, A-line, B-line의 인공물, 폐포 경화, 흉막삼출의 유무를 폐 초음파를 통해 검사하고, 그 다음 심장에서 3E(심낭삼출액이나 심낭압전의 유무, 우심실확장소견의 유무, 좌심실 구혈율의 시각적 평가)를 확인하였다. ED-BLUE 알고리즘에 의해 분류되는 총 10가지의 카테고리를 만들고 최종진단명들도 이와 동일한 카테고리로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1) 정상 또는 결론이 도출되지 않는 경우, 2) 폐색전증, 3) 기도질환(만성폐쇄성폐질환 또는 천식), 4) 공기가슴증, 5) 대량의 흉막 삼출물에 의한 호흡곤란, 6) 폐렴, 7) 수축기능이 저하된 울혈성 심부전에 의한 급성 폐부종, 8) 급성호흡곤란증후군, 9) 만성 간질성 폐질환의 악화, 10) 심장막삼출 또는 심장압전이 동반된 심장막삼출로 분류하고, 최종진단명과의 일치도를 kappa값을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이 연구는 25개월간 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18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총 172명의 환자가 연구대상에 포함되었다. ED-BLUE 후와 최종진단명의 kappa값은 0.812 였다. ED-BLUE protocol 전후의 진단 확신도는 3.09±0.83에서 4.36±0.70이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상승하였다. 결론 : ED-BLUE protocol은 호흡곤란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명확한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The Differences in the Availability and Use of Emergency Physician-Performed Ultrasonography between Adult and Pediatric Patients at the Academic Emergency Department in Korea : 우리나라 응급의학과 수련병원의 성인과 소아에 대한 초음파 사용현황 및 실태, 전공의 교

        Chiwon Ahn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9926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vailability and use of emergency physician?performed ultrasoun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and the status of ultrasound training programs in emergency medicine residencies in academic EDs in Korea. In spring 2014, a link to a 15-question, multiple-choice, and rating scale web-based survey was emailed to all 97 academic ED residency training directors in Korea. The response rate was 83.5% (81/97). All respondents had their own ultrasound machines in the ED. In total, 82.7%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emergency physician?performed adult ultrasonographies were usually conducted daily, whereas only 23.6% performed pediatric ultrasonographies daily. Moreover, 55.5% performed pediatric ultrasounds fewer than once a week. A total of 74.1% of respondents had education programs for adult ultrasonography in residency training, but only 21% had programs for pediatric ultrasonography. There is a high association between the presence of education programs and the use of ultrasonography in both groups. The faculty members who most commonly participated in teaching ED residents how to perform ultrasonography were emergency physicians (67.9%). Only 17.3%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always supported a quality assurance process. The training directors generally agreed with the advantages in emergency physician?performed ultrasonographies. The distribution of ultrasound machines in academic EDs in Korea is high, and many training directors agree with the value of emergency physician?performed ultrasonography. Nevertheless, the availability of pediatric ultrasonography is still low, which is likely related to the lack of the training programs for treating pediatric patients. 이 연구는 응급의학과에서 응급의학과의사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초음파의 유용성 및 사용현황과 응급의학과 수련병원에서의 전공의 초음파 수련프로그램의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2014년 2월 말부터 5월 초까지 우리나라의 총 97개의 응급의학과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하여 웹기반으로 총 15 개 항목의 다항 선택식의 설문조사 방식으로 시행하였다. 총 응답률은 83.5% (81/97) 이었다. 모든 병원에서 초음파 기계를 응급실내에서 운영한다고 응답하였다. 그 중 82.7% 에서 응급의학과 의사를 통해 성인 대상의 초음파가 매일 시행된다고 하였으나, 소아의 경우는 23.6% 에서만 사용하고 있다고 하였다. 55.5% 는 주 1회 미만으로 소아 대상의 초음파 사용빈도를 보였다. 응답자 중 74.1%에서 전공의 수련과정 내용 중에 성인 대상의 초음파 교육 프로그램이 있다고 하였으나, 소아 대상의 초음파 교육 프로그램은 오직 21%에서만 있다고 응답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의 유무는 초음파 사용정도와 높은 연관성이 있다고 하였다. 초음파 교육수련담당의의 67.9%가 응급의학과 전문의였다. 응답자의 17.3%만이 초음파 결과의 확인 과정을 항상 거친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응급의학과 의사에 의해 초음파가 시행되는 것의 이점이 있음에 동의하였다. 응급의학과 수련병원의 초음파 보급률은 높으며, 많은 교육수련담당의들은 응급의학과 의사에 의해 시행되어지는 초음파의 유용성에대해 동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아에 대한 초음파 사용정도는 아직 낮으며, 이는 소아 대상 초음파 교육프로그램의 부재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겠다.

      • Deep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YOLOv5 architecture for diagnosing pediatric ileocolic intussusception with grayscale ultrasound

        김세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50046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회색조 초음파 사진을 입력 데이터로 하여 회결장장중첩증을 진단하는 YOLOv5 아키텍쳐 기반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13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서울대병원 소아응급실에 내원한 환아들 중 회결장장중첩증 의심 하에 초음파검사를 시행한 환아 2473명 중 소장-소장 장중첩증 환아 35명을 제외한 2438명 (회결장장중첩증 (+) : 회결장장중첩증 (-) = 646 : 1802)과, 같은 이유로 촬영한 2021년 10월부터 2021년 12월 사이에 양산부산대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124명 환아들 (회결장장중첩증 (+) : 회결장장중첩증 (-) = 20 : 104)의 초음파 영상을 사용하였다. 동영상이나 컬러 도플러 영상, 텍스트나 화살표 등 표시가 되어 있는 영상들을 제외하고, 회색조 초음파 영상만을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포함된 서울대병원 영상 38,148 장(병변이 있는 영상 2,775 장, 병변이 없는 영상 35,373 장)을 7:1.5:1.5 비율로 훈련세트, 튜닝세트, 내부 검증 세트에 무작위 배분하였다. 또한, 양산부산대병원 영상 2,617 장 (병변이 있는 영상 140 장, 병변이 없는 영상 2,477 장)은 외부 검증 세트로 사용하였다. 병변이 있는 영상들에는 각각 6년, 18년 경력의 영상의학과 전문의 두 명이 합의하여 병변(들)을 포함하는 최소 크기의 직사각형 박스를 그려 병변을 라벨링하였다. 딥러닝 모델 훈현을 마친 후, 내부 검증 세트를 대상으로 회결장장중첩증 진단을 위한 최적의 문턱값을 구하였고, 해당 문턱값의 진단능을 외부 검증 세트에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내부 검증 세트와 외부 검증 세트에서 모델의 평균 정밀도 (average precision)는 각각 0.952와 0.936 였다. 내부 검증 세트에서 F1 점수(F1 score)와 정밀도 (precision)를 기반으로 하여 두 개의 최적 문턱값 (CTopt, CTprecition)을 각각 0.557, 0.790으로 결정하였다. 해당 문턱값들을 사용했을 때의 정밀도와 재현율(recall)은 내부 검증 세트, 외부 검증 세트에서 각각 90.6%-94.5%와 63.5%-98.1%, 80.0%-95.7%와 44.3%-98.4%였다. 외부 검증 세트에서 환자 별 진단 정확도에 대한 수신자 조작 특성 (ROC) 곡선 분석에서, 최적 문턱값을 사용했을 때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CTopt에서 100.0%, 97.1%, CTprecision에서 100.0%, 99.0%였다. 결론 딥러닝 인공지능 모델은 회결장장중첩증을 비교적 훌륭한 환자별, 영상별 진단 정확도로 수행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deep learning (DL) artificial intelligence (AI) model based on the YOLOv5x architecture for detecting ileocolic intussusception (ICint) on ultrasound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multi-center study included ultrasound images from children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NUH)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21 and P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Hospital (PNUYH) from October 2021 to December 2021 and underwent ultrasonography for suspected ICint. Total 2438 children from SNUH and 124 children from PNUYH were included after exclusion of children with small bowel-small bowel intussusception. Cine clips, Doppler images, and images carrying annotations were excluded. Finally, 40765 images from two tertiary hospitals (SNUH, lesion (+) : lesion (-) = 2775 : 35373; PNUYH, lesion (+) : lesion (-) = 140 : 2477) were included. The development dataset comprising images from SNUH was split into training, tuning, and internal test sets (ITS) in the ratio 7:1.5:1.5. The images from PNUYH were used as external test set (ETS) For lesion-positive images, the ground truth bounding box was labelled by two radiologists with 6 and 18 years of experience in consensus as the smallest rectangular ROI bounding the entire lesion(s). The model based on YOLOv5x architecture with default learning hyperparameters was trained using training set and tuning set. The optimal thresholds of model-generated confidence scores were determined using ITS, and the per-image and per-patient performance of model and thresholds were evaluated with ETS. Results The average precision for the ITS and ETS were 0.952 and 0.936, respectively. The two confidence thresholds, CTopt and CTprecision, were determined to be 0.557 and 0.790, respectively. The precision-recall with CTopt and CTprecision were 94.5%-90.6% and 98.1%-63.5% in ITS and 95.7%-80.0% and 98.4%-44.3% in the ETS. In the ET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per-patient diagnosis were 100.0% and 97.1%-99.0% for both thresholds. Conclusions Our DL AI model detected ICint with good-to-excellent per-image and per-patient performance.

      • Developing Ultrasonically-activated Persulfate as a Remediation Technology for Legacy and Emerging Contaminants

        Fagan, William Peter The Ohio State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2021 해외박사(DDOD)

        RANK : 35630

        High-power ultrasound is a treatment technology that can remediate contaminated waters, soils, and sediments. Ultrasound uses acoustic cavitation to generate high temperatures and pressures capable of thermolyzing and degrading a wide range of organic pollutants. This dissertation builds on previous research to reveal mechanisms of ultrasonic degradation of organic pollutants, as these are critical to ultimately apply ultrasound in large-scale treatment systems.In the Chapters 3 and 4, we compared combined ultrasonically-activated persulfate (US-PS) to individual technologies, ultrasound-alone and heat-activated persulfate, as a function of bulk temperature. In Chapter 3 we investigated the degradation kinetics of three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naphthalene, phenanthrene, and fluoranthene. At 20°C, observed US-PS rate constants strongly correlated with PAH diffusion coefficients. We also found that observed degradation rate constants by US-PS treatment were synergistically faster than rate constants by individual technologies between 20 and 40°C. Compared to these temperatures, US-PS rate constants at higher temperatures were less synergistic. We attribute this trend to increased radical-radical combination at higher temperatures.In Chapter 4, we investigated radical abundance and speciation produced by US-PS and its individual technologies. Radical species (•OH, SO4•-, O2•-) were quantified using in situ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EPR) spin trapping. We observed that US-PS generated radicals most efficiently at 40 and 50°C. At 60°C, however, the presence of ultrasound did not improve radical production of heat-activated persulfate. This result supports our conclusion from Chapter 3 that radical-radical recombination occurs at higher bulk temperatures. EPR spin trapping suggested that •OH was the predominant radical species for US-PS. However, this result was refuted by competition kinetic modeling using nitrobenzene and atrazine probes which showed SO4•- was the predominant radical for both ultrasonically- and heat-activated persulfate. This indicates that DMPO spin trapping overestimates •OH produced by US-PS.In Chapter 5, we studied the effect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on the ultrasonic treatment of fluorotelomer sulfonates (FTSAs), a subclass of per- and polyfluoroalkyl substances (PFAS), with respect to fluoroalkyl chain length. We experimentally-determine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TSAs, including diffusion coefficients, maximum surface excess, and air-water interface partitioning coefficients. At initial [PFAS] = 50 μM, sonolytic rate constants increased with decreasing fluoroalkyl chain length. Our results indicate sonolytic rate constants correlate with diffusion coefficients. FTSAs mineralized to theoretical stoichiometric yields of fluoride and sulfate products. However, in the presence of nitrobenzene, an •OH scavenger, no sulfate was produced. These data suggest that ultrasound directly thermolyzes C-F bonds within the fluoroalkyl tail of FTSAs.Results from this dissertation show that US-PS is a technology that both synergistically produces radicals and degrades PAHs. We demonstrate that EPR spin trapping can be used to determine reaction conditions which optimize radical production. Lastly, ultrasound readily defluorinates FTSAs, indicating ultrasound is a promising PFAS remediation technology.

      • Novel Clinical Anatomic Emergences and Distribution of the Facial Branches of the Ophthalmic Artery

        CONG LIYAO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35356

        얼굴에 분포하는 눈동맥의 주요 가지는 하나의 큰 줄기로 눈확의 앞쪽으로 빠져나와 큰 동맥 연결을 형성하여, 이마 (도르래위동맥, STA), 코 (콧등동맥, DNA), 안쪽눈구석 (눈구석동맥, AA)과 눈꺼풀 (위 및 아래안쪽눈꺼풀동맥, SMPA and IMPA) 부위에 분포한다. 임상적으로는 비침습적인 필러 시술과 재건 수술과 관련한 위눈꺼풀근육피부피판 (upper eyelid myocutaneous flap (UEMF)) 술식 등에 눈동맥의 출현점 및 가지들에 대한 임상해부학적 지식이 필수적이다. 필러 시술은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얼굴 미용 시술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시술시 눈동맥의 얼굴가지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의 부재는 동맥의 손상을 일으켜 동맥 분포부위의 피부 괴사 등, 극히 드물게는 실명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위눈꺼풀근육피부피판 (upper eyelid myocutaneous flap (UEMF))은 눈주위 조직 재건에 적용되는 눈성형술로, UEMF 시 눈동맥의 출현점 및 동맥가지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은 성공적인 피판수술을 위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동맥들이 일어나는 동맥의 줄기 부분을 눈동맥의 얼굴가지 (Fbrs of OA)로 명명하여 그 출현점과 분포양상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얼굴에서 눈동맥이 나타나는 동맥 출현점의 3차원적 구명, (2) 이마부위에 분포하는 도르래위동맥 (STA)과 눈확위동맥 (SOA)의 분포양상 관찰, (3) 아래안쪽눈꺼풀동맥의 국소해부학적 분석을 통해 안전한 눈주위 최소침습적 치료 및 수술적 치료에 기여할 수 있는 임상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재료로는 17쪽의 시신을 3D 스캐너 (Morpheus3D®, Morpheus Company, Seongnam, Korea)를 이용하여 정면과 양쪽 45° 측면에서 얼굴을 촬영하였다. 촬영한 얼굴은 Morpheus Plastic Solution (version 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면과 양쪽 측면에서 촬영해 획득한 세 개의 사진을 세 점 (가쪽눈구석, 콧방울점, 입꼬리)을 기준으로 정합하여 3차원 재구성하였다. 오른쪽 안쪽눈구석을 지나는 수직선을 따라 절개선을 긋고 피부를 벗겨 해부를 진행하였다. 눈동맥 출현점을 노출한 후 처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부가 된 시신의 얼굴을 3D 스캐너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해부가 되지 않은 사진과 눈동맥 출현점 해부가 된 사진을 최종적으로 정합하여 3차원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이와 함께, 30명의 임상시험 피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 촬영하여 눈동맥 출현점을 관찰하였다. 더불어 20쪽의 시신을 해부하여 이마 부위의 혈관분포 양상을 관찰하였으며 31쪽의 시신을 이용하여 아래안쪽눈꺼풀동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눈동맥의 3차원적 출현점은 안쪽눈구석에서 안쪽으로 3.8±1.0mm, 위쪽으로 14.0±2.9mm 떨어진 곳에 위치하였다. 3D 스캐너 및 초음파를 이용하여 계측한 피부에서부터 눈동맥 출현점의 깊이는 각각 4.8±1.7mm, 4.5±1.1mm였다. 이마에 분포하는 도르래위동맥 깊은가지의 유무에 따라 두 개의 주요 동맥 분포양상이 관찰되었다. Type I (도르래위동맥의 깊은가지 (dSTA)가 존재하는 경우, 55%)은 두 개의 세부 형태로 나누었다. Type Ia (35%)는 이마근 얕은층의 안쪽부분은 도르래위동맥의 얕은가지 (sSTA)가 분포하고 가쪽부분은 눈확위동맥의 얕은가지 (sSOA)가 분포하는 형태였다. 또한 도르래위 및 눈확위동맥의 깊은가지가 이마근의 깊은 부분에 분포하였다. Type Ib (20%)는 이마근의 얕은층의 안쪽은 도르래위동맥의 얕은가지와 중심동맥 (central artery) 혹은 중심옆동맥 (paracentral artery)이 분포하며 가쪽은 눈확위동맥의 얕은가지가 분포하는 형태였다. 또한 이 유형에서 도르래위 및 눈확위동맥의 깊은가지가 이마근의 깊은부분에 분포하였다. Type II (도르래위동맥의 깊은가지 (dSTA가 부재한 경우, 45%)는 이마근의 얕은부분은 도르래위동맥의 얕은가지가 가쪽부분은 눈확위동맥의 얕은가지가 분포하였으며 눈확위동맥의 깊은가지가 이마근의 깊은부분에 모두 분포하는 형태로 관찰되었다. 아래안쪽눈꺼풀동맥의 분포양상은 네 가지 형태로 관찰되었다. Type I은 위 및 아래안쪽눈꺼풀동맥이 눈동맥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분지하고 눈동맥은 도르래위동맥으로 계속되며 끝나는 형태로 36.7%에서 관찰되었다. Type II는 눈동맥에서 짧은 하나의 가지가 분지되고 이 가지에서 위 및 아래안쪽눈꺼풀동맥이 나뉘고 눈동맥은 도르래위동맥으로 계속되어 끝나는 형태로 36.7%에서 관찰되었다. Type III는 위 및 아래안쪽눈꺼풀동맥이 눈동맥 한 지점에서 일어나고, 눈동맥은 도르래위동맥으로 끝나는 형태로 23.3%에서 관찰되었다. Type IV는 위 및 아래안쪽눈꺼풀동맥이 눈동맥의 끝가지에서 분지하고, 도르래위동맥은 눈구석동맥에서 오는 형태로 3.3%에서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결과를 적용하여 다양한 필러 시술과 UEMF 수술을 진행한다면 효과적인 수술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One of the main trunks of the ophthalmic artery (OA) exits anteriorly and emerges at the orbital region forming quite a huge arterial network to supply the forehead (supratrochlear artery, STA), the nose (dorsal nasal artery, DNA), the medial canthal region (angular artery, AA), and the eyelids (superior and inferior medial palpebral artery, SMPA and IMPA). Thus, in this study, those mentioned arterial emergences and distributions were determined as facial branches of the OA (Fbrs of OA). Filler injectable procedures are prevalent in clinical trials for facial rejuvenation. However, dearth of well acknowledgment of Fbrs of OA, clinicians may threaten the arteries during the filler injection interventions. As a result, it may lead to skin necrosis or rare but severe blindness. The upper eyelid myocutaneous flap (UEMF) has been used as oculoplastic surgical techniques for periorbital tissue defect reconstruction. The UEMF including the emerging point of the OA (EMP of OA) and its branches ensure a maximal blood supply which is closely linked to the success of flap surgeries. Therefor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1) to determine the three-dimensional (3D) location of the EMP of OA, (2) to establish a detailed topography of the forehead vascular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STA and the supraorbital artery (SOA), and (3) to perform a topographic analysis of the IMPA, thereby providing the clinical guidelines for safe performances during periorbital minimally-invasive and surgical procedures. 17 hemifaces were scanned from the frontal and bilateral oblique aspects by 3D scanner (Morpheus3D®, Morpheus Company, Seongnam, Korea). The scanned face was reconstructed using Morpheus Plastic Solution (version 3.0) software. The 3D scanned images from the frontal and bilateral oblique aspects of the face were combined and merged through geometry analysis of the nearby areas at three points (lateral canthus, alare and cheilion) bilaterally. Then, the dissections on the left side of the specimen face slightly deviating right of the midline were performed. After exposure of the EMP of OA, the specimen was scanned again. Finally, the first undissected image and second half dissected image including the EMP of OA were superimposed. The EMPs of OA of 30 healthy Korean volunteers were detected by ultrasound device. Twenty hemifaces were dissected to map the arterial system of the forehead. IMPAs were examined in 31 hemifaces. The three-dimensional location of the EMP of OA was determined. From the medial canthus to the EMP of OA, the transverse distance was 3.8±1.0 mm medially while the vertical distance was 14.0±2.9 mm superiorly. The depth from the skin to the EMP of OA was 4.8±1.7 mm by 3D scanning and was 4.5±1.1mm by ultrasound imaging system, respectively. Two main arterial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forehead were observed based on the presence of the deep branch of the STA (dSTA). The type I (dSTA-present pattern, 55%) was classified into two subtypes: Type Ia (35%), the layer superficial to the frontalis was supplied medially by the superficial branch of the STA (sSTA) and laterally by the superficial branch of the SOA (sSOA); the dSTA and the deep branch of the SOA (dSOA) were distributed deep to the frontalis. Type Ib (20%), the layer superficial to the frontalis was supplied by the sSTA and the sSOA in addition to the central artery or the paracentral artery; the dSTA and dSOA supplied the layer deep to the frontalis. For the type II (dSTA-absent pattern, 45%), the layer superficial to the frontalis was supplied medially by the sSTA and laterally by the sSOA; only the dSOA supplied the layer deep to the frontalis. Four distribution patterns were observed about the IMPA. Type I (36.7%), the IMPA and SMPA branched individually from the OA, with the OA terminating as the STA on the forehead. Type II (36.7%), a short trunk branched from the OA and divided into the IMPA and SMPA, and the OA terminated as the STA. Type III (23.3%), the IMPA and SMPA arose together from the OA, and the OA terminated as the STA. Type IV (3.3%), the IMPA and SMPA were the terminal branches of the OA, with the STA arising from the AA. Importantly, based on these results, clinicians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safe outcomes when assessing the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clinical interventions such as various dermal filler injections and UEMF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