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기견 훈련 프로그램이 청소년 수형자의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주연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a prison-based dog training on violent, incarcerated, male juveniles. The program addresses the change of aggression and self-esteem in a structured environment by using human-animal interaction. The test was given over a period between December 2006 and June 2007, and the data collected were case analysed. The study subjects were four youths incarcerated in a juvenile correctional center in South Korea. Two dog instructors who taught the juveniles how to train dogs observed the frequency in target behavior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type of AB planning of single case study. An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a pre-, intermediate and post-questionnaire study was performed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Self-esteem Scale (Rosenburg, 1965), Buss-Durkee Hostility Inventory, and a daily report written by two instru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prison-based dog training lowered aggressiveness compared with pre-test. But it didn't raise self-esteem of the sub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수형자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유기견 훈련 프로그램이 소년교도소에 있는 청소년들의 공격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북의 한 소년교도소에서 복역중인 수형자 중 면접을 통해 인지 기능에 이상이 있거나 동물 학대 경험이 있는 피험자를 제외하고 동물을 길러본 적이 있는 수형자를 5명 선발하였다. 견 훈련에 정통한 훈련사가 주 5회 견 훈련 지도를 하였다. 참여자 4명을 유기견 훈련 프로그램 참여 전과 프로그램 참여 중, 프로그램 참여 후에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여 총 3회를 평가하였고, 훈련 실시기간은 2006년 12월부터 2007월 6월까지였다. 연구에 사용된 검사와 자료는 공격성 검사, 자아존중감 검사, 그리고 견 훈련사가 참가 수형자의 상태를 매일 기록한 내용이었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을 통하여 청소년 수형자의 공격성은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왔으나, 자아존중감은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감소되었다.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유기견 훈련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효과를 검증하려는 시도를 했다는 점과 비행청소년에게 인간-동물 관계(Human-animal Bond)를 이용한 심리치료적 접근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청소년의 가정, 학교, 사이버상에서의 폭력피해 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채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도 아동종합실태조사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가정, 학교, 사이버 공간에서의 폭력피해 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긍정적 및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부모 및 또래의 사회적 지지가 그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청소년기는 사회정서발달과 관련된 여러 문제행동을 나타낼 수 있는 시기로,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행동들과 공격적 성향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청소년의 공격적 성향은 초기엔 비교적 가벼운 문제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이 시기에 적절한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만성화되어 반사회적 행동이나 부정적인 발달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심각한 수준의 문제행동으로 이어지기 전 예방적 차원에서도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을 파악하고 개입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에서도 폭력피해 경험에 주목하였다. 폭력피해 경험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해서는 Pearlin, Menaghan, Lieberman, and Mullan(1981)의 스트레스 과정모델과 Bandura(1978)의 사회학습이론, Agnew(1992)의 일반긴장이론을 통해 살펴보았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은 하나의 환경이 아닌 다양한 환경에서 개인이나 집단에 의한 폭력을 경험하고, 이에 따라 심각한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나는 폭력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가정, 학교, 사이버상에서 부모와 또래에 의해 발생하는 폭력피해 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선행연구는 아동학대, 학교폭력피해, 사이버폭력피해 각각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다루었고 각 폭력 유형의 중복피해에 관해서는 가정과 학교에서의 폭력피해 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그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을 가정, 학교, 사이버상에서 경험한 아동학대, 학교폭력피해, 사이버폭력피해로 보고 폭력피해 경험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청소년의 공격성은 폭력피해와 같은 외부 환경의 영향뿐만 아니라 개인 내적 특성의 영향도 받는다. 스트레스 과정모델에 따르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자원이 폭력피해 경험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공격성 사이를 매개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심리적 자원으로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원으로는 사회적 지지에 초점을 맞춰 분석을 진행하였다. 다만, 자아존중감의 이원적 구조가 더 적절하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아존중감을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으로 구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효과가 지지원에 따라 달라진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와 또래의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다시 말해, 청소년의 내적 자원인 긍정적 및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외적 자원인 부모 및 또래의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가정, 학교, 사이버상에서의 폭력피해 경험과 공격성 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어떤 효과를 가지는지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은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은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은 부정적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은 부모관계를 매개로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다섯째,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은 또래관계을 매개로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아동종합실태조사 2018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 9세-18세 미만의 아동이 직접 응답하였고 관련 항목에 결측치가 없는 청소년 2,491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OLS 추정방법을 이용하는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의 유의성 확인을 위한 Sobel test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가정, 학교, 사이버상에서의 폭력피해 경험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청소년이 가정, 학교, 사이버상에서 폭력피해 경험을 겪을수록 공격성 수준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다른 차원의 폭력피해 경험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한 차원의 폭력피해 경험은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학교폭력피해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그 뒤로 아동학대, 사이버폭력피해 순으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해 개입할 때 폭력피해 경험에 개입해야 할 근거를 제시함과 동시에 학교폭력피해에 대해 좀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내·외적 자원의 매개효과를 통합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방법 및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내적 자원 중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아동학대, 학교폭력피해, 사이버폭력피해 모두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의 방향성을 해석해보면, 아동학대, 학교폭력피해, 사이버폭력피해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 자아존중감은 낮아지고, 긍정적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공격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개인이 스트레스 상황을 겪으며 자아존중감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스트레스의 결과가 나타난다는 스트레스 과정 모델(Pearlin, 1989)로 뒷받침되며 선행연구결과와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셋째, 내적 자원 중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아동학대, 학교폭력피해, 사이버폭력피해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매개하지 않았다.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단계에서는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사이버폭력피해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Sobel Test 결과 매개효과가 드러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자아존중감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에 따라 발달산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선행연구결과를 뒷받침한다. 넷째, 외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 중 부모관계는 내·외적 대처자원을 모두 포함한 통합모형에서 아동학대와 사이버폭력피해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의 방향성을 해석해보면, 아동학대와 사이버폭력피해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와의 관계가 나빴으며, 부모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공격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사회적 지지가 폭력피해라는 스트레스 상황으로 인한 부정적 결과를 완화시킬 수 있다고 보는 스트레스 과정 모델(Pearlin et al., 1981)로 뒷받침될 수 있으며 선행연구결과와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다섯째, 외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 중 또래관계는 최종모형에서 학교폭력피해와 사이버폭력피해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석해보면, 학교폭력피해와 사이버폭력피해 수준이 높을수록 또래관계가 나빴으며, 또래관계가 좋지 않을수록 공격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단계에서는 또래관계가 아동학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Sobel Test 결과 매개효과가 드러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 또한 사회적 지지가 폭력피해라는 스트레스 상황으로 인한 부정적 결과를 완화시킬 수 있다고 보는 스트레스 과정 모델(Pearlin et al., 1981)로 뒷받침될 수 있으며 선행연구결과와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청소년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 중 가정, 학교, 사이버 차원에 중점을 두고 이러한 차원에서의 폭력피해 경험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본 연구는 스트레스 과정모델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대처자원을 내·외적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즉,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이라는 스트레스 원이 스트레스 결과인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그 매개변인으로 청소년의 내·외적 자원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투입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을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으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 공격성,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세부적으로 확인하였다. 넷째,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를 지지원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 공격성,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세부적으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공격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근본적 원인인 청소년의 폭력피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개입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폭력피해 청소년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폭력피해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공격성을 낮추기 위해 자아존중감에도 개입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초점을 맞춰야 한다. 넷째, 폭력피해 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공격성을 낮추기 위해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에 개입할 때, 폭력피해의 유형을 고려한 차별적 개입이 고려되어야 한다. 아동학대 및 사이버폭력피해 청소년에게 개입할 때는 부모관계 개선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폭력피해 및 사이버폭력피해 청소년에게 개입할 때는 또래관계 개선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을 둘러싼 가정, 학교 등 다양한 환경 및 유관기관들이 협력해야 한다. 정리하자면,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정, 학교, 사이버상에서의 폭력피해 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청소년의 긍정적 및 부정적 자아존중감과 부모 및 또래의 사회적 지지가 이를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 즉 아동학대, 학교폭력피해, 사이버폭력피해 경험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폭력피해 경험이 있는 청소년에 대한 개입을 촉구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폭력피해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대한 개입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청소년을 둘러싼 부모와 또래의 사회적 지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폭력피해 유형과 지지원에 따라 차별적 개입전략에 대한 근거 또한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at home, school, and cyberspace on aggression using the Korean Youth General Survey 2018, and to verify whether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f parents and peers mediate the relationship. Adolescence is a time when various behavior problems related to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can be expressed.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se behavior problems and aggressive tendencies are closely related. Aggressive tendencies of adolescents may appear as relatively mild behavior problems at the beginning. But if appropriate intervention is not performed at this time, they become chronic and may appear as antisocial behaviors or negative developmental resul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intervene meaningful factors that influence adolescents’ aggression in a preventative dimension before leading to serious behavior problem.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how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ffect aggress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victimization of violence amo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adolescents’ aggression. The process in which the victimization of violence affects aggression is examined through the stress process model of Pearlin, Menaghan, Lieberman, and Mullan(1981), Social learning theory of Bandura(1978), General strain theory of Agnew(1992). According to a recent study, adolescents experience victimization by individuals or groups in various environments rather than sole environment, and thus suffer serious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comprehensively examine violence in diverse environments surrounding adolescents, the effects of victimization of violence by parents and peers at home, school, and cyberspace on aggression were reviewed. Previous studies mainly dealt with each effects of child abuse,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on aggression. Regarding the overlapping damage of each type of violence, it only examines the effect of victimization of violence at home and school on aggression. Therefore, in this study,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were considered as child abuse,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experienced at home, school, and cyberspace, and examined the effect of the victimization of violence on the aggression of adolescents. On the other hand, the aggression of adolescents is affected not only by the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violence, but also by personal inter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tress process model, it can be seen that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of adolescents mediate between stress and aggression caused by the victimization of violence. In this study,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self-esteem as a representative psychological resource and social support as a social resource. However,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the dual structure of self-esteem is more appropriate, self-esteem was classifi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and used for analysis.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varies depending on the supporter,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parents and peers was examined. In other word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an internal resource of adolescents, and social support of parents and peers, an external resour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and aggression at home, school, and cyberspace, it was confirmed empirically whether they have effect. The research questions to be verif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affect their aggression? Second, does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affect their aggression through positive self-esteem? Third, does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affect their aggression through negative self-esteem? Fourth, does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affect their aggression through parental relationships? Fifth, does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affect their aggression through peer relationships? In order to verify these research questions, data from the Korean Youth General Survey 2018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re u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491 adolescents who had no missing values ​​in the related items, directly answered by themselves, and aged 9-18 years old. For data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OLS estimation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e three-stag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by Baron and Kenny (1986)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Sobel test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at home, school, and cyberspa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ggression of adolescents. In other words, the more adolescents experience violence at home, school, or cyberspace, the higher the level of aggression is. Even under the control of other levels of victimization of violence, it was found that one level of victimization of violence had an effect on aggression. At this time, it was found that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had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victimization of child abuse and cyber viol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en intervening in aggression of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violence at school as well as to present the basis for intervening in the victimization of violence. Second, Baron and Kenny's (1986)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method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and aggression. As a result, positive self-esteem among internal resources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s of victimization of child abuse,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on aggression. Interpreting the direction of the medi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victimization of child abuse,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the lower the positive self-esteem. Then, the lower the positive self-esteem, the higher the aggression. This is supported by the stress process model (Pearlin, 1989), in which an individual experiences a stressful situation and decreases self-esteem, which results in stress. Also, this result is partially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s. Third, negative self-esteem among internal resources did not significantly mediate the effects of victimization of child abuse,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on aggression. In the verification stage of Baron and Kenny (1986)'s 3rd stage mediating effect, negative self-esteem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 of victimization of cyber-violence on aggression, but in the Sobel Test, it did not reveal the mediating effect. These analysis results suppor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n development products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self-esteem is positive or negative. Fourth, it was found that parental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which are external resources, mediate the effects of victimization of child abuse and cyber-violence on aggression in an integrated model that includes both internal and external coping resources. Analyzing the direction of the mediating effect,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victimization of child abuse and cyber violence, the worse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And then, the worse the parental relationship, the higher the aggression. These results can be supported by the stress process model (Pearlin et al., 1981), which believes that social support can alleviate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stressful situation of victimization of violence. Also, these results are partially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s. Fifth, it was found that peer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an external resource, mediated the effects of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on aggression in the final model. Interpreting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the worse the peer relationship. And then, the worse the peer relationship, the higher the aggression. In Baron and Kenny (1986)'s three-stag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stage, this study showed that peer relationships mediated the effect of victimization of child abuse on aggression, but in the Sobel Test, it did not reveal the mediating effect. These results can also be supported by the stress process model (Pearlin et al., 1981), which believes that social support can alleviate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stressful situation of victimization of violence. And these results are partially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cuses on the levels of home, school, and cyberspace among the various environments surrounding adolescents, and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impact of victimization of violence on the aggression of adolescents.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coping resources of adolescents from the internal and external dimensions based on the stress process model. In other words, for the influence of the stress source,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on aggression that is a result of stres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which are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of adolescents, were introduced as mediating variables. Third, this study examined self-esteem by dividing it into positive self-esteem and negative self-esteem, thereby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aggression, and self-esteem in more detail. Fourth,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aggression, and social support by dividing social support according to the supporter. Next, looking at the practical implica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intervention strategy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which is the fundamental cause that negatively affects aggression of adolescents. Second, intervention with knowledge of social welfare is needed for adolescents victims of violence. Third,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in self-esteem in order to lower the aggression of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violence, and at this time, the focus should be on promoting positive self-esteem. Fourth, when intervening in the social support of adolescents in order to lower the aggression of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violence, discriminatory interventions that take into account the types of victimization of violence should be considered. When intervening with adolescents victims of child abuse and cyber violen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mproving parental relationships, and when intervening with adolescents victims of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mproving peer relationships. Lastly, various environments and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homes and schools surrounding youth should cooperate. In summar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at home, school, and cyberspace on aggression, and examines whether adolescents'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of their parents and peers mediate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i.e., child abuse, school violence, and cyber violence, on adolescents' aggression to enhance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aggression and to be a basis for urging to interven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sent the basis for intervention on the positive self-esteem of adolescents victims of violence by confirming the influence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elf-esteem of adolescents on aggression. The influence of the social support of parents and peers surrounding adolescents on aggression is identified, and the basis for a discriminatory interven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type and source of victimization of violence is also presented.

      • 청소년 공격성에 관한 메타경로분석 : 부모학대, 사회적 위축, 우울을 중심으로

        김준성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좌절-공격이론 관점에서 청소년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으로 채택된 부모 학대, 사회적 위축, 우울의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여 메타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환경 변인인 부모 학대, 사회적 위축이 정서변인인 우울을 매개하여 청소년 공격성으로 진행되는 경로를 탐색함으로 주요 요인들이 청소년 공격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환경요인과 정서요인 사이의 상호연관성이 어떻게 공격행동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9년 2월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석·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청소년 공격성 관련 주요 변인들을 메타경로분석하기 위해 R x64 3.5.3 및 R package인 metaSEM을 사용하였으며, 적합도 검증을 위하여 CFI, TLI, SRMR, RMSEA을 통해 추정하였다. 부모 학대, 사회적 위축이 우울을 매개하여 청소년 공격성에 미치는 경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 공격성 관련 주요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한 결과 큰 효과크기를 보이는 변인으로는 사회적 위축-우울(Zr=.521), 우울-공격성(Zr=.424)을 나타났으며, 중간 효과크기를 보이는 변인은 사회적 위축-공격성(Zr=.361), 부모 학대-우울(Zr=.345), 부모 학대-공격성(Zr=.272), 부모 학대-사회적위축(Zr=.122)순으로 분석되었으며, 청소년 공격성 관련 주요 변인인 부모 학대, 사회적 위축이 청소년 공격성에 이르는 경로에서 우울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주요변인 간 메타분석을 통하여 주요 변인들 간의 설명력이 다소 상이한 결과들에 대해 상대적 우위성이나 관련성을 통합적으로 다뤄 제시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환경요인(부모학대, 사회적 위축)이 우울을 매개하여 청소년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청소년 공격성을 설명하기 위해 좌절-공격이론을 적용 할 수 있음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 우울을 관리할 수 있다면 청소년 공격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부모 학대 및 사회적 위축을 개입하는 것보다 더욱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공격성 및 주요 변인들 간의 일부 요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이 이루어짐에 있어 다소 적은 연구수들이 포함되는 한계가 있어 언급되지 않은 요인까지 포함하여 보다 많은 연구물의 통합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주요 변인들에 대한 개념적 범위와 측정도구의 동질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므로 동일한 개념과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비교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공격성 관련 변인들 중 일부만 사용하여 청소년 공격성을 검증하였다는 한계 있으므로 청소년 공격성 관련 다양한 변인들 간의 관계를 포함하는 가설적 연구모형의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The study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violence,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ve, the main variables that affect the aggressiveness of teenager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arental violence and social withdrawal on the aggressiveness of teenagers by exploring the path of adolescent aggression through mediation of emotional depressiv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it appears as an attack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meta -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theses and journals of scholarship and doctorate in Korea from 2000 to February 2019. Data analysis used R x64 3.5.3 and R package metaSEM for meta - path analysis of major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 aggressiveness, and CFI, TLI, SRMR and RMSEA were used for fitness test. A parental violence, and social withdrawal mediated depressive on adolescent aggress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ta-analysis of the major factors related to youth aggression revealed that social withdrawal-Depressive (Zr = .521), depressive-aggression (Zr = .424) the variables were as follows: social withdrawal - aggression (Zr = .361), parental violence - depressive (Zr = .345), parental violence - aggression (Zr = .272), parental violence - social withdrawal. Second, Depressive was found to be mediated in the path of Parental violence and social withdrawal to juvenile aggression. Thes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 main variation, inter-terrestrial meta-analysis, provides an integrated view of relative superiority or relevance to outcomes with somewhat different explanatory power among the main variables.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parent abuse, social contraction) mediated depression and affected youth aggression. This can be seen as applying frustration-attack theory to account for youth aggression. Thus, it suggests that managing youth depression can be a more effective strategy than intervening in parent abuse and social atrophy that indirectly affects youth aggress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ta-analysis of youth agg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me of the factors among the main variables would have limits that would include some small numbers of researchers, which would require an integrated analysis of more studies, including those not mentioned. Second, since there are limitations that do not fully reflect the conceptual scope and homogeneity of measurement tools for key variables, comparative analysis will be required using the same concepts and measurement tools. Third, the limitations of verifying juvenile aggression by using only some of the aggression-related variables will require an analysis of a hypothetical research model that includes relationships among the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youth aggression.

      • 아동기 피학대 경험과 청소년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으로 조절된 우울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비교

        박정아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아동기 피학대 경험이 우울을 매개로 청소년기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조절하는지에 대해 발달단계에 맞추어 검증함으로써, 청소년기 공격성을 예방하기 위한 개입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청소년기 공격성과 관련이 있는 부정적 정서인 우울과 긍정적 요인인 자아존중감과의 인과관계를 발달단계에 맞추어 초등학생과 중학생 시기를 비교·분석하였다. 기존 연구가 각 학교급의 발달 산물을 개별적으로 검증한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의 피학대 경험이 청소년기 공격성 간에 심리요인인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상정하고, 개인적 요인인 자아존중감을 조절변인으로 상정하여 초등학생과 중학생 시기를 비교하여 청소년기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지역아동센터 아동 패널조사의 2기 패널 5차(2018)와 3기 패널 1차(2018) 자료로, 초등 자료는 3기 1차로 초등학교 4학년 632명이었고, 중등 자료는 2기 5차 자료로 중학교 2학년 346명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총 978명을 선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 분석을 위해 IBM SPSS(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24.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초등학생과 중학생 시기를 비교하였다. 즉 초등학생과 중학생 시기에 따라 아동기의 피학대 경험, 우울, 자아존중감이 청소년기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단계에 따른 아동기 피학대 경험과 청소년기 공격성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피학대 경험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우울은 초등학생, 중학생 시기에서 모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발달단계에 따른 아동기 피학대 경험, 청소년기 공격성의 관계에서 중학생 시기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는 확인되었지만, 초등학생 시기에서는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셋째, 발달단계에 따른 아동기 피학대 경험, 우울, 청소년기 공격성의 관계에서 초등학생 시기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확인되었지만, 중학생 시기에서는 자아존중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초등학생 시기의 경우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이처럼 단순 조절 효과가 없더라도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논의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기 공격성을 예방하기 위한 개입 방안과 청소년기 긍정 발달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presenting an intervention plan to prevent aggression in adolescence by verifying whether self-esteem controls the effect of childhood abuse on adolescent aggression through depress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 To this e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 negative emotion related to aggression in adolescence, and self-esteem, a positive factor, was compared and analyzed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individually verified the developmental products of each school level, this study assumed depression, a psychological factor,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abuse experience in childhood and aggression in adolescence, and self-esteem, a personal factor, as a moderating variable, The influence of aggression in adolescence was comprehensively analyzed by comparing the period of middle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5th panel of the 2nd period (2018) and the 1st period of the 3rd panel (2018) of the local children's center children's panel survey, The primary data was 346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978 people and used them for analysis.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the IBM SPSS (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24.0) program and Process macro were used to compare the period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it was verified how the effects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s,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aggression in adolescence vary according to the period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experience and aggression in adolescence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it was confirmed that depress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e experience and aggression.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experience and aggression in adolescence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confirmed in the middle school age, but not in the elementary school ag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buse experience,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adolescence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confirmed in the elementary school age, but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not confirmed in the middle school age.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not significant, but the moderating effect was significant. Even if there is no simple regulatory effect, there may be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based on these results, intervention plans to prevent aggression in adolescence and effective intervention plans to promote positive development in adolescence were suggested.

      • 청소년의 피공격성 및 관련변인

        차희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피공격성을 하위 요인별로 측정해보고 성과 학년, 공격성과 자아존중감과 같은 개인적 특성 요인 이외에 부모의 양육태도(권위주의적 태도, 과잉보호, 애정)를 분석해 봄으로 청소년의 피공격성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임의로 표집하여 초등학교 5, 6학년과 중학교 1, 2학년 32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자료방법은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연구대상의 일반적 성격을 분석하고, 피공격성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 Cronbach의 α계수를 산출하였다. 성과 학년에 따른 청소년의 피공격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공격성과 자아존중감,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피공격성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하였고 사후검증으로서 Duncan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청소년의 피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을 규명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계수 r을 산출한 후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피공격성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전 학년에서 직접적 피공격성이 간접적 피공격성보다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성에 따른 피공격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직접적 피공격성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피공격성을 나타내었다. 학년에 따른 피공격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직접적 피공격성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초등학교 6학년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셋째, 청소년의 공격성에 따른 피공격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성이 높은 집단이 간접적 피공격성과 직접적 피공격성 모두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공격성과 피공격성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피공격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따라 직접적, 간접적 피공격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자아존중감이 낮은 청소년이 피공격성이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에 있어서는 사회적 수용도, 학업능력, 신체용모, 전반적 자아가치감이 간접적 피공격성과 직접적 피공격성에서 모두 차이를 보였으며 운동능력은 간접적 피공격성에서만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의 양육행동에 따른 청소년의 피공격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아버지의 양육행동 3요인에 따라 간접적 피공격성과 직접적 피공격성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아버지의 권위주의적인 통제와 과잉보호를 높게 지각한 집단은 간접적 피공격성과 직접적 피공격성에서 점수가 높았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있어서는 권위주의적 양육태도와 과잉보호 요인에서 간접적, 직접적 피공격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반면에 애정적 요인에서는 간접적 피공격성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청소년의 피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밝히기 위해 단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간접적 피공격성에는 자아존중감,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통제, 아버지의 권위주의적 통제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인들은 간접적 피공격성의 22%를 설명하고 있다. 직접적 피공격성은 자아존중감, 성, 아버지의 권위주의적 통제, 공격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인들은 직접적 피공격성의 20%를 설명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아존중감이 아동과 청소년의 피공격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이 되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정과 학교에서 학력 위주나 능력위주의 평가만이 아닌 인간 중심적인 가치관 측면에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investigate relative importance of various variables, including peer aggression, self-esteem and parental behaviors (authoritarian control, overprotection, and affection) in influencing victimization of adolescents. A sample of 323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s students in kwang-ju city was surveyed. Statistic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ies, means,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F-test, t-test, Duncan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general trend of adolescents' victimization was that the direct victimization score was higher than the indirect victimization score. Second, sex and grade significantly influenced only the direct victimization score. The male students scored high in direct victimization compared with the female students. Senior students scored low in direct victimization compared with junior students. And 6th grade boy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scored highest. Third, aggression of adolescents significantly influenced victimization.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of adolescents. Fourth, self-esteem significantly affected direct and indirect victimization. The lower students' self-esteem was, the higher their direct and indirect victimization became. Fifth, parental child- rearing behavior significantly influenced both direct and indirect victimization. The higher parent's authoritarian control and overprotection were the higher students' scores in both direct and indirect victimization. The higher students perceived affection, the lower their scores in direct and indirect victimization. Six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indirect victimization was explained by self-esteem, the mother's authoritarian control, and the father's authoritarian control. And direct victimization was explained by self-esteem, sen, the father's authoritarian control, and aggression. In conclusion, self-esteem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ed victimization.

      • 기독교 신앙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배은주 성결대학교 목회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기독교 신앙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신앙과 성별에 따라 공격성에 차이가 있는가, 기독교 신앙의 유무(有無)에 따라 공격성에 차이가 있는가, 기독교 신앙요소와 공격성 하위요인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신앙과 성별에 따라 청소년의 공격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기독교 신앙의 유무에 따라 청소년의 공격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기독교 신앙요소와 공격성 하위요인간에 부적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군포, 과천, 성남, 안양, 의왕시 등의 수도권에 위치한 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재학 중인 1,000명을 임의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 96명을 제외한 남자 522명과 여자 382명의 총 904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기독교인 370명과 타종교를 비롯한 비기독교인 534명으로 구성되었다. 위의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된 측정도구는 두 가지로써 기독교 신앙요소 검사지와 공격성 검사지이다. 기독교 신앙요소의 정도를 알아보는 검사지는 1988년에 전요섭이 기독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적용한 것을 본 연구자가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표집하여 설문하였다. 공격성 검사지는 1957년에 Arnold H. Buss와 A. Durkee가 제작한 공격성 검사지를 다시 1992년에 Buss와 Mark Perry가 수정하여 재구성한 것을 2003년에 전요섭이 번안하였다. 이것을 본 연구자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신뢰도를 측정한 뒤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904부의 자료는 SPSS (Satistical 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1.0을 이용해서 t-test, two-way ANOVA, Pearson 적률 상관관계를 적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앙과 성별에 따라 공격성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 그러나 신앙별로 나타난 전체 공격성의 평균을 보면, 기독교가 공격성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천주교, 없음, 불교, 기타의 순서로 갈수록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비록 근소한 차이지만 신앙별로 공격성 점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왔 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독교 신앙의 유무에 따라 공격성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 전체 공 격성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신체적 공격성에서는 비기독교인이 기독교인보다 공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독교 신앙요소와 공격성 하위요인간에는 요인에 따라 부적 상관관 계가 있다. 특히 구원에 대한 확신이 강할수록 전체 공격성, 신체적 공격성, 적개심이 낮으며, 또한 가족의 기독교적 배경에서 가족 모두가 기독교 신앙 인일수록 전체 공격성, 분노, 적개심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독교 신앙이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힘으 로써 청소년의 건강한 삶과 올바른 가치관 형성에 기독교 신앙이 이바지하며 더 나아가 청소년을 이해하고 지도함에 있어서 의미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A. The Goal of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how Christian faith affects adolescence’s aggression. This researcher classified, first, whether they were Christian or non-Christian. Second, in the Christian’s case, This researcher classified eight kinds of religious affiliation: the period of church attendance, the frequency of attendance at worship service, the frequency of Bible reading or studying, the frequency of prayer, the baptismal experience, the assurance of salvation, the Christian environment in the family. B. The Hypotheses of Research This researcher established the following three hypotheses. 1.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aggression of the adolescence, According to the faith and the distinction of sex. 2.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aggression of the adolescence between a Christian adolescence and a non-Christian adolescence. 3. There will be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 of Christian faith and subscales of aggression. C. Method of Research This researcher observed 904 male and female middle·high school students. (Christian: 370, non-Christian: 534) Which are located in Seoul and Kyunggi-do area. The measuring apparatus of aggression used in this research was the “ Aggression Questionnaire” (AQ) devised by Arnold H. Buss and Mark Perry in 1992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measuring apparatus of Christian faith level was made by Jeon Joseph in 1988 in the Korea. The collected sample statistics were taken by applying the analysis of variance through a statistical package of the social science program 11.0(SPSS 11.0). This researcher used the t-test and two-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for hypothesis testing. D. Summary an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aggression of the adolescence, According to the faith and the distinction of sex. Second,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aggression of the adolescence between a Christian adolescence and a non-Christian adolescence. But Christian adolescence showed a lower the levels of physical aggression than non-Christian adolescence. Thir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 of Christian faith and subscales of aggression. Above all,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assurance of salvation and the Christian environment in the family in the factor of Christian faith and subscales of aggression.

      • 청소년의 공격성 변동의 영향요인 : 3년 종단연구

        김경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에서는 3년간 청소년의 공격성 변동 경향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공격성 변동에 성차의 영향을 고려하여 남녀별 공격성 변동의 영향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03)의 종단연구 자료인 한국청소년패널조사(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중학교 2학년 패널 1-3차년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중학교 2학년 2,993명으로 이들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등 총 3차 년도에 걸쳐 반복적으로 추적조사 하였다. 연구 도구는 중학교 2학년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척도로, 이 가운데 공격성 척도와 공격성 변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 자아통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정서조절, 부모감독, 부모애착, 교사애착, 친구애착 등 총 8개의 심리사회적 변인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으로 성별과 시기에 따른 공격성 변동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사용하였고 공격성 변동 유형에 따른 공격성 출현 집단, 공격성 감소 집단, 공격성 유지 집단, 비공격 집단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공격성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을 조사하기 위해 일원배치 변량분석을 실시하고 사후검증을 통해 공격성의 변동 유형 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공격성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주는 심리사회적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공격성 변동 경향을 살펴본 결과 3년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공격성 변동경향은 여자 청소년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남자 청소년은 미미한 증가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여자 청소년의 공격성이 남자 청소년보다 높게 나타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또한 공격성 안정집단의 비율이 공격성 변동집단의 비율보다 높았으나 공격성 변동집단의 비율 또한 전체 집단 내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공격성이 비교적 안정적인 변인이지만 개인에 따라 변동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비교했을 때 여자청소년은 공격성 안정집단에, 남자청소년은 공격성 변동집단에 속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공격성 변동 유형을 결정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은 자아통제로 나타나 자아통제가 공격성의 지속과 변동에 있어 주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전체 청소년에서 비공격 집단과 공격성 출현 집단을 변별하는 심리사회적 변인은 자아통제와 부모감독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비교했을 때 남자 청소년은 자아통제만이, 여자청소년은 자아통제, 부모감독과 함께 부모애착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체 청소년에서 자아통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정서조절, 친구애착이 공격성의 초기값 및 변화율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부모감독, 부모애착, 교사애착은 공격성의 초기값에만 영향을 미쳤다. 성별로 비교했을 때 남자 청소년은 자아통제, 스트레스가 공격성의 초기값 및 변화율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자아존중감, 부모감독, 부모애착, 친구애착은 공격성의 초기값에만 영향을 미쳤다. 반면 여자청소년의 경우 자아통제, 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은 공격성의 초기값 및 변화율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정서조절, 부모감독, 부모애착, 교사애착은 공격성의 초기값에만, 친구애착은 공격성의 변화율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와 같은 결과는 공격성의 발현과 지속은 개인차를 보이며 공격성에 대한 심리사회적 개입에 있어 자아통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성별의 차이를 고려하여 접근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luctuation of adolescent aggression during three years and to identify predictors that might account for individual differences. Especially this study considered the influence of gender. This study used data from wave 1-3(2003-2005) of middle school 2 grade panel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The results of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showed that adolescent aggression has decreased during three years a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initial level and the rate of fluctuation in the aggression. Girls were also decreased, but boys were increased slightly. And stable group had higher component ratio than fluctuative group. But the result of that fluctuative group's component ratio was also high in the total group showed that fluctuation of aggression was depend on the individual. The results showed that self-control was important factors determining stability or fluctuation of aggression. The predictors of girls were not only self-control but also parental monitoring, parent child attachment. Self-control, stress, self-esteem, emotion-control, friend attachment predicted both the initial level and rate of change in aggression of adolescent. While parental monitoring, Parent child attachment, teacher attachment predicted only the intial level. In addition, self-control, stress predicted both the initial level and rate of change in aggression of boys. While self-esteem, parental monitoring, parent child attachment, friend attachment predicted only the intial level. Self-control, stress, self-esteem predicted both the initial level and rate of change in aggression of adolescent. While emotion-control, parental monitoring, parent child attachment, teacher attachment predicted only the intial level, friends attachment predicted only the rate of change.

      •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양육주체와 양육태도의 설명효과 비교

        이선영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양육주체 및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공격성이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며, 양육주체와 양육태도 중 어떤 변인이 청소년의 공격성을 더 잘 설명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표집 대상은 강원 도내 4개 중학교 1~3학년 360명을 임의 표집 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35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양육주체를 확인하기 위하여 ‘현재 친아버지(친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습니까?’ 와 같은 질문을 통하여 양육주체가 양친부모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양분화 하였다. 청소년이 지각하는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Rohner(1984)의 PARQ(Parental Acceptance- Rejection Questionnaire)를 안정만(2001)이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공격성은 Buss & Perry(1992)가 개발한 공격성검사지(Aggression Questionnaire)를 서수균과 권석만(2002)이 수정, 보완한 한국판 공격성 설문지(Aggression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AQ-K)를 사용하였다. 결과에 대한 자료처리는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검증을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청소년 공격성에 대한 양육주체와 양육태도의 설명효과 비교를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주체와 청소년의 공격성은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공격성은 의의 있는 관련성을 보였다. 온정-애정적 태도는 청소년의 공격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공격-적대적 태도, 무시-무관심 태도, 거부적 태도는 청소년의 공격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양육주체는 청소년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하지만 양육태도는 그 유형에 따라 청소년의 공격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공격성에 대한 양육주체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양육주체는 청소년의 공격성을 설명하지 못하였으나,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공격성을 독립적으로 설명하는 효과가 있었다. 연구 결과 양육주체는 보다는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공격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양육태도의 유형에 따라 공격성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누가 키우느냐 보다 어떻게 키우느냐에 따라 청소년의 공격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정 내 안정적인 심리적 환경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청소년 및 가족 복지의 정책적 지원방향의 재검토와 예방적 차원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