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정신지체인 지원고용과 관련요인들의 상호작용

        김봉선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Purpose: Supported employment defines a structured program through which disabled persons residing in an institution can access employment opportunities. Employment in this case is ① paid, ② fully integrated ③ supported by a social worker or vocational counsellor for a minimum of two times a month. It is a means by which a disabled person can transfer from a workshop environment to an individualized program that supports full integration into the workforce. Supported employment had been introduced to Korea in 1992. Research thus far has focused on concepts, principles, models and procedures of this undertaking. Only in the late 1990s, did empirical research of supported employment begin to appear. In spite of importance of the supported employment for mentally retarded persons, early studies did not focus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se individuals. This fact runs counter to existing theories. In addition, methods on how to define and measu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se individuals lacked clear theoretical grounding.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1) clearly delineat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entally retarded persons who are involved in supported employment programs and identify those characteristics that effect of positive outcomes in supported employment programs (2) defining those elements of environment that impact upon supported employment, and (3) identifying interaction between the researchers stated independent variables. Method This study analyzed a total 209 cases involving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supported employment from 1994 to 2003 at the Seobu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The data collection method used was the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individual profiles from Jan, 10, to Feb, 5, 2004. Research was carried out at the Departmen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at the Seobu Rehabilitation Center by the author. Based on this data, the effects of supported employment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thod. The effects of supported employmen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were tested by the regression analysis method. Results The ability of mentally retarded persons were analysed with respect to individual characteristic such as intellect, sensory ability, motor ability as measured by McCarron-Dial Scale. The author found that the employment of mentally retarded persons was sta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motor and sensory skills.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employment period was statically significant in therms of the number of years of education and motor ability. As well, this study analyse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amilial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support in the individuals broader environment (ie: the individual social support network). Both economic well-being and acceptance by the family for the mentally retarded person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erning length of employment Furthermore, the experience level of the social worker or vocational counsellor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that impacted on employment outcomes. As well, the intellect of mentally retarded persons was statically significant for the length of employment and employment status. Finally, elements related to overall interaction were analyzed focusing on employment period, individual ability and other supra system relationships. The results showed learn in ability was statistical significant through interacting with acceptance level of their family. Implication of this Study: This study is unique in Korea as it recognizes that individual ability of the mentally retarded pers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erning both employment status and the length of employment. Preceding studies may not be valid as they concluded that only individual intelligence and level of disability influenced supported employment program outcomes. Further, MDS used in this research gives basic information which many other rehabilitation centers utilize thus making it an excellent planning tool. Finally, as mentioned other factors such as support systems directly influence outcomes and thus they need to be examined by support professionals in order to ensure positive outcomes.

      • 정신지체인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 생활시설 청, 장년 남성정신지체인 사례를 중심으로

        김진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ㅊ 본 연구는 생활시설 남자 성인 정신지체인을 대상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성교육을 실시하여 성교육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었는지 살펴보고, 남자 성인 정신지체인에게 알맞은 성교육 프로그램 모델과 성교육 방법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정신지체인의 성심리와 성발달, 청, 장년 정신지체인의 성적 특징, 생활시설 정신지체인의 성적 특징, 성교육의 개념 및 현황, 정신지체인의 성교육의 필요성과 성교육 시 고려해야 할 점, 정신지체인의 성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을 문헌연구를 통해 알아 보았고, 본 연구자가 성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성교육 전문 강사와 의논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변경하였다. 수정 변경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남자 성인 정신지체인에게 실시하여 이 프로그램이 성지식과 성적 경험, 성적 태도에 효과가 있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단일 집단을 구조화된 성지식과 성적 경험, 성적 태도 질문지로 사전 사후 조사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본 연구자가 참여하여 구성원들의 반응과 변화를 관찰하는 질적인 분석을 함께 병행하였다. 이에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남자성인 정신지체인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K시설 남자성인 정신지 체인 22명 중 경도 정신지체인 7명과 중등도 정신지체인 3명에게 2000년 3월부터 11월까지 2주에 1회씩 총 17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성교육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조사한 설문지를 SPSS를 사용하여 T-test하여 비교 하였으며 구성원들의 반응을 관찰하는 방법을 함께 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양적인 조사결과에 의하면, 첫째, 성지식은 프로그램 실시전의 평균이 4.7, 프로그램 실시 후에는 13.4로 증가 하였고, 그 변화도를 검증한 t값은 -4.337, 유의도는 0.002로 유의 수준 5%수준에서 볼 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남성 정신 지체인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남성정신지체인의 성지식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성적 경험은 프로그램 실시전의 평균이 7.3, 프로그램 실시 후에는 11.4로 증가하였고, 그 변화도를 검증한 t값은 -6.08, 유의도는 0.001로 유의수준 1%수준에서 볼 때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남성 정신 지체인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남성정신지체인의 성적 경험에서 자신이나 타인에게 허용적에서 거부적으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성적 태도는 프로그램 실시전의 평균이 13.1, 프로그램 실시 후에는 7.9로 감소하였다. 이는 성적 태도가 허용적이고 긍정적인 반응에서 거부적이고 부정적인 반응으로 변하였는데 이런 변화는 문항의 문제를 볼 때, 바람직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 변화도를 검증한 t값은 -3.062, 유의도는 0.014로 유의수준 5%수준에서 볼 때 매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남성 정신 지체인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남성 정신지체인 의 성적 경험이 자신이나 타인에게 허용적에서 거부적으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남성 정신 지체인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남성정신지체인의 성적태도에 허용적이거나 긍정적인 반응에서 거부적이고 부정적인 반응으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질적인 결과에 의하면 성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사례별 분석은 사례별로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70%정도가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사전-사후 조사에서는 사례별로 차이가 있었지만 사례 모두 성지식 성적 경험, 성적 태도 면에서 효과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그 동안 우리의 페쇄적인 사회안에서 정신지체인의 성적 행동은 무시되고 문제시 되어왔다. 이러한 사회의 정신지체인의 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게하고 정신지체인의 성재활을 위해서는 우선 먼저 부모님, 시설 종사자들에게 성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고 정신지체인에게 알맞은 성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청, 장년 남성 정신지체인을 대상으로 성교육을 실시하였지만, 정신지체인의 성교육은 어려서부터 실시해야 하며 커가는 동안 계속해서 성적으로 바른 행동을 가르쳐야 한다. 따라서 정신지체인의 성교육은 조기교육에서부터 교육 내용에 포함되어야 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어느 정도 대화가 가능하고 표현도 가능한 경도 정신지체인과 중등도 정신지체인이 함께 교육하였는데, 프로그램 실시 전 대상자의 개별적인 파악이 필요하고, 개별적인 파악 후에는 집단교육과 1:1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중증 정신지체인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여성 성교육 전문 강사가 성교육을 실시하였는데, 성교육은 같은 동성이 기르치는 것이 효과적이다. 왜냐하면 같은 동성끼리는 편안함을 느껴 자신의 성에 대해 더 자연스럽게 이야기 할 수 있다. 아직 우리 나라는 남성 성교육 전문가가 전무한 상태이므로 남성 성교육 전문가가 양성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총 17회로 진행되었으나 정신지체인들이 기억력 결함을 가지고 있기에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같은 주제라도 다양한 방법으로 지속적인 프로그램의 제공이 되어야 한다. 여섯째, 이성교제와 같은 프로그램을 계속 활성화하여 정신지체인들도 자연스러운 이성과의 만남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결혼과 출산에 있어서 정신지체인들에게 선택의 기회를 줄 수 있어야 한다. 일곱째, 정신지체인에게 알맞은 성교육 실시를 위해서는 정신지체인을 위한 성 교육 전문가가 많이 양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신지체 성교육 전문인 양성소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문인 양성소에서는 시설에 종사하는 종사자들이 성교육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강사훈련 과정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 여덟째, 정신지체인의 성재활을 위해서는 정부, 민간, 시설과 가정의 삼원이 일체가 되어 노력해야 한다. 우선, 정부에서는 예산을 확보하여 교육비를 지원하며, VTR이나 교재 교구 개발,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에 힘써야 하고 민간에서는 성상담, 직원과 부모 교육,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 하여야 한다. 시설과 가정에서는 시설장, 직원, 부모님들의 인식이 올바르게 개선 되어야 하고 끊임없이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is study is targeted at mentally retarded adult males who live in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Its' main objective is to design a sex education program for these people and observe the effects, if any, and to learn the adequate sex education program and procedure for mentally retarded males.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I had to find out about the sexual mentality and sexual development of the mentally retarded, the sexual characteristics of the mentally retarded adults who live in facilities for the handicapped, the concept and present condition of sex education, the need for sex education for the mentally retarded and the poi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such circumstances, the content and procedure of sex education programs for the mentally retarded through documentary records. I also constructed a sex education program that was revised and modified with the help of an expert. This modified program was carried out on a group of mentally retarded adult males and afterwards I observed whether there was any effect on their knowledge of sex, sexual experiences and attitudes towards sex. To compare these effects, a test group was given a questionnaire on sexual knowledge, sexual experience, and attitude towards sex before and after carrying out the program. I have also observed the first hand, the reactions and changes in the participants to. The specific research procedures are as follows. The sex education program was carried out 17 times, once every two weeks starting from march 11, 2000. The participants were 22 mentally retarded adult males of Facility K, of which 7 were mildly retarded and 3 heavily retard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 held surveys before and afterwards which were T-tested using SPSS and compared to observe the reaction of the participants. The specific results of thes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results, sexual knowledge was an average 4.7 before the program as opposed to 13.4 after the program. As the result verifying the extent of the change , t-value was found to be -4.337, it appears to be the meaningful disparity, in view of 0.002 in heed degree that comes under the 5% level in it. It is perceivable that a sex education program for mentally retarded male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knowledge of sex. Second, before carrying out the program, the average of sexual experience among the participants was 7.3, whereas it was 11.4 afterwards. As the result verifying the extent of the change , t-value was found to be -6.08, it appears to be the meaningful disparity, in view of 0.001 in heed degree that comes under the 1% level in it. In other words, the sex education program for mentally retarded adult males has changed the participants form being permissive to rejective towards themselves and others in terms of sexual experience. Third, the sexual attitude of the participants was an average of 13.1 before t도 program but it fell to 7.9 afterwards. This indicates that the attitude towards sew changed form permissive and positive to rejective and negative.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questions on the survey, this is a desirable result. As the result verifying the extent of the change , t-value was found to be -3.062, it appears to be the meaningful disparity, in view of 0.014 in heed degree that comes under the 5% level in it.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erms of quality, 70% of the participants of the sex education program, with the exception of a few cases, were positive and voluntary in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lso,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surveys that were hel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t can be said that in most cases, with a few exceptions, the program was effective in changing the knowledge of sex, sexual experience, and attitude towards sex. Through these findings,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propositions. First, in the closed society that we live in, the sexual activities of the mentally ill were ignored and put down. We have to educate parents and facility workers about sex education and make new sex education programs that are adequate for the mentally retarded in order to help and rehabilitate them. Second, in this study sex education was taught to the adults, but it must be taught a t a much younger age. This is why sex education must be included in the early education of the mentally retarded. Third, this study was done on a base of participants who are slightly retarded and who are able to communicate. However, we need to understand each participant individually before and after research and give them group education as well as one on one education. Fourth, in this study, female instructors were used to teach, but sex education is more effective when taught by the same sex because it is easier and more comfortable to talk about your sex life with a person of the same gender. Our country needs to train more professional male sex education instructors because they are so rare. Fifth, this program was divided into 17 parts but it should have been more long term and continuous plan which includes the same subject matter because the mentally retarded have some memory problems. Sixth, there should be more programs for the mentally retarded where they can meet others of the opposite sex naturally. And the mentally retarded should have the chance to choose in terms of marriage and pregnancy. Seventh, in order to make appropriate sex education programs for the mentally retarded, there has to be more professional instructors. This means there needs to be more training centers for these purposes. Also, the workers in facilities should be trained at these centers. Eighth, the government, non-government, families, and facilities all have to work together for the sexual rehabilitation of the mentally retarded. Above all,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for more educational fees, development of programs and educational material like VTRs. The non-government should carry out counselling, education for parents and workers, and sex education programs. Families and facilities should reform their views of this subject, never cease to be concerned or interested and be willing to put in an effort to help.

      • 정신지체인의 작업수행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김정환 단국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은 본래 사회생활의 필요에 의해 생겼으며 또한 직업생활을 기본으로 한 사회생활의 보다나은 발전을 위해 발생하였다. 따라서 모든 직종의 직업교육은 사회적 인간의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인간교육이라 할 수 있겠다. 特殊敎育의 目標는 사회생활인을 위한 육성이고 사회통합이다. 이틀 위해서는 비장애인의 장애인에 대한 공존지향적이며 협력적인 태도가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더욱 障碍人의 社會的 役割行動의 可能性을 擴大하는 敎育이 實施되어야 한다. 비장애인의 장애인에 대한 共存 指向的이며 협력적인 태도란 장애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며 장애인들도 능력과 소질에 따른 사회적 역할 행동이 가능하다는 인식이 사회공동체 구성원들에게 내면화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내면적 확신이 확고하게 확립될 때 장애인들의 사회적 통합은 가능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個人能力의 開發과 그것의 社會的 專門化를 지향하고 개인과 개인의 상호협동과 분업의 공정에서 전체적인 목표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개인능력의 개발을 지향하여야겠다. 그래서 본 硏究는 精神遲滯人들의 作業修行 能力 향상을 위한 訓練이 어떻게 可能한가에 대해 첫째 : 精神遲滯人의 社會統合은 협동적 성격의 생산공정 과정에 효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能力開發이 必要하는 것이다. 둘째 : 이러한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정신지체인의 性格的, 身體的 條伴에 對한 利害가 先行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作業機能을 開發할 수 있는 敎育 課程의 구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해 예비적인 실험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硏究에서의 目的을 具體的으로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 정신지체인의 신체적, 성격적 특성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어떤 작업기능 개발이 가능한가를 탐색 한다. 둘째 : 정신지체인의 작업수행을 위한 기초적 평가를 하여 職務遂行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 정신지체인의 作業機能을 開發하기 위해서는 個人別 基礎 調査가 체계적이며 과학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따른 교육과정이 어느정도 적합한지를 규정할 수 있는가를 실험적으로 탐색한다. 넷째 : 정신지체인들의 부모 이들을 지도하는 교사, 기업인들에게 정신지체인들의 직업에 대한 방향과 향후 계회에 대한 설문을 하여 정신지체인들의 직업지도에 도움이 되도록한다. 硏究對象으로는 사회복지법인 예림원의 保護自立作業場에 는 精神遲滯人 46명중 자폐아 4명과 重症精神遲滯人 5명을 제외한 37명(남 28, 여 8)을 선정하였다. 이들의 평균연령은 20.6세이고 精神年領은 4.8세이며 평균지능은 45-50정도이다. 본 硏究에서 使用한 訓練道具는 작업전 신체조건(8) 작업상황에서의 심리적상태(8) 작업능력 및 태도(11)를 3개월에 1종목씩 7개월에 걸쳐 27항목을 프로그램으로 작성하였고 2개월에 걸쳐 勞賃分配 方法을 選擇하여 適用하였다. 訓練節次로는 1) 保護自立作業場에서는 訓練可能精神遲滯人들이 매일 8시간씩 敎育 및 훈련을 하는데 2) 본 연구를 위해 1992년 4월부터 매주 화 ·목요일 2시간씩(80분)씩 적용하였다. 3) 작업훈련을 적용하기전에 지능검사와 상담을 하여 훈련대상자들을 집단으로 구별하였으며 지도교사가 시간별로 訓練內容을 개인별로 지도하였다. 4) 특히 능력이 낮은 3집단은 중복되는 작업훈련을 파하고 단순작업 라인에 배치하여 아동이 적응할때 까지 반복훈련을 시켰으며 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배려하였다. 5) 작업훈련을 7개월동안 적용하였는데 매주 훈련의 내용을 제시하고 긍정적 평가를 해주므로 이들이 흥미를 잃지 않도록 하였다. 6) 연구대상자들의 작업능력(1. 실응단계 2.반실용단계(T시간이 걸림 A부분적으로 보조) 3. 비실용단계)을 지도교사들과 협의하여 개인 기록부에 작성 하였다. 정신지체인들의 원만한 작업수행능력을 위한 훈련내용의 처리는 지도교사 3명과 본 연구자가 매월 개인별로 지도한 내용을 3단계로 평하였고 표준편차나 차이검증은 실시 하지 않았다. 또한 정신지체인들의 부모와 이들을 지도하는 교사기업체를 운영하는 기업인에게 정신지체인들의 직업에 대한 것과 향후 계획에 대한 것을 설문지로 작성하여 우편이나 FAX로 이용하여 조사했는데 학부모 186명 교사 78명 기업인 41명이 응답해주었다. 정신지체인들의 作業能力을 향상시키기 위한 訓練 結果로는 1) 근면을 중요시 하는 태도와 발전하는 사회생활에 참가하는 능력을 키워간다. 2) 자기일에 자신을 가지게 한다. 자기가 하는 일이 생활에 꼭 필요하다는 것을 알도록 한다. 3) 어떠한 일이든지 싫어하지 않고 끝가지 해야한다는 태도를 기른다. 4) 훈련과 교육단계를 높여 누구든지 사이좋게 지낼수 있도록 한다. 5) 일에 대한 책임감이나 규칙을 지키는 태도를 길러준다. 6) 작업생활을 통해 기초지식이나 기초적 기술을 몸에 베이도륵 한다. 7) 작업을 통해 건강한 체력과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8) 작업을 통해 자신으로 부터 적성을 발견하고 그것을 근거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精神遲滯人들의 作業修行能力 向上을 위한 方向을 具體的으로 提示하면 첫째, 정신지체인의 부모나 지도하는 교사들의 가장 높은 욕구는 직업재활로 나타나 정신지체인들을 위한 직업교육의 필요성이 있으며 둘째, 정신지체인을 채용할 고용주의 태도는 아직도 다른장애 영역에 비해 생각해 보겠다는 응답뿐 실제로 정신지체인의 고용을은 1%을 넘지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신지체인들을 위한 작업장을 별도로 운영해야 할 것 같다. 셋째, 조사 대상자 중에서 독림생활과 직업생활이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정신지체인이 52.1%를 차지하고 있어 재활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신지체인을 위한(보호자립작업장 포함)실이 절대 부족하다. 다섯째, 정신지체인을 위한 교육은 직업교육을 중핵으로 해야 하므로 전생애에 걸쳐 그들의 직업적 욕구를 충족하고 적절한 보호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Career Education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또한 職業敎育의 成敗는 어떠한 방법으로 제공해 주느냐에 달려 있으므로 정신지체인의 作業機能 向上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方案이 講究되어야 한다. 첫째, 政府는 부모회등 개인에 의한 소규모 자립보호장을 개설하는 것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현재 사회복지법인 장애인 복지관 드에만 지원하는 국고 보조금을 부모회나 개인이 설치하는 사업에도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인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정부와 地方自治團體는 정신지체인들이 보호자립 작업장, 학교 직업보도실 등에서 만든 제품들을 우선적으로 구매해주는 제도를 마련해주고 이들이 언제나 일할 수 있는 작업량을 업자들로 부터 하청하게 하거나 제공해 주어야 한다. 셋째, 정신지체인들의 작업을 위한 지적능력, 사회능력, 작업능력, 적응능력 등을 평가하고 분석할 수 있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구성 요소들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넷째,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직업지도나 훈련과정이 정신지체인들과 사업체간에 현실성이 없고 그들 자신에게도 재활하는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으므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중등교사 채용시 실기교사를 일반직에서도 채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직업보도실이나 보호자립작업등의 시설·설비를 이들의 체격이나 심리조건에 맞도록 해야한다. 다섯째, 작업훈에서 직업재활에 이르는 연계성을 고려하여 개인의 흥미, 특기, 적성에 알맞는 직종을 선택하였을 때에는 계속적이며 반복적인 훈련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여섯째, 특히 이들의 능력을 고려해볼 때 단순하면서도 작업량이 큰것으로 하고 능력에 따른 임금을 지급해야 하며 일의 순서를 정하여 경쟁력이 없는 이들이 단계를 을라갈 때 마다 지위나 직급을 주어 자긍심을 길러 주어야 한다.

      • 정신지체인의 직업훈련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노수병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제주도를 중심으로 정신지체인의 직업훈련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 해서 정신지체인 직업재활사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훈련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해 보려는 것이다. 즉 취업 전 직업훈련이 취업실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우선 지역의 직업훈련의 실태는 어떠한가와 취업에 대한 욕구와 취업실태는 어떠한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직업재활훈련에 대한 정책대안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직업훈련을 받은 경험이 있는 직종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제과 제빵'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공예'와 '자동차 세차'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훈련을 받은 기관을 묻는 질문에서는 정신지체인작업활동시설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 장애인복지관, 정신지체인 관련단체, 장애인직업재활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훈련과 관련하여 필요한 것으로는 '다양한 훈련 직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훈련비 보조', '정신지체인 직업훈련원 확충'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희망하는 직업훈련의 종류를 묻는 질문에서는 '동물사육'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공예', ;제과제빵', '자동차정비'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업훈련을 받고 싶은 시설로는 '정신지체인작업활동시설', '장애인복지관', '공공직업훈련원', '장애인직업재활원'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현재의 직업을 가지게 된 경로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장애인 복지관의 소개', '가족, 친지, 이웃의 소개',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소개' 순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현재 하고 있는 일이 장애 때문에 지장을 받고 있는 지에 관한 질문에서는 30대가 지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현 직업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대체적으로 만족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직업생활에서의 애로사항을 묻는 질문에서는 '없다', '업무과다', '직장 내 인간관계', '낮은 수입', '능력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열째, 직업훈련 내용과 현 업무와의 연관성을 묻는 질문에서는 30대가 연관성이 가장 크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한째, 직업훈련이 취업에 도움이 되었느냐는 질문에서는 30대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대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두째, 무직자에 대해 취업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질문에서는 '취업이 필요 없어서', '일하는 것이 귀찮거나 힘들어서', '기타', '가족이 반대해서' 순으로 응답하였다. 성별로는 남성응답자들이 여성보다 '취업이 필요 없어서'라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을 근거로 하여 제주지역 정신지체인 직업재활훈련 발전을 위한 몇 가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직업훈련 직종을 다양화하여 고용과 연계해야 한다. 즉 직종의 다양화를 위해 지역사회 산업 현장을 반영한 직종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직업훈련기관에서는 지역특성을 살려 관광서비스산업 및 농·축산업종의 다양한 산업체를 발굴하고, 이들 산업체와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직업훈련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다양한 직업훈련기관이 필요하다. 현재의 한정된 직업훈련기관과 섬이라는 지역특성으로 타 지역의 훈련기관 이용이 어려워 다양한 직업훈련기관을 이용한 직업훈련을 받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소규모 일지라도 다양한 직업훈련기관을 설치하여 정신지체인들에게 다양한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직업훈련기관 간의 연계가 필요하다. 즉 정신지체인의 직업재활은 지역사회가 책임지고 추진해야 하는 일이라는 인식 속에 지역사회 기관들의 책임감 있는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기관의 인식개선이 시급하며 현재 지역사회 내의 직업재활사업 시행기관을 중심으로 업무 연계를 위한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지역 현실에 적합한 연계시스템 개발이 시급하다. 즉 지역의 직업 재활실시기관들은 주로 서비스 중심의 체제로 구성되어 있고 연구개발 인력을 거의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에 추진하고 있는 직업재활 프로그램들을 좀 더 전문성 있게 발전시키거나 정신지체인의 욕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재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추어 지지 못한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지역정서 및 지역 환경에 적합한 차별적인 정신지체인 직업재활사업 연계시스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 재가 성인정신지체인을 돌보는 나이 들어가는 주보호제공자의 서비스 이용도와 서비스 필요도 결정요인

        신정윤 서울여자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재가 성인정신지체인을 돌보는 주보호제공자 특성이 사회복지서비스 이용도와 필요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다시 말해, 주보호제공자 특성 변인 가운데서 서비스 이용도와 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주보호제공자의 특성에 따른 서비스 이용도와 필요도를 결정하는 변인에 대한 검증을 통해, 재가 성인정신지체인을 돌보는 나이 들어가는 주보호제공자의 보호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정책적인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는 재가 성인정신지체인을 돌보는 나이들어가는 주보호제공자의 특성과 또한 그것이 서비스 이용도와 필요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문제에 따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베이 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재가 성인정신지체인을 돌보는 주보호제공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종속변인은 서비스 이용도와 필요도이고, 독립변인은 주보호제공자 개인특성, 가족특성, 사회적 특성, 경제적 특성과 복지특성이다. 또한 통제변인으로 재가 성인정신지체인의 개인특성과 장애특성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과 ANOVA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이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이용도에서는 ‘취업 후 적응훈련 서비스’가 2.87점(sd=1.121), ‘직업훈련 및 재택훈련 서비스’가 2.81점(sd=1.199)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법률상담 서비스’(sd=1.401)와 ‘가족상담 서비스’(sd=1.292)가 각각 1.59점으로 이용도가 가장 낮은 유형으로 나타난다. 이는 상대적으로 ‘취업 후 적응훈련 서비스’ 및 ‘요보호자 직업훈련·재택훈련 서비스’ 이용도에 비해서 ‘법률상담 서비스’와 ‘가족상담 서비스’ 이용도가 낮음을 의미한다. 서비스 필요도가 높은 항목은 ‘장애인지원고용 서비스’ 3.79점(sd=1.009), ‘취업 후 적응훈련 서비스’ 3.70(sd=.984) 순이다. 반면 서비스 필요도가 낮은 항목은 ‘사회적응훈련 서비스’ 3.05(sd=1.029), ‘가족상담 서비스’ 3.19(sd=.874) 순이다. 이는 장애인 자활과 사회통합을 위한 서비스가 우선적 욕구임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사회적응훈련이나 상담, 가사지원 제공, 장애인 집 개조 등의 서비스 욕구는 상대적으로 낮음을 밝히고 있다. 둘째, 서비스 이용도에서는 주보호제공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서비스 이용도가 낮게 나타난다. 또한 주보호제공자가 ‘주보호제공자 사후 대비비’를 준비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서비스를 더 많이 이용하며, 비공식적 지지가 없는 경우에도 이용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재가 성인정신지체인에 대한 평생계획 정도가 낮을수록 서비스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주보호제공자 연령 변인과 주보호제공자 사후 대비비 변인은 서비스 이용도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이다. 이 외에도 재가 성인정신지체인에 대한 평생계획 변인, 비공식적 지지 변인과 학력 변인도 서비스 이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서비스 필요도에서는 연령이 높은 주보호제공자일수록 연령이 낮은 주보호제공자보다 서비스를 덜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동거인 수가 많을수록 서비스 필요도가 높고, 장애로 인한 추가비용이 있는 주보호제공자가 없는 주보호제공자보다 서비스 필요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보호제공자가 주보호제공자 사후 대비비를 준비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서비스를 더 많이 필요로 하며, 주보호제공자 노후준비 정도가 낮을수록 서비스를 더욱 많이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비공식적 지지가 없는 경우 서비스를 더욱 많이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가 성인정신지체인에 대한 평생계획 정도가 낮을수록 서비스를 더욱 많이 필요로 한다. 한편, 주보호제공자 연령 변인과 주보호제공자 사후 대비비 변인은 서비스 필요도에 강한 영향을 미치며, 추가비용 변인도 서비스 필요도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주보호제공자 연령 변인, 주보호제공자 사후 대비비 변인과 추가비용 변인은 서비스 필요도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이이다. 그리고 동거인 수 변인, 주보호제공자의 노후준비 변인, 주보호제공자 능력변화 변인, 비공식적 지지 변인과 재가 성인정신지체인에 대한 평생계획 변인도 서비스 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 이용도와 필요도에 모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은 서비스 연령 변인과 주보호제공자의 사후 대비비 변인이며, 비공식적 지지 변인과 재가 성인정신지체인의 평생계획 변인도 서비스 이용도와 필요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상술한 연구결과를 통해 재가 성인정신지체인을 돌보는 주보호제공자 연령이 높아질수록 서비스 이용도와 필요도가 감소하며, 그로 인한 보호 부담의 증가를 유추할 수 있다. 특히 나이듦에 따라 수입의 감소로 경제적 상황은 어려우나 서비스 수급 대상자로서의 요건을 충족시키지는 못하여 서비스 혜택을 받지 못하는 서비스의 사각지대에 있는 재가 성인정신지체인의 주보호제공자를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그들은 정신지체인의 보호제공과 그들의 생계를 양립하기 위하여 고군분투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이용과 정보에 접근하는 기회와 기술을 가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여 서비스의 제공이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정보를 가지지 못해서 서비스에 접근을 하지 못할 가능성도 다분히 있다. 한편 주보호제공자가 나이듦과 동시에 그들이 돌보는 성인정신지체인의 상황변화도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 주보호제공자가가 노령이 되는 과정과 함께 재가 성인정신지체인도 건강과 일상생활 의존도에서 점차 나쁜 상태로 될 가능성이 높다. 많은 연구에서 정신지체인의 신체적 쇠약이 일반인보다 많이 빨라서 정신지체인의 중년기는 일반인의 노년기 상태에 가깝다는 결과 보고들에서 위의 언급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서비스 제공기관에서는 한정된 자원으로 서비스를 운영하게 됨으로 서비스의 효율성에 많은 고려를 하게 될 것이라고 본다. 그렇다면 주보호제공자도 보호제공의 여력이 부족하고 정신지체인의 상황도 서비스를 받기에 어려운 시기가 겹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의 정신지체인이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찾기가 흔하지 않을 것이다. 그것은 서비스 제공기관에서는 효율성이 떨어지는 서비스 운영으로 간주될 수도 있고 개별적인 서비스 마련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주보호제공자의 나이듦에 따라 정신지체인의 건강상태가 나빠지고 일상생활 의존도가 높아지게 되는 시기에 그들이 필요한 서비스의 이용은 쉽지 않다는 것을 추론하는 것이 무리는 아닐 것이다. 서비스 제공기관은 서비스의 효율성을 고려하자 않을 수 없으므로 나이 든 재가 성인정신지체인이 이용할 서비스가 제한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서비스의 부재 내지 정신지체인이 서비스 이용을 거부당하는 상황으로 생각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러한 논거는 일반인에게 주어지는 서비스가 아니라 사회의 취약층에게 주어지는 사회복지서비스라는 관점에서 가능하다고 본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시 다방면에서 연령으로 인한 경제적 상황의 변화나 연령의 격차로 인한 정보 획득, 연령으로 인한 서비스 제공을 받기에 불리한 조건의 장애를 최소화하여 재가 성인정신지체인을 돌보는 나이 들어가는 주보호제공자의 보호제공으로 인한 상황의 악순환을 방지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주보호제공자가 정신지체인을 위하여 그들의 사후 대비비를 준비하지 못한 경우, 사후 대비비를 준비한 경우보다 서비스 이용도와 필요도가 낮은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주보호제공자의 경제적 특성에 따라 서비스 행태 즉 서비스 이용도와 필요도에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서비스 이용과 필요에 대한 결정은 그들의 지불 능력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모두에게 적용되지는 않지만 경제적 상황이 좋지 않은 나이 들어가는 주보호제공자가 돌보는 정신지체인의 보호상태가 안좋을 확률이 크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재정이 취약한 주보호제공자는 정신지체인의 보호제공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고, 이러한 이유로 모두에게 해당이 되지는 않지만 정신지체인의 보호제공 상태가 나쁠 확률이 클 수 있다는 가정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소득의 고저나 주보호제공자의 경제적 상황과 관계없이 누구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사회복지정책이나 제도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정신지체인을 위한 서비스가 경제적인 이유로 불평등을 조장해서는 안되므로 취약한 계층을 위한 별도의 적용안이 필요하다. 그 한 방법으로 정신지체인을 위한 서비스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수급자의 범위를 대폭적으로 확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급권의 재량권을 준비가 된 전문가나 사회복지사에게 주는 것이다. 이들 전문가나 사회복지사가 수급대상자의 범위와 기준, 급여내역, 지급기간 그리고 지급수준 등을 판단하여 실제적으로 서비스가 필요한 곳에 서비스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별적인 개입과 실제적으로 적용하여 도움이 되는 지원으로 ‘나이 들어가는 주보호제공자의 보호부담’을 경감시키자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보호제공자의 경제적 특성 변인과 복지 특성 변인으로 제시된 주보호제공자 사후 대비비 변인, 추가비용 변인, 주보호제공자 노후준비 변인과 재가 성인정신지체인의 평생계획 변인은 또 다른 제도적 및 정책적인 개입의 초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determinants which influence the utilization and needs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s by aging primary caregivers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The method of this study explores how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caregivers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influence their utilization and needs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se adults. To do this, the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caregivers of home care, the actual states of their utilization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and the needs of primary caregivers for additional services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This results in identification of some variables which determine the needed and utilized social welfare service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by aging caregivers. This aims to present a position of making a social welfare policy to reduce the burden of aging primary caregivers. It proves that the variable of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caregivers is a determinant to the utilization and needs of social welfare service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The method of a survey is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The objects of the survey are primary caregivers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in the Seoul and Gyunggi provinces, aged over 18. The dependent variable, used in the analysis, is the degree of the utilization and necessity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The independent variable is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caregivers. The controlling variable is the personal and disability characteristics of mentally retarded adults.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efficient of utilizing social welfare service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is shown: the service of adaptation training after employment is 2.87 points (sd=1.121), and the service of job training, 2.81 points (sd=1.199). Among the lower patterns are the service of legal advice (sd=1.401) and that of family counseling (sd=1.292). Each of them appears to be at 1.59 points. Moreover, the highest coefficient of the necessity of social welfare service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is employment, which is based on a disabled person-supporting scheme, marking 3.79 points (sd=1.009). The second highest is the service of adaptation training after employment marking 3.70(sd=.984). Among the lower patterns are the training for social adjustment, the lowest marking at 3.05(sd=1.029) and family counseling, marking 3.19 (sd=.974). This shows that a disabled persons' self-support and the service for social integration are primarily required. The need for training and counseling for social adjustment, household assistance, remolding a disabled person's house, etc. is relatively low. Secondly, as far as the coefficient of utilizing social welfare service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is concerned, aging primary caregivers utilize less social welfare service than those who are young in age. Also, the more primary caregivers have prepared for living expenses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after their death, the more they utilize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m. Moreover, the primary caregivers have in less permanency planning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the more they utilize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them. Furthermore, the less informal supports primary caregivers have, the more they utilize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These facts confirm that the variable of the age of primary caregivers,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permanency planning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including preparation for living expenses after their death, permanency planning and informal supports, are determinants in influencing the coefficient of their utilization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Thirdly, as far as the coefficient of the needs of social welfare service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is concerned, aging primary caregivers need less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than those who are young. Also, the more people living together primary caregivers face, the more they need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Moreover, these social welfare services are comparatively in greater need for primary caregivers who acquire the additional costs of disability, have prepared for living expenses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after their death, have less prepared for their life-long plans, do not have any informal supports, and have less permanency planning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living at home. These facts demonstrate that the variables of the age of primary caregivers, and their preparation for living expenses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after their death, their preparation for life in their old age, their permanency planning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change of their ability, additional expenses, the number of people living together, and informal supports, are determinants influencing the needs of social welfare service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In particular, the variables of the age of primary caregivers and their preparation for living expenses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after their death is a strong influence to both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s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and to their needs. The variables of informal supports and permanency planning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are also determinants influencing both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social welfare services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and that of their needs.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es demonstrate the following: 1) The more aging primary caregivers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become, the less the degree of their utilization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for such adults and that of their needs for that become, bringing with it increase in their burden of care. Thus, in consideration of the age of primary caregivers, some social welfare services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applicable to the individual and practical life, are needed. 2) The degree of utilizing the social welfare services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and its need are high for primary caregivers who have prepared for living expenses for such adults after their death. Taking this into account, some concrete social welfare services for primary caregivers who do not do that, are required. 3) The needs of primary caregivers, who cannot afford to prepare living expenses of mentally retarded adults after their death, are first to be grasped. Then, some practical strategies of intervention are necessary to enable mentally retarded adults prepare for the expenses. This support is to reduce the burden of care for aging primary caregivers. 4) Finally, the variables of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primary caregivers and living expenses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after their death, additional expenses, life-long plan for primary caregivers, permanency planning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can be the focal points for intervention in terms of social system and policy. Regardless of primary caregiver's Economic status and of the level of their income, social welfare policy to provide services for anyone who wants them should be prepared. Especially, as services for mentally retarded adults should not make unfairness because of their economic status, a distinguishable application for them should be made. One of the way to achieve this goal is to enlarge the number of people who get benefits. Additionally, the specialist or the social worker could have the power to decide the numbers to a certain extent. In other words, the specialists of the social worker decide the numbers of the benefiter, the requirement to be benefiter, what the provision should be, how long the benefit should be provide for the service to be properly distributed to the people who need the services. This kind of 'individually approaching method' will result in the reducion of 'the burden of the aging primary caregivers'.

      • 시설직원 및 자원봉사자의 정신지체인 장애 정도에 따른 성 태도

        한정인 全南大學校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Korean society doesn't fully discuss about the sex of the disabled who has a lot of restrictions in their sexual life until now, so expecially it is important to realize if the disabled's experts correctly understand awareness of the sex of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gender attitudes needed by staff and volunteers for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mental retardation. This study selected 309 staff and volunteers worked for a social welfare facility in Y city, Chonnam and the questionnaire was made up of 37 questions of 4 parts, besides, judge's reliance factor, Cronbach Alpha factor was calculated by .734.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February to November in 2006, moreover it was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and X2(chi-square) verifi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taff and volunteers' 「gender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light mental retardation」positively showed as the staff's average of total questions was 63.9% and the volunteers' average was 60.9%. Moreover, the question with high positiveness in total 37 questions appeared by two groups to the question as 「it is a counselor who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can consult about a sex」. While, compared with 「gender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light mental retardation」 of two groups among subdivision parts, the result was that 「a sexual problem behavior and its solution ability (66.9% by staff and 71.2% by volunteers)」showed the most positive among 4 subdivision parts. Second, staff and volunteers' 「gender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heavy mental retardation」was positively recognized as the staff's average of all questions was 54.9% and the volunteers' average was 50.4%. And the question with high positiveness in all 37 questions showed by both groups that 「it is a counselor who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can consult about a sex」. While, compared with 「gender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heavy mental retardation」of both groups among subdivision parts, the result was that「sexual education」in 4 subdivision parts was the most positive by staff's answering 63.7%, however, 「understanding pregnance and a delivery」part was the most positive by volunteers' answering 59.7%. Third, the difference of 「gender attitudes between persons with light mental retardation and persons with heavy mental retardation」 by staff was that they recognized persons with light mental retardation (63.9%) than persons with heavy mental retardation(54.9%) more positively. When compared with subdivision parts by staff's answering, 「a sexual problem behavior and its solution ability(66.9%)」among 4 subdivision parts was the best in the case of people with light mental retardation, and 「sexual education(63.7%)」was the best in the case of people with heavy mental retardation. Finally, the difference of 「gender attitudes between persons with light mental retardation and persons with heavy mental retardation」 by volunteers was that they recognized persons with light mental retardation(60.9%) than persons with heavy mental retardation(50.4%) more positively. When compared with subdivision parts by volunteers' answering, 「a sexual problem behavior and its solution ability(71.2%)」 among 4 subdivision parts was the best in the case of people with light mental retardation, and 「understanding pregnance and a delivery(59.7%)」was the best in the case of people with heavy mental retardation. The following assignm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next study is needed to analyze staff's and volunteers' age and their working conditions. Second, the next study is needed to add gender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the worst mental retardation not to deal with in this study.

      • 정신지체인의 성지식 및 성적태도와 시설종사자의 성의식에 관한 연구

        지승훈 대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생활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정신지체인들의 성지식, 성적 태도와 시설 종사자의 성의식을 조사 연구하여 정신지체인 성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정신지체인의 성과 성교육의 기본 개념에 관하여 고찰한다. 둘째, 시설의 정신지체인들의 성지식, 성적 태도 및 성적 경험이 어떠한지 조사하고자 한다. 셋째, 성교육을 받은 정신지체인과 성교육을 받지 않은 정신지체인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넷째, 시설 종사자의 성의식을 조사하여 적합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계획, 개발하고 시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연구하기 위하여 우선 선행 자료들을 수집하여 문헌을 통한 학술적인 연구를 기초로 하고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시설(충북 제천 샬레시오의집, 충남 공주 명주원)의 생활 장애인과 성교육 프로그램을 실시치 않은 시설 (충남 보령 충남정심원, 충남 공주 동곡요양원)에 생활하고 있는 정신지체인들을 대상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 받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및 교차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시설 종사자의 성의식에 대하여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제1장은 서론으로 연구의 목적 및 연구의 범위와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제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 정신지체의 이해, 정신지체인의 성과 교육을 검토하여 문헌 연구로 구성하였다. 제3장은 조사 설계 및 조사 결과의 해석으로 조사 설계는 연구 대상, 조사 도구, 자료 처리 방법으로 구성하였으며, 조사 결과 해석은 정신지체인의 일반적 특성, 성지식, 성적 태도, 시설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과 성의식을 빈도 분석 및 교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4장은 결론 및 제언으로 전체적인 결과를 재정리함으로써 중요함을 강조 하였고,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지식 및 성적 태도를 빈도 분석하였을 때 대다수의 정신지체인이 적절한 성지식 및 성적 태도를 갖추고 있지 못하였다. 둘째, 성지식 및 성적 태도를 성교육 참여자와 성교육 미참여자를 대상으로 교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교육에 참여한 정신지체인이 성지식과 성적 태도에서 우월함을 나타내어 성교육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시설 종사자의 성의식을 빈도 분석하였을 때 정신지체인의 성문제 해결의 필요성, 성교육의 필요성, 성교육 전담 교사의 필요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성교육이 현실적으로 매우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놓고 연구자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교육 전담교사 및 교재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정신지체인들의 성적권리를 인정 해주고 타인의 저항 없이 성을 누리도록 도와야 하기 때문이며, 성교육 전담교사 양성 과정도 병행하여 실시되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성교육 프로그램이 의무적으로 실시되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현재 보건복지부 4대특별지원사업으로 프로그램이 선정된 기관만이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전체적인 시설의 정신지체인에게 수혜가 주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의무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사업비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시설 종사자의 성교육이 우선 되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시설에서 정신지체인과 가장 가까이서 생활하고 있는 시설 종사자들이 정신지체인의 성문제 해결을 95.0%가 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여 시설 종사자의 고민이라는 것을 보여 주고 있어 시설 종사들에게도 성교육 연수와 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정부 기관의 관심과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 성인 정신지체인 부모의 가족 기능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

        이아란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 정신지체인의 부모가 지각한 가족 기능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인 정신지체인 가족에 대한 이해의 정도 및 사회적 지지의 폭을 넓혀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정신지체인의 부모가 지각한 가족 기능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둘째, 성인 정신지체인의 부모가 지각한 스트레스 대처 방식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성인 정신지체인의 부모가 지각한 가족 기능이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예측 요인으로서 가지는 독립적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이 연구의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장애인 복지관 3곳과 경기도에 있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1곳에 성인 정신지체인 자녀가 재학 중인 부모 78쌍이다. 이들에게 Olson의 가족 적응성 및 응집성 평가 척도(FACESⅢ)와 Amirkhan의 스트레스 대처 전략 검사(CSI)를 김창대(2002)가 번안한 K-CSI를 실시한 후 산출된 결과를 토대로 가족 기능과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14.0 for Windows로 하였으며 기술 분석, t검증, 상관관계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정신지체인의 부모는 가족 기능이 높을수록 사회적지지추구와 문제해결중심 대처 방식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가족 기능과 회피중심 대처 방식의 사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 정신지체인의 부는 가족 적응성이 높고 자녀 연령이 많으며 가정의 월소득이 201 ~ 300만원 정도일 경우 사회적지지추구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가족 적응성이 높고 자녀의 장애가 중증이며 가정 월소득이 201 ~ 300만원일 경우 문제해결중심을 많이 사용하였다. 자녀가 아들인 경우 문제해결중심의 사용이 줄어들었으며 자녀의 장애가 중등도일 경우 회피중심의 사용이 줄어들었다. 성인 정신지체인 모의 경우 가족 적응성이 높을수록 사회적지지추구를 많이 사용하였고 가족 적응성이 높고 모의 연령이 많으며 가정의 월소득이 301 ~ 400만원 정도일 때 문제해결중심의 사용이 많았다. 회피중심의 예측 요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성인 정신지체인의 부가 지각한 가족 기능의 독립적인 영향력은 사회적지지추구에 대해서 7.3%, 문제해결중심에 대해서 8.4%로 나타났고 모가 지각한 가족 기능의 독립적인 영향력은 사회적지지추구에 대해서 11.3%, 문제해결중심에 대해서 13.5%로 나타났으나 회피중심에 대한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성인 정신지체인의 부모가 지각한 가족 기능과 사회적지지추구 및 문제해결중심 대처방식은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에 있으며 특히 가족 적응성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상황에서 사회적지지추구와 문제해결중심 대처 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정신지체인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취업알선서비스 경험자를 중심으로

        이채식 경기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정신지체인의 직업유지 요인(일반적 특성, 개념적 기술, 사회적 기술, 직업적 기술, 사회적 지지)이 정신지체인의 직업유지기간과 이직경험횟수, 이직경험유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역사적으로 정신지체인의 고용은 제도적인 환경에서 잔여적인 활동을 하거나 가족이 보살펴야 하는 존재로 인식되어 왔고, 이로 인하여 노동시장에서는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낮은 고용율을 보여 온 것이 사실이다. 이와 함께 정신지체인의 경우에는 직업을 갖는 것도 어렵지만 장애특성상 직업이후에 고용안정이라는 직업유지도 상당히 어렵다. 이는 사업주의 인식과 편견, 제도적 · 물리적 환경, 직업재활서비스 체계, 경기변동 등 다양한 요인과도 연관이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장애인의 개인적 측면의 직업능력간의 차이가 반드시 존재할 것이라는 생각에서였다. 직업유지기간과 이직경험횟수, 이직경험유무에 따라 정신지체인 개인이 갖고 있는 직업적 제 능력의 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면 정신지체인의 직업재활프로그램과 직업유지서비스 체계를 수정 또는 조정하여야 할 것이고 이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개입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정신지체인의 직업적 능력의 제 요인이 직업유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인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첫째, 정신지체인의 직업유지 요인은 직업유지기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정신지체인의 직업유지 요인은 이직경험횟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정신지체인의 직업유지 요인은 이직경험유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3개의 가설과 15개의 하위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자료수집을 위해 2002년도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3개 전국지사에서 취업알선 서비스를 받은 정신지체인 1,055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중에서 조사시점 현재(2004. 5) 직업을 유지하고 있거나 이직경험자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656사례를 취합하였고, 본 연구대상에 적합하지 않은 사례를 제외한 397사례를 분석하였다. 최종적인 자료를 분석하기 전에 종단적 연구기법을 적용하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직업재활서비스 결과를 기록한 원자료를 활용하여 직업유지기간, 이직경험횟수, 이직경험유무, 사업체 규모, 근로자수 등을 재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단순상관분석(Simple Correlation Analysis),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nter Method),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등을 수행하였으며, 회귀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유지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인들은 일반적 특성 중에서 직종(β=-.079, p<.05), 종업원 수(β=-.085, p<.05), 장애인수(β=.086, p<.05), 작업지도원 유무(β=.121, p<.05), 사회적 기술요인 중에서 안전능력(β=.156, p<.01), 금전관리능력(β=.145, p<.05), 직업적 기술요인 중에서 직업생활태도(β=.262, p<.01), 작업도구수행능력(β=.206, p<.01), 직업적 행동특성(β=.128, p<.05), 그리고 사회적 지지요인 중에서 전문가 지지(β=.112, p<.01)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직경험횟수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인들은 일반적 특성 중에서 월평균 임금(β=.096, p<.05), 복리후생시설수(β=-.092, p<.05), 직종(β=.168, p<.01), 개념적 기술요인 중에서 수개념(β=-.095, p<.05), 직업적 기술요인 중에서 직업생활태도(β=-.358, p<.01), 직업적 행동특성(β=-.240, p<.01)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직경험유무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일반적 특성요인 중에서 직종(p=006), 복리후생시설수(p=.001), 직업적 기술요인에서 직업생활태도(p=.001), 작업동료와의 협조성(p=.031)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직업유지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유의하게 예측한 것은 일반적 특성 요인 중에서 (종업원수, 장애인수, 작업지도원 배치, 직종, 복리후생시설수), 사회적 기술요인 중에서(안전에 관한 능력, 금전관리 능력), 직업적 기술요인 중에서(직업생활태도, 작업도구수행능력, 직업적 행동특성), 사회적 지지중 요인에서(전문가 지지)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인의 직업유지 요인이 개인의 직업적 제 능력과 차이에 따라 직업유지기간과 이직경험횟수, 이직경험유무에 각각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혔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정신지체인의 직업재활 실천에서의 함의를 논의할 수 있다. 첫째, 취업 이전의 정신지체인에 대한 직업재활서비스는 직업적 기술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 정신지체인의 직업유지를 위해서는 직업생활태도, 작업도구수행능력, 작업동료와의 협조성, 직업적 행동특성 등 직업적 기술요인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둘째, 현장(사업체) 직무중심의 직업재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직업유지의 예측요인으로 밝혀진 직업적 기술들은 대부분 실제적인 작업현장에서 작업자에게 요구되는 기능들이며 이는 또한 생산성과 직결되는 기능들이다. 셋째, 취업이후 직업유지 프로그램으로서 [직장적응 □ 직무적응 □ 자기적응 으로 시스템화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밝혀졌듯이 노동습관, 직업생활 태도, 작업동료와의 관계 등이 직업유지를 위한 결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취업이후 직업유지를 위해서는 우선 직장에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직업적 기술 측면에서의 직업능력판정제도가 도입되어야 한다. 장애인 직업재활실시기관에서는 본 연구에서 직업유지에 가장 뚜렷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난 '직업생활태도' , '작업도구수행능력' , '작업동료와의 협조성' , '직업적 행동특성' 에 관한 요인을 중심으로 하여 직업적 기술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장애판정지침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안정적인 직업유지를 위해서는 직업재활 전문가의 개입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재활 전문가의 개입이 높을수록 직업유지기간이 증가하고 이직경험횟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정신지체인의 직업유지를 위해서는 법 · 제도내에 정신지체인의 고용지원 및 직업적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고, 직업재활 관련기관간의 종합적인 고용지원 네트워크의 구축 그리고 정신지체인도 취업이 가능하다는 점을 일반국민, 사업주, 고용담당자가 새롭게 인식할수 있도록 고용환경 조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act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the occupational stability factors (general characteristics, conceptual skills, social skills, vocational skills and social support)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on the duration of job tenure and the number of separation. Since the employment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has been historically seen as residual work within a structured environment and they were supposed to be taken care of by their family, the employment rate of them has been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types of disability. Moreover, sustaining their job is as much difficult as getting hired in labor market. The employment barriers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have something to do with various elements such as prejudices of employers, systemic and physical environment, vocational rehabilitation system, and business fluctuations. However, the most compelling assumption regarding their employment is that there must be certain difference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capabilities. If the personal factors that they have influence the duration of job tenure and the number of separation, the system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and employment services for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need to be revised and modified. Also, interventions of social workers have to be altered accordingly. Yet, in Korea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capabilities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on their occupational stability have not been researched. I started this study in this context.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I set the questions as followed. First, how do the occupational stability factors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influence the duration of job tenure? Second, how do the occupational stability factors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influence the number of separation? Third, how do the occupational stability factors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influence whether or not they experience separation? In order to examine these questions, I established three hypotheses and fifteen sub-hypotheses through a pilot study. For data collection I also selected 1,055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who had received employment services in 2002 from thirteen nation-wide branches of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KEPAD). Among them I was able to collect 656 cases of survey replies from those who were sustaining their job or had separation experience at the time of research (May of 2004). I finally analyzed 397 cases after excluding inappropriate subjects. Before analyzing the final data I double-checked the duration of job tenure, the number of job losing experiences, the size of busines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applying longitudinal study techniques to the original data from KEPAD's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he SPSS statistics program was used for the following statistical analyses; One-Way ANOVA, Simpl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nter Method),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ere is summary of the study findings. Firstly, several variables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 the duration of job tenure are found. Those are the type of occupation(β =-.079, p<.05), the number of employees(β=-.085, p<.05), th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β=.086, p<.05), and the existence of work guide (β=.121, p<.05) from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 safety managing abilities(β=.156, p<.01) and money managing abilities (β=.145, p<.05) from social skills factor; job attitude(β=.262, p<.01), tool handling skills(β =.206, p<.01), and job-related behavioral characteristics(β =.128, p<.05) from occupational skills factor; and professional support(β=.112, p<.01) from social support factor. Secondly, several variables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 the number of separation are found. Those are average monthly wage(β=.096, p<.05), the number of welfare facilities(β=-.092, p<.05), and the type of occupation(β=.168, p<.01) from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 number concept(β=-.095, p<.05) from conceptual skills factor; and job attitude(β=-.358, p<.01) and job-relat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β=-.240, p<.01) from occupational skills factor. Finally, several variables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 whether or not the subjects experience separation are also found. Those are the type of occupation(p=006) and the number of welfare facilities(p=.001) from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 and job attitude(p=.001) and collaboration with the colleagues(p=.031) from occupational skills factor.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s which significantly predict the duration of job tenure are the number of employees, the number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existence of work guide, the type of occupation and the number of welfare facilities from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 safety managing abilities and money managing abilities from social skills factor; and professional support from social support factor.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ose who experienced separation and those who did not is found in several independent variables; language, number concept, and time concept from conceptual skills factor; daily living skills and money managing skills from social skills factor; and job attitude, tool handling skills, collaboration with the colleagues, and job-relat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from occupational skills factor. In conclusion, this study finds that the occupational stability factors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differently influence the duration of job tenure and the number of separation depending on their personal occupational abilities and the differences of the abilities. This study findings have several implications regar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ces for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Firstly,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in pre-employment state have to be run with a focus on the occupational skills. This study clearly shows that the occupational skills such as job attitude, tool handling skills, collaboration with the colleagues, and job-relate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re the most influencing components that predict how long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hold their job. Secondly, there also is a strong nee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focused on the actual work tasks. Most of the occupational skills which the study finds as the predicting variables for the duration of job tenure are practically required at most work places and are also directly linked to productivity. Thirdly, we need systemic job sustaining programs for employed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that help their workplace adaptation, work task adaptation and eventually, self-adaptation. Since job attitude and collaboration with the colleagues are the important factors to decide the duration of job tenure, workplace adaptation has primary significance for their job sustaining. Fourthly, a system of occupational skills assessment has to be introduced. National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hould develop a tool to assess several important components such as job attitude, tool handling skills, and collaboration with the colleagues, which are found to be the most influencing variables for the duration of job tenure in the study. The agencies also should make a practical plan to apply this assessment to the guide of disability diagnosis. Fifthly, In order for the occupational stability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intervention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re critical. The study indicates that as the professional interventions increase, the duration of job tenure also increases whereas the number of separation decreases. Finally, there need to be a better environment for employment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in a broader social level. On social system and legislation level, sufficient supports to boost up their employment and strengthen their occupational skills are necessary. A comprehensive national network interconnecting all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agencies also has to be established in the near future. As for the society in general, business people, and employers, a better environment for employment of people with mental retardation will heighten the social awareness that they can work and create productivity like anyone el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