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DHD 아동의 정서적 문제에 대한 성경적 상담

        박이정 총신대학교 상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논문은 정서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ADHD 아동들의 근본적인 변화와 회복을 위하여, 그들에게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다가가 마음의 동기를 살피고 사랑으로 진리를 말하는 성경적 상담의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ADHD 아동에게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성, 충동성으로 대표되는 ADHD의 일차적인 증상 외에도, 우울, 불안, 분노, 낮은 자아존중감, 낮은 자기유능감 등의 정서적 문제들이 이차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이차적인 정서적 문제들은 기분장애, 불안장애, 품행장애, 반항장애 등의 공존장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대인관계에서의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지속적으로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깊이 연구되어질 필요가 있었다. 그런데 선행연구에 따르면 ADHD 아동의 정서적 문제를 다루는 일반적인 방법으로서의 심리상담이, 증상의 완화 및 해소에만 관심을 둘 뿐 아동의 마음 깊은 곳의 동기까지 살피지 못하여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지 못하는 등 기독교적 관점으로 이해할 때 많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정서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ADHD 아동을 그리스도 안에서 온전히 세우기 위하여, ADHD 아동의 일반적인 증상과 특성, 원인과 치료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 ADHD 아동의 정서적 문제 및 ADHD 아동의 정서적 문제에 대한 심리상담의 이론과 치료기법에 대해 문헌 연구한 뒤, ADHD 아동의 정서적 문제에 대한 심리상담의 한계점을 논하고, ADHD 아동의 정서적 문제에 대한 성경적 관점과 성경적 상담의 방법을 제안하는 내용으로 연구하였으며, 제안한 성경적 상담의 방법을 적용한 구체적인 상담 사례 2개를 통해 사례 연구 하였다. 주로 부모, 교사, 친구들로부터의 부정적인 피드백과 불안정한 애착,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 등에서 기인한 ADHD 아동의 정서적인 문제는, 하나님을 신뢰하지 않고 성경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자기 사랑과 자기 연민, 순종과 감사와 용서를 하지 않는 마음 등의 내면의 동기를 가지고 있었다. 이에 ADHD 아동의 정서적 문제를 위한 성경적 상담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고 그에 따라 사례 연구한 결과, ADHD 아동의 정서적 문제를 위한 성경적 상담의 방법이 아동의 정서적인 증상을 해소함은 물론,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고, 나아가 하나님의 자녀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하나님이 주신 재능을 발견하여 꿈을 가지고 성장해 갈 수 있도록 돕는 근본적인 회복을 이끄는 상담임을 알 수 있었다.

      • 영아의 보육 이용경험과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윤세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15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보육 이용경험과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25개월에서 36개월의 영아 142명(남아 73명, 여아 69명)이었다. 영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 측정은 Briggs-Gowen과 Carter(2001)가 개발하고 신지연과 최석란(2005)이 번안·수정한 ‘Infant Toddler Socio-Emotional Assessment(ITSEA)’척도를, 영아의 보육 이용경험은 보육 시작 월령, 하루 평균 보육시간, 주당 평균 보육일, 보육기관 변경횟수를 묻는 질문지를,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은 이은해, 송혜린, 신혜영과 최혜영(2003)이 개발한 ‘영아반 평가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영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 및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은 교사가, 영아의 보육 이용경험은 어머니가 직접 응답하였다.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영아의 보육 이용경험,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영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영아의 보육 이용경험과 어린이집 질적 수준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보육 이용경험과 영아 사회·정서적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 이용경험의 하위요인 중 하루 평균 보육시간과 영아 사회·정서적 문제행동의 하위요인 중 내면적 문제행동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아의 하루 평균 보육시간의 양이 많을수록 영아의 내면적 문제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과 영아 사회·정서적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질적 수준의 하위영역 중 놀이 환경, 놀이 활동, 일상적 양육과 영아 사회·정서적 문제행동의 하위요인 중 내면적 문제행동 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린이집에서 영아에게 적합한 놀이 환경과 놀이 활동, 일과에 따른 일상적 양육 욕구를 적절히 지원할수록 영아의 내면적 문제행동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영아의 보육 이용경험과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문제행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 질적 수준의 하위영역 중 놀이 환경과 일상적 양육이 영아 사회·정서적 문제행동의 하위요인 중 내면적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대적인 영향력을 동시에 살펴보았을 때, 보육 이용시간 등의 보육 이용 경험 관련 변인보다 어린이집에서 영아에게 적합한 보육 시설과 다양한 놀잇감을 제공하고 영아의 일과에 따른 양육 욕구를 적절히 지원해주는 것이 영아의 내면적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영아의 보육 이용시간은 영아의 내면적 문제행동과 상관이 있고,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역시 영아의 내면적 문제행동과 유의한 상관이 있다. 그러나 보육의 양적인 측면인 보육 이용경험과 질적인 측면을 동시에 살펴 볼 경우,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이 영아의 내면적 문제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child care experiences and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s on the socio-emotional problem behaviors of the inf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randomly selected from those infants who attend child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their age was controlled in the margin of 25 to 36 months. Total of 142 mothers of the 2-years-old infants (73 male, 69 female) and the teacher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The socio-emotional behavior problems were measured based on the ‘Infant Toddler Socio-Emotional Assessment(ITSEA)’ scale, developed by Briggs-Gowen & Carter(2001) and interpreted and modified by Shin Ji Youn, Choi Suk Ran(2005). The data regarding the child care experiences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including the following items: starting age, average child care center using hours per day, average child care center attendance per week, and the total number of changes of a child care center, which could be related to the stability of child care experiences.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s were assessed by the ‘Infant Class Assessment Scales,’ developed by Rhee En Ha et al.,(2003). The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socio-emotional problem behaviors and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s were answered by the teachers, and the questions regarding the child care center experiences were answered by the mothers of the infant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motional problem behaviors, the child care experiences, and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the child care experience and the quality of child care center on the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child care center using hours per da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fants’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This indicates that as the infants stay longer in the child care center, it can relate to showing mor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Second, the play environment, playing activity, and daily life nurturing factor, which are the sub-elements of the child care quality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other words, the better quality of the child care was related with showing less socio-emotional problem behaviors among infants. Third, when both quantity and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experiences were analyzed to predict infants socio-emotional problem behaviors, only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were shown to predict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In sum, the hours of using the child care center and the quality of the child care center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fants socio- emotional problem behaviors. However, when the relative predictability was examined, only the play environment and the daily life nurturing were the factors which significantly explained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 infants.

      • 노인의 주관적 기억문제와 객관적 인지기능 및 정서적 문제와의 연관성

        임정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0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laints of subjective memory problems and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and negative emotions of low-income seniors. To this end, for 50 elderlies low-income seniors with a standard median income of 50% or less in Gyeongsangbuk-do A, Y, and S city were subjected to a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Cognition Scale for Older Adults, Revised Korean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Geriatric Anxiety Inventory. Based on the scores calculated from each measurement tool,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a group that subjective memory complaint problems and a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in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was analyzed.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memory problems, objective cognitive test results, and emotional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ubjective memory problems and the objective cognitive tes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group complaining of the subjective memory problem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in almost all cognitive areas of the cognitive test for the elder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the specific cognitive domains that explain the subjective memory problem appeal were found to be Working Memory Index, Language Function Index, and Memory Function Index.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memory problems and negative emotional variable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In comparison between groups, the group who complained of subjective memory problem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tha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ubjective memory problem complaint can be a significant variable predicting the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as well as cognitive function. 본 연구는 저소득 노인이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기억문제와 객관적으로 측정한 인지기능 및 부정 정서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A시, Y시, S군에 있는 기준중위소득 50% 이하 저소득 노인 50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기억 감퇴 설문지, 노인용 인지검사, 수정판 한국형 노인우울척도, 노인불안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각 측정도구에서 산출된 점수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들을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 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여 두 집단 간 변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주관적 기억문제와 객관적 인지검사 결과, 정서 변인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관적 기억문제와 객관적 인지검사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노인용 인지검사의 거의 모든 인지영역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를 설명하는 구체적인 인지영역은 작업기능, 언어기능, 기억기능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기억문제와 부정적 정서변인인 우울, 불안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집단 간 비교에서도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우울과 불안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주관적 기억문제 호소는 노인의 객관적 인지기능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이 될 수 있으며, 인지기능과 더불어 우울과 불안 등 심리학적 변인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 노인의 수면문제와 주관적 인지 저하의 관계에서 정서적 문제의 매개효과

        권희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86

        수면 문제는 노년기에 흔히 경험하는 문제들 중 하나로 인지기능의 저하와의 관련성이 확인되어왔다. 최근에는 특히 치매의 조기 진단과 노년기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주는 주 관적 인지 저하와의 관련성이 주목받고 있다. 한편, 수면 문제가 주관적 인지 저하에 영 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객관적 인지기능의 저하 여부와 우울, 불안 등의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가 혼재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수면 문제가 주관적 인지 저 하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지역사회 만 60세 이상 성인 101명을 대상으로 수면 문제와 정서적 문제, 주관적 인지 저하, 객관적 인지기능을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수면 문제와 정서적 문제, 주관적 인지 저하가 모두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객관적 인지기능은 이들 세 변인과 유의한 상 관을 보이지 않았다. 객관적 인지기능을 통제한 후, 수면 문제와 주관적 인지 저하의 관 계에서 정서적 문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적 문제가 수면 문제와 주관적 인지 저하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들이 수면 문제를 경험하면서 나 타나는 주관적 인지 저하가 실제 인지 수행의 저하로 인한 것이기보다는 정서적 문제와 더 큰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노인들의 건강 및 기능 관련 문제 호소에 대한 생 물심리사회적 접근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sleep disturbance affects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and the effects of affective disturbance. A total of 101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affective disturba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isturbance and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even when controlling for objective cognitive functioning. Such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concurrent with sleep problems in the elderly, may be associated with affective disturbance.

      •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자기체계 손상과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석선영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0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experience, traumatized self-system, emotion dyst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raumatized self-system and emotion dystegulation when childhood emotional abuse experience affects interpersonal problem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using the childhood Emotional Abuse scale, traumatized self-system scale, emotion dystegulation scale, and interpersonal problems scale on 376 men and women aged 19 or older (77 men and 299 women).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v4.1 programs to verify the superior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traumatized self-system, emotion dyst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traumatized self-system, emotion dystegul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interpersonal problems,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ird, it was found that traumatized self-system and emotion dystegulation were sequentially double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in adul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subsequent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성인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자기체계 손상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에 있는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구글 설문을 온라인으로 실시하여 최종 376명(남 77명, 여 29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에는 정서적 학대 척도, 자기체계 손상 척도, 정서조절곤란 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가 포함되었다. 아동기 정서적 학대, 자기체계 손상, 정서조절곤란, 대인관계문제의 상관관계와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SPSS 22.0과 PROCESS Macro v4.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정서적 학대, 자기체계 손상, 정서조절곤란, 대인관계문제와 상호 간의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자기체계 손상이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성인의 아동기 정서적 학대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자기체계 손상과 정서조절곤란이 순차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정서 조절의 맥락에서 정서 신념의 역할

        신재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196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ole of beliefs about emotion in the context of emotional regulation with the following three studies. Study 1 was designed to validate the EBQ scale for Korean samples. The EBQ-K scale has a three-factor structure that consists of 'general-controllability' factor tapping both negatively and positively valenced emotion, 'negative-usefulness' and 'positive-usefulness' factor spanning valance-specific usefulness. In Study 2, individual differences in beliefs about emotion were identified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general-controllability', 'negative-usefulness' and 'positive-usefulness'.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invalidation predicted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groups as an influencing factor,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emotional regulations and emotional problem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nt groups. In Study 3, the beliefs of ‘general-controllability’ and 'negative–usefulness' experimentally manipulated and demonstrated that the combination of the two beliefs showed differences in the choice of avoidance-base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state emotions. This study demonstrates how important it is to have adaptive beliefs about emotion in terms of emotional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본 연구는 정서 조절의 맥락에서 정서 신념의 역할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총 세 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Ford와 Gross(2018)가 제시한 정서 신념의 통합적 개념 틀에 근거해 개발된 EBQ 척도를 국내 표본을 바탕으로 타당화하였다. EBQ-K 척도는 ‘일반적 정서 통제 가능성’, ‘부정적 정서 유용성’ 및 ‘긍정적 정서 유용성’으로 구성되는 3요인 구조로 척도의 형태와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2 에서는 ‘일반적 정서 통제 가능성’, ‘부정적 정서 유용성’과 ‘긍정적 정서 유용성’의 조합을 바탕으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정서 신념의 개인차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정서 비수용이 영향요인으로써 잠재 집단의 구분을 예측하는지와 더불어 잠재 집단의 특성에 따라 정서 조절과 정서적 문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3에서는 정서 통제 가능성 신념과 유용성 신념을 실험적으로 조작하여 두 가지 신념의 조합에 따라 부적응적인 정신 건강 지표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회피적 정서 조절 전략의 선택과 상태 정서 경험에 차이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서 신념의 통합적인 개념 틀 내에서 척도 타당화, 잠재 집단의 파악 및 실험을 통한 정서 신념과 정서 조절의 인과 관계 확인을 통해 적응적인 정서 신념을 지니는 것이 정서 조절과 심리적 건강 측면에서 이득이 있음을 설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아동기 정서적학대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임채연 광주대학교 보건상담정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159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abuse in childhood on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internalized shame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s parameters. To this end, a survey agency Inbyt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300 four-year college students from May 8 to May 12, 2023.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examin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Hayes, 2017) to verify the hypothesis. Reliability (Cronbach's ɑ)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questionnaire item of emotional abuse, interpersonal problems, internalized shame,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measurement tools. Correlation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of emotional abuse, interpersonal problems, internalized shame,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to verify the double mediating effect, PROCESS Macro 6 was used to confirm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doubl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bootstrapping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abuse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nalized shame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internalized shame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Third, in this research model, when internalized shame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were added as parameters for the impact of emotional abuse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impact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s on interpersonal problems decreased, indicating that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buse 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아동기 정서적학대가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 매개변인으로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정서적학대 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 면화된수치심, 정서표현양가성을 매개변인으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 기관 인바이트에서 2023년 5월 8일부터 5월 12일까지 4년 제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SPSS 21.0과 PROCESS Macro(Hayes,2017)를 사용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사용하였 다. 정서적학대, 대인관계 문제, 내면화된 수치심,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측정도 구들의 각 설문항목에 대한 신뢰도 검증을 위해 신뢰도(Cronbach’s ɑ)를 산출하 였다. 정서적학대, 대인관계문제, 내면화된수치심, 정서표현양가성의 하위 요인들 간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을 실시하였고, 이중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 6을 사용하여 정서적학대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내면 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확인한 후, 부트스트래핑 분 석(Bootstrappong analysis)을 통해 이중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정서적학대는 내면화된 수치심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정서표현 양가 성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면화된수치심은 정서표현양가성과 대인관계문제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 으며, 정서표현양가성 대인관계문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모형에서는 정서적학대 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내 면화된수치심과 정서표현양가성이 매개변수로 추가되었을 때, 정서적학대 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낮아져, 정서적학대 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 서 내면화된수치심과 정서표현양가성의 이중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 부모로부터의 정서적 학대경험과 청소년의 문제행동간의 관계 : 정서인식과 부정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신현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15934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정서적 학대가 어떠한 심리적 경로를 통하여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부모의 정서적 학대 수준과 청소년 자녀의 문제행동(내재화, 외현화) 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과 부정적 정서조절양식(억제, 회피분산)이 매개하는 매개모형을 설정하여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하여 공변량 구조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경상남도의 마산, 창원, 진주에 소재하고 있는 7개 고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20개 학급 675명의 청소년의 설문 자료를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정서적 학대가 청소년 자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정서적 학대가 청소년 자녀의 정서인식에 어려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정서적 학대는 청소년 자녀의 정서인식 명료성을 떨어뜨리는 방식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청소년 자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정서적 학대는 청소년 자녀의 회피분산 조절 양식을 강화시키는 방식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청소년 자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의 정서적 학대는 청소년 자녀의 정서표현억제 양식을 강화시키는 방식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청소년 자녀의 내재화 문제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부모의 정서적 학대는 청소년 자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직접적으로 유발하지만, 정서인식에 어려움을 주어 간접적으로도 이들의 문제행동을 유발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모의 정서적 학대는 청소년 자녀의 회피분산적 조절 양식을 통하여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유발하지만, 정서표현 억제 양식을 통해서는 청소년 자녀의 내재화 문제행동만을 유발할 뿐, 외현화 문제행동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학교상담현장에 어떤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지와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psychological pathway for the effects of parental emotional abuse on the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A mediation model that could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arental emotional abuse and the problem behavior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of teens through emotional awareness and nega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s(suppression, avoidant distraction) was selected, and analyzed by employing a covariance structure model. The subjects were 675 teenaged sophomores and juniors in 20 classes in seven different high schools located in Masan, Changwon and Jinju, Gyeongsangnam-do, Kore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emotional abuse was found to trigger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 adolescents. Second, parental emotional abuse made it difficult for them to be aware of their own emotion. Third, parental emotional abuse provoked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 teens in a secondhand manner as well by deteriorating their emotional clarity. Fourth, parental emotional abuse caused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 adolescents in a secondhand manner at the same time by strengthening their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Fifth, parental emotional abuse triggered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 teens in a secondhand way by fortifying their emotional suppression style. In conclusion, parental emotional abuse could be said to provoke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 adolescents in a firsthand way and to trigger those problems in a secondhand manner by curbing their emotional awareness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parental emotional abuse triggered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 teens through their avoidant-distr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but that caused their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nly, not externalizing ones, through their emotional suppression style. It was discussed that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e study for school counseling,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es.

      • 학업중단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정서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구영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15917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중단 청소년의 심리·정서적 특성을 통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이 가운데 318명의 응답데이터를 바탕으로 SPSS 26.0을 통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문제행동요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제행동 가해경험의 경우에 성별과 출생연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심리·정서적 특성과 문제행동요인간의 관계에 분석한 결과, 우울은 문제행동 가해경험과 정(+)적인 관계를 보이며, 학업중단 인식은 문제행동요인과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심리·정서적 특성이 문제행동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SNS관련 가해경험의 경우 F=2.656, p<.05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7%로 나타났다. 그리도 문제행동 가해경험의 경우 F=10.741,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9.5%로 나타났다. 즉, 인구사회학적을 통제한 상태에서 심리·정서적 특성이 문제행동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제언으로는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자아 정립 및 정서 표현을 목적으로 하는 성공적인 학업 복귀 프로그램 확대와 취업 및 자립 보다는 개인별 맞춤형 학습 프로그램 연계 및 고도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chool dropout youths on problematic behaviors. To this e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PSS 26.0 based on the data of 318 respondents from the fifth year of the school suspension youth panel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problem behavior factors due to demo soci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year of birth in the case of the experience problematic behaviors. Secon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problem behavior factors showed that depression ha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the experience of problem behaviors and that academic disruption had a positive (+) relationship with problem behavior factors.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n problem behavior factors, SNS-related perpetrators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in F=2.656, p<.05,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5.7%. In the case of the experience of problematic behaviors, F=10.741, p<.001 appeared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9.5%.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roblem behavior factors under demo social contro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specific learning programs should be linked and advanced rather than expanding successful academic return programs for the self-establishment and emotional expression of school dropout you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