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한 다의어‘前/后’, ‘전/후’의 비대칭에 관한 인지의미론적 연구

        이경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1919

        이 논문에서는 중·한 다의어 ‘前’, ‘后’, ‘전’, ‘후’에 대해, 사전과 코퍼스에서 출현한 의미 확장 과정을 인지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前+x’와 ‘后+x’의 시간 지시 범위에서 생긴 비 대칭, ‘前+x’와 ‘后+x’의 반의 관계에서 생기는 비대칭, ‘前+x’와 ‘전+x’, ‘后+x’와 ‘후 +x’의 중·한 번역에서 생기는 비대칭에 관해 논의하였다. 첫째, ‘前’과 ‘后’가 형태소로서 시간 의미를 나타내며 다른 형태소로서 ‘x’와 결합한 후 복합어 ‘前+x’와 복합어 ‘后+x’를 구성할 때, ‘前+x’가 과거와 미래를 표현하는 경우가 모 두 관찰된다. 하지만 ‘后+x’는 미래를 표현하는 경우만 관찰된다. 예를 들면 ‘前天, 前期’ 는 과거를 나타내고, ‘前程,前途’는 미래를 나타낸다. ‘后天, 后年’은 미래를 나타내고, ‘后 +x’가 과거를 나타내는 경우는 전무하다. 본 논문은 ‘시간 은유 모델(Lakoff & Johnson 1999)’에 의거하여 국어 다의 형태소 ‘前’,‘后’의 시간 은유 방식의 차이가 ‘前’,‘后’가 구 성하는 복합어 ‘前+x’와 ‘后+x’ 시간 지시 의미상의 차이를 형성한다고 판단한다. ‘前+x’ 와 ‘后+x’의 시간 지시 의미 범주에서 생기는 비대칭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前+x’는 ‘과거는 뒤, 과거는 앞’ 두 가지 모델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반면, ‘后+x’는 ‘과거는 앞’ 한 가지의 은유 모델만이 적용되었다는 원인에 의한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복합어 ‘前+x’와 ‘后+x’는 반의어 형성 유무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반의 관계에 서 비대칭이 생길 수 있다. 이때 ‘前+x’와 ‘后+x’가 함께 반의어 쌍을 이룰 수 있는 경우 가 있고, 이 중 한쪽만 성립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前院-后院’은 가능한 반의어 쌍 이다. ‘前言-??后言’은 반의어 쌍을 이루지 못하고 ‘前+x’의 반의어가 ‘后+x’가 아닌 다른 표현인 경우이다. ‘前夕-??后夕’와 ‘??前果-后果’의 경우에는 반의어 쌍을 이루지 못하고 한쪽의 경우에만 단어의 성립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복합어 ‘前+x’와 ‘后 +x’의 다의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과 코퍼스에 출현한 복합어 ‘前+x’와 ‘后+x’를 수집하고 뜻 갈래를 분류하였다. 나아가 복합어 ‘前+x’와 ‘后+x’의 반의 관계에서 생기는 비대칭 현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비대칭이 생기는 첫 번째 이유는 복합어 구성에 따른 형태소의 다의성과 그에 대한 영향 때문이다. 형태소가 다의어인 경우에 한 뜻 갈래에서만 반의어가 이루어지고, 다양한 뜻 갈래들은 각각 다른 반의어를 가지거나 갖지 않는다. 따 라서 ‘前’ 자체가 다의어이므로 ‘前’의 다양한 뜻 갈래들 중에서 ‘后’와 반의어를 이루지 않 는 뜻 갈래가 있을 수 있다. 두 번째 이유는 ‘前/后’와 ‘x’가 결합된 복합어 ‘前/后+x’의 의 미가 형태소 ‘前/后’ 및 형태소 ‘x’의 각각 의미 합과 같지 않을 수 있다. 결합된 복합어 ‘前+x’와 복합어 ‘后+x’도 각각 다의성을 갖고 있다. 그러한 이유로 ‘前+x’와 ‘后+x’의 다 의성에 기반하여 두 종류의 복합어가 각각 갖고 있는 뜻 갈래들의 의미 차이로 인해, 반의 관계에서 비대칭 분포가 형성됨을 밝혔다. 셋째, 중·한 동원어인 ‘前+x’와 ‘전+x’, ‘后+x’와 ‘후+x’, ‘前后’와 ‘전후’는 동원어에 해 당한다. 그러나 중·한 번역에서 전자에서 후자로의 번역이 불가한 상황들이 발생하여 중· 한 번역에서 비대칭이 생긴다. 복합어 ‘前+x’에서 ‘前天, 前妻’는 ‘전날, 전처’로 번역한다. 하지만 ‘前瞻, 前额, 前头’의 경우, ‘??전날, ??전이마, ??전쪽’이 아닌 ‘앞날, 앞이마, 앞쪽’으 로 번역한다. 이어서 복합어 ‘后+x’에서 ‘后悔,后脑’는 ‘후회, 후뇌’라고 번역한다. 하지만 ‘后头, 后事, 后影’은 ‘??후쪽, ??훗일, ??후모습’이 아닌 ‘뒤쪽, 뒷일, 뒷모습’으로 번역한다. 나아가 ‘前后’를 예로 들면, ‘春节前后’는 ‘설전후’로 번역하지만, ‘前后三次’는 ‘??전후 세번’ 이 아니라 ‘총 세번’으로 번역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중·한 박쥐말 분류법(맹주억 2004)’으로 ‘前+x’, ‘后+x’, ‘전+x’, ‘후+x’의 다의적 의미를 분류하였다. 나 아가 각 동원어 ‘前+x’, ‘后+x’, ‘전+x’, ‘후+x’ 간 의미의 상관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나 아가 한자어만 변경하여 중·한 번역이 가능한 경우와 불가능한 경우 등의 원인을 파악하였 다. 이로써 ‘前+x’, ‘后+x’ 다의어가 의미를 확장할 때 생기는 시간 지시의 비대칭, 반의 관 계의 비대칭 원인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본 논문은 ‘前+x’, ‘后+x’, ‘전+x’, ‘후+x’ 중·한 동 원어의 의미 차이를 규명하여, 중·한 번역시 발생할 수 있는 오해의 소지를 해소했다는 점 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 터키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오류 항목에 대한 전이 이론 및 유표성 관계 분석 : 접속 형태를 중심으로

        타메르 제즈미누르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919

        터키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오류 항목에 대한 전이 이론 및 유표성 관계 분석: 접속 형태를 중심으로 타메르 제즈미누르 (Cezminur Tamer) 강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본고는 터키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에서 발생하는 언어 오류에 주목하여, 이러한 오류들을 언어 전이 및 유표성 이론을 기반으로 분석하고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연결 어미 및 접속 형태와 관련된 언어 항목에 중점을 두어 터키어와 한 국어 간의 차이와 전이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두 언어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 하고, 학습자들이 어떤 구조를 가장 많이 혼동하거나 어려워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언어 학습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본고는 이전 연구에서 식별된 오류 중 하나인 접속 어미 ‘-고, -(아/어)서, -(으)니 까, -(으)러, -(으)려고’와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접속 형태 ‘-기 때문에’와 ‘-기 위 해서’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터키인 학습자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당 구조 들 중 어떤 것이 유표성이 있는지를 판단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언어 전이 및 유표 성 이론을 활용하여 L1(터키어)와 L2(한국어) 간의 유사성과 차이를 통해 문법 요소 들의 전이 가능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전이가 학습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언어 전이 이론과 유표성 이론의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연구 결과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터키 학습자들이 특히 접속 어미와 관련된 언어 항목에서 오류를 자주 발생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연결 어미 및 접속 형태의 유표성을 평가하고, 터키어와 한국어 간의 문법 차이를 고려한 교육 방안의 필요성을 보여 주었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연구들은 학습자들이 어떤 구조를 혼동하거나 어려워하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교육적으로 보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언어 전이 연구는 학습자가 이미 습득한 언어를 토대로 새로운 언어를 학습할 때 유용한 정보를 제공 하며, 교육자와 학습자들이 언어 학습을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 핵심주제어 전이 이론, 유표성, 무표성, 한국어, 터키어, 접속 형태, 모국어 간섭, 오류

      • 전기동력 기술과 생물학적 분해를 이용한 경유 오염토양 정화에 대한 연구

        이효상 명지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1919

        경유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해 경유 분해능이 있는 Pseudomonas sp. OSD 균을 전기동력 기술을 이용하여 토양 내 고른 분포를 시키고, 전기동력적으로 이동된 미생물에 의해서 경유 생분해를 수행하였다. 전기동력 기술을 이용하여 토양 내 미생물의 주입이 가능 한 것은 미생물 표면에 이온 그룹을 가지고 있고, 중성 pH에서는 음전하를 띄고 있어 전기장이 존재 시 전기영동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기삼투에 의해서도 이동할 수 있으나, 주된 기작은 전기영동에 의해서 양극으로 이동되었다. 전기분해반응 의해서 형성된 H^+와 OH^-가 토양에 유입되면서 극심한 pH 변화는 미생물에게 유해하고 미생물 이동을 저해하기 때문에 전해액 교환에 의한 토양내에 형성된 pH 조절이 필수적이다. 전해질 농도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전기동력적으로 미생물의 이동이 저해되는 것이 관찰되어 적당한 농도 또는 전기전도도 (1800μS/cm)가 필요로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류가 증가 (40 mA → 80 mA)하거나 약한 알칼리(pH 8)에서 pH 7보다 미생물의 이동속도가 증가되어 짧은 시간에 토양 내 고른 분포를 얻을 수 있었다. 전기동력적으로 이동된 미생물에 의해 토양오염 경유가 6일내 50∼60% 분해되었으며, 그 이상 분해율을 보이지 못한 것은 경유의 용해도가 낮아 대부분의 경유는 토양에 흡착되어 bioavailability가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하여 계면활성제를 첨가하여 경유 분해를 조사하였다.OSD는 액상실험에서 계면활성제 분자구조 내 POE(20)과 sorbitan, 높은 HLB값을 가지는 계면활성제에서 경유 분해가 저해를 덜 받는 것이 나타났으며, 경유 오염 토양에서 Tween 20 200 mg/L 첨가시 경유 분해가 12% 향상이 되었다. The electrokinetic technology was applied in bioremediation for the purpose of supplying a Pseudomonas strain capable of degrading diesel to contaminated soil, and their diesel biodegradation was carried out after a desired cell distribution was obtained. At neutral pH, most bacteria acted as negatively charged particle due to ionizable groups on the bacteria cell surface, which implies their movement towards the anode by electrophoresis in the presence of an electric field. A severe pH change in soil bed was formed due to the penetration of electrolysis products, which was toxic to be cell viability as well as cell transport. To achieve a desirable cell transport and distribution, the control of pH in soil bed by recirculating buffer solution in electrode chambers was essential during the application of electric field. The optimization of electrolyte concentration and conductivity was also necessary for an efficient electrokinetic cell transport since a higher electrolyte concentration favored the maintenance of pH stability in soil bed but lowered electrophoretic mobility. The Pseudomonas cells under pH 8 were transported more efficiently and more even cell distribution was obtained in a give time of period than the cells under pH 7, which was maybe because the negatively charged fraction and electrophoretic mobility of cells were increasing as pH increased above isoelectric point. Also the increase of current favored more even cell distribution under pH 7 due to the increase of electrophoretic cell mobility. Up to 60% of diesel was degraded for 6 days by the electrokinetically distributied Pseudomonas cells. Surfactants was used to increase the bioavailability with low solubility of hydrocarbon. In liquid phase test, diesel biodegrdation was less inhibited by surfactants which had a POE(20) and sorbitant ring in their molecular structure and a relatively high HLB values. In soil phase test, 12% of diesel biodegradation was increased by addition of Tween 20 at 200mg/L.

      • 지역교회와 선교단체 비교를 통한 효과적인 소그룹 전도 방안 이해 : 지역교회 : 세계로 교회와 선교단체 : 한국대학생선교회를 중심으로

        김진민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919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산업사회에서 지식정보화 사회로 발전한 오늘날 한국 사회는 정치, 경계, 문화, 교육의 수준이 선진화로 들어섰다. 시대의 발전은 빠른 수준의 이상으로 향해 전진하고 있으며, 그로인해 인간이 살아가는 삶은 편리해 졌고, 다양화 되어가고 있다. 이런 사회적 현상에서 공통적인 현상 중 하나가 종교 이탈이다. 한국 역시 기독교 신자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는 기독교에 별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자본이 가져다주는 삶이 많은 고민과 문제를 해결하는 사회가 되었기 때문이다. 멀티시대를 향해 전진하고 있는 개인의 삶을 조명해 보면, 실용성을 추구하고, 개인의 욕구와 주장이 점점 더 강해지고, 남에게 간섭받는 것을 부정하고 자기만의 세계를 주장하는 혼탁한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갈수록 시대는 알 수 없는 방향으로 전환 하고 있는데, 교회는 주님의 지상명령인 복음전도 방향을 잃어버리고 그 자리에 정지되어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현실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복음전도를 통하여 성장하는 교회 와 선교단체를 통하여 이 시대 가장 효과적인 전도 방안을 제안하려 한다. 그들이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사역은 바로 소그룹 사역이다. 하나님께서 준비하신 복음의 접촉점이 있음을 확신하고, 시대를 파악하여 적절하게 하나님의 말씀을 전파하며 그리스도에게로 안내하는 삶, 하나님께서는 하나님 백성들에게 주신 명령이다. 이 시대 예비신자(불신자)들과 관계를 가질 수 있는 복음의 접촉점을 만들고, 하나님의 말씀을 전파하는 데 있어서 소그룹 모임이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지고 있다. 정규적인 소그룹 모임을 통하여 말씀의 가르침과 훈련, 교제와 나눔, 섬김과 봉사, 친교활동등으로 진정한 삶의 의미와 가치를 찾게 되고, 개인주의적 삶이 변화되고, 심리적․정신적 삶이 치유되고, 참된 기쁨과 감사를 서로 공유하며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그리스도인의 삶이 무엇인지를 소그룹 모임을 통하여 실천하므로 예비신자(불신자)의 영혼을 사랑하는 마음을 품고, 소그룹 모임에서 함께 기도로 준비하여 복음의 접촉점을 만들어 소그룹 모임에 예비신자를 초청하여 주님의 흔적을 전파하는 전도자의 삶을 사는 것이 소그룹 전도사역이다. 현재 소그룹 사역을 지향하는 그리고 소그룹 사역을 통하여 교회가 성장하는 지역교회와 선교단체를 대상으로 소그룹 사역의 현황, 특징, 장․단점을 비교하여 소그룹 전도 사역의 중요성, 필요성, 그리고 효과적인 소그룹 운영을 분석하여 소그룹 전도 대처 방안을 연구하여 절박한 시대적 상황에서 예비신자(불신자)를 통한 부흥을 기대해 본다. 하나님께서는 지금도 선택한 백성을 우리를 통해 찾으시기를 원하신다. ‘이 천국 복음이 모든 민족에게 증언되기 위하여 온 세상에 전파되리니 그제야 끝이 오리라’(마24:9). 복음전도는 끝까지 전파되어 져야한다. 전도는 우리의 사명이자 의무이다.

      • 대학생 전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W-CARP의 MES적용을 중심으로(2002년-2008년)

        권상기 선문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919

        본 논문의 목적은 교회의 미래인 청년대학생의 전도교육을 위해 21세기의 출발과 더불어 새시대에 맞는 전도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개발한 것을 적용한 것에 대한 평가와 이를 통해서 새로운 시대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통일교 대학생조직인 전국대학원리연구회의 창설자이신 문선명 선생의 교육이념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현 시대의 대학과 대학생에 대한 분석위에 지금까지 대학원리연구회의 전도교육프로그램의 소개와 평가의 터위에서 W-CARP의 전도교육에 대한 정의와 핵심가치, 새로운 시대의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러한 터위에 필자가 2002년 부터 2006년까지 W-CARP의 일본 규슈블록에서 대학생 전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서의 프로세스와 내용에 대해서, 그리고 2007년 부터 이를 한국 CARP에 적용, 발전시키는 과정과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이에 대한 전체적인 평가와 제언을 통하여서 새로운 시대의 전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MES는 W-CARP의 회원교육시스템이다. 대학생의 전도를 위해서는 먼저 리더나 멤버들이 일치된 비전과 미션 교육목표와 관점을 가져야 한다. 그래서 회원 한사람 한사람이 같은 목표를 향하고, 스스로 주인이 되어서 움직이는 조직이 발전하는 조직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것이 회원의 교육 시스템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서 W-CARP의 전도교육시스템에 대한 개발연구와 이러한 평가를 통해서 나타나는 장단점의 분석이 새로운 대학생 전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연구에 조그만한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시대의 흐름은 역사상 어느때보다도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에 따른 사람들의 가치관과 패러다임의 변화도 함께 일어나야 한다. 시대를 이끌어 나가는 조직이 되기 위해서는 명확한 비전을 갖고 항상 새로운 것에 도전해야만 한다. 대학생 전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도 이러한 시대 상황에 따라서 변화되고 시대를 이끌어가야 한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은 대학생 전도교육의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유산소와 코어운동이 고령여성의 전도 관련 체력 및 전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록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919

        Abstract The effect of aerobic and core exercise on fall-related fitness and fall efficacy in elderly women by KIM LOK IL Dept. of Teakwondo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erobic and core exercise on fall-related fitness and fall efficacy in elderly women. Subject were consisted the exercise program conducted 50 minutes, 3 times a week for 12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In fall-related fitness, BMI(p<.5), 2-min step(p<.1), 2kg dumbbell curl(p<.5), Chair stand up(p<.1), Time up & go(p<.5)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2. In fall efiicacy, VAS-fear of falling(p<.05)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is, in regard to elderly women, it is shown that aerobic & core exercise improves that whole body endurance, upper & low limb strength, dynamic balance & agility. I have thinking that result will be improved ability of walk, prevent of falling. In addition, depression of VAS-fear of falling will reduce effectively the anxious feeling about falling to elderly women. keyword : elderly women, core exercise, fall, fall-efficacy 국문초록 유산소와 코어운동이 고령여성의 전도 관련 체력 및 전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erobic and core exercise on fall-related fitness and fall efficacy in elderly women 태권도학과 김 록 일 지도교수 박 상 갑 65세 이상 고령여성을 대상으로 유산소와 코어운동을 12주 간, 주 3회, 1회 50분 실시하여 전도 관련 체력 및 전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1. 전도 관련 체력의 변화에 있어서 운동군의 BMI(p<.05), 2분 제자리 걷기(p<.01), 2kg 덤벨 들기(p<.05),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p<.01), 2.44m 왕복걷기(p<.05)에서 그룹과 시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전도 효능감 변화에 있어서 운동군의 VAS-Fear of falling(p<.01)에서 그룹과 시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유산소와 코어운동의 병행 실시는 전신지구력, 상·하지근력, 동적평형성 및 민첩성을 향상시켜 보행능력과 전도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전도공포의 감소는 심리적인 영향에 쉽게 노출되는 고령여성에게 전도에 대한 불안감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주요어 : 고령여성, 코어운동, 전도, 전도 효능감

      • 手術前 患者敎育이 下肢手術患者의 手術前 狀態不安에 미치는 影響

        채임순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1919

        1991년 11월 14일부터 1992년 2월 20일까지 광주시내 3개 종합병원에서 하지 수술을 받기위해 입원한 환자 실험군 57명, 대조군 58명, 도합 115명을 대상으로 수술전 환자 교육이 수술전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상태불안의 정도를 파악 하고, 수술전 혈압 및 맥박의 변화를 규명하고자 질문지법에 의한 유사 실험 연구를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하지 수술을 받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가 전체의 68.4%로 여자(36.1%)보다 많았고, 월수입은 50만원 이하가 33.0%로 저소득층에서 많았으며 직업에 있어서는 상업과 산업이 23.5%, 노동과 농업이 22.6%로 주로 하지를 많이 사용하는 직업에서 많았으며 이미 수술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59.1%로 경험이 없는 대상자(40.9%)보다 많았다. 2. 대상자의 수술전 상태불안정도는 총 145점중 평균 69.86점이었고, 일반적 특성별 수술전 상태불안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없었으나 여자가 남자보다, 교육수준이 낮은 군에서, 대퇴골 수술에서 수술전 불안정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수술전 교육을 받은 실험군이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상태불안정도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기각되었다(t=1.38, P>.05). 4. 수술실로 옮기기 전과 후의 혈압및 맥박의 변화는 수축기 혈압에 있어서는 수술실로 옮긴 후의 혈압이 옮기기 전보다 유의하게 높았고(t=-3.01,P<.005), 맥박에 있어서도, 수술실로 옮긴 후가 옮기기 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5.2, P<.001). 그러나 이완기 혈압은 수술실로 옮기기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0.36, P>.05). 5. 하지수술 환자의 수술전 상태불안의 문항별 점수는 최대평점 5점중 2.9이상의 불안 반응을 보인 문항은 수술후 고통이나 불편에 대해서 3.47점, 수술이 잘못될까봐 3.03점, 활동의 제한을 받게 될까봐 3.01점, 재수술을 받을지도 모른다는 것에 대해 2.91점, 혹시 수술후 병원이 오래있게 될까봐 2.90 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수술전 교육을 실시한 실험군과 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의 불안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는 결과는 하지 수술환자의 수술전 불안정도가 환자교육에 의해 쉽게 영향받지 않음을 시사해주는 결과라고 사료된다.그러나 실험군의 불안점수가 대조군의 불안점수에 비해 낮게 나타난 점을 고려할때 환자교육이 불안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다고 보아 앞으로 적절한 교육실시 시기와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여 실험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수술전 교육의 효과가 좀더 입증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reoperative education on preoperative anxiety in the patients under going lower extremity surgery. Data were gathered from November 14, 1991 to February 20, 1992 through interviews by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the author. Subjects were consisted of 115 people. Of them, control group was 58 and experimental group was 57. Analysis of data were done by frequency, x²,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men(68.4%) and women(31.6%), had high incidence in their fourth and fifth decade(22.6% each). Their occupation was business or industrial worker in 23.5%, laborer or farmer in 22.6%, More than half of them (59.1 %) had previous operation. 2. The mean score of preoperative anxiety in the patients undergoing lower extremity surgery was 69.88. 3. State of preoperative anxie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education(t=1.38, p>.05). So the hypothesis that the preoperative education would be effective in reducing the preoperative anxiety in the patient undergoing the lower extremity operation was rejected. 4. Pulse rate and blood press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before and after entrance into the OR of the patients. Rising of systolic pressure was significant(t=3.01,p<.005) while that of diastolic pressure showed little difference(t =.36,p<.05). Increasing of pulse rate after entrance into the OR was also significant(t= -5.2, p<.00l). 5. The items which showed high score of preoperative anxiety were postoperative pain or discomfort(3.47), possibility of operative mistake(3.03), Restriction of behavior(3.01), possibility of reoperation(2.91), possibility of long hospitalization(2.90).

      • 어린이 전자동화책의 표현기법 연구 : 웹(Web)형과 앱(App)형 동화 중심으로

        박찬식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919

        전자책은 출판비용의 절감, 언제 어디서든 읽을 수 있는 비거리성, 이동의 편리성, 다기능성 등의 긍정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출판업계에 새로운 큰 반향을 일으킨 전자책의 등장과 함께 어린이 전자 동화책은 종이 동화책에서 오디오 동화책, 비디오 동화책, CD-ROM동화책, PC 인터넷 동화책,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동화책까지 발달 하였다. 획일적이지 않고 예측 불가능한 비선형적 사고를 하는 어린이의 특성은 단순한 종이의 물성으로 제작된 동화책보다 여러 가지 감각을 사용하는 전자 동화책이 기억력과 학습효과를 증진 시키므로 더 큰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다수의 연구 결과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가장 대중적으로 이용하는 전자 동화책인 웹(Web)과 앱(App)형 전자동화를 각기 다른 10개의 제작사에서 높은 조회수와 평점, 다운로드수를 기준으로 시각, 청각, 촉각 요소로 구분하여 표현기법에 대해서 분석하였고 10개의 사례분석 중 3개의 우수사례를 구동방식, 일러스트의 표현, 색체나 조형요소 등의 심화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영상 기법에서는 동화의 장르에 따라 비트맵, 벡터, 3D기법을 사용 하였고 동화의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일러스트 표현에서 과장과 확대, 생략등 등장인물의 조형적 변화를 크게 하였다. 특히 앱(App)형 동화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기를 기반으로 하여 진동과 탭(Tab)의 기능으로 다양한 감각의 사용을 유도한다. 앱형 동화는 한번의 마우스 클릭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재생되는 웹(Web)형 동화와는 달리 이용자가 재생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게임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용자끼리 나레이션을 녹음하여 공유한다. 앱(App)형 어린이 동화의 감각적이고 다양한 상호작용적 전달 방식은 웹(We)형 보다 높은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현 상황의 어린이 전자 동화책 앱(App)형과 웹(Web)형 동화의 조형요소와 메카니즘을 분석함으로써 전자 동화책의 진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분석을 토대로 어린이 전자 동화책이 종이 동화책과의 공존속에서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Electronic books have positive aspects such as reduced publishing costs, distance-irrelevance permitting reading anytime anywhere, convenient mobility, and multi-functionality. With the advent of electronic books that had a great resonance for the publishing industry, children’s storybooks have also developed from paper books to audio storybooks, video storybooks, CD-ROM storybooks, PC Internet storybooks, and smart device-based storybooks. A number of studies have reported that greater educational effects can be expected from electronic storybooks, which require several senses, than paper storybooks because e-books enhance memory and learning effects among children who conduct non-uniform, unpredictable, non-linear thinking. On the basis thereof, this study analyzed visual, auditory, and haptic expression techniques used by 10 different companies in web-based and app-based storybooks, which were most popular in terms of hits, ratings, and downloads, and conducted the in-depth analysis of three best cases among the 10 cases in terms of driving system, illustration, color, and formative elem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bitmap, vector, and 3D were used as visual techniques according to the genre of fairy tales, and that formative changes in characters such as exaggeration, enlargement, and omission were increased in illustration expressions according as the age group of fairy tales was lowered. Particularly, app-based storybooks are based on smart devices and induce the use of various senses by means of the functions of vibration and tab. Unlike web-bases storybooks played from beginning to the end with one click of a mouse, app-based storybooks enable users to control the speed of play, contain various elements of gaming, and allows users to record and share narration. The sensuous and diverse interactive methods of app-based storybooks generate greater expectations for educational effects than web-based storybooks. This study examined the evolutionary process of electronic storybooks by analyzing the formative elements and mechanisms of the current app-based and web-based children’s storybooks.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electronic storybooks that coexist with paper storybooks.

      • 유아교육기관 일과운영에서 전이(轉移)의 내용과 의미

        김현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일과운영에서의 전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분석해보고, 전이의 양상과 의미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고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순조롭고 윤택한 일과운영을 위한 질 높은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유아교육기관 일과운영에서의 전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유아교육기관 일과운영 중에 나타나는 전이의 양상은 어떠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가? 이상과 같은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자료 수집과 분석에서 통합방법 설계(mixed-methods design)를 적용하였다. [연구 문제 1]에서는 유아교육기관 일과운영에서의 전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였고, G도의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질문지를 기준으로 최종 33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산출결과와 교사변인과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χ² 검증과 t 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 2]에서는 유아교육기관 일과운영 중에 나타나는 전이의 양상은 어떠하며 그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J시에 소재하고 있는 J어린이집 만 5세 산새소리반 교사와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2008년 10월 6일부터 2009년 2월 18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자료수집은 참여관찰, 면담, 비디오 녹화, 오디오 녹음, 문서 수집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참여관찰 및 면담 내용은 현장기록으로 작성하여 자료화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이 진행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전체적으로 유아교육기관 일과운영에서의 전이를 위해서 전이 활동이 상당히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필요성에 있어서는 다음 활동으로의 자연스러운 연계, 유아의 주의집중을 도모, 활동에 대한 도입 또는 마무리 및 단락의 의미를 지닐 수 있기 때문으로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교사의 인식은 전이 활동을 통해 활동 간 자연스러운 연계가 되고, 유아들의 주의집중 능력 신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유아교육기관 일과운영에서의 전이를 위해서 전이 활동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만큼 그에 대한 관심의 정도가 매우 높았으나 교사 스스로가 전이에 대한 지식 수준에 대하여서는 다소 알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더불어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전이 시간을 위한 사전 계획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적절한 전이 소요 시간은 ‘5-10분’, ‘5분 미만’이었으며 전이 활동 유형으로는 ‘손유희’, ‘노래부르기’가 적절하다고 인식하였다. 유아교육기관 일과운영에서의 전이 시간 운영을 위한 교사의 역할에 있어서는 ‘긍정적, 상호의존적 분위기 조성’을 가장 바람직한 교사의 역할로 인식하는 반면, ‘세심한 관찰’을 지원하는 역할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교사들은 사전 계획에 따라 과반수 정도가 전이 시간을 운영하고 있었으나 전이 시간 또한 많은 교사들이 힘들어하고 있었다. 특히 자유선택활동 후 정리정돈시와 대·소집단활동 전과 후를 어려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이 시간 운영방법면에서는 유아들에게 전이 시간 동안 자신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명확한 안내를 하고 있었지만 유아의 전인발달에 도움을 주는 전이 활동은 사전계획 및 실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전이 활동 유형으로 손유희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손유희는 유아의 흥미와 관심에 따라 그 때 그 때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일과운영 계획시 전이 시간은 대체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교사들은 전이 활동 관련 내용을 교사양성과정에서 수강한 경험이 대부분 없었으며 전이 활동 계획시 참고하는 자료는 인터넷 사이트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전이 활동에 관련된 교사 연수회 참여는 과반수 이상이 참여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은 전이 운영시 교사 자신의 전이에 관한 지식이나 이해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가장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효과적인 전이 시간 운영을 위해서는 다양하고 구체적인 전이 시간 운영 방법과 전이 활동을 위한 교재 및 자료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일과운영 중에 나타나는 전이의 양상은 교사와 유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우선 일과운영 중에 나타나는 교사의 전이 양상은 ‘일과의 안내와 진행의 표시’, ‘다음 활동자료 준비’, ‘전이 활동 전개’, ‘기다리는 동안 해야 할 일 안내’ 였다. 다음으로 일과운영 중에 나타나는 유아의 전이 양상은 ‘준비하기’, ‘모이고 흩어지기’, ‘이동하기’, ‘기다리기’ 였다. 유아교육기관 일과운영 중에 나타나는 전이의 의미는 교사와 유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는데 먼저 교사가 가지는 전이의 의미는 ‘돌봄의 관계를 맺어가기’, ‘애정어린 권위자로 거듭나야 하기’, ‘자기 자신을 찾아가기’ 였다. 또한 유아가 가지는 전이의 의미는 ‘다양한 감정의 지층을 경험하기’, ‘금지된 장난하며 이야기꽃 피우기’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일과운영에서 전이의 내용과 의미를 총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전이를 보다 잘 살펴볼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교사가 전이 시간을 어떻게 계획하고 운영하느냐에 따라 유아들은 보다 순조롭고 윤택한 하루일과를 경험할 수 있으므로 교사는 전이를 위한 세심한 계획과 운영을 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결과들은 전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질 높은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전의(轉義)합성명사의 인지의미론적 연구

        최지훈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1919

        본고는 의미의 전이가 일어난 현대국어 합성명사의 형성과 그 형성기제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하는데 인지의미론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의미변화를 추적하기 어렵다고 처리되고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합성명사를 포함한 전의(轉義)합성명사의 의미형성을 밝히는 작업을 하였는데 논의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Ⅰ장에서 제시한 연구 대상과 연구사 검토를 토대로 하여 합성명사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고, 합성명사의 의미론적 연구를 위하여 분류체계를 재검토하였다. 또한 전의(轉義)합성명사의 개념을 설정하고 기본의미와 전이된 의미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Ⅲ장에서는 전의(轉義)합성명사의 형성과정과 그 형성기제에 관하여 살폈는데, 전의(轉義)합성명사에서 의미의 전이가 일어나는 것은 합성 이전에 개별 단어로 존재할 때에 가지고 있던 단어의 기본의미가 합성과정에서 은유나 환유에 의하여 의미 전이를 일으키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합성명사의 실례분석을 위한 전초 작업으로 전의(轉義)합성명사의 형성기제인 은유와 환유에 관한 인지적 관점에서의 전반적인 이론을 검토·소개하였다. Ⅳ장에서는 현대국어의 전의(轉義)합성명사의 형성과 의미결합의 양상을 실제 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전의(轉義)합성명사의 형성 유형을 인지적 관점에서 각 기제별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는데 합성명사 형성 과정에서의 의미 전이는 은유와 환유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은유가 작용한 전의(轉義)합성명사는 ‘지향적 은유, 존재론적 은유, 구조적 은유, 사물 은유’ 중 어떤 은유가 작용하였는가에 따라 분류·분석하였고, 환유가 작용한 전의(轉義)합성명사는 확대지칭의 경우와 축소지칭의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또한 은유와 환유가 동시에 작용한 예들은 별도로 묶어서 설명하였다. 이 장에서는 앞에서 제시한 내용들을 실제로 적용·검증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또한 본고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은 전의(轉義)합성명사의 목록을 Ⅳ장에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Ⅴ장은 결론 부분으로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고 남은 문제를 제시하였다. 결국 본고는 전의(轉義)합성명사의 형성에 인간의 인지기제인 은유와 환유가 작용하여 의미 전이가 일어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이를 밝히려 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This is a study of the formations of some modern Korean compound nouns and their transferred meanings from the cognitive semantic point of view. The semantic formations of transferred compound nouns were previously considered rather impervious to systematic analyses. The outline of my study is as follows. The first chapter, introducing the scope and the research history of the subject prepares a re-investigation of the concept of compound nouns and their usual classifications in the second chapter in order to elucidate a semantic study of the compound nouns. It is required of us to give a new definition to the transferred compound nouns in reference to their basic meanings and shifted meanings in the second chapter. Further examination of the formation and mechanism of the transferred compound nouns in the third chapter leads to a discovery of certain changes in the original basic meanings in the words in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through their newly acquired metaphoric and metonymic connotation. Briefly I examined the general theory of the formational mechanism of metaphors and metonymies from the cognitive point of view before I bring out concrete examples of the compound nouns. In the fourth chapter, I analyze the formation of transferred compound nouns and the phases of semantic changes in the given data. I have tried to show three types of transformational meanings, deriving from transferred compound nouns, first two through the use of either metaphor or metonymy, the last relying on both metaphor and metonymy. I have analyzed transferred compound nouns in the making for their formational mechanisms from the cognitive semantic point of view. The semantic changes occur mainly due to metaphoric and metonymic functions of the compound nouns under review. My analytical frame work necessitates a categorization of metaphors into ‘orientational metaphors, ontological metaphors, structural metaphors, and objective metaphors’ in order to elaborate their actual characteristic usages. I also explain the compound nouns affected by the metonymies both in their extended designations and reduced designations. In the last chapter, I present the summary of this paper and direction of following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