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잔향수조에서의 수중음원 음향파워 측정 기법에 관한 연구

        황장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음향파워는 수중음원의 음향특성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서 일반적으로 자유음장조건에서 평가하는 것이 용이하다. 하지만 자유음장조건을 구현할 수 있는 무향수조는 설치 및 운용에 많은 제약이 있으므로 보다 실용적인 측면에서 확산음장조건이 구성된 잔향수조에서의 음향특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잔향수조 내부 수중음원의 음향파워를 측정할 수 있는 기법들을 평가‧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잔향음장에서 잔향시간 및 잔향수조도를 활용하여 실용적으로 음향파워를 측정할 수 있는 기법들에 대한 검증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음원의 가진 신호 종류가 음향파워 측정 시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백색소음, 펄스신호를 가진 신호로 사용한 경우의 음향파워 측정 기법별 음향파워 평가 결과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한편, 신뢰성 높은 음향파워 측정을 위하여 계측 지점 선정이 음향파워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경계조건을 달리 적용한 음장모델에 대한 수치해석을 통해 잔향수조 벽면 강성이 잔향수조도 기반 측정 시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수중운동체에 대한 축소모형시험을 수행하여 지향성 음원에 대한 상기 측정 기법들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철도차량에서 방사되는 음향파워 추정

        이영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2

        Sound pow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to predict and evaluate the noise emitted from the noise sources. But it has been used developing the indirect method to calculate the sound power by using the sound pressure levels measured by lots of researchers because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sound power directly during the running of rolling stock. This method, however, is not considered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for each type of noise sources so, it should calculated the sound power considering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for each type of noise sources in order to calculate the precise value of the sound power emitted from the noise sources. This thesis measured the running noise of EMU, Mugunghwa, KTX trains operating domestically, selected the propulsion noise and rolling noise among the main noises in the whole noises emitted from rolling stocks, suggested the way to assume the sound power reflecting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modelling suitable for each rolling stock characteristics, checked out the validity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assumption method, and concluded the following results next below. Rolling noise depending on the contact between wheel and rail modeling as the form of point source listed continuously noise source for rolling stock and the propulsion noise depending on the propulsion equipment such as engines & motors are separated and then we suggested the way to assume the sound power about each type of noise source considering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for each noise source.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of the sound power about the domestic rolling stocks using the assumption method of sound power suggested by this study, we figured it out that the sound power was ranked by Mugunghwa, EMU, KTX in sequence in the range of the same speed. The reason why was the sound power of diesel engine was bigger than electric propulsion equipment like motor block and the rolling stock structure & design difference just like the main cause of the rolling noise such as the number of bogies and difference of suspension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ound power, Mugunghwa train has big propulsion noise emitted from diesel engine compared to rolling noise, KTX train has the big propulsion noise since the sound power of motor block compared with diesel engine is low relatively and has a number of noise sources of propulsion. We checked it out that the sound power considering the moving effect of noise sources while high speed rolling stock like KTX was running at the rate of 300km/h should be calculated and then the results are united. Using the noise measurement of domestic rolling stocks & analysis result, this study showed the validity of the assumption method of the sound power showing the identical result after reviewing the calculation method of sound power according to the assumption method of the sound power suggested and foreign experience. 음향파워는 소음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소음의 예측 및 평가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그러나 철도차량이 주행할 때 음향파워를 직접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가 측정된 음압레벨을 이용해서 음향파워를 계산하는 간접적인 방법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소음원별 방사특성이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음원으로부터 방사되는 음향파워의 정확한 값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소음원별 방사특성을 고려하여 음향파워를 계산하여야 한다. 이 논문은 국내에서 운행하고 있는 전기동차(EMU), 무궁화열차, KTX열차의 주행소음을 측정하고, 철도차량에서 방사되는 소음원 중 주소음원을 동력소음과 전동소음으로 선정하고 각각의 차량특성에 맞는 모델링과 방사특성을 반영하여 음향파워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추정방법에 대한 비교를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철도차량을 음원이 연속적으로 나열되어있는 점음원 형태로 모델링하여 차륜과 레일의 접촉에 의한 전동소음과 엔진 및 모터 등 동력장치에 의한 동력소음으로 분리하고 소음원별 방사특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소음원에 대한 음향파워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향파워 추정방법을 이용하여 국내 철도차량에 대한 음향파워를 계산한 결과 동일한 속도영역에서는 무궁화열차, 전기동차, KTX열차 순으로 음향파워가 작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디젤엔진이 모터블럭 등 전기동력장치보다 음향파워가 크고 전동소음의 주 소음원인 대차의 수와 현가장치의 차이 등 차량구조 및 설계 차이에 인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음향파워를 분석한 결과, 무궁화열차는 전동소음에 비해서 디젤엔진에서 방사되는 동력소음의 기여도가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KTX열차는 동력소음에 비해서 전동소음의 기여도가 크게 나타난 것은 디젤엔진에 비해 모터블럭 등 전기동력장치의 음향파워가 상대적으로 작고 차륜과 레일의 접촉에 의한 전동소음의 소음원 개수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KTX와 같은 고속열차가 300㎞/h 이상으로 주행할 때에는 소음원의 이동 효과를 고려하여 음향파워를 계산하여야 측정결과와 일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국내 철도차량의 소음 측정 및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음향파워의 추정방법과 국외의 경험에 의한 음향파워 계산방법을 비교 검토한 결과 거의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어 본 음향파워 추정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4톤급 지게차 소음 분석 및 저감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Noise Analysis and Reduction of Four-ton Class Forklift

        최대식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69

        본 논문은 지게차 음향파워레벨 및 운전자 소음저감에 관한 연구이다. 지게차의 냉각홴은 열교환기 냉각을 위해 유량이 중요시되며,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냉각홴은 지게차 음향파워레벨 및 운전자 소음에 기여도가 높은 주요 부품으로 음향파워레벨 저감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날개 익형 및 홴 형상에 따라 공기역학적 및 음향학적 특성이 변화되어 최적 설계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변형조, 이준표 등의 선행 연구에 이어 냉각홴 유량 성능 및 소음저감을 최종 검증한 내용이 내포되어 있다. 최적 설계를 위해 자연 모사를 통해 독수리 날개 익형을 적용한 냉각홴을 소음실험 및 분석하였으며 실차에 설치한 운전자 소음 및 음향파워레벨 저감에 대한 실험 및 주파수 분석이 내용이 내포되어 있다. 또한, 유량 성능 향상 및 소음저감이 된 개발된 냉각홴은 지게차의 열관리 시스템 효율이 향상되며, 음향파워레벨을 줄이게 되었다. 추가로 운전자 소음을 줄이기 위해 음향카메라 실험으로 캐빈 내로 유입되는 엔진룸 방사 소음 위치에 흡·차음재를 부착한 결과 운전실 소음을 줄이게 되었다. 이는 건설기계부품연구원 종합시험센터에서 소음실험 결과를 통해 주파수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상용 프로그램 Simcenter BEM 전산 음향해석은 엔진룸 내 방사 소음이 캐빈 내에 빈틈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 특성을 파악하여 얻은 결론이다. 최종 지게차 전체 음향파워레벨은 평균 0.6dBA 낮아졌으며, 운전자 소음은 5.4dBA 저감 하게 되었다.

      • 고소음 건설기계 소음표시의무제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이성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정온한 생활환경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있다. 특히 주거지역 부근의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기계에서 발생되는 소음에 대한 민원은 소음관련 민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실정이다. 유럽등 각 선진국에서는 자국 국민의 건강 및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고소음을 발생시키는 건설 기계에 대해서 소음 인증제를 채택하고, 외국에서 제작된 건설기계에 대해서는 더욱 까다로운 수입 규제를 시행하는 등의 엄격한 관리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건설기계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고소음 건설기계의 소음표시 의무제 도입방안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수요가 많은 건설기계 현황을 조사하고, 인구 밀집지역에 사용되는 기계 중 음향파워레벨이 100dB(A) 이상인 기계를 검토하였다. 유럽의 경우 소음한도를 법으로 정하여 인증을 요하는 기계는 22종, 소음표시만 하는 기계는 41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므로, 국내의 장비 현황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소음표시 의무제 대상장비로 13종을 선정 추천하였고, 소음인증제 대상장비로 7종을 선정 추천하였다. 소음인증제 대상장비의 배출소음 허용기준의 제시는 Directive 2000/14/EC 법률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선정된 장비중 굴삭기, 도우저 및 로우더에 관련 측정방법은 ISO기준을 통해서 측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With the improvement of living quality, people's desire for quiet living environment keeps increasing In particular, complaints about the noise emission by constrcution equipments around residential areas take most part of the noise related complaints. In this study, noise marking obligation system for the high noise construction equipment have been proposed to reduce the noise level and protect the well-being of citizens. For this purpose, construction equipment used in the country were surveyed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European Directive/2000/14/EC. As results, 13 kinds of construction equipment were proposed for the obligated noise marking, while 7 kinds of construction equipment were proposed for the equipment subject to permissible noise level, thus the obligated noise marking and certification.

      • 고해상도 압축성 대와류모사 기법을 이용한 파일럿 밸브 공력소음 분석 및 저감

        김규남 부산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0

        본 논문에서는 대와류모사법을 기반으로 배관 내 파일럿 밸브 유동에 의한 공력소음을 직접 모사할 수 있는 수치적 방법론을 개발하고 다공 평판을 이용한 밸브 공력소음 저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고해상도의 비정상 압축성 대와류모사 기법을 이용하여 밸브 후류에서 발생하는 공력소음과 이의 배관내 전파를 예측하였다. 수치해석방법의 유효성을 예측한 벽면 압력 스펙트럼과 측정값과의 비교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추가로 배관 후류 방향으로 대류를 하는 유동 섭동과 유동장에 중첩되어 전파해 가는 음향파의 파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밸브 유동 소음 저감을 위해, 다공 평판과 오리피스 평판을 설계하고 밸브 후류에 설치하여 동일한 수치해석 방법을 통해 배관 후류 방향으로 전파하는 음향파워를 분석하였다. 수치해석결과를 바탕으로 오리피스 평판의 경우 오히려 소음을 증가시키지만 다공 평판을 밸브 후류 방향으로 밸브 직경의 6 배, 10 배 떨어진 곳에 설치했을 때, 음향파워가 각각 9.3 dB 와 7.9 dB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동일한 다공 평판을 제작하여 동일한 위치에 설치하고 측정한 배관 벽면 압력 스펙트럼의 경우 각각 6.9 dB 와 5.7 dB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 (The) study for acoustic air-borne noise reduction and radiated noise analysis of CD-ROM

        이재승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3 국내석사

        RANK : 248603

        소음을 유발하는 대부분의 기계들은 진동, 즉 표면의 진동에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음향학적 소음 에너지는 주파수 대역에서 볼 때 가진에 관련된 주기적인(Harmonic) 부분에서 집중된 분포를 보이게 된다. 앞서 말한 구조소음 (Structural-borne noise)의 저감 방안으로는 방진 및 표면 압력의 감소 등을 통해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공기역학적으로 생성되는 소음의 경우는, 비교적 고주파 대역에서 구조 소음의 경우와는 다르게 에너지 분포가 주기성을 찾아보기 어려우며 넓은 주파수 대역에 고루 분포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공력소음 (Air-borne noise)의 경우 소음원의 위치와 크기에 대해서 결정짓기 어려운 현실이다. 실제, 난류 및 와류 유동의 해석이 정확한 공력소음해석을 위해 필요하지만, 그것은 단순한 형상의 해석에서조차 많은 방정식 및 매우 긴 해석시간을 초래하게 된다. 현재, 근사적 접근(Approximate Approach) 방식이 앞서 말한 계산량 및 시간의 증가에 따른 해석 지연문제에 있어 대처 방안으로 실제 팬소음 (Fan noise)의 해석등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CD-ROM의 소음 해석을 위해 회전하는 디스크의 표면근방에 점음원의 배열을 통한 방식이 적용된다. 이러한 방법의 수행을 위해, 회전 시 유동의 난류 천이구간 및 각 음원의 크기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게 된다. 난류 천이 구간에 대한 측정은 회전동력 소비량과 모멘트의 증가율의 변동을 바탕으로 수행되며, 디스크의 회전 조건은 최고 임계회전수인 10,200rpm로 지정한다. 또한, 음향 파워분포에 대해서는 각각 지름이 다른 디스크를 실험함으로써 회전 면적 증가에 따른 소음의 증가추이를 통해 그 수치를 지정한다. 마지막으로, 음원 배열 모델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수치와 실험적 결과의 비교를 통해 접근방식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Most industry machines generating acoustic noise are closely related with vibration, exactly vibrating surface. So in this case, acoustic noise energy accumulates at the frequency of vibrating harmonic points. Reducing this kinds of structuralborne noise could be effective by reducing the amplitude of vibration or surface force. But aero-dynamically generated noise has non periodic acoustic noise distribution at the relatively high frequency range. By the reason, air-borne noise is difficult to define noise sources in a side of location and magnitude. Actually, turbulence and vortex analysis are needed for exact solution of air-borne noise, however it also needs a large amount of calculating time and equations even in the simple geometry of test body. Present, approximate approach is used in case of fan noise analysis for overcome of the problem. In this sturdy, the air-borne noise from rotating disk is analyzed by point sources array near the moving disk surface. For executing this method, the transition region and magnitude of each noise source could be defined in preceding. Transition region is analogized by the rotating power consumption and the slope of moment increment, when disk rotates in 10200rpm. Also the acoustic noise power distribution through the radius of rotating disk is defined by detecting each different test disks. At last, the designed source array model is simulated by computer,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 무대 음향 시스템 설계에 적용할 전류 용량에 관한 연구 : 파워소프트 T5 파워 앰프의 전력 사용량을 중심으로

        김용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19

        무대 음향 시스템 설계에 적용할 전류 용량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무대조명 ․ 음향전공 김 용 현대 무대 음향 시스템은 SR시스템으로 음향적인 요소와 전기적인 증폭을 통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전기 음향 시스템이기도 한다. 전기 음향은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시스템이기도 하다. 전자기기를 활용하는 증폭 시스템은 전기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질적인 지식을 필요로 한다. 직류 전압과 교류 전압의 차이와 교류 전압의 실효값을 구하는 공식을 논하고, 전자기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압범위가 공급자 측면과 프로 음향기기 측면에서 어떻게 다른지에 대하여 이유를 들어 설명한다. 전압과 전류가 비례관계이며, 소비전력 역시 비례관계이다. 전류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소비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기 음향 시스템에서 소비전력이 가장 높은 장비는 파워 앰프이다. 파워 앰프의 소비전력을 구할 때 전압, 전류, 저항의 전기 지식을 필요하며, 소비전력에 따른 안전한 전원선 굵기를 무대 음향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은 필수요건이다. 파워 앰프가 증폭하는 것은 어쿠스틱 소리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교류 전기 신호이다.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청주파수 대역은 10옥타브에 3디케이드 이다. 소리의 속도는 온도에 따라 변동되지만 이를 340m/s로 했을 때, 가청주파수의 파장은 17m ~ 1.7Cm 이며, 파워 앰프가 구동하는 라우드 스피커가 이 모든 대역의 주파수를 구동하게 되면 음질 왜곡이 발생하므로 가청주파수를 2 ~ 4개 구역으로 나누고 각 밴드별로 다른 크기의 유닛을 사용하여 왜곡을 최소화 시킨다. 라우드 스피커에서 출력된 소리를 측정하는 음압은 사람이 가장 작은 소리로 인지하는 20μPa을 0dBSPL으로 하는 상대적인 단위이며, 출력이 2배될 때 3dB가 증가한다. 스피커의 감도와 파워 앰프의 출력이 주어지면 출력 음압을 계산하여 낼 수 있다. 파워 앰프는 대출력을 내는 만큼 소비전력도 높다. 고출력 파워 앰프의 종류가 많아지고, 디지털화된 많은 수량의 파워 앰프가 현장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정확한 소비전력 계산이 중요하지만 정확한 안내 지침이 없다. 출력이 5,000Watt인 파워 앰프 소비전력은 효율 등을 고려했을 때 5,000Watt 이상의 소비전력이 사용된다. 그리고 220Volt를 사용하는 우리나라는 약 23A 이상의 전류를 사용한다고 볼 수 있는데, 계측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실제 사용량은 이보다는 많이 적다. 이는 소리 신호의 크러스트 팩터를 적용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소리 신호는 피크 값과 실효 값 사이에 비가 4배 ~ 10배, 12dB ~ 20dB이다. 1/20초 ~ 1/20,000초의 순간적인 피크 값은 5,000Watt가 될 수 있어도 평균 출력은 12dB ~ 20dB가 낮은 1/16 ~ 1/100이 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평균 출력과 피크 출력의 비를 표시하는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 역시 12dB ~ 20dB 차이가 나며 16배 ~ 100배가 된다. 실험에 사용될 라우드 스피커와 파워 앰프의 스펙을 기준으로 파워 앰프 출력에 따른 스피커 출력과 파워 앰프 전류 사용량을 예측한다. PAPR과 파워 앰프의 효율을 적용한 도표를 만들어 음압과 파워 앰프의 출력 관계, 파워 출력과 소비전력, 소비전력과 소비전류의 비례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음압별 이론적인 전류 사용량을 추정한다. 전원만 연결했을 때 소모되는 대기 전류까지 적용하여 이론적인 소비 전류량을 분석한다. 이론적인 전류 사용량과는 별도로 측정 장비를 사용하여 실제 사용 전류를 측정한다. 이 때 사용될 라우드 스피커와 파워 앰프를 측정할 방법을 규정하고, 측정에 사용될 음원의 주파수 분포를 분석한다. 이론값으로 예측되어진 음압에 따르는 전류량을 측정 장비를 통하여 계측하고 데이터화하여 분석 자료를 만든다. 그리고 이론과 실제적인 값을 비교 분석한다. 분석되어진 내용을 바탕으로 오차 값에 대한 원인을 설명하고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파워 앰프의 소비전력에 대한 권고치를 도출해낸다. 마지막으로 권고치를 중심으로 무대음향 설계에 사용될 전기사용량을 제시하면서 본 논문의 결론을 맺는다. ABSTRACT A study of current capacity on stage sound reinforcement system configuration Yong, Kim Dept. of Scenography & Production design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Modern stage acoustic system is referred as sound reinforcement system because it is consisted of acoustics and electric signal amplification. Electronic equipment is used in sound reinforcement. Operating electronic devices in this system requir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This paper presents a research about differences between alternating current (AC) and direct current (DC) and discuss a formula of calculating root-mean-square (RMS) value of AC. It is also explained that why voltage range varies from electricity provider to professional audio devices with demonstrating examples. Voltage is directly proportional to current, as well as power consumption. Therefore, increasing amount of current used means increasing power consumption. In stage sound reinforcement system, power amplifiers have highest power consumption. When calculating power consumption of power amplifiers, knowledge in electricity, such as voltage, current and impedance are required. Also, it is necessary to choose right power cable with appropriate wire gauge based on power consumption. What power amplifier amplify is electric AC signal converted from audio signal. The human hearing range is given as 10 octaves with 3 decades. Speed of sound varies with temperature but assuming it is 340m/s, wavelength of audible frequency bands is 17m to 1.7 cm. When a loudspeaker produces v every frequencies in hearing range simultaneously, output audio signal is distorted. To minimize such problem, loudspeakers are consisted of 2 to 4 different sized speaker units and each unit is dedicated to produce certain bandwidth. Loudspeaker`s output level is measured by relative scale decibel. Minimum audible sound is defined as 0dBSPL, equivalent to 20μPa. If output is doubled, decibel is increased by 3. If loudspeaker`s sensitivity and power amplifier`s output value are given, output sound pressure level can be calculated. A power amplifier has high power consumption because it amplifies low-power signal to high-power signal. In modern sound reinforcement system, it tends to use a lot of power amplifiers with high output current. Thus, accurate calculation of power consumption is needed, but there is no precise guideline so far. For instance, a power amplifier has 5kw output actually consumes more than 5kw electric power. South Korea`s electric current is approximately 23A. However, actual usage is far less. This phenomenon can be understood by crest factor. Difference between Peak and RMS is 12dB to 20dB, which means peak value is 4 times - 10 times bigger than RMS value. Instantaneous peak in 1/20 to 1/20,000 second could reach 5,000 Watt. However, its average power is 12dB to 20dB lower. In other word, its average value is 16 to 100 times lower than the peak. Firstly, I estimate loudspeaker`s output power and current consumption of power amplifiers based on their official specifications. Then, make a comparative analysis sheet about peak to average power ratio (PAPR) and efficiency of power amplifiers. Comparatively analyze sound pressure level with power amplifier`s output power. In addition, make a comparison with output and power consumption. Also, estimate theoretical current usage on various sound pressure levels and analyze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current consumption and power consumption. This includes idle current consumption. Besides theoretical current consumption, actual current usage is gauged with measuring tools. Determine which loudspeakers to be used for experiment and how to measure power amplifiers. Also, analyze frequency distribution of sound source that is used for experiments. I measure current capacity in conformity to theoretically predicted. Then, I datafy and prepare analysis materials. As a result,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 theoretical data with result values. Using given data, explain causes of errors and make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power consumption of power amplifiers. Finally, I suggest actual power consumption for system configuration in stage sound reinforcement based on study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