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진로내적통제성이 진로관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유현수 명지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내적통제성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 및 진로적응성의 하위요인(관심, 통제, 호기심, 확신)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청, 세종, 대전, 전라, 경상, 대구, 울산, 부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 3학년 이상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로내적통제성 척도, 진로적응성 척도, 진로관여행동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총 271부(남성 113명, 여성 158명)가 연구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진로내적통제성, 진로적응성 및 각 하위요인(관심, 통제, 호기심, 확신), 진로관여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보고, 둘째, 대학생의 진로내적통제성과 진로적응성 및 각 하위요인(관심, 통제, 호기심, 확신)은 진로관여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며, 셋째, 진로적응성 및 각 하위요인(관심, 통제, 호기심, 확신)이 진로내적통제성과 진로관여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지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최종 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내적통제성, 진로적응성과 각 하위요인(관심, 통제, 호기심, 확신), 진로관여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진로내적통제성, 진로적응성과 각 하위요인(관심, 통제, 호기심, 확신), 진로관여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진로내적통제성이 진로적응성과 각 하위요인(관심, 통제, 호기심, 확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진로내적통제성은 진로적응성과 각 하위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내적통제성이 높을수록 진로적응성과 각 하위요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진로내적통제성은 진로관여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내적통제성이 높을수록 진로관여행동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적응성과 각 하위요인(관심, 통제, 호기심, 확신)은 진로관여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적응성 및 각 하위요인(관심, 통제, 호기심, 확신)이 높을수록 진로관여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내적통제성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 및 각 하위요인(관심, 통제, 호기심, 확신)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진로적응성은 진로내적통제성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진로적응성의 모든 하위요인은 진로내적통제성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로에 있어 내적통제성향을 가진 대학생의 진로관여행동 수준을 높이는 과정을 밝힘으로써 진로적응성에 대한 적절한 개입의 필요성을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대학생의 건강한 진로발달을 위해 진로상담에서 진로적응성의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위한 제한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adaptability and sub-factor of career adaptability(concern, control, curiosity, confi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areer locus of control and occupational eng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the questionnaires composed of internal career locus of control scale, career adaptability scale, occupational engagement scale were distributed to third year or higher students in university located in Seoul, Gyeonggi, Incheon, Gangwon, Chungcheong, Sejong, Daejeon, Jeolla, Gyeongsang, Daegu, Ulsan, and Busan area, and a total of 271 data (113 men and 158 women)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study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how a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areer locus of control, career adaptability and each sub-factor(concern, control, curiosity, confidence), and occupational engagement? Second, do internal career locus of control, career adaptability, and each sub-factor(concern, control, curiosity, confidence)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occupational engagement? Third, does career adaptability and each sub-factor(concern, control, curiosity, confidence) have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areer locus of control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and Sobel 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ging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career locus of control, career adaptability, each sub-factor(concern, control, curiosity, confidence),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ternal career locus of control, career adaptability, each sub-factor(concern, control, curiosity, confidence), and occupational engagemen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internal career locus of control on career adaptability and each sub-factor(concern, control, curiosity, confidence), internal career locus of control had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adaptability and each sub-factor, so the higher the internal career locus of control, the higher the career adaptability and each sub-factor. Next, internal career locus of control had positive influence on occupational engagement, so the higher the internal career locus of control, the higher the occupational engagement. Lastly, career adaptability and each sub-factor(concern, control, curiosity, confidence) had positive influence on occupational engagement, so the higher the career adaptability and each sub-factor(concern, control, curiosity, confidence), the higher occupational engagemen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and each sub-factor(concern, control, curiosity, confi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areer locus of control and occupational engagement, career adaptability ha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areer locus of control and occupational engagement. Meanwhile, all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career locus of control and occupational engagement.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showed the need of proper intervention about career adaptability by revealing the process of raising the level of occupational engagement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internal locus of control in their career. Based on these results, interventions of career adaptability in career counseling for healthy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were discussed,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or future studies.

      • 김승옥 소설의 서사 담론과 모더니즘적 특성 연구

        유현수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novel of Kim Seung-ok from a discursive perspective to confirm the modernistic characteristics of various factors that is inherently embedded in the text of Kim Seung-ok's novel. The discussion of the innately single distinction of Kim Seung-ok's achievements in the literature history, is expanded from the 'absolutization of individual subject's inherent world method'. The impressive point is that Kim Seung-ok's novel does not simply discover and record individuality, but provides and constructs the individual's inherent form. In the creation of Kim Seung-ok's novel, new aesthetic strategy of 'language experiment' is used as a base. This is not limited to using silky rhetorical expression for emotions and ornate style of writing. Kim Seung-ok expanded and exchanged it to the perspectives of language investigation and narrative discourse experiment. Therefore, the meaning of Kim Seung-ok's novel is built from the semantic level of the language presented along with the way of speaking and the result from the form level. In each chapter, narrative theory is used as the methodology tool for the narrative discourse analysis. Also, the common factors of modernism's aesthetic form and societal prospect are extracted from Eugene Lunn's『Marxism and Modernism』. Especially, the modernistic characteristics used in Kim Seung-ok novel is confirmed with the premise of modernism art's fundamentals, which is summarized as aesthetic self consciousness, self-reflectivity, concurrency, juxtaposition or montage technique, paradox, uncertainty-oriented, comprehensive self entity or collapse of individuality. In Kim Seung-ok's novel, a large number of characters who appear are presumed to be the result of the subject of the author. In Chapter II, the method and meaning of the imagery created by the main and minor characters is examined. Through different types of languages combination, Kim Seung-ok brings together the segregated inner sides of the subjects by making the subject's meaning unfamiliar, placing the objects and characters in interlocking manner, and analogical character's circular narrative structure. The minor characters, like the secondary digression, use the cut-in appearance method, change the novel's time and space through personal chronotope, and share the changing process that appear in grotesque beauty. The exceptional characters within the novel which make the reality unfamiliar and reflective, captures the meaning by its location and strengthens the Kim Seung-ok's novel's formativeness. In Chapter III, the method of multi-level meaning and description is confirmed by the special narrator and narration strategy of Kim Seung-ok. The interpretation of the situation and comments regarding value judgment by the untruthful narrator creates a sense of irony during the reading process. In addition, the distance of the focus and narrative point and modified frame configuration, etc. increases the incomprehension of the text. The repeated constant ideological narrative and the time modulation is also a break away from the traditional narrative approach. In the Kim Seung-ok's novel, the conventional and automatic senses are interfered, and every moment of reading, the text seems like new to make his world of work, the current time. In Chapter IV, the condition for limited comprehensive network of meaning is examined through the narration composition strategy. Kim Seung-ok's novel is filled with mythology that does not converge to the general principles and this interferes with the narrative-centered flow. Through the distribution and lax strategy, Kim Seung-ok recreates the fragment of totality to reveal the distorted cross-section of the world. Also by turning against the meaning of the previous paragraph, the arrangement of paragraphs and the insertion of changing, repeated episode insertion obscures the meaning of the text. By looking at the research above, the distinct literary world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ra is created through Kim Seung-ok's character composition method, multi-layered narrative strategy, and narrator's progress blocking. He created multi-faceted characters by rejecting the literary notion of human completeness and taking risks, to reveal the conventional causality fabrication. He captured the problems involved in modern Korea by utilizing distribution and lax strategies. Through this process, author Kim Seung-ok does not impose any moral topics. Rather, he strengthens the novel's questions through deformed configuration, author's exit and open conclusion. The meaning of the novel becomes complete from communication between the reader and the text. Hence, the works of Kim Seung-ok's is always strange and fascinating, and the text has many meaning and is multi-layered. Through these aspects, Kim Seung-ok's novel is the permanent antidote for flat realism and will become a new quantitative category to form one world; it will become a unique best practice in literature history. 본고의 목적은 김승옥 소설의 담론적 측면을 분석함으로써, 텍스트에 내재된 제반요소들이 구축하는 김승옥 소설의 모더니즘적 특성을 확인하는 데에 있다. 문학사에서 하나의 단절적 변별점으로 인식되는 김승옥의 성가는 ‘개별 주체의 내면 세계를 절대화 하는 방식’으로부터 그 논의를 확장한다. 인상적인 것은 김승옥의 소설이 단순히 개인성을 발견하고 기록한 것이 아니라, 개인의 내면에 형태를 주고 이를 구성해냈다는 사실이다. 김승옥은 소설 창작에 있어 ‘언어 실험’을 기지로 새로운 미적 전략을 활용한다. 그것은 비단 수사학적 감수성과 화려한 문체에 머무는 것이 아니다. 김승옥은 이를 언어에 대한 탐구와 서사 담론 실험의 측면에까지 확대 대입했다. 그러므로 김승옥의 소설은 명시화된 언어의 의미층위와 함께 그것을 말하는 방법과 그 결과물로서의 형식 층위에서 의미 지워진다. 본고는 서사 담론의 분석을 위해 각장에서 서사 이론을 그 방법론적 도구로 활용한다. 또한 모더니즘의 미학적 형태와 사회적 전망의 공통점을 유진 런의 [마르크시즘과 모더니즘]으로부터 축출한다. 특별히 미적 자의식, 자기반영성, 동시성, 병치 혹은 몽타주의 수법, 패러독스, 불확실성의 지향, 통합적인 개인 주체 또는 개성의 붕괴로 요약되는 모더니즘 예술의 원리가 문학작품에서 활용되는 방식을 전제로 김승옥 소설의 모더니즘적 특성을 확인한다. 김승옥의 소설에는 작가가 주제에 맞게 조형한 관념의 결정체로 추측되는 인물 형상이 대거 등장한다. Ⅱ장에서는 주인물과 부인물이 형상화되는 각각의 방식과 그 의미를 살펴본다. 김승옥은 이질적인 언어의 결합으로 대상의 의미를 낯설게 하는 방식, 객체와 인물을 교합 배치하는 방식, 유비적 인물들의 순환 서사구조를 통해 분열된 주체들의 내면을 조형해낸다. 부인물들은 부차적인 여담처럼 끼어드는 등장 방식, 자신만의 크로노토프(chronotope)로 소설의 시공간을 변형시키는 양상, 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그로테스트(grotesque)의 미학을 공유한다. 예외적 인물들이 소설 속에서 현실을 낯설게 하고 반성하게 하는 의미상의 위치를 점유하는 것은 김승옥 소설의 조형성을 강화한다. Ⅲ장에서는 김승옥이 특수한 화자와 서술 전략을 통해 텍스트의 의미를 다의적이고 중층적으로 조형하는 방식을 확인한다. 신뢰할 수 없는 화자의 상황 해석적 발화와 가치판단의 논평은 독서과정에 아이러니를 발생시킨다. 이에 더해 초점시와 서술시의 거리, 변형된 액자 구성 등은 텍스트의 불가해성을 가중한다. 일정한 관념적 서술의 반복과 시간의 변조 역시 전통적 서술 방식에서 벗어나있다. 김승옥은 소설에서 관습적이고 자동적인 감각을 방해하고, 독서의 순간마다 텍스트를 새롭게 보게 함으로 그의 작품 세계를 현재의 것으로 만든다. Ⅳ장에서는 서사 구성 전략을 통해 종합적 의미망이 저해되는 양상을 살펴본다. 김승옥의 소설에는 포괄적인 원리로 수렴되지 않는 삽화들이 가득하고, 이는 중심서사의 흐름을 방해한다. 김승옥은 분산과 방만의 전략을 통해 파편들의 총체를 재구성함으로 일그러진 세계의 단면을 드러낸다. 또한 앞문단의 의미를 배반하면서 병렬 배치되는 문단, 번복을 반복하는 에피소드의 교차 삽입은 텍스트의 의미를 모호하게 직조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대로, 김승옥은 인물 형상화 방식, 다층의 서술 전략, 서사 진행 차단의 구성 등을 통해, 이전 세대와 변별되는 고유의 문학 세계를 형성한다. 그는 다면적 인물을 조형하여 인격의 완전함이라는 고유의 문학 관념을 거부하고, 모호함을 지향하여 인습적인 인과율이 허구에 불과한 것임을 드러낸다. 또한 분산과 방만의 전략을 활용함으로 그 안에서 한국의 특수한 근대가 내포하는 문제들을 포착해낸다. 이 과정에서 김승옥은 작가로서 어떤 교훈적 주제를 강요하지 않는다. 그는 오히려 변형된 구성, 열린 결말을 통해 소설의 질문성을 강화한다. 소설의 의미는 독자와 텍스트의 소통과정에서 비로서 완성된다. 이에 김승옥의 작품은 언제나 낯설고 매혹적이다. 이러한 면모들은 김승옥의 소설을 평면적인 사실주의에 대한 영원한 해독제이자, 세계를 조형하는 새로운 질적 범주로서 문학사에 고유한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 공동주택의 거주성 향상을 위한 외단열 시스템에 관한 연구

        유현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5년 11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2020년 이후 기후변화 대응을 담은 국제협약인 파리협정을 최종 채택하였고 이는 195개의 당사국 모두에게 구속력이 있는 기후 협약으로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BAU) 대비 37% 감축을 발표하였고 건물부분에서는 26.9%의 탄소배출량을 저감하겠다고 발표해왔다. 우리나라의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23%가 건물 부분이 차지하고 있어 건물 부분에서의 에너지 절감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주거부분의 48.1%는 공동주택 중 아파트로 매년 그 증가폭이 늘고 있다. 현재 많은 아파트 현장이 내단열 시스템으로 시공되어 거주자에게 제공 되고 있으나 내단열 시스템은 태생적 한계인 열교 현상으로 인해 에너지 손실 및 결로에 의한 하자와 실내 서비스 면적과 벽체 공유 면적에서의 불리함 등 거주성의 저하로 이어져 외단열 시스템에 비하여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거주성 평가지표를 통한 분석결과의 상위 중요도 중 에너지측면과 실의 크기, 결로 하자 보수 부분을 목표로 하여 단열 열교 현상을 비교하고 실내 서비스 면적과 벽체 공유 면적, 결로 발생 위험 면적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여 거주성 향상을 위한 외단열 시스템 도입 촉진을 위한 건축 계획적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 컨설턴트의 역량이 컨설팅 성과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최고경영자의 심리적 특성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현수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컨설팅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 컨설턴트의 역량이 컨설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컨설팅 성과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고, 컨설팅 수진기업의 최고경영자의 심리적 특성이 컨설턴트역량이 컨설팅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컨설팅성과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1회 이상 컨설팅 수진경험이 있는 전국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증 분석을 통해 컨설팅 성과를 극대화 하는데 필요한 컨설턴트의 역량 요소를 규명함으로써 컨설턴트의 자질 향상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최고경영자의 심리적 특성이 컨설팅 성과 및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컨설팅 수행 시 수진기업은 물론, 그 기업의 최고경영자에 맞는 적절한 컨설팅 수단과 방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컨설팅 품질 향상과 컨설팅산업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첫째, 컨설턴트의 역량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 중 컨설팅 능력과 태도는 컨설팅 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으나, 컨설팅 지식은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컨설팅 성과는 재구매 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최고경영자의 심리적 특성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 중 위험감수성향은 컨설턴트의 능력 및 태도와 컨설팅성과 사이에 유의미한 조절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컨설팅 성과와 재구매 의도와의 관계에서도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그리고 최고경영자의 심리적 특성의 또 다른 하위요소인 성취동기는 컨설팅성과와 재구매 의도 사이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컨설팅 성과와 재구매 의도를 높이는데 컨설턴트의 역량과 최고경영자의 심리적 특성이 일정부분 유의미하게 관여되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조직지원인식이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유현수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지 조직지원인식이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지원인식이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들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변수를 투입하였을 때 나타나는 세부적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지원인식은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긍정심 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긍정심리자본은 조직지원인식과 교육효과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설정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공시대상기업집단 총 64개사 가운데 10개사 재직 중인 20대~50대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법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총 250명으로부터 받은 응답 중 불성실 한 답변 18부의 설문을 제외하고 활용 가능한 232부의 자료를 통해 실증적인 분 석을 하였다. 분석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 간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은 교육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지원인식은 긍정심리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교육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지원인식이 교육효과성 미치는 경로에서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지원인식이 높아지면 구성원들은 긍정적 인 태도로 교육에 임하며, 교육효과성은 더욱 높아진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to confirm the detailed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arameters in these relationships. By demon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we tri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a theoretical found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corporate education field.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do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Second, do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fluence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Third, do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was set to. To verify the set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workers in their 20s to 50s who were employed at 10 of the 64 large companies that regularly operate training programs for their members. Through thi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232 available data, excluding 18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answers among the responses from a total of 250 people.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t was foun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rd, it was foun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effectiveness. Fourth, the mediating effect was found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path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d educ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when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increased, the members engaged in education with a positive attitude, an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was further increased. Key word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ducation effectiveness

      • 신규간호사의 자아존중감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유현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following the reference of the nursing department, many talented are entering the area of nursing. However, because of the lack of duty performance ability and inappropriate relationships when new nurses join hospitals, their self-esteem is falling and because of that, turnover intention are increasing. Based on new nurses that have worked 1 or less than 1 year, this study understands how the self-esteem of their university years and the self-esteem of after they employed into a hospital changed. This is an investigation study to give help in developing and establishing more efficient personnel management programs by revealing the relation between the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of new nurses. Th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97 new nurses that have worked a year or less from 6, general hospitals in Seoul for a total of 2 weeks from April 1st 2010- April 14th 2010. For the measurement of self-esteem, the measurement tool that Rosenberg(1965) developed and Lee Young Ho(1993) adapted used to measure the self-esteem of university years and the present. For the measurement of turnover intention, survey items that were developed by Lawler(1981) and modified, supplemented to suit our country's state by Park Hyun Suk(2002) were used.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were shown as Chronbach Alpha values of .806 for self-esteem of the present, .795 for self-esteem of university years, and .844 for intention of changing job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SPSS 12.0 Win Program an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Looking in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average age was 23.89, the academic background had 53(54.7%) community college graduates which was the highest percentage, and 81(83.5%) responded that their current duty station aren't the same as the practical hospital in university years and showed that most of them were adapting in new environments. 47(42%) responded that their motive of selecting nursing was because 'guarantee of employment', 25(22.3%) responded because of 'recommendation from family and relatives' and showed many realistic reasons. For the items asking about educational methods for new nurses, a majority of 96(99.0%) responded that they have received formal orientations. For departments, 44(45.4%) worked 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surgery, and 67(69.1%) responded that their current department and their 'desirable department' corresponded. 2. The average grade of self-esteem of university years and the present of new nurses were 3.01(±0.29), 2.59(±0.36), respectively, which showed that the self-esteem of university years were higher.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were t=-10.495, p=.000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 level of the turnover intention of new nurses showed to be 3.09(±0.79),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average, and new nurses with turnover intention were more than majority of 60 nurses(60.8%). The main reason was lack of nursing ability(40.6%) and conflict due to relationships(39.1%). 4.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self-esteem and turnover intention in new nurses was r=-0.277(p=.006)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us, higher self-esteem showed low turnover intention. New nurses that had lower self-esteem than their university years were 81.4%, 79 of the total and the average grade of turnover intention was 3.16(±0.72). New nurses that had didn't have lower self-esteem than their university years were 18.6%, 18 of the total and the average grade of turnover intention was 2.79(±1.02). Thus, new nurses that had lower self-esteem showed high average grades of turnover intention. After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s showed to be t=1.813, p=0.073.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sent self-esteem of new nurses has fallen compared to their self-esteem in university years and that changed self-esteem is a factor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There up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basic data for efficient personnel management to heighten the self-seteem of new nurses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ir self-esteem in hospital organizations, respecting new nurses in wards, and giving help in developing a caring organizational culture. 최근 간호학과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인재들이 유입되고 있으나, 신규간호사는 병원에 입사하여 업무수행능력 부족과 부적절한 인간관계로 인해 자아존중 감이 떨어지고, 그로 인해 이직의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년 이하의 신규간호사들을 대상으로 대학시절 자아존중 감과 병원 입사 후 자아존중 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파악하고, 신규간호사의 자아존중 감과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밝혀 병원에서 보다 효율적인 인사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서울의 6개 3차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1년 이하의 신규간호사 97명을 대상으로 하여 2010년 4월 1일 - 2010년 4월 14일 까지 총 2주간 설문 조사하였으며, 자아존중 감 측정을 위해서 Rosenberg(1965)가 개발하고 이영호(1993)가 번안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대학시절과 현재의 자아존중 감을 측정하였고, 이직의도 측정을 위해서 Lawler(1981)가 개발하고, 이를 박현숙(2002)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한 설문항목을 사용하였다.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 Alpha 값이 현재의 자아존중 감 .806, 대학시절의 자아존중 감 .795, 이직의도 .844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평균연령은 23.89세이며, 학력은 전 문대 졸업이 53명(54.7%)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학시절 실습병원과 현 근무 지가 동일하지 않다는 경우가 81명(83.5%)으로 대부분 새로운 환경에서 적응 을 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간호 직을 선택한 동기는 ‘취업이 보장되어서’ 47명 (42%), ‘가족과 친지의 권유로’ 25명(22.3%)으로 나타나 현실적인 이유가 많았고, 신규간호사 교육방법을 물어본 문항으로는 정규적인 오리엔테이션 을 받은 경우가 96명(99.0%)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부서는 내과 및 외과 계 병동이 44명(45.4%)으로 가장 많았고, 희망부서와 현재 근무하는 부서와의 일치 여부는 ‘희망했던 부서’가 67명(69.1%)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2. 신규간호사의 대학시절 자아존중 감은 평균평점 3.01(±0.29), 현재 자아존중 감의 평균평점은 2.59(±0.36)로 나타나 대학시절의 자아존중 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두 집단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t=-10.495, p=.000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 정도는 평균평점 3.09(±0.79)로 나타나 중간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이직의도가 있는 신규간호사는 60명(60.8%)으로 과반 수가 넘게 나타났다. 이직의도 이유로는 간호수행능력 부족과(40.6%), 인간관 계로 인한 갈등(39.1%)이 주요한 이유였다. 4. 신규간호사의 자아존중 감과 이직의도의 상관계수는 r=-0.277 (p=.006)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자아존중 감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시절의 자아존중 감에 비해 현재의 자아존중 감이 떨어진 신규간호사의 경우 79명으로 전체의 81.4%를 차지하며, 이직의도가 평균평점 3.16(±0.72)을 나타냈으며, 대학시절의 자아존중 감에 비해 현재의 자아존중 감이 떨어지지 않은 신규간호사의 경우 18명으로 전체의 18.6%를 차지하며, 이직의도는 평균평점 2.79(±1.02)를 나타냈다. 즉 자아존중 감이 떨 어진 신규간호사의 경우 이직의도 평균평점이 높게 나타났다. 두 그룹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t=1.813, p=0.073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신규간호사의 대학시절 자아존중 감에 비해 현재의 자아존중 감이 떨어졌음을 확인하였고, 변화된 자아존중 감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조직에서 신규간호사들의 자아존중 감 중요성을 인식하여 신규간호사들의 자아존중 감을 높이기 위해 효율적인 인사관리를 하고, 병동에서 신규간호사들을 인격적으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조직문화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한국무용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조사연구

        유현수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survey the public’s perception of and preference for Korean dances, to examine how much Korean dances have been popularized among Korean people and how they are perceived by the public, and to suggest plans to activate Korean dances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From this results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as to the perception of the value of culture and art and Korean dances, women perceived the necessity of Korean dances somewhat higher than men. As to the necessity of culture and art according to father’s academic qualification, the perception was higher when father’s academic qualification was high. As to the necessity of Korean dances according to father’s occupation, the perception was higher in the miscellaneous worker group than in the agricultural worker group and the industrial worker group. Second, as to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Korean dances in terms of whether to have watched Korean dances, whether to have learned Korean dances, the place of education and the motive for experiencing Korean dances, men’s perception was much higher than women, but perception in terms of impression on Korean dances that they had watched was much higher in women than in men. According to father’s academic qualification, the perception of Korean dances in terms of whether to have watched Korean dances was higher when father’s academic qualification was high, and according to father’s occupation, it was higher in the industrial worker group than in the agricultural and miscellaneous worker groups. Third, as to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dances, men showed higher perception of Korean dances than women in term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types of Korean dances,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court dances and folk dances and Korean dances as a means of international exchange. According to father’s academic qualification, the perception of Korean dances in terms of the creation of commercial added values was higher in the graduate school and higher group than in the middle school graduate group. According to father’s occupation, the perception of Korean dances in terms of the role of Korean dances in developing creativity was higher in the industrial worker group and the commercial worker group than in the service worker group, and the perception of Korean dances in terms of leisure culture and public welfare was higher in the commercial worker group and the miscellaneous worker group than in the agricultural worker group. The Korean dance perceived most by the public was fan dance (50.8%) and next in order of mask dance (34.1%), Salpuri dance (32.7%), sword dance (31.1%) and Chunaeng dance (2.7%). Fourth, as to difference in the public’s expectation from Korean dances, the perception of the value of Korean dance performance according to father’s academic qualification was higher in the middle school graduate group than in the elementary school graduate group. The perception of Korean dances in terms of admission fee was higher in the elementary school graduate group than in the high school graduate group and the graduate school and higher group. According to father’s occupation, the perception of Korean dances fit for the audience’s desire and characteristic was higher in the miscellaneous worker group than in the industrial worker group. Fifth, as to difference in the public’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Korean dances, men were higher than women in their interest in Korean dances, perception of Korean dances as cultural life, intention to watch performances, and intention to recommend and educate Korean dances. According to father’s academic qualification, interest in Korean dances and intention to watch Korean dance performance were higher in the middle school graduate group than in the elementary school graduate group. According to father’s occupation, the perception of Korean dances as cultural life was higher in the miscellaneous worker group than in the agricultural worker group, and in the commercial worker group than in the service worker group. Intention to watch Korean dance performance was higher in the miscellaneous worker group than in the service worker group, and in the civil servant group than in the miscellaneous worker group. And interest in Korean dances was higher in the service worker group and the civil servant group than in the agricultural worker group, and in the commercial worker group and the miscellaneous worker group than in the industrial worker group. Intention to recommend and educate Korean dances was higher in the service worker group and the miscellaneous worker group than in the industrial worker group.

      • 강남 3구 소형 오피스텔 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헬스시설과 주차방식을 중심으로 : 헬스시설과 주차방식을 중심으로

        유현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an analysis conducted on the officetel market in 2022 within three districts of Seoul's Gangnam area, namely Gangnam-gu, Seocho-gu, and Songpa-gu. These regions are pivotal as commercial and financial hubs in Korea, where the officetel market plays a significant role. The aim of the research is to comprehend the current state of the officetel market in these districts, detect shifts in residential patterns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post-COVID, and particularly analyze how community aspects, often overlooked in officetel studies compared to apartments, impact this market. The study delves into the influence of community facilities such as cost-effective gyms and the type of parking system (automated or manual) on officetel pricing. Gyms in officetels, predominantly provided as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community, offer residents convenience and support a healthy lifestyle. The current younger generation, being the primary consumers of officetels, places significant value on gyms, prioritizing them over external options due to cost-effectiveness and convenience in terms of time and lifestyle. Furthermore, companies residing in officetels also install gyms for employee welfare. Another critical community facility in officetel choice is the manual parking system. Manual parking offers several conveniences over automated parking, such as ease of multiple daily entries and exits, lower risk of accidents, and reduced operational costs due to the absence of staff wages. The study focuses on the presence of gyms and manual parking systems as key in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the officetel market in Gangnam, Seoul's region with the highest job density and population flow. The Hedonic pricing model was used for the analysis, examining 2,330 transactions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real transaction price data in 2022, excluding transactions that were canceled, office-specific, located in redevelopment areas, or in buildings over 30 years old where residential value had diminished, leaving only land value.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the gym and manual parking system positively influence officetel sale prices. Considering the ongoing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demographic changes, it is anticipated that future officetels will become larger, similar to apartments, and include a wider array of community facilities. 강남3구 오피스텔 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헬스시설과 주차방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서울의 강남 지역에 위치한 3개의 구, 즉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의 2022년 오피스텔 시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제시한다.. 이 지역은 한국의 상업 및 금융 중심지로서 오피스텔 시장이 중요한 역할 을 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강남 3구 오피스텔 시장의 현재 상황을 파 악하고, 코로나이후 더욱 증가하고 있는 1인가구와 이에 따른 주거형태의 변화를 감지하며, 특히 아파트에 비해 오피스텔 분석에서 소홀하게 다루 어졌던 커뮤니티가 어떻게 오피스텔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커뮤니티 시설 중 입주자가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오피스텔 커뮤니 티 시설로써의 헬스장 그리고 주차장이 자주식인지 기계식인지의 여부가 오피스텔의 가격 형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오피스텔 내에 헬스장이 있는 경우, 이는 주로 커뮤니티의 편의 시설 로 제공된다. 이러한 헬스장은 거주자들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현재 젊은 세대는 건강과 몸매에 대한 관심을 많이 가지며, 건강한 라 이프스타일과 몸매 관리에 주목하는 경향이 이전세대보다 훨씬 강하다. 이에 따라 오피스텔의 주 수요층인 미혼의 젊은 세대들은 헬스장을 상당 히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물론 단지 밖의 헬스장을 이용할 수도 있지 만 비용문제와 샤워시설, 운동복, 수건을 따로 챙겨야하는 번거로움이 많 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비용측면에서 또한 생활면에도 효율적인 커뮤니티 시설의 헬스장을 선호한다. 또한 오피스텔에 입주해 있는 회사들도 직원 복지를 위해 건물 내에 헬스장을 설치하고 운영하기도 한다. 오피스텔에 입주할 때 커뮤니티시설로서 중요한 것 또 한 가지가 자주 식 주차장이다. 자주식 주차장은 기계식 주차장에 비해 몇 가지 편리한 점이 있다. 이러한 편의성은 주차장 관리 및 차량 소유자들에게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가장 큰 이점은 자주식 주차장은 차량을 하루에 여러 번 주차장에 입 차와 출차 하는 것이 편리하다는 점이다. 또한 기계식 주차장에서 종종 사망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비용 측면에서 기계식 주차장은 상주 하는 관리인의 인건비 비용이 발생하는 반면에 자주주식 주차장은 따로 인건비가 발생하지 않는다. 위의 두 가지 커뮤니티시설로서의 헬스장 유 무와 자주식 주차장 유무를 핵심 독립변수로 하여 서울에서 가장 일자리 가 많고 유동인구가 은 강남3구의 오피스텔 시장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은 헤도닉가격분석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실제 2022년의 강남3 구 오피스텔 실거래 가를 국토교통부 실거래 가를 다운받아 거래가 취소 되었거나 오피스전용인 경우, 재개발 지역에 포함되어 멸실된 경우, 준공 후 30년 이상이 되어 주거가치는 거의 소멸되고 토지가치만 남아있는 경 우 등을 제외하고 총 2330건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커뮤니티 시설 내 헬스장과 자주식 주차장 모두 오피스텔 매매가격에 양(+)의 영향 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1인가구가 계속 증가하는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향후에 지어지는 오 피스텔은 좀 더 대형화되어 아파트와 유사한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을 갖 추게 될 것이라 예상해본다. 주제어 : 강남3구, 오피스텔, 헬스장, 자주식 주차장, 헤도닉가격 모형

      • 현대의 진단서 : 이상 문학에 나타난 중첩의 양상

        유현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이상 문학 텍스트(시·소설·수필)에 상당히 만연해 있는 병리적 모티프와 의학적 모티프를 종합적으로 연구해야할 필요성이 존재한다는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출발하였고, 일찍이 김기림이 이상 문학을 ‘현대의 진단서’로 명명한 것에 입각하여 그의 전반적인 텍스트를 일종의 ‘진단서’로서 사유하고자 하였다. ‘진단’이라는 것은 크게 두 부분으로 분절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바로 병리적 증상을 포착하는 것과 치유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 그에 해당하는데, 본고에서도 그러한 임상의학적 단계성을 바탕으로 이상 문학의 진단적 성격을 ‘병리성의 발견’과 ‘치료의 모색’으로 나누어 본격적인 논의를 전개하여 보았다. 이상 문학의 진단적 성과를 세밀하게 목도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는 ‘중첩(superposition)’이라는 이론적 개념을 도입했다. 그의 문학은 소위 난해하다고 일컬어지는데, 그 난해성의 기저에는 각종 다질적 성분들이 상호 분열된 채 긴장구도를 형성한다는 점이 크게 작용한다고 보았다. 이때 ‘중첩’은 분열된 비동일적 존재들을 접합시킴으로써 그들의 관계성이 새롭게 도출되는 일종의 ‘교호작용’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이상 문학의 분열된 요소들을 상호 교호적 관계로 포섭하고 그 경계성을 사유할 수 있는 적확한 방식이라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상 문학의 ‘진단’의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중첩’의 양상을 심도 있게 고찰해 보았고, 그 세부적인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이상 문학에 틈입해있는 여러 ‘증상’들을 포착하고 유형화하여 그가 구현한 ‘병리성’의 실체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이상은 다양한 층위의 증상들을 복합적으로 앓아온 환자였다. 한 명의 병리적 개인에게 ‘중첩’된 다양한 증상들은 그를 더욱 병리적 극한으로 유도하였다. 그런데 이상은 오히려 자신의 병력을 치열하게 고민하여 솔직한 기록으로 남겨두는 것을 병리적인 세상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으로 삼아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Ⅱ장의 1절에서는 이상의 신체 내부에서 나타나는 개인적 증상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결핵’은 이상 문학의 병리적 세계관을 구성하는 기원이자 주제가 되는 증상으로서 작품 속에 실체적으로 투영되었다. 그 반영의 정황은 단순히 고통스러운 내면이 표출되는 형태가 아니라 증상의 양태가 객관적으로 형상화됨으로써 예술적 승화를 이뤄낸 모습으로 나타났다. 그의 생애를 잠식했던 위중한 질환이 충분한 성찰 과정을 거쳐 미학적으로 구현된 모종의 의지가 된 것이었다. 다음으로 살펴본 ‘성욕 과잉’과 ‘권태’는 표면상으로 감지되는 활력의 차이로 인해 서로 무관하거나 대척되는 증상처럼 인식될 수 있지만, 상당한 접점을 지닌 정신 병리적 증상에 해당하였다. 모두 ‘결핵’이 파생시키는 대표적인 2차적 증상에 속하였고, 각각 근대를 상징하는 정신 질환의 사례였다. 또한 두 증상은 이상에게 실존 인식을 불러일으키는 계기로 활용되어 왔는데, ‘성욕 과잉’은 수용하고 함몰되는 방식으로 ‘권태’는 배척하고 탈피하고자 노력함으로써 실존의 감각을 끊임없이 반추하도록 유도했던 것이었다. 그럼에도 종국에는 두 증상에 압도당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병리적 개인의 비극적 운명을 한층 강화하는 것으로 귀결되고 말았다. 2절에서는 이상이라는 병리적 주체에게 ‘중첩’된 증상의 범위를 사회적인 영역까지 확장시켜 보았다. 사회에 만연한 여러 징후들을 병리적으로 내면화하는 이상의 관찰력과 집중력은 매우 섬세하고 집요했으며, 육체적 병환의 이미지를 통해 개별 사회상의 부조리한 단면을 효과적으로 드러내었다. 우선 이상은 ‘절름발이’ 혹은 ‘절뚝발이’라는 병리적 이미지를 은유적 기표로 활용하여 사회적 관계의 비대칭성을 표현하였다. 가족관계의 부조화를 상징하는 것에서부터 남녀관계의 파행적인 표상을 형상화하는 데까지 ‘절름발이’가 반복적으로 사용되는데, 특히 남녀 간의 비대칭적 관계성은 이상 문학 전반에 걸쳐 매우 비중 있는 모티프로 자리했다. 이때 ‘절름발이’라는 불치의 형상은 이상에게 남녀관계가 회복에 대한 기대가 부재한 것으로서 병리적 필연성을 부여해주었다. 다음으로 이상이 근대인으로서 근대 도시의 부정성을 폭로하는 순간에도 병리적 상상력을 개입시킨 것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는 도시 경관 및 도시화가 야기한 사회적 현상을 관조할 때에도 실제 병리적 증상에 의거하여 비판적인 시선을 노출하였다. 이상이 부조리한 근대 도시에 신체적 자질을 부여하여 병리적 특질들을 투영시킨 시도는 자기 자신을 근대적 환자의 위치에 올려놓는 그만의 고유한 특색이자 효과적인 수사법이 되었다. 3절에서는 이상에게 다양한 증상이 ‘중첩’되어 병리적 극한으로 다다르는 모습에 더욱 초점을 맞췄다. 다수의 증상이 한 명의 개인에게 겹쳐서 발현된다는 것 자체도 증상의 ‘중첩’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지만, 이상 문학은 더 나아가 개별 작품에서부터 여러 층위의 증상을 직접 ‘중첩’시켜 제시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상은 작품 내부에서 증상이 전이되고 합병되는 맥락을 형성하고, 그 증상 간의 경계성을 통해 하나의 증상으로 환원되지 않는 모종의 ‘병리적 총체’를 만들어내었다. 증상끼리의 인접성이 미미한 신체병리 간의 ‘중첩’에서부터, 신체병리와 정신병리의 ‘중첩’, 그리고 사회병리까지 아우르는 ‘중첩’의 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주면서 깊이 있는 병리적 심화를 이룩한 것이었다. 이에 이상 문학에 나타난 증상의 ‘중첩’은 개인 및 시대에 대한 솔직한 기록이자 세계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상징하는 것으로서 그의 저항과 사투가 얼마나 고된 작업이었는지를 체감할 수 있는 지표라 볼 수 있게 되었다. Ⅲ장부터는 이상 문학이 증상을 ‘중첩’시켜 자신을 병리적 극한으로 유도하는 것과 동시에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는 ‘치료’를 모색하는 지점에 대해 사유해 보았다. ‘치료’에 대한 소망이 담겨있다는 것은 이상 문학의 진단적 성격을 방증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때의 ‘치료’라는 개념은 완전한 회복을 담보해주는 것이 아니라 치유에 대한 가능성과 불가능성 사이에서 행해지는 모종의 작업을 의미하였다. 따라서 ‘치료’는 하나의 불확실성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상 문학에서 처절한 분투와 반복된 실패의 형태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이상은 지속적으로 ‘치료’를 도모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 불확실한 과정 속에서 다양한 분열적 양상들이 파생되었는데, 각각의 분열적 자질들은 서로 ‘중첩’되어 다채로운 의미망을 형성하고 있었다. Ⅲ장의 1절에서는 ‘칼’, ‘약물’, ‘인공신체’라는 의학적 치유도구를 중심으로 치료과정 내에서 발현되는 이중적 욕망에 대해 살펴보았다. 각각의 대상물들은 ‘쇄신’을 모색하는 치료의 도구가 되면서 그와는 대척되는 무언가를 동시적으로 지향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우선적으로 ‘칼’은 수술로 환기되는 ‘치유’와 자살로 상징되는 ‘죽음’에 대한 욕망이 ‘중첩’되어 나타났다. 회복에 대한 갈망과 삶을 포기하고 싶은 태도가 한꺼번에 뒤섞인 양면성을 암시했던 것이었다. 그 중 ‘면도칼’이 작품 곳곳에서 빈번하게 등장하였는데, ‘면도’라는 행위는 사회에 이상적으로 편입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다는 측면에서 치유의 방향성과 맞닿았지만 역시나 동맥을 따고 싶다는 자살 충동을 동시에 반영하는 모습을 내포하였다. 결국 이상은 ‘칼’을 작품에서 거의 부재한 대상으로 묘사하였는데, 이는 칼에 ‘중첩’된 욕망이 분출될 수 있는 기회 자체를 박탈시킴으로써 삶과 죽음에 대한 동시적 갈망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고 그로 인해 실존적 인식을 계속 도모하려는 것에 해당하였다. 다음으로 ‘약물’은 ‘치료제’로서의 기능과 ‘독약’ 혹은 ‘환각제’로서의 기능이 공존하는 대상이었다. 이 역시 삶과 죽음의 사이에서 표류하는 존재에게 실존적인 사유를 환기시키는 것으로 작용하였고, 약물에 탐닉되는 방식이나 정도에 따라서 주체의 다층화된 욕망을 효과적으로 체감하도록 만들어주었다. 이에 이상은 스스로 그 경계적 상태인 ‘환각’을 지향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는데, 이러한 향유의 형태는 현실에 대한 도피가 아니라 도리어 현실을 직시할 수 있는 방편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인공신체’는 가장 진보된 의학적 상상력이 반영된 것으로서 ‘실존’과 ‘환상’의 개념이 ‘중첩’되어 나타났다. ‘인공신체’는 자연의 성질과 인공의 성질을 모두 갖춘 대상이라는 점에서 치유가 되었다는 환상성과 인공적인 요소에 불과하다는 현실성을 한꺼번에 자각시켰다. 즉, 완전한 자활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치유의 환상과 불안한 실존이라는 양가감정을 ‘중첩’시켜 담아내기에 ‘인공신체’는 매우 적확한 대상이었던 것이었다. 2절에서는 ‘치료’ 행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주체의 ‘중첩’을 논의해 보았다. 먼저 이상은 본인이 직접 ‘책임의사’가 되는 것을 통해 자신의 병리적 증상을 진료해줄 의학적 주체를 구성하였다. 이로써 그는 ‘환자’와 ‘의사’라는 양면적인 신분을 동시에 거느리게 되면서 자신의 병리성을 탈피하려는 노력을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거울’ 시편을 중심으로 나타난 그의 자가진단은 반복적으로 ‘실패’의 결과만을 드러냈다. 이때의 ‘실패’는 병리적 심화를 시사해주기도 했다. 실제로 시도된 치료과정에서 치유 불가능성이 대두된 것이었다. 그럼에도 ‘실패’는 의학적 장이 형성되는 조직 원리를 의미하면서 궁극적인 치유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치료의 실패는 치유 불가능성이라는 심연을 실재로서 보여주었지만, 그 치유 불가능성에도 병리적 심화와 치유 가능성에 대한 꾸준한 모색이 이중적으로 ‘중첩’되어 있는 것이었다. 결국 ‘환자’와 ‘의사’의 대면은 치유의 성패를 떠나 병리적 증상을 성찰하고 치료를 계속 시도했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한편, 들뢰즈는 의학적인 사유와 문학적인 사유가 교차되는 것을 징후학적이라 보았는데, 이상 문학은 ‘환자’와 ‘의사’라는 주체적 역할의 ‘중첩’을 시작으로 ‘작가’의 개념까지 겹쳐지는 형태를 띤다는 점에서 지극히 징후학적이라고 판단될 수 있었다. 따라서 그의 글쓰기 자체는 하나의 ‘진단서’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었고, 또 그의 기록은 반복되는 치료의 실패 속에서도 끊임없는 실존적 인식을 위해 분투한 궤적으로 남게 되었다. 이상의 투철한 의지와 사명감은 ‘죽음’마저도 그의 진단적 글쓰기를 저지할 수 없었는데, 그로 인해 이상 문학이 그의 종생 이후에도 지속될 수 있는 영속성을 획득하게 된 것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