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앉은 자세에서의 이중과제 운동이 만성 와상상태 뇌졸중 환자 체간 조절 능력과 균형 및 일상활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명성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423

        본 연구는 만성 와상상태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의 이중과제 운동과 교각운동을 비교 분석 하여 체간 조절 능력과 균형 및 일상활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총 22명으로 앉은 자세에서의 이중과제 운동군 11명, 교각운동 운동군 11명으로 무작위로 배치하고 실험에 참여 하였다. 대상자는 공통적으로 중추신경계발달치료 30분을 시행하고 앉은 자세에서의 이중과제 운동군은 교각운동 10분, 앉은 자세에서의 이중과제 20분, 교각운동 운동군은 교각운동 30분으로 구성하였고 중재는 6주간, 주3회, 하루30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의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체간 조절 능력에서는 자세조절능력(PASS)와 체간손상척도(TIS)를 이용하여 알아보았고, 균형에 대한 측정에서는 바이오레스큐(Biorescue)의 발 압력, 머리 돌리기(흔들린 면적), 물체 이동하기(환측방향), 팔 들기(흔들린 거리)를 이용하였으며 일상활동수행능력에 대한 측정은 한글판 수정 바델 지수(K-MBI)를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 PC ver.22.0을 사용하였고 독립 t-test, 대응 t-test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유의수준 α는 .05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체간 조절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측정한 자제조절능력, 체간손상척도 두 평가 모두 운동 전・후 앉은 자세에서의 이중과제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균형을 알아보기 위해 측정한 평가에서는 머리 돌리기(흔들린 면적)에서는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발 압력, 물체 이동하기(환측방향), 팔 들기(흔들린 거리)에서 운동 전・후 앉은 자세에서의 이중과제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일상활동수행능력에 대한 평가에서는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만성 와상상태 뇌졸중 환자에게 앉은 자세에서의 이중과제 운동을 포함한 단일과제 운동을 교대로 수행한다면 효과적인 만성 와상상태의 뇌졸중 환자의 운동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aims to comparatively analyze dual-task exercise in a sitting position and bridging exercise that were applied to chronic stroke patients in a bed-ridden state, and examine their effects on the patients' trunk control ability,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number of subjects was a total of 22 and they were randomly and equally assigned to a double task exercise group and a bridging exercise group. All the subjects received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for 30 minutes. The double task exercise group in a sitting position conducted bridging exercise for 10 minutes and double task in a sitting posture for 20 minutes, while the bridging exercise group performed bridging exercise for 30 minutes. The intervention was carried out 30 minutes per day, three times per week, for six week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uch exercises on the subjects' trunk control ability using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and trunk impairment scale. To measure the subjects' balance, Biorescure was employed; their foot pressure, rolling the head (sway area), moving objects (paretic direction), and raising the arm (sway distance) were measured. 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was utilized to measure the subject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Personal Computer ver.22.0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Data was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and a paired t-test.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0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postural control ability and trunk impairment scale measured in order to examine the subjects' trunk control ability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double task exercise group in a sitting posture after the exercise. Nonetheles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item of head rolling (sway area) measured to examine their balance. Meanwhile, the double task exercise group saw significant improvement in foot pressure, moving the objects (the paretic direction), and raising the arm (sway distanc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evalua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To sum up the above results, alternative performance of double task exercise and single task exercise is an effective exercise method for chronic stroke patients in a bed-ridden state.

      • 동작관찰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에서 균형과 체간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황준현 경남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422

        Background/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sitting and posture in the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were recruited 30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fter 6 months from the date of onset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selection. The subjects were compared with the exercise training physical training group and the physical training group in terms of balance and trunk control ability. Subject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0 subjects who were diagnosed with stroke. The static balance was measured using Biorescue and the dynamic balance was measured using 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 (BBS) (Berg Balance Scale). Trunk impairment scal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and trunk impairment scale. Results: Static bala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oot pressure (p <.05)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exercise training. Dynamic bala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as a result of comparing pre and post differences using 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 and BBS (Berg Balance Scale). The trunk control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exercise training in sitting position was effective for static, dynamic balance ability and trunk control ability of hemiplegic patients due to strok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motion monitoring in stroke patients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diversity and function of rehabilitation.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동작관찰훈련을 통한 신체훈련이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과 체간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선정 기준에 따라 발병일로부터 6개월 이후의 만성 뇌졸중 환자 30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선정하였고, 실험군은 동영상을 통한 동작관찰훈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은 신체훈련만 실시하였으며, 일반적인 물리치료는 두 군 모두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훈련은 주 5회, 회당 30분, 4주간 실시하였다. 앉은 자세에서의 정적 균형 및 동적 균형 평가는 바이오레스큐(Biorescue)와 수정된 기능적 팔 뻗기, 버그균형척도를 통해 시행하였고, 앉은 자세에서의 체간조절능력은 체간손상척도 와 자세조절검사를 통하여 시행하였다. 동작관찰훈련을 적용한 실험군과 신체훈련을 적용한 대조군 두 집단 간의 유의성 검정은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고, 집단 간 실험 전, 후 검정을 위해 유의성 검정은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앉은 자세에서의 정적 균형은 바이오레스큐(Biorescue)를 이용하여 동작관찰훈련을 적용 전·후 차이를 비교한 결과 발의 압력에서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두 집단 간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동적 균형은 수정된 기능적 팔 뻗기 검사(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이용하여 전·후 차이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두 집단 간의 비교에서는 수정된 기능적 팔 뻗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p>.05), 버그균형척도에서는 두 집단 간의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앉은 자세에서의 체간조절능력은 체간손상척도(trunk impairment scale), 자세조절능력검사(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를 통해 전·후 차이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두 집단 간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본 연구의 결과, 동작관찰훈련이 앉은 자세에서의 정적, 동적 균형능력 및 체간조절능력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뇌졸중 환자에 동작관찰을 이용한 접근은 재활치료의 다양성과 기능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바탕으로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뇌졸중 환자에 다양한 치료적용 방법과 적용 부위 및 적용 시간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는 다양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깊은목굽힘근 강화 운동과 교각 운동이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앉은 자세 균형에 미치는 영향

        김시은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33419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cranio-cervical flexion training(CCFT) and the bridge exercise on sitting balance of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Ten children (five males, five females)with spastic cerebral palsy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n=5) and the experimental group(n=5). fiv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 twenty minutes of the bridge exercise twice weekly for eight week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five children underwent a forty minutes of the cranio-cervical flexion training and the bridge exercise with biofeedback unit twice a week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CMS(trunk control measurement scale)was used to measure sitting balance and Biorescue was used to measure the limitation of stability. After a eight weeks of training progra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unk control measurement, stability limit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unk control measurement in the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bility limitation in the control group. And static strength(the maximum voluntary contractile strength), static endurance after cranio-cervical flexion training(CCFT)was statistical significant change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the research showed that cranio-cervical flexion training could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itting balance for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and it is to be considered as an opportunity for those who require frequent physical therapies. 본 연구는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압력 바이오피드백 기구를 이용한 깊은목굽힘근 강화운동(머리-목 굽힘 운동)이 깊은목굽힘근의 정적근력과 근지구력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며, 교각 운동만을 적용했을 때와 깊은목굽힘근 강화운동과 교각 운동을 함께 적용했을 때 앉은 자세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직형 뇌성마비 진단을 받았으며 본 실험조건에 만족하는 아동 총 10명을 대조군 5명, 실험군 5명으로 나눈 후 교각 운동 20분을 공통중재하고, 실험군은 깊은목굽힘근 강화 운동(머리-목 굽힘 운동)을 20분 더하여 주 2회 총8주간 실시하였다. 대상자로는 대동작 기능분류체계인 GMFCS의 3, 4 등급의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아동으로 하였다. 중재 전, 후의 깊은목굽힘근의 정적 근력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머리-목 굴곡 검사를 이용한 최대수의 수축력을 측정하고, 근지구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깊은목굽힘근 근지구력 검사를 중재 전, 후 실시하였다. 앉은 자세에서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체간조절능력도구와, 바이오레스큐를 이용한 안정성 한계를 중재 전, 후로 평가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한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실험군은 정적 근력, 근지구력이 중재 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체간조절능력과 안정성 한계 모두 중재 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조군은 체간조절능력에서는 중재 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안정성 한계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체간조절능력과 안정성 한계에서 대조군과 실험군의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깊은목굽힘근 강화운동은 깊은목굽힘근의 근력과 근지구력을 향상시켰고, 교각 운동과 함께 깊은목굽힘근 강화운동의 적용은 교각 운동만의 적용보다 앉은 자세에서 정적, 동적인 안정성을 갖는데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앉은 자세의 조절을 향상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교각 운동의 적용과 함께 깊은목굽힘근 강화운동의 적용은 뇌성마비 아동의 앉은 자세 균형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치료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이 뇌졸중 환자의 앉은 자세 균형, 체간 조절 및 재활 동기에 미치는 효과

        황성환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73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이 앉은 자세 균형과 체간조절 및 재활 동기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실험군)과 일반적인 물리치료군(대조군)은 무작위 배정으로 각각 9명으로 분류되었고, 모두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6주간 주 10회(1일 2회 × 30분간)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은 부가적으로 6주간 주3회 × 30분간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을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앉은 자세 균형능력은 수정된 기능적 팔 뻗기 검사와 힘 측정판을 체간 조절 능력은 뇌졸중 자세 조절 평가 척도와 체간 손상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재활 참여도는 재활 동기 설문지로 평가하였다.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과 일반적인 물리치료군 모두 훈련 전 후 수정된 기능적 전측, 건측 팔 뻗기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과 일반적인 물리치료군 모두 훈련 전 후 결과, 힘 측정판의 동요 속도에서 눈 뜬 상태와 감은 상태의 좌우와 전후 동요 속도, 신체 중심 압력 거리 변화의 전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두 집단 간에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과 일반적인 물리치료군 모두 훈련 전후 뇌졸중 자세 평가 척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과 일반적인 물리치료군의 훈련 전후 체간 손상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과 일반적인 물리치료군 모두 훈련 전 후 재활 동기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군이 일반적인 물리치료군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본 연구에서 적용한 체간 안정화 재활 로봇 훈련은 뇌졸중 환자들의 다양한 체간 근육의 강화, 고유수용성 감각 입력, 하지 근력 강화, 대칭적인 체중 부하와 이동이 가능한 특이성 과제 지향적 훈련 방법으로 체간 훈련에 유용한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척수손상 환자 옮겨 앉기 평가 도구 한국어 번역본의 원격 평가 신뢰도 타당도 검증

        김현두 을지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98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ransfer Assessment Instrument-Korean(TAI-K) developed to evaluate transfer and sitting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30 spinal cord injury patients and 10 therapists who agreed to the study at N Hospital in S City from March 2023 to September 2023. The research tools are the Korean version of the Transfer-to-Sit Assessment for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TAI-K),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Ⅲ (KSCIMⅢ), Sitting Balance Measure (SBM-K), and modified Sitting Balance Scale (mSBS) was us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6.0, AMOS ver. The 26.0 program was us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ternal consistency was analyzed using Cronbach's α value. Intra-rater reliability, test-retest reliability, and remote inter-rater reliability were analyz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Absolute reliability was analyzed by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SEM) and Minimum Detectable Change (MDC). Content validity was analyzed using Content Validity Index (CVI), and concurrent validity was verifi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TAI-K, KSCIMⅢ, SBM-K, and mSB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value was 0.91. Reliability was verified as intra-rater reliability ICC=0.765, test-retest reliability ICC=0.790, remote inter-rater reliability ICC=0.969-0.980, SEM=0.140-0.459, MDC=0.390-1.272. Content validity was analyzed as CVI-S=0.91. Concurrent validity was not significant. The content validity of TAI-K met the criteria, and intra-rater test, test-retest, and remote inter-rater reliability were verified as “good” to “excellent.” Therefore, TAI-K will be an appropriate evaluation tool for moving and sitting ability in face-to-face and remote assess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척수손상 환자의 옮겨 앉기의 평가를 위해 개발된 옮겨 앉기 평가 도구(Transfer Assessment Instrument, TAI)의 한국어 번역본 (Transfer Assessment Instrument-Korean, TAI-K) 원격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3월부터 2023년 9월까지 서울시 소재 N병원에서 연구에 동의한 30명의 척수손상 환자와 10명의 치료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한국어판 척수손상 환자의 옮겨 앉기 평가 도구(TAI-K), 척수손상 환자 독립성지수 Ⅲ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Ⅲ, KSCIMⅢ), 앉기 균형 측정(Sitting Balance Measure, SBM-K), 수정된 앉기 균형 척도 (modified Sitting Balance Scale, mSBS)을 이용하였고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6.0, AMOS ver.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내적 일관성은 Cronbach's α 값으로 분석하였고, 평가자 내 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원격 평가자 간 신뢰도는 급내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표준 측정 오차(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SEM), 최소 감지 가능한 변화(Minimal Detectable Change, MDC)로 분석하였다. 내용 타당도는 (Content Validity Index, CVI)로 분석하였고, 동시 타당도는 TAI-K와 KSCIMⅢ, SBM-K, mSBS를 상관분석 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적 일관성 Cronbach's α 값은 0.91, 평가자 내 신뢰도 ICC=0.765, 검사-재검사 신뢰도 ICC=0.790, 원격 평가자 간 신뢰도 ICC=0.969∼0.980, SEM=0.140∼0.459, MDC=0.390∼1.272로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내용 타당도CVI-S=0.91로 분석되었다. 동시 타당도는 음의 상관계수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평가자 내 검사, 검사-재검사, 원격 평가자 간 신뢰도는 “good”에서 “excellent”로 신뢰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TAI-K의 내용 타당도는 0.8 이상으로 TAI-K가 척수손상 환자의 옮겨 앉기 평가 목적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TAI-K는 대면 평가, 원격 평가에서 옮겨 앉기 능력의 적절한 평가 도구가 될 것이다.

      •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자세에 따른 균형조절능력 차이

        강효정 삼육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4254

        본 연구는 경직형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의 균형조절능력(선 자세, 앉은 자세)을 정상 아동과 비교 분석하고, 경직형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 간에 기능적 조절능력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 31명(편마비 13명, 양하지마비 18명)과 정상 아동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균형조절능력은 힘판을 이용하여 선 자세에서의 압력중심점(Center of Pressure; COP) 동요 이동거리와 속도를 측정하였고, 불안정 힘판을 이용하여 앉은 자세에서의 COP 동요 이동거리와 유지 시간을 측정하였다.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서는 대 동작 기능평가(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 아동 균형 척도(Pediatric Balance Scale; PB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정적 선 자세는 눈 뜬 상태에서 측정한 COP 동요 이동거리와 속도는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고(p<.05), 눈 감은 상태에서 측정한 COP 동요 이동거리는 편마비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며(p<.05), COP 동요 이동속도는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다(p<.05). 정적 앉은 자세에서의 COP 동요 이동거리는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고(p<.05), 유지 시간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다(p<.05). 동적 앉은 자세에서의 몸통을 전방으로 기울린 상태는 양하지마비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COP 유지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으며(p<.05), 몸통을 후방으로 기울린 상태는 편마비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COP 동요 이동거리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고(p<.05), COP 유지 시간은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다(p<.05). 경직형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의 평균 GMFM, PBS 점수는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으며,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의 정적 선 자세 및 동적 앉은 자세 균형조절능력은 GMFM, PBS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경직성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에서 동일 연령의 정상 아동에 비해 정적 선 자세와 정적&#65381;동적 앉은 자세의 균형조절능력이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또한 정적 선 자세와 동적 앉은 자세에서 기능적 능력과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경직형 편마비와 양하지마비 아동의 자세에 따른 다른 중재가 필요할 것이며, 특히 기능적 능력의 향상을 위한 정적 선 자세와 동적 앉은 자세 균형조절능력의 집중적인 훈련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 화장실 안전 손잡이의 설치 각도에 따른 노인의 균형능력 및 사용성 평가

        이지훈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51375

        본 연구는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수평 및 수직 손잡이와 연구에서 제시하는 대각선 각도의 안전 손잡이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 화장실에서의 낙상 예방을 위한 안전 손잡이 설치 각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는 전남에 거주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도구는 법률에 근거한 안전 손잡이(수직, 수평)와 대각(+방향, -방향)으로 수정된 안전 손잡이로, 화장실과 유사한 환경을 제작하여 각도에 따른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를 진행하였다. 비교를 위한 평가항목은 신체압력중심(Center Of Press, COP)과 체중지지비율, 평균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Biorescue를 사용하였고 주관적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K-QUEST 2.0의 세부 항목 중 규격, 안전성, 편안함, 효과성에 대한 4개의 항목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조사 후 설치된 안전 손잡이를 이용하여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는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여 COP, 체중지지비율, 평균속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안전 손잡이는 총 4종류로, 참여자는 총 4번의 측정을 마친 후 각 만족도(규격, 안전성, 편안함, 효과성) 조사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안전 손잡이 측정간 발생할 수 있는 학습효과를 제어하기 위해 측정간 4일의 간격을 두고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결과, COP는 대각(+)에서 값이 가장 낮음에 따라 신체 동요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속도 측면에서는 대각(-)의 각도에서 가장 빠른 속도를 보였다. 주관적 만족도 결과 유의한 항목은 수평 각도의 안전성과 효과성이었으며, 4개의 각도 손잡이 모두 보통(3점)∼만족한다(4점)에 해당하는 결과를 보였다. 평가항목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COP와 평균속도, 체중지지 비율과 평균속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주관적 만족도는 규격과 편안함, 효과와 속도 및 편안함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화장실 내에서의 낙상 예방을 위한 각도별 손잡이를 이용하여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활동의 객관적 자료와 주관적 자료를 조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낙상의 위험성이 높거나 두려움이 있는 사람에게 화장실의 안전 손잡이 설치에 획일화된 방법에 새로운 각도를 제공함으로써 제품선택의 다양성을 제공하고 화장실 환경에 대한 작업치료학적 접근을 통해 낙상에 대한 예방 및 화장실 수행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긍정적 측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앉은 자세에서의 목 안정화 운동이 뇌성마비 환자의 깊은 목 굽힘 근육의 두께, 보행, 균형에 미치는 영향

        윤창교 대구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02383

        본 연구는 머리-목 안정화를 위한 운동으로 깊은 목 굽힘 근육 강화 운동을 앉은 자세에서 시행하였을 때 뇌성마비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깊은 목 굽힘 근육의 두께, 보행, 균형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5세 이상의 뇌성마비 아동 21명을 대상으로 앉은 자세에서 치료군 9명, 누운 자세에서 치료군 12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총 6주의 기간에 주 3회, 회당 30분을 중재하였다. 치료의 중재 효과를 확인하고자 중재 전․후에 깊은 목 굽힘 근육의 두께(초음파 측정), 앉은 자세에서의 정적 및 동적 균형(바이오레스큐, 일어나 걷기 검사), 보행(10미터 걷기 검사)을 측정하였다. 중재 후 앉은 자세에서 치료군과 누운 자세에서 치료군 모두에서 앉은 자세에서의 정적 균형을 제외한 깊은 목 굽힘 근육의 두께, 앉은 자세에서의 동적 균형, 보행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며, 누운 자세에서의 치료군에 비해 앉은 자세에서의 치료군이 깊은 목 굽힘 근육의 두께, 앉은 자세에서의 동적 균형, 보행에서 더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뇌성마비 아동의 목 안정화 운동이 정적 자세인 누운 자세에서 시행하는 것 보다 뇌성마비 아동이 주로 생활하는 앉은 자세에서 치료하는 것이 더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의 중재 방법을 환자의 일상 생활 및 지역사회에서 꾸준히 수행되어진다면 뇌성마비 환자에게 유용한 중재 방법이 될 것으로 제언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hanging the balance, gait and the thickness of deep neck flexor muscl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o identify the effects when cerebral palsy patient's exercise deep neck flexor muscles stabilizing training in a sitting posi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 children (age 5 over the age) with cerebral palsy. Nine subjects were assigned to the group of sitting position and twenteen subejcts were assined to the group of supine position at ramdom. Intervention was carried out for three time per week during six weeks. To confirm effect of intervention, Pre-post effect was compared with a deep neck flexor muscle's thickness (ultrasonic measurements), static and dynamic balance in a sitting position (biorescue, timed up and go test) and gait (10 meters walking test). After intervention, both supine position and sitting position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thickness of the deep neck flexor muscles, dynamic balance in a sitting position and gait except static balance in a sitting position, A sitting position showed more effective changes than a supine position in deep neck flexor muscles, dynamic stability in a sitting position and gait. On the result of this study, Neck stabilization exercis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a sitting position indicates more effective improvement than exercise of chidren in a supine position. Also supposing this study could be used in patient’s daily lives and local communities, Would be useful for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