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익숙한 일상의 탈주로서 사물을 낯설게 보기 : 기호 제거와 시뮬라크르적 표현을 중심으로

        강효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industrial society and city, mass production and consumption, standardized culture, people live in treadmill time feeling alienation, helplessness. The word, daily life convered that life, has positioned philosophical concept to understand today. In thesis, cotemplate from relation with daily goods and our own to relation with society. Thinking descended from modern times still lingers in the mind of human and suppresses liberal thinking but the frame is coming apart. I break the mold of concept of that trapping on the identities and want to discover the difference between what exists. For this reason, to keep the door open for multiple interpretations is the meaning of the piece through trying to find in the most essential value of the works of art. For this, in the first writing, I take notice the ‘the intended life’ of the Henri Lefebvre’s philosophical analysis and look at the art of everyday life with an eye to a background in art history.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has broken the old barriers between high art and low culture, an active appropriation of the common mass media from Pop-art reflects a variety of modern social scene and alludes the society. I have studied ‘différance’ and ‘undecidability’ in Jacques Derrida’s deconstruction theory that brought the shock and thrilled into the western metaphysical philosophy, been maintained for more than in 2000 years which is focus on reason. And through fundamental meaning of the work of art, it is theoretical base that the meaning is always changed by not a fixed symbol but a empty symbol. On Negative representation, I further the process that with the advent of photography, the painting come into negative impacts of representation and a representation to impossible goes into representation to possible. In the second chapter, We looked at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presents a visual symbols into your kind of work is carrying the main business to give visitors an overview of the diversity and the possibility of the meaning in the visual symbols into my work. First of all, it presents that how to chang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on o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era, and based on these art history background, I identify the cause that daily objects and space is diagramed by not to reveal the author's taste but to show things of itself, I analyze Jasper Jones and Michael Craig Martin's piece and compare analysis with characteristics appear on your kind of work. Also, in order to associations between the work and Simulacrum repetitive thought that there is no reason to tell the difference realities and fiction, through Platon, Baudrillard simulacre and Allan Mccollum’s work-analysis, I draw the difference of the repetitive similarity. From ear focused on Efficiency of the original document and exclusiveness to digital technology and development of tech, I analyze the photography which is the well-doing key role of copied text and find photo’s metonymic force and the possibility of medium of photography by John Hilliard’s work analysis.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explanations and the methodology we look at the boundary of sense and nonsense in my work. Daily objects is diagramed to take notice, try to read the context of the image variously. Also, as fostering photogrphy’s characteristics that fulfill its role of copied text, I present similar images repeatedly and seek the various possibility of reason by difference. I break off the concept of framework and offer as it is existed, and through Simulacrum visual reflection repetitive, I induce the guidance of the reason for the border. Under these circumstances, I expect that you break the mold of same type of daily life in own concept, and listen to the diverse and discriminatory voice of the existence. 산업사회와 도시, 대량생산과 소비, 획일화되어가는 양식들, 그곳에서 사람들은 쳇바퀴처럼 굴러가는 오늘과 내일의 덧없는 시간 속에서 소외감, 무력감을 느끼며 생활한다. 이러한 모습이 집약된 일상이라는 단어는 현대를 이해하기 위한 철학적 개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상의 사물들과 본인과의 관계의 사유로부터 나아가 일상성을 생산하는 사회와의 관계를 들여다본다. 근대로부터 내려온 표상적 사고는 그 틀이 많이 와해하고 있지만, 여전히 인간의 사고방식 속에 남아있으면서 우리의 자유로운 사고를 억압하고 있다. 본인은 인간이 개념 속에 가두어놓은 진부한 동일성의 틀을 깨고 세상에 존재하는 것의 차이를 발견하고자 한다. 이러한 사유를 통해 작품의 의미가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도록 문을 열어두는 것은 예술작품의 가장 본질적인 가치를 아름다움에서 찾으려 하는 관습적 사고의 틀을 전복시키는데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론 첫 장에서는 먼저 앙리 르페브르가 철학적으로 분석한 ‘일상성’에 주목하면서 일상의 대상들이 예술작품 속에 들어오게 된 미술사적 배경을 살핀다. 대중매체의 발달은 고급예술과 저급문화 사이의 오랜 장벽을 허물고 그 간극을 채워주는 역할을 하였으며, 팝아트에서부터 보편화한 대중매체의 적극적인 차용은 다양한 현대사회의 모습을 반영하고 시사하고자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불확정적이며 고정되지 않은 의미의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자크 데리다의 해체 이론 속 ‘차연(différance)’과 ‘불확정성(undecidability)’을 탐구한다. 그리고 그가 주장하는 예술작품의 근원적 의미를 통해 미리 정해진 기호가 아니라 비어있는 기호로서 맥락에 따라 항상 변화하는 한다는 것의 이론적 근거로 삼는다. 네거티브적 표상에서는 사진의 등장에 인해 회화가 네거티브적 표상으로 들어가고, 표상 불가능한 것을 표상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 과정을 추적한다. 본론 두 번째 장에서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재현의 개념과 특징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알아보고, 이러한 미술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인이 일상적 삶에서 마주치는 사물과 공간을 작가의 취향을 드러내지 않고 사물 자체를 보여주기 위해 객관적 혹은 몰-개성적으로 도식화하여 재현하는 연유를 밝히며, 재스퍼존스와 마이클 크레이그 마틴의 작품을 분석하여 본인의 작품에 나타나는 특징과 비교 분석한다. 또한, 실재와 허구의 구별이 무의미해진 시뮬라크르 시대에 반복적 특성과 본인의 작품과의 연관성을 생각해보기 위해 플라톤과 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에 대해 언급하며 나아가 앨런 맥컬럼의 작품 분석을 통해 반복성이 가진 유사적 측면을 통해 차이를 이끌어 내는 과정을 살핀다. 원본성, 유일성이 중시되던 시대를 지나 디지털 기술과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시뮬라크르의 시대에 발맞추어 ‘복제된 텍스트’로서 그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는 사진매체를 분석해보고 존 힐리아드의 작품분석을 통해 사진이 가지는 환유적인 힘과 사진매체의 가능성을 모색해볼 것이다. 본론 세 번째 장에서는 위의 이론적 배경과 설명, 방법론적 바탕을 토대로 본인의 작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의미와 작품들을 살펴본다. 일상적인 사물을 도식화하여 그 사물 자체에 주목하게 하고, 이미지의 문맥을 다양하게 읽는 시도를 한다. 또 복제된 텍스트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는 사진매체의 특성을 살려 비슷한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제시하고 그 속에서 발견되는 차이를 통해 다채로운 사유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처럼 본인은 개념의 틀에서 벗어나 존재를 있는 그대로 제시하고, 반복성을 통한 시뮬라크르 세계의 시각적 반영을 통해 각자에게 내재한 사유를 유도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본인의 개념 속에 가두어져 있는 일상 속 진부한 동일성의 틀을 깨고 존재들의 다양하고 차별적인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여중생 어머니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지식 및 자녀의 접종여부

        강효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중생 어머니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지식 및 자녀의 접종여부 The knowledge of HPV vaccine of mothers who has middle school girls and HPV vaccination for their daughters (whether their daughters get vaccinated or not) 간호학과 강 효 정 지도교수 주 현 옥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중생 어머니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지식과 자녀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여부를 파악하여 자궁경부암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여중생 어머니 342명이었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2011년 9월 1일부터 동년 9월 25일까지 B광역시 16개 구·군에 소재한 여중학교 32개 중 6개를 임의 추출한 후 학교장의 허락을 구하여 2학년, 3학년 주임학급 12 학급의 학생을 통해 어머니에게 배부한 후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PC 14.0 프로그램으로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 test 및 χ- 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지식은 총 14점 만점에 최소 2점에서 최대 14점으로 평균 9.08(±2.25)점이었으며, 문항별 정답률은 64.5%로 나타났다. 2) 자녀에게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을 접종시킨 대상자는 342명 중 12.9%(44명)였으며, 18.7%(64명)는 6개월 이내에 예방접종을 할 계획을 가지고 있었고, 68.4%(234명)는 접종할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종하지 않는 이유는 ‘몰라서’가 47.5%(114명)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경제적 부담’이 20.4%(49명), ‘예방접종 효과에 대한 불신’이 11.3%(27명)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지식점수 는 여성암 가족력(F=11.13, p<.001), 인유두종 바이러스(t=5.42, p<.001)나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에 대해 들어 본 경험 여부(t=5.64,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녀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여부는 여성암 가족력(=10.65, p=.005),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대해 들어 본 경험 여부(=14.05, p<.001)), 본인의 자궁경부암 예방 접종여부 (=36.25, p<.001)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5) 자녀의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 접종여부에 따른 대상자의 지식점수는 접종군이 9.56(±2.14)점, 접종계획군은 9.81(±1.95)점으로 비계획군 8.79(±2.29)점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6.638, p=.001). 따라서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지식점수가 높은 대상자가 그렇지않은 경우보다 자녀의 예방접종 행위에 긍정적이므로 여중생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궁경부암 및 인유두종 바이러스백신에 대한 올바르고 정확한 지식을 교육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보건소에서는 여성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학교에서는 가정통신문과 부모 참여수업 등을 통해 자궁경부암 예방 행위에 대한 교육을 시행하는 등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지식을 높일 수 있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주요어 : 인유두종 바이러스,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 저비용항공사의 선택속성이 재구매의도와 공동가치창출 제안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효정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행객들이 점차 증가하면서 저비용항공사는 급성장하였으나 최근 코로나 19 바이러스 팬데믹에 따른 악조건의 외부시장 환경과 한정된 국내지역에서 신생 항공사들의 계속된 추가 출현으로 항공시장 업계는 사상 최대의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저비용항공사가 이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세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전략적인 방안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소득수준 증가와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으로 항공기를 이용한 여행은 더는 특별한 경험이 아닌 일상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으며,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유용한 저비용항공사를 타겠다는 일명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비용항공사의 발전에 따라 소비자들이 저비용항공사에 요구하는 속성, 만족하는 속성, 재구매로 이어지는 속성, 그리고 기업과 소비자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공동가치창출 속성에 대해 분석하여 소비자들이 저비용항공사에 대한 인식과 가치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전략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 저비용항공사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유효 표본을 대상으로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 분석을 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저비용항공사 이용객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각 측정항목의 기술통계 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하여 측정항목들의 내적 일관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구의 연구모형에 사용된 구성개념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셋째, 항공사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IPA분석 결과 3사분면(Low Priority)에 위치하는 속성은 다양한 기내 면세품,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다양한 유료메뉴 선택, 기내식 맛과 질 등과 같은 기내 부대 서비스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속성이었다. 본연구결과 저비용항공사를 선택함에 있어서 해당 요인들은 중요도 순위가 다른 요인들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 소비자들이 저비용항공사를 선택하는 큰 요인은 가격적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저비용항공사 선택속성 중요도 분석에서 가장 높은 수치는 1위 경제적인 가격, 2위 상용고객 우대제도, 3위 다양한 항공요금 서비스로 소비자들에게 가격적인 속성이 저비용항공사를 선택하는데 가장 중요히 생각하는 속성으로 나타났다. IPA분석의 2사분면(Concentrate Here)영역에 위치한 속성은 7. 상용고객 우대제도, 16. 넓고 편안한 좌석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는 저비용항공사 선택 시 가격적 요인에 민감히 반응하기에 향후 저비용항공사의 경쟁력을 모색하기 위해서 상용고객 우대제도의 개선은 저비용항공사가 갖춰야 할 경쟁력 중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 판단된다. 또한, IPA분석 결과 제 2사분면(Concentrate Here)에 위치한 좌석의 속성은 앞으로 계속해서 성장해갈 저비용항공사 시장에서 장거리 노선을 신규취항 및 지속운행하기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객들의 만족을 최대한 이끌어내는 방향성에 대한 실무적인 고찰이 필요하다 판단된다. 저비용항공사 선택속성과 재구매의도 간 다중회귀분석 연구결과에서 5가지 요인 중 가격 효율성 요인이 재구매의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의 IPA분석과 일치하는 연구결과로써 소비자들이 저비용항공사를 선택할 때 가격적 요인이 가장 중요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저비용항공사 선택속성과 공동가치창출 제안의도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 공동가치창출 제안의도는 승무원 서비스의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저비용항공사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기업과 공동으로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기업에 이익이 되는 내용 중 승무원 서비스 요인에 가장 많은 의견을 제시하겠다는 의도로 해석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적극적으로 제공한 정보는 항공사에 대한 마케팅 속도를 향상시키고, 신 서비스 개발 프로세스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소비자의 피드백을 즉각적으로 반영한 승무원 서비스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해 지속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항공시장에서 향후 저비용항공사의 사업전략 수립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Low-cost carrier grew rapidly as the number of travelers gradually increased, but the aviation market industry is facing the biggest difficulty ever due to the recent emergence of new airlines in limited external market conditions and limited domestic area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study how domestic low-cost carrier can overcome turbulence in such a crisis situation with competitiveness and strategic measures. With the increase in income level and the introduction of a 52-hour workweek, aircraft travel has no longer become a special experience, but a part of daily life, and the so-called cost-effectiveness trend has sprea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attributes that consumers demand from low-cost carrier satisfied attributes, repurchase attributes, and value co-creation Intention that companies and consumers can grow together to examine strategies that can lead consumers to competitiveness. In this study, 25 optional attributes suitable for low-cost carrier were extracted to find out what attributes consumers think are important when using low-cost carrier, and the following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effective samples.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ow-cost carrier user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each measurement item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measurement items.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constituent concept used in the research model of the study. Third, an IPA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airline selection attributes.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propos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IPA analysis of this study, attributes located in the third quadrant were attributes of in-flight auxiliary services such as various in-flight duty-free items, various entertainment, various paid menu selection, and in-flight meal taste and qual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selecting a low-cost carrier, the factors were measured to have a lower importance ranking than other factor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biggest factor in consumers' choice of low-cost carrier was price factors, and the highest in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low-cost carrier' selection attributes wa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for consumers to choose low-cost carrier. The attributes located in the two-quarter (Concentrate Here) area of the IPA analysis of the low-cost carrier selection attributes of this study are the 7. Frequent Customer Preferential System, 16. Wide and comfortable seat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sumers are sensitive to price factors when choosing low-cost carrier, so improving the mileage system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competitiveness that low-cost carrier must have in the future. In addition, as a result of IPA analys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maximizing customer satisfaction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n order to operate and operate long-distance routes in the low-cost airline market that will continue to grow in the future. It's judged. Among the five factors, the price efficiency factor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repurchase intention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low-cost carrier selection attribute and repurchase intention, indicating that price factors are the most important when consumers choose low-cost carrier.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low-cost airline selection attribute and the value co-creation Intention, the crew service intention was the highest, which can be interpreted as consumers' intention to present the most opinions on crew service factors to create value with companie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as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business strategie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low-cost carrier in the future in the low-cost aviation market.

      • 고등학생의 기질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와 자아정체성 차이

        강효정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기질[정감형(○), 실천형(□), 기획형(△), 사색형(S)]에따라 스트레스 대처와 자아정체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는 기질[정감형(○), 실천형(□), 기획형(△), 사색형(S)]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고등학생의 자아정체성은 기질[정감형(○), 실천형(□), 기획형(△), 사색형(S)]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제주도내에 소재한 남녀공학 고등학교 6곳에서 학생 500명을 유의 표집 하여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고등학생의 기질 유형, 스트레스 대처, 자아정체성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 18를 사용하여,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일원분산분석(ANOVA), Duncan 사후분석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기질에 따른 성격유형 분포는 정감형(○), 사색형(S), 기획형(△), 실천형(□) 순으로 기질의 분포를 보였으며, 이는 이희주(2013), 김재진(2015) 연구 결과와 유사하다. 둘째,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는 기질[정감형(○), 실천형(□), 기획형(△), 사색형(S)]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정감형(○), 기획형(△), 사색형(S)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 유형 중 문제 중심적 대처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고등학생의 자아정체성은 기질[정감형(○), 실천형(□), 기획형(△), 사색형(S)]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 기질[정감형(○),실천형(□), 기획형(△), 사색형(S)]에 따라 자아정체성의 하위 요인인 자기 수용성, 주체성, 목표 지향성에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스트레스 대처와 자아정체성이 고등학생의 기질[정감형(○), 실천형(□), 기획형(△), 사색형(S)]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확인하였다. 즉, 기질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 요인 중 문제 중심적 대처에차이를 보였으며, 기질에 따라 자아정체성 하위 요인 중 주체성, 자기수용성, 목표지향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기질 연구가 청소년기에 겪게 되는 다양한 내적·외적 스트레스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고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필요한 자기 이해도를 높이는 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stressmanagement and ego identity in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temperament[O(sentimental type), △(planned type), □(practical type),S(contemplative type)]. In this regard, I established study subjects as follows.Study Subject 1. Are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high school' stressmanagement according to their temperament[O(sentimental type), △(plannedtype), □(practical type), S(contemplative type)]?Study Subject 2. Are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 in high school' egoidentity according to their temperament[O(sentimental type), △(planned type),□(practical type), S(contemplative type)]?In order to verify the study subjects mentioned above, I conducted asurvey of 500 high school students from 6 co-ed high schools located on JejuIsland, using purposeful sampling. I drew on the self reporting questionnaireto look into the stress management, ego identity and their temperament.Using SPSS Statistic 18, I processed the collected data statistically withseveral measures, including percentages, averages, standard deviation, analysisof Verification(ANOVA) and Duncan post-analysis.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distribution of personality types according to the substrate of thestudy subjects was shown in the order of sentimental type(○), contemplativetype(S), planned type(△), and practical type(□), similar to the results of LeeHee-ju 2013), Kim Jae-jin (2015).Secon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tress management by theirtemperament[O(sentimental type), △(planned type), □(practical type),S(contemplative type)]. Specifically, in this study, there were meaningfuldifferences in problem-central coping strategies subtypes of stressmanagement, depending on temperament[O(sentimental type), △(planned type),□(practical type), S(contemplative type)].Thir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ego identity by theirtemperament[O(sentimental type), △(planned type), □(practical type),S(contemplative type)]. Specifically, this study, there were meaningfuldifferences in self-acceptability, independence, and goal orientation among thesub-factors of ego-identity, depending on temperament.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in stress management and ego identity by high school students'temperament[O(sentimental type), △(planned type), □(practical type),S(contemplative type)]. In other words, we showed differences inproblem-central coping strategies among the sub-factors of stressmanagement depending on the temperament, and found that there weredifferences in subjectivity, self-acceptability, independence, and goalorient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ego-identity, depending on temperament.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differences betweentemperament[O(sentimental type), △(planned type), □(practical type),S(contemplative type)],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help high school studentsovercome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stresses during their adolescence and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to enhance self-understanding needed toestablish ego-identity

      •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과 사회성 발달, 기질 간의 관계: 유아 기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효정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spreading of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by the little children recently, together with the worry regarding the negative influences, the researches have been taking place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by the little children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However, the influences of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by the little children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does not appear in the same way. As a reason why the influence of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by the little children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appears differently, the special-characteristic variables within the little children individuals have been receiving the attention. Among these, as a special-characteristic that has been receiving the most interest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there is the disposition of the little children. Hence,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according to the dispositions and the tendencies possessed by the little children, the influence of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by the little children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r the direction can become different. If these are put together,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by the little children has the direc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In addition,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dispositions of the little children, too, will be the variables that can adjust the extent of the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the problematic behaviors of the little children, and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Through this,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basic research that tries finding a plan for the education study approach that considers the disposition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Accordingly, in order to find out, in more detail,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habit of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and the disposition of the little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had been to emphatically take a look at whether the effect of adjusting the disposition appea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bit of using the smart devic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For this the research problems were presented a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 1. What kinds of relationships exist between the habit of using the smart devices,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and the dispositions? Research problem 2. Do the habits of using the smart devices of the little children predict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of the little children? Research problem 3. Does the disposition of a little child show the adjus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bit of using the smart devices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of the little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had been the little children from the age of 3 years old to the age of 5 years old who had been attending the daycare centers and th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investigation tools for this research had been the following: The one that was developed by Chang, Soo-jin (2010) and was reorganized by Lee, Yoon-mi (2014) in order to measure the habits of using the smart devices on the part of the little children had been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a problematic behavior scale which Woo, Ae-ri (2014) had reorganized after Achenbach and Rescorla (2000) had developed the CBCL for the use regarding the little children who are from 1.5 years old to 5 years old had been used. And a society-friendly behavior evaluation scale which had been developed by Kim, Yeong-ok (2003) and which had been reorganized for the use with the parents by Seo, So-jeong (2006) had been used. The scale of Kim, Yoo-jeong (2014), which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shortened-form, little children's temperament scale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Short Form: CBQ-SF) that was developed by Rothbart (2000), which had been translated by Lee, Gyeong-ok (2004), had been used. Regarding the data that had been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questionnaire investigation, after going through the data coding, the degree of reliability analysis, the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the adjustment effect analysis had been carried out with the SPSS 18.0 program. If I were to summarize the research results resulting from the main research problems that were raised in this research, it is as the following: Firstly, as a result of having taken a look a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main variables, the more the little children immerse in a smart device and the stronger the dependence, they show a lot of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the tendency of showing less society-friendly behaviors had appeared. Among the dispositions of the little children, the tendency of showing a lot of the externalization the bigger the extroversion had appeared. Among the dispositions of the little children, the bigger the negative emotions, a lot of the problematic behaviors had been shown. And the tendency of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being seen to be small had appeared. Among the dispositions of the little children, the bigger the intentional control, the less problematic behaviors had been shown. And the tendency of showing a lot of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had appeared. Secondly, the habit of using a smart device on the part of the little children had been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The higher the habit of using a smart device on the part of the little children, the problematic behaviors of the little children became higher. And it appeared that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had become low. Or, in other words, the more the little children are immersed in a smart device and the stronger the dependence, it can be said that they showed a lot of the problematic behaviors and the less society-friendly behaviors. Thirdly,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bit of using a smart device on the part of the little children and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justment effects of the dispositions of the little children, the adjustment effect of the dispositions of the little children had been significan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bit of using a smart device on the part of the little children and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appeared that, regarding the little children whose tendencies of the extroversion, the negative emotions, and the intentional control, which organize the dispositions, had been low, their habits of using the smart devices have the high influences on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In contrast, regarding the little children whose levels of the extroversion are high, the higher the level of the habit of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the decrease of the society-friendly behavior had appeared less. And, there was the tendency in which, the higher the negative, emotional level of the little children, the changes of the level of the society-friendly behavior resulting from the increase of the smart devices of the little children had been less. Meanwhile, regarding the little children whose level of the intentional control had been high, they had shown the tendency in which, the higher the level of the habit of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the society-friendly behavior had been increased. In contrast, in the case of the little children whose level of the intentional control had been low, they had shown the tendency in which, the higher the level of the habits of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had got, the society-friendly behavior had been reduced. Such results show that the negative influences of the habits of using the smart devices get alleviated or increas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intentional control. This research has the significance with regard to the fact that, in the present situation when the use of the smart devices by the little children has been increasing, it showed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abits of using the smart devices, which is an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society-friendly behaviors, the disposition, which is an internal factor of the individual, has the adjusting effects. As a result, it suggests that the surrounding adults wh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ociability of the little children must provide the help so that the desirable habits of using the smart devices can be formed by considering the dispositions of the little children. 최근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이 확산되면서 부정적 영향에 대한 우려와 함께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과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으로서 유아의 개인 내적 특성 변인들이 주목받고 있다. 그 중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관련하여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특성 변인으로 유아의 기질이 있다. 유아가 지니고 있는 기질성향에 따라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이나 방향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 유아의 기질이 스마트기기 사용과 유아의 문제행동 및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 그 영향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변인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은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예측해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과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에서 기질을 고려하는 교육학적 접근 방안 모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과 사회성 발달, 기질 간의 관계를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해,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과 사회성 발달의 관계에서 기질의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문제 1.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 사회성 발달(문제행동과 친사회적 행동), 기질 간에는 어떤 관련성이 존재하는가? 연구문제 2.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은 유아의 사회성 발달(문제행동과 친사회적 행동)을 예측하는가? 연구문제 3.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과 사회성 발달(문제행동과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에서 유아 기질의 조절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와 부모 250쌍이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도구는 다음과 같다.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을 측정하기 위해 장수진(2010)이 개발하고 이윤미(2014)가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측정하기 위해 Achenbach와 Rescorla(2000)가 개발한 1.5-5세 유아용 CBCL을 우애리(2014)가 재구성한 문제행동 척도, 그리고 김영옥(2003)이 개발하고 서소정(2006)이 부모용으로 재구성한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경옥(2004)이 번역한 Rothbart (2000)의 단축형 유아기질 척도(Children's Behavior Questionnaire-Short Form: CBQ-SF)를 수정․보완한 김유정(2014)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지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 코딩을 거쳐 SPSS 18.0 프로그램으로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 분석 및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바, 스마트기기에 많이 몰입하고 의존성이 강할수록 문제행동을 많이 보이고, 친사회적 행동을 적게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다. 유아의 기질 중 외향성이 클수록 외현화 문제를 많이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다. 유아의 기질 중 부정적 정서가 클수록 문제행동을 많이 보였으며, 친사회적 행동은 적게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다. 유아의 기질 중 의도적 통제가 클수록 문제행동을 적게 나타냈으며, 친사회적 행동을 많이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문제행동이 증가하며, 친사회적 행동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스마트기기에 많이 몰입하고 의존성이 강할수록 문제행동을 많이 보이고, 친사회적 행동을 적게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과 유아의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에 있어서 유아 기질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습관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만 유아 기질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질을 구성하는 외향성, 부정적 정서, 의도적 통제라는 각각의 성향이 낮은 유아들은 스마트기기 사용습관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향성 수준이 높은 유아는 스마트기기 사용습관 수준이 높아질수록 친사회적 행동의 감소가 적게 나타났으며, 유아의 부정적 정서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스마트기기 증가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수준의 변화가 더 적은 경향이 있었다. 한편, 의도적 통제 수준이 높은 유아는 스마트기기 사용습관 수준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의도적 통제 수준이 낮은 유아들의 경우는 스마트기기 사용습관 수준이 증가할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기기 사용습관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의도적 통제 수준에 따라 완화 또는 증가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이 증가하는 현재 상황에서 개인 내적 요인인 기질이 환경적 요인인 스마트기기 사용습관과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지원하는 주변 성인들이 유아의 기질을 고려하여 바람직한 스마트기기 사용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 피팅룸 환경이 자기외모 지각을 매개로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효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날로 격화되는 시장경쟁과 불황의 여파로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기위한 리테일 업계의 전략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의류 점포들은 고객들에게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빠른 템포의 음악을 매장 내에 틀어 회전율을 높이기도하며, 매장 배치를 바꾸어 고객들이 더 많은 상품들을 둘러보도록 유도하기도 한다. 심지어 고객의 구매율을 높이기 위해 날씬해보이도록 왜곡된 거울을 피팅룸 안에 설치해놓는 경우도 다반사다. 인터넷에 떠도는 옷가게 피팅룸 사용후기들을 살펴보면 날씬하고 예뻐 보이는 피팅룸 거울에 속아 구매를 하고 말았다는 내용의 글을 빈번히 볼 수 있다. 소비자의 구매결정이 경제학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항상 이성적으로 이뤄지기는 것이 아니라 감정적, 정서적 상태에 큰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결과는 이 같은 행동에 대한 이해의 단초를 제공해준다. 본 연구는 고객의 모습이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왜곡된 피팅룸 환경에서 구매를 하게 되는 소비자들의 심리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개인이 자신의 외모를 지각하고 있는 방식을 알아보는 실험 1과 피팅룸 환경에 따른 자기 외모지각, 구매행동을 알아보는 실험 2개를 독립적으로 진행하였다. 먼저, 실험 1에서는 피험자의 사진을 촬영한 후 피험자의 얼굴과 몸의 매력성, 날씬한 정도를 조작하여 응답자가 지각하고 있는 자기 얼굴 이미지, 몸 이미지를 알아보았다. 이어서 진행된 실험 2에서는 실제의류 매장에 왜곡이 존재하는 피팅룸과 존재하지 않는 일반적인 피팅룸 2 개를 따로 설치하는 현장실험을 수행하였다. 피팅룸을 이용한 이용객들에게 자기외모 만족감 및 일치감, 제품태도, 구매의도를 측정하는 설문지를 배부하여 피팅룸 환경에 따른 소비자 반응 및 행동을 알아보고,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수집된 응답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들은 자신의 외모를 실제 모습 그대로 정확히 지각하고 있지 않다. 실험 1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응답자들은 자신의 얼굴은 실제 모습보다 긍정적으로 왜곡해서 지각하고 있는 데 반해 몸의 경우 부정적으로 왜곡해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신의 외모를 향상시키고자하는 개인의 외모향상추구성향은 자신의 얼굴을 긍정적으로 왜곡해서 지각하는 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대체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외모를 왜곡해서 지각하고 있으며 그 정도를 설명할 수 있는 변수는 개인의 외모향상추구성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왜곡된 피팅룸 환경에서 소비자들은 거울에 비친 자기 모습에 대해 높은 만족감을 느끼며 자기일치감을 느낀다. 뿐만 아니라 실제로 왜곡이 존재하는 피팅룸 환경에서 피험자들이 지출한 금액은 일반적인 피팅룸 환경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자기외모 만족감은 긍정적인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치며 구매의도 향상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왜곡된 피팅룸 환경에서 구매를 하는 주된 이유는 자기외모에 대한 만족감인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외모향상추구성향이 자기외모지각과 제품태도, 구매의도에 대해 유의한 조절효과를 지니는 변수임을 밝혔다. 외모향상추구성향이 높은 집단은 날씬하고 예뻐 보이는 피팅룸 거울을 보며 큰 만족감을 느끼지 않으나 외모향상추구성향이 낮은 소비자 집단은 상대적으로 큰 만족감 변화를 경험한다. 따라서 이들은 왜곡이 존재하는 피팅룸에서 긍정적인 제품태도와 높은 구매의도를 보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날씬하고 매력적으로 보이는 피팅룸 환경에서 구매가 일어나는 원인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개인은 자신의 실제 외모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하며 오히려 자신의 몸의 경우 실제보다 뚱뚱하다고 지각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주하게 되는 매력적인 거울 속 자기모습은 큰 만족감을 가져다주며 이 때 지각하는 순간적 만족감이 구매 욕구를 고취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는 외모향상추구성향이 낮은 소비자에게 더 잘 나타나는 현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일찍이 점포환경이 소비자들의 감정적, 정서적 상태에 영향을 미쳐 구매 가능성을 고취시킬 수 있다는 연구들은 무수히 많이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기존 의류 점포환경 연구들은 제품이 전시된 진열 공간에만 초점을 맞추었을 뿐, 정작 최종적인 제품평가가 일어나는 공간인 피팅룸을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그간 다뤄지지 않았던 피팅룸 공간을 연구함으로서 학문적 축적에 기여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실제 의류매장에 피팅룸을 설치하여 현장실험을 진행하여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증진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의류매장에서 소비자의 제품 만족 이전에 선행적으로 고려될 수 있는 중요변수로 고객의 자기외모만족이 존재한다는 점을 제시해주고 있다. 이를 토대로 실제 의류매장에서 실무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다문화 가정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관련한 언어·심리·사회적 변인의 메타회귀분석

        강효정 숙명여자대학교 심리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관련한 변인들을 메타분석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총 50편을 수집하였고, 그 결과 134개의 효과크기가 산출되었다. 다문화 가정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살펴보기 위해서 언어 변인군, 심리적 변인군(보호요인, 위험요인), 사회적 변인군으로 나누어 각 변인군 및 하위변인들의 효과크기를 확인하였다. 그다음 출판물 형태, 학교급, 여성표본비율(%), 모의 한국어 실력에 따라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관련 변인 간 관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코딩과 분석은 Excel과 CMA 3.0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관련한 변인군 별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심리적 위험 변인군(ESr=.358)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그다음 심리적 보호 변인군(ESr=-.331), 사회적 변인군(ESr=-.251), 언어 변인군(ESr=-.169)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둘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언어 변인군의 하위변인들의 효과크기는 모의 한국어 실력(ESr=-.170), 아동의 한국어 실력(ESr=-.164)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적 보호 변인군의 하위변인들의 효과크기는 행복(ESr=-.397)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ESr=-.379), 자아탄력성(ESr=-.250)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넷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적 위험 변인군의 하위변인들의 효과크기는 우울·불안(ESr=.396)이 위축(ESr=.244)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다섯째,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변인군의 하위변인들의 효과크기는 또래관계(ESr=-.312), 학교적응(ESr=-.252), 가족관계(ESr=-.217), 교사관계(ESr=-.190)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여섯째, 본 연구는 출판물 형태, 학교급, 여성표본비율(%), 모의 한국어 실력을 조절변인으로 선정하여 검증하였다. 여성표본비율(%)을 제외한 출판물 형태, 학교급, 모의 한국어 실력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변인 사이에서 효과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언어 변인군, 심리적 보호 변인군, 심리적 위험 변인군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인은 본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았다. 본연구는 다문화 가정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돕고, 적절한 상담 개입의 필요한 기초자료로 기여하고자 하였다.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acculturative stres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total of 50 dissertations and journal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2007 to 2020 were gathered for analysis.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to be 134. The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groups: those containing linguistic variables, those containing psychological variables with protective factors, those containing psychological variables with risk factors, and those containing social variables. The effect sizes were estimated for each group and its sub-variables. A subsequent meta-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how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related causative variables changed according to publication type, school level, female sample ratio (%), and mother’s Korean proficiency. Coding for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Excel and CMA 3.0. The analysis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 comparison of the effect sizes among the different groups showed the group’s largest effect size with psychological variables with risk factors(ESr=.358), followed by the groups with psychological variables with protective factors(ESr=-.331), social variables(ESr=-.251), and linguistic variables(ESr=-.169). Second, the largest effect sizes of sub-variables in the group with linguistic variables were found for mother’s Korean proficiency(ESr=-.170), followed by children’s Korean proficiency(ESr=-.164). Third, the largest effect sizes of sub-variables in the group with psychological variables with protective factors were found for happiness(ESr=-.397), followed by self-esteem(ESr=-.379) and ego-resiliency(ESr=-.250). Fourth, the largest effect sizes of sub-variables in the group with psychological variables with risk factors were found for depression·anxiety(ESr=.396), followed by withdraw(ESr=.244). Fifth, the largest effect sizes of sub-variables in the group with social variables were found for relationships with peers(ESr=-.312), school adaptation(ESr=-.252), family relationships(ESr=-.217), and the relationships with teachers(ESr=-.190). Sixth, this evaluation study’s control variables were publication type, school level, female sample ratio(%), and mother’s Korean proficiency. Except for the female sample ratio(%), all the control variables were shown to have modified the effect sizes. The adjustment variables of the acculturative stress relationship with the groups of linguistic variabl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with protective/risk factors, were not evaluated in this study. Our data analysis findings can help elucidate the acculturative stress tha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therefore, they are useful for considering appropriate counseling interventions.

      • 뇌졸중 입원환자 주가족돌봄자의 삶의 질 구조모형

        강효정 고신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뇌졸중 입원환자를 돌보는 주가족돌봄자는 환자를 수발하면서 신체적 불편감, 정신적 위기감, 사회적 고립감과 수면부족 등으로 피로, 정서 불안정, 우울 등의 문제를 겪으면서 삶에 대한 의욕이 상실되어 삶의 질이 큰 위협을 받게 된다. 따라서 환자를 직접 돌보는 가족에 대한 간호는 궁극적으로 환자 가족의 건강회복과 삶의 질을 도모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이들이 돌보는 환자의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뇌졸중 입원환자 주가족돌봄자의 삶의 질을 예측하는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Haase (2004)의 청소년 극복력 모델(The adolescent resilience model, ARM)과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질병관련 위험요인인 부양부담감과 가족적 보호요인인 사회적 지지를 외생변수로 설정하였고, 개인적 위험요인인 불안, 개인적 보호요인인 낙관성, 과정변수이자 결과변수인 극복력과 삶의 질을 내생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입원환자 주가족돌봄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경로를 규명함으로써 뇌졸중 입원환자 주가족돌봄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6년 6월 K대학 내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승인을 얻은 후 자가 보고식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해 2016년 6월 28일부터 9월 30일까지 이루어졌다. 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한 1개 종합병원과 5개 재활전문병원에 입원 중인 뇌졸중 환자의 주가족돌봄자 214명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IMB SPSS Statistics 18.0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특성과 연구변수에 관한 서술적 통계, 상관관계 분석, 연구도구의 신뢰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0.0 프로그램을 통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가설적 모델적합도 및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조방정식 모델의 적합도는 χ2=333.342(df=157, p<.001), CMIN/DF=2.123, TLI=.92, IFI=.93, SRMR=.06, CFI=.93, RMSEA=.05로 모형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구조방정식모델에서 총 11개의 가설 중에 10개의 가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지되었다. 즉 본 연구의 모델 검증 결과, 뇌졸중 입원환자 주가족돌봄자의 부양부담감, 사회적 지지, 극복력은 그들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들 중 부양부담감은 삶의 질에 가장 큰 직 접효과가 있는 요인이었으며, 극복력은 가장 큰 총효과를 나타냈다. 극 복력은 삶의 질에 부양부담감 다음으로 직접 효과가 큰 요인으로 나타 났으며 불안, 사회적 지지와 낙관성이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불안은 낙관성과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사회적 지지는 불안, 낙관성, 극복력과 삶의 질에, 낙관성은 극복 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뇌졸중 입원환자 주가족돌봄자의 부양부담감, 사회적 지지와 극복력은 이들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뇌졸중 입원환자 주가족돌봄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양부담감을 경감시키고 사회적 지지를 높이기 위한 다각적 관리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극복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이 고려되어야 하며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불안, 사회적 지지, 낙관성의 요인들을 극복력 강화 중재 프로그램에 다차원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그들의 삶의 질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주요용어 : 뇌졸중 입원환자, 주가족돌봄자, 부양부담감, 불안, 사회적 지지, 낙관성, 극복력, 삶의 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