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의 문화예술 분야 파트너십 유형에 관한 연구

        이지훈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contemporary society has a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and labor structure which increased leisure time of individual and brought economic growth. Thanks to physical fertility by economic growth, the level of living increased and people had desire on the quality of life besides basic life of cloth, meal and house. To achieve better quality of life, the interest in culture and art increased. As creativity is weighed high on the economic growth, the recognition of culture and art became more significant. In line with social trend focusing on culture and art, culture and art are widely used in the marketing of the corporation such as experience marketing that combines products with culture and art, culture marketing that creates customers through communication of various cultural contents like music, art and movie with consumers and artmarketing that adds art to products through collaboration with artists. Management paradigm of the corporation consider sustainable management, creation of shared value and innovation management together with non-financial performance such as ethics, environment and social issues in order to have differentiation with other companies seeking corporate value. While companies use culture and art as a strategy for such change, due to the specialty of culture and art, it is not easy to secure culture and art resources. As an alternative, partnership relation with NGO, art organization and local government is made to share complementary key capacity for effective culture and art activity. This study examined the case of partnership of culture and art activity of the corporation by types and compared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partnership.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tnership by type, the study proposed preparation to form positive partnership with culture and art group and various partners. For this purpose, theories on general partnership were examined and case study was made in the category of alliance, collaboration, governance and public project type culture and art cooperation and sponsor which are widely used in culture and art area. As for the case of alliance such as Gmarket, NEFS and YG Entertainment, mediating group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lliance between the company and culture and art, which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ercise capacity of the company. While there are cases of business plan to specific beneficiary, But the scope of benefit is wide to provide participants of a specific project. But, there was no sustainable of the project and most projects were one-time project. Collaboration of Hyundai Motor Company, Samsonite and Samsung Electronics have executed capacity of production and partner tomaximize synergy. Most companies had direct effect of sales increase. Also, there was an opportunity to introduce existing customers of partner through collaboration and the corporate brand image was increased by giving a new image to the existing image. Governance of Lotte Duty Free Shop and GS Caltex with local government has a large size in finance over other partnership, and it had great effect in job creation and cultural art infrastructure. The role of each subject in the partnership was clearly allocated. While companies were mainly responsible for finance, local governments were for administrative part in the project and ARCON and NGOs planned specific items on the project. Public project type culture and art cooperation by Seoul Mecenat, Artswork and C-Festival promoted by the mediating organization is performed by the participation of companies having common objective and the role and function of mediating organization was more significant than any other types. In this case, companies does not seek mutual profit nor share capacity, but formed network in one project to specify business area and to expand its size. While sponsoring on culture and art area has strong character of 'support', when the cases of GS Caltex,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Hanwha Group and Amore Pacific were examined, many companies sponsored the business of mediating organization or supported artistic groups or artists that were matched with mediating organization. And, they could progressed the business more effectively through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partnership relation. Companies did not seek financial profit from sponsor, but sought positive corporate image and effective work performance by the satisfaction of employees on the companies. Companies could get effects from partnership such as expansion ofactivity size and scope, efficient link of resources, professionality of program, sustainable of business, creation of positive corporate image and securing new customers. Except for collaboration having numerical result as product sold-out, there was no data on accurate effect of collaboration. thus, no minute analysis was performed. The study was significant as it analyzed corporate culture and artistic activities by types in order to examine features and development plan. An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further studies on culture and art development plan and partnership. 현대사회는 산업구조와 노동구조의 변화로 개인의 여가시간이 늘어나고, 경제성장이 가져온 물질적 풍요로 인해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의·식·주 의 기본적인 생활 외에 삶의 질에 대한 욕구가 생기게 되었다. 더 나은 삶 을 위한 삶의 질 문제로 인해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경제발전 의 원동력으로 창의성을 중요시하면서 문화예술에 대한 인식도 중요해져가 고 있다. 이러한 문화예술을 중요시하는 사회적인 흐름 속에 기업의 마케팅 패러다 임도 제품과 문화예술을 접목해 제품을 인지시키는 체험 마케팅, 음악, 미 술, 영화 등의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고 객을 창출하는 문화 마케팅, 예술적 작가와의 협업을 통해 제품에 예술을 덧입히는 아트 마케팅 등 기업의 마케팅 전반에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변화해 가고 있다. 기업의 경영 패러다임도 지속가능경영, 공유가치 창출, 혁신경영 등 재정 적 이익 외에 윤리, 환경, 사회문제 등 비재무성과에 대해서도 함께 고려하 여 다른 기업과의 차별화를 갖고, 기업 가치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기업은 이러한 변화를 위한 하나의 전략으로 문화예술을 활용하고 있지 만, 문화예술이 갖고 있는 전문성으로 인해 기업 내에서 문화예술 관련 자 원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아, 이에 대한 대안으로 비영리기관, 예술단체, 지 자체 등과 같은 외부기관과 파트너 관계를 맺고, 상호 보완적인 핵심역량 을 공유함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문화예술 활동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문화예술 활동을 파트너십 유형별로 나누어 사례를 조 사하여, 각 유형별 파트너십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그 분석을 토대로 문 화예술단체 및 다양한 파트너들이 기업과 긍정적인 파트너 관계 형성을 위 해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인지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일반적인 파트너십에 대한 이론들을 조사하였고, 문화예 술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는 제휴, 콜라보레이션, 거버넌스, 공공 프로젝트 형 문화예술 협력, 후원으로 유형을 나누어 사례 조사를 하였다. G마켓, 넵스, YG엔터테인먼트의 사례를 살펴보면 기업과 문화예술과의 제휴에는 매개단체의 역할이 컸으며, 기업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 는 기회가 많았다. 사업 목적을 정하고 그 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 수 혜가 갈 수 있도록 그 수혜대상의 범위가 넓었으나, 사업의 지속성이 있지 는 않았으며, 일회성으로 끝나는 사업이 대부분이었다. 현대자동차, 쌤소나이트, 삼성전자의 콜라보레이션은 기업이 갖고 있는 제 품 제작 등의 역량과 파트너의 역량이 가장 잘 발휘되어 시너지 효과가 극 대화되었고, 대부분의 기업은 매출 상승이라는 직접적인 효과를 보았다. 또한 파트너가 갖고 있는 기존 고객을 새롭게 유입할 수 있는 계기를 마 련하였고, 다른 기업들과 차별화된 제품을 통하여 기업의 기존 이미지에 새로운 이미지를 주어 기업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켰다. 롯데면세점, GS칼텍스가 지자체와의 협력으로 이루어진 거버넌스는 다른파트너십 유형 보다 가장 재정적인 규모가 컸으며, 지역의 일자리 창출, 문 화예술 인프라 조성 등에서 큰 효과가 있었다. 파트너십에 있어 각각의 주 체의 역할은 정확히 분담이 되어, 기업은 주로 재정을 담당하고, 지자체는 행정 관련 부분을, ARCON과 시민단체는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아이템 등 을 기획하였다. 서울메세나 아츠워크와 C-페스티벌의 공공 프로젝트 형 문화예술 협력은 매개단체가 추진하는 하나의 공통된 목적에 뜻이 맞는 기업들이 참여하여 파트너를 이루는 구조로, 어떤 파트너십 유형보다 매개단체의 기능과 역할 이 가장 컸다. 이 경우 기업들은 서로 간의 이익을 바라거나 서로의 역량 을 공유하지는 않았고, 하나의 프로젝트에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사업의 분 야를 세분화하고, 규모를 확장시키는 형태로만 협력을 하였다. 문화예술 분야의 후원은 일반적으로 ‘지원’의 의미가 강하나, GS칼텍스, 서울대학교병원, 한화그룹, 아모레퍼시픽의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기업들은 예술가들에게 단순히 재정적 지원을 하는 것에서 벗어나, 다양한 파트너와 협력하여 다른 수혜대상에게 후원을 하는 구조로서 활동을 하였다. 매개단체를 통하여 매칭 된 예술단체나 예술가들과 파트너십을 갖고 후원 하는 경우가 많았고, 활동의 특성에 따라 전문기관과 파트너 관계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사업을 진행하였다. 기업은 후원을 통해 재정적인 이익을 바라지 않았으며, 기업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임직원들의 기업에 대한 만 족으로 인한 효과적인 업무 성과 창출 등 물질 이상의 가치를 추구하였다. 기업은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활동 규모와 범위의 확장, 자원의 효율적 연계, 프로그램의 전문성, 사업의 지속성,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 창출, 새 로운 고객 확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나, 제품의 완판이라는 수치적 결과가 나타난 콜라보레이션을 제외하고는 파트너십에 대한 정확한 효과에 대한 세부 자료가 없어 세밀한 분석이 이

      • 치과용 임플란트의 피로강도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및 실험적 연구

        이지훈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는 반복적인 응력부하(치과용 임플란트에서는 저작력)가 티타늄의 부동태 피막을 파괴시킬 수 있다는 전제하에,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하여 부식피트가 발생한 모델을 사용한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부식피트 주위에 집중된 응력에 주목하면서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해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피로수명해석 전용 프로그램인 FEMFAT을 사용하여 임플란트의 피로수명을 구하였다. 또한 최근 지대주 나사에 탄성계수의 차이가 큰 이종재료를 코팅하여 사용하는 추세에 따라, 이러한 코팅층이 지대주 나사의 피로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전산해석에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피로실험을 통한 검증을 하였다. 실험에서는 건전환경에서의 실험뿐만 아니라 위에서 언급한 생체내의 여러 인자들을 유사하게 반영한 생체유사환경 하에서 피로시험을 수행하였다. 우선 건전환경과 생체유사환경 하에서의 피로한도를 평가하고, 파괴모드의 고찰을 통하여 임플란트의 피로강도의 지배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텅스텐 카바이드가 코팅된 지대주 나사의 피로균열 발생기구의 고찰을 통하여, 이종재질의 코팅이 피로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는 임플란트 피로특성의 평가를 목적으로 한 유한요소해석과 실험적 검증을 비교 기준으로 삼아 피로강도 평가함으로서 임플란트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body environment causes the generation of corrosion pit on the surface of dental implant and it brings a stress concentration. Therefore, the body environment reduces the fatigue life of implant. Also the hardened layer coated at the surface of abutment screw brings a large stress concentration. The reaction of a body environment like a electrical effect, bit force and body fluid makes a corrosion by breaking away the resistance oxide film from the fixture. Finally it leads dental implant's fracture by a fatigue. In this paper, the evaluation of the fatigue life using the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for stress analysis has been made by FEMFAT. At that, it was concerned with ISO 14801 rules. Also, this study performed a fatigue test under the simulated body environment that has reflected factors within a living body. First, this study tries to evaluate the fatigue limit under normal condition and simulated body environment and to look into the governing factors of implant fatigue strength through the observation of fracture mode. Also by examining the crack initiation behavior of abutment screw which is coated with tungsten carbide, this study has examined the effect made on the fatigue strength by different kind of material coating.

      • 變額保險의 行政規制에 관한 硏究

        이지훈 崇實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the Administrative Regulation of the Variable Life Insurance Lee, Jee Hoon Department of Law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e variable life insurance which combines permanent protection with financial investment. Is being sold in many developed countries such as England, Netherland, U.S.A, Canada, Japan and Korea. After the world war Ⅱ, there were many countries troubled from the rising inflation followed by sudden economical growth. Insurance companies which handled long-term financial instrument were rais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new product to deal with this situation. In other words, insurance companies needed new product, which can reduce the investment risk at the same time providing high rate dividend, to meet the consumer preference of pursuing fast profits. So, this is how variable life insurance products were born. variable life insurance was commercialized first in Netherland. After that, it had been commercialized since 1957 in England, and 1967 in Canada. In U.S.A in 1952, the concept of variable annuity was introduced at the first time, and later variable life insurance was commercialized in 1976. Japan started to sell variable life insurance in 1986. Common insurance products had an weakness, that it couldn't be a countermeasure for the people's old age due to high inflation. So, people tend to invest more money in variable life insurance. In Korea, it became very popular since the variable insurance had been introduced. After the year of 2000, there were the changes of financial situations in Korea, such as free pricing of insurance, reorganization of the financial market, and rapid change of interest rate after IMF. To deal with these changes, there was the needs to adopt of variable insurance product that could guarantee the intrinsic value of insurance at the same time. It could also reflect market profits, and overcome the inflation. After 2001, April 27th, the financial supervisory commission changed the rule of the insurance business supervisory and laid down a legal basis. From the July of 2001, they started to sell that insurance product. Due to the change of the insurance business Act. the term of contract of variable insurance was legalized. World wide Financial crisis followed by sub-prime mortgage loan situation in America, 2008. caused the concern of needs to take an action against incomplete sales on variable insurance linked to stock market, in Korea. It will be discussed in next chapter that reviewing the principle of suitability about incomplete sales, the executive functions of 'Korea Life of Insurance Association and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s an administrative supervisory institution, financial approach of ombudsman system. 국문초록 變額保險의 行政規制에 관한 硏究 法 學 科 李地勳 指導敎授 蔡羽奭 변액보험은 보장성과 투자성이라는 두 가지 특성을 가진 보험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네덜란드, 영국, 캐나다, 미국, 일본 등 여러 선진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생명보험상품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각국은 급격한 경제성장에 따른 인플레이션이 주요 문제로 대두 되었고, 장기 금융상품을 취급하는 보험회사에서는 이에 대응할 수 있는 보험상품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즉, 보험회사에서는 고수익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선호에 맞추어 고율의 배당을 하면서도 투자위험을 줄일 수 있는 보험상품이 필요했고, 이러한 가운데 변액보험의 개념을 가진 상품이 등장하게 되었다. 변액보험을 상업적으로 상품화하여 최초로 판매한 국가는 네덜란드이다. 그 이후 1957년에는 영국에서, 1967년에는 캐나다에서 변액보험을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미국은 1952년 변액연금의 개념이 최초로 등장하였으나, 보험상품으로서 변액보험이 판매된 것은 1976년이며, 일본은 1986년에 가가 변액보험을 판매하였다.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 일반보험이 인플레이션에 따른 노후 대책이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변액보험으로 많은 돈이 몰리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변액보험이 도입되자 많은 보험계약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다. 이런 보험의 배경을 통해 2000년 이후 보험가격자유화, IMF 이후 금융시장 재편 및 급격한 금리변동 등의 금융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시장수익률을 반영하면서 인플레이션을 극복하여 보험금의 실질가치를 보장할 수 있는 변액보험 상품의 도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이후 2001년 4월 27일 금융감독위원회(현재 금융위원회)가 보험업감독규정을 개정하여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고, 2001년 7월부터 판매가 시작되었다. 그 후 2002년 1월 보험업법의 개정으로 변액보험계약이라는 문구가 법률에 정식으로 반영되었다. 우리나라도 2008년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사태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퍼진 금융위기로 인하여 주식과 연계된 변액보험에 대한 불완전판매에 대한 구제와 대응이 관심사가 되었다. 이에 대해 변액보험에 대해 살펴보고, 불완전판매에 있어서 적합성의 원칙에 대한 고찰, 행정감독 기관으로 생명보험협회와 금융감독원의 주요 기능, 옴부즈만제도의 금융적 접근 등을 검토하고자 한다.

      • 연구기관 행정인력의 역량모델 개발 : R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이지훈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1.1 연구의 배경 인적자원 개발 방법은 교육뿐만 아니라 제도와 문화 등 한 개인을 둘러싼 모든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적절한 대안을 찾을 수 있다. 개인의 행동은 자신이 보유한 특성과 환경의 조합으로 그 방향성과 강도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인이 직면하는 환경은 저마다의 조건이 다르고 그것을 인식하는 개인 또한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한 개인뿐만 아니라 조직역량 향상을 위한 최선의 도구를 교육으로 여기고 있다. 조직 내에서의 교육은 원래 중장기 전략에서 출발해 그것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도출하고, 바람직한 수준과 현 수준의 차이를 메우는 도구이다. 이를 위해 역량을 정의하고 모델링을 수립하며, 교육체계와 과정을 개발한다. 이장재(2009)나 한국노동연구원(2012)의 연구들에 따르면 연구기관의 연구 성과 창출의 성패는 단순히 연구 인력에만 달려있는 것이 아니라 이들의 연구를 기술적, 행정적으로 지원하는 인력의 효과적 운영 및 역량에도 크게 의존하고 있다. 1.2 연구의 필요성 R연구기관의 행정인력은 예산집행, 일반행정, 연구지원 등 업무에 집중되어 있고 R연구기관 사업의 이해부족으로 사업부서 직원의 요구사항을 이해하지 못하여 소극적인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인사, 회계, 재산관리, 계약 등 행정업무 담당자로서 업무 전문성 부족, 다양한 입직 경로, 직급 등을 고려한 경력단계별 체계적 인재 육성 프로그램 부재 등으로 수요자·현장 중심의 교육과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1.3 연구의 목적 이에 본 보고서는 R연구기관 행정인력의 역량을 추출하여 역량모델의 개발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R연구기관의 행정직 249명을 대상으로 직무행동 역량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교육체계(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北韓 集團軍의 電擊戰 攻擊樣相 및 對應方案에 관한 硏究

        이지훈 忠南大學校 平和安保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의 목적은 만약 북한이 한반도의 적화통일을 위해 남침을 기도한다면 지상군의 핵심전력인 집단군을 어떠한 방법으로 운용하여 공격할 것인가를 전격전 차원에서 분석한 것으로 집단군의 전격전 공격양상 및 대응방안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북한의 국가전략이나 이의 하위 개념인 군사전략을 논할 때 북한은 한반도의 적화통일을 위해 단기 속전속결의 전쟁 수행 방식을 택할 것이며, 이를 위해 기갑 및 기계화 전력, 다량의 장사정 포병, 대량살상 무기, 특수작전 부대 등 비대칭 전력으로 무장하고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지상군의 경우 사단급 이하 제대의 운용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던 반면 단기 속전속결을 위해 대부대급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공격할 것인가에 대해 종합적인 연구가 없어왔다. 이러한 차원에서 북한 집단군의 공격방식을 전격전으로 설정하고 군사전략과 편성, 그리고 교리의 내용을 토대로 이를 검증해 보고, 전격전 공격양상을 분석하여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서론과 결론을 포함하여 모두 6개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서론에 이어 제 2장에서는 전격전의 개념과 독일 및 구소련의 전격전 수행방식을 고찰하고, 제 3장에서는 북한군이 전격전을 채택할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 군사전략, 핵심전력 운용, 전격전과 관련된 교리 내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제 2장과 제 3장의 내용을 토대로 집단군의 전격전의 실체를 형상화하여 공격양상으로 제시하고, 선형방어 체계의 한계점과 대응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제 5장에서는 서론에서 제시된 명제들을 중심으로 요약하고 최종적인 결론을 내렸다. 이 논문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북한군은 한반도의 적화통일을 위해 과거 구소련이 제 2차 세계대전의 독·소전역에서 적용한 종심공격전의 전격전 수행방식을 채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북한의 전격전은 구소련군의 종심공격전을 기본골격으로 하여 군사전략, 전력구조, 한반도의 지형여건, 남한의 방어 능력 등을 고려하여 북한군의 실정에 맞게 발전시켜 왔다. 북한이 남침한다면 미군의 중원전력이 전개하기 전에 한반도를 석권해야 하기에 앞으로도 전격전 수행방식을 계속 고수할 것이며, 수단은 변하여도 전체적인 공격방식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둘째, 그들이 말하는 '강화된 적 방어', 즉 남한의 FEBA"A"를 공격할 경우에는 제병협동부대인 보병사단을 결정적인 지점에 집중 운용하여 전선을 돌파하고, 그 이후부터는 그들이 보유하고 있는 기갑 및 기계화전력을 투입하여 종심으로 신속한 기동을 실시한다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인 인식보다 기갑 및 기계화 전력을 조기에 투입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종심으로의 신속한 기동은 전 정면에서 비선형 전선을 형성하고, 아군의 방어체계를 분리 와해시켜 정상적인 방어가 불가능하게 할 것이다. 셋째, 아 방어지대를 조기에 돌파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량살상무기를 포함하여 각종 화력지원 수단을 결정적인 지점에 집중운용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화력의 집중운용 방식은 구소련군의 화력운용 방식과 맥을 같이 하며, 상상을 초월하는 화력의 집중으로 기동부대의 공격 이전에 아군의 방어부대를 무력화하여 최소한의 전투로 성과를 극대화하려 할 것이다. 넷째, 공격이 성과적으로 진행되어 전 전선에서 몇 개의 종심 깊은 돌파구가 형성되면 작전 · 전술적인 포위기동을 통해 아 야전군의 주력을 포위할 것이며, 포위가 완성되면 이를 무력화하여 차기 작전에 투입을 방지하려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북한이 전격전 수행방식을 채택하여 남한을 적화통일하기 위해 공격할 경우 미칠 요인들을 감안할 때, 우리가 대비해야 할 바람직한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① 북한군의 공격에 대한 대비를 새로운 차원에서 접근하여 북한 집단군 전격전 수행과 관련한 공격양상을 재 판단하고 이에 따른 작전계획을 발전시켜야 한다. ② 생존성 보장 대책과 전투수행 절차를 구체화하여 숙달하고, 재편성 · 부대교대 · 중원 등과 관련된 우발계획이 발전되어야 함과 더불어 예상되는 작전지속일을 고려하여 지역별 · 거점별 차등화 된 전투준비가 필요하다. ③ 주타격방향을 조기 식별하고, 대응 전투력의 집중과 연속타격전 수행을 방지해야 한다. ④ 적 집단군의 주타격방향에 대한 집중 돌파에 대한 대응책을 강구하되, 북한군의 기계화 및 기갑부대에 의해 수행되는 전격전을 저지, 격멸 · 격퇴시킬 수 있는 무기체계, 편성, 배치, 운용개념에 대한 사려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⑤ 적 공격의 혀점을 찾아 제대별로 적극적인 공세행동을 통한 주도권을 쟁취해야 한다. ⑥ 적 특작부대의 활동을 최대한 억제 또는 무력화시키기 위해 활동하리라고 예상하는 지역의 선점, 요망하는 활동을 못하게 하는 억제 노력이 필요하다. ⑦ 군단 및 야전사 차원의 통합된 작전지휘와 확고한 지휘통제 · 통신체계 유지가 필요하다. ⑧ 전격전 전투실상에 대한 실질적이고 실전적인 교육과 정신무장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국가를 수호하고 국민의 생존권을 책임져야 할 군은 유비무환의 자세를 견지한 상태에서 북한이 한반도 적화통일이라는 망상을 포기하고 주요 전력을 해체하기 전까지는 북한의 전격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이에 대한 대비를 게을리 해서는 안 될 것이다. This thesis focuses North Korean Army Groups' Blitzkrieg attack scenarios and South Korean countermeasures by employing analytic approaches to North Korean Army Groups' methods of offensive operations launching an all-out war on the Korean peninsula. Generally, when discussing North Korea's military strategy, it is estimated that North Korea will depend on the speed-war concept and methodologies. And it is armed with the asymmetric combat power like armor and mechanized units, long-range artilleries, weapons of mass destruction, special operation forces, and so forth. Despite of numerous researches on the war-fighting methodologies of the North Korean ground forces at the division level or below, there have been very little efforts in accumulating traditional studies and estimation on North Korean's large ground units' war-figiting ways. Seen from this aspect, this study primarily defines the basic concept of the North Korean Army Groups' offensive operations as blitzkrieg, validates effectiveness of the definition, and suggests several military measures to counter threats posed by the North Korean armed forces. To achieve this purpose, it consists of six chapters including introduction and conclusion. Following the introduction, Chapter Ⅱ reviews the blitzkrieg concept once adopted by the German and the former Soviet Union's armed forces, whereas Chapter Ⅲ suggests an inevitability of North Korean armed force's selection of blitzkrieg warfare through the analyses of North Korean military strategics, utilization of essential combat power, and speed war doctrines. Chapter Ⅳ embodies conceptual war-fighting methods of the North Korean army groups through the findings in the previous two chapters. Chapter Ⅴ puts forth limitations and countermeasures of the linear defensive operations systems. Lastly, Chapter Ⅵ summarizes the issues raised in the introduction and concludes the thesis. Conclusively, considering each and every impact caused by North Korea's launching of an all-out war against South Korea, some countermeasures can be adopted as listed below: ① To deal with North Korean armed force's attack scenarios, a new approach to solve the problem such as reestimation of North Korean army groups' blitzkrieg doctrine, and revision of our OPLAN has to be attempted. ② The details of the plans to ensure South Korea's survivability and war-fighting procedure have to be developed in concert with contingency plans like reorganization, replacement, and reinforcement. Through estimation of operational duration periods by area and stronghold, some differential standards in terms of combat readiness have to established. ③ The enemy's main efforts during the offensive operation have to be identified as early as possible to enable South Korea to mass suitable combat power and prevent it from striking South Korea successively. ④ Some prudent researches centering on improving South Korea's weapon systems, unit organization, unit dispositions and employments have to be made in order to impede North Korean force's OPTEMPO, destroy or defeat enemy amour and mechanized forces, while seeking some countermeasures to block penetrations of North Korean army groups' main attack. ⑤ The operational initiative has to be seized by echelon through active offensive actions oriented to the soft spots of the threat. ⑥ To suppress or neutralize enemy special operations forces(SOF) to the maximum extent, south Korean efforts to analyze SOF's areas of operations and to disintegrate SOF's actions have to multiplied. ⑦ Both integrated operational command and consolidation of command · control · communication systems at the corps and field army level headquarters are very much needed. ⑧ Some realistic and pragmatic educational methods that will mentally ready for South Korean combatants to meet the psychological impacts of North Korean blitzkrieg have to be prepared. As the bottom line, the ROK military, which is responsible for safeguarding the nation and for protecting lives of its fellow countrymen, should accurately understand the North Korean blitzkrieg and maintain high military readiness against this kind of warfare so far as North Korea does not abandon its false illusion of communizing the peninsula by its military force.

      • 사물인터넷 품질요인이 호텔고객 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지훈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ICT의 발전과 정보통신 IT융합을 통한 기술 발전으로 인해 각종 건물 특히 최신식 호텔 인프라에 여러 가지 사물인터넷과 유사한 IT 인프라 기술들이 접목 되고 있다. 사물인터넷은 유비쿼터스 또는 홈네트워크의 발전형이라 볼 수 있다. 과거에 홈네트워크는 일반적인 가정에 들어가 적용되었다면 사물인터넷은 좀 더 포괄적이고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이 된다. 이런 변화에 맞추어 사물인터넷 서비스는 여러 가지 형태로 호텔 서비스의 보안, 객실 내 자동 환경 제어, 통합 후불 결제등의 각 종 편의성을 고객에게 제공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산업에서의 사물인터넷 IT 인프라의 서비스 품질이 TAM 요인을 통해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 응답성, 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및 TAM요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을 통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 하고자 하고 둘째, 기존 호텔서비스 산업에서의 서비스품질의 중요 요소와 사물인터넷 서비스품질에서의 중요 요소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물인터넷 서비스품질과 TAM요인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호텔 산업에서 얻을 수 있는 실질적 효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서 교사의 비언어적 행위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이지훈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earners’ perception of teachers’ nonverbal behaviors during Korean language classes, and raise instructors’ awareness on nonverbal behaviors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nonverbal behaviors and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asks the following question: “Do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nonverbal behaviors and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vary depending learner variables?” Chapter 1 of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eachers’ nonverbal behaviors, and reviews previous literature on nonverbal behaviors. Studies on nonverbal behaviors span across multiple sectors including sociology, services, education, and medical sectors. Among those, studies on learning and teaching provide findings pertaining to this study; teachers’ nonverbal behaviors affect learners’ attitude and achievements by stimulating learners’ emotions. However, the previous body of research on nonverbal behaviors are lacking in depth and diversity, partially on account of the difficulty with generalizing and systemically classifying nonverbal behaviors. Chapter 2 provides a theoretical background by examining the concept, characteristics, functions, and types of nonverbal behavio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onverbal behaviors and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Chapter 3 overviews the subjects, methods, and process of this study.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perception of nonverbal behaviors and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with Chinese learners taking Korean speech classes at the Korean language center or as a part of their undergraduate programs.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nonverbal behaviors and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Chapter 4 discusses the findings of the data analysis. It uses th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survey findings to understand the extent to which learners perceive teachers’ nonverbal behaviors in relation to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followed by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nonverbal behaviors and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depending on learner variables. Chapter 5 summarizes the findings, followed by conclusions and sugges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nonverbal behaviors, learners perceive quasi-language as associated with class concentration. Physical language was perceived as associated with class interest and confidence. Second, as for learner variables, a learner’s sex was found to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rtifacts and class concentration, with men reporting higher correlation. As for learners’ ages, the respondents consisted of students in their 20’s and 30’s. Class concentration and confidence were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teachers’ physical language behaviors. Between the two age groups, students in their 30’s were more sensitive to teachers’ nonverbal behaviors. As for the students’ levels, learners’ confidence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teachers’ artifacts, and the correlation was higher among learners in level 2 classes. The findings confirm that different types of teachers’ nonverbal behaviors are correlated with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concentration, interest, and confidence). Therefore, during a class, a teacher can use nonverbal behaviors depending on the situation to build trust and form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learners. These effects of nonverbal behaviors are expected to positively effect learners’ attitudes in terms of concentration, interest, and confidence.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contribute to raising awareness on teachers’ nonverbal behaviors in Korean language classes, and provide the data for follow-up research on nonverbal behaviors and teaching/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실에서 교사의 비언어적 행위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알아보고 교사의 비언어적 행위와 학습 효과의 관계를 통해 비언어적 행위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을 높이고자 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교사의 비언어적 행위와 학습 효과의 관계는 학습자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제 1장에서는 교사의 비언어적 행위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밝히고 비언어적 행위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비언어적 행위에 관한 연구는 사회학, 서비스, 교육, 의료 등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졌다. 그중에서 본 연구와 관계있는 교수, 학습 분야의 연구에서 교사의 비언어적 행위가 학습자의 정서적인 부분을 자극하여 학습자의 학습 태도 및 성취도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선행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비언어적 행위의 일반화와 체계화가 어려운 특성으로 인해 비언어적 행위의 중요성이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음에도 깊이 있고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점을 알 수 있었다. 제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비언어적 행위의 개념, 특성, 기능,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 선행 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비언어적 행위와 학습 효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 및 연구 절차에 관해 소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비언어적 행위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학습 효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대학교 한국어센터와 학부에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받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하여 교사의 비언어적 행위와 학습 효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제 4장에서는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이야기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통계분석한 내용으로 교사의 비언어적 행위 유형에 대해 학습자가 학습 효과와 관계하여 인식하는 정도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학습자 변인에 따라 교사의 비언어적 행위와 학습 효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제 5장에서는 자료 분석한 결과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고 결론과 논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집중도와 관련하여 학습자가 관계가 있다고 인식하는 비언어적 행위 유형은 유사언어이며, 수업 흥미도와 자신감에서는 신체 언어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교사의 가공적 행위가 수업 집중도와 관계가 있었고, 그중 남학생과의 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나이에 따라서는 20대와 30대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수업 집중도와 자신감에서 교사의 신체 언어 행위와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와 30대 중에서는 30대가 교사의 비언어적 행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도에 따라서는 학습자의 자신감이 교사의 가공적 행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급을 공부하는 학습자에게서 관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효과(집중도, 흥미도, 자신감)와 관계있는 교사의 비언어적 행위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교사는 수업 시간에 언어적 요소 외에 비언어적 행위를 상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의 비언어적 행위의 사용으로 학습자는 교사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친근한 관계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비언어적 행위의 효과는 학습자의 학습 효과인 집중도, 흥미도, 자신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 이어 실제적인 한국어 교실 안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행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교수 학습과 관련하여 비언어적 행위에 관한 후속 연구에 도움이 되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 재건축아파트 진행단계별 투자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강동시영1차 아파트를 중심으로

        이지훈 광운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19세기부터 자본주의 경제는 8~12년을 주기로 불경기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주기설의 견해는 첫째, 자본주의적 생산과정의 일시적인 단절상태로서 이해 할 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체제의 모순의 작용으로서 파악하는 견해와 둘째는 이를 경기순환으로서 파악하여 호경기와 불경기의 교체과정을 “고도자본주의의 발전형태” 중의 하나로 보지만 1997년 말 IMF와 같은 위기가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고 보는 것이다. 1997년 말 IMF위기이후 서울시 주택시장은 재건축에 대한 우려와 필요성에 대한 지속적인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재개발아파트, 재건축아파트, 및 다세대주택을 포괄하는 광의의 재개발이 1990년대부터 재개발도시로 변모한 서울시의 신규주택을 공급하는 주요방식이었다는 논의와 함께 재건축으로 인한 기존 도시기반시설에 대한 부하의 증가나 20년이 채 안된 주택의 철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손실의 문제 등 다양한 이슈들이 논의 되어왔다. 서울시의 아파트가격 변동은 강남구를 포함하는 서울시 남동권에서 시작되어 기타지역으로 또한 결과적으로서는 수도권 전체로 파급되고 있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러한 견해는 수도권 주택시장을 이해하는 기본적인 골격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1990년대 중반이후 수급분석의 관심의 초점이 되는 강동구, 송파구, 강남구, 서초구 4개구에 수요의 급증과 주택공급의 상대적인 부족현상이 어느 정도의 가격상승의 격차는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분석되고 있다. 1990년대 말 주택수요 요인은 급격히 증가한데 반하여 아파트의 공급은 상대적으로 적었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또한 경제 전반적인 요인으로 시장이자율이 낮아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재건축아파트의 가격 상승이 가속화되는 결과가 초래 되었다. 이러한 기본 가정 하에 강동 시영1차아파트의 재건축의 사례를 중심으로 재건축아파트 가격의 수익성분석을 본연구의 주제로 삼았다. 본 연구는 1996년11월14일 재건축대상 당시의 가격부터, 각 단계별로 추진위구성(1998년1월15일), 시공사선정(2000년8월30일), 안전진단통과(2001년2월15일), 조합설립인가(2002년5월28일), 사업계획승인(2003년12월30일), 동∙호수추첨(2005년3월30일)까지 7단계로 분류하여 각 단계별 투자수익성을 분석하고, 각 단계별 현재가치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함으로서 투자가치를 분석 연구하여 재건축아파트의 가격흐름을 분석하고자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분석에 의하면 첫째, 재건축 아파트에 투자를 해서 높은 투자수익성을 얻기 위해서는 정부의 다양한 부동산정책이 발표되거나 금리인상 등의 부동산 악재요인들이 발생되는 시점인 부동산시장이 불안정할 때 투자를 하는 것이 부동산 시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는 시기인 호황일 때 투자를 하는 것보다 더 높은 투자수익성을 가져올 수 있다는 연구 결론을 얻게 된다. 즉 부동산시장의 호황은 그만큼 투자수익성이 떨어진다는 현상을 분석할 수 있을 때에 효과적인 투자에 이를 수 있다는 결과를 얻게 된다. 둘째, 같은 평형에서 배정을 받는 경우라면 낮은 평수에서 높은 평형을 배정을 받는 것이 투자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얻어 낼 수 있었다. 높은 평수에서 낮은 평형을 배정을 받는 것이 낮은 평수에서 높은 평형을 받는 것이 재건축 아파트의 투자 특징상 더욱 높은 투자수익성을 얻을 수 있다. 셋째, 재건축아파트는 투자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배정평형이 크면 클수록 투자수익성이 더욱더 크다는 것이다. 대형평형일수록 선호도가 높고 희소가치성 때문에 같은 조건이라면 높은 평형을 선택하는 것이 투자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론을 얻게 되었다. 즉 2005년 8.31부동산정책과 금리인상이 발표된 현재의 시점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투자를 할 수 있는 시기를 분석하여, 미래의 가치가 높은 지역을 파악하여 투자할 때에 투자수익성은 현저한 차이를 보일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그러한 가치가 정부의 부동산정책과 연이은 금리인상의 발표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분석하고 정부의 부동산 정책방향을 올바로 판단하고 정확히 읽을 때에 최고의 투자수익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될 것이며, 재건축아파트에 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정부정책흐름과 투자시점을 판단하여 결론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며, 상기와 같은 투자수익성을 얻을 수 있는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투자자의 판단이 가장중요한 판단요소로 분석되었다. The capitalist economies have experienced recessions every 8-12 years since the 19th century. Two explanations are possible for these periodic recessions. First, it is said that recessions result not only from temporary breaks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a capitalist economy but also from the internal inconsistency of a capitalist economic system itself. Second, some people view recessions as a part of economic cycles alternating between boom and bust; that is, economic cycle is viewed as an aspect of a "highly developed capitalist economy" with some extreme cases such as the IMF crisis in 1997 being exceptional. Reconstruction of some old apartment buildings has been discussed since the IMF crisis in 1997. Some define reconstruction in a broad sense and asserts that new housing in Seoul has been supplied mainly through redeveloped apartments, rebuilt apartments or multiplex houses since the 1990's. Others say that reconstruction increased the burden laid on urban infrastructure and that withdrawal of houses of less than 20 years old may be a social loss. The changes in the price of apartment houses in Seoul were considered to be originated in the southeast area of Seoul and were extended later over the entire metropolitan area. This consideration has been one of the basic frameworks to view the housing market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ome increases in the price can be understood to result from a surge in the housing demand of such regions as Gangdong-gu, Songpa-gu, Gangnam-gu and Seocho-gu since the mid 1990's and relatively low supply of the goods. Especially, the number of factors toward increase in the housing demand more than doubled while the supply failed to satisfy it at the end of the 1990's. Moreover, falling interest rate over the general economy has accelerated the rise in the price of rebuilt apartments.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the case of rebuilding Gangdong Municipal Apartment the First Complex while examining profitability of the price of rebuilt apartments. The current study divided the periods of rebuilding the apartment beginning on November 14, 1996 into seven stages; namely, establishment of a rebuilding commission(January 15, 1998), selection of a builder(August 30, 2000), satisfaction of safety inspection(February 15, 2001), permission of a residents' cooperative(May 28, 2002), approval of the construction project(December 30, 2003), a lottery for the room number(March 30, 2005). For each stage, profitability and present value of an investment were assessed to see the value of an investment and the price changes of rebuilt apartm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rofitable strategy was to invest in rebuilt apartments at the time when the government announced new policies about real estate, the interest rate rose or the other factors gained momentum to make the market for real estate unstable, rather than when the market was stable and the price of real estate rose following an economic boom. In other words, a boom in the market for real estate made an investment less profitable, which provided useful information regarding efficient investment. Second, if one was assigned an apartment house with a certain area from the one with a smaller area and the other was assigned that with the same area from the one with a larger area, then the former case was more profitable. The result came from inherent nature of rebuilt apartments intending to benefit relatively poor class. Third, the larger the area of an assigned apartment house, the more profitable an investment to rebuilt apartments in an admissible range. People preferred to an apartment house of a larger size which is more scarce. Hence, an investment in a larger apartment house is more profitable with the other things being equal. In other words, an investor, considering the announcement of real estate policies and a rise in interest rate on August 31, 2005, should choose the region with the highest future value and the point of time where the present value of an investment is expected to be the highest to maximize the profitability of an investment. In addition, one should interpret properly th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policies about real estate and the rise in interest rate to get a maximum output. An investor who considers rebuilt apartments should take special care of the time to invest in the context of various government policies and bear in mind that the profitability of an investment depends most crucially on individual judg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