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촌정보화의 실태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 강원도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강민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0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하여 도시지역은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지만 농촌지역은 이러한 경제발전에 소외되어 작은 국토 내에서 도농격차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도농격차는 완화될 가능성이 없이 더욱 심화되고 있어 그 문제는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세계적인 정보화의 추세에 맞춘 농촌정보화가 도농격차를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농촌지역은 도시지역보다 정보화를 확산하기에 불리한 환경을 가지고 있어 농촌지역 내 정보화는 매우 느린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도시와 농촌 간에는 도농격차에 이은 정보격차가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강원도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한 실증연구로 농촌정보화의 실태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보접근, 정보이용, 정보활용 등 세가지 관점에서 농촌정보화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정보화관련 통계자료분석과 방문조사, 설문 및 인터뷰, 사례조사 등의 실태분석을 실시하여 몇 가지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더불어 강원도 농촌지역의 정보화수준 분석을 위하여 교차분석과 프로빗모형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선진농업인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보화에 대한 농촌주민들의 인식을 분석하였으며 강원대학교의 농업정보119의 방문교육결과를 분석하여 농촌지역의 정보화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농촌마을에서의 정보화 참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3C-D-T 모델을 이용하여 농촌관광마을홈페이지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정보접근, 정보이용, 정보활용이라는 세가지 관점에서 농촌정보화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농촌지역에서 정보접근기회의 확대 방안으로 PC보급 확대 및 안정적인 인터넷 공급, 농촌실정에 맞는 정보기기 및 S/W개발을 제시하였고 정보이용능력의 제고 방안으로는 지역 내 정보선도자 육성과 타겟그룹을 세분화한 정보화교육의 확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보활용의 촉진 방안으로는 개인의 정보화에 대한 참여의지를 확산하고 다양한 농촌정보컨텐츠의 활용을 통한 네트워크 형성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농촌정보화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있었던 이유만으로도 농촌지역에서의 정보화는 큰 의미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를 계기로 농촌정보화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도농격차완화라는 농촌정보화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각 분야별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Due to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urban areas have accomplished a speedy growth. However, unlike urban areas, rural areas were marginalized from the process of the economic growth and this fact has resulted in the increasing rural-urban divide in many aspects, bringing about many serious problems in rural areas. Recently, following the tendency of worldwide information system, rural information system has been expected to lessen the rural-urban divide problem and thus draw much attention. In another aspect, since rural areas, unlike urban areas, have had downsides of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rural information system has been slowed down. As the subsequence of the rural-urban divide in various fields, the digital divide between the two areas has been generated, and is increasingly becoming a notable issue. This study is not only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rural information system in Gangwon-do through the proof study, but also to suggest the plan to improve the rural information system. The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r in another word, particularly on the basis of three perspectives: accession to information,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From the outcome of the analysis of actual situations which were resulted from the statistics in the study relate to rural information system, visit surveys, questionnaires, survey researches, case studies, and on-site inspections, certain problems are presented. For the analysis of the informatization in rural areas in Gangwon-do, the rates of people’s possession of computers and their use of information correlated to agricultures are focused by using the Probit Model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Through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aimed at rural leaders, their perception of information is analyzed. In addition, the course of the information education is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through the results of visit teaching activities of the Agriculture Information 119 which was held by the Kangwon University. In order to evaluate the rate of people’s participation in information activities, the situation of people’s practical use of the Rural-Tourism-Village homepage is evaluated by the 3C-D-T model. The consequence that was produced in the course of the analysis suggests an activation plan for rural information system in three perspectives: accession to information,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information. For the plan to create more opportunities in accessing to information for rural people, an increase in the supply of computers, security in internets as well as development of software and tools of providing information are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using the information for rural residents, fostering leaders in information utilization and creating more information education opportunities by the subdivision of target groups are suggested. Lastly, for the promotion of the information application, developing measurements such as encouraging an individual’s motivation in participating in information activities and building networks through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contents on rural areas are proposed. By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plans for the activation of rural information system are presented. Contents of the study are meaningful in pursuing the ideal plans for effective rural information system. Since there have been various debates about rural information system, rural information system has become increasingly significant.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collective approach of each field towards the accomplishment of ultimate goals of rural information system, the activation of rural information system and the lessening of rural-urban divide are required.

      • 실태분석을 통한 공중화장실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복합식 화장실을 중심으로

        이수현 건국대학교 건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815

        1970년대 이후,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한국의 화장실 공간은 서구식 형태가 일반화되는 변화를 가져왔다. 실제적으로 화장실 공간에서 발생하는 행위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검토도 없이, 경제적 이유 및 일반적인 추세에 따라 공중화장실은 대부분 수거재래식의 임시 방편적인 시설의 간이화장실로서 단순히 분뇨보관과 타인에게 안보이게 하는 칸막이 정도의 기능밖에 수행하지 못하는 낙후된 구조임에도 기술개발에 대한 관심조차 없이 계속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배경아래 공중화장실은 '86아시안 게임과 '88올림픽대회 및 '89년까지도 시설개선보다는 양적인 확대와 대폭적인 증설이 대안으로 추진되어 약 3,500여개로 증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90년도에 이르러 화장실에 대한 인식 변환이 되면서 화장실 공간에서 평온함 쾌적성·여유·휴식·활력을 창출할 수 있는 공간이라는 요구가 팽배해 지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사회환경의 변화와 생활 양식의 다양화 및 생활형태 변화 등의 요인에 따라, 화장실 공간에서 사용되는 행위의 확대와 다양성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화장실이 이제는 단순한 생리·위생을 위한 공간의 역할을 너머 편안한 휴식공간으로서 화장실도 부수적인 공간이 아닌 하나의 독립공간으로 자리잡혀가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화장실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현재 사용되는 화장실 공간의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환경적 요소와 관계하여 새로운 화장실을 제시해 봄으로서 공간의 기능에 따른 효율적인 화장실 공간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가 잘못 인식하고, 잘못 수용했던 화장실 공간 계획을 화장실, 화장실과 환경과의 관계(내부와 외부), 그리고 공간 안에서의 화장실(공간 연계)에 대한 계획·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주된 연구방향이다. 본 연구는 포괄적 연구경향을 벗어나 구체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사용자의 실생활의 요구를 토대로 공간계획을 연구한 것이기 때문에 연구의 방법으로써는 주로 현장조사 및 실태조사가 중심이 되었다. 우선 문헌조사와 자료수집으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시설의 현장조사와 이용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구도 및 만족도를 병행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의 범위로써 화장실 관련법규에 제정되어있는 공중변소의 개념인 공중화장실을 대상으로 한다. 또한 연구대상은 서울시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시설 중 '송파구'에 있는 '석촌호수 주변' 지역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송파구'의 '석촌호수 주변'는 한국관광공사에서 조사한 Best 화장실과 Worst 화장실이 같이 존재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선호도 및 요구의 파악이 용이하였기에 이 지역을 선정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공중화장실을 중심으로 사용실태를 파악하여 화장실 내외공간의 이용상의 문제점을 조명하고, 사용자의 만족도 및 요구도를 기초로 위생공간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일반적인 공중화장실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알아본다. ② 사용되고 있는 공중화장실 공간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제시한다. ③ 공중화장실 공간과 주위 환경과의 관계에 의한 위치를 고려한다. ④ 화장실 공간에서의 행태분석에 의해 고려된 공간 및 심리적 관계에 의한 개선사항을 제시한다. 이와 같이 다각도로 조명해 본 연구의 결과들을 몇가지로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문화생활 및 공중화장실의 관리'유지등을 위해 복합식 공중화장실로 계획되어야 한다. ② 사회문제 및 위생문제를 위한 개방된 공중화장실로서 개인의 공간을 존중 및 확보해야 한다. ③ 공중 화장실공간은 남'여 공간이 분리되어야 한다. ④ 외부에서 공중화장실로의 접근 및 내부와 외부의 연결을 고려해야 한다. ⑤ 공간 사용자의 심리적 공간까지 고려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⑥ 양변기와 화변기 두 가지 사용이 가능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⑦ 이용 중에 있는 사람이나 기다리고 있는 사람도 모두 쾌적하게 지별 수 있도록 유효 적절한 대기공간을 확보한다. ⑧ 주변의 환경과 조화되는 공중화장실을 계획한다. 위와 같은 결과에 중점의 두어 카페 공연장 갤러리 등의 타 문화공간과의 연계를 토대로 기존의 공중화장실의 국한된 용도를 변화·확장시키고 주위공간과의 관계를 통하여 환경적·문화적인 화장실 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복합식 공중화장실의 타공간과의 연계를 보면, 화장실 공간과 수익성의 공간(카페, 상점…)이 두 공간을 복도나 전실로서 연결된 경우이거나, 하나의 건물에 화장실 공간과 수익성의 공간(카페, 상점…) 입구가 다르게 존재하는 경우 등이 있다. 그러나 본 고는 화장실 공간과 수익성공간(카페, 상점…)의 연계가 소극적인 것이 아닌 적극적으로 화장실 자체에서 문화와 휴식을 누릴 수 있도록 화장실 공간과 수익성의 공간이 한 건물 안에 같이 존재하는 공간을 계획한다. 이 공간은 수익성공간에서 얻어지는 수입으로 공중화장실을 유지'관리하므로 기존의 공중화장실과 다르게 사용전·후가 동일하게 청결이 유지되는 새로운 화장실 문화공간이다. Since 1970's, toilets in korea have been modernized on the concept of Westernization. However, the changes were mainly focused on the substitution of the traditional toilets. Thus, the role of the conventional toilets has been limited to the deposit of human wastes and partition. Nevertheless, there has been no specific investigation and examin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role of the conventional toilet space. In recent years, however, the expansion and diversity of behavior patterns in toilets are required as the changes of social environments and life style. This means that the toilet must be an independent, comfortable, and resting place. In this work, author tries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onventional toilets and investigate spacial roles of efficient toilet space. Thereby, author propose a novel concept for the toilets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elements. This work deals with a detail approach to toilets based on a field investigation (on-the-spot survey) and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s an object for the research, public toilets located in Sok-Chon lake were selected. Research subjects are summarized as follows: ① Investigation of the requirements for conventional public toilets ② Suggestion for the improvements of conventional public toilets ③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 of public toilets and surroundings. ④ Suggestion a scheme for the improvement of the public toilets based on the analysis of behavior patterns in toilet space and psychological relation After the research on the above items, author summarized the conclusions as follows: ①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mplex public toilets in order to lead a civilized life and to manage and maintain the public toilets. ② As a open-space for the social- and sanitary issues, personal spaces must be guaranteed in the public toilets. ③ Spaces for male and female must be separated in the public toilets. ④ It should be considered the access to a public toilet from outside and interconnec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⑤ A advanced design including the psychological space of the users must be realized. ⑥ A design for the utilization of both stool and toilet bow is required. ⑦ Comfortable space for both utilizing and waiting persons must be guaranteed. ⑧ It is necessary to make a plan to match the public toilets and the surroundings. Focused on the above results, the author tried to modify and expand the limited roles of conventional public toilets by a linking with cafes, galleries, and performance places, and thereby proposed an novel concept for environmental and cultural public toilet spac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ublic toilets,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toilets and other beneficiary spaces (cafe, store..) is not so remarkable. For example, the two different spaces are just geometrically connected by passages or extra rooms. In some cases, there are two entrances for the toilet and beneficial space in a building. In this work, however, author schemed a concept for the public toilet space in order to progressively combine the two different spaces. Consequently, it is a novel toilet space for more cultural and comfortable life since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the public toilets can be realized by an income from the beneficial space.

      • 어메니티를 고려한 안양천의 수변공간 실태분석 : 안양교~충훈2교 중심으로

        임현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13

        국내 수변공간은 더 이상 도시경계 또는 변두리가 아니라 도시 내 이용자들의 어메니티 중심공간으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시대와 이용자들의 사회적 요구변화에 따라 수변공간과 어메니티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공간 및 시설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수변공간 및 어메니티의 선행연구 및 국내 수변공간 우수사례 분석을 토대로, 어메니티 항목 중 편리성, 안전성, 환경성, 문화성, 심미성 측면에서 실태 평가내용을 구성하고자 한다. 이후 최종적으로 도출된 평가항목을 토대로 안양천의 수변공간 중 접근로, 하천건널목,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 활동공간 중심으로 실태를 분석하고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편리성 측면에서 공간별 실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를 제외한 공간들은 접근시설이 여전히 부족하며 자전거 이용자, 노인 등을 고려한 구조적 접근계획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용자의 접근이 용이하고 활용될 가능성이 있는 주택밀집지역, 교량하부 공간 에 추가적인 접근시설을 계획과 다양한 이용자 계층을 고려하여 접근이 용이한 구조적 계획이 요구된다. 둘째, 안전성 측면에서 공간별 실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범죄 및 사고안전 측면을 고려한 시설물 계획은 부족하였다. 따라서 범죄 및 사고안전 측면을 고려한 시설물 계획이 요구되는데, 특히 자전거 이용자와 보행자가 주로 밀집되어 사고에 취약한 하천건널목과 자전거 및 보행자도로 중심으로 사고안전 시설물과 범죄안전 시설물을 추가로 계획될 필요가 있다. 셋째, 환경성 측면에서 공간별 실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양천은 최근 생태하천복원사업으로 수자원은 양호하나, 모든 공간에서 쓰레기통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주변 환경에서 쾌적성이 결여되었다. 따라서 다른공간보다 유동인구가 적어 방치되기 쉬운 공영주차장과 맞닿는 접근로 진출입 공간에 쾌적한 환경유지를 위한 위생시설이 요구된다. 넷째, 문화성 측면에서 공간별 실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천건널목을 제외하고 모든 공간에서 이용자를 위한 휴식과 여가 및 취미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시설이 전반적으로 부족하였다. 따라서 많은 수변자원이 형성되어 있고 공간적으로 여유가 있는 교량주변 녹지공간에 어린이의 체험학습과 모든 이용자 간의 커뮤니티를 고려한 공간계획이 요구된다. 다섯째, 심미성 측면에서 공간별 실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양천의 모든 수변공간에서 미적인 색채 및 형태, 공공조형물, 벽화 등이 계획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단조롭고 따분한 느낌을 부여하고 있었다. 따라서 안양천 모든 수변공간에 수자연과 어울리는 색채계획과 미적인 공공조형물 설치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색다른 분위기와 재미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키워드 : 수변공간, 어메니티, 실태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rganize evaluation criteria of Amenity from precedent researches and best practices, and to analyze the status of waterfront areas of Anyangcheon in terms of Convenience, Safety, Environment, Culture, Aesthe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nvenience - Spaces other than bicycle pedestrian paths still lack access facilities, and structural access plans considering bicycle users and the elderly are lack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additional access facilities in residential areas and Under bridge spaces that are easily accessible and likely to be utilized by users. Second, As a result of the Safety - Overall, Facility planning was insufficient considering crime and accident safety asp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facilities considering the aspects of crime and accident safet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plan accident safety facilities and crime safety facilities mainly on river crossings and Bicycle pedestrian paths, which are vulnerable to accidents due to crowded bicycle users and pedestrians. Third, As a result of the Environment - Anyangcheon is a recent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project that has good water resources, but lacks comfort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ecause wastebaskets are not installed in all spaces. Therefore, a sanitary facility is required to maintain a comfortable environment in the entry/exit space with an approach that is less likely to be left. Fourth, As a result of the Culture - There was lack of facilities to support rest, leisure, and hobbies for users in all spaces except river crossings. Therefore, a space plan that considers children's experiential learning and the community among all users is required in the green space around the bridge. Fifth, As a result of the Aesthetics - Aesthetic colors and shapes, public sculptures, murals, etc. were not planned in all the waterfront spaces in Anyangcheon, giving a monotonous and dull feel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different atmosphere and fun to users by installing color plans and aesthetic public sculptures that match water nature in all waterfront spaces in Anyangcheon. keyword : Waterfront Space, Amenity, Status Analysis

      • PSM 사업장 위험경보제 운영실태분석을 통한 제도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사민형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812

        우리나라의 공정안전관리(Process Safety Management) 제도는 위험물질 누출, 화재, 폭발 등으로 인한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제출하여 심사 및 확인을 받도록 하는 제도이다. 공정안전보고서의 제출 의무는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하는 유해·위험물질을 제조·취급·저장하는 설비를 보유한 사업장이 그 설비로부터의 위험물질 누출 및 화재·폭발 등으로 인한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공정안전보고서를 작성·제출하여 심사·확인을 받도록 법에서 정하고 있다. 공정안전보고서 제출은 인화성가스, 인화성액체 등 제출 대상물질 51종 중 하나 이상을 규정량 이상 제조·취급·저장하는 사업장과 원유정제처리업, 석유정제품 재처리업 등 7개 업종에 해당될 경우 대상이 된다. 공정안전관리제도는 1995년에 도입되어 지속적으로 유지, 발전되어 오면서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예방에 기여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사고사망만인율은 0.53‱(2016년)으로 OECD 15개국 평균 0.30‱(2014년)보다 높은 수준이다. 유해위험물질에 의한 대형사고가 발생현황을 분석해보면 정비·보수작업 중에 발생한 사례가 많고 고용노동부에서는 화학물질을 대량으로 취급하는 고위험 사업장에서 화재·폭발·누출 등의 화학사고를 예방하고 PSM 제도를 보완하기 위해 ’14년 5월에 위험경보제를 도입하였다. 화학사고 위험경보제는 PSM 사업장을 대상으로 분기별 시설보수·정비 등의 위험작업을 사전에 파악하고 업체별, 지역별로 관리하기 위해 ’14년 시범사업을 시작하였고 2015년에는 PSM 등급이 확정된 전체 사업장을 대상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2018년 4분기 기준 약 1,777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다. 위험경보제 대상사업장은 2014년 5월∼7월 도입 시 60개소에서 2014년 4분기 271개소, 2015년 4분기 1,079개소, 2016년 4분기 1,226개소, 2017년 4분기 1,584개소, 2018년 4분기 1,777개소로 그 대상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갔다. 화학사고 위험경보제의 주요 운영절차는 사업장의 사고위험 징후를 3개월 주기로 미리 파악하여 위험 수준별 경보(관심, 주의, 경계)를 발령하고, 위험 해소 시까지 관리를 원칙으로 한다. 이때, 주의·경계 사업장은 무료 컨설팅을 실시하고, 사후조치 수준(자체통제·보완·개선) 및 최종등급을 판단한다. 그리고 보완·개선 대상은 스팟(spot) 점검 및 안전진단명령 등을 통해 개선을 유도하여 위험징후를 해소하도록 한다. 화학사고 위험경보제는 사업장의 자율적인 참여를 전제로 하고 있어 강제적인 제도로 정착시키기에는 아직까지 한계가 있다. 도입 이후 현재까지 운영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과 성과를 분석하고, 개선대책을 마련하여 산업재해 예방에 실질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제도로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 위험경보제가 사업장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PSM 대상 사업장 667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50개소의 사업장 관계자가 제출한 답변을 분석하였다. 질문과 질문사이의 연관성 분석을 하기 위하여 Contingency Table Analysis를 활용하였으며, 기준 질문과 비교질문간의 관련성이 있음을 의미하는 카이제곱통계량의 유의확률(P-Value)가 5%이하인 데이터들을 추출하고, 우발성계수(Contingency Coefficient)의 상대적 크기가 높아 연관성이 높은 질문간의 조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위험경보제는 중대산업사고예방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컨설팅과 기술지도를 통한 실감할 수 있는 예방효과와 사업장의 안전관리 인식개선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었다. 개선이 필요한 사항들은 체크리스트 불합리성 개선, 예비 등급 발령의 적합성 및 적절성, 경영자 및 근로자의 의식개선과 참여율 향상을 위한 동기부여 대책 마련 등이 분석결과 나타났다.

      • 都市施設 計劃의 實態分析과 改善方案에 관한 考察 : 全羅南道 地域을 中心으로

        김정남 朝鮮大學校 産業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797

        This study analyzed unimplemented status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building plans, focused on Jeonnam Province and searched for solutions for these problems. The remedial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reform or remove unreasonable urban planning facilities. Second, in taking measures in the decision-making phase of building urban planning facilities, encourage residents to participate, impose scrutinizing functions for urban planning committee and commit urban planing to local, self-administration authorities. Third, in taking measures in the implementation phase of the urban planning facilities business, secure tax sources such as city planning taxes, return revenue for development and local transfers closely related to the business and, in addition, use non-government capital investments for social infrastructure. Fourth, in taking measures in the decision-making phase of urban planning facilities, devise a reasonable population estimation for maximizing urban plans based on future population estimations, which is the major index in planning facilities.

      • 報勳行政의 實態分析 : 慶尙北道를 中心으로

        윤진국 慶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8782

        This thesis is designed to study decoration reward system in Korea.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reward system has not been based on the principles of equity and social welfare. Since equity and welfare principles are quite important aspects of the reward system for those who received decoration(s) the reward system should be based on 1) A new policy which emphasizes on social welfare and equal-contribution-equal-reward principle, 2)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which can be accomplished through establishment of a new institution in charge of all veterans' affairs, and on 3) Improvement of reward system.

      • 과학교사의 학생평가 실태분석 및 교사연수를 통한 평가전문성 모델 개발

        민희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8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ssessment expertise model of science teacher.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realities of science teacher's student assessment and conducted teacher training. The results wer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In this study, we used two methods for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to understand realities of science teacher's student assessment: a quantitative research by questionnaire and a qualitative research by observation and interview. First, we observed 4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instruction and assessment scenes, and then interviewed them. Second,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to investigate realities of science teacher's student assessment, and surveys were carried out to 43 science teachers. In addition, we established assessment course in order to enhance the expertise of science teachers in graduate school. 10 secondary science teachers voluntarily took part in this course which lasted for three weeks. All activities in the course were recorded with video and audio, and 6 of them voluntarily took part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Qualitative data were transcribed for the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analyzed through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using the qualitative data collected about realities of science teacher's student assessment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communicated with their colleagues actively in the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tools. Also, their scoring rubrics which had made before tests were adjusted continuously to assess unexpected various responses of students. Second, teachers also communicated with their colleagues in the selection process of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Teachers' beliefs about assessment were emanated better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an in the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and were different between the teachers. Third, each teacher had unique culture of teacher-student community in one's instructions. However, these cultures were changed differently during the assessment, and they were recovered back to the original form in the final process of their assessment, feedback. The interactions of teacher-teacher community were more active in the assessment than in the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using the quantitative data collected about realities of science teacher's student assessment we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the type of assessment, most science teachers replied that the purpose of assessment was to grasp the extent of achievement of learning objectives. In the process of assessment, they consulted with colleagues after scoring all assessment tools alone. Also they had greatest difficulty in the making and selecting the assessment tools. Second, science teachers showed differences in some respects about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and performance assessment: the goal of assessment (basic scientific concepts vs. scientific inquiry skills), the focus of assessment (validity and reliability vs.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and the independence of assessment (exclusion vs. i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ut assessment expertise component model through realities of science teacher's student assessment were as follows. First, 4 factors (the knowledge of assessment, the knowledge of science curriculum, the knowledge of students' understanding, and the knowledge of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chosen as the student assessment expertise components of science teachers. Second, science teacher's abilities on student assessment were put as the sublevel of the assessment expertise and largely divided into two kinds. One is the process-general ability that teachers communicated with their colleague. The other is the process-specific ability that is consisted of three sub-abilities (tool-developing ability, scoring ability, feedback ability). Third, the science teachers' beliefs about assessment were diverse according to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student- and teacher-factor. Their beliefs were utility, validity, autonomy and fairness respectively. Above-mentioned three factors were reflected in the assessment expertise component model. We developed and executed teacher training course based on the model developed. The results of execut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training course was consisted of 3 phases (constructed-response assessment, performance assessment, and overall discussion) and 5 steps (reflection, consideration, exploration, practicing, and internalization). Second, the expertise components of the model were complemented through teacher training, and the changes in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were analyzed. 7 hierarchical steps according to their level of assessment expertise were identified, and these 7 hierarchical steps were classified into knowledge, belief, and PCK stages. Third, we proposed 'assessment expertise model of science teacher', that included developmental stages in the assessment expertise component model of science teacher. In conclusion, this model could explain the assessment expertise in the three aspects: the components, the developmental hierarchy and the sub-ability. Therefore, we could understand science teacher's assessment expertise comprehensively by this model.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사의 평가전문성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학교사의 학생평가 실태를 분석하고 교사연수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모델 개발에 반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학생평가실태에 대한 다면적 이해를 위해 설문지를 이용한 정량적 연구방법과 관찰, 면담을 이용한 정성적 연구방법을 모두 사용하였다. 4명의 과학교사의 수업 및 평가 장면을 관찰하고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43명의 과학교사들의 학생평가 실태에 대한 설문을 분석하였다. 또한 10명의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평가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를 실시하였다. 연수에서 이루어진 모든 활동은 녹화 및 녹음되었고, 그 중 6명의 참여자가 자발적으로 반구조화된 면담에 참여하였다. 정량적 자료는 기술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정성적 자료는 다면적 분석을 위해 전사되었으며, 일정 비교분석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과학교사의 학생평가 실태에 대한 정성적 자료에 의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교사들은 서답형 평가도구의 선정, 평가의 시행과정에서 동료와 활발한 의사소통을 진행하고 있었다. 또한 평가 전 작성한 채점기준안은 실제 평가에서 교사가 예상하지 못한 많은 학생들의 다양한 응답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속 조정되고 있었다. 둘째, 과학교사들은 수행평가에서는 평가도구의 선정 과정에서 주로 동료와 의사소통하였다. 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신념은 수행평가에서 잘 나타났으며 교사별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각 교사들의 수업에서 교사-학생 공동체는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는 평가에서 다르게 변화하였으며, 평가의 마지막 과정인 피드백 과정에서 원래대로 회복되었다. 교사-교사 공동체의 상호작용은 수업보다 평가의 장면에서 더 활발했다. 과학교사의 학생평가 실태에 대한 정량적 자료에 의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교사들은 평가의 목적을 학습목표의 달성정도 파악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또한 과학교사들은 평가의 과정에서 모든 평가도구를 단독 채점 후 동료교사와 협의를 했으며, 평가도구의 출제 및 선정을 가장 어려워하였다. 둘째, 과학교사들은 서답형 평가와 수행평가에서 평가의 목표(과학적 기본개념 vs. 과학적 탐구능력), 평가의 초점(타당도와 신뢰도 vs. 난이도와 변별도), 평가의 독자성(배제 vs. 가능) 에 차이가 있었다. 과학교사의 학생평가 실태를 통한 평가 요소 모델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의 요소로 평가, 교육과정, 학습자, 교수전략의 4가지를 선정하였다. 둘째, 과학교사의 학생평가 능력을 평가전문성의 하위 능력 요소로 규정하고, 학생평가 능력을 과정 일반적 요소 능력(의사소통능력)과 과정 특이적 요소 능력(도구개발능력, 채점능력, 피드백 능력)으로 구분하였다. 셋째, 과학교사들의 평가에 대한 신념은 교사변인과 학생변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따라 다양했으며, 그들의 신념은 각각 유용성, 타당성, 자율성, 공정성이었다. 넷째, 위에서 언급한 3가지가 평가 요소 모델에 반영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의 평가 요소 모델을 바탕으로 교사연수를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연수는 3개 국면(서답형 평가, 수행평가, 종합토론), 5단계(반성하기, 고려하기, 탐색하기, 실행하기, 내면화하기)로 구성되었다. 둘째, 연수를 통해 과학교사의 평가전문성의 요소를 보완하였으며, 과학교사들의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평가전문성 발달의 7단계 위계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지식, 신념, PCK의 단계로 구분되었다. 셋째, 평가 요소 모델에 전문성의 발달 단계를 포함한 ‘과학교사의 평가전문성 모델' 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의 모델은 평가 전문성을 3가지 측면(요소, 발달 위계, 하위 능력)에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모델을 통해 과학교사의 평가전문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초등학교 학생의 상담 실태분석

        김송례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80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상담활동의 필요성과 상담지도에 대한 학생들의 상담교사의 요구와 실태 및 교사들의 상담에 대한 요구와 실태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의 문제행동을 조기에 발견하여 문제해결을 하기 위해 교육적 시사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학생들의 상담실태와 교사들의 상담활동을 실증적으로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의 대상은 경기도 시. 읍에 위치한 10개 초등학교 학생 307명과 11개학교의 교사 199명이었다. 조사실시 방법은 초등학교 교사를 통해서 학교에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설문지를 학생에게 307부, 교사에게 230부, 총 537부중 학생 307부, 교사 199부가 회수되었다. 설문지의 내용은 초등학교 학생의 상담활동의 중요성 및 필요성과 상담 활동의 운영실태에 대한 견해를 알아보기 위해 총 22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상담교사의 활동실태와 필요성에 관한 것을 알아보기 위해 2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자료처리는 SAS컴퓨터 통계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분석은 응답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기본적인 특성, 학생과 교사들의 학교상담에 대한 질문을 통한 응답의 빈도조사와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학교상담에 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상담견해를 요약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가. 학생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의견 분석 첫째, 상담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은 전문 상담교사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을 별로 느끼지 않거나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상담 활동이 필요없다고 응답한 학생도 있었다. 성별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전문 상담교사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려운 문제가 생겼을 때 상담의 경험은 부모님과 친구가 중요한 상담의 대상이며 담임교사나 상담교사에게는 상담을 많이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생님과 상담 경험은 없다는 학생이 대부분이었고 상담의 경험이 있다는 학생은 많지 않았으나 상담활동을 맡고 있는 대상은 담임교사가 가장 많았고 전문 상담활동을 하는 교사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상담을 한다면 남학생은 담임교사를 더 원하였고 여학생은 전문 상담교사를 더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담임교사의 업무량이 많고 교사의 전문지식의 부족으로 초등학교에서의 상담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민의 해결방법은 상담을 통해서 해결하기보다 시간이 지나면 사라진다거나 다른 사람과 대화를 통해서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을 할 때는 자신의 고민을 모두 말하지 않는다고 하였는데 그 이유는 비밀스런 문제가 폭로될까 걱정되거나 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다섯째, 고민을 잘 받아 줄 것 같은 선생님은 믿음이 가는 선생님이 많았고 다음으로 친근한 선생님이었으며 상담교사는 다른 선생님보다 많은 비율이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학생들의 상담의 동기를 살펴보면 학생의 요청에서보다는 부모님의 권유가 가장 많았으며 자발적인 방문, 친구의 권유, 선생님의 요청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일곱째, 학생들이 원하는 주요 상담내용은 학습문제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우문제, 가정문제 ,성격문제, 왕따문제 순으로 상담을 원하였으며 남학생은 학업문제, 교우문제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여학생은 교우문제, 다음으로 학업문제를 우선 순위로 응답하여 학생들과 교사간에 상담의 내용에 대한 내용이 서로 약간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상담 후 결과에 대한 만족감은 학생들은 별로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교사들의 상담실리에 대한 의견분석 첫째, 교사들은 상담활동이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교사들이 원하는 주요 상담내용은 문제행동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부적응행동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문제행동이나 부적응 행동에 대한 대처 방안으로 과반수 이상이 상담을 통하여 주로 해결한다고 하였으며 주의 또는 체벌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은 상담활동의 경험에 상담경험이 학생들보다 더 많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교직경력이 많은 교사들의 상담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상담에 대해 학생의 참여도가 낮은 이유에 대한 물음에서 홍보활동의 부족이 가장 많았고 학생들의 시간제약이 그 다음이었으며 도움이 안될 것 같아서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 교사들과 학생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교차 분석 첫째, 교사들이 학생들보다 상담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을 더 느끼며 전문 상담교사 배치의 필요성을 더 많이 느끼지만 학생들은 상담이 필요하지 않다는 결과도 나타났다. 둘째, 교사는 학생들과 상담활동을 많이 한다고 하였으나 실제로 학생들은 상담의 경험이 없다는 학생들이 많아 학생들은 학교에서 상담을 많이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 후 결과에 대한 만족감은 교사는 많이 느낀다고 응답하였으나 학생들은 별로 만족감을 느끼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상담활동의 필요한 시간은 교사는 일 주일에 한 번을 원하지만 학생들은 한 달에 한 번 정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잘 어울리는 상담자로써 교사는 담임교사 다음으로 전문 상담교사라고 응답하였으나 학생들은 담임교사 다음으로 친구라고 응답하였다. 여섯째, 상담의 내용을 교사는 교우문제 다음으로 가정문제라고 응답하였고 학생들은 교우문제 다음으로 학업문제라고 응답하였다. 라. 남 여 학생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교차분석 첫째, 초등학교의 상담이 필요한가라는 질문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더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둘째, 전임 상담교사의 필요성에서는 남녀학생 모두가 필요하다고 응답을 하였으나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더 필요하다는 응답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남녀학생 모두 상담의 경험이 없는 것으로 집계되었고 상담의 경험이 있을 경우 여학생은 만족한다고 응답을 하였으나 남학생은 만족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상담에 어울리는 사람을 남학생은 담임을 선호하였고 여학생은 전문 상담교사를 선호하여 상담교사 선호도 남녀학생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상담의 내용에 관해서는 남학생은 학업문제를 제일로 들었고 여학생은 교우문제를 제일로 들었다. 하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法人 택시 交通事故 實態分析 및 豫防對策에 關한 硏究

        김동환 明知大學校 交通觀光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80

        우리나라의 택시 교통은 택시요금의 저렴, 수요의 과다로 인하여 외국에서와는 달리 일종의 대중교통수단적인 성격을 띠고 있어, 택시 본래의 고급도시교통수단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사업용자동차에 의한 교통사고를 차종별로 나누어 자동차 1만대당 사고율로 나타냈을 때, 시내·고속버스를 제외한 차종 중에서 택시가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사망자와 부상자가 사업용차량 평균치를 각각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준 대중교통수단으로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안전성이 크게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높은 교통사고율을 보이고 있는 택시의 교통사고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사고예방대책을 강구하였으며, 사고 실태분석에 의해 도출된 주요내용과 효율적인 예방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와 택시 교통사고 실태분석의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택시운전자에 대한 업종별·근무형태별 적정 근로시간을 법으로 정해 이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는 방안 검토 및 세제혜택, 보조금 지원 등을 통해 경영난 해소와 더불어 근로조건을 개선해야 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둘째, 운전자 관리측면으로서 택시 운전자에 대한 별도의 운전면허 발급 도입 필요성 제시 및 교통안전교육 확대시행, 실기중심의 실질적인 체험교육으로 전환하는 등 운전정밀검사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채용 시 또는 채용 전 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그동안 교통사고의 원인이 대부분 운전자의 과실로 처리되던 분석에서 탈피하여 도로, 환경, 근무형태 등 업종과 지역특성에 맞는 보다 근본적이고 체계적으로 규명하여야 할 제도마련을 제시하였다. 넷째, 현재 차령제도가 존속되면서 임시검사에 의한 1년 연장운행을 하면서 서비스개선은 물론 택시 운수업체의 경영에도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으므로, 대신 해마다 정기적인 자동차검사를 실시하여 운행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제도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다섯째. 운수업체 자체의 부실한 안전관리 측면에 국한된 교통안전 진단을 지양하여 도로 및 교통안전시설물 등이 포함되는 종합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을 강구토록 하고, 택시 교통사고와 관련한 통일되고 다양한 기초자료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이들 자료들을 활용한 교통안전대책 수립과 추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택시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신속하고 쾌적한 안전운행이라 할 수 있겠다. 이를 위해서는 택시 운수업체의 운행실태 분석 및 교통사고 발생현황 등이 세부적으로 분석되고 규명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되어, 관련기관을 중심으로 분석체제가 정착될 수 있도록 다함께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Contrary to foreign case, Korean taxi system is characteristic of public transportation by a low price and excess of demand. Therefore, the fact is that taxi cannot perform the original duty, that is, the function of urban premium transportation in Korea. Taxi shows the highest figure among business vehicles for the accident rate per 10,000 cars with the exception of local or express bus. Additionally both the death and the injury toll of taxi accident exceed the average of business vehicle. These things have been threatening the safety of taxi as public transportation. Accordingly, this thesis suggested the analysis of taxis high accident rate and the considerations for precautionary measures based on the actual accident analysis. The results, for the questionnaire research and actual analysis of taxi accidents,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it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enforce the regulations for proper work hour of taxi driver, bolster up the taxi business proprietor with favor of taxation and subsidy, and improve the taxi drivers work conditions. Second, it asserted that the government introduce the special issuing system for taxi drivers license. Also, pre-test for employment, such as expansive enforcement for safety education and driving-oriented practical and empirical education, was proposed in order to assure the effectiveness of precision driving test system. Third, in the meantime, the causes for most traffic accidents have been considered drivers faults. In a different way, this thesis presented the system, which closely and systematically examines road conditions, environments, and work conditions as causes of traffic accidents. Fourth, the present vehicles age system makes every year license issued by temporary examination. However, it has not been helpful for neither the management of the taxi business proprietor nor taxi service improvement. Instead of the temporary examination, system improvement, such as a periodical car inspection, is needed in order to secure safety 06 taxi. The fifth, the traffic diagnosis by the taxi company itself has been improperly executed with some limitation. This thesis considered a comprehensive and practical counterplan including road conditions and traffic facilities. Also it suggested the needs to establish and drive forward traffic safety plan with database of various basic data related with taxi accidents.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axi transportation is the safety service. To accomplish the duty, the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 should lead the activities to settle down the system that can fully analyzes and closely examine the actual operation for taxi transportation and the present conditions for taxi accident.

      • 우리나라 靑少年 旣成服 消費者의 購買行動 實態分析 : 大邱地域의 高等學生을 中心으로

        이호송 慶北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8779

        The summary of the point at issue and reform measure mention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Above all, the points at issue on the side of product management are such as these: (1) Non-various design caused from shortage of professional designer of ready-made clothes for adolescence and small-scale manufacturers' imitation of design. (2) Confusion of size caused from insufficient study on physique of adolescence and discord of standard among manufacturers. (3) Improvement of quality of cloth, shortage of attached material (lining, thread, botton, etc) and prudent work of sewing. The reform measures are such as these: (1) Establishment of training istitution for professional designer, dispatch to abroad of excellent designer and increase of research allowances. (2) Sufficient study on physique of adolescence and leading of standardization among manufacturers. (3) Choice of cloth of good quality and attached material, employment of excellent skilled workmen and better treatment, prudent work and strict inspection of quality by expert, etc. And the point at issue on the side of price management is excessively high price caused from impossibility of cutting down in basic cost because of narrow market. It is possible to solve this problem through promotion of consumer's understanding, market segmentation and product differentiation Lastly, the points at issue on the side of promotion management are shortage of advertising to store and increase of basic price caused from payment of promotion expenditure to stimulate demand of ready-made clothes and to attract consumer's attention The reform measure is daring payment of promotion expenditure from a point of view that payment of promotion expenditure is not a payment of simple expenditure but apayment of investment which can be withdraw in the near future by increase of the s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