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촌정보화의 실태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 강원도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강민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인하여 도시지역은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지만 농촌지역은 이러한 경제발전에 소외되어 작은 국토 내에서 도농격차의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도농격차는 완화될 가능성이 없이 더욱 심화되고 있어 그 문제는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세계적인 정보화의 추세에 맞춘 농촌정보화가 도농격차를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농촌지역은 도시지역보다 정보화를 확산하기에 불리한 환경을 가지고 있어 농촌지역 내 정보화는 매우 느린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 결과 도시와 농촌 간에는 도농격차에 이은 정보격차가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강원도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한 실증연구로 농촌정보화의 실태를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보접근, 정보이용, 정보활용 등 세가지 관점에서 농촌정보화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정보화관련 통계자료분석과 방문조사, 설문 및 인터뷰, 사례조사 등의 실태분석을 실시하여 몇 가지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더불어 강원도 농촌지역의 정보화수준 분석을 위하여 교차분석과 프로빗모형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선진농업인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정보화에 대한 농촌주민들의 인식을 분석하였으며 강원대학교의 농업정보119의 방문교육결과를 분석하여 농촌지역의 정보화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농촌마을에서의 정보화 참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3C-D-T 모델을 이용하여 농촌관광마을홈페이지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정보접근, 정보이용, 정보활용이라는 세가지 관점에서 농촌정보화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농촌지역에서 정보접근기회의 확대 방안으로 PC보급 확대 및 안정적인 인터넷 공급, 농촌실정에 맞는 정보기기 및 S/W개발을 제시하였고 정보이용능력의 제고 방안으로는 지역 내 정보선도자 육성과 타겟그룹을 세분화한 정보화교육의 확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보활용의 촉진 방안으로는 개인의 정보화에 대한 참여의지를 확산하고 다양한 농촌정보컨텐츠의 활용을 통한 네트워크 형성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농촌정보화에 대하여 많은 논의가 있었던 이유만으로도 농촌지역에서의 정보화는 큰 의미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를 계기로 농촌정보화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도농격차완화라는 농촌정보화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각 분야별 종합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Due to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urban areas have accomplished a speedy growth. However, unlike urban areas, rural areas were marginalized from the process of the economic growth and this fact has resulted in the increasing rural-urban divide in many aspects, bringing about many serious problems in rural areas. Recently, following the tendency of worldwide information system, rural information system has been expected to lessen the rural-urban divide problem and thus draw much attention. In another aspect, since rural areas, unlike urban areas, have had downsides of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rural information system has been slowed down. As the subsequence of the rural-urban divide in various fields, the digital divide between the two areas has been generated, and is increasingly becoming a notable issue. This study is not only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rural information system in Gangwon-do through the proof study, but also to suggest the plan to improve the rural information system. The study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r in another word, particularly on the basis of three perspectives: accession to information,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From the outcome of the analysis of actual situations which were resulted from the statistics in the study relate to rural information system, visit surveys, questionnaires, survey researches, case studies, and on-site inspections, certain problems are presented. For the analysis of the informatization in rural areas in Gangwon-do, the rates of people’s possession of computers and their use of information correlated to agricultures are focused by using the Probit Model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Through the questionnaires that were aimed at rural leaders, their perception of information is analyzed. In addition, the course of the information education is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through the results of visit teaching activities of the Agriculture Information 119 which was held by the Kangwon University. In order to evaluate the rate of people’s participation in information activities, the situation of people’s practical use of the Rural-Tourism-Village homepage is evaluated by the 3C-D-T model. The consequence that was produced in the course of the analysis suggests an activation plan for rural information system in three perspectives: accession to information,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information. For the plan to create more opportunities in accessing to information for rural people, an increase in the supply of computers, security in internets as well as development of software and tools of providing information are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using the information for rural residents, fostering leaders in information utilization and creating more information education opportunities by the subdivision of target groups are suggested. Lastly, for the promotion of the information application, developing measurements such as encouraging an individual’s motivation in participating in information activities and building networks through the utilization of information contents on rural areas are proposed. By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is study, plans for the activation of rural information system are presented. Contents of the study are meaningful in pursuing the ideal plans for effective rural information system. Since there have been various debates about rural information system, rural information system has become increasingly significant.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collective approach of each field towards the accomplishment of ultimate goals of rural information system, the activation of rural information system and the lessening of rural-urban divide are required.

      • 음색 기반 음향 특징을 이용한 표적/클러터 식별 연구

        강민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은 정보 통신 기술과 하드웨어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는 기술이다. 수중음향 분야에서도 기계 학습에 대한 이용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능동 소나(Active sonar) 운용 시 표적 반향음과 유사한 주파수 특성을 가지는 클러터가 동시에 수신 된다. 이 클러터는 탐지 과정에서 오탐을 유발하기 때문에 능동 소나의 표적 탐지 성능 향상을 위해 제거되어야 한다. 현재 기계 학습과 심화 학습을 이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음탐사가 직접 듣고 표적/클러터를 식별하는 방법이 표적 반향음과 클러터의 식별을 위해 기존 개발된 기법 보다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나 음압 크기와는 달리, 다각적인 측면에서 정의되는 음색 기반 음향 특징을 사용하여 자동 식별 모델을 모의하였다. 동일 주파수/음압 크기 소리 구별에 용이한 음색 특징은 표적 반향음과 클러터의 식별에 우수한 성능을 보여 줄 것이라 기대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음색 기반 음향 특징은 단일 값으로 정의 되지 않고 다양한 영역에서 산출된다. 본 논문에서는 능동 소나 반향음 데이터에 적합하다 판단되는 66가지의 음색 기반 음향 특징을 이용한 기계 학습 기반 표적 반향음/클러터의 자동 식별 모델을 모의 하였다. 차원의 저주(Curse of dimensionality)를 피하기 위하여 특징들 중 주요한 특징만을 선별하여 사용하는 특징 선택(Feature selection)과 특징 값들의 데이터 구조를 잘 표현 하는 낮은 차원의 성분들을 이용하는 특징 추출(Feature extraction)을 진행하였다. 특징 선택 단계에서 두 부류를 분류하는 능력인 분별력 뿐 아니라 해양환경의 변동에서 오는 데이터의 변화에 강인한 특징들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특징 추출은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기법을 이용하여 수행 되었다. 분류 모델은 기계 학습 기법 중 가장 우수하다 알려져 있는 SVM(Support vector machine)기법을 사용 하였다. 모의 된 음색 기반 음향 특징을 이용한 표적 반향음/클러터 자동 식별 모델은 실측 능동 소나 반향음 데이터를 사용하여 검증이 수행되었다.

      • 회전원판법을 적용한 Modified Dephanox 공정의 하수처리특성

        강민구 충북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utrient treatment with the existing activated sludge process is inefficient when there is a low carbon-nitrogen ratio, which is usually the characteristic of most domestic sewag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tact stabilization hybrid process Modified DEPHANOX was introduced. The Modified DEPHANOX process is a successful one as it is effective in removing nutrient even when the carbon-nitrogen ratio is low. Nevertheless the Modified DEPHANOX process had a problem of low nitrogen removal efficiency when the activated sludge absorbing the organic compound not fully precipitated in the first settling tank was flowed into the nitrification reactor. With the aim of addressing such shortcoming, in this study, the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was placed in the nitrification reactor instead of Linpor media. In analyzing the wastewater treatment with the Modified DEPHANOX with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it was found that this process had smooth desorption, and there was almost no degradation as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ng filter media prevented organic compound from being attached in the reactor. Furthermore, When the contact time was 18 and 48 minutes, the nitrogen removal efficiency was 73% and 59%, respectively. Specifically in comparing the organic loading rates of Modified DEPHANOX with Linpor media and the Modified DEPHANOX with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the latter process had a better loading rate as they were found to be 0.1 kg/day․m3 and 0.17 kg/day․m3 respectively. Finally, in operating the Modified DEPHANOX process with the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as the pilot-scale at the hydraulic retention time of 12 hrs, The removal efficiencies of nitrogen, organic compounds, and phosphorus were 75%, 83%, and 73%, respectively. Despite the advantages of using Modified DEPHANOX with rotating biological contactor, this process was found to be ineffective when the sample industrial wastewater had a high concentration of toxic substance and oil.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stable nitrogen removal efficiency in these settings, further studies may be necessary.

      • 지역사회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낙상경험에 따른 척추형태와 균형 및 하지근력의 차이

        강민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낙상경험에 따른 척추형태와 균형 및 하지근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으로 인터뷰를 통해 선정기준을 만족하는 88명을 선정하였고, 1년간 1회 이상 낙상 시 낙상경험 노인그룹(fallers), 1년간 한 번도 낙상하지 않으면 낙상무경험 노인그룹(non fallers)으로 나누었다. Formetric 4D를 이용하여 척추형태를 측정하였고, Bio-rescue를 이용하여 균형을 측정하였으며, Digital MMT를 이용하여 하지근력을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두 그룹간의 비교와 각 측정값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두 그룹 간 척추형태 비교는 전반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지만 trunk imbalance와 surface rotation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두 그룹 간 균형 비교는 눈 뜬 상태와 감은 상태 모두 전반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두 그룹 간 하지근력 비교는 모든 값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척추형태와 균형간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척추변형이 클수록 균형능력은 감소한다. 척추형태와 하지근력간의 상관관계는 부분적으로 척추변형이 클수록 하지 근력이 약해진다. 균형과 하지근력간의 상관관계는 하지근력이 강해질수록 균형능력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연구와 같이 균형과 하지근력은 낙상의 주요인이며, 서로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고, 척추변형은 전반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낙상의 주요인은 아니지만, 주요인이 되는 균형과 하지근력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낙상요인, 낙상예방 등 낙상에 관련된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며, 늘어나는 노인인구에 맞게 앞으로 많은 노인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맞춤형 티타늄 삽입 연결체가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파절강도에 미치는 영향

        강민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심미성이 중요한 부위의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에 지르코니아 지대주는 심미적으로 우수하지만 파절에 취약한 단점을 가져 티타늄 삽입 연결체를 연결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티타늄 삽입 연결체 형태가 내부 연결형 지르코니아 지대주의 파절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실험방법: 총 30개의 직경 4.0 mm, 길이 12.0 mm의 티타늄 고정체 (Superline Dentium Co., Seoul, Korea)를 아크릴 레진에 포매하였다(n=30). 직경 4.2 mm, 길이 5.0 mm 그리고 collar height 1.0 mm인 원통형 기성 티타늄 삽입 연결체(Geo Link, GeoMedi Co., Uiwang, Korea) (n=15, P group)를 준비하였다. CAD system을 이용해 최종 수복물의 외형에 적합한 지르코니아 지대주를 설계하고, CAM system으로 지르코니아 블록 (Upcera Zirconia Block, Liaoning Upcera Co., Guangdong, China)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앞서 제작한 지르코니아 지대주와 같은 외형을 가지며, 최소 지르코니아 두께가 0.5 mm가 되도록 직경 4.2 mm, 길이 9.0 mm 그리고 collar height 1.0 mm인 맞춤형 티타늄 삽입 연결체(MIT, MIT Co., Yangsan, Korea)를 설계, 제작하였다(n=15, C group). 지르코니아 지대주는 자가중합형 레진 시멘트(Superbond C&B, Sun medical, Moriyama, Japan)를 이용하여 티타늄 삽입 연결체에 합착하였다. 지대주와 고정체는 30Ncm으로 연결하고, 상부 지르코니아 도재 수복물을 제작하여 자가접착 이중중합형 레진시멘트(Rely X Unicem, 3M ESPE, St. Paul, MN, USA)를 이용해 지대주에 합착하였다. 파절강도는 만능시험기 (4201, Instron Co., Boston, USA)를 이용하였다. 시편을 하중의 장축에 30도를 이루도록 고정한 후, 절단부 2.0 mm하방 구개부위에 0.5 mm/min의 cross head speed로 하중을 가하여 그래프의 최대 파절 하중을 측정하였다. 실험군 간 통계적 유의성 평가를 위해 통계분석 프로그램 (SPSS 12.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를 시행하였다 (P < .001). 결과: 평균 파절강도는 P군에서 439.90±59.00N이었고, C군에서는 570.82±46.95 N으로 측정되었다. C군은 P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파절강도를 보였다 (P < .001). 결론: 본 실험을 토대로, 임플란트 지르코니아 지대주 제작 시 지대주 외형에 맞게 제작한 맞춤형 티타늄 삽입 연결체가 원통형의 기성 삽입 연결체보다 높은 지르코니아 지대주 파절 강도를 보여 우수한 파절 저항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 The zirconia abutment used in the esthetically important region of the implant restoration has a drawback that it is vulnerable to fracture. For this reason, the zirconia abutment is used by connecting a titanium insert.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f customized titanium insert on the fracture strength of zirconia abutment.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0 titanium fixtures(Φ 4.0 ⅹ 12mm Superline Dentium Co., Seoul, Korea) were embedded in acrylic resin(n=30). Prefabricated cylindrical titanium inserts(Φ4.2 x 5.0mm Geo Link, GeoMedi Co., Uiwang, Korea)(n=15, P group) were prepared. A CAD system was used to design zirconia abutments suitable for the outer contour of the final restoration, and the abutments were fabricated using a zirconia block(Upcera Zirconia Block, Liaoning Upcera Co., Guangdong, China) with CAM system. Customized titanium inserts(Φ4.2 x 9.0mm MIT, MIT Co., Yangsan, Korea) were designed and fabricated to be suitable with the previously prepared zirconia abutment and with a minimum zirconia thickness of 0.5mm(n=15, C group). The zirconia abutments were bonded to the titanium inserts using a self-curing resin cement(Superbond C&B, Sun medical, Moriyama, Japan). Abutments and fixtures were connected with 30 Ncm. Zirconia restorations were made and cemented to the abutments using a dual-curing, self-adhesive resin cement(Rely X Unicem, 3M ESPE, St. Paul, MN, USA). The fracture strength was measured using an universal testing machine(4201, Instron Co., Boston, USA). The specimens were fixed at 30 degree to the long axis of the load and the maximum fracture load was measured by applying a load on 2.0mm below incisal edge of crown at a cross head speed of 0.5mm/min. The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program(SPSS 12.0; SPSS Inc., Chicago, IL, USA)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s (P < .001). Results: The mean fracture strength was 439.90±59.00 N in the P group and 570.82±46.95 N in the C group. The C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fracture strength than the P group (P < .001).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is experiment, it can be said that the customized titanium insert fabricated according to the abutment outer contour when preparing the zirconia abutment has excellent fracture resistance due to the higher zirconia abutment fracture strength than that of the prefabricated cylindrical titanium insert.

      • R의 분류방법을 이용한 매장문화재 예측모형

        강민구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문화유적 분야에서는 문화재 예측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다양한 통계적 분류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선형판별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분석, 신경망분석, SVM은 이진반응변수(binary response variable)의 모형화에 효과적이다. 이러한 분류방법들은 최근 가장 관심을 갖는 통계 프로그램인 R-project를 이용하여 모형구축이 가능하다. R-project는 다른 통계프로그램(SAS, SPSS, ... )과는 달리 최근 분석 방법인 SVM의 적용이 가능하며, 분석자의 주관에 의한 분석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앞서 언급한 통계적 분류방법의 개념 및 이론에 대해 소개하고 실제 자료 분석에서는 이러한 분류방법을 지금까지 발굴된 익산시 문화재 자료를 근거로 R-project를 이용하여 매장문화재 예측모형을 구축하는 과정에 대해 소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구축된 각각의 모형에 대한 정분류율 및 수행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모형의 정분류율을 이용하여 모형간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성능비교를 위한 방법으로는 재대입(re-substitution)방법과 모의실험이 사용되었으며 재대입 방법을 통해 적합된 모형의 정분류율이 모의실험의 결과를 통해 과적합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Various statistical classification methods have been used to establish prediction model of underground cultural assets in our country. Among them,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decision tree, neural network, and support vector machines are used in this thesis. We introduced the basic concepts of above-mentioned classification methods and applied these to the analyses of real data of IKSAN city. As a results, five different prediction models are suggested. And also model comparisons are executed by suggesting correct classification rates of the fitted models. To see the applicability of the suggested models for a new data set, simulations are carried out. R packages and programs are used in real data analyses and simulations. Especially, the detailed executing processes by R are provided for the other analyser of related area.

      • 유역의 식생완충대와 불투수지면이 하천수의 질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 InVEST 모형 분석

        강민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림식생은 인간의 정주(定住)공간에 깨끗한 수자원을 공급하고 토양을 비롯한 서식처 및 생물다양성 보존 등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연구대상지인 광교산은 인근 도시의 인구증가와 함께 최근 등산 및 관광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주말 및 가족농장과 등산로의 접근성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하천을 따라 조성되어있는 도로와 기타 불투수지면의 확장을 유도하여 하천의 수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산림자연자원을 인위적인 목적을 위해 이용하는 과정에서 산림생태계가 제공하는 수자원이 손실되거나 특정 사람들에게는 제한될 수 있다. 상류의 토지이용으로 인한 총질소 함량 증가는 중ㆍ하류의 도시에 부영양화를 비롯한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데 수자원 관리 방법 중 식생완충대 설치는 수원지 주변의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적용할 수 있다. 식생완충대는 하천, 호소 등 표층수에 인접하여 띠 모양으로 형성된 식생피복으로 수질을 보호하고 개선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며 물리적, 생물학적, 생태적인 기능을 유지하고 기타 사회적 편익을 제공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수원천 상류와 광교천 유역에서 식생완충대와 불투수지면이 하천 총질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ntegrated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and Tradeoffs (InVEST) 모형 중 Nutrient Retention 모형을 이용하였다. 모형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Nash-Sutcliffe 지수, 상관계수, RMSE를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과 검증과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각 보정과 검증에 대하여 0.85와 0.89, 0.98과 0.93, 0.18과 0.3으로 RMSE를 제외하고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보정 및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식생완충대의 조성이 필요한 유역을 우선 파악하기 위하여 총질소 유출량과 저류량의 차이를 지도상에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식생완충대의 효과를 보기 위해 현재 토지이용과 하천변 10m 식생완충대 조성 시나리오를 각각 적용한 결과 약 12∼28%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질소 유출제어효과와 저류량 증가분을 고려하여 식생완충대의 효과가 가장 높은 유역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도로를 포함하여 등산 및 관광용도의 불투수지면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토지이용변화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불투수지면이 점증하는 시나리오를 적용해보았다. 산림식생이 비교적 잘 보전되고 있는 상류 유역의 경우 어느 정도 불투수지면이 증가하여도 하천변 식생완충대의 질소조절능력이 다른 유역에 비해 양호한 편이었으나 하천 주변의 도로 면적이 넓거나 농경지 사이의 식생이 불투수지면으로 전환된 유역은 하천변 식생완충대가 충분히 질소를 조절하지 못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식생완충대의 효과는 유역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향후 더 많은 실측자료의 확보와 함께 수질정화를 위한 식생완충대의 적정 폭, 배치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하천변뿐만이 아니라 오염발생원 근처의 식생완충대는 하천에 대한 오염물질의 부하를 완화시킬 수 있다. 식생완충대 관련 지침이 마련되고 InVEST 내 다른 생태계 서비스 모형 연구들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토지이용계획에 대하여 다각도로 환경평가가 가능할 것이며 지속가능한 자연자원 이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