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의 진화와 인간의 성문화

        강남욱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지금껏 인간과 성문화 연구에 지배적 영향력을 행사한 문화결정론적 입장에서 벗어나 생물학을 이용하여 인간과 성문화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인간과 성문화에 대한 전통적 사상들이 '사실'에 관한 정확한 이해를 얻지 못한 탓으로 공허한 논의가 많았음을 상기한다면 이러한 시도는 오히려 긍정적인 측면이라고 확신한다. 다윈 Charles R. Darwin에 따르면 인간과 침팬지의 조상은 같다. 그리고 월슨 Edward O. Wilson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 인간과 침팬지가 갈라진 것은 최근이며 따라서 양자의 차이는 크지 않다고 한다. 즉 이들의 주장을 수용한다면 전통적 유대-기독교나 철학, 사회과학에서 규정지었던 '인간'과 '동물'과의 근원적 차이가 존재함을 인정했던 이분법적 '인간'에 대한 규정들은 재수정이 불가피하다. 사실 인간의 특징은 영장류의 특징일 수도 있고, 나아가 포유류 전체의 특징일 수도, 또 생물 전체의 특징일 수도 있다. 인간의 특정을 알기 위해선 동물의 특징도 알아야하는 것이다. 물론 인간이 가진 유전자는 생물이 지닌 모든 가능성을 내포하지는 않는다. 다만 인간은 인간에게 적합한 가능성만을 가진다. 그 가능성들이 인간 종의 발현과 함께 진화를 통해 동물들에게는 존재하지 않는 독특한 문화라는 것을 이룩한 것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는 인간이 진화를 통해 만들어낸 문화가 이제 인간을 만든 것처럼 되어버렸다. 문화를 만드는 자는 누구인가? 그것은 바로 진화를 통해 존재하는 인간이다. 그렇다면 인간이 인간을 만드는 것이다. 결국 진화를 통해 존재하는 인간에 대한 탐구에서 문화는 새롭게 출발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성문화(Sexuality)에 적용하면, 성문화를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바로 인간의 성이다. 그렇다면 성문화는 진화를 통해 존재하는 인간의 성이 만드는 것이다. 결국 성문화도 진화를 통해 존재하는 인간의 성에 대한 탐구에서 새롭게 출발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새로운 시작을 가능하게 하는 강력한 도구가 바로 다윈의 진화론(Evolutionart theory)과 월슨의 사회생물학(Sociobiology)이다. 그리고 다윈과 월슨의 이른의 중심에 성(Sex)이 존재한다. 문화란 문화 그 자체로 설명될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그것은 부분적으로 우리가 진화를 통해 습득한 행동들에 의해서 쓰여 진 정교한 구조물이다. 다윈의 생물 진화에 대한 '위험한 생각'은 유사 이래 인간이 믿어왔던 모든 것들을 근본적으로 재규정하는 것이었다. 인간이 신의 계획의 일부라는 정적인 도덕 질서 대신에, 모든 생명체는 유전적 변이와 개체들 간의 번식 경쟁으로 발생한 아주 느린 변화의 산물이라고 진화론은 주장한다. 즉 인간만의 외형적 특징과 행동 패턴 속에 진화가 존재하는 것이다. 생물학적 진화는 분명 우리의 성적 행동을 검사하는 강력한 도구이다. 어떤 점에서 이는 인간과 문화, 인간의 성과 성문화를 이해하는 궁극적이고 절대직인 도구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진화론과 사회생물학을 바탕으로 인간과 문화, 인간의 성과 성문화를 되돌아봄으로써, 문화의 이름으로 은폐, 왜곡되어 왔던 성문화 속에 생물학적 특성이 존재함을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가 문화의 산물로서만 생각하는 결혼제도, 젠더(Gender)를 통한 남녀의 문화 전반에 걸친 차이, 동성애, 권력 등에는 분명 인간의 진화적 특징이 존재하며 진화론과 사회생물학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가 기존의 인간과 성문화의 연구 결과들을 완전히 배재 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 논문에서 이야기 하는 것은 인간의 생물학적 특성만을 통해 인간과 성문화를 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인간에 내재해 있는 생물학적 성과 문화적 성이 함께 공존함을 주장하는 것이다. 진화론과 사회생물학이 현대 세계에서 인간이 마땅히 취해야할 행동방식을 알려 줄 수는 없다. 그렇지만 그것이 왜 우리가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는 가에 대한 가치 있는 통찰을 분명 제공해줄 수는 있는 것은 확실한 것이다. This study was made as an attempt to be newly conscious of man and his seruality through biology, break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determinism which has ever considerably affected the studies of man and his sexuality. This study is sure to be regarded as a positive one if we are reminded that there have been a lot of meaningless studies of man and his sexuality in that traditional ideas about man and his sexuality did not exactly detect 'reality'. According to Charles R. Darwin's theory of evolution, it is said that both man and a chimpanzee have one same origin. Moreover, when it comes to the time man and a chimpanBee began to evolve into two categories, Edward O. Wilson even argues that because the point of time their individual evolution began was far more late than what We have ever though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m. If we accept their arguments, it is inevitable to amend the dichotomous regulations which have acknowledged the original difference between them in the traditional Jewish, Christianity, and social science. In fact, man may share the features of mammals, primates, and even a living thing. To know the features of man, it is necessary to know those of an animal as well. To be sure, this doesn't mean that human gene doesn't imply all the possibilities which a living thlng has. Man has only the possibilities appropriate to him. Such possibilities have allowed human to achieve his own culture which an animal doesn't have through evolution with the appearance of man. In modern world, the culture which man has achieved seems to make man. If so, Who on earth makes culture? It is man that has lived through evolution. That is, man is to make man. In thls respect, Culture need newly studying in an angle of the evolution of man. If we applies it to our sexuality, What makes sexuality? It is evolving man's sex which makes it. That is, Our sexuality may be thought of as what evolving man makes. Finally, Studies of our sexuality need to be newly made by studying sex of human who has lived through evolution. Both Darwin's Evolutionary theory and Wilson's Sociobiology play an important role in making these new studies possible and are closely associated with sex. Although culture may not be explained in itself, It may be a delicate structure made out of all of the behaviors we have learned through evolution. Darwin's dangerous idea of life's evolution was to fundamentally newly define everything that man has ever believed. He argues that all forms of life are the products of very slow changes which come from experiencing genetic variation and competition for breeding, instead of the traditional idea that man was born by god. That is, Evolvement is made in man's exterior features and behavior patterns. Biological evolution is a ideal tool to examine our sexual behaviors. In some respects, this is an ultimate and absolute tool for us to understand man and culture, and human sex and sexuality. So, this paper is designed to find out that there are biological features in sexuality, which has been veiled and falsified under the cloak of culture by reviewing man and culture, and human sex and sexuality, based on the theory of evolution and sociobiology. There are human evolutionary features in marriage, intersexual cultural difference, homosexuality, and authority which we have thought of only as our cultural products, and they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theory of evolution and sociobiology. But, this paper doesn't completely rule ou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f man and sexuality. So, this study was intended to argue that blological sex and cultural one coexist, not to tell about man and sexuality only through human biological features. The theory of evolution and sociobiology both don't suggest the very behaviors for life in modem world. However, I am sure that they wil undoubtedly provide us with valuable insight into why we behave in an certain form.

      •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본 베트남의 문화다양성교육에 대한 연구

        레기영짱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베트남의 문화다양성교육의 특징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재 베트남 정부가 추구하고 있는 ‘다양성 속에의 통일’을 위한 문화다양성교육의 지원 특징은 무엇이며, 이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연구문제는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바라본 베트남 문화다양성교육의 특징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1980년대 말부터 노동자와 결혼이주자를 비롯한 이주민들이 다양한 목적으로 한국에 들어오기 시작하였다. 한국통계청에 따르면 2014년에 국내 이민자 수가 한국 전체인구의 약 3%를 차지하며, 그 중 베트남 출신은 두 번째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한국통계청 2016.4.14.). 또한 1990년대 초부터 맺어온 한국과 베트남 양국의 관계 증진을 위해서는 정치·경제·문화 등 모든 측면에서의 상호협력이 촉진되어야 한다. 하지만 실질적인 상호협력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먼저 베트남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기존의 한국 내 베트남에 관한 연구는 주로 경제·사회적 측면에 집중되었을 뿐만 아니라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에 본 연구는 베트남의 문화다양성에 대응하는 교육정책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베트남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질적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1) 전문가 인터뷰, 2) 일반인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4년 11월부터 2016년 3월까지이며, 베트남 문화·교육 전문가 6명의 연구참여자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베트남 문화다양성교육의 특징과 과정을 살펴보았다. 전문가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분석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베트남에서 교육받은 6명의 일반인 연구참여자와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인터뷰에서는 베트남 교육경험자들의 문화다양성교육에 관한 경험의 의미를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 문화·교육 전문가의 경험에서 나타난 문화다양성교육지원을 위한 과정은 총 6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베트남에서 문화다양성교육을 위한 지원정책은 문화전문가들의 활동을 토대로 한다. 둘째, 베트남의 문화다양성정책 수립의 과정은 현장성과 전문성 그리고 체계성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정책 수립과정의 체계에서 벗어나거나 정치적 혹은 경제적 입장에 따라서 전문가들의 제안은 수용되지 않을 수 있다. 넷째, 베트남 문화전문가들이 인식한 문화요소는 언어와 역사, 문화공간, 생활문화, 풍습과 종교, 전통예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다섯째, 베트남 문화전문가들의 활동에 기반한 문화다양성교육을 위한 노력은 세계적인 주목과 호평을 받는다. 여섯째, 베트남 문화다양성교육에 대한 대외적인 호평과 달리 내부적으로는 부정적인 평가가 있다. 또한 베트남 교육경험자인 일반인 연구참여자를 통해 문화다양성교육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일반인 참여자들은 보통 교육을 통해 소수민족의 다양한 문화적 특성을 ‘나와 다른’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둘째, 참여자들은 보통교육을 벗어난 개인적인 경험 속에서 자신의 관점을 규정하고, 보통교육을 통해 이해한 것을 보완하거나 보충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셋째, 보통교육 이후 참여자들은 진로 진학과 관련하여 생활범위의 확장을 경험하였다. 넷째, 베트남 일반인 참여자들이 전문가들이 제시한 문화다양성 요소를 인식하는 수준은 개인적인 측면에서 그리고 요소별로 차이가 있다. 다섯째, 참여자들은 소수민족의 언어, 문화공간, 종교, 전통예술 등의 문화다양성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적극적인 관심을 나타냈다. 여섯째, 앞서 넷째와 다섯째에서 제시한 결과는 전문가 인터뷰의 결과와 유사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일반인의 문화다양성교육 경험은 ‘개인적 경험에 따른 보통교육의 발전적 이해’로 의미화 하였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의 문화다양성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바를 다섯 가지로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사회의 다문화교육에 유의하다고 판단되는 시사점을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베트남 문화다양성교육의 특징을 살펴봄에 있어 소수민족 출신 교육경험자에 대한 심층인터뷰가 이워지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이후 한국사회의 다문화교육과 베트남의 문화다양성교육의 발전에 좀 더 의미가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서, 소수민족 출신 교육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 학교 성교육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 : 십대의 성교육 경험과 십대 성문화 분석을 바탕으로

        양원정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기존의 학교 성교육이 신체와 재생산에 한정된 생물학적 지식교육과 성폭력 예방 교육, 성 문제 예방 교육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성에 대한 지식과 실천을 다양하게 구성하고 있는 십대의 의식과 경험을 반영하지 못하고, 십대에 대한 성 통제의 기제이자 성차별적 교육의 기제로 이용되어왔다는 문제 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십대의 성교육 경험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학교 성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십대 성문화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기존의 성교육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인 모델로서 여성주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십대의 성교육 경험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학교 성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십대 성문화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기존의 성교육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인 모델로서 여성주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교 성교육에 대한 십대의 경험과 십대 성문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시내 십대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 면접 결과 십대들은 학교 성교육을 십대 성 ‘문제’의 해결책이자 십대에 대한 성 통제의 기제로 해석하고 있었다. 또한 시간 때우기식 수업과 실적 위주의 교육은 성교육이 공교육 현장에서 주변부화되는 현실을 인식하게 하였다. 신체와 재생산에 한정된 생물학적 지식 위주의 교육 내용이 끊임없이 반복되고 재생산되는 경험을 하면서, 십대는 이제 성교육을 ‘시시하고 뻔한 것’으로 여기게 되었다. 이러한 십대의 학교 성교육 경험과 십대 성문화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십대의 의식 및 경험과 소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적인 모델로서 여성주의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여성주의 성교육의 목적은 십대가 성별적인 성문화와 성 각본을 비판적으로 읽어내고, 주체적인 성적 의사 결정을 통해 성적 주체성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성주의 성교육에서 담아야 할 내용으로 첫째, 성별적인 성문화와 성 각본을 비판적으로 읽어낼 수 있는 젠더 관점의 주제, 둘째, 십대를 성적 주체로 인정하고 이들의 성적 주체성을 기르기 위한 내용, 셋째, 가부장제 사회의 지배적인 성 규범에 저항하는 대안적인 지식과 언어 체계를 모색하는 내용 등으로 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여성주의 성교육의 주제로 선택한 것은 성적 의사 결정, 원치 않는 임신과 성적 전염병 감염에 대한 예방으로서의 피임, 여성 몸의 자기 결정권으로서의 낙태, 포르노 바로 읽기, 섹슈얼리티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이다. ‘성적 의사 결정’의 주제는 십대가 성별적인 성 각본을 비판적으로 읽어내고 자신이 경험할 수 있는 성 행동의 맥락들을 예측해보며, 이를 통해 주체적인 성적 의사 결정력을 기르기 위해 기획되었다. ‘피임’에 대한 단원에서는 피임 실천의 성별성에 대한 비판과 피임의 의미, 구체적인 피임 지식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낙태’에 대한 주제에서는 흔히 ‘생명권과 선택권의 딜레마’로 이해되는 낙태의 문제를 여성 몸의 자기 결정권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하면서, 부득이하게 낙태를 결정하는 십대 여성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포르노 바로 보기’에서는 쾌락과 오르가슴을 위주로 구성되는 포르노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인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마지막으로 ‘섹슈얼리티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단원은 신체, 성기 및 행위 중심적인 성 개념을 비판하고 섹슈얼리티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도모하면서, 올바른 성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This study has been started by recognizing few problems that current sexuality education have; its avoidance of fact that most of teenagers are developing their own senses and experiences of sexuality, and its role as mechanism in limiting teenagers' sexual desire and in discriminating teenage women. Acknowledged certain situations that sex industry affects adolescence, teenage dating and teenagers' sexual experience, this study has focused on creating an Feminist sexuality education program.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nalyzed the reality of school sexuality education by weighing on teenagers' experience in having sexuality education and their sexual consciousness. And for more appropriate way of communicating with teenagers in sexuality education, the study suggests a new feminist sexuality education for an alternative model. Feminist sexuality education would enable teenagers to have critical view in dealing with differently applied sexual situation from each men and women and have them built their own sexual sovereignty. The education also enables teenagers to understand sexuality as complicated problems that has to do with various issues, such as, birth control, pregnancy, abortion, birth, marriage, being parents, adoption and sexually-transmitted disease. It also helps teenagers to interrelate sexuality as a reciprocal issue that has to be considered wholly with health, education, job, marriage, being parents, and family relationship. With an aim determined, I had interviewed 20 teenagers from Seoul in order to inspect teenagers' sexual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within concrete context. Throughout the interview, teenagers were interpreting sexuality education as a resolution for teenage sexual problems and as a mechanism that prohibits teenagers' sexual behavior. It was being fully aware that the education was being marginalized as a result of superficial and time-killing-purposed class. Teenagers were regarding the education as a redundant reminder of biological process of sex. Based on the analysis drawn from the interview, I have built a feminist sexuality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help teenagers to understand the sexuality through the subjects of self-conducuted determination, unwanted pregnancy, contraception, self -determining abortion, and pornography. The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having birth control, being aware of detailed information of birth control and its necessity. By approaching abortion that often has been understood as a dilemma of biosphere with a view of women's self-determination. I was able to offer some valuable information to those who choose abortion opposed lo their own will. Since pornography, an unofficial sexuality educational device that teenagers take, has become a mechanism of composing a wrong sexuality of teenagers the new education focuses on to have teenagers have their own critical view of facing pornography.

      • 남성 섹슈얼리티의 사회화 기제로서 군대 성문화 연구 : 병사들의 성의식과 성경험을 중심으로

        유혜정 상지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논문은 사병들의 성의식과 성경험을 통해 남성 섹슈얼리티의 사회화 기제로서 남성들의 군대경험을 조명하고 있다. 징병제인 한국 사회에서 군대는 성인 남성들의 집단적 체험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남성 섹슈얼리티의 사회화 과정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 상명하복의 군대의 위계체계는 가부장제와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남성들을 가부장적으로 강화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대는 남성성별집단의 조직특수성으로 인해 일반사회에 비해 남성성이 강화된 행위중심의 성담론이 일반화되어 있다. 또한 군대에서 ‘성’은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군대내 관행과 관습을 통해 사병들간의 위계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훈련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성적 억압의 상황으로 변화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 둘째, 군입대 이전에 이미 남성중심의 성문화에서 성을 학습하고 경험해 온 사병들에게 군대는 더 이상 남성 섹슈얼리티의 통과의례의 장으로 의미화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남성성이 강화된 군대 성문화에서 사병들의 성적 경험과 성적 태도는 가부장적으로 강화되고 있으며 사병들은 여성 섹슈얼리티를 대상화하고 억압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수용하고 있다. 셋째, 사병들은 친밀한 관계와의 소통을 중시하며 일반적으로 교제상대와 성적 경험을 하고 있지만 동시에 성매매를 남성놀이문화 속에서 집단적으로 경험하는 이중성을 보이고 있다. 20대 남성인 사병들의 성문화는 성을 표현하는 스타일은 변화되었지만 보다 일찍 여성의 성적 서비스를 수용하고 경험하며 성별위계적인 이중적인 성문화를 재생산하고 있다. 넷째, 사병들의 성적 경험과 성의식은 성평등의식과 군대경험 그리고 개인의 사회적 배경이 상호교차하면서 재구성되고 있다. 남성과 여성의 섹슈얼리티는 본질적인 것이 아니라 특정한 사회적 배경과 관계속에서 재구조화되기 때문에 한 사회의 젠더시스템과 성평등의식 수준은 개인의 성적 경험과 성의식에 많은 영향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병들은 군대문화와 일반문화를 집단적으로 매개하는 역할을 통해 남성성이 강화된 군대문화를 일반사회에 전파하여 가부장제 성문화를 유지, 강화하기도 하지만 일반사회의 변화하는 성문화를 군대에 전파하여 군대 성문화가 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고 있다. 군복무기간과 함께 개인의 성평등의식 수준이 사병들의 성적 경험과 성의식을 분석하는데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난 조사결과는 이를 뒷받침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가부장제 사회에서 ‘지배적인 남성성’의 이데올로기가 제시하는 기준에 의해 성정체성을 구성해 온 남성들은 동료집단에서 성적 존재로 사회화되고, 자신을 의미화하기 때문에 지배적인 남성중심의 성문화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쉽지 않은 것이다. 남성 섹슈얼리티의 사회화는 남성동류집단 속에서 이루어지며, 남성들은 여성 섹슈얼리티를 대상으로 한 놀이문화에서 남성 동류의식을 강화하며 결집하고 있다. 본 연구는 남성들이 군대에서의 집단적 체험을 통해 가부장제의 성별위계적인 속성을 공유하며 여성 섹슈얼리티를 억압하는 성별정치학을 집단적으로 재생산하고 있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군대경험이 사병들의 성경험과 성의식을 가부장적으로 강화하고 있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male sexuality on the military experience of men as socialization mechanism with a focus on privates' sexuality and sexual experience. This study starts with two critical minds : first, the Korean army of conscription system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of male sexuality because of the collective experience in the army. Second, the hierarchy system of the army, a similar mechanism to the patriarchal system, is making the Korean males patriarchal.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xual discussion in the army is more focused on sexual intercourse than that in the ordinary societ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as a group composed of males. Moreover, as the "sex" in the army is habitually being used as an unofficial instrument for maintaining the hierarchy order among privates,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he condition in the army turns into a sexual oppression. Second, for privates who have already learned and experienced the male-oriented sexual cultures, the army does not mean a rite of passage of male sexuality any more. But, the male-oriented sexual cultures in the army is making their sexual attitude more patriarchal. As a result, privates accept it natural to subject and oppress female sexuality. Third, although privates put importance on the communication with their intimate beloved and have sexual relationship with their love in general, they collectively experience prostitution at the same time in the male amusement culture. Though the sexual cultures among the privates of their 20s has changed in expressing sex, they receive and experience sexual service from females earlier than before, thereby reproducing double sexual standard. Fourth, the sexuality and sexual experience of privates are being reconstructed as the sense of sexual equality, experience in the army and the social background cross each other. Since the male and female sexuality is not instinctive but reconstructed in a specific social background and relations, the gender system and the level of sexual equality in a society exercise great influence on individual's sexuality and sexual experience. This study shows that privates, as collective medium between the army and the ordinary society, deliver male-oriented sexual culture in the army into the ordinary society, thus maintaining or enforcing patriarchal sexual culture in society. But it also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y can mediate the changing sexual cultures in the ordinary society into the army, thus changing the sexual culture in the army. The possibility is supported by the findings that along with the period of service, the level of sexual equality is significant in analyzing privates' sexuality and sexual experience. But it seems difficult for males, who have established their sexual identity under the "dominating male" ideology in the patriarchal society, to free themselves from the male-oriented sexual cultures because they are socialized and make themselves meaningful as a sexual existence in their groups. The socialization of male sexuality is performed in male groups, and males are enforcing the sense of homogeneousness in the amusement culture subjecting female sexuality. This study takes issue with the reality that males share sexually hierarchial characteristics of the patriarchal system through collective experiences in the army and collectively produce gender politics suppressing female sexuality. It also proves that experiences in the army make privates' sexuality and sexual experience more patriarchal.

      • 공공도서관에서의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과 인식변화 연구

        정은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2

        외국인 이주민과 근로자가 급격하게 늘어남에 따라 한국 사회의 다문화가정 육아와 교육은 중요한 사회문제로 등장하였다. 국내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연령을 살펴보면 만 7세~12세 학령기 어린이들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문화 가족 내 육아 및 한국문화를 이해하는 교육에 대한 문화적 차이를 좁히기 위한 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어린이들은 유아기부터 호기심이 많아지고 자기중심적 사고가 발달하는 특성 때문에 자기문화중심주의의 기초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어렸을 적부터 다른 나라 사람들의 생각과 가치관, 행동방식 등에 따른 다양한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도서관은 책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만날 수 있는 공간이다. 도서관과 사서는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이 도서관이 친숙한 공간임을 알게 하고, 친구들과 함께 어울리는 등 도서관 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3~6학년 다문화가정 어린이와 일반가정 어린이를 대상으로 문화다양성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세계의 여러 다른 문화와 다양한 가치, 삶의 방식을 존중하고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에서의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사후 인식 차이, 실험집단-비교집단의 인식 차이, 도서관 서비스와 이용률 및 서비스 활성화 방법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 다문화 인식, 문화다양성, 문화다양성교육 등과 관련된 문헌과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문화다양성서비스 및 프로그램 종류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 대상은 초등학교 3~6학년 어린이로,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16명)과 참여하지 않은 비교육자 비교집단(3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진행한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은 ‘주택으로 바라보는 세계문화여행’이며, 충북에 소재한 공공도서관에서 ‘11차시 동안 운영하였고, 초등학교 3~5학년 어린이가 4개월 간 참여하였다.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어린이들은 일상생활에서 가족과 단란하게 생활하는 공간인 ‘주택’을 소재로 하여 세계의 각 나라를 탐험하고 인쇄매체와 전자매체를 활용하여 세계문화를 이해하고 건축물을 설계하였다. 비교집단은 도서관에 방문하는 횟수가 적고 문화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서비스 이용 경험이 적은 어린이들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총 62부를 배포하였고, 그 중 62부를 회수하였으며, 회수율은 100%이다. t-test를 이용하여 사전-사후 집단 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여 차이를 검증하였고 설문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SPSS 18.0K를 이용하였다.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문화다양성서비스인 다국어도서, 더책(오디오북), 멀티동화, 문화다양성 프로그램에 대한 집단(사전, 사후, 비교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분산분석(Anova), 사후검증(Scheffe)를 사용하여 차이를 분석하였다.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과 단란하게 생활하는 공간인 ‘주택’을 소재로 주제를 선정하고, 문화적 차이를 이해할 수 있는 초등학교 중·고학년을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가족, 이웃,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를 배려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문화다양성에 대한 인식과 서비스 활용도가 높고 세계 문화에 대한 이해, 수용, 배려, 존중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다양성서비스 제공을 통해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의 도서관 이용률이 증가하였으며, 독서에 대한 관심도와 정보활용능력이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인식조사를 통해 문화다양성에 대한 이해, 수용, 배려, 존중 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은 문화다양성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확대·제공하여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이 도서관이 친숙한 공간임을 알게 하고 이용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 둘째, 도서관은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문화다양성 교육자들이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셋째, 도서관은 책읽기와 연계된 다양한 독서 및 문화 활동을 통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독서 환경을 제공하여 독서 능력 및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유도 해야 한다. 넷째, 어린이들이 세계 여러 다른 나라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다양한 삶의 방식들을 존중하며 자연과 사람을 사랑하고 평화를 추구하는 인간으로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창조적 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이 되어야 한다. 각각의 도서관들이 기관의 특성에 맞는 문화다양성서비스를 지원하고 문화다양성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공유한다면 문화다양성교육 프로그램의 수는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교육현장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As foreigners' immigration to South Korea has increased sharply, nurturing and education in multi cultural family in South Korea has become important social problem. Children from multi cultural family aged 7 to 12 account for a great part in South Korea. It is urgently necessary to give education that helps children from multi cultural family understand Korean culture better. As children tend to be curious and ego centric, they are likely to be ethnocentr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environment that helps children understand and respect different cultures, values and behaviors. A library serves as space through which people meet new world. It is advisable for us to encourage children from multi cultural family to use library so that they can get along with ot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and respect different culture, value and lifestyle by providing children from multi cultural family and children from non multi cultural family who are from third to sixth year in elementary school with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This study develope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in public library and applied it to analyze a difference in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a difference in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library service, use of library service and influence of expansion of service. This study analyzed literature which is related to multi culture, awareness of multi culture,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nd cultural diversity service and programs that are provided in public library. Children who are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year in elementary school were surveyed to find out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experimental group (16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and comparative group (30 children) who did not participate in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Children who are from third to sixth year in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for four months. The program was given over 11 sessions in a public library located in Chungcheongbukdo under the name of ‘world culture travel seeing from houses’. The program designed houses based on world culture by making good use of printed media and electronic media. Comparative group was composed of children who do not visit a library frequently and have little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A total of 62 questionnaires were sent and all of them were returned. A difference in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was verified by using t-test. SPSS 18.0K was used to verify reliability of survey.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post hoc tests(Scheffe) were used to analyze a difference in awareness of books, audio books, multi fairy tales provided in a public library between groups (before, after, comparative). Findings of analyzing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are as follows. First, operating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ho were in middle and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helped them improve their ability to understand and consider family members, neighbors and peers. Second, it was found that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showed better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understanding, acceptance, consideration and respect of world culture than comparative group. Third, providing cultural diversity service helped children from multi cultural family use a library more frequently and information better and have more interest in reading. It was found that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helped children understand, accept, consider and respect cultural diversity better.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advisable to expand cultural diversity related service provided in a library so that children from multi culture family can use a library better. Second, it is desirable to develop a guideline on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related program so that people can us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 more effectively. Third, it is advisable to provide systematic reading environment by making good use of reading related cultural activities so that children can improve an ability to read and use inform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create a library which provides service that helps children understand and respect cultures of foreign countries and different lifestyles better and love the nature and humans and pursue peace through reading. Developing cultural diversity related program and supporting customized cultural diversity service will help increas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programs and expand cultural diversity service in a public library and provide children with opportunities to use a library better and improve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 스마트폰 이용이 청소년 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백미성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2

        당신은 오늘 하루 스마트폰을 얼마나 사용하셨습니까? 스마트폰 이용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양날의 검과 같다는 비유를 하고 싶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면서 우리 일상생활은 많은 변화를 가지고 왔다. 하지만 그 편안한 일상생활을 뒤로하고 어두운 그림자를 지으며 스마트폰이 이용된 불법과 범죄에 악용되고 있는 단면을 보여주기도 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통신기기를 넘어서 미디어 매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모바일의 확장과 함께 소비시장이 급속도록 커지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에 대한 보급 또한 역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처럼 스마트폰이 생활의 중요한 미디어가 된 현실 속에서 특히 접근 제약이 적은 스마트폰의 음란물에 대한 이용에 따른 청소년들의 성적호기심과 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대한 청소년들의 과도한 이용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이용은 가정내에서 사용하는 PC보다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음란물을 시청하는 것이 부모님의 감시나 통제 속에서 자유롭다. PC는 가족구성원들이 자유롭게 이용하지만 스마트폰은 혼자만 사용할 수 있고 방이라는 내 개인적인 공간에서 자유롭게 이용 할 수가 있다. 특히 미디어 매체로 인하여 스마트폰이 광범위하게 보급됨과 동시에 청소년들은 기성세대의 성문화에 노출에 아무런 여과장치 없이 무분별하게 성 문화를 받아들이고 있다. 연구자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더 나아가 스마트폰이 청소년의 성 인식에 대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문제를 살펴보았다. 연구는 스마트폰 이용이 청소년 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의 음란물 접속 실태조사에 관한다. 최근 2007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최초로 시각문화미술교육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 강조 하는 것은 정보를 올바로 취사선택하고 이를 읽고 매체에서 조직하는 비주얼리터러시 교육이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영상정보 교육차원에서 시각미술교육과 변화되는 교육환경에 맞추어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서 학생들의 미적 체험과 비평능력을 키우며,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에 따른 매체환경과 사회구조의 변화 속에서 앞으로 청소년들이 스마트폰을 선용할 수 있는 시각문화 미술교육 측면에서 기초연구를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통한 음란정보활용이 청소년 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보기 위해 인천시 관내 남자고등학교와 여자고등학교 학생을 조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이 음란물 이용에 대한 의식 및 태도를 알아보고, 성문화에 대한 정립에 기여할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설문지는 총 412부를 배포 하였으며, 그 중 350부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20부를 제외한 총 330부가 최종분석에서 사용되었다. 스마트폰 이용이 청소년 성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23개의 항목의 응답에 따른 요인을 ‘일반적인 질문’, ‘성에 관한 질문’, ‘스마트폰에서 경험하는 성에 대한 질문’, ‘스마트폰으로 음란물 시청 후 변화된 생각과 행동에 대한 질문’으로 총 4가지의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스마트폰 이용이 청소년 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 청소년들이 음란물을 처음 접한 시기는 중학교가 62.7%로 가장 많았고, 음란물을 중학교 때 처음 접한 학생들은 친구로부터 음란물을 처음 접하였고, 고등학교 때 처음 접한 학생들은 광고와 스마트폰 검색을 통해 음란물을 접하였다. 음란정보 접촉은 스마트폰 및 인터넷 검색을 통해 일어났는데, 그 비율은 41.2%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교육적으로 상당히 의미가 있는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참고하여, 스마트폰이 청소년 성 인식에 영향을 정확히 분석하고 앞으로 확산될 문제에 관해 여러 측면에서의 다각적이고 효과적인 대응방안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참고·보안하여 향후 폭넓은 관점에서 활용 될 수 있길 바라며, 후속 연구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국립박물관의 문화다양성 교육프로그램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홍아라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2

        결혼 이주 여성, 외국인 노동자가 증가함께 따라 다문화를 가진 구성원이 늘어나면서 현재 외국인은 우리나라 전체의 약 2%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이 많아지면서 본격적인 다문화사회에 도래하였다. 본 논문은 다문화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오늘 날 문화와 가장 연관 있는 박물관에서의 문화다양성 교육프로그램 현황을 통한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사회 문화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문헌연구를 통해 조사하였고, 또한 국내 박물관 문화다양성교육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국립박물관 문화다양성교육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현재 박물관 문화다양성교육의 특성과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박물관 담당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결과로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의 문화다양성 교육프로그램의 현상은 2007년 다문화정책이 확산되며 다문화정책 사업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프로그램이 양적으로 증가하여 2010년까지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나, 2011년을 중심으로 점차 감소하였다. 이는 소수계층을 분류하여 운영되는 특성 상 소수자들의 차별 또는 편견의 느낌이 작용하여 참여를 꺼리는 부분이 있을 것으로 사려 된다. 둘째, 문화다양성 교육프로그램은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한국문화교육, 전통체험교육 등 소수자 적응교육에 중심으로 두고 운영을 해왔으며 점차 타문화이해교육, 국제이해교육의 방식으로 운영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국립박물관 문화다양성교육은 아직도 진행 중이며 담당자들은 문화다양성에 대해서 많이 연구하고 노력함을 알 수 있었다. 국립 박물관의 문화다양성 교육의 목적과 내용은 역사이해교육, 전통체험교육에서 더 나아가 서로 소통하고 이해할 수 있는 타문화이해교육, 양방향 소통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교육프로그램으로 발전 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자는 박물관 문화다양성교육 활성화 방안에 몇 가지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문화다양성시대 문화다양성교육이 교육정책의 화두에 올라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차별 없고, 편견 없는 느낌으로 다가 갈 수 있도록 소수계층이 선택할 수 있는 기회의 폭을 넓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둘째, 박물관 문화다양성 교육프로그램을 역사 이해교육 뿐 아니라 가족, 지역, 세대, 민족, 생활문화 등 교육의 주제와 범주를 구체화시키며, 문화다양성교육이라는 큰 틀 아래 청소년, 공무원, 전문 인력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개발에 대한 진지한 방향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중앙박물관 및 지방박물관의 전시연계를 이용한 교육프로그램의 다양화가 필요하며, 그와 더불어 지역 사립박물관 또는 미술관 등 사회기반시설과 연계하여 운영하여 문화다양성교육의 다양화를 추구하고자 한다. Along with the increase of marriage immigrant spouses and foreign workers,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increasing which is currently making up 2% of the families in Korea, and as the number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increases an era of multi-culture has arriv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Activating methods through the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programs of cultural diversity in museums which are most related to today’s cultures living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do so,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diversity in a multi-cultural society, research and analysis were carried out on the situation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the national museum to grasp the flow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domestic museums, an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executed through interviews with museum manager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the current museum’s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The content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museums have been actively ongoing since 2007 when multi-cultural policies were expanded, multi-cultural projects were actively carried out, and number programs increased until 2010, but they started to slowly decrease from 2011. This is considered to be partially because of unwilling people due to discrimination or prejudice of the minority group since the programs and projects were carried out by dividing the minorities. Secondly, most educational programs of cultural diversity were carried out focused on the adaptation education of minority groups such as Korean cultural education, tradition experience education, and so on, which were slowly being operated in ways of teaching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and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irdly,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the national museum is still ongoing and the managers were putting much efforts into researching cultural diversity. the purpose and contents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national museums are expected to develop from understanding history and tradition experience education into educational programs carried out as understandings of other cultures and bi-directional communication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intends to propose several methods for vitalizing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museums. First of all, currently at a point wher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in the era of multi-cultures is an issue in education policies, the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a direction to broaden the opportunities for minority groups to select, so that the education can be approached without discrimination nor prejudice. Secondly, there is a need for a sincere method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teenagers, government employees, and expert personnels under the concept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by specifying the subject and boundaries of the education in categories such as family, region, generation, ethnic, living culture, etc. rather than only focusing on history understanding education programs. Thirdly, there is a need for a diversity of educational programs using exhibitions of national museums and local museums, and also pursuing diversity of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by operating social facilities in link with private museums or art galleries.

      • 10대 여성 이반문화에 대한 여성학적 연구 : 대구지역 청소년 문화와 섹슈얼리티 구성에 관하여

        신영희 계명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논문은 10대 여성 이반 문화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는 이 연구가 남성중심적이고 이성애중심적인 성문화 속에서 비가시적인 여성 동성애 청소년들만의 성문화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문화와 이들의 섹슈얼리티가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며 구성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또한 단순한 일탈의 성 문화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획일적인 성 문화를 바꿀 수 있는 대안적 문화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의도에서이다. 우리 사회의 지배적 성담론인 이성애주의는 남성/여성이라는 정형화된 주체성에 기반한 이성애 제도만을 절대시하며 동성애를 비정상으로 분류함으로써 이성애 중심적이고 남녀 위계적인 지배 질서를 공고히 하는 권력의 효과를 보고 있다. 그러나 10대 여성들은 현실의 성 질서를 무시하고 그들만의 동성애 문화를 생산하고 소비하고 있다. 결국 이 연구는 우리 사회의 지배담론인 이성애주의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시작하여 이분법적인 성문화를 거부하고 자신의 성정체성을 동성애자라고 명명한 채 살아가고 있는 여성 청소년들의 경험에 대한 연구인 동시에 그들의 하위 문화연구이다. 본 논문은 10대 여성들 중에 동성애 경험을 가지고 있는 8명의 연구 대상자들에 대한 심층 면접을 통해 세 가지 분석틀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10대 레즈비언의 경험의 의미를 그들의 삶과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읽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컴퓨터의 보급과 인터넷의 대중화를 통해 급격하게 형성된 10대 이반 문화는 동성애 혐오증의 부재 속에서 하나의 하위문화로서 독특한 복장, 언어, 행동 규범 등을 만들어 내고 공유하고 있으며 이는 인터넷 동호회와 팬픽 등 가상공간을 통해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10대 여성 이반들은 자기 욕구 충족과 자신들이 처한 삶의 조건들을 뛰어 넘기 위한 여러 가지 대안 만들기에 적극적인 주체로 참여하고 있다. 둘째, 이반 문화와 그들의 섹슈얼리티가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며 구성되는지를 보았다. 10대 이반 문화는 현실의 여성 억압적 성적 질서를 배반하지만 우리 사회에서 그 대안을 찾기란 어렵다. 고정되어 있는 가부장적 성역할의 규범을 답습하고 있는 모습은 주체들이 위반한 사회적 금기의 한계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들의 다양한 성적 경험은 유동적이고 다양한 성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일조한다. 이성애적 관계만이 인정되는 현실, 현실적이지 않은 이반문화, 그 사이에서 10대 여성들은 다양한 스펙트럼의 섹슈얼리티를 구성 중에 있다. 셋째, 이반 문화가 현재의 성질서의 지형 변화에 어떻게 작용할 것인가를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현실의 성질서 비틀기는 작금의 성규범에 치명적인 영향력을 지녔다고 보기는 다소 어렵다. 그러나 10대 여성들만의 문화 역시 우리 사회의 지배 담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며 이분화되고 남성중심적인 성담론을 내면화하고 있다. 이것은 이반 문화의 정체성에 대한 부정이 아니라 우리 사회의 이성애 중심적 지배 담론이 얼마나 공고한지, 그리고 얼마나 깊게 내면화되어 이성애적 문화를 재생산하고 있는지를 봐라봐야 할 것이다. 현실에서, 가상공간에서 부유하는 이반들을 위한 인권 교육과 여성학적 관점의 견지를 통한 경험 활동 등 다양한 대안들이 존재한다면 여성주의적 감성을 교류할 수 있는 대표적인 여성 문화, 동성애 문화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녔다. 이러한 가능성을 현실화 시킬 때 이성애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성들이 공존할 수 있을 것이며 가부장적인 남녀 위계적 지배 질서 또한 해체될 것이다. This is to show the teenage girls' lesbian culture. That's because this is aimed at making it clear how the teenage lesbian sexual culture is invisibly formed in an androcentric and intersexual-oriented society and learning how it interacts and is developed. In addition, this intends to reveal the fact that their culture is not just a deviation from the main stream and consider whether it can be an alternative plan to change our unilateral sexual culture. Intersexuality, a ruling discourse in our society, is based on male/female in dichotomic ways, and positively against homosexuality. Hereby it firmly strengthens the intersexual-oriented ruling authorities. On the other hand, some teenage girls make and spend their own lesbian culture, ignoring realities. This is the study of teenage girls who are naming their gender identity "lesbian" themselves, and also their subculture studies. Through the interview with eight girls among those who had an experience of homosexuality in their 10s, this study could get unveiled their deep feelings on the basis of three categories. Followings that are: Firstly, what it means to be a lesbian is analyzed from the social context. Given the situation that computer has come into wide use and internet has been popularized, they hold a unique style of clothing, language and behavioral pattern in common, which is increasing rapidly in the internet club activities and their own "fanfic" writings without homophobia. In this course, they satisfy their desire, overcoming their living conditions given, who are actively involved in making alternatives in many directions. Secondly, the relationship of the teenage lesbian culture and their own sexuality is examined in detail. Though they are a kind of counterculture against woman-oppressing reality, it is difficult to find out practically alternative plans within them. Even though breaking a social taboo, their limits that they just follow the fixed pattern of patriarch gender roles are disclosed. Only intersexuality is permitted and teenage lesbian culture isn't accepted, while their struggle forward to the wide spectrum of sexualities is underway. Thirdly, what their culture react to currently intersexual-oriented pattern is discussed. It, however, is hard to say that they exercise their influence over it. They couldn't be free of the ruling discourse of Korean societies on account of the fact that they also internalize dichotomic and androcentric sexual discourse, which are deeply internalized in them to reproduce intersexual culture. Realistically saying, if there are a variety of alternative plans that is based on a view of women's studies, including their human rights education, for them still floating around cyberspace, they may have much chance of being representative of women and homosexuality culture developing feminine sensibility. Actualizing various forms of sexualities live and let live, finally patriarch authorities will be weak and disorgan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