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불안 개념의 인지적 구조에 대한 다중 관점에서의 고찰

        오지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다중 관점에서 불안 개념의 인지적 구조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불안은 인간의 출생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다. 21세기는 세계보건기구에서 전염병의 시대라고 규정 지은 바 있으며, 빠르게 확산되는 신종감염병에 대한 사람들의 불안과 공포는 점차 심해지고, 사회 경제 외교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불안 개념을 구성하는 다양한 관점들은 객관성(Objectivity)과 주관성(Subjectivity)의 정도(Degree)로 표현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객관과 주관의 축 위에서 연구의 관점을 서서히 이동시켜 가며 불안의 개념적 구성 요소를 살펴본다. 전체 학문 커뮤니티에서 특정 학문 집단의 지식 체계를 거쳐 연구자 개인의 차원으로 수렴해 나가고, 줌 인(Zoom-in)과 줌 아웃(Zoom-out) 전략을 교대로 사용하기도 하면서, 객관과 주관을 자유롭게 넘나드는 다중 관점의 연구를 시도한다. 예컨대 2장에서는 심리학, 교육학, 의학 등 전체 학문 커뮤니티의 문헌을 총괄하여, 빈번히 사용되는 단어들을 벡터 공간상에 임베딩하고 시각화 함으로써 불안과 관련성이 높은 키워드를 추출한다. 이는 다양한 관점에서 서술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탈관점적이며 가장 객관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자아, 애착, 심리, 효과, 교육, 만족도, 죽음 등으로 추출된 양적 정보는 질적으로 가치 있는 부분을 미처 포함하지 못하기도 한다. 3장에서는 지각된 대상을 강조하는 서양의학과 지각의 경험을 중시하는 동양의학의 의학적 지식에서의 관점을 살펴본다. 의학 지식에서 톱다운(Top-down) 방식으로 체계화되는 질병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불안 개념 분류의 관점을 다루고 있다. 4장은 개인의 주관성이 가장 높은 관점에서의 연구로, 연구자는 <페스트>에 나타난 불안과 현실의 불안을 연관지으며 내러티브 소설과 삶을 모두 적극적으로 경험한다. 이때 연구자는 불안을 직접 느끼기도 하고, 불안을 느끼는 자신이나 타인 혹은 불안한 환경을 메타적인 시선에서 관찰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불안과 공포의 농도적인 차이, 불안에 대한 미래 전략의 중요성, 불안의 없음과 불안으로부터의 자유는 다르다는 것 등 불안의 숨겨진 개념을 유추할 수 있게 된다. People are susceptible to anxiety across their lifespan. At this day and age, where it is defined as the era of epidemics, people’s vulnerability to feel anxiety and fear continues to escalate at an alarming rate. To further understand the concept of anxie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gnitive structure of anxiety from multiple perspectives. Multiple perspectives about anxiety can be examined through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research methodologies. From Chapter 2 to 4, I will discuss the conceptual structure of anxiety by gradually shifting the perspectives of research along the axis of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Each chapter deals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of anxiety along this axis. Chapter 2 examines anxiety through an objective aggregation of literature from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Data-driven). Chapter 3 explains anxiety from the perspective of a single academic group (Knowledge-driven). Finally, Chapter 4 explores anxiety from the subjective perspective of the individual researcher (Experience-based). In this way, it attempts to understand anxiety from multi-convergent perspectives that liberally cross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In Chapter 2, literature from a wide variety of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Psychology, Pedagogy, and Medicine, is aggregated. Keywords are then extracted by embedding and visualizing frequently used words in a vector space. Aggregating text from such a wide variety of disciplines facilitates an objective data-driven analysis, unbiased by the perspective of any single academic discipline. However, this quantitative information (Self, Attachment, Psychology, Effectiveness, Education, Satisfaction, and Death) comes at the expense of qualitatively valuable information. Chapter 3 examines the perspectives of diagnostic classification from two perspectives; Western medicine which emphasizes perceived objects, and Korean medicine which emphasizes the experience of perception. This chapter examines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cept of anxiety based on a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 organized through a Top-down approach grounded in medical knowledge. Chapter 4 explores anxiety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subjectivity. I actively experience both narrative novels and life by relating the anxiety expressed in <La Peste> to the anxiety of reality. In this chapter, I tried to feel anxiety directly, observe patient’s anxiety, and reflect on situations that make us anxious from the third-person point of view. This allows insight into the hidden concept of anxiety, such as the degree difference of intensity between anxiety and fear, the importance of future coping strategies for anxie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a lack of anxiety and freedom from anxiety.

      • 아동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스트레스를 통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

        심효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elf-oriented perfectionism, perceived stress, social support, stress mindset, and children's anxiety, and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mindset through perceived stress concerning the influence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children's anxiet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concerning the effect of children'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n anxiety? Second,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concerning the effect of children's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anxiety? Third, what i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perceived stress? Fourth, what i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perceived stress? Fifth, what i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tress mindse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anxiety in children? To explore these research questions,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81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tdents who reside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and who have given their consent to the study. Of the 181 questionnaires retrieved, the study used 175 sets of questionnaires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six sets which included incomplete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1.0, and medi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Macro.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effect of children'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n anxiet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was found partial. Second, concerning the effect of children's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anxiet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was found significant. Third, concerning the effect of children's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n perceived stres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found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influence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n perceived stress was found to be smaller whe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was high than when it was low. Fourth,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did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children's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perceived stress. Fifth, concerning the effect of children's perceived stress on anxiety,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mindset was found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influence of perceived stress on anxiety was found to be smaller when the level of stress mindset was high than when it was low. Finall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mindset through perceived stress were not found significant on the effect of children’s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their anxiety, whereas they were found significant on the effect of children’s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on their anxie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by examin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mindset through perceived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nxiety in children, the study identified the mechanisms and pathways through which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perceived stress affect children's anxiety, and therefore has provided supporting evidence for specific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nxiety.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지향 완벽주의, 지각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마인드셋 및 아동의 불안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아동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각된 스트레스를 통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아동의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아동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지각된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아동의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지각된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다섯째, 아동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불안 간의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문제들을 살펴보기 위해 서울, 경기 및 충청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5, 6학년 가운데 본 연구에 동의한 18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총 181부의 질문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질문지 중 하나 이상의 질문에 응답하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6부의 질문지를 제외한 175부의 자료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를 이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각된 스트레스가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각된 스트레스의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사회적 지지가 높을 때에는 낮을 때보다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이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아동의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조절효과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의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높을 때에는 낮을 때보다 지각된 스트레스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이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각된 스트레스를 통한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 아동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각된 스트레스를 통한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각된 스트레스를 통한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마인드셋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사회부과 완벽주의/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지각된 스트레스가 아동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와 경로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불안 아동을 위한 구체적인 심리 치료적 개입의 근거 자료를 제공했다는 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 스마트폰 기반 사회불안장애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 발표 불안을 중심으로

        임수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사회불안을 유발하는 흔한 공포 상황인 발표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스마트폰 기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치료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스마트폰 기반 발표불안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은 4회기의 자가 치료 프로그램으로 핵심 치료 요인은 부정적 자기상, 자기초점적 주의, 부정적인 인지편향, 안전행동의 수정이며, 이를 위해 인지적 작업 및 비디오 피드백, 주의 훈련을 실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는 발표불안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지와 구조화된 임상적 면담을 통하여 사회불안장애로 진단된 성인 6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치료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30명씩 무선 할당되었다. 이 중 중도 탈락된 사람을 제외하고, 스마트폰 기반 발표불안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를 완료한 치료집단 28명과 대기자 조건에 있었던 통제집단이 26명이 최종적으로 분석에 포함되었다. 치료집단의 사회불안 및 발표불안 증상 수준과 핵심 치료 요인 수준은 치료 전, 치료 후의 두 시기에 걸쳐 한국판 사회공포증 척도, 발표불안 척도, 자기초점적 주의 척도, 발표불안 사고 척도, 미묘한 회피 빈도 검증 척도를 통해 온라인상에서 측정하였다. 통제집단 또한 동일한 간격으로 온라인상에서 같은 척도를 통해 증상 수준을 측정하여 치료집단에서 나타난 변화가 스마트폰 기반 발표불안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에 의한 효과인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폰 기반 발표불안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이 치료집단의 사회불안장애의 다양한 증상을 경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집단의 경우 사회불안 및 발표불안 수준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핵심 치료 요인인 자기초점적 주의, 발표불안에 대한 부정적 인지, 안전행동 또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스마트폰 기반 발표불안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1.38~2.53로 모두 큰 정도의 효과크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료 프로그램이 사회불안과 발표불안 증상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 인지 편향과 안전행동의 변화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기권총 선수들의 경기시 경쟁상태불안이 기록에 미치는 영향

        김봉준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불안을 다차원 개념으로 규정한 본 연구에서 상태불안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불안, 신체적 불안, 자신감과 사격선수들의 경기력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경기수준에 따른 불안 수준의 차이를 검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S고등학교 13명과 H고등학교 14명 남자공기권총선수 27명으로서 평균 선수경력은 3년이며, 평균나이는 18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통계처리 하였다. 1) 3차례에 걸친 각 개인의 TSCSA점수를 하위영역별로 각각 평균, 표준편차를 찾아서 실제점수를 표준점수로 환산함과 동시에 경기점수를 표준점수로 환산하여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2) 측정시기의 순차에 관계없이 불안요인의 Z점수에 따라 낮은 것에서부터 높은 순으로 재배열하였다. 3) 불안 수준간의 차이검증과 이에 따른 경기기록의 차이검증은 일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사격은 정적인 상태에서 고도의 집중력을 요구하는 운동이므로 선수가 시합상황에서 느끼게되는 고조된 불안은 경기기록에 밀접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선수의 경쟁불안이 운동수행 능력과 경기기록은 어떠한 관계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를 밝히고자 연습시의 운동수준과 불안수준과의 관계 및 시합시의 운동수준에 따른 불안수준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각 선수별로 수집된 불안점수와 사격기록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습수준에 따른 인지적 신체적 자신감의 상태불안은 수준이 높을수록 불안정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각 사격수준별 차이는 5단계의 모든 수준에서 인지적 신체적 상태불안은 P<.01로 나타났으며, 자신감은 P<.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1차 시합 수준에 따른 인지적 신체적 자신감의 상태불안은 수준이 높을수록 불안정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각 사격수준별 차이는 5단계의 모든 수준에서 인지적 신체적 상태불안은 P<.01로 나타났으며, 자신감은 P<.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2차 시합 수준에 따른 인지적 신체적 자신감의 상태불안은 수준이 높을수록 불안정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각 사격수준별 차이는 5단계의 모든 수준에서 인지적 신체적 자신감의 상태불안은 P<.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on and cognitive anxiety, and physical anxiety. The sample is S high school of thirteen students, H high school of fourteen students, and the air pistol players of twenty seven male. They have practiced for 3 years and the average age is 18. For this study statistic is used through as follows: 1) Personal TSCSA points of three times with mean and standard deviation had changed into standard points and this is selected as a dependency variable. 2) From low order to high there is rearranged as Z point of a anxiety factor. 3) ANOVA was used for examine of anxiety level and competition record. This is hypothesis that because of the shooting requires higher concentration at static condition, players feel high anxiety when game is held will give a effect record points.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between exercise condition of anxiety condition of practice and anxiety level as a exercise condition of competition. The conclusion was as follows: 1) cognitive, physical (p< .01), condition anxiety of confidence (p<.05) as a exercise level showed that level of anxiety is low in order to level is higher. The result is significantly different. 2) cognitive, physical (p< .01), condition anxiety of confidence (p<.05) as a first competition level showed that level of anxiety is low in order to level is higher. The result is significantly different. 3) cognitive, physical, condition anxiety of confidence (p<.05) as a second competition level showed that level of anxiety is low in order to level is higher. The result is significantly different.

      • 고교 남․여 유도선수들의 경쟁상태 불안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신준하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ive a basic data for Judokas(Judo players) and coaches to boost performance about competitive state anxiety on female and male highschool Judokas. Competition psychological condition other than players' physical, technical condition has an influence on the result of the competition. Therefore, it's very important to control their psychological condition to get the best result when they are in a competition. So the coaches are required to make the players who are playing have the confidence and train how to control the anxious element of the competition. The target of this study were 100 the female and 100 male highschool Judokas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35th president cup Judo competition but except for 2 of males and 7 of females because they were falling short of the propriety and reliance compare to others, total 191.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during the games was analyzed by survey of CSAI-2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ty-2), Martens and Veal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gender, in the differences between cognitive state anxiety and somatic state anxiety, female players were a little higher than the males. There werent'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te confidence, the male players are much better than females 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2. The differences between good and non-good players. First, for good players, there weren't show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gnitive and somatic state anxiety, but females had a little anxiety than males. In the state confidence, male players had more confidence than females, but there wasn't a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for non-good player, there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gnitive and somatic state anxiety, but females felt a little anxious than males. In the state confidence, male players had more confidence than females but there wasn't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3. Athletic career ( the times of training and participating in the games ) First, for the players over 3 years and the players who participated in the games over 5 times, there wasn't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ve state anxiety between males and females, but male players felt nervous slightly than females.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d in the somatic state anxiety but females were a little nervous than males. There wasn't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of state confidence but males had a confidence than females. Second, for the players less 3 years and the players who participated in the games less 5 times, males players had an anxiety slightly in the cognitive state anxiety. Females felt nervous in the somatic state anxiety and males had a confidence a little higher but there wasn't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본 연구는 고교 남녀 유도선수들의 경쟁상태 불안에 대해 하여 선수 및 현장의 지도자들에게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합에서 선수의 신체적, 기술적, 능력 외에 심리적 상태가 경기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므로 경기를 둘러싼 여러 가지 외적 요인에 대한 심리적 조절 능력을 갖추지 않고서는 최대운동수행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경쟁불안 요소를 어떻게 통제하고 조절하여 경기를 하는 선수들에게 자신감을 갖고 경기에 임하도록 하는 것이 지도자에게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본 연구의 대상은 고교 남․여 유도선수로 제35회 회장기전국 유도대회에 출전한 남․여 선수 각각100명씩 200명을 대상으로 유층표집 하여 선정하였고 그중 신뢰도가 떨어지는 남자선수2명 여자선수 7명을 제외한 남자 선수 98명 여자선수 93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 도구는 Martens, Vealey 그리고 Burton(1990)개발한 경쟁상태 불안 검사지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 CSAI-2를 이용하여 경쟁상황에서 느끼는 불안을 측정하였다. 1. 성별에 따른 경쟁 상태 불안 차이 남․여 유도선수들 간의 인지적 상태불안과 신체적 상태불안의 차이에 있어 남자선수들 보다 여자 유도 선수들의 불안 상태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남․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상태 자신감에서는 남자선수들이 여자선수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태 자신감에서는 남․여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2. 우수· 비우수, 남·여 선수들의 경쟁상태 불안 차이 첫째. 우수 남․여 유도선수들 간의 인지적 상태불안과 신체적 불안의 차이에 있어 여자 유도선수의 불안상태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남․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상태 자신감에서는 남자선수들이 여자선수들보다 상태자심감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남․여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둘째. 비우수 남․여 유도선수들 간의 인지적 상태불안과 신체적 불안의 차이에 있어 여자 유도선수들의 불안상태가 약간 높게 나 높게 나왔으나 남․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상태 자신감에서는 남자선수들이 여자선수들보다 상태자심감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남․여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3. 운동경력(시합출전횟수, 훈련기간)에 따른 남·여 경쟁상태 불안 차이 첫째. 선수 경력 3년 이상 전국대회 출전 5회 이상의 선수 경력에 따른 남․여 유도선수들 간의 인지적 상태불안의 차이에 있어 남자 유도선수들의 불안상태가 약간 높게 나왔고 남․여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신체적 상태불안의 차이는 여자선수들이 약간 높게 나타나면서 남․여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상태 자신감에서는 남자선수들이 여자선수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남․여간 차이가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선수 경력 3년 미만 전국대회 출전 5회 미만의 선수 경력에 따른 남․여 유도선수들 간의 인지적 상태불안의 차이에 있어 남자 유도선수의 불안상태가 약간 높게 나왔고 신체적 불안의 차이에선 남자선수들보다 여자선수가 약간 높게 나왔다. 상태 자신감에서는 남자 선수들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남․여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사회불안장애에서의 음주문제 발생기제 연구 : 음주동기와 정서조절의 효과

        김소정 고려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사회불안장애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지켜보거나 평가할 것에 대한 심한 불안감과 두려움을 경험하며 이로 인해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는 장애이다. 사회불안장애로 인한 정서적 어려움은 비단 사회적 상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 전반에 영향을 끼치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 평생 지속된다는 점에서 만성적이며 심각하다. 사회불안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건강한 일반인 집단에 비해 공병장애로 다른 불안장애, 기분장애, 약물사용장애 및 성격장애를 보이기 쉬우며, 이 경우 단일 장애만 있는 경우보다 더욱 심각한 증상과 좋지 못한 예후를 나타낸다. 사회불안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경우, 사회적 상황에 처하게 될 때 혹은 사회적 상황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긴장이나 두려움을 극복하고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리기 위한 일종의 대처 행동으로 음주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긴장을 감소시키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돕는 부적강화를 제공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알코올사용장애로 이어져 기능상의 문제를 초래할 위험성이 높다. 이에 이미 해외에서는 여러 연구를 통해 사회불안장애에서의 음주문제와 알코올사용장애의 공병에 대한 탐색이 활발히 이루어져 오고 있는 실정이나, 국내에서는 두 장애의 공병에 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해외에서도 음주동기 등 음주문제와 직결된 인지특성을 중심으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나, 상대적으로 사회불안장애의 어떤 임상적 특성이 음주문제를 초래하는지, 각 임상적 특성들이 어떤 음주동기를 매개하여 음주문제를 야기하는지의 과정에 대한 탐색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단계의 연구를 통해 사회불안장애에서의 음주문제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발생하게 되는지 살펴보았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서울, 충청, 강원, 경상 지역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64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사회불안장애에서의 음주문제를 매개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사회불안장애에서의 약물사용장애 공병에 대한 통합적 모형인 Buckner, Heimberg, Ecker와 Vinci(2013)의 생물심리사회적 모형을 수정·보완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불안에서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동조동기의 매개를 거쳐 음주문제를 예측하였고, 신체적 증상에 대한 두려움은 대처동기의 매개를 거쳐 음주문제를 예측하였다. 또한 정서조절의 어려움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서 동조동기로의 경로와 신체적 증상에 대한 두려움에서 대처동기로의 경로 모두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모형이 우리나라의 대학생 집단에서 사회불안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음주문제를 잘 설명하는 모형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회불안의 인지·생리적 특성이 동조동기와 대처동기라는 두 부적강화 음주동기를 매개하여 음주문제를 예측한다는 점이 확인되었으며, 정서조절의 어려움이 커질수록 각 임상적 특성이 부적강화 음주동기에 미치는 영향이 커진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연구 1에 참여한 대학생들 중 적어도 한 달에 두세 번 이상 음주를 하는 정기적인 음주자들을 대상으로 연구참가자를 모집하였다. 구조화된 임상면담을 진행하여 사회불안장애로 확진된 사람들은 사회불안장애집단에,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통제집단에 배정하고 총 14일이 소요되는 생태순간평가를 실시하였다. 각 참가자들은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하루 네 차례 온라인 정기설문을 실시하여 실제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정서와 정서조절, 사회적 상황 및 음주삽화를 보고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사회불안장애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일상생활에서도 부정정서를 높게, 긍정정서를 낮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불안장애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대처동기로 음주하는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음주동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음주량이나 음주빈도 및 음주갈망에서도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상생활에서의 정서변화가 음주삽화를 예측하는지 살펴본 결과, 부정정서와 긍정정서 및 정서조절 전략의 사용이 이후 시점의 음주삽화 발생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서경험과 정서조절은 음주갈망과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는데 부정정서의 증가 및 긍정정서의 증가가 모두 증가된 음주갈망과 관련이 있었으며,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의 사용이 음주갈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불안장애의 조절효과를 탐색한 결과, 사회불안장애집단은 사회적 상황에서 불안감을 경험할 때 통제집단에 비해 음주갈망이 더욱 높게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매개효과 분석에서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안은 부정정서의 매개를 거쳐 대처동기를 예측하였으며, 부적응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를 거쳐 동조동기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회불안장애집단에서의 정서경험과 정서조절의 어려움이 부적강화 음주동기를 매개하여 음주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사회적 상황에서 경험하는 불안이 사회불안장애집단에서의 음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하였다.

      • 초등 영어 교과서 내 학습활동과 학습자의 언어 불안과의 관계

        김희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등 영어 교과서 내 학습활동과 학습자의 언어 불안과의 관계: 6학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초등학생 영어 학습자의 교과서 내 학습활동 선호도와 언어 불안 정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 초등학생 영어 학습자의 언어불안 정도와 교과서 내 학습활동의 선호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본다. 둘째, 언어불안이 높은 학습자와 낮은 학습자가 어떤 학습활동에서 선호도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 불안이 높은 학습자가 해당 학습활동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4년 4월에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 6학년 125명을 대상으로 언어불안과 학습활동 선호도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같은 해 5월에는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활동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6명의 설문 참여자를 대상으로 추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습자의 네 가지 하위 언어불안요인 별로 학습활동과의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다. 영어 수업 내 수행불안은 읽기활동과 영어에 대한 자신감 결여는 말하기, 읽기, 쓰기 활동과 유의미한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원어민과 함께 할 때의 자신감은 듣기, 읽기, 쓰기 활동과 정적상관관계를 이루며 영어 내 모호성의 두려움은 듣기, 읽기 활동과 부적상관관계를 이루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서 네 가지 언어불안 하위요소가 읽기 활동과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초등 영어 학습자들의 읽기학습은 정확한 발음 구사를 위한 소리 내어 읽기 위주의 학습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면담결과에서도 학습자들은 읽기활동을 정확한 발음을 위한 확장된 말하기 학습의 하나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읽기활동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문장 듣고 따라 읽기, 소리 내어 문장 읽기 활동 등 소리 내어 읽기 활동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반응을 살폈기 때문에 상관관계 수치가 더 높게 나왔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언어불안요인별로 불안이 높은 학습자와 낮은 학습자 집단 간에 11개의세부학습활동 중 일부에서 선호도에 차이를 보였다. 통계분석 결과 영어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한 집단은 자신감이 많은 집단보다 ‘소리 내어 문장읽기’ 활동의 선호도가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원어민과 함께 할 때의 자신감이 낮은 집단은 높은 집단과 비교했을 때 ‘내용 추측하기’, ‘문장 듣고 따라 읽기’, ‘소리 내어 문장 읽기’, ‘재배열하기’, ‘유도 작문’ 활동 선호도가 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영어 내 모호성에 대한 두려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문장 듣고 따라 읽기’ 선호도가 낮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각 집단별 인터뷰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파악한 결과, 영어에 대한 자신감 결여 수치가 높은 학습자들은 다른 학습자들에 대해서 크게 의식하고 있었다. 원어민에 대한 자신감이 낮은 학습자들은 자신의 영어실력이 낮다고 평가하였으며 영어 내 모호성의 두려움이 높은 학습자들은 발음의 명확한 구별이 어렵다는 것에 불안감을 갖게 되는 것으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불안별 특징들이 학습자의 ‘내용 추측하기’, ‘문장 듣고 따라 읽기’, ‘소리 내어 문장 읽기’, ‘재배열하기’, ‘유도 작문’ 활동에 대한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불안이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영어수업 수행불안이 높거나 외국인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한 학생들은 활동을 참여하는 데 완벽한 영어 구사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주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할 수 있게 격려함으로써 학습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소그룹활동들을 통해 학습자들이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영어에 대한 자신감 결여가 높은 학습자들은 주변 학습자들에 대한 의식을 많이 하기 때문에 학습에 방해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학습자 비중이 높은 교실에서는 그룹 활동 보다는 개별학습의 비중을 높임으로써 불안을 낮추는 수업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셋째, 영어 내 모호성의 두려움이 높은 학습자들이 학습활동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도록 활동 전 혼동되는 발음이나 문법규칙에 대한 설명이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학습자들의 하위 언어 불안수치가 높을수록 읽기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교재 계발 단계에서 읽기 지문을 제시하면서 억양과 강세 및 개별 발음 현상에 대한 정보도 쉽게 표현하여 함께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소리 내어 읽기에 대한 부담감을 덜어줄 수 있다. 다섯째, 초등언어학습자들 간에 과거 학습 배경이나 영어에 대한 흥미에 따라 불안 수치가 다양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높은 불안을 지닌 낮은 수준의 학습자들을 위한 수준별 학습활동을 제시하는 것은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학습활동의 선호도와 언어불안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언어불안을 고려한 학습활동의 구성을 통해서 학습 환경을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하고, 학습활동에 언어불안이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Relationship of Textbook-based Learning Activities and Foreign Language Anxiety: Focusing on the 6th graders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book-based learning activities and foreign language anxiety. For this purpose, th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preferences in the learning activities and foreign language anxiety was investigated. Al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gap in the groups. Low-level anxiety groups was compared with high-level anxiety group by means of analysis and interview.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125 Korean sixth graders of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Gyung-gi province and 6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interviewees, according to their scores in the questionnaires, to see why anxious students do not prefer some types of the learning activities in textbook.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showed that the foreign language anxiety factors are in correlation with preferences in the learning activities.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English class performance anxiety’, ‘lack of self-confidence’, and’ fear of ambiguity in English’, and the preferences of learning activities were found. Specifically, ‘English class performance anxiety’ affected reading activities and ‘lack of self-confidence in English was related to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Fear of ambiguity in English’ was in the relationship with listening, reading. What’s more, ‘confidence with native speakers of English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In the result, four factor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are in meaningful correlation The reading activities of elementary language learners consists of the activities related with ’to read aloud’ to practice clear pronunciation. Interviewees also saw reading activities as practices for pronunciation. Moreover, the result is in relation that the questions of reading activities in this research were focused on read aloud activities. Second, the differences of the activity preferences in students grouped by level of foreign language anxiety factors were revealed. With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s, students who are lack of self-confidence in English don’t prefer the activity, ‘to read aloud’. The group of students who are less confident with native speakers of English do not have preference towards activities such as ‘to guess before listening’, ‘to read aloud’, ‘to rearrange words for a right sentence’ and ‘guided writing’. The result from interviews explains the reason of the questionnaires. participants who are lack of self-confidence in English showed high apprehension to other learners. Learners who feel less confident with native speakers of English seemed to be anxious due to the difficulty in differentiating pronunciation clearly. It was found that these features of language factors influence the preferences of the learning activities like ‘to guess before listening’, ‘to read aloud’, ‘to rearrange words for a right sentence’ and ‘guided writing’. Based on the findings of study,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given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uld encourage the students who are anxious in class performance and are not confident with native speakers to be actively involved in class by reducing the burden from perfect performance in English. Also, through group work, students could become less anxious due to the help from other learners. Second, students who are not confident in English tend to easily raise the awareness of other learners around them and it can prevent their effective learning. For these types of students, teachers should increase more individual activities than group activities in class in order to lessen tension among the anxious students. Third, teachers should explain the rule of confusing pronunciation and grammar ahead before activities so as to motivate the students.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more anxious learners less prefer reading activities. So, when the textbook is developed, it should be considered whether enough information of intonation, accent, and pronunciation are provided with the text for learners. Finally, when the activities in textbook are composed, various level of activities should be given in the textbook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result that the level of anxiety in each students are different.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reminds the value of building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examination of preferences of the learning activities in text book and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it gives the suggestions to reduce the influence of foreign language anxiety on the learning activities.

      • 불안장애 선별도구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정수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creening Test for Anxiety Disorders that assesses main anxiety disorders of the DSM-5(generalized anxiety disorder, panic disorder, agora phobia, specific phobia, social phobia) and adopt dimensional assessment metho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nxiety. Based on the theories and existing assessment tools for anxiety, 62 preliminary question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detailed diagnosis criteria. The Screening Test for Anxiety Disorders were conducted to 105 participants with self-report questionnaires(BAI, GAD-7, ASI-3, APPQ, and BDI-II) and clinical interveiw(M.I.N.I).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four factors were extracted, and each contributed to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ymptoms, panic and general phobic symptoms, agora and specific phobia specific symptoms, and social phobia specific symptoms. By extracting the appropriate questions from each domain factors, 37 final questions were selected. The item-total correlation and item-factor correlation of The Screening Test for Anxiety Disorders were proven. The correlation among the preexisting anxiety disorder scales, depression rating scale, and The Screening Test for Anxiety Disorders has proven to validat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reening Test for Anxiety Disorders. Furthermore, we conducted Mann-Whitney test with total score of The Screening Test for Anxiety Disorders and the scores of each factors. Controlled group and targe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total score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ymptom factor, panic and general phobic symptom factor, and agora and specific phobia specific symptoms factor, not on the social phobia specific symptoms factor. And th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roup and phobia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total score and only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ymptom factor. The diagnostic utility of The Screening Test for Anxiety Disorders was analyzed that the area under curve was recorded 80.2 %. The right cut-off score was set on 27.5, and if then the sensitivity was 87.5% and the specificity was 71.1%.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DSM-5의 불안장애의 주요 진단(범불안장애, 공황장애, 광장공포증, 사회공포증, 특정공포증)의 공포와 불안 특성을 차원적으로 평가하는 불안장애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예비문항 개발을 위해 기존 불안 개념에 대한 이론과 평가도구에 대해 고찰한 후 범불안장애, 공황장애, 광장공포증, 사회공포증의 세부 진단 기준을 바탕으로 62개의 예비문항을 추출하였다. 105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불안장애 선별도구 예비문항, 벡 불안 척도(BAI), 범불안장애 7문항 척도(GAD-7), 불안 민감성 지표-3(ASI-3), 알바니 공황 공포 질문지(APPQ), 벡 우울 척도 2판(BDI-II)와 진단 면접 도구인 M.I.N.I.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각각 범불안장애 증상, 공황 및 공포증 일반 증상, 광장공포 및 특수공포 증상, 사회공포 증상으로 명명하였다. 각 영역에서 적합한 문항을 추출하여 37개의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 불안장애 선별도구의 전체 문항 및 요인별 신뢰도가 양호한 수준으로 보고되었고 기존 불안장애 척도 및 우울 척도와의 상관 비교 결과 불안장애 선별도구의 구성개념 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또한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불안장애 선별도구의 총점과 각 요인별 점수로 Mann-Whitney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군-불안장애군에서는 전체 총점과 범불안장애 증상, 공황 및 공포증 일반 증상, 광장공포 및 특수공포 증상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사회공포 증상 요인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범불안장애군-공포증 집단에서는 문항 총점과 범불안장애 증상 요인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불안장애 선별도구의 진단적 유용성을 분석한 결과 곡선 아래 면적(AUC)이 80.2%를 기록하였고, 절단점 27.5점에서 민감도 87.5%, 특이도 71.1%를 기록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불안에 의한 노란버스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희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2009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의 본인의 작품을 연구대상으로 하며, 작업의 동력이자, 본인의 심연에 깔려있는 불안의 감정을 알아보며 그로인해 발생한 ‘징크스’라는 독특한 기원적 행위와 사물에의 상징적 의미부여, 나아가 그것을 조형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을 설명함으로써 작업의 배경과 의미를 심도 있게 제시하기 위한 작품연구논문이다. 갑작스러운 사건과 사고에 인한 상실이 야기하는 불안한 감정은 인간 모두에게 보편적인 감정이다.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전쟁, 믿을 수 없는 끔찍한 자연재해들, 굳건했던 기업의 몰락, 자명하였던 과학적 사실이나 이데올로기의 붕괴 등과 같은 사태와 그것의 직접적 경험 혹은 매체를 통한 간접경험은 인간의 불안을 증폭시키고 있다. 이러한 불안은 자신의 주변 것들이 큰 폭으로 변화하여 그에 적응해야만하고, 이루고 얻어왔던 것들을 모조리 상실해 버릴 수도 있다는 것에 대한 불안으로 현재의 사회 속에서 사는 개인으로서 마땅히 느낄 수 있는 감정이다. 사람들은 누구나 불안을 갖고 있지만, 그것을 유독 크게 느끼는 사람에게는 불안을 해소하고 극복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 그러한 조치 중에는 대표적으로 기원(祈願)하는 행위가 있는데, 이는 바라는 것을 이루고자하는 마음에서 발원한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행위는 사물에 그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며, 예술의 형태로 제작되기도 한다. 본인은 현재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한 개인으로서 위와 같은 불안을 느끼고 그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응으로 ‘징크스’라는 믿음체계, 기원하는 행위를 보인다. ‘징크스’ 의미를 부여받은 대표적인 사물인 노란버스는 본인의 작업의 주된 소재로 선택되고 조형화된다. 그것은 기존 종교적 조형물에 대입되기도 하고, 본인이 추출한 종교적 분위기에 맞추어 나타나기도 하며 추상화되며 불안한 요소들과 대비되기도 하며 전개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불안이라는 감정과 그로 인한 기원적 행위의 의미를 밝히고 사물, 특히 노란버스를 중점으로 한 이의 조형적 표현의 변화와 의의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크게 ‘Ⅰ. 머리말’, ‘Ⅱ. 작업동기로서의 불안’, ‘Ⅲ. 노란버스: 기원적 사물’, ‘Ⅳ. 표현의 의미와 특성’, 그리고 ‘Ⅴ. 맺음말’의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Ⅰ장에서는 작업의 형성과 전개과정을 대략적으로 설명하고 본 논문의 구성과 연구 방법을 소개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본인의 삶에서의 전반적인 감정인 불안을 서술하고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기존 심리학과 불교에서의 불안에 관한 논의 중 소유로 인한 불안에 대하여 간단히 알아보며 본인의 불안이 어느 종류의 것이며 어떠한 단계에 와있는가를 설명한다. 또한 이것을 바탕으로 불안의 개인적인 형성원인을 알아보며 그것을 정의해보았고 나아가 불안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원적 행위를 하고 있음을 밝혔다. 제 Ⅲ장에서는 불안으로 인해 나타나는 기원하는 행위와 그러한 의미를 사물에 부여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있다. 본인의 기원하는 방법으로서의 ‘징크스’라는 독특한 믿음체계를 정의, 분류하며 소개하고 그것이 대체로 사물에 상징적 의미를 가한다는 점을 기존의 이론, 현상과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본인의 ‘징크스’의 의미를 가진 사물들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으며 작업에 주로 등장하는 노란버스의 의미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제 Ⅳ장에서는 ‘징크스’가 작업에서 조형화 되는 의미와 그 전개과정을 설명하였다. 우선 ‘징크스’ 작업을 위주로 표현의 의미와 재료 사용의 의미에 대하여 알아본다. 그리고 신성화되는 표현방법, 대비와 단순화를 통한 표현 방법의 의의와 구체적인 내용을 서술한다. 마지막으로 제 Ⅴ장에서는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나아가 본인의 작업에서의 한계를 지적하고 앞으로의 전개방향을 개략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불안이라는 감정과 그로 인한 기원적 행위와 사물의 형성, 그리고 그 표현을 분석해보았다. 작업 과정을 서술해나가며 그에 관련한 이론적 배경을 함께 연구하게 됨으로써 작업의 목적과 의미를 명확하게 하게 되었고, 나아가 앞으로의 작업의 발전에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역기능적 신념 및 사회불안의 관계

        강지혜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father/mother's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social anxiety, dysfunctional belief and to identify about the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belief on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anxiety. To achieve those purposes the study agenda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the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social anxiety, dysfunctional belief will be vary from sex and departments. Second, the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will have som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dysfunctional belief. Third, dysfunctional belief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dysfunctional belief.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total four different high school(two schools of department of liberal arts and two schools of department of jobs) -first, second and third year- which are randomly selected in Chuncheon provinces. Among 566 subjects total 561 subjects are selected as a final study subjects except those 5 subjects which are proved to be dishonestly respond or to be obscur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2.0 for Windows. To find out about general background of the subjects, th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were calculated. In order to find out variable differences of the parenting behavior, social anxiety and dysfunctional belief by the demographic background, the dependent t-test was initiated. And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drawn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social anxiety, dysfunctional belief. In the end, in order to find out about the m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belief in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social anxiety, Baron & Kenny's method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core gap between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social anxiety and dysfunctional belief depending on the sex of studen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comparing score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case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the male showed higher score of abuse, intrusiveness, neglect and inconsistency than female and the female showed higher score of affection and monitoring than male in meaningful degree.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comparing scores of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case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the male showed higher score of abuse, intrusiveness, neglect and over-expectation than female and the female showed higher score of monitoring than male in meaningful degree. That is, in case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female students showed the higher positive parenting behavior such as affection and monitoring than male. And also in case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they showed higher positive parenting behavior such as monitoring than male. The male students, on th other hand, showed the higher score of abuse, intrusiveness, neglect and inconsistency than female in both case of father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core gap between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social anxiety and dysfunctional belief depending on the departments of studen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comparing scores of department of liberal arts and department of jobs in the case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the department of jobs showed higher score of abuse, intrusiveness, neglect and inconsistency than department of liberal arts and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showed higher score of affection than department of jobs in meaningful degree.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of comparing scores gap of department of liberal arts and department of jobs in the case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the department of jobs showed higher score of abuse, neglect and inconsistency than department of liberal arts and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showed higher score of affection, monitoring than department of jobs in meaningful degree. That is, in case of father's parenting behavior,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showed the higher positive parenting behavior such as affection than department of jobs. And also in case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they showed higher positive parenting behavior such as monitoring, affection than department of jobs. The department of jobs, on th other hand, showed the higher score of negative parenting behavior such as abuse, intrusiveness, neglect and inconsistency than department of liberal arts in both case of father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Dysfunctional belief and social anxiety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 by sex and departments. Seco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social anxiety and dysfunctional belief are as follows: The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social anxiety and dysfunctional belief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in general. And the social anxiety and dysfunctional belief showed rather higher positive correlation. Consequently, putting together all the results of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social anxiety, dysfunctional belief, in case of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e students have higher chance of having dysfunctional belief and if as they have more dysfunctional belief they also have higher chance of experiencing the social anxiety. Thir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belief in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nd social anxiety are as follows: In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anxiety, the dysfunctional belief showe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reasonable explanation,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affection except monitoring and abuse. (among father's parenting behavior the monitoring and abuse showed no meaningful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Unlike those results above, the dysfunctional belief's mediating effect turned out little bit differently in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anxiety. In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social anxiety, the dysfunctional belief showe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intrusiveness, neglect and abuse except monitoring, reasonable explanation and affection(among mother's parenting behavior the monitoring, affection and reasonable explanation showed no meaningful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but it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over-expectation and inconsistency.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불안, 역기능적 신념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이 갖는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역기능적 신념, 사회불안은 성별, 계열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역기능적 신념, 사회불안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춘천 지역에 소재하는 고등학교를 계열별(인문계, 전문계)로 2곳을 임의로 선정하여, 남녀 1, 2, 3학년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총 56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나 이 중 응답이 불확실하거나 성실하지 못한 5명을 제외한 561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허묘연(2000)이 개발하고 조유진(2006)이 수정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척도를 사용하였다. 역기능적 신념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조용래와 원호택(1999)에 의해 개발된 역기능적 신념검사 단축판을 사용하였다. 대인불안을 측정하기 위하여 LaGreca(1998)가 개발한 청소년용 대인불안척도(SAS-A)를 오경자와 양윤란(2003)이 우리말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수행 상황에서의 불안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문혜신과 오경자(2002)가 제작한 한국판 청소년용 사회불안척도가 포함된 수행불안 하위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2.0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부모 양육태도, 역기능적 신념 그리고 사회불안이 응답자의 인구학적 배경 변인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역기능적 신념 그리고 사회불안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역기능적 신념 및 사회불안이 성별에 따라 점수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대하여 남학생과 여학생의 점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수준으로 학대, 과잉간섭, 방임, 비일관성에서 남학생이 높았으며, 애정, 감독은 여학생이 높았다. 반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하여 남학생과 여학생의 점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수준으로 학대, 과잉기대, 방임, 과잉간섭에서 남학생이 높았으며, 감독은 여학생이 높았다. 즉, 여학생의 경우 아버지의 양육태도에서 애정, 감독과 같은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남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에서도 감독과 같은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남학생보다 높았다. 반면에 남학생의 경우, 부와 모의 학대, 과잉간섭, 방임, 비일관성 모두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역기능적 신념 및 사회불안이 계열별에 따라 점수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대하여 전문계와 인문계의 점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수준으로 학대, 방임, 과잉간섭, 비일관성의 요인에서 전문계가 높았으며, 애정은 인문계가 높았다. 반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하여 전문계와 인문계의 점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수준으로 학대, 방임, 비일관성에서 전문계가 높았으며, 감독, 애정은 인문계가 높았다. 즉, 인문계의 경우 아버지의 양육태도에서 애정과 같은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전문계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에서도 애정, 감독과 같은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전문계보다 높았다. 반면에 전문계의 경우, 아버지의 양육태도에서 학대, 방임, 과잉간섭, 비일관성과 같은 부정적인 양육태도가 인문계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에서도 학대, 방임, 비일관성과 같은 부정적인 양육태도가 인문계보다 높았다.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불안은 성별, 계열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역기능적 신념 및 사회불안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역기능적 신념, 사회불안은 전반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불안은 다소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부모의 양육태도의 하위변인별로 결과를 살펴보면, 부의 양육태도 중 합리적 설명과 애정은 역기능적 신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간섭, 학대, 방임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일하게 부의 양육태도 중 감독이 역기능적 신념과의 관계에서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모의 양육태도 중 애정은 역기능적 신념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간섭, 학대, 방임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모의 양육태도 중 감독과 합리적 설명이 역기능적 신념과의 관계에서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의 양육태도 중 합리적 설명과 애정은 고등학생의 사회불안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간섭, 방임은 고등학생의 사회불안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부의 양육태도 중 감독과 학대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모의 양육태도 중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간섭, 학대, 방임은 고등학생의 사회불안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모의 양육태도 중 감독, 합리적 설명, 애정이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불안의 관계는 비교적 높은 상관을 보여 서로에게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기능적 신념이 높을수록 사회불안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역기능적 신념, 사회불안의 상관관계를 종합해 보면, 부정적인 부모양육태도의 경우 고등학생이 역기능적 신념을 가질 확률이 높아지고, 역기능적 신념을 많이 가질수록 사회불안을 경험할 확률이 높아진다. 상관관계에서 더 주목할 것은 부와 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중 감독이 공통적으로 역기능적 신념, 사회불안과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다고 나온 점이다.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의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는 역기능적 신념이 ‘감독과 학대’를 제외하고 ‘합리적 설명, 비일관성, 과잉기대, 과잉간섭, 방임, 애정부분’에서 모두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왔다. (부의 양육태도 중 ‘감독과 학대’는 사회불안과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는 달리 모의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의 매개효과는 조금 다르게 나타났다. 모의 양육태도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는 역기능적 신념이 ‘감독, 합리적 설명, 애정’을 제외하고 ‘과잉간섭, 학대, 방임부분’에서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왔으나, (모의 양육태도 중 ‘감독, 합리적 설명, 애정’은 사회불안과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았다.) 비일관성과 과잉기대는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