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념적 은유 후보 선정을 위한 근원-목표영역 벡터 관계 모델

        김형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개념적 은유 후보 선정을 위한 근원-목표 영역 벡터 관계 모델은 개념적 은유 이론의 기초 위에, 하나의 도메인(근원 도메인)에서 다른 도메인(목표 도메인)으로의 벡터화를 통해 매핑을 표현하고 단어들 간의 의미적 유사성과 각 영역의 단어 간의 개념적 관계를 표현하고자 한다.¡텍스트 코퍼스에서 은유를 추출하고, 의미적 어휘 관계 분석, 문장 구조 분석 및 패턴 추출, 추출된 데이터의 분석 및 성능평가를 통해 개념적 은유 후보 선정이 가능한 모델을 제안하였다. 개념적 은유의 근원-목표영역 개념과 관계 추출을 위해 토픽 모델링 방법 중 Top2Vec모델을 기반으로 개념 후보를 추출하고, 개념적 은유 패턴을 기반 의미 관계를 정의하고, 이를 모델링하였다. 또한, 근원-목표영역의 개념 후보 선정을 위해 상위어 인식을 위한 Hearst Pattern의 확장된 패턴을 정의하여 개념 후보와 의미 관계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상위어 후보 추출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모델에서 근원-목표영역의 개념 추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토픽 모델 중 하나인 Top2Vec 모델을 적용하여 문서 내 단어들의 핵심 개념 어휘와 의미상으로 유사한 관련 어휘를 추출하였고, 둘째, 근원-목표영역의 개념 후보 선정을 위해 핵심 개념 어휘를 중심으로 상위어를 선정하였다. 셋째, 상위어 후보 어휘를 중심으로 ‘is-a’ 관계를 추출하였으며, 넷째, 추출된 근원-목표영역을 기반으로 문서 내 개념적 은유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정량적 비교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념적 은유에 대한 근원-목표 영역 개념 추출 방법의 성능평가를 Word2Vec 임베딩 모델을 함께 사용하였다. CNN 뉴스 코퍼스를 전처리한 후, Top2Vec 모델을 이용하여 근원-목표 영역 개념 추출 실험을 진행하였고, 정확도와 정밀도, 재현율, F-measure의 3가지 성과지표 통해 개념 추출 성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 CNN 뉴스 코퍼스를 대상으로 목표 영역 개념 추출, 근원 영역 개념 추출 및 개념적 은유에 대한 근원-목표 영역 개념을 동시에 추출을 수행했을 때 Word2Vec을 적용한 모델보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Top2Vec 모델의 성능이 더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ress mapping through vectorization from one domain (source domain) to another (target domain) on the basis of conceptual metaphoric theory, and to express semantic similarities between words and concepts between words in each area. A model capable of selecting conceptual metaphor candidates was proposed through extracting metaphors from text corpus, semantic vocabulary relationship analysis, sentence structure analysis and pattern extraction, analysis of extracted data, and performance evaluation. Conceptual candidate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Top2Vec model among the topic modeling methods, and semantic relations based on conceptual metaphor patterns were defined and modeled for extracting concepts and relationships of source and target areas of conceptual metaphor. In addition, in order to select conceptual candidates for the source and target regions, the expanded pattern of Hearst Pattern for recognition of upper words was defined, and upper word candidates were extracted using the conceptual candidate and semantic relationship extraction method. In the proposed model,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concepts of the source area and the target area is as follows. First, by applying the Top2Vec model, one of the topic models, related vocabulary similar in meaning to the core concept vocabulary of words in the document was extracted, and second, high-level vocabulary was selected centering on the core conceptual vocabulary. Third, the 'is-A' relationship was extracted based on the upper-level candidate vocabulary, and fourth, the conceptual metaphor in the document was selected based on the extracted source area and target area, and a quantitative comparative evaluation was performed. The Word2Vec embedding model was used togeth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source area and target area concept extraction method for the conceptual metaphor proposed in this study. After preprocessing CNN News Corp., a source-target area concept extrac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e Top2Vec model, and concept extraction performance was compared through three performance indicators: accuracy, precision, reproduction rate, and F-meas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op2Vec model used in this paper performed better performance than the model applied Word2Vec when simultaneously extracting the concept of the target area, the concept of the source area, and the conceptual metaphor.

      • 한중 교육용 관용표현 인지 비교 분석 연구 : 은유와 환유를 중심으로

        YAO HUIWU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0

        관용표현은 우리의 일상생활 중에서 사용빈도가 높고 민족의 문화와 특성 등을 포함한다. 중국의 한국어 학습 현황은 교실 밖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기회가 거의 없고 문화교육과 교육 방안이 부족하다. 또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관용표현 제3의 의미를 추론하기 어렵기 때문에 학습자의 대부분은 모두 기계적으로 관용표현을 외우는 방법으로 학습을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관용표현의 제3의 의미를 쉽게 추론할 수 있도록 인지 비교 분석을 바탕으로 한 교육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중국 대학용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관용표현을 모아서 분류한다. 그리고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관용표현들을 은유, 환유의 기준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중국어 관용표현과 인지적으로 대조 분석한다. 은유는 근원영역에서부터 다른 경험 영역, 즉 목표영역으로 나아가는 체계적인 인지사상의 과정이다. 환유는 ‘인접성'에 기반한 인지의 과정으로 ‘어떤 개체(a)와 관련되는 동일 영역의 개체(a´)를 지시하기 위해 그 개체 a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중 관용표현을 인지적 관점에서 비교하기 위해 [근원영역, 목표영역 전부 일치], [근원영역 일치, 목표영역 불일치], [근원영역 불일치, 목표영역 일치], [근원영역, 목표영역 전부 불일치] 네 부분으로 대조 분석한다. 교육 방안은 주로 [근원영역, 목표영역 전부 일치]에 의하여 작성한다. 한중 관용표현의 근원영역과 목표영역이 전부 일치하는 관용표현은 근원영역과 목표영역 간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위와 같은 절차를 걸쳐 한중 관용표현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학습자들은 근원영역과 목표영역 간의 관계를 숙지하면 구성 어휘를 통해서 제3의 의미를 추론할 수 있다. 두 번째, 학습자들은 경험을 배경지식, 즉 근원영역으로 인식한다. 이를 머릿속에 저장하면 새로운 정보를 처리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세 번째, 중국 대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는 문화를 교육하는 부분이 많지 않고 관용표현은 중요한 부분에 있지 않다. 따라서 관용표현을 가르칠 때 문화와 함께 가르쳐야 한다. 네 번째, 중국인 학습자에 있어서 ‘근원영역, 목표영역 전부 일치'는 제일 쉽게 이해할 수 있고 ‘근원영역 일치. 목표영역 불일치'와 ‘근원영역 불일치. 목표영역 일치'가 그 뒤를 잇는다. ‘근원영역, 목표영역 전부 불일치'는 이해하기에는 제일 힘든 것을 밝혀냈다. 본고는 최종적으로 학습자들에게 근원영역부터 목표영역까지 연결하는 과정을 인식시키고 대응하는 중국어 관용표현을 인지적 비교함으로써 중국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습자들은 한국어 관용표현 제3의 의미를 더 쉽게 유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Idioms is highly frequently used in our daily lives and includes the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earning in China has few opportunities to use Korean outside the classroom and lacks cultural education and educational methods.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for Chinese Korean learners to infer the third meaning of idiomatic expressions, most of the learners are learning by mechanically memorizing idiomatic express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n educational plan based on cognitive comparison analysis so that the third meaning of idiomatic expression can be easily inferred. As a research method, idiomatic expression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for Chinese universities are collected and classified. In addition, the idiomatic expressions selected for the study are analyzed based on metaphor and metonymy, and cognitively contrasted with the corresponding Chinese idiomatic expressions. The metaphor is the process of systematic cognitive thought that moves from the source area to another area of experience, that is, the target area. Metaphor is a recognition process based on ‘adjacency' and uses the name of the object a to indicate an entity a' in the same area related to an entity a. In order to compare Korea-China tolerance expressions from a cognitive point of view,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four parts: [source area, target area match], [source area match, target area mismatch], [source area mismatch, target area match], and [source area and target area mismatch].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China idiomatic expressions through the above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when learners are familiar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urce area and the target area, they can infer the third meaning through the constituent vocabulary. Second, learners perceive experience as background knowledge, that is, source area. Saving it in your head helps you process new information. Third, Korean textbooks used by Chinese universities do not have many parts to educate culture, and idiomatic expressions are not important. Therefore, when teaching idiomatic expression, it should be taught with culture. Fourth, for Chinese learners, ‘source area, target area match' is the easiest to understand, followed by ‘source area match, target area mismatch’ and ‘source area mismatch, target area match’. It has been found that ‘source area and target area mismatch’ are the most difficult to understand. This paper argues that learners studying Korean in China can more easily leak the third meaning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by recognizing the process of connecting learners from the source area to the target area and cognitively comparing the corresponding Chinese idiomatic expressions

      • 한·중 '손(手)' 관련 관용어에 대한 개념적 은유 대조 연구

        이재신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83

        관용어는 한·중 양국 언어 가운데서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한 가지의 언어현상이기도 하며,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한 가지의 언어 표현방식이기도 한다. 이중에서 사람의 신체부위 특히 '손'과 관련된 관용어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필연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행동을 하거나 일상생활에서 일을 할 때에 거의 다 신체부위 ‘손’에 의존해서 실현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모두 기본 구조가 똑같은 신체부위 '손'을 가지기 때문에 한·중 양국 언어 중의 '손' 관련 관용어가 여러 방면에 유사성을 가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한·중 양국은 문화, 역사 그리고 생활방식이 오래 세월을 거쳐 차이가 생겼기 때문에 양국 언어 가운데의 '손' 관련 관용어가 표현방식이나 의미 측면에서 다름이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한·중 양국 관용어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대조·연구한다는 것은 양국 언어 간의 의사소통의 교류 장벽을 유효하게 모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국의 사고방식 측면에서 나타나는 서로 다른 점과 같은 점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더 나아가 양국의 역사 문화와 양 민족의 공통성과 개별성을 인식하고 양국 간의 문화 교류에 있어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최근 몇 십년간에 한국과 중국의 언어학계에서 관용어에 대해 이미 전면적인 연구 성과가 이루어졌다. 그 연구 성과들을 보면 양국 학자들이 대부분 형태론, 의미론 그리도 화용론적인 각도에서 관용어에 대해 대조·분석을 하였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에 한·중 양국에서 인지 은유의 시각 하에 관용어를 연구하는 논문이 점차 나타나고 있지만 한·중 관용어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은유의 대조 연구는 아직까지 상대적으로 빈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인지 은유의 시각에서 하는 한·중 '손' 관련 관용어에 대한 대조 연구는 더욱 적다. 본 논문은 한·중 양국 언어 가운데서 사람의 신체부위 ‘손’ 관련 관용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기존에 있었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인지언어학의 시각 하에 Lakoff.G. & Johnson.M.(1980)의 개념적 은유 이론을 참조·인용하며, 또한 기본적인 의미 대조의 연구 방식을 기초로 하고 새로운 각도에서 관용어에 관한 인지적 기제에 대해 분석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한·중 양국 언어 중의 관용어의 은유적인 차원에서 비슷한 점과 상이한 점을 찾아내어 양국 언어의 문화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게 인지·이해할 수 있길 기원한다. 본 논문은 총 4장으로 나누어 논의를 하였고,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제1장은 본 연구의 서론 부분이다. 본 장에서 주로 연구의 목적과 의의, 한·중 양국 관용어에 대한 선행연구 현황 그리고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에 대해 제시를 하였다. 제2장은 이론적 배경이다. 먼저 개념적 은유 이론을 정의와 분류로 나누어 설명하고 살펴보았다. 이어서는 한·중 관용어의 개념을 제시한 다음에 그들의 특성을 의미、구조、기능, 그리고 화용 4가지의 측면을 통해서 고찰해 보았다. 제3장은 본고의 중심을 두는 부분으로서 먼저 사람의 신체부위 ‘손’에 대한 의미를 정리한 다음에 주로 한·중 ‘손’ 관련 관용어를 다음과 같은 4단계로 나누어 대조·분석을 진행하였다. ① 한·중 근원영역과 목표영역이 모두 같은 관용어의 경우; ② 한·중 근원영역이 같지만 목표영역이 다른 관용어의 경우; ③ 한·중 근원영역이 다르지만 목표영역이 같은 관용어의 경우; ④ 한·중 근원영역과 목표영역이 모두 다른 관용어의 경우; ㄱ 한국어에만 있는 관용어의 경우; ㄴ 중국어에만 있는 관용어의 경우; 그 다음에 본 논문의 연구 대상으로 삼은 ‘손’ 관련 관용어를 그들과 대응되는 인지적 개념에 따라 나열·분류하고 나서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보았다. 제4장은 결론을 내린 부분으로서 주로 위에 제시된 내용에 대해 개괄과 마무리를 진행하였다. 惯用语是中·韩两国语言中普遍存在的一种语言现象,也是人们日常生活中常用的一种语言表达方式。其中与身体部位有关的,尤其与‘手’有关的惯用语所占的比例较大,这是因为人们行动和日常生活做事都需要通过手的使用来实现。由于人的手部构造基本一致,因此中·韩两国语言中与‘手’有关的惯用语在许多方面会存在着一定的相似性表现。但由于中·韩两国的文化、历史以及生活方式等方面经过长时间的历史演变毕竟存在着一定的差异,因而也会在表达方式或者意义上有所不同。对比两国惯用语之间的联系与差异,对于有效避免语言交流中的沟通障碍,了解并掌握两国思维方式的异同之处,认识中·韩两国历史文化及民族的共性与个性,以及促进两国之间的文化交流,是非常有意义的。 这几十年来,中·韩两国语学界学者对惯用语的研究,已经取得了比较全面的研究成果。纵观其间惯用语的对比研究,两国学者大都从结构、语义、语用等角度来进行对比分析研究。虽然近几年在中·韩两国之间渐渐出现了从认知隐喻的角度来分析惯用语的研究,但是对于中·韩惯用语在认知隐喻方面的对比研究,目前还十分缺乏。特别是中·韩与‘手’有关的惯用语在认知隐喻方面的研究,更是极为少见。 本文以中·韩两国语言中与人的身体部位‘手’有关的惯用语为研究对象,在先行研究的成果基础上,从认知语言学的角度参考并运用Lakoff.G和.Johnson.M.的概念隐喻理论,在基本语义对比的基础上,以全新的视角对惯用语的认知机制进行对比分析,并且找出中·韩语言中此类惯用语隐喻意义的异同点,从而加深对中·韩两国语言文化的认知与理解。 本文共分为四章,具体内容如下: 第一章,介绍了本研究的目的和意义,中·韩两国惯用语研究的现状以及本文的研究范围和方法。 第二章,首先介绍了Lakoff.G和.Johnson.M.的概念隐喻理论,详细的叙述了概念隐喻的定义与分类情况。接着主要对中·韩两国惯用语的概念以及各自的特征进行了阐述。概念部分主要介绍了中·韩权威字典中的释义以及两国学者们所下的定义。特征部分本文将从语义、结构、功能、语用四个方面来对中·韩惯用语进行分析与总结。 第三章,作为本文的重点章节首先通过参照中·韩权威字典对于人的身体部位‘手’的意义进行了简单的梳理,其次以第二章的内容为理论基础采取对比语言学的方法,对中·韩与‘手’有关的惯用语从下面4个方面进行了认知隐喻上的对比分析: ① 中·韩根源域与目标域都相同的惯用语的情况; ② 中·韩根源域相同,目标域不同的惯用语的情况; ③ 中·韩根源域不同,目标域相同的惯用语的情况; ④ 中·韩根源域与目标域都不同的惯用语的情况; a 只在韩语中存在的惯用语的情况; b 只在汉语中存在的惯用语的情况; 接着对中·韩两国语言中与‘手’有关的惯用语按照其各自对应的隐喻概念进行了分类整理,并找出其共同点与差异点。 第四章是结语,主要对前述的内容进行了概括与总结。

      • 한국어에 나타난 '생명'의 은유적 개념화 연구 : 박경리 소설을 중심으로

        김선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0

        이 연구의 목적은 인지언어학적 개념을 바탕으로 추상적 개념 ‘생명’이 박경리의 소설에서 어떻게 인지되고 표현되는지를 분석하여, 한국어 ‘생명’은유의 인지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다. ‘생명’의 은유적 개념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생명’이라는 어휘가 들어가 있는 것을 우선적으로 찾되, ‘생명’의 사전적 정의에서 나온 ‘목숨, 숨, 명’등은 유의어로 보고 함께 찾았다. 용례 추출을 위해 기존의 논의들에 기초하여 박경리의 소설을 초기, 중기, 후기작으로 구분하였으며, 초기작은『환상의 시기』와『박경리 단편선』에 수록된 20여 편의 작품을, 중기작은『표류도』,『시장과 전장』,『파시』,『김약국의 딸들』의 네 작품을, 후기작은『토지』1~16권(솔 출판사 본)을 기본 연구 자료로 삼아 고찰하였다. 전통적인 관점에서 은유는 언어적인 현상으로, 시인이나 소설가가 미적·수사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한다고 간주되었다. 그러나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은유를 체계적으로 해석한 새로운 연구들은 인간의 사고와 이해가 대부분 은유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은유의 본질은 한 종류의 사물을 다른 종류의 사물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경험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특히 추상적인 것을 구체적인 경험과 사물을 통해 이해하려는 인간의 인지 방식은 다양한 개념 은유를 낳는다고 보았다. 본고는 이러한 개념 은유 이론에 입각하여 ‘생명’의 은유를 고찰한 결과 다양한 은유 표현의 실현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어에 나타난 ‘생명’의 은유적 개념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2장에서는 먼저 은유가 갖는 인지도구로서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특히 J. Lakoff & M. Johnson(1980)은 인간의 사고과정은 대부분이 은유적이며, 인간의 개념체계가 은유적으로 구성되고 규정되기 때문에 ‘은유적 개념화’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어떤 특정한 개념화가 이루어지거나 어떤 심리적 경험을 다한다는 것은 어떤 복잡한 인지 사건이 일어났다는 것이며, 결국 은유란 ‘은유적 개념’을 의미한다. 이러한 은유는 한 주어진 문화 구성원들에게 널리 공유된 인지장치로서 체계적·정합적이어서 관습적 은유라 불린다. 관습적 은유는 수행하는 인지적 기능에 따라 존재론적 은유, 지향적 은유, 구조적 은유로 나누어진다. 존재론적 은유는 추상적인 감정, 경험, 사건 등에 현실에서 존재하는 구체적인 사물의 지위를 부여하는 은유이며, 지향적 은유는 추상적인 목표 개념을 우리와 친숙한 구체적인 공간과 관련지어 설명하는 은유이며, 구조적 은유는 추상적인 목표영역을 보다 구체적인 근원영역의 구조로 체계적으로 인지하는 은유이다. 이어서 이러한 개념 은유 이론을 활용하여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생명’의 은유적 개념화 양상을 밝혔다. 박경리의 소설을 초기, 중기, 후기작으로 나눈 후 ‘생명’의 은유 표현이 들어간 예문을 각 11개, 19개, 140개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그 수행하는 인지적 기능에 따라 존재론적 은유, 지향적 은유, 구조적 은유로 나누어 배치하였다. 작품에 실린 실제 예문에서 은유적 개념화가 이루어진 부분만을 간략히 정리하여 구조화한 예문을 만든 후, 목표 영역인 ‘생명’을 개념화하는 데 사용된 근원 영역의 성격에 따라 범주를 설정하였다. 그 결과 존재론적 은유는 [생명은 물체], [생명은 물질], [생명은 그릇]의 3개의 범주를, 지향적 은유는 [생명은 위]의 1개의 범주를, 구조적 은유는 [생명은 전쟁]의 1개의 범주를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특히 ‘생명’을 ‘물체’나 ‘물질’로 개념화한 경우는 다양한 의미 양상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생명은 물체] 은유는 [생명은 물건], [생명은 귀중품], [생명은 짐], [생명은 끈]의 4개의 범주로, [생명은 물질] 은유는 [생명은 액체], [생명은 기체], [생명은 불], [생명은 빛]의 4개의 범주로 개념화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쳐 박경리 소설에서 ‘생명’의 은유적 개념 11개를 밝혀냈다. [생명은 물건], [생명은 귀중품], [생명은 짐], [생명은 끈], [생명은 액체], [생명은 기체], [생명은 불], [생명은 빛], [생명은 그릇], [생명은 위], [생명은 전쟁]이 그것이다. 그런 다음 은유 예문을 비슷한 의미망에 따라 묶어 11개의 개념 은유 범주와 연관 지어 대표할 수 있는 은유 표현을 만들었다. 그 결과 박경리 소설에서 ‘생명’은 22개의 은유 표현으로 묶어서 그 의미망 안에서 설명이 가능함을 밝혔다. [생명을 던지다], [생명을 잃다], [생명을 잡다], [생명이 중하다], [생명을 지키다], [생명을 뺏기다], [생명과 바꾸다], [생명이 주체스럽다], [생명이 구차하다], [생명이 길다], [생명이 줄다], [생명을 끊다], [생명을 잇다], [생명이 흐르다], [생명이 퍼지다], [생명이 타다], [생명이 꺼지다], [생명을 비추다], [생명이 나오다], [숨이 넘어가다], [생명이 자라다], [생명을 죽이다]가 그것이다. 즉, 박경리 소설에서 추출된 170개의 은유 예문들에서 구조화한 173개의 은유 표현들은 개념 은유 이론을 통해 범주화한 결과 22개의 은유 표현을 통해 인지 가능함을 밝혔다. 또한 ‘생명’의 은유는 그 실현 양상에서도 일상 은유와 많은 부분을 공유함을 제시했다. 박경리 소설 속에서 [생명은 귀중품], [생명은 끈], [생명은 물건] 은유가 빈도수 면에서 1, 2, 3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한국어에서 일상적으로 흔히 접하는 은유이다. ‘생명을 지키다’, ‘생명을 끊다’, ‘생명을 던지다’ 등은 각종 언론 매체나 일상의 대화에 빈번히 등장하는 표현들이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한국어에서 ‘생명’은 주로 존재론적 은유의 방식으로 다양하게 개념화되며, 그 중에서도 [생명은 물체] 은유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결론을 끌어냈다. 박경리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어 ‘생명’의 은유적 개념화 양상을 고찰한 본 연구는 한국인들이 ‘생명’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가를 이해하는 데 한 사례를 제공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것이 한국어 ‘생명’의 인지적 의미 전모(全貌)를 밝히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니지만, 박경리 소설이 토대로 삼고 있는 시대와 인물이 한국인과 한국문화의 모습을 보여주는 데 유효적절하다는 것은 여기에 나타난 ‘생명’의 은유가 한국어의 ‘생명’의 은유와 상통할 것이라는 추론을 가능케 한다. 여기에 일상어에서의 ‘생명’의 은유의 실현 양상을 추가함으로써 ‘생명’의 은유는 더욱 명료해지며,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추후 과제로 남긴다.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인지언어학 기반의 한국어 감각형용사 의미 교육 연구

        정혜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18

        1990년대 초에 한국어학계에 도입되어 현대 언어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고 있는 인지언어학은 의미론, 형태론, 통사론, 화용론 등에 발상의 전환을 가져왔다. 이 이론은 언어 현상에 대한 인간의 경험과 경향성에 기반하여 언어를 해석하는 이론으로서 설명력과 응용력이 뛰어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인지언어학을 교육적 도구로 활용하여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제안한 연구가 지금까지 찾아보기가 힘들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인지언어학 이론을 한국어 감각형용사의 의미 교육에 적용시켜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감각형용사의 의미 교육 내용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한국어교육에서 인지언어학 이론이 교육적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방증함과 동시에 한국어 의미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정립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의 수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인지언어학 기반의 한국어 감각형용사 의미 교육을 위한 기초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먼저 인지언어학의 성격 및 위상 그리고 어휘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방법론인 신체화, 원형 범주화, 개념적 은유, 영상도식에 대해 살펴보고 제2언어 교육에서 인지언어학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다음, 인지언어학 관점에서 다의어의 의미 확장 방향과 한국어 감각형용사의 개념 및 범주를 살펴본 후 본고에서 초점을 두고 분석할 감각형용사 15개를 선정하였다. 그다음 선정한 한·중 감각형용사의 의미를 인지언어학 관점에서 분석하고 의미 확장 방향의 분석틀에 기반하여 어휘들의 의미 확장 방향의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인지언어학 기반의 교육 내용을 제안하기에 앞서 학습자의 이해와 산출 양상에 대한 입체적인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Ⅲ장에서는 우선, 한국어능력시험에서 중급 혹은 고급 성적 소지자인 동시에 현재 중국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전공하고 있는 만 18세 이상인 학부생 138명을 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해 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선다형 테스트를 설계하고 산출 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번역 테스트를 설계한 후 온라인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다음 숙달도, 목표영역 그리고 의미 확장 방향에 따른 이해·산출 정답률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해와 산출 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k-평균 군집분석 방법을 시행하여 난이도 상(上), 중(中), 하(下)에 속하는 의미가 각각 19개, 21개, 7개로 분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학습자 군집별 오류 양상을 자세히 고찰하고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해와 산출 과정에서의 난점을 정리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언어학 기반의 한국어 감각형용사 의미 교육 내용의 설계에 대해 논하였다. 우선 인지언어학 기반의 한국어 감각형용사 의미의 교육 목표를 능동적인 의미 이해·산출 능력 신장, 자발적인 어휘 의미 차이 변별 능력 향상, 역동적인 인지적 사고 능력 함양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교육의 내용으로 첫째는 원형 범주화와 영상도식을 통한 의미 지식의 활성화, 둘째는 범주화 체계와 의미 확장 방향을 통한 의미 차이 입체적 인식, 셋째는 신체화와 개념적 은유를 통한 의미 내면화로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교육에서 인지언어학 이론 적용의 향후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교육적 도구로서의 방법론적 정교화가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어휘 교수·학습 방법의 장점을 포용해야 한다. 셋째, 인지언어학 기반의 한국과 중국의 언어 대조 자료를 더 풍부히 구축해야 한다. 넷째, 학제적 탐구를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인지언어학을 한국어 감각형용사 의미 교육에 적용시켜 교육 내용을 제안함으로써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인지언어학이 교육적 도구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방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인지언어학 관점에서 한·중 감각형용사의 개념화 양상을 밝히고 의미 확장 방향의 분석틀을 설정하여 분포를 살폈다는 점에서 향후 양국 다의어의 의미 확장의 경향성을 파악하는 데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학습자의 한국어 감각형용사에 대한 습득 양상을 다양한 문항을 통해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 실태를 입체적으로 파악하여 효과적인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교실 수업에 기여하는 데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고에서 밝힌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인지언어학 이론 적용의 향후 과제가 인지언어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와 교사들이 연구를 진행하거나 수업 내용을 설계할 때 풍부한 아이디어를 제공해 줄 수 있기를 바란다. Cognitive linguistics was introduced into Korean language studies in the early 1990s, opening new horizons in modern linguistics and causing a shift in thinking regarding semantics, morphology, syntax, and discourse theories. Cognitive linguistics has great illustrative and applied power as a theory explaining language based on human experiences as well as the tendencies of linguistic phenomena. Few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teaching, however, have proposed specific educational content using cognitive linguistics as an educational tool. Based on these issues, this study applied cognitive linguistic theory to the semantic education of Korean sensory adjectives. It proposes an educational content of Korean sensory adjectives for Chinese learner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feasibility of utilizing cognitive linguistic theory as an educational too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ontributes to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Korean semantic education. The study consists of several parts. Chapter II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ducation using cognitive linguistics-based semantics regarding Korean sensory adjectives. First, we review the nature and status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discuss embodiment, prototype categorization, conceptual metaphors, and image schemas. We als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cognitive linguistics in second language education. Next, we examine the direction of semantic expansion of polysemous words and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Korean sensory adjec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Fifteen sensory adjective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We then analyzed the semantics of the selected Korean and Chinese sensory adjectives from a cognitive linguistics perspective and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the lexemes’ semantic expansion based on the analysis framework. Before proposing a cognitive linguistics-based educational content, a detailed analysis of learner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is required. Therefore, in Chapter III, 138 undergraduate students aged 18 years or older who had intermediate or advanced scores on the TOPIK and were currently majoring in Korean at a Chinese university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A multiple-choice test was designed to examine comprehension; a translation test was designed to examine production;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line. We then examined th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correctness rates according to proficiency, target domain, and semantic expansion direction. We also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scores and performed a k-means cluster analysis. This showed that the number of meanings belonging to the high, medium, and low difficulty levels were 19, 21, and 7, respectively. In addition, we analyzed the types of learner clusters and error patterns by cluster, and summarized the difficulties in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Finally, we conducted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error patterns among learner clusters and summarized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during the understanding and derivation processes using in-depth interviews. In Chapter IV, we discuss the design of educational content in cognitive linguistics-based Korean sensory adjective semantic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analysis. First, the education goals were set as “increasing active semantic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improving spontaneous lexical semantic discrimination,” and “fostering dynamic cognitive thinking.” To achieve these goals, we propose the following educational content: First, semantic knowledge is activated through prototype categorization and image schemas. Second, multiple dimensions of semantic differences are recognized through a categorization system and semantic expansion direction. Third, semantics are internalized through embodiment and conceptual metaphors. Finally, future challenges for the application of cognitive linguistic the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summarized. First, methodological elaboration is required as an educational tool. Second, it is necessary to embrace the advantages of various vocabulary education methods. Third, more cognitive linguistics-based data contrasting Korean and Chinese are required. Finally, interdisciplinary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his study applies cognitive linguistics to education regarding Korean sensory adjective semantics and proposes related content. It demonstrates the applicability of cognitive linguistics as an educational too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the conceptualization of Korean and Chinese sensory adjec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established an analysis framework for semantic expansion to examine their distribution. The results have implications for identifying the tendency of semantic expansion of polysemic Korean and Chinese words in the future. This study also analyzes Chinese learners’ situation regarding Korean sensory adjectives through various questionnaires. This aids in designing more effective educational content and contributes to actual classroom practice by understanding various aspects of Chinese learners’ vocabulary apprehension. Finally, we hope that the future challenges of applying cognitive linguistics theory to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dentified here will provide researchers and teachers interested in cognitive linguistics with rich ideas for conducting research or designing educational content.

      • 영어와 한국어의 ‘먹다’ 관련 개념적 은유의 비교 분석

        김수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18

        영어 또는 한국어 학습자들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은유적 표현에 노출되어있으며 은유적 표현들은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에 장애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본 주제와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영어나 한국어 둘 중 한 언어에서만 논의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먹는 행위’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행동양식으로 훌륭한 은유의 원천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영어와 한국어 모두에서‘먹는 행위’에 관한 은유적 사상을 제공하였다. 영ㆍ한‘먹다’의 다양한 의미들을 일반 사전과 관용어 사전의 의미들을 수집하고 말뭉치 용례를 찾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여러 확장 의미의 특성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범주(먹는 방법에 따라, 먹는 주체나 먹히는 대상에 따라)로 나누어 분류기준을 구성했다. 이를 다의적 의미망으로 나타내고, 각 언어에서‘먹다’의 의미 확장 기재가 어떤 점에서 유사한지 다른지를 분석하기 위해 각 용례들을 근원영역과 목표영역으로 이루어진 개념적 은유의 틀[…하는 것은 먹는 것]로 구성했다. 그 결과 영어와 한국어의 모든‘먹다’관련 표현들은 연구내용의 세부적인 차이들 즉, 어휘와 절의 표현, 어휘와 문법적 표현(능동, 수동, 전치사 등의 사용), 관습화 정도와 문체의 유표성의 정도 그리고 은유적 범위의 차이점이 존재하지만, 영ㆍ한‘먹다’와 결합하는 목적어들이 모두 주체에 의해 먹혀지는 것, 즉 외부에 있던 대상물들이 주체의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는 점에서 모두 기본의미와 밀접한“내재화”의 의미를 갖는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Language learners of English and Korean can be exposed to a great amount of metaphorical expressions which are very commonly used in their ordinary lives and that can be an obstacle in natural communication in foreign languages.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only one language either English or Korean. This study provides metaphorical mapping of‘eating’both in English and Korean in respects that eating is the most basic human behavior, it can be a great source of metaphors in both languages In order to collect many different meanings of‘eating’in English and Korean, the dictionary definitions were examined nearly. Plenty of examples in idiom dictionary and corpus were collected as well. This paper also provides semantic network of‘eating’based on the collected extended meaning, depending upon the two major categories (manner of eating, subject and object of eating). Then it is presented to the conceptual framework [doing something is eating]which consists of the source and the target domain. In this proces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was analyzed. As a result, there exist some specific differences in eating related expressions between English and Korean, namely, expressions of lexis and clauses, lexis and grammatical constructions, degree of conventionalization, markedness of style and range of metaphors. However, the major finding that objectives conjoin with verb‘eat’in English and Korean being eaten up by the subjects, that is, it is verified that all the eating-related metaphorical expressions have the same meaning“internalization” in the aspects of external objectives enters into the inside of subjects, Therefore, metaphorical extension of word‘eat’toward the meanings of‘consumption’,‘reduction’ and‘elimination’also has a general sense of “internalization” on the subjects’stance in terms of they take objectives inside of their bod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every eating-related metaphorical meanings and basic meanings of‘eat’are in close connection. key words: Eating, conceptual metaphor, meaning extension, polysemy, polysemy network, Source Domain, Target domain.

      • 隱喩에 關한 硏究

        박경애 大邱가톨릭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590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metaphor and the various ways of interpreting metaphorical expressions. First of all, the basic views on metaphor are introduced―substitution view, comparison view, and interaction view. Then, three approaches to metaphorical expressions are examined―grammarticality, semantics, and pragmatics. Finally, Lakoff and Johnson's approach is explained. It is shown through the examples from English that metaphor is not a device of the rhetorical flourish or a deviant expression, but an ordinary expression which is pervasive in everyday life, not just in language but in thought and action. Thus, a study on metaphor is getting more important nowdays. In particular, quite a few people are attempting various kinds of interpretations on metaphor.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show that a proper treatment of metaphor necessitates both semantic and pragmatic consideration. In the 20th century, the concept of a metaphor was defined by Richards and Black. According to Richards metaphors can be analyzed into two elements. He introduced the term 'tenor' for the subject to which the metaphoric word is applied, and the term 'vehicle' for the metaphoric word itself. He also tried to explain that a metaphor is formed from the interaction of these two components. Building upon Richard's work, Black systemized the theory of a metaphor. According to Black, there are three different kinds of views about a metaphor; the substitution views, the interaction view and the comparison view. Still the comparison theory, which is based on the Black's comparison view, and the interaction theory are dominant in interpreting metaphors. Nevertheless, these semantic theories are not sufficient in interpreting metaphors. Therefore,in this paper I'd like to show the limitations of the semantic approaches to a metaphor and to find the other way to interpret metaphors in the view of pragmatics. A cognitive approach to metaphor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metaphor more than the other methods of the meaning analysis. It also explores that the more central meaning of a word is, the easier understanding of it is; the more marginal it is, the higher the difficulty of metaphoric interpretation, that is, it increases the effect of metaphor. We have shown that metaphor is composed of external and internal structures and that there are based on the experience of daily life. We can analyse metaphors on event structures and on the mental analysis of metaphor. In conclusion, a proper treatment of metaphor may be provided when we consider both semantic, pragmatic and cognitive aspects of language use. We should not, however, overlook that metaphor is basic not only to language but also to human cogn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