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환경 단원 분석

        박경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현행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10종을 대상으로 환경단원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한 후, 새로운 과학교과서 개발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환경단원의 자료구성을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본문의 지면은 39.7쪽, 그림은 13.3회, 사진은 35.8회, 삽화 및 만화는 6.3회, 표는 9.2개, 그래프는 8.2개, 탐구는 28.3개, 연습문제는 11.2문항, 종합문제는 10.2문항, 읽을거리는 4.7개를 각각 차지하고 있었다. 환경단원을 구성하고 있는 4개영역(생물농축, 산성비, 온실효과, 소음)은 과학교육의 4가지 목표 가운데 탐구과정보다는 주로 인지적, 정의적, STS적 목표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탐구과정과 탐구활동내용을 분석한 결과, 기본적 탐구과정에서는 예상(12회, 4.24%)이, 통합적 탐구과정에서는 자료해석(74회, 26.15%)이, 탐구활동에서는 토의(53회, 18.73%)가 각각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4개영역의 피해사례에 대한 대책은 사진이나 그림을 삽입시켜 설명하거나 실생활과 연관이 있는 방법으로 조사, 토의해보도록 하였다. 읽을거리는 J교과서가 12개로 가장 많았고, A와 F 교과서는 제시하지 않았다. 피해사례에 대한 영역별 내용을 살펴보면, 생물농축 영역은 생물체의 내분비계 교란과 미나마타병을, 산성비 영역은 건축물․조각상․문화재 등의 부식과 대체연료 개발을, 온실효과 영역은 해수면 상승과 기후변화 그리고 대체에너지 개발을, 소음 영역은 인체에 미치는 피해와 소음방지기술 장치에 대해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기술하고 있었다.

      • 초등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박경애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기효능감 및 교우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료 수집을 위하여 2006년 현재 서울지역에 소재하는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총 640명을 유층집락무선표집법(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하였으며, 불성실한 자료 81명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는 559명을 이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도구로는 김선관(1997)과 정영린(1996)이 사용한 스포츠활동 참가설문지와 이상구(1998)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소수연(1995)의 일반적, 사회적 자기효능감 설문지 그리고 교우관계는 Hallinan(1981)의 분류를 참고하여 김성원(1993), 강구상(1998)의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에 사용된 구체적인 통계방법은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ANOVA),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및 교우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및 교우관계에는 집단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학생이 신체적,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높고, 여학생이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높다. 그리고 학년별에 따라서는 고학년에 속하는 집단이 신체적, 일반적, 사회적 효능감이 가장 높다. 초등학교 5학년은 일반적,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높고, 6학년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다. 사회계층에 따라서는 상류층에 속하는 집단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다. 부모의 학력에 따라서는 부의 학력이 대졸인 집단이 신체적,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높고, 대학원졸 이상의 집단이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높다. 모의 학력에는 대학원졸 이상인 집단이 신체적, 일반적,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높다. 교우관계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학생이 호혜성과 유사성이 높고, 남학생이 지위성이 높다. 그리고 고학년이 근접성, 유사성, 지위성 및 호혜성 가장 높다. 사회계층에 따라서는 상류층에 속하는 집단이 근접성, 유사성, 지위성 및 호혜성이 높다. 부모학력에 따라서는 부의 학력이 대졸인 집단이 근접성, 유사성, 지위성 및 호혜성이 높고, 모의 학력이 고졸인 집단이 근접성, 유사성, 지위성 및 호혜성이 높다. 둘째, 초등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자기효능감에는 집단간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참여빈도에 따른 차이는 신체적,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주7회 참가하는 집단이 가장 높고,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주5~6회 참가하는 집단이 가장 높다. 참여강도에 따른 차이는 신체적, 일반적, 사회적 자기효능감에서 모두 2시간이상-3시간이하의 강도로 참여한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참여기간에 따른 차이는 신체적, 사회적 자기효능감에서 1년 이상~2년 이하의 기간 동안 참여한 집단이 가장 높고,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6개월 이상-1년 이하의 기간 동안 참여한 집단이 가장 높았다. 참여종목에 따른 차이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단체종목에 참여하는 집단이 가장 높고,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개인종목에 참여하는 집단이 가장 높고,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대인종목에 참여하는 집단이 가장 높다. 셋째, 초등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에 따른 교우관계에는 참여기간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참여기간에 따른 차이에서 호혜성은 1년 이상~2년 이하의 기간 동안 참여한 집단이 가장 높고, 지위성은 6개월 이상~1년 이하의 기간 동안 참여한 집단이 가장 높다. 참여종목에 따른 차이는 근접성, 유사성과 호혜성은 개인종목에 참여하는 집단이 가장 높고, 지위성은 대인종목에 참여하는 집단이 가장 높다. 넷째,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은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즉 신체적, 일반적,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근접성, 유사성, 지위성과 호혜성이 높다. This study aims to show the 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friendship according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in the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640 elementary students are sampled by 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However, only 559 samples are valid for this study. This study refers to Kim, Sun-Kwan's(1997) and Jung, Young-Lin's(1996) questionnaire for collecting data, Lee, Sang-Goo(1997)'s paper of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So, Soo-Yeon(1996)s paper for the general and social self-efficacy. Moreover, Kim, Sung-Won(1993) and Kang, Gu-Sang(1998)'s study based on Hallinan(1981)'s classification is referred for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The methodologies for this study ar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ne-way ANOVA, and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below: Firstly, the self-efficacy and the friendship are par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fixed demographic variable of this study. Secondly, it partly shows the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self efficacy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s. Also, the participa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on the friendship. Thirdly, the self-efficacy of the elementary students has an effect on their friendship. The rise of the general and social self-efficacy causes the rise of similarity and mutual benefit. Moreover, the rise of the physical self-efficacy brings the closeness and the satisfaction.

      • 언어발달지체 아동과 정상 아동의 보통명사 정의 표현

        박경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의하기는 어떤 낱말에 대한 범위를 한정하여 명확하게 밝히는 것이다. 말로 정의를 표현하는 것을 구어적인 정의하기라고 한다. 구어적인 정의하기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정의하기 능력이 학령 전부터 연령에 따라 발달하면서 기능적인 정의유형이 증가되고 점차 상위어나 다른 속성들과의 조합된 정의유형이 생긴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질문은 보통명사에 대한 구어적인 정의를 할 때, 정상아동의 세 연령 집단(생활연령 3세, 4세 및 5세)간에 그리고 언어지체유무에 따른 두 집단 간에 (1) 정의점수, (2) 정의유형의 출현빈도와 출현율 그리고 (3) 검사낱말 범주에 따른 정의유형 간 출현율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생활연령이 3세, 4세 및 5세인 정상아동 각 30명씩 총 90명과 어휘연령을 5세로 일치시킨 언어발달지체아동 17명과 정상아동 17명이었다. 이 중 언어발달지체아동과 비교하는 정상아동은 3-5세의 정상아동 90명 중에서 어휘연령이 5세인 아동 17명을 뽑은 것이므로 실제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아동은 총 107명이었다. 검사낱말은 7개 낱말범주(동물, 교통기관, 음식, 도구, 의류, 장난감 및 가전제품)에 속하는 보통명사 21개로 각 범주마다 3개씩 선정하였고 검사낱말 21개에 대한 흑백 선그림 카드를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검사는 연구자가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우선 아동에게 연구자가 명명한 낱말을 선그림 4개 중에서 지적하게 하여 아동이 검사낱말 자체를 알고 있는지를 확인한 뒤 검사낱말에 대해 “_가 뭐야?”라고 질문하여 구어적인 정의반응을 유도하였다. 정의반응이 없거나 적으면 선그림카드를 제시하여 정의반응을 촉진하였다. 수집한 정의반응에 대해 정의점수와 정의유형을 평가하였다. 정의점수는 낱말을 주요특성을 아는지와 낱말을 범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정의유형은 크게 기능적 정의, 관계적 정의, 물리적 정의 및 분류적 정의로 나누었으며 각 정의유형은 좀더 구체적으로 (1) 기능적 정의는 행위자 기능과 도구적 기능으로, (2) 관계적 정의는 배경, 위치, 비유/비교, 부정, 관련실체, 및 작동원리로, (3) 물리적 정의는 부분, 재료 및 속성으로, 그리고 (4) 분류적 정의는 하위어와 상위어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 생활연령이 3세, 4세 및 5세인 정상아동의 결과는 연구문제에 따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언어지체유무에 따른 결과는 연구문제에 따라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정의유형의 출현율은 전체 정의유형 수에 대한 각 정의유형 수의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걸쳐 얻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정상아동의 정의점수를 분석한 결과, 정의점수는 정상아동의 각 연령집단(3세, 4세, 5세)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의점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2. 정상아동의 정의유형 출현빈도를 분석한 결과, 관계적 정의는 각 연령 간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기능적 정의와 물리적 정의는 3세와 4세 간에, 그리고 3세와 5세 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분류적 정의는 4세와 5세간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정상아동의 정의유형 출현율을 순위로 분석한 결과, 기능적 정의가 가장 자주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관계적 정의, 물리적 정의, 분류적 정의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하면서 기능적 정의의 출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반면에 관계적 정의와 물리적 정의의 출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정상아동의 검사낱말 범주에 따른 정의유형의 출현율을 분석한 결과, 모든 낱말범주에서 기능적 정의가 가장 자주 출현하였다(40% 이상), 분류적 정의의 출현율은 모든 낱말범주에서 가장 낮았다(10% 이하). 4. 어휘능력을 5세로 맞춘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정상아동 집단을 비교했을 때, 정상아동이 언어발달지체아동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정의점수를 받았다. 5. 어휘능력을 5세로 맞춘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정상아동 집단을 비교했을 때, 정상아동은 언어발달지체아동보다 4개의 정의유형 중에서 기능적 정의를 유의하게 더 많이 산출하였다. 두 집단 간 정의유형의 출현율 순위는 동일하였다. 즉, 기능적 정의가 가장 자주 출현하고 관계적 정의, 물리적 정의, 분류적 정의의 순서로 출현하였다. 6. 어휘능력을 5세로 맞춘 언어발달지체아동과 정상아동을 비교했을 때, 두 집단 간의 낱말범주에 따른 정의유형의 출현율은 유사한 패턴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정의점수는 생활연령 및 언어발달지체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점수 및 정의유형의 분석은 언어발달지체아동을 평가할 때 유용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언어발달지체아동이 기능적 정의유형을 정상아동보다 덜 산출했다는 결과는 실제 중재시 기능적 정의유형의 증진을 첫 번째 목표로 설정할 것을 제시해 준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orean verbal definitions of concrete nouns of normal children aged 3, 4, and 5. The aim of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was to discover the differences in definitions between normal children and the language-delayed children who were vocabulary-age matched. Thus,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four: the three language-delayed children. Seventeen out of the 90 normal children were compared with the language-delayed children. Twenty-one concrete nouns, 3 for each of the 7 classes of words--animals, transportation, means, foods, tools, clothes, toys, and electrical appliances--were used to elicit the children´s verbal definitions. Four definitional categories were studied: functional, relational, perceptual, and categorical.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ANOVA, t-test and in ratio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ages, (2) the frequencies and the ratios of definition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functional definition (over 40%), relational definition, perceptual definition, and categorical definition(less than 10%), and (3) the same order of the frequencies ratios of definition was found in the group of language-delayed children as that of the normal children.

      • 지역사회복지관의 효과적인 행정적 수퍼비젼 연구

        박경애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복지 서비스의 효과성 및 효율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사회사업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수퍼비젼(지도감독)의 교육적 기능에 종점을 두었던 과거와는 달리 최근 행정적 수퍼비젼의 기능이 부각되고 있다. 행정적 수퍼비젼(지도감독)은 조직의 구조와 자원을 이용하여 사회사업가가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초점을 둔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행정적 수퍼비젼의 현황, 행정적 수퍼비젼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욕구, 행정적 수퍼비젼 및 조직 의사소통구조에 대한 인식, 행정적 수퍼비젼과 의사소통구조의 관계를 조사하여 지역사회복지관에서 행정적 수퍼비젼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1998년 3월 20일부터 4월 20일까지였으며, 전국 293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150개 기관을 무작위표집하여 선임 사회복지사 이상의 간부급 사회복지사 (수퍼바이저) 150명과 일선 사회복지사(수퍼바이지)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80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자료는 SPSS PC+ 통계처리 방법으로 빈도, 백분율, 교차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행정적 수퍼비젼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워커의 임명과 배치, 업무계획 등은 원활하게 실시되고 있는 반면 업무 점검, 업무위임, 업무평가 등은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특히 업무평가 기능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행정적 수퍼비젼에 대한 일선 사회복지사(수퍼바이지)의 욕구는 워커의 임명과 배치, 업무계획, 업무조정, 업무점검 및 평가 부문에서 선임 사회복지사 이상의 간부급 사회복지사(수퍼바이저)가 제공하는 내용과는 차이가 있었으며 일선 사회복지사의 성별, 연령, 실무경력, 근속년수, 결혼 관계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현재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행정적 수퍼비젼에 대해 수퍼바이저들은 적절하게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반면 수퍼바이지들은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집단간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넷째, 지역사회복지관내 조직의 의사소통 구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수퍼바이저들은 조직이 개방적, 비지시적, 수평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수퍼바이지들은 조직이 지시적, 수직적, 경직성이 강하며 개방적인 성향은 적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조직내 의사소통 구조에 대한 인식에서도 집단간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행정적 수퍼비젼과 의사소통 구조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행정적 수퍼비젼의 전체기능은 조직의 의사소통구조가 상향적, 개방적, 비공식적일수록, 세부기능인 오리엔테이션, 업무할당, 업무위임, 업무조정 기능은 비공식적 의사소통 구조일수록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의사소통기능 및 변화(외적)기능은 상향적 의사소통 구조에서, 업무점검 및 행정(업무량관리)기능은 지시적, 수직적인 하향적 의사소통구조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행정적 수퍼비젼과 의사소통 구조가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은 행정적 수퍼비젼(지도감독)이 수퍼비젼의 교육적, 지지적 기능과 상호보완적인 관계에서 수행되어야 하며, 상급자(수퍼바이저)가 다양한 사회사업 실천과정에 걸쳐 하급자(수퍼바이지)가 당면하는 문제에 대해 적절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회사업의 지식과 가치 및 기술, 전문직 및 기관에 대한 지식, 경험과 기술, 개방성, 솔직한 태도, 지속적인 관심, 지지와 격려, 사회복지사의 욕구에 대한 이해 등을 견지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정기적인 수퍼비젼(지도감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퍼비젼이 기관 정책으로 공식화되어여 하며,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간에 체계적인 업무평가가 이루져야할 뿐만 아니라 수퍼바이저의 자질 향상을 위한 재교육 및 수퍼바이저 제도가 시행되어야 한다. Administrative supervision places its focus on how to best support social workers' efficient utilization of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resources by linking them with efficient organizations. In an effort to do so, it deals with best practice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access to the organization's resources, which are essential in helping social workers with their tasks. This paper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administrative supervision to be more efficiently performed in a community social welfare service by studying 1) the current status of administrative supervision; 2) social worker's needs for administrative supervision, 3) different understandings of administrative supervision between senior social workers and juniors; 4) understandings of communications structures inside the social welfare service organizations as the environment where administrative supervision is performed; and 5) the relations between administrative supervision and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 structure. To this end, target functional sectors of this study include 1) the assignment and placement of workers, 2) orientation, 3) job performance evaluation, 4) work assignment, 5) work delegation, 6) communications, 7) monitoring, 8) interim job performance check-ups, 9) job cooperation, 10) procedural changes, 11) intramural defense, and 12) administration(job load management and information processing). This research has used a dual approach: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urrent Status of Administrative Supervision First, the original function of administrative supervision, advertisement of available resources utilization providing the environment, under which social workers does not work to its full potential. Second, while the initial orientation during the early period of job assumption are satisfactorily performed, the performance of the introduction to the objectives, policies or their changes is inadequate. Third, although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s to set a job plan and to instruct job tasks are meeting at intra-departmental or whole organizational levels, things decided in the upper management are not effectively communicated down over to the social workers. Fourth, optimal or appropriate agreements between supervisors and social workers regarding the times and methods of job progress check-ups more than often fail. Fifth, despite the general understanding towards the necessity of job performance evaluation built between supervisors and field specialists, few of the surveyed centers are equipped with institutional mechanisms or experts efficiently responsible for the task. 2. Though the field specialists' needs for administrative supervision do not differ much from the status of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currently enforced, the social workers expect more improvements in communications and job performance evaluation. 3. Understandings towards how far and deep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should be performed show gap between supervisors and social workers. Most of the supervisors think that they are performing administrative supervision on social workers in a timely and rational fashion. In contrast, the negative understanding of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held by the social workers shows that they think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enforced by the supervisors are not rational or inappropriate. 4. The survey also shows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of the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structures as an environment where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is peformed between the supervisors and the social workers. Whereas the supervisors understand that the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structures are open or vertical, social workers are likely to understand that they are downward or instructional. 5. The analysis of the understandings of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scommunications structure, and relations between the two shows gaps in the understandings of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according to upward, downward, and unofficial understandings. Gaps have also been found between supervisors and social workers. First, it is turned out that the more upward the supervisors think the communications structure, the more positive their overall understanding towards job orientation, job adjustment, procedural changes, job cooperation, administration(information process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munications structure and job distribution, the more informal the communications structure and the more downward the administration(job load management), the more positive their understanding toward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Second, the more upward the communications structure the social workers think, the more positive they think the administration supervision. On the grounds of the abov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periodical check-ups or evaluation of how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is performed should be carried out. Second, remedial training programs should be available for supervisors to perform accountable administrative supervision on field experts. Third,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s structure should be improved. Fourth, the evaluation of the administrative supervision should be performed by both supervisors and field specialists in an appropriate manner and on a regular basis. The centers should see to it that the evaluation results be fed back to the planning of the administration supervision to be duly reflected in it.

      • 한국 아동들과 함께하는 영성교육 : 리차드 포스터와 아이리스 컬리의 영성이론을 중심으로

        박경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for the spiritual education methods for the spiritual growth of the whole person in children through understanding the Korean children and children's spirituality. Children are in the process of cognitive, psychological, and moral developments and are the subjects of the spiritual growth. Given the premise that they are the objects of spiritual education, this study concerns on the children's spiritual education for which it has been overlooked from the spiritual education so far. Especially,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hildren, the objects of spiritual education,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s being the weak in the society, they are excessively required to improve their academic accomplishments and prepare for the future success, resulting in suffering from deep emotional wounds and anxieties with the stress and pressure. For them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piritual education is required to reform their broken relationships anew and heal them. The spiritual education is needed not only for healing their wounded body and heart but also for their true humanization and their peace of mind. To search for the spiritual education methods for the children under these unique Korean situations, the spiritual educator Richard J. Foster's and Iris V. Cully's theories of spiritual education have been examined. And the application from these two scholars has been attempted and a method of spiritual education along with children has been suggested. In Chapter One, being the introduction of this study, it explained the background of modern Korean society and the situations Korean children might face and showed the motives and objectives of the study caused by those situations, study plans and ranges. In Chapter Two, it has dealt with understanding the childhood and general stages of development theories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childhood, such as Jean Piaget's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Erik H. Erikson's Theory of Social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Lawrence Kohlberg's Theory of Moral Development. As for the faith development stages, it has examined Ronald J. Goldman's Theory of Religious Thinking Development and James W. Fowler's Theory of Faith Development. Moreover, the ostracizing among the Korean children which is a social problem, the Internet and media addiction, and excessive cramming-oriented education for college entrance. In additio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hildren living in the Korean situations have been shown. They are getting pushed for success through study, and learning the sociality caused by the rush complex from the parents, teachers and society. The more time they spend in the cyber space, the more they are experiencing isolation from the reality, community, and family. By being overexposed to the visual media, they justify and learn violence naturally, and sometimes make violent behaviors to those who they think are lower in ranks. On the other hand, children could become victims of those violence just because they are the weak in the society, whose developments are yet in the childhood levels. In Chapter Three, spirituality and spiritual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conceptual definitions on spirituality by many scholars and its understandings were studied. It has been examined how they understood the spirituality and how they practiced it traditionally in the history of Korean Christianity. Traditional concepts of spirituality in Korea deemed spirituality as being dualistic and regarded it as a personal thing. However, new understanding on spirituality was formed by a study with a new approach. This is to understand God and mankind, world, and the ecological world as a inter-relational spirituality. Based on this new understanding, it focuses on the education of the training course for spiritual growth rather than its meaning and demonstrates the spiritual education methods and its directions for the Korean children. Spirituality does not grow out of a momentary, one-time experience of mystery or knowledge but is gradually built up by a long journey of life and pursue the integral spiritual growth of mankind. Foster and Cully's theories of spiritual education have been studi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spirituality and spiritual education which were examined before. Foster divided the models of spiritual education into three: inward, outward, and corporate discipline and suggested the contents of spiritual education accordingly. And Cul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piritual education and explains its major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m into nurturing, community, and daily life. Chapter Four suggests a spiritual education method along with the Korean children to which was applied Foster's and Cully's theories of spiritual education. The purposes of the education method are on education for healing, education for humanization, and education for overcoming isolation and obtaining peace of mind, considering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hildren. Based on the purposes of the education, first, the education for healing suggests meditation, Bible, nature, and studying themselves. Second, the education for humanization studies the simple life which enables them to overcome their possessive desires and service education with the families. Finally, the education for overcoming isolation and obtaining peace of mind suggests to the children attending the services and rites to celebrate the interrelationship. Chapter Five, as a conclusion, sums up this study, sugges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es on more specific and practical methods of spiritual education by showing its limits. 본 논문은 한국 아동에 대한 이해와 아동의 영성에 대한 이해를 통해 아동들의 전인적인 영적성숙을 위한 영성교육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동은 인지적, 심리적, 도덕적 발달과정 중에 있는 존재이며 영성 성장의 주체이다. 연구자는 아동을 영성교육의 대상으로 전제하고 영성교육의 대상에서 간과되어 왔던 아동의 영성교육에 관심한다. 특히 영성교육의 대상자인 한국 아동들의 특수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한국의 아동들은 사회적 약자로서 지나친 학업 성적의 향상과 성공을 위한 준비를 요구받으며 스트레스와 부담감으로 깊은 상처와 불안감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 있는 아동들을 위하여 그들의 깨어진 관계를 새롭게 형성하며 치유하기 위하여 영성교육이 요청된다. 아동들의 상처 입은 몸과 마음을 치유하고 그들의 진정한 인간화와 평화를 위하여 영성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적 특수한 상황에 있는 아동들의 영성교육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영성교육가인 리차드 포스터(Richard J. Foster)의 영성교육의 다양한 형태와 아이리스 컬리(Iris V. Cully)의 영성교육론을 살펴본다. 그리고 두 학자의 이론 적용을 시도하여 아동과 함께 하는 영성교육의 방법을 제시한다. Ⅰ장은 본 논문의 서론 부분으로 현대 한국사회와 한국 아동들의 상황적 배경을 설명하고 그 상황으로 인한 연구의 동기 및 목적, 연구내용과 연구방법을 밝히고 있다. Ⅱ장은 아동기에 대한 이해로 아동기에 해당하는 일반적인 발달이론 단계들을 장 피아제 (Jean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에릭 에릭슨(Erik H. Erikson)의 사회심리발달이론, 로렌스 콜버그 (Lawrence 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신앙발달단계는 로날드 골드만(Ronald J. Goldman)의 종교적사고발달이론, 제임스 파울러 (James W. Fowler)의 신앙발달이론에 대하여 살펴본다. 그리고 한국 아동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문제인 왕따 문제와 인터넷 미디어의 중독, 과도한 입시위주 교육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어서 한국적 상황에서 살고 있는 아동들의 특수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한국의 아동들은 사회와 부모, 학교 등으로부터 공부를 통한 성공을 재촉당하며 무엇이든지 빨리해야한다는 강박관념의 사회성을 학습하고 있다. 그리고 아동들은 사이버공간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짐에 따라 현실사회에서의 단절, 공동체와 가정에서의 단절을 경험하고 있다. 또 이들은 영상매체에 노출되어 있으면서 자연스럽게 폭력을 정당화하며 배우고 있고 자신들의 사고로 서열이 낮다고 생각되는 대상에게 폭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한편 아동들은 모든 발달의 수준이 아직 아동기에 머물러 있는 힘이 약한 존재라는 이유로 사회적 약자로서 폭력의 피해자가 되기도 한다. Ⅲ장은 영성과 영성교육에 대하여 고찰한다. 현대인들이 갖는 영성을 위한 욕구와 그 욕구의 원인을 살펴보고 여러 학자들의 영성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그 이해를 알아본다. 그리고 기독교 역사를 따라 전통적으로 어떻게 영성을 이해하고 실천하여 왔는가를 검토해본다. 전통적인 영성의 개념은 영성을 이원론적으로 바라보고 개인적인 것으로 여겨왔다. 그러나 영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의 연구로 영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형성되었다. 이것은 하나님과 인간, 세계, 그리고 생태계를 상호관계적인 영성으로 이해한다. 본 연구는 새로운 영성 이해를 바탕으로 영성 성장을 훈련 과정의 의미보다는 교육의 과정으로 보고 아동들을 위한 영성교육에 대한 방법과 지향점을 밝히고 있다. 영성은 한 순간의 일회적인 신비체험이나 지식에 의해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긴 인생의 여정을 통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며 인간의 통전적인 영성성장을 추구한다. 앞서 살펴본 영성과 영성교육에 대한 이해을 바탕으로 포스터와 컬리의 영성교육이론에 대하여 살펴본다. 포스터는 내적 교육, 외적 교육, 공동적 교육으로 영성교육의 모델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영성교육의 내용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컬리는 영성교육을 강조하며 영성교육이 지닌 주요한 특징을 양육성, 공동체성, 일상성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Ⅳ장은 포스터와 컬리의 영성교육론을 적용한 한국 아동과 함께하는 영성교육 방법을 제시한다. 영성교육의 방법은 한국 아동들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아동의 치유를 위한 교육, 아동의 인간화를 위한 교육, 아동의 단절성 극복을 위한 교육에 그 목적을 둔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적 목적을 바탕으로 첫째 아동의 치유를 위한 교육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묵상과 자신, 자연, 성서를 공부하는 영성교육을 제시한다. 둘째는 아동의 인간화를 위한 교육으로 아동의 소유욕을 극복하는 단순한 삶과 가족과 함께하는 봉사 교육에 대하여 연구한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단절성 극복을 위한 공동체적 교육으로 아동들의 공동예배와 상호관계성을 축하하는 의식을 영성교육으로 제시한다. Ⅴ장은 결론으로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한계를 밝힘으로 좀 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영성교육 방법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고 있다.

      • Zortan Kodaly의 교수법을 적용한 합창지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6학년 중심으로

        박경애 대구가톨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for the development of musical education and to be various quality researches applies endeavors high various theories and many actually in school education field. This musical activity with the box to do to make a musical art many kinds musical pieces experience aesthetically, such experience to lead and the mind which is musical and the magnification of recognition about the musical artistic world to develop in order to accomplish, and a whole man personal completion plans does ultimately in goal. Reflect the goal where the activity of musical school hours is like this, simply sang a material song and when, the aim of study attained, does not commit the three sound which thinks not be, when must reflect is. It is chorus that is one of the activities which can show the music interactions with sound. Chorus activity enables students to learn various expressive techniques of melody while learning each part, become familiar with chords and a sense of harmony, learn all related factors such as musical interval, time, melody and rhythm in the personal expression of chorus, which will enhance a student's ability to read music and distinguish sounds, and above all, make children friendlier towards music and active in music class with regards to their musical experiences. Is guides a chorus activity the musical educational theory of the kodaly from this dissertation and applies and the students have an interest and there to make be a possibility of doing a chorus activity they do sensitively in sound, develops the ability which reacts, commend melody and chord appropriately, to use freely and to express musically, will be able to improve the teaching ability of the music class which follows further in chorus teaching method in order, groped a teaching plan. To do an elementary school 6 grade in the object and material music of researcher different dissertation and in order not to be duplicated from in music of the musical textbook, selects a chorus and researches and the chorus teaching contents and method with afterwords are same. The study attempted to enable students to become confident in their music and express their opinions by sensing the harmony of a chord in an ostinato chorus and personally creating rhythm and melody, and the study proposed some way to practice musical scale and harmony so that students could understand and sense the beauty of a chord in a descant chorus, and the study made students sense the harmony of a chord by learning a partial duet chorus and form of finishing chorus within a chord chorus and achieve the goal of the chorus class by cultivating sociability. This study focused on planning teaching strategies that would make students more easily feel interested in a class of chorus music. become data to enable students to sense the beauty of a chord and love music correctly by realizing the harmonic sound of the entire group not as a personal expression of each individual, Hopefully, there will be follow-up research into more progressive teaching strategies for chorus class

      • 장애아 어머니의 비합리적인 신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박경애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애아 어머니의 비합리적인 신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비합리적인 신념과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 비합리적인 신념의 하위요인들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일반적인 특성이 비합리적인 신념 및 정신건강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1. 본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학중인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 21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2. 측정도구는 신념검사와 간이 정신진단 검사를 사용하였다. 1)비합리적 신념의 측정은 Jones(1969)가 개발해낸 비합리적 신념 검사를 박재황(1981)이 우리 문화에 맞게 수정한 것을 김화숙(1993)이 검사의 타당성이 부족하거나 진술상에 문제가 있는 문항을 제외하고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2)정신건강의 측정은 임상 심리학자 L·R·Derogatis 교수와 그의 동료들(1976)에 의해 제작된 Symptom-checklist-90-revision ; SCL-90-R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1984)이 재표준화한 자기보고식 다차원 증상목록(Multidimensional Self-report Symptom inventory)검사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3. 자료의 분석 방법은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T-검증, 일원변량 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4.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1 장애아 어머니의 비합리적인 신념은 정신건강과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비합리적 신념의 모든 하위요인들이 정신건강의 모든 증상차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r=0.436 ; p<.001) 있었으며, 장애아 어머니들의 비합리적 신념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2 정신건강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비합리적인 신념의 하위요인은 과잉불안, 정서적 무책임, 문제회피, 비난경향 이었다. 정신건강에는 과잉불안(β=.241)이 가장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으며, 다음으로 정서적 무책임(β=.195), 문제회피(β=.184)이며 비난경향(β=-.165)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장애아 어머니의 일반적인 특성 - 연령별, 종교별, 사회경제적 수준별, 교육수준별, 직업별, 자녀의 장애유형별, 자녀의 장애정도별, 자녀의 성별, 신체적 건강상태에 대한 지각정도에 따라 비합리적 신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령별에서는 30대이하 어머니가 40대이상 어머니보다 좌절반응이 높았으며, 전체적인 비합리적 신념에서는 연령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2) 종교별에서는 종교가 불교인 어머니와 종교가 없는 어머니가 과잉불안이 가장 높았으며, 천주교외인 어머니가 기독교인 어머니보다 낮았다. 3) 사회경제적 수준별에서는 하류층 어머니가 중류층 어머니보다 인정욕구와 정서적 무책임이 높았다. 4) 교육 수준별에서는 전체적으로 비합리적 신념은 학력이 낮을수록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5) 직업별에서는 직업이 없는 어머니가 있는 어머니보다 정서적 무책임이 높았다. 6) 자녀의 장애 유형별에서는 자녀가 정신지체인 어머니가 의존성이 가장 높았고, 자녀가 자폐증인 어머니가 다른 어머니 보다 낮았다. 7) 자녀의 장애 정도별에서는 자녀의 장애 정도가 심한 어머니가 비난경향, 지나친 타인 염려, 완벽성이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비합리적인 신념도 자녀의 장애가 심한 어머니가 높았다. 8) 자녀의 성별에서는 여아의 어머니가 남아의 어머니 보다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9) 신체적 건강상태의 지각정도에서는 비합리적인 신념은 신체적 건강상태가 건강하지 않다고 지각한 어머니가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3. 장애아 어머니의 일반적인 특성 - 연령별, 종교별, 사회경제적 수준별, 교육수준별, 직업별, 자녀의 장애유형별, 자녀의 장애정도별, 자녀의 성별, 신체적 건강상태에 대한 지각정도에 따라 정신건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령별에서는 정신건강은 차이가 나지 않았다. 2) 종교별에서는 종교가 불교인 어머니가 정신건강이 가장 좋지 않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3) 사회경제적 수준별에서는 하류층 어머니가 중류층 어머니 보다 정신건강이 좋지 않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4) 교육 수준별에서는 학력이 낮은 어머니가 신체화, 불안이 높았으며, 정신건강은 중졸이하인 어머니가 가장 좋지 않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직업별에서는 직업유무에 따라 정신건강이 차이가 없었다. 6) 자녀의 장애 유형별에서는 정신건강은 차이가 없었다. 7) 자녀의 장애 정도별에서는 자녀의 장애가 심한 어머니가 공포불안, 정신증이 높았으며, 정신건강은 자녀가 장애가 심한 어머니가 좋지 않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8) 자녀의 성별에 따라서는 정신건강이 차이가 없었다. 9) 신체적 건강상태의 지각정도에서는 신체적으로 건강하지 않다고 지각한 어머니가 신체화와 우울이 높았으며, 정신건강은 신체적으로 건강하지 않다고 지각한 어머니가 좋지 않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분석해보면, 장애아 어머니들이 높은 비합리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정신건강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신건강에 가장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비합리적인 신념의 하위요인으로는 과잉불안, 정서적 무책임, 문제회피이며 비난경향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은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