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 J지역 일부전문대학 보건계열 전공 학생을 중심으로

        송정민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보건계열 전공 대학생 중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와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자간의 대학생활적응도를 조사 비교하여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에게 맞는 대 학생활적응에 관한 지도와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지도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J지역 보건전공 학과가 있는 일부전문대학의 1, 2학년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1년 9월 19일부터 9월 24일까지 응답자 자가 기입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배부한 설문지 540부 중 설문지의 응답이 미비한 95부를 제외한 445부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 의수준 p<.05, p<.01, p<.001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ver.18.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활적응 차이에는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학업적 적응영역과 대학만족 도 영역에서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큰 차이가 없어 대학생활적응의 정도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행연구에서 타 전공학과 학생들과 비교해 본 결과 상업경제, 정보계열, 컴퓨터계열, 경영계열 학과에서의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선행학습이 될 수 있는 전공학과와는 다르게 보건계열 전 공학과에서는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와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적응의 차이 가 보이지 않았다. 2) 성별 대학생활적응 영역을 비교해보면 일부를 제외한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와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생활적응이 여학생에서보다 남학생이 우위하게 나타났다. 두 계열 모두 사회적 적응영역을 제외한 학업적 적응영역, 정서적 적 응영역, 대학 만족도영역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대학생활적응도를 보였 다. 이것은 남학생의 비율 중 군필자가 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군필자의 복학 후 대학생활적응과 연관지어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추후 더욱 깊히 있는 연 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3) 학년별 대학생활적응차이를 살펴보면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에서는 대학만족도 영역에서만 1학년이 2학년보다 높게 나타났고,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자에서는 정서적 영역에서만 1학년이 2학년보다 높은 적응도를 보였다. 정서적 영역과 대 학만족도에서 1학년이 비교적 큰 차이로 대학생활적응도를 보이는데 이것은 전 문계 고등학교 출신자에서는 1학년보다 2학년으로 갈수록 보건계열의 특성상 학 업에 대한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고, 일 반계 고등학교 졸업자에서는 정서적인 적응이 1학년에서 오히려 높으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전문계 고등학교나 일반계 고등학교의 차이는 있으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업에 대한 어려움을 느끼는 것 으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전문대학 학년 중 1, 2학년만 표집하여 조 사하였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3학년까지 표집하여 더욱 정밀한 연구가 필 요하겠다. 4) 졸업연도별 대학생활적응 영역을 비교해보면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졸업연 도별 대학생활적응도를 살펴보면 사회적 적응영역을 제외하고 학업적 적응영역 과 정서적 적응영역, 대학만족도 영역에서 각각 2010년 이전 졸업자가 가장 높 은 적응도를 보이고, 그 다음으로 2011년 졸업자가 높은 적응영역을 보였고, 마 지막으로 2010년 졸업자가 가장 낮은 적응도를 보였다.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자 의 졸업연도별 대학생활적응도를 살펴보면 모든 대학생활적응영역에서 2010년 이전 졸업자가 가장 높은 대학생활적응도를 보였고, 2011년도 졸업자가 그 다음 으로 높은 대학생활적응도를 보였다. 2010년 졸업자가 가장 낮은 대학생활 적응 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로 전문계와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자 차이 없이 졸업 한지 오래된 학생의 경우, 즉 만학도, 군필 후 복학생의 경우 대학생활적응이 제 일 뛰어난 것으로 나타나며, 그 다음으로는 1학년에 해당되는 2011년 졸업자가 높은 적응을 보였다. 대부분 2학년으로 예상되는 2010년 졸업자에게서 가장 낮 은 적응영역을 보였다. 학년별 적 응영역에서와도 마찬가지로 전문대학에서의 교과과정의 융통성 있는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추후 연구에서 더욱 구체 적인 원인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보건계열 전공학과의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와 일반계 고등 학교 졸업자의 대학생활적응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여졌고, 다만 남학생과 여학 생의 성별 대학생활적응의 차이, 학년별 대학생활적응 차이, 졸업연도 졸업자별 대 학생활적응의 차이에서 군필자 포함 등의 이유로 대학생활적응 차이가 크게 나타나 는 것으로 보이며 추후 연구에서는 더욱 구체적인 원인분석이 필요하겠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보건계열 전공을 위한 객관적 자료의 밑거름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추후 연구에서는 보건계열전공을 하는 대학, 대학교를 대상으로 조사대상을 넓히고 원인분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도구의 마련 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urvey and compare adaptation to college life between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among college students of health&#8208;related majors and to provide materials for guiding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high school students’ future care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reshmen and sophomores of some two&#8208;year colleges having health&#8208;related departments in the J Area,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from the 19th to 24th of September, 2011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 total of 54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with 95 excluded for inadequate answers, 445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alysis. Data were analyzed empirically at significance level p<.05, p<.01 and p<.001 and SPSS Ver.18.0 was us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With regard to difference in adaptation to college life,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were somewhat higher than vocational high school ones in academic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When compared with students of other majors in previous studies, the students of health&#8208;related majors did not show difference in adaptation between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different from students majoring in commerce, economics, information, computer and business administration for which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can be prior learning. 2) When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compared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except some of them showed higher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an female ones. In both types of high school graduates,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female ones in academic adaptation, emotional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This may be partially because more than half of the male students had returned after completing their military service, but this needs to be studied further. 3) When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compared according to school year, among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was higher in freshmen than in sophomores, but among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only emotional adaptation was higher in freshmen than in sophomores. The difference was relatively large in emotional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probably because study grows more difficult in the 2nd yea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8208;related departments and, as a result,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satisfaction goes down in the 2nd year compared to that in the 1st year. In case of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their emotional adaptation was high in the 1st year but went down with advancing school year.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spite difference between them, both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feel difficulty in study with advancing school year. As this study included only freshmen and sophomores sampled from two&#8208;year colleges, however, more precise research may be necessary including 3rd&#8208;year students. 4) When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compared according to graduation year, among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those graduated earlier than 2010 or before showed the highest adaptation level in academic adaptation, emotional adaptation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domain but not in social adaptation, and those graduated in 2011 showed the second highest adaptation, and those graduated in 2010 showed the lowest adaptation. Among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those graduated earlier than 2010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all the domains, those graduated in 2011 showed the second highest level, and those graduated in 2010 showed the lowest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at is, without difference between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students who had graduated from the high school long ago, namely, late learners and students who had returned after the military service were most excellent in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ose graduated in 2011, namely, freshmen were also good at adaptation. Those who had graduated in 2010, most of whom were supposed to be sophomores, showed the lowest adaptation. These results, similar to those according to school year, suggest that the curriculums of two&#8208;year colleges should be more flexible and that further cause analysis is necessary in future research.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presented above, it was found that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not different between vocational and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but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year, and according to graduation year for the reasons such as the inclusion of male students who had returned after completing the military service, and more specific cause analysis is required for the reas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future research to get objective materials for guiding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studying health&#8208;related majors and to develop research tools for broadening cause analysis to college students in four&#8208;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예측모형 구축

        김은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adjustment of college for nursing students to college and to develop a collective model for successful prediction and concrete paths of the factors. Based on Bronfenbrenner(1979) and ecological systems theory, a conceptual framework and hypothetical model were built. The factors of micro system, such as father attachment, mother attachment, stress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re set as exogenous variables, the organisms factors, such as psychological well-being, coping and result variable, such as adjustment to college are set as endogenous variables. As a result of multicollinearity analysis as a pre-test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however, father attachment was removed before the actual test because of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mother attachment. The measurement tools were used after verifying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19th 2010 to Jun 4th 2010. 53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fter distributing 560 sheets to senior students in 8 different locations. Data was analyzed with SPSS 18.0 Win program and AMO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onformity of the hypothetical model was =1625.29(p=.00), df=309, /df=5.26, GFI=.78, AGFI=.74, RMSEA=.09, CFI=.78, NFI=.75, NNFI=.75, RMR=.06, PNFI=.66, which means the conformity was acceptable and requires adjustment of model. 2. To increase the conformity, the model, was adjusted by removing observing variables whose causing factors explaining potential variables, are lower. The conformity of the revised model was =514.11(p=.00), df=137, /df=375, GFI=.91, AGFI=.87, RMSEA=.07, CFI=.92, NFI=.89, NNFI=.90, RMR=.03, PNFI=.71, which means a new model was more suitable than the previous model. 3. Through the modified model, 7 hypotheses out of 12 were supported. 4.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for the college nursing students' adjustment was 62%. Following is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for each endogenous variable. A.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were significant. The clinical stress has showed only direct and total effect. The coping has showed only direct and total effect. B. Mother attachment has showed direct and total effect on coping. C. Mother attachment was significant only in indirect and total effects on adjustment to colleg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had a direct e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had direct and total effects. Coping had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In conclusion, mother attachment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but does hav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ping, which eventually affect adjustment to college life. Also, the mor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ping usage frequency, and the less stress of clinical practice, the higher score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refore, to improve an adjustment to college life, it is recommended to decrease th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to develop an practical environment. Also, it is recommended to improve an adjustment to college life by direct method of develop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ping improvement program to improve mother attachment.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a sense that it explains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between adjustment to college life and relevant variables to predict comprehensive dimensional explanation of adjustment of college life for nursing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설명하는 제 요인들을 규명하여 이들 요인의 구체적인 경로와 그 영향력을 파악함으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성공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통합적인 모형을 개발하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Bronfenbrenner(1979)의 생태체계이론을 및 문헌고찰을 토대로 연구의 개념적 기틀을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미시체계 요인인 부 애착, 모 애착, 스트레스,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외생 변수로, 유기체 요인인 심리적 안녕 감, 대처방식과 결과변수인 대학생활적응을 내생변수로 하였다. 하지만 공 변량 구조분석 전 사전검사로 다중공선 성 분석 결과 부와의 애착과 모와의 애착 변수 간 상관계수가 정적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어 부 애착을 제거한 후 본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 도를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5월 19일부터 6월 4일까지이며, 전국 8개 지역별로 각 70부씩 졸업반 학생을 대상으로 총 560부를 배부하였으며, 연구에 적합하지 않은 29부를 제외한 53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Win program과 AMOS 18.O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적 모형의 분석결과, 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는 =1625.29(p=.00), df=309, /df=5.26, GFI=.78, AGFI=.74, RMSEA=.09, CFI=.78, NFI=.75, NNFI=.75, RMR=.06, PNFI=.66 등으로 전반적으로 모형의 적합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모형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를 높이기 위해 잠재변수를 설명하는 인과계수가 낮은 관측변수를 제거하여 모형을 수정하였다. 수정모형의 적합도는 =514.78(p=.00), df=137, /df=375, GFI=.91, AGFI=.87, RMSEA=.07, CFI=.92, NFI=.89, NNFI=.90, RMR=.03, PNFI=.71 등으로 모형의 간명성과 전반적 적합지수에 있어서 가설적 모형보다 훨씬 향상되어 모형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수정모형을 통하여, 총 12개의 가설 중에서 직접, 간접 및 총 효과로 7개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4.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예측 변수들에 의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의 설명력은 62%였으며, 내생변수 별 직접 또는 간접 및 총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심리적 안녕 감에 대해 모 애착은 직접, 간접 및 총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직접 및 총 효과만 있었다. 대처방식은 직접 효과와 총 효과가 있었다. 나. 대처방식에 대해 모 애착은 직접 및 총 효과가 있었다. 다.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모 애착은 간접 및 총 효과만 유의하였으며,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직접 효과만 있었으며, 심리적 안녕 감은 직접 효과와 총 효과가 있었고, 대처방식은 직접, 간접 및 총 효과가 있었다. 이상을 통하여 볼 때 모 애착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심리적 안녕감 및 대처방식을 경유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심리적 안녕 감 및 대처방식 사용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대학생활적응 정도가 높아지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습환경 개선과 실습업무 부담을 줄여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줄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모 애착을 증진하는 간접적인 방향 및 심리적 안녕 감 및 대처방식 증강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직접적인 방향으로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활적응과 관련변수들 간 인과적 경로를 설명하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총체적인 측면에서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는 지식체 마련의 계기가 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현주 신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much the social support,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the adjustment to university is important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 and systematic support to students. For this, the social support level of disabled students can be specified to 4 sub levels;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performance support The adjustment level of disabled students can be analyzed according to the 5 sub areas;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emotional adjustment, physical adjustment, university environmental adjustme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85 disabled students who have sight disorder, hearing disorder, language disorder and crippled disorder, etc and entered university through the disabled special entrance examination or normal entrance examination. SPSS 12.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nd analyzed information by choosing variables with stepwise's method. According to the research analysis the following has been suggested.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adjustment when disabled students has been entered university through normal entrance exam. Also, students involved in school clubs was better at social adjustment and students who have outdoor experience were better at physical adjustment and social adjustment. Students with crippled disor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 factors in terms of social support compared to students with other disorder. Especially, they were receiving more material support and students with temporary absence experience were receiving more informational support. Seco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I implemente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excep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formational, material support and academic adjustment, statistically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It suggests that the academic adjustment which is one of sub level of university adjustment is only related to performance support. Third, to find out how the social support would affect the disabled students' campus life adaptation, I used stepwise method to choose variables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performance support was shown to have the most influential power on academic adjustment and emotional adjustment. Emotional support, one of sub factors of social support was shown to affect significantly physical adjustment. Informational support of social support affected significantly to the adaptation to university environment. Based on the result, I'd like to suggest followings. First, I found out that performance suppor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university adjustment of disabled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basic knowledge to friends, colleagues, professors and university staffs, an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like the disabled cognition improvement program or disorder experience program. Second, to enhance the social network of disabled students, I suggest to promote and let them know club activities in university and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It can widen the chance to be with normal students and disabled students together. Third, the university life adjustment is a series of procedures to adapt new environment and to help them adapt well, university should provide ability enhance programs for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아, 향후 장애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장애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의 수준은 장애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원천에 따라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의 4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의 수준을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 대학 환경적 적응의 5개의 하위영역에 따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부산과 대구, 수도권 일대에 소재하는 대학에 장애인 특별전형제도나 일반전형제도에 의해 선발되어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지체장애 등의 장애를 가진 장애대학생 총 8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t-test와 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시 변수선택방법 중 stepwise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분석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대학생의 입학방법 중 일반전형으로 대학에 입학한 경우에는 정서적 적응에 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 내 동아리에 가입되어 있는 장애대학생이 사회적 적응을, 학교 외 외부활동경험이 있는 장애대학생이 신체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지체장애를 가진 학생이 기타장애를 가진 학생들보다 사회적 지지에 대한 지각의 모든 하위영역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특히 물질적 지지를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휴학경험이 있는 장애대학생들이 휴학경험이 없는 장애대학생보다 정보적 지지를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기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한 결과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지지와 학업적 적응과의 관계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영역인 학업적 적응은 평가적 지지에서만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장애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시 변수선택방법 중 stepwise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 중 평가적 지지가 학업적 적응과 정서적 적응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 중 정보적 지지가 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 중 정서적 지지가 신체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 중 정보적 지지가 대학 환경적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결과 장애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평가적 지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친구·선후배, 교수 및 교직원들에게 장애에 대한 기초지식을 제공하고 장애인을 이해할 수 있는 장애인인식 개선 프로그램이나 장애체험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대학생의 사화관계망을 확장시킬 수 있는 지원의 일환으로 장애학생지원센터에서는 학교 내 동아리활동을 안내하고 홍보하여 장애대학생들의 동아리활동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장애대학생들과 비장애대학생들이 함께 할 수 있는 경험을 통해 장애학생들의 활동의 폭을 넓혀주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이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일련의 과정으로서 장애대학생들이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기위해 대학은 장애대학생들 스스로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상호작용효과 : 자아존중감의 안정성 및 수준을 중심으로

        양현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안정성 및 수준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 545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 척도, 자아존중감 안정성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은 자료를 상관과 회귀를 통해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상적 스트레스의 효과를 통제했을 때, 전체 대학생활적응 및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에서는 자아존중감의 안정성과 수준이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대학환경적응에서는 자아존중감의 수준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설명량은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자아존중감의 안정성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안정성의 상호작용은 전체 대학생활적응 및 하위적응 영역 모두에서,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수준의 상호작용은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에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자아존중감의 안정성과 수준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또한 일상적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간에 자아존중감의 안정성이 수준보다 더 큰 상호작용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aily hassles, self-esteem stability and self-esteem level on adjustment to college. Data from 545 undergraduates were analyse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tability of Self Scale, Self-Esteem Scale and Daily Hassles Scale were administered for this survey.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stepwise regression and simple regress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both stability and level of self-esteem had significant effects on general adjustment to college, academic, social and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fter controlling daily hassles. In attachment adjustment, only self-esteem level had a significant effect. Generally self-esteem level explained adjustment to college more than self-esteem stability. The interaction between daily hassles and self-esteem stability on general adjustment to college and all subscales was significant. The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daily hassles and self-esteem level emerged in social, personal-emotional and attachment adjustment. Based o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adjustment to college should be more obscured when both stability and level of self-esteem ha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lso,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stability was more important moderator between daily hassles and adjustment to college than self-esteem level.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and recommendable topic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 애착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최은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모(母)와 또래에 대한 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힘으로써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고 이를 연구하여 대학생활적응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340명의 대학생(여자 248명, 남자 92명)이 참여하였고, 연구를 위해 모(母)와 또래에 대한 애착 척도(Inventory of Parent and Peer-R),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대학생활적응 척도(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 애착 안정성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래 애착 안정성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모 애착 안정성이 또래 애착 안정성 보다 자기효능감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애착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 애착 안정성과 또래 애착 안정성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와 또래의 애착이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면, 모 애착과 또래 애착 안정성은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환경에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은 모 애착보다 또래 애착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면, 자기효능감은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대학환경에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이 애착 안정성과 대학생활적응을 매개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활적응에 대해 자기효능감과 애착 안정성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애착 안정성의 semi-partial correlation 자승값을 유의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학업적 적응과 개인-정서적 적응에서는 매개효과 나타났으나 대학생활적응 전체 척도와 사회적 적응, 대학환경에의 적응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애착 안정성과 자기효능감의 관계, 애착 안정성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는 비교적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이런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자기효능감의 매개변인 효과를 살펴본 결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 적응과 개인-정서적 적응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애착 안정성과 대학생활적응 사이를 매개하는 부분도 있고 애착 안정성이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도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find out relationship among Attachment Security and Adjustment to college and general self-efficacy an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general self-efficacy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adjustment to college.. First, Mother and Peer attachment security and associations among attachment security, general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college were examined. Then mediating effect of general self-efficacy was investig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adjustment to college. The subjects were 340 students attending three universities. Adolescents filled out a set of questionnaires consisted of Inventory of Mother and Peer Attachment-Revised version,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1. Regression analysis on attachment security and general self-efficacy suggested that attachment security has influence on general self-efficacy. Further, Mother attachment security has more influence on general self-efficacy than Peer attachment security. 2. Regerssion analysis on attachment security and adjustment to college suggested that attachment security has influence on adjustment to college. Attachment security also has influence on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institutional attachment in subscale of adjustment to college. Further, Peer attachment security has more influence on adjustment to college than Mother attachment security. 3. Regerssion analysis on general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college suggested that general self-efficacy has influence on adjustment to college. Further, general self-efficacy has influence on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institutional attachment in subscale of adjustment to college. 4. In the significant test of the mediating effect, the mediating effect of general self-efficacy in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adaptation to college was found in academic adjustment, and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but it wasn't found in social adjustment and institutional attachment. Generally, relationships among attachment security, general self-efficacy and adjustment to college in current study were consistent with previsr studies. And in part, the mediating effect of general self-efficacy in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security and adaptation to college.

      • 정서표현 양가성, 정서조절 양식 및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의 관계

        이정선 아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표현 양가성과 정서조절 양식,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의 관계를 통해 정서표현의 갈등이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정서표현 양가성이 높은 대학생들이 어떤 조절양식을 사용할 때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지 알아보았으며 마지막으로 남녀에 따른 정서표현 양가성과 정서조절 양식의 하위요인이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에 어떠한 차이를 주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379명을 대상으로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 정서조절 양식 체크리스트,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표현 양가성, 정서조절 양식 및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 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정서표현 양가성, 정서조절 양식의 각 하위요인은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성별은 정서표현 양가성, 정서조절 양식의 각 하위요인에 따라 대학 생활의 사회적 적응에 차이가 나는가? 이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WIN Ver. 18.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회귀분석,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표현 양가성은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과 부적상관이 나왔다. 또한 정서표현 양가성은 회피 분산적 정서조절 양식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능동적 양식, 지지추구적 양식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정서표현의 양가성이 높은 대학생들은 회피분산적 정서조절 양식을 주로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정서표현 양가성과 정서조절 양식에 따른 대학생활 사회적 적응의 차이 에 관하여는 정서표현 양가성이 높더라도 능동적 조절양식과 지지추구적 조절양식을 많이 사용하는 집단이 적게 사용하는 집단보다 사회적 적응이 더 높았다. 그러나 회피분산적 양식을 많이 사용하는 집단은 정서표현의 고저에 따라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성별에 따른 정서표현 양가성, 정서조절 양식에 대한 대학생활 사회적 적응의 차이에 관하여는 정서표현 양가성은 성별에 따라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능동적 양식과 지지추구적 양식은 남학생이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에 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피분산적 양식은 성별에 따라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정서표현 양가성은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에 유의한 부적관계를 나타냈고, 사회적 대학생활 적응에 대해서 정서조절 양식이 정서표현 양가성보다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하위 영역 중에서 능동적 양식과 지지추구적 양식의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능동적 양식과 지지추구적 양식을 많이 사용할수록 사회적 적응을 더 잘 할 수 있으며, 특히, 정서표현 양가성이 높은 학생들에게 능동적 양식과 지지추구적 양식을 통해 정서조절을 할 경우 대학생활의 사회적 적응을 잘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별에 따른 대학생활 사회적 적응의 차이에서는 정서표현 양가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능동적 양식과 지지추구적 양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능동적 양식과 지지추구적 양식을 더 많이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한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하였다.

      •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의 체제적 인과분석

        이은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공학적 관점에서 체제접근을 토대로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대한 인과분석을 하는 것이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둘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은 어떠한가?’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내용 및 절차는 다섯 가지였다.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하여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정 요인들을 도출하고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설정하였다. 둘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 영향요인 및 성과 측정을 위한 설문 문항은 선행연구에서 타당도 및 신뢰도가 검증된 설문 문항을 토대로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셋째, 경기도 소재 ‘ㄱ’ 대학에서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을 수강한 학습자 1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넷째, 설문응답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각 요인이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연구결과는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조절학습능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 교육방법, 교육내용, 대학교육지원이었다. 둘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요인인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자기조절학습능력, 교육방법, 자기효능감, 대학교육지원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요인인 정서적응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자기조절학습능력, 대학교육지원, 자기효능감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넷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 성과요인인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조절학습능력, 대학교육지원, 자기효능감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조절학습능력, 자기효능감, 교육방법, 대학교육지원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자기효능감이 학업적응, 정서적응, 학업지속의향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된 것은 학습자의 긍정적인 자기 인식이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한 교육환경과 대학환경을 포괄하는 대학교육지원도 학업적응, 정서적응, 학업지속의향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되었는데, 이는 성인학습자 신입생이 경험하는 학교의 다양한 지원이 학업적, 정서적 안정감과 학업을 지속하고자 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느꼈음을 의미한다. 교육방법이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규명된 것은 성인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육방법을 제공하고, 구성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교수학습환경이 학업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고 유추할 수 있다. 둘째, 의사소통능력과 교육내용은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정해진 시간에 비해 많은 내용을 다루다 보니 양질의 상호작용과 적절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교육프로그램 시간 및 내용의 양적, 질적 측면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 학업적응, 정서적응, 학업지속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의 운영 횟수와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업적응, 정서적응, 학업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모두 자기조절학습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인학습자가 자아발전을 위해 새로운 것을 학습하고 숙달하는 과정에서 학업에 자신감과 책임감을 갖게 되며, 성공적인 정서적응으로 이어져 학업을 계속하고자 하는 동기가 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성인학습자가 학습에 자신감과 책임감을 높일 수 있는 교수학습체제 설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경기도에 소재한 전문대학에 재학하는 일부 성인학습자 신입생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대학교육 맥락에 일반화하여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다양한 대학의 성인학습자 신입생 대학생활적응 교육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후속 연구를 하여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 문항들이 교육프로그램의 성과와 관련된 학습자 특성, 프로그램 특성, 환경 특성의 모든 요인을 포함한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다양한 잠정요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성과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성과와의 관계를 체제적으로 분석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 연구에서 종속변인으로 설정한 학업지속의향은 학습자가 스스로 인지한 정도를 자기보고식 설문 응답을 통해 측정한 점수이므로 실제 학업지속 여부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교육이 종료된 후 연구대상자의 실제 학업지속 여부를 추적하여 재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 애착불안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

        최옥숙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애착불안이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능력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서울, 경기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28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9.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애착불안, 대인존재감,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애착불안은 대인존재감,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존재감은 대인관계능력 및 대학생활적응과 정적 상관을,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능력이 매개하는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대학생의 애착불안은 대인존재감과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대인관계능력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존재감도 대인관계능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지만, 대학생활적응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능력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인존재감이 대인관계능력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순차적 부분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볼 때, 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애착불안을 낮추려는 노력과 함께 매개변인으로 확인된 대인존재감과 대인관계능력의 향상을 통해 개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애착불안이 대학생활적응과 대인존재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애착불안수준을 감소시킬 상담 및 관련교육, 훈련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중국 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 및 동아리활동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이정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학생의 학교적응은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뿐만 아니라 심리적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학교적응 수준을 파악하고, 대학생들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각 영향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실증하는 것은 학교적응 수준을 제고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허베이성에 위치한 4년제 공립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동아리활동, 사회적지지, 그리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결과를 살펴보면, 대학생활에서의 학업 및 장래문제에 관한 스트레스는 학업적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제문제, 가치관문제, 친구관계, 이성관계, 교수와의 관계 그리고 가족관계에 관한 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들의 동아리활동 참여,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적응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동아리활동은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여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대학생들이 동아리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대학을 비롯한 외부환경의 사회적 지원 증대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대학과 교육 관련 정부기관은 대학의 교육환경을 적극적으로 개선하고 사회적 지원을 확대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university stage is a crucial stage of students' growth. Whether university students can adapt to university campus life is essential in determining whether they can achieve growth in the university stage. School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ffects their learning gains in university and affects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university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d the way each influencing factor affects university students' school adaptation to improve the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school adaptation.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49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of H, a four-year public university in Hebei Province, China, and constructed a structural model by selecting four variables: university life stress, club activitie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ity life stress and club activitie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s well as verified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stress, club activities,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life stress can directly affect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the stress from academic issues and future Issues in university life can increase academic adaptation i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hile the stress from economic issues, value issues, same-gender-friends, opposite-gender-friends, professor issues, and family issues can decreas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Second,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can directly influence and improv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ird, social support can directly influence and enhanc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Fourth, university life stress and club activities positively affect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rough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university life stress, club activities,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basis for improving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y students should increase the positive resources of social support they have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by increasing their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In addition, both the university and the government should give great attention and action support, actively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increase the investment of social support to reduce the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life so that they can adapt to university life be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