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정선의 설치작품에 관한 연구

        이정선 부산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63

        The artistic function was defined various by a lot of philosophers and theorists. An art of the origin is a magic, but it must be by an actual experience and mustbe composed and must acquire the format through an objectivity. An artist is a consumer of mass culture and a producer of mass culture at the same time. So a society have inseparable relation from an art. A researcher is going to analyze the relation through a way of ironuy, pastiche, cynicism, nihilism. Chose theme that is food among present state that appear variously as social structure that become complex. A researcher wished to communicate danger through negative image which appear through fastfood that express best modern person as is funny without being heavy. Therefore, A researcher selected McDonald which degree of recognition was the highest butblamed most. <Ronald, Really Happy?> expanded size with 30 times in order to show a close character with the object of a fear. It is not a friendly character of McDonald looking in an advertisement and lost humanity. As for the expansion of size is formally same as expanded things by Class- oldenbeg which is a popartist. <Happymeal> wished to show consumption culture that hamburger eats a person that a person did not eat hamburger. <Supersize BigMc> expresses modern person who take medicine to except a fat person and a fat person by fastfood. A researcher analyzes various stories that happen in society which change rapidly as there is insight. So, A researcher wish to turn round modern person's life by being solved with elements seen in out surface.

      • 도시형 생활주택의 입지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이정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도시형 생활주택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1~2인 가구를 겨냥한 새로운 형태의 주거 양식이다. 정부는 2009년 5월 주택법 개정을 통해 도시형 생활주택을 도입했다. 독신자를 비롯해 자녀를 낳지 않는 맞벌이 부부, 이혼 증가 등 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라 1~2인 가구는 계속해서 늘어날 전망이다. 따라서 도시형 생활주택과 같은 소형주택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9년 5월 이후 2013년 12월까지 서울시의 인허가를 받은 도시형 생활주택의 입지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형 생활주택이 주로 어떤 지역에 공급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개발 방향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물은 다음과 같았다. 우선 연구 대상으로 삼은 2009년 5월 이후 2013년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도시형 생활주택은 총 4726건이 공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30세대 미만으로 구성된 상품이 93%를, 세대면적이 30㎡ 미만인 소형주택이 54.6%를 차지했다. 도시형 생활주택이 주로 공급된 지역은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역 주변이었다. 이중 지하철역 반경 150~200m 이내 역세권의 밀집도가 가장 높았다. 지하철 가운데는 6호선, 7호선, 8호선 주변 역세권에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급이 더 몰리는 경향이 뚜렷했다. 대학생과 대학원생이 많이 거주하는 대학가 주변에도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이 많았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비싼 임대료 탓에 지하철 역세권보다는 밀집도가 낮았다. Urban-type Housing is a new form of residence styles to target increasing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s. The government introduced Urban-type Housing through housing law revision on May 2009. Single or two-person household is expected to increase substantially because of the social influence such as a single person, an increase in the divorce rate, double income no kids. Therefore the demand of small house like Urban-type Housing seems to increase.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Urban-type Housing which received local government approval from on May 2009 to on Dec 2013 in Seoul.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Urban-type Housings was supplied total 4726 private development projects during this period. Second, 93% of total projects were less than 30 units and 54.4% were less than 30㎡ of living space. Third, the most densely developed area of Urban-type Housings were around the subway-oriented area that has a large floating population. Above all, the density within a radius of 150~200m was the highest. In this case, Urban-type Housings have been developed in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etro Line 6~8. Forth, Urban-type Housings also have been supplied around a university campus. But the density of campus area lower than subway-oriented area’s due to high rents.

      • 2년제 미용대학 전공세분화에 따른 교육과정의 분석연구 : 학과 명칭에 따라서

        이정선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2년제 미용대학 전공세분화 따른 교육과정의 분석연구 - 학과 명칭에 따라서- 이정선 지도교수 : 김춘득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현대사회는 연구와 교육을 통한 지식을 창의적으로 활용한 부가가치 창출이 요구되는 사회이다. 다양성과 전문성을 요구하는 사회적 흐름에 따라 전문화된 인적자원을 양성하고 지식을 창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학 교육은 국가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대학 교육의 질과 방향을 결정하는 교육과정은 대학 교육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반영하는 핵심요소로 다양한 인재양성을 위해서는 전공이 세분화되고 전문화 되어야한다. 교육학적인 측면에서의 미용은 예술과 철학, 과학으로 구성된 실용 예술 학문 분야로 이론적 지식 축적과 기능 습득을 위한 실질적인 교육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미용대학의 교육은 ‘전문미용인력양성’이라는 교육목표에 따라 현장중심의 교육체제 도입과 교수법의 개발, 미용교육교재의 개발,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개선 및 전공세분화의 교육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교육기회의 급속한 팽창과 대학 교육의 대중화 등으로 2년제 미용관련 대학 역시 양적인 증가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나 교육제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현재까지 개설, 운영되는 2년제 미용관련 대학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교육과정의 운영 및 교과목의 편성이 잘 이루어져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 2년제 미용관련학과의 체계적인 발전과 효율적인 교과과정 운영을 위해서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용관련학과 2년제 대학에 적합한 교육목표 제시 및 교육과정 구성을 위해서 학과현황과 교육목표, 교과목 등을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2년제 미용관련 대학의 발전방향을 모색함과 동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교육부에서 인가 받은 미용관련학과의 고등교육기관으로 전국의 미용관련학과를 설치한 2년제 대학교를 대상으로 조사기간은 2013년 1월 15일~2013년 2월 15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방법은 수집된 자료와 내용의 결과를 토대로 빈도(N)와 백분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년제 미용대학교 미용관련학과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학과 명칭은 뷰티 디자인(아트)과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미용관련학과를 운영하고 있는 기존의 대학에서는 전공을 헤어와 피부로 세분화하여 분리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계열과 학부로 명칭을 변경하여 그 안에서 전공을 분리하여 학과 명칭을 사용하는 대학교의 수가 최근 들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지만 그 수는 아직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에 따른 분포현황은 4년제 대학교는 지방에 많이 개설되어 있지만 2년제 대학교는 수도권지역에 많이 편중되어 개설되어 있다. 계열별 학과현황은 보건계열과 자연ㆍ과학계열이 주를 이루고 있다. 둘째, 2년제 미용관련학과의 교육목표는 고등교육법에 제시한 목적과 맞게 제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계열에 따른 교육목표를 분석한 결과 계열의 특징에 맞는 교육목표를 제시하기 보다는 고등교육법에 제시한 교육목적에 중점을 둔 교육목표를 가장 많이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년제 미용관련학과의 전공 교과목을 분석한 결과 피부교과는 4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헤어교과 36%, 메이크업교과 15%, 네일교과 6%순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피부와 헤어교과는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나, 일부학과 의 경우 전공교과목에만 편중되어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특히 메이크업교과와 네일교과의 경우 낮은 편성을 대부분의 학과에서 낮은 편성을 보이고 있다. 네일교과의 경우 모든 학과에서 10%이하의 편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네일을 전공하고자하는 학생들에게는 전공 선택에 있어 혼란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 교과목의 경우 교육내용은 동일하지만 각 학과마다 교과목의 명칭의 표기가 학과별로 다르게 되어 있어 교과목의 이해에 있어 혼란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전문미용인력양성’을 위해서는 2년제 미용대학교의 미용관련학과는 각 전공을 분리하고 전공분리에 따른 교육과정을 개선하여 전문 미용인 양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전공세분화로 학과의 특성을 살리고 전공과목을 주된 내용으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과과정을 운영하여 전문 미용인양성의 도움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유효성 평가 방법 연구

        이정선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교육의 전 부분에서 이러닝(e-learning)이 도입되고 있고, 또 빠른 속도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중학교에서도 이러닝의 학습 효과를 전통적 학습환경 속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 이전에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유효성에 대한 평가가 우선되어야 하며, 이는 통합학습의 교육의 질 확보를 위한 최우선적인 전제 조건이다. 본 논문은 이러닝 평가 관련 연구를 바탕으로 타당성과 신뢰도가 검증된 평가 기준들을 선별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유효성 평가를 위한 평가 기준과 평가 문항을 추출한다. 그리고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평가 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확인한 후 중학교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유효성 평가를 위한 평가 문항으로 정리하고 이러닝 학습자와 일반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조사하여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유효성 평가에 적용해 본다. 본 연구는 중학교 이러닝 콘텐츠의 평가 기준과 평가 방향에 대한 논의를 공유하며, 더 나아가 통합학습의 질적 향상을 위한 양질의 이러닝 콘텐츠 개발과 관련한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E-learning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in all educational domains and it has expanded rapidly in educational field. Even from the middle school the effort that middle the e-learning's learning effectiveness from traditional learning environment is active and it is advanced. But before like this discussing, the evaluation learning effectiveness of e-learning contents does to become first of all. And this is first priority precondition for the quality security of the blended-learning. This study classifies the e-learning contents evaluation criteria that verified validity and reliability through the study of related works about e-learning evaluation. Based on this, this paper derives the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questions for evaluation learning effectiveness of e-learning contents in middle school. And it arranges with the evaluation question item that can evaluate learning effectiveness of e-learning contents in the middle school through the survey of validity on the questionnaire with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em it uses this evaluation of e-learning contents. This paper will give future directions and assessment criteria of e-learning. Moreover, this will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materials for developing e-learning contents to improve quality of blended learning.

      • 구아바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

        이정선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구아바 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 이정선 지도교수 : 김춘득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본 연구의 실험 결과 구아바 잎 추출물은 10 mg/mL 농도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 126.4 mg/g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223.17 mg/g의 높은 페놀성 화합물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을 0.1, 0.25, 0.5, 1m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ABTS radical 소거능은 64.2%, 76.3%, 92.1%, 94.8%로 나타났으며, trolox를 positive control로 이용하여 구아바 잎 추출과 항산화 활성은 1 mg/mL 농도에서 trolox가 97.7%, 구아바 잎 추출물은 94.8%의 ABTS racical 소거 활성이 나타나 trolox와 유사한 radical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의 세포 생존율을 통한 세포 독성을 확인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세포 증식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세포 내 ROS를 억제하는 효과를 측정한 결과 RAW 264.7 세포주에서 ROS 생성량은 10, 25, 50, 100 μg/mL의 농도에서 각각 120.5%, 110.8%, 100.4%, 89.7%로 나타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고, 특히 50 μg/mL 농도에서부터 ROS의 생성량이 유의미하게 억제되었다 (p<.01). 염증성 질환을 나타내는 NO 생성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0 μg/mL에서 50.4%의 유의한 NO 생성 억제 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균력에서 Staphylococcus aureus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은 0.05, 0.1, 0.25, 0.5g/mL의 농도에서 각각의 clear zone 직경이 9 mm, 10 mm, 11 mm, 13 mm로 나타났으며, Escherichia coli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은 0.05, 0.1, 0.25, 0.5 g/mL의 농도에서 각각의 clear zone이 9 mm, 9 mm, 10 mm, 12 mm로 나타났다. 그리고, Candida albicans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은 0.5 g/mL의 농도에서부터 clear zon이 10 mm로 나타났다. Propionibacterium acnes 균에 대한 항균 활성은 0.05, 0.1, 0.25, 0.5g/mL의 농도에서 각각의 clear zone 이 10 mm, 11 mm, 13 mm, 14mm로 나타났다. 여드름 관련 균주에 대한 최소 저해 농도(MIC)는 각 균주에 대한 MIC는 대체로 0.25 – 1 mg/mL로 나타났으며 P. acnes ≃ S. aureus < E. coli < C. albican 의 순으로 구아바 잎 추출물의 MIC가 낮은 농도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gram positive bacteria인 S. aureus와 P. acnes에 생육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고, gram negative bacteria인 E. coli에도 gram positive bacteria에 대한 낮은 농도에서 강한 활성을 보이지 않았지만 낮은 농도에서도 효과적으로 생육을 저해하였다. 이는 구아바 잎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gram positive bacteria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어 화장품의 천연 방부제로서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인해 구아바 잎 추출물에 항산화 활성에 지표가 되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높고, NO 생성억제 효과로 인한 항염증 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천연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동적분석기법을 이용한 건설 공사 단계별 안전보건관리비 운영 모델

        이정선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의 건설공사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이하 안전보건관리비)는 산업안전 보건법에 의해 안전·보건관리의 활성화를 목적으로 관계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비용이다. 산업 안전보건법의 기준으로 공사종류에 따른 일정금액을 공사도급계약서에 별도로 계상토록 함으로써 시공자와 발주자의 안전관리자 인건비, 보호구 안전시설비 등 근로자를 위해 안전보건을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산업안전보건관리비가 8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있지만, 계상 및 사용 항목별 사용 내역은 다양하지 못하고, 안전시설비와 가설공사의 구분이 명확하기 않아서 안전관리에 필요한 비용이 적재적소에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 건설 프로젝트의 복잡화, 첨단화가 증가됨에 따라 건설장비 대형화, 현장내 고소작업 비중의 증가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다양해지는 건설공사의 특성 및 제약요소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만약 건설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대외기관에서 제재하게 되며 공사중지 기간을 만회하기 위한 공기 증가, 유사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시설비 증가로 인한, 인건비 증가로 다른 항목 비용이 부족하게 된다. 또한 외부점검 등 기타 사유 등의 이유로 발주자 측면에서는 예산낭비 및 안전보건관리비 부족가능성이 증대된다. 따라서 안전보건관리비를 효율적이고 효과적이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입찰단계에서부터 정산단계까지 전 과정에서의 사용 항목에 대해 관리, 분석, 통제가 가능한, 공사단계별 안정보건관리비 운영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운영모델(HSCM)을 개발하여 현장의 안전보건관리비의 집행, 운영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먼저 정산된 국내 아파트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전문가들의 설문을 활용하여, 아파트 현장의 안전보건관리비 월별 집행 자료를 조사한다. 안전보건관리비를 simulation하는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본 연구 모델의 변수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설정한다. 이때, 본 연구에서 수학적으로 연계된 알고리즘은 primary 변수를 언제든 바꾸어 적용 할 수 있다. 운영모델(HSCM)을 토목, 일반 건축 등 다른 프로젝트에 적용한다면, 시설비, 인건비, 개인보호구 비용 등을 해당 공사종류에 맞게 설정하면 된다. 공사 종류별 제약조건이 있다면, primary 해당변수로 결정하고 남은 변수들을 rebalancing하여 simulation하면 된다. 향후 많은 현장들의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한다면, 모델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운영모델(HSCM)의 일반 건축, 토목, 플랜트 등 타 공사의 안전보건관리비 운영 모델 개발에 응용될 것이다. 본 연구는 안전보건관리비 운영 모델(HSCM) 개발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첫째,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기존의 안전보건관리비 산정 방법 및 운영의 문제점을 조사한다. 둘째, 선정한 사례현장의 안전보건관리비 관련한 자료 및 원별 집행 내역을 수집한다. 셋째, 주요 영향 요인을 파악하여 인과지도(causal loop diagram)를 작성하고 피드백 routine을 확인한다. 넷째, 작성한 인과지도(causal loop diagram)를 사용하여 단계별 안전보건관리비 운영 모델(HSCM)을 개발한다. 다섯째, 사례현장의 운영 방식과 비교 분석하여 안전보건관리비 운영 모델(HSCM)의 유효성, 적합성 및 효용성을 검증한다. 또한, 개발된 모델의 사례검증을 통해 확인된 문제점은 향후 연구에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의 효용성과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활용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를 요약한다. 개발된 모델 개념을 근거로 안전보건관리비 운영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개발된 모델의 발전을 위해 사례 적용으로 확인된 문제점을 보완하고 추가적으로 수행할 연구내용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건설 현장의 안전보건관리비 월별집행내역을 수집하여 주요영향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러한 요인들을 공사단계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및 통제(monitoring and control)할 수 있는 운영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안전보건관리비 운영모델(HSCM)을 개발을 위해 안전보건관리비 산정의 4가지 요인(인건비, 안전시설비, 개인보호구비, 기타비용)을 변수로 설정하고, 이들의 동적(dynamic)관계를 반영하였다. 즉, 발주자나 안전전담 관리자가 안전보건관리비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의사결정 수단을 제공하였다. 사례 프로젝트를 통해 모델을 검증하였으며,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은 공사 단계별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보건관리비 운영에 대한 리스크를 실시간으로 통제, 예측,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안전보건관리비 운영에 의사 결정 및 실무 단계에서 효율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결국 리스크의 발생을 정량적, 시간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업 진행간의 의견충돌을 줄이며, 합의점 도출이 수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분리-개별화 과정이 기독교인의 고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 며느리들을 중심으로 한 연구

        이정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Human relations in Korean Culture emphasize relationship in the community. Moreover, relationship in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among women makes up a large portion in their lives. If there is a problem in relationship, women suffer from many conflicts and experience hardship. Among various human rela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and daughter-in-law gives women agony and conflict throughout many genera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daughters-in-law individually and socially contains negative preconception and prejudice so women in their early marriage life predict more conflict and tension compared to other human relations. In the cases of the conflict between mothers- and daughters -in-law, there may be different points of view on their causes. One of the reasons is that mother-in-law did not separate individually from the life before their daughters-in-law come into their lives or the life with their sons, and when daughters-in-law could not separate individually from their ex-marriage life, they enlarge the object relations with their mothers-in-law and do not maintain flexible relations. The thesis clearly shows that the psychological dynamics of daughters-in-law i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and daughters-in-law reflect their relations to their parents during their childhood. When they experience conflict with their mothers-in-law, daughters-in-law exhibit various patterns: autonomy, self-involvement, resistance, engulfment, avoidance, and passive-aggression types. And based on the personal difference, there are several levels on how much they can endure the conflict situation: acceptance, denial, sustenance, disregard, and conversion type. Negative emotions that daughters-in-law have when they are in conflict with their mothers-in-law are mostly anger, depression, anxiety, inferiority, guilt and frustration. In coping with the conflict with their mothers-in-law, daughters-in-law in general have different tactics: expression, silence, obedience, adherence, and hopelessness type. There is a turning point to the psychological disorder caused by conflict between mother-and daughter-in-law: a. Self-awareness about daughters-in-law themselves. b. Recognizing overwhelming burden in women's married life. c. Transference of the focus of attention from conflict to their children due to unexpected accidents in child rearing. d. Daughters-in-law's confidence in their recognition of their mothers-in-law's weakened power when they erupted their feelings which had not been expressed for the long time. Additionally as indicated in a desirable marriage relations, daughters-in-law's freedom from relationship between mother-and daughter-in-law by the personality integration with their spouses. In a series of these processes Christianity have provided daughters-in-law with a secure base where they profess their agony to the Lord, gain comfort, energy and have given them ability to turn to a new life. And Christianity also have made it possible that daughters-in-law separate and individualize themselves, and live their own lives, and furthermore enlarge their capacity to accept the conflict and understand their mothers-in-law. The reason why daughters-in-law experience above mentioned conflicts is largely attributed to the relations with their parents in their psychological development. In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processes the daughters-in-law who experienced normal separation individuation have stable relationship between mother-and daughter-in-law but those who experienced separation anxiety involve themselves, fall into a inferiority, or blame themselves for the conflict and turned into a inability status. Those who have delayed separation become dependant and those who have early separation do not have friendly relations with their mothers-in-law due to deprivation of love. When daughters-in-law experienced hatching damage, they became aggressive and have a delusion of persecution. When experiencing avoidant attachment, they suppress their emotion and do not react to conflicts. When experiencing resistant attachment, because of their parents' inconsistent reponses , they first become vulnerable. The study shows that when daughters-in-law do not experience normal separation individuation, they can not maintain stable reactions on inter-personal relations as well as relations between mother-and daughter-in-law and this makes the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s-in-law uncomfortable and drive them into conflicting situation. Based on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by Mahler, churches should provide programs through which mothers-and daughters-in-law could reexperience separation and individuation. And churches should be trusted as a secure base for Christians. Church supervisors should help Christians to grow intrapsychic side and their faith.

      • 인지행동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충동성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정선 대구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인지행동치료 집단프로그램이 비행청소년의 충동성 및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보호처분을 받은 비행청소년 중 피험자24명을 선발하여,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아무 처치도 하지 않는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 2회씩 5주간에 걸쳐 10회기의 인지행동치료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피험자를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검사에 사용된 검사 도구로는 충동성 검사, 공감능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모두 자기 보고식 설문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료의 처리는 집단간 동질성 검사를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전과실시 후의 변화와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2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치료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비행청소년집단이 치료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의 비행청소년보다 충동성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둘째, 인지행동치료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한 비행청소년집단이 치료를 받지 않는 통제집단의 비행청소년보다 공감능력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비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것과 그에 대한 적용 가능성과 유용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는데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에서 훈련된 효과를 현실적 생활과 접목시키기 위해 실생활의 문제상황을 프로그램 과정 중에 풀어봄으로써 직접적이고 현실적인 문제해결을 시도해보았으며, 인지행동치료 집단프로그램이 공감능력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비행청소년들이 인지행동치료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충동성 감소와 공감능력의 향상에 효과를 보았으며, 실천적인 측면에서 비행 청소년의 문제를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으로 다룰 수 있는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The current research aimed to test the effect of the group program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n the impulsivity and empathy of juvenile delinquen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selected as 24 people out of juvenile delinquents, who were submitted to the disciplinary measure of protection, and 12 adolescents were randomly assigned respectively to the experimental group with which the group program was conducted and the control group without any treatment.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 group program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f 10 sessions was conducted two times a week for 5 week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Impulsiveness test and empathy test were conducted with the subjects as test tools used in the pre-post test and all of them were questionnaires of the self-report typ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data processing passed through independent sample t-test so as to verify homogeneity between groups, and Two-way ANOVA was conducted within each treatment conditions,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 and the following condition of this program. In addition,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the resul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Main findings elucidated in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ulsivity of juvenile delinquents who joined the group program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therapy. Secondly, the empathy of juvenile delinquents who joined the group program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therapy. That is to say,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lie in the facts that it proposed the specialized mediation program to adolescents directly associated with delinquency and confirmed the applicability and the usefulness once more. And in order to integrate the effect trained in the program with real life, we tried to solve direct and realistic problems by figuring out problematic situations of real life in the course of the program, and we verified that it could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effect of the group program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n the empathy. Besides, they experienced the effect of the decrease in impulsivi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empathy as juvenile delinquents of diverse types participated in the group program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nd from the practical aspect, we could suggest the alternative to address the issues of juvenile delinquents effectively and practically.

      • 실용음악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의 모색 : 전문대학 실용음악과정을 중심으로

        이정선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에서 사회교육으로서의 실용음악교육은 한국전쟁이 끝나고 사회가 안정기에 들어선 5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었다. 1957년 서울 종로에 일반인을 위한 음악 전문학원으로 세기음악학원이 문을 열었으며, 이어서 종로음악학원 등의 관인 음악학원들이 일반인을 위한 실용음악교육을 시작하였다. 1988년 서울예대에 실용음악과의 전신인 국악과2부가 개설되면서 대학에서의 실용음악교육이 시작되었다. 1994년 수원여대에 대중음악전공이 개설되면서 경쟁적으로 실용음악 계열의 학과가 신설되어, 실용음악, 영상음악, 대중음악, 디지털음악, 방송음악, 포스트모던음악 등의 여러 명칭으로, 지금은 13개의 전문대학과 7개의 4년제 대학, 2개의 대학원 등을 합하여 1년에 1,170명의 신입생이 실용음악을 전공하고 있다. 1998년에는 일반계 고교의 위탁교육기관인 아현직업학교에 고등학교 교육과정으로 실용음악교육이 시작되었다. 이렇게, 실용음악이라는 용어가 우리 귀에 들리기 시작한지 십여 년이 지났으나, 실용음악교육에 대한 논문은 고사하고 기초적인 연구나 조사조차 되어 있지 않은 것이 우리의 실정으로, 본격적으로 발전단계에 들어서고 있는 학문인 실용음악교육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실용음악교육의 문제점을 전문대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실용음악교육의 방향을 발전적으로 모색하고자 하였다. 1988년부터 2000년까지의 서울예대 실용음악과의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강의의 주체가 되는 교․강사의 변동이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미국의 버클리(Berklee) 음악대학의 재즈이론 교재를 대부분의 이론과목의 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점,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그리고, 경인 지역 모든 대학의 실용음악계열의 학과 교육과정에서 그런 문제점은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버클리음대 출신의 강사들이 대부분 학교의 실용음악 이론교과를 담당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실용음악교육은 재즈 이론교육으로 시작되었고, 그것은 실용음악의 다양한 발전을 막는 또 다른 문제점이다. 한편, 서울예대 이후에 생겨난 여러 실용음악과의 교수 자원은 서울예대에 출강하던 강사들이었고, 그것은 여러 학교의 실용음악 교과과정이 비슷한 내용으로 진행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런 실용음악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과 발전방안으로 다음의 몇 가지를 제안한다. ○ 중고등학교에서부터 실용음악을 교육하거나, 특별활동시간에 ‘실용음악부’를 운영하거나, 예술고등학교에 미술전공, 음악전공처럼 실용음악 전공이 필요하다. ○ 세계로 진출하기 위해, 한국적인 실용음악 교육이 필요하다. ○ 한국적인 대중음악 이론과 가요작법에 대한 이론서의 개발이 시급하다. ○ 실용음악 계열의 학과는 갈수록 많아질 것인데, 부족한 교사․교․강사자원의 확보를 위해, 교육대학 음악과에 실용음악 과목의 신설을 제안한다. ○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대학의 실용음악교육을 위하여, 지금의 ‘실용음악과’가 아닌 ‘실용음악학부’로의 확대를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