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지-이완 기법과 관절가동술이 어깨 유착성 관절낭염 수술 환자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종찬, 정이정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유지-이완 기법과 관절가동술이 어깨 유착성 관절낭염 수술 환자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들은 유착성 관절낭염 수술 환자 45명으로 유지-이완 기법을 병행한 능동운동 관절가동술군(n=15)과 능동운동 관절가동술군(n=15), 대조군(n=15)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유지-이완 기법과 능동운동 관절가동술군은 유지-이완 기법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과 능동운동을 가진 관절가동술을 병행하여 중재하였다. 유지-이완 기법과 능동운동 관절가동술군은 어깨 굽힘과 외회전을 위한 유지-이완 기법 6회, 15분/일, 3회/주, 4주를 실시하였고, 어깨 굽힘과 외회전을 위한 능동운동을 가진 관절가동술 15회, 3세트/일, 3회/주, 4주간 총 12회 실시하였다. 능동운동 관절가동술군은 능동운동을 가진 관절가동술을 15회, 3세트/일, 3회/주, 4주간 총 12회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병원 내에 일반적인 중재를 30분/일, 3회/주, 4주간 총 12회 실시하였다. 실험 전과 실험 후 어깨 관절 굽힘 가동 범위(range of motion)의 변화와 운동수행 시 어깨 굽힘근 근력과, 시각 상사 척도(visual analogue scale), 어깨 통증과 기능 장애 척도(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유지-이완 기법을 병행한 능동운동 관절가동술군이 능동운동 관절가동술군과 대조군보다 어깨 관절 굽힘 가동 범위, 어깨 굽힘근 근력, 시각 상사 척도, 어깨 통증과 기능 장애 척도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으며(p < 0.05), 능동운동 관절가동술군이 대조군보다 어깨 관절 굽힘 가동 범위에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p < 0.05). 본 연구를 통하여 유지-이완 기법을 병행한 능동운동을 가진 관절가동술은 어깨 유착성 관절낭염 수술 환자의 어깨 관절 굽힘 가동 범위, 어깨 굽힘 근력, 시각 상사 척도, 어깨 통증과 기능 장애 척도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유지-이완 기법과 능동운동을 가진 관절가동술은 어깨 유착성 관절낭염 수술 환자에게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로 제시 할 수 있겠다.

      • 1950-60년대 서울 도시계획의 수립과정과 의미 : 일제 시기 도시계획의 유산과 관련하여

        정이정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해방 이후 종합적 도시계획으로 입안된 1966년 서울도시기본계획이 일제 시기 도시계획학 이론과의 연속성을 가지고 구상되는 과정에서 정권의 변화에 따라 수립되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950년 6·25전쟁의 발발로 파괴된 수도를 재건하려는 움직임에서 등장한 ‘대서울 계획’은 실현성 없는 가공의 계획이었지만, 한강 이남지역을 포괄하는 구상으로 등장했다. 1950년대 중반에 이르러 일제 시기 일본인 도시계획가에게 도시계획학 지식을 학습했던 주원을 비롯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대서울 계획이 구상되기 시작했다. 주원을 중심으로 구축된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위원회는 일제 말기 전쟁 수행의 동원수단으로 강조되었던 국토계획 이론을 기반으로 한 도시계획을 구상하였다. 이는 당시 국토계획이 경제자립의 수단으로서, 국토를 개발하여 자원을 활용하고자 하였던 시대 상황과 맞물리면서 나타난 것이었다. 경제개발계획수립을 목적으로 부흥부 산하에 설치된 산업개발위원회가 국토계획도 함께 다룰 것으로 기대했지만 경제개발계획에 대해 주안점이 두어져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한 인적·지적 재원이 부족했던 상황도 국토계획이 구상되지 못하는 원인이었다. 한편 민간에서는 주원을 중심으로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 산업개발위원회, 사회·경제계 인사 몇몇이 모여 대한국토계획학회를 조직하면서 국토계획을 수립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서울로의 인구집중 현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민주당 정부 시기부터 국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도권을 구상하여 인구를 분산시키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하지만 이때의 사업은 거점 형식의 산발적 시행으로 인해 비판을 받았다. 국토개발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던 박정희 정부에 이르러서 본격적인 국토·지방계획 구상이 시도되었다. 서울을 광역적인 견지에서 바라본 수도권 구상을 기반으로 하여 서울의 행정구역이 확대될 수 있었다. 서울시와 건설부는 지속적으로 서울중심 광역도시계획과 수도권 광역도시계획을 구상하였다. 이는 수도권 건설에 따른 도시계획 수립과 경제발전을 위한 국토계획의 차원에서 광역도시계획을 구상한 것이었다. 이 과정 속에서 경인방면과 남서울지역으로 인구가 분산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966년 대한국토계획학회에 의해 해방 후 최초의 종합적인 계획인 서울도시기본계획이 수립되었다. 서울도시기본계획은 인구의 균형 있는 분산과 경제개발계획 하에 계획된 것으로, 도심의 기능을 부도심에 이전, 도심과 부도심을 잇는 방사환상형 교통망, 한강이남지역으로의 인구 분산이 계획되었다. 하지만 계획에서 20년 후의 목표인구로 제시했던 500만 명이 1970년에 들어 상회하였고, 국토종합개발계획의 수립과 함께 대한국토계획학회는 재조정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 이처럼 1966년 발표된 서울도시기본계획은 1950년대부터 꾸준히 논의되었던 대서울 구상에서 비롯하여 일제 시기 도시계획학 이론을 학습했던 지식인을 중심으로 시대 상황과 맞물려 계획된 것이었다. 이때 계획안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난 인구의 분산과 균형적 발전은 결국 국토계획의 목표인 균형적인 분산, 더 궁극적으로는 정부의 시책이었던 경제성장에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1966 Seoul Urban Basic Plan, which was drafted as a comprehensive urban plan after the Korean liberation, wa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regime in the process of being conceived with continuity with the theory of urban plann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Great Seoul Plan’, which appeared with the objectives of rebuilding the capital destroyed by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1950, encompassed the area south of the Han River, although it was an imagined plan that was not feasible in reality. In the mid-1950s, it began to be conceived by Zew Won(朱源) and his colleagues, who learned urban planning knowledge from Japanese urban plann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Urban Planning Committee, led by Zew Won, envisioned an urban plan based on the national land planning theory which was emphasized as a means of mobilizing the war during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is was related to the situation of the time when national land planning was used as a means of economic independence to develop resources. The Industrial Development Committee, established under the Ministry of Reconstruction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economic development plans, had been expected to cover national land planning as well. However, the committee only focused on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s and lacked human and intellectual resources to establish land development plans. Meanwhile, in the private sector, Zew Won and his colleague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Urban Planning Committee, Industrial Development Committee, and political and business circles organized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and started to develop land plans. In response to the acceleration of population concentration in Seoul, the Democratic Party government aimed to disperse the population by envisioning the metropolitan area as part of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 project. However, these projects were criticized for their sporadic implementation of the base method.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who shared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national land development, attempted to come up with a full-scale national land and regional plan. Thus, Seoul's administrative districts could be expanded according to the metropolitan plan that took a comprehensive view on Seoul.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continued to envision the Seoul-centered metropolitan city plan and the metropolitan area plan, which were parts of the national land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urban planning and economic development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metropolitan area. In this process, it was expected that the population would be dispersed to the Gyeong-in and Southern Seoul areas. In this regard, the Seoul Urban Basic Plan, the first comprehensive plan after the Korean liberation, was established by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in 1966. For a balanced distribution of popul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plan, the Seoul Urban Basic Plan aimed to transfer the functions of the downtown to the sub-downtowns, and planned the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to the area south of the Han River and the construction of the radial annular transportation network connecting the downtown and sub-downtowns. As the Seoul population exceeded 5 million people that had been proposed as the target population 20 years later in 1970, however, the Korea Planner’s Association established a readjustment plan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rehensive national land development plan. As such, the Seoul Urban Basic Plan, announced in 1966, was planned in line with the situation of the times, centered on intellectuals who studied the theory of urban plann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started with the Great Seoul Initiative, which had been continuously discussed since the 1950s. At this time, the goals of population dispersion and balanced development that appeared in the plan aligned with the balanced dispersion, which was the goal of the general national land plan, and ultimately, economic growth, which was a government policy.

      • 초기 편마비 환자에서 손목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특성

        정이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기 편마비 환자의 손목에서 표면근전도 분석과 상지의 기능수준 (Fugl-Meyer motor assessment: FMA) 평가를 통해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특성들을 알아보고, 임상적인 치료방법의 기초를 제안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원주 기독병원에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중 발병후 3개월 미만인 13명과 원주시에 거주하는 대조군 7명이었다. 근수축 개시 및 종료의 지연과 중앙주파수분석은 표면근전도를 이용하여 손목굽힘근과 손목펴짐근에서 손목관절의 굽힘과 폄동작시 3 sec.의 근전도 신호음에 따라 가장 빠르고 강하게 최대 등척성 수축과 이완을 하여 신호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편마비 환자의 환측은 건측과 대조군에 비해 손목관절 굽힘과 폄동작에서 근수축 개시 및 종료가 유의하게 지연되었으며, 개시보다 종료가 더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또한 환측은 건측과 대조군에 비해 근수축 개시 및 종료 구간의 중앙주파수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환측과 건측에서 종료 구간이 개시 구간보다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FMA는 손목관절의 굽힘과 폄동작에서 근수축 개시의 지연과 근수축 개시 및 종료 구간의 중앙주파수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폄동작에서 근수축 개시의 지연과 근수축 개시 구간의 중앙주파수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즉, 뇌손상으로 인한 근수축의 민첩성과 효율성의 저하는 근육의 개시 및 종료의 반응 시간과 운동단위 동원의 장애때문임을 알 수 있었으며, 편마비 상지의 기능수준과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초기 뇌졸중 환자의 근약화는 상지의 기능 저하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앞으로 운동조절과 연관되어 기능적인 회복을 유도할 수 있는 근수축의 민첩성 훈련과 근섬유 동원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치료방법들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between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muscle contraction through surface electro-myographic (sEMG) analysis and Fugl-Meyer motor assessment (FMA) and to propose the basis of clinical treatment for search problem in early hemiparetic upper limbs. Thirteen patients who had stroke less than 3 months and seven age-and sex-matched control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elay and median frequency (MDF) in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muscle contraction were recorded from wrist flexor and extensor muscles using the sEMG, in 3 seconds beeper signals, during maximal isometric wrist flexion and extension. It must be done as fast and forcefully as possible.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1) Onset and offset of muscle contraction were significantly delayed on the more paretic than nonparetic and control sides. 2) Offset was significantly delayed than the onset on the paretic sides. 3) MDF of onset and offset sec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on the paretic than nonparetic and control sides. 4) MDF of offset se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on the paretic and nonparetic sides. 5) FMA shows the correlation of onset delay and MDF of onset and offset section in wrist flexion and extension. Onset delay of wrist extension implies the correlation of MDF in onset section. Consequently, this study showed that abnormal delay of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muscle contraction, and the lowering of the MDF are due to the hemiparetic wrists motor impairment and muscle weakness. These results are also related to FMA scores in hemiparetic upper limb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since muscle weakness of early stroke patients affects the functional decrease of upper limbs, further studies must be focused on treatment to improve muscle agility and muscle fiber recruitment efficiency that can induce the functional recovery correlated to motor control.

      • Effect of the knee joint tracking training in closed kinetic chain condition for stroke patients

        정이정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6 국내박사

        RANK : 247615

        This study tested the hypothesis that the method of knee-joint-tracking training for stroke patients induces significant motor learning effects. Six stroke patients and six age-matched healthy subjects were recruited. The tracking task involved following computer-generated sine waves of changing frequency (0.2, 0.3, or 0.4 ㎐) for each repeating cycle with a plot of the knee-joint angle on a computer monitor as closely as possible. The closed-kinetic chain set involved standing with both hands placed on a support table, with one foot placed on a wooden box and the other foot placed on a digital body-weight scale. The sessions in this study were performed in the following sequence: practice, pretest evaluation, 4 weeks of training, and posttraining evaluation. The tracking performance was evaluated with the accuracy index (AI) score. Tracking training produced a significant improvement not only in the motor functional status but also in the AI score of the stroke-patient group. The improvement in their AI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at of the healthy group. Tracking protocol of this study exerted a significant training effect in stroke patients. This training will enhance motor skill acquisition and possibly contribute to cortical reorganization.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위한 무릎관절 추적 훈련 방법이 운동학습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연구대상자는 6명의 뇌졸중 환자들과 유사한 나이의 건강한 대조군 6명이었다. 추적 과제는 컴퓨터 모니터상에서 다양한 주파수(0.2, 0.3, 0.4 ㎐) 변화를 이용한 반복적인 주기의 준거 사인파와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한 무릎관절 각도의 반응선의 움직임을 말한다. 닫힌 고리 설정은 테이블에 양손을 지지하고, 한발은 나무 상자 위에 올려 놓고 다른 발은 디지털 체중계 위에 올려 놓은 상태로 서있게 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연습, 훈련 전 평가, 4주간 훈련, 훈련 후 평가의 순서로 수행되었다. 추적 수행력은 정확도 지수로 평가되었다. 그 결과 추적 훈련은 뇌졸중 환자군의 기능적 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정확도 지수에서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환자군에서 정확도 지수의 증가는 정상군에서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추적 훈련 방식은 뇌졸중 환자에서 유의하게 훈련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이러한 운동 기술 습득을 강화시키는 훈련이 뇌의 재조직화에 기여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중국 대학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 및 동아리활동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이정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15

        대학생의 학교적응은 대학에서의 학업성취뿐만 아니라 심리적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학교적응 수준을 파악하고, 대학생들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각 영향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실증하는 것은 학교적응 수준을 제고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허베이성에 위치한 4년제 공립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 구조방정식모델을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동아리활동, 사회적지지, 그리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결과를 살펴보면, 대학생활에서의 학업 및 장래문제에 관한 스트레스는 학업적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제문제, 가치관문제, 친구관계, 이성관계, 교수와의 관계 그리고 가족관계에 관한 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들의 동아리활동 참여,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적응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스트레스와 동아리활동은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여 대학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실증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대학생들이 동아리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대학을 비롯한 외부환경의 사회적 지원 증대를 제안하였다. 따라서 대학과 교육 관련 정부기관은 대학의 교육환경을 적극적으로 개선하고 사회적 지원을 확대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를 완화시키고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university stage is a crucial stage of students' growth. Whether university students can adapt to university campus life is essential in determining whether they can achieve growth in the university stage. School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ffects their learning gains in university and affects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university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d the way each influencing factor affects university students' school adaptation to improve the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school adaptation.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49 students from the University of H, a four-year public university in Hebei Province, China, and constructed a structural model by selecting four variables: university life stress, club activitie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ity life stress and club activitie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s well as verified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stress, club activities,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life stress can directly affect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nd the stress from academic issues and future Issues in university life can increase academic adaptation i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hile the stress from economic issues, value issues, same-gender-friends, opposite-gender-friends, professor issues, and family issues can decreas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Second,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can directly influence and improv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ird, social support can directly influence and enhanc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Fourth, university life stress and club activities positively affect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through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university life stress, club activities,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basis for improving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university students should increase the positive resources of social support they have with the external environment by increasing their participation in club activities. In addition, both the university and the government should give great attention and action support, actively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increase the investment of social support to reduce the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life so that they can adapt to university life be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