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아의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 적용 효과

        김은아 원광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tiated teaching & learning to the young children at the age of 1 on the basis of the evaluation of their development. In addition,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result of this individualized instruction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oddlers and teachers and the way of behavior of each toddlers observed.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roposed: 1) What is the effect of th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ssessment of toddler's development on their development? 2) What is the effect of th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ssessment of toddler's development o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toddlers? 3) What is the effect of th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ssessment of toddler's development on the play behaviors of the toddlers? To address these questions, a total number of 20 toddlers at the age of 1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from two childcare centers - A and E - in D metro-politan city. The toddlers were assigned to two classes and each class consisted of 10 participants. These two classes differed with regard to childcare center and the way of teaching & learning. The 10 subjects from A childcare center were given 'Individualized care and education' as an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ther 10 toddlers from E childcare center were cared in traditional standardized way as a controlled group. At first, to assess the extent of the participants' development, 'Instrument to evaluate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provided by Lee, Y.J., Lee, J.S., Shin, Y.S., Kwak, H.R., and Lee, J.W. (2001) was used.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their toddlers, ORCE developed by NICHD(1996) was adopted. In addition, a checklist edited by 2 specialists in young children education was accompanied to take a close look at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in their care. The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PC 11.0 through a Window program using the methods of M, SD, t-test, frequencies, percentage, and chi-square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ssessment of toddler's development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ir development. Particularly, that effects were significant in the sub-areas of physical movement, the cognition and the self-helping skills. Second, th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ssessment of toddler's development increased the positive interaction of teachers to toddlers. Particularly, that effects were significant in the teachers' responsive behaviors, telling or questioning, and behaviors to stimulate their toddlers' cognitive, social development. Lastly, Th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ssessment of toddler's development encouraged the toddlers to be involved in more play.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dividualize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ssessment of toddler's development' is a key factor for toddlers whose developmental states are very various to have an appropriate care and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own developmental stages and speeds.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 영아의 발달평가에 기초하여 발달에 적합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을 고안?실시함으로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활동 과정에 서 변화되는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 및 영아의 놀이 행동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이 영아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 을 미치는가? 2.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이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이 영아의 놀이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A어린이집과 E어린이집의 만 1세 영아반 각 2학급, 학급 당 5명씩 총 20명의 영아와 그들의 담임교사이다. 그 중 A어린이집을 실험집단으로 E어린이집을 비교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으며, 실험 집단인 A어린이집의 영아들에게는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활동을 16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발달을 평가하기 위해 ‘출생 - 3세용 AEPS 검사 (Bricker, 1993)’를 참고로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 곽향림, 이정욱(2001)이 개 발한 ‘교사 평정용 영아발달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교사의 긍정적 상호 작용 행동 및 영아의 놀이 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보육시설의 질을 관찰 측정하 기 위하여 NICHD(1996)에서 개발된 ORCE(Observation Record of the Care Environment) 중 교사의 긍정적 상호작용 행동과 영아의 개별 놀이행동에 관한 내용을 발췌하여 연구자가 수정하고 유아교육을 전공한 전문가 2인의 내용타당 도를 검증받은 관찰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 분석을 위해 SPSS/PC 11.0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른 구체적인 자료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발달 평정 결과에 대해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 며, 두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사전에서 사후로 증가한 점수 증가분에 대 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이 교사의 상호작용 행동과 영아의 놀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관찰의 빈도와 백분율 (%),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은 영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으며, 특히 영아의 자조기술, 신체운동, 인지 발달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 둘째,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은 교사의 긍정적 상호작용 행동 증가에 효과적이다. 특히 영아의 언어에 반응하고 영아의 행동을 촉진하는 반응적인 행동과 영아에게 질문하거나 이야기하기, 인지적?사회적 발달을 자극하 는 자극 행동의 상호작용 행동 증가에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은 영아의 놀이 행동의 증가에 효과적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발달평가에 기초한 개별화 교수-학습 활동이 동일 연령 내에서도 발달의 차이가 급격한 영아들에게 적합한 교육과 보호를 제공해 주기 위한 핵심적 요소가 됨을 알 수 있다.

      • 民法上의 遺留分과 返還請求에 관한 考察

        김은아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人間은 生前行爲 혹은 死後行爲로 자신이 소유하였던 재산의 귀속을 결정할 수 있는데, 만일 個人에게 무제한적인 財産處分의 自由를 인정한다면 그로 인하여 一定範圍의 親族이 不利益을 당할 염려가 있다. 특히 家長이 그가 소유하고 있었던 재산의 전부를 家族構成員이외의 者에게 贈與 또는 遺贈을 하고 死亡한다면, 그를 중심으로 형성된 家共同體의 構成員의 생계유지는 어렵게 되고, 이들의 扶養問題는 社會的인 問題로까지 발전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個人의 財産處分行爲에 대해서 일정한 제한을 가할 필요가 있다. 일찍이 로마에서는 遺言의 自由가 인정되었고, 그 결과 被相續人은 相續財産을 무제한적으로 처분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상속인에게 不利益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자, 被相續人이 相續財産 가운데에서 一定比率을 相續人에게 남겨 주도록 하는 義務分思想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義務分思想은 철저한 家産思想을 바탕으로 被相續人에게 相續財産處分에 대한 自由를 인정하지 않았던 게르만社會에도 영향을 미쳐서 被相續人이 相續財産 가운데 一定比率에 대하여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自由分思想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로마의 義務分思想 및 게르만의 自由分思想은 이후 近代의 遺留分制度의 형성에 밑거름 되었고, 현재 英美法系를 제외한 대다수의 國家는 遺留分制度를 民法에서 채택하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朝鮮時代에는 家産思想과 祖業思想 및 儒敎的 倫理觀의 영향으로 被相續人은 相續財産을 반드시 相續人에게 승계 하여야 했기 때문에 遺留分이라는 개념 그 자체는 존재할 이유가 없었다. 그러나 日帝時代 및 1977年 民法의 一部改正에 의하여 遺留分制度가 法律上 인정되기 이전에는 被相續人의 무제한적인 財産處分行爲를 하여도 遺留分이라는 慣習 그 자체가 없다는 이유만으로 相續人은 不利益을 감수하여야만 하였다. 이러한 遺留分否認論은 우리 나라가 民法制定時 遺言의 自由를 철저히 인정한 결과 相續人의 相續上 地位를 더욱 침해할 우려를 낳았으며, 그 결과 遺留分制度에 대한 立法化가 절실히 요구되었다. 그래서 1977年 民法의 一部改正時 이와 같은 요구에 응하여 民法 第1112條에서 第1118條에 이르는 7個의 條文으로 遺留分制度를 규정하게 되었다. 그러나 民法上 遺留分制度와 관련한 條文은 制度의 目的 및 機能面에서 매우 빈약하여 그 적용상 문제를 발생할 소지가 다분히 존재하고 있다. 특히 民法이 규정하고 있는 遺留分의 法的 性格이 무엇인지 즉 民法上 遺留分制度가 로마型 遺留分制度인지 아니면 게르만型 遺留分制度인지 불분명하기 때문에, 실제 그 적용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本 論文에서 우리 民法上의 遺留分의 法的 性格을 밝히고, 遺留分制度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遺留分返還請求權의 적용상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해결을 시도해 보았다. 우선 第2章에서 遺留分制度의 沿革的 基礎를 바탕으로 하여 獨逸, 프랑스, 日本의 立法例를 살펴보고, 로마型 遺留分制度와 게르만型 遺留分制度의 法的 構造를 분석하여 우리 民法上 遺留分制度의 法的 構造를 밝힐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보았다. 그리고 第3章에서는 우리 民法이 遺留分制度를 계수하게 된 배경과 民法上 遺留分의 法的 構造가 게르만型 遺留分制度를 바탕으로 하여 로마型 遺留分制度를 가미한 것임을 규명하면서, 우리 民法上 遺留分制度의 몇 가지 특징을 정리해 보았다. 第4章에서는 遺留分制度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遺留分返還請求權의 法的 性格과 관련하여 현재 우리 나라에서 논의되고 있는 形成權說과 請求權說을 비교․검토함으로써 返還請求權이 形成權이라는 나름대로의 結論을 도출해 보았다. 그리고 遺留分制度를 적용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것을 보완하기 위한 解釋論 및 立法論을 제시하였다. 遺留分制度는 우리 사회의 家族制度가 大家族主義에서 小家族主義로 변화함에 따라서, 그리고 資本主義의 發達에 따라 相續財産이 高額化되고 있는 현실에서, 또한 과거의 儒敎的 倫理觀의 變化와 個人의 權利意識向上에 의하여 점차 被相續人의 遺留分權利者의 遺留分을 침해하는 行爲에 대한 제재로써 그 기능이 중요시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모든 상황들을 종합하여 볼 때 머지않아 遺留分과 관련한 相續問題의 증가가 예상되므로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고전문학에서의 수행평가 모형 연구 : 고등학교 국어(상)을 중심으로

        김은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생들의 고전문학에 대한 이해와 감상 능력을 신장시키고 고전문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며 실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고전문학에서의 수행평가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실천·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I 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II장에서는 수행평가의 일반적 개념을 제시하고 고전문학에서 수행평가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고전문학에서 수행평가는 고전문학 작품이 지니는 현재적 가치를 알고 그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선인들의 정서와 미적 감수성을 체험하기 위해서 필요하며 고전문학 작품을 감상하는 능력 및 고전문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고 애정을 길러주기 위하여 필요하다. III장에서는 고전문학에서의 수행평가 모형을 제시하였다. 실제 모형을 제시하기 전에 수행 평가를 위한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탐색을 하였는데 교수-학습의 기본 방향은 당대의 삶의 정서를 이해하고 오늘날의 관점에서 재해석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수-학습 방안을 바탕으로 실제 작품에 대한 수행평가 모형을 연구하였다. 「차마설」은 중심생각과 중심내용을 만화로 표현하기,「청산별곡」은 모방시 쓰기, 「관동별곡」은 감상문 쓰기, 「안민가」는 화답편지 쓰기, 「허생전」은 학습신문 만들기를 하였다. IV장에서는 수행평가 과제가 학생들의 고전문학 작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에게 소감문 형식의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수행평가 과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행평가 과제가 학생들이 고전문학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학생들은 각각의 평가 과제가 작품을 재미있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고 응답하여 수행평가 과제가 고전문학 작품을 이해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수행평가 과제가 학생들의 고전문학 작품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관심을 갖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평가과제가 재미있게 고전문학 작품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라는 반응을 많이 보이고 있다. 이것은 학생들 스스로 고전문학 작품의 의미를 깨닫도록 하는데 수행평가 과제가 도움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이렇듯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행평가 모형이 고전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문제점을 갖는데 그것은 고전문학 작품의 본질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과 작품에 대한 진지한 접근이 어렵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고전문학 수행평가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행해져야 한다. 고전문학에 대한 수행평가 모형의 연구는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고전문학 작품에 대한 이해·감상하는 능력을 신장시키고 고전문학 작품에 대한 애정을 갖게 하여 고전문학 작품을 즐겨 읽는 태도를 기르게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presents a new instruction model which elevates student's appreciative ability, makes students more interested and motivated to learn classical literature, and gives a desirable model for performance evaluation available in real classroom situations. Chapter I shows the purpose and method for this thesis. Chapter II presents the general idea of performance evaluation and the necessity for performance evaluation in teaching classical literature. The study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performance evaluation is highly helpful for students to recognize the value of the classical literature which still exists in contemporary times and to sympathize with their ◁중간원문누락▷ Despite the performance evaluation tasks have many positive effects, there are still some controversial points; that is, they can go astray from the main subject and fail to appreciate the essence of the classical literature. To solve these problems, further study should be made about the performance evaluation tasks.

      • 성인애착 안정, 자아존중감, 직관적 섭식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김은아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성인애착 안정, 자아존중감, 직관적 섭식이 외모수용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성인애착 안정과 외모수용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직관적 섭식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성인애착 안정과 외모수용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직관적 섭식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는지를 확인하였다. 대학생 3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 분석에 사용하 였고, 자료 분석에는 SPSS 23.0과 AMOS 22.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 안정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 지며, 직관적 섭식과 외모수용도 높아졌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직관적 섭식이 높아지고, 외모수용이 높아졌다. 셋째, 직관적 섭식이 높을수록 외모수용이 높아졌다. 분석 결과 본 연구모형은 연구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성인애착 안정과 직관적 섭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자아존중감과 외모수용 관계에서 직관적 섭식도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이 성별에 따라 경로계수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본 연구결과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self-esteem and intuitive ea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ure Adult Attachment and Appearance Appreciation. On the basis of extant literatur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ㄷㅌfects of Self-esteem and Intuitive ea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ure Adult Attachment and Appearance Appreciation. And confirm if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variable factors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gender. A total of 391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s 22.0.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Secure Adult Attachmen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esteem, Intuitive eating and Appearance Appreciation. Second, Self-esteem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uitive eating, and Self-esteem affected positively Appearance Appreciation. Third, Intuitive eating positively affected Appearance Appreciation. Results of the structural model indicated that the model fit the data well, The relationship between Secure Adult Attachment and Intuitive eating was partially mediated by

      • 1970~1980년대 재미 한인사회의 '한국학교' 운영과 한인 정체성 형성

        김은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s the construction of Korean Identity in Korean-American society by studying the process of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schools and their curriculums from 1970s to 1980s. The Korean schools was established for helping young Korean-Americans grow their Korean identity with Korean language programs, history classes, and cultural education plans. The process of forming Korean identity also related to the immigration acts and education policies that both the United States and Korean governments set after experiencing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in early 1960s. During the 1960s, the United States was witnessing drastic changes in terms of racism discourses. Ever since its establishment, the 'American identity' had strongly reflected with white majority perspective. Throughout the years the minorities including African Americans and Asians had protested against such identity. The historical events like the court case of Brown vs. Topeka board of education, Montgomery bus boycott, or Greensboro sit-in encouraged the social movements. As a result, U.S. government passed numeral laws and acts to make a peace with the protestors and reunite the society. Among those attempts, the reform in immigration policies and educational system were two of the most distinctive changes. Before 1960s, U.S. still held its limited immigration policy, especially for Asians and Latin Americans. However, the its preference soon met the change due to the World War II, Cold War era, and human rights movements. For example, as it revised the immigration acts in 1965, U.S. government decided to delete the parts that might be considered discriminative. Furthermore, the government provided more space for each region, which led to significant increase in immigration. The Bilingual Education Act of 1968 (BEA) that recognized education of minority languages and allowed minorities to be hired as teachers was the outcome of U.S. government's intention. However, because of lack of budget and supports from several states, the act couldn't be able to function as it was supposed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officially enacted its first immigration law by passing the Immigration Act of 1962. At that time, over growth in population already became a social problem in South Korea. To solve the problem, South Korean government decided to have people immigrated through the Immigration Acts. People in South Korea also saw the enactment as an opportunity to live a new life. These 'new' immigrants from South Korea had differences in many aspects from what those who already lived in the States before the immigration law was enacted, such as reasons to immigrate or perspectives about educating ethical identity. The very first generation of Korean immigrants were mostly farmers, workers or independent activists, while those who came after 1962 were mainly from middle class. Thus, their educational goals for younger generations were not just teaching about Korean heritage, but also general knowledge that would help them live in the society as global citizens. In the beginning, Korean society started its education programs almost without central agencies. Mostly the religious communities within the society took the responsibility, or even just home-schooling. In 1970s, the Korean society decided to reorganize the Korean education system, which led to establishment of Korean schools. As the numbers of these schools increased, the society decided to gather them up and founded central agencies called the National Association of Korean Schools (NAKS) and the Korean School Association of America (KOSAA). With these agencies, the Korean society could provide more systemic education and better curriculums. Ever since 1970s, Korean immigrants had been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educating their children. They wanted their children to be members of U.S. society, but also to hold Korean identity. According to the official goals and purposes of NAKS and KOSAA, the Korean schools educated the younger generations so that they could be practical: maintaining the identity as both Koreans and Americans and being able to appreciate their cultures and languages. 본 논문은 1970~1980년대 재미 한인사회의 한국학교 설립, 운영과정, 그리고 한국학교 교육을 통한 한인 정체성 형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재미 한국학교 교육은 재미 한인 자녀들에게 한국어, 한국 역사, 문화 교육을 통해 민족 정체성을 확립시켜주고, 더불어 미국 사회에 적응하고 미국 주류사회로 진출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재미 한국학교 교육과 한인 정체성 형성은 1960년대 미국과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의 변화를 통해 제정된 이민 정책, 교육 정책과 연관지어 살펴볼 수 있다. 1960년대 미국은 전쟁과 다양한 민권운동으로 인종차별담론에 있어서 변혁이 일어나고 있었다. 미국은 이민으로 이루어진 국가라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고, 이로 인해 미국에서 미국적인 것을 확립하고, 미국인이라는 정체성에 대해 논쟁이 있어왔다. 그러나 건국초기부터 현재까지도 미국인이라는 정체성은 백인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미국인 정체성은 미국 내 백인 주류사회를 제외한 흑인을 비롯한 소수민족들에게 끊임없이 저항 받아 왔다. 이것이 1950~1960년대 대표적인 3가지 사건인 브라운대 토피카 교육 위원회 판결과 몽고메리 승차거부사건, 그린즈버러 연좌시위사건을 기점으로 더욱 확대되었다. 이러한 민권운동들을 통해 1960년대 후반부터 민권운동의 대안으로 인종차별을 비롯한 소수 민족 차별을 줄이고, 이를 통해 사회를 통합하고자 하는 여러 법과 제도가 시도되었다. 이 중 주목할 만한 것은 이민법과 교육제도의 변화이다. 1960년대 이전 미국 이민정책의 기조는 이민제한이었다. 특히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 남미 국가출신자들의 이민이 어려웠다. 그러나 2차 대전과 냉전, 민권운동으로 사회가 변화하고 있었다. 그리고 민권운동을 지지했던 케네디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법과 제도에서 인종차별적인 부분들이 바뀌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1965년 이민법이 새롭게 제정되면서 기존의 인종차별적인 부분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국가별 쿼터 설정하고, 7가지 우선순위에 따라 이민자들을 받아들이기 시작했고, 한인들 역시 이를 통해 1970년대 연 1만 여명, 1980년대 연 3만 여명이 미국으로 이민하게 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 학교, 직장, 편의시설 등 모든 시설에서 차별을 금지하는 법과 제도가 만들어졌고, 교육 분야에서도 차별을 금지하게 된다. 그리고 교육 분야에 있어서 이중언어교육법 제정을 통해 소수 민족 출신의 선생을 고용하고, 소수 민족 언어를 가르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법은 실질적인 재정 지원을 받지 못하면서 예산상의 문제가 있었고, 또한 미국 내 여러 주들의 협조를 얻지 못하면서 허울뿐인 정책이 되었다. 이것은 당시 미국 내 법과 제도의 개혁 속에 기존의 동화주의가 내면화되어있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들이었다. 한국의 공식적인 이민법은 1962년에 제정된 해외이주법이다. 이 법은 당시 한국의 정치, 사회, 경제의 변화를 통한 다양한 이민에 대한 논의들을 정리하여 제정한 것이다. 특히 해외이주 정책은 인구 정책과 관련하여 살펴볼 수 있다. 1960년대 인구 증가 문제는 국가의 중요한 시책으로 여겨졌다. 해방 후 젊은 세대의 유입과 전쟁 이후 결혼과 출산붐, 의약품의 보급 등으로 출산율이 증가하고, 사망률이 줄었다. 이로 인해 인구가 폭증하게 되면서 여러 문제들이 야기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잉여 인구를 국외로 내보내서 국내의 실업 문제를 해결하고, 이들을 통해 외화를 벌어들이기 위한 방책으로 이민 정책이 논의되었다. 또한 당시 산업구조 변화로 많은 사람들이 받은 교육과는 맞지 않는 분야인 제조업이나 서비스업에 종사해야 하는 상황이 되면서 이들에게 이민이 하나의 방안으로 거론되고 있었다. 1960년대 미국 이민법의 변화와 한국 이민정책의 제정을 통해 미국에 정착한 재미 한인들은 이전의 한인들과 이민의 이유와 계층이 달랐으며, 민족정체성 교육에 대해 다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1970년대 이전에 정착한 한인들은 빈곤, 강압, 전쟁, 식민지 통치 등의 이유로 이민한 사람들이었고, 주로 농민층과 독립 운동가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이 재미 한인 후세들에게 한국어 교육을 통해 성립하려고 했던 정체성은 민족성이 강조된 민족정체성이었다. 이에 반해 1970년대 이후 정착한 한인들은 한국에서 안정된 경제적 기반을 바탕으로 한 중산층이 주였다. 이들은 교육에 있어 크게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첫 번째는 기존의 한인들과 같이 민족성을 강조한 민족정체성을 확립시켜주는 것이었고, 두 번째는 미국 사회에 적응하고 미국 시민으로 살아가고, 더 나아가 세계시민으로 정체성과 보편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미국 정규교육과 더불어 재미 한국학교라는 교육기관을 세워 자녀들을 교육하고자 했다. 당시 미국 내에서는 이중언어교육법을 통해 소수 민족 학생들이 학교 교육받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그러나 이것은 소수 민족들을 달래기 위한 일종의 상징적 법에 불과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학교와 학생 모두 혼란을 야기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이루어진 재미 한인사회의 민족정체성 교육은 1960년대 교회와 가정에서 이루어지던 한국어 교육에서 발전해 1970년대 한국학교를 세워 좀 더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교육을 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 당시 한인 개신교뿐만 아니라 한인 천주교, 한인 불교 소속 한국학교와 독립 한국학교가 세워졌다. 1970년대 후반 미국 전역에 산발적으로 한국학교가 세워지게 되었고, 1980년대에는 이러한 한국학교들의 연합체인 재미한국학교협의회와 미주한국학교총연합회가 결성되게 된다. 이 두 단체를 통해 한국학교들은 이전보다 더 체계적인 교육을 하고, 또한 교육정책발전을 위해 서로 교류하면서 한국학교 교육의 양적 증가와 질적 성장을 가져왔다. 1970년대 이후 재미 한인들은 미국 내에서 정착하고, 거주하며, 미국 사회로 나아갈 자녀들에 대해 인지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전처럼 단순히 민족정체성만을 강조하는 교육이 아닌 민족정체성과 더불어 미국 주류사회로 진출을 돕고, 더 나아가 세계시민 정체성과 보편성을 가진 민족정체성으로서의 한인 정체성을 확립시켜주고자 했다. 또한 한국어와 영어를 구사할 수 있으며 양국의 문화와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이중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한인을 만들고자 했다. 이것은 1970년대 이후 세워진 한국학교들과 1980년대 설립된 재미한국학교협의회와 미주한국학교총연합회의 설립이념과 교육목표를 통해서도 살펴볼 수 있다. 이것은 기존의 한인사회에서 독립운동과 통일운동, 민주화운동을 했던 한인들이 민족성을 강조한 한인 정체성과는 다른 것이며 1960년대와 1990년대를 잇는 연결점이자 과도기의 한인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양육행동의 매개역할 중심으로

        김은아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영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4.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으로 어머니의 양육 행동이 매개역할을 하는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21년 2월 20일부터 3월20일까지 경남 J시에 위치한 민간, 가정, 국공립 어린이집 15개에 재원 중인 영아 230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00부를 수거하여 그 중 189부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어머니의 IPBI(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MotherForm: Crase,Clark & Pease, 1978)를 토대로 홍계옥(1995)이 번역하고 수정한 IOWA 부모양육행동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공감능력의 척도는 Mehrabian과 Epstein의 정서 공감척도, Davis가 제작한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검사, Bryant(1982)가 제작한 정서공감척도를 박성희(1994)가 번안한 척도를 사용 하였고 영아의 정서지능은 Salovey와 Mayer(1990, 1997) 및 Goleman(1995)의 이론을 근거로 김경희(1998)가 개발한 유아정서지능 척도를 김효진(2005)이 영아용으로 수정된 영아정서지능 척도를 사용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요약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영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어머니의 공감능력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으로 어머니의 양육 행동이 매개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영아의 정서지능에 매개역할을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영아의 내적인 정서지능 발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임임을 확인하였고 영아의 정서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어머니의 공감능력 향상과 어머니의 양육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부모프로그램과 상담프로그램이 많이 지원되고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The Effects of Mother’s Empathy Ability on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the Parenting Behavior Kim, Eun-Ah Department of Childcare & Family Counseling. General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Kim, Jong-Hoon) This study purpose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in the effect of mother’s empathy ability on the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t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Does a mother’s empathy ability have an effect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2. Does mother’s empathy ability have an effect on the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3. Does mother’s parenting behavior have an effect on the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4. Does mother’s parenting behavior a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her empathy ability on the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To conduct this study, from February 20 through March 20, 2021, a survey was conducted with mothers of 230 infants in 15 hom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located in J. City, Gyeongsangnam-do private. 200 copies were collected, and with 189 copies,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mother’s parenting behavior, the Iowa Parent Behavior Inventory-Mother Form (IPBI) adapted and modified by Hong (1995) based on the IPBI-Mother Form (Crase, Clark & Pease, 1978), and for the mother’s empathy ability scale, Mehrabian and Epstein’s emotional empathy scale, and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test developed by Davis, and the emotional empathy scale, adapted by Park (1994), which had been developed by Bryant (1982), and for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the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infants by Kim (2005) was used, which had been developed by Kim (1998) based on the theories of Salovey and Mayer (1990, 1997) and Goleman (199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empathy ability had an effect on her parenting behavior. Second, mother’s empathy ability had an effect on the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mother’s parenting behavior had an effect on the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Fourth, mother’s parenting behavior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mother’s empathy ability on the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a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s a result of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it turned out that her parenting behavior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mother’s empathy ability on the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 mother’s empathy ability and her parenting behavior we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the infant’s inn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 is suggest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support and develop various programs and counseling programs for parents that could improve the mother’s empathy ability and enhance her parenting behavior to enhance the infant’s emotional recognition.

      • 의미추구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의미발견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

        김은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의미추구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발견의 매개효과와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29세 이하 대학(원)생 38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의미추구, 의미발견, 마음챙김, 심리적 안녕감을 포함한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추구, 의미발견, 마음챙김, 심리적 안녕감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미추구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발견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의미추구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건부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arch for mean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presence of meaning, conditional direct effect of mindfulness. A total of 380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d students who aged 18~29 years old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Mindful Attention Awareness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in a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search for meaning, presence of meaning, mindfulness,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presence of mean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arch for mean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mindfulness had significant effect of conditional direct effect between search for mean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se resul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