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교사의 STEAM 교육에 대한 교육적 요구

        강수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 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과 교육적 요구를 분석하여 STEAM 교육 및 교원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STEAM과 관련된 각종 연수를 받은 경험이 있는 전국 초등학교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는 STEAM 교육이 과학 기술에 대한 이해와 수학,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보는 긍정적인 의견이 70% 이상이었으며,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편과 STEAM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을 STEAM 교육에서 요구되는 보완점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7개의 영역과 30개의 하위요소로 구성된 ‘초등 교수 역량’에 대해 ‘STEAM 교육에 있어 인식되는 중요도와 현재 수준’을 분석해 보니, 전 영역에서 현재 수준에 비해 중요도가 높은 값을 보여, 초등 교사들이 STEAM 교육에 대한 교육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7개의 ‘초등 교수 역량’ 영역 중 ‘특질’ 영역의 하위요소인 ‘창의성’ 요소가 중요도 값과 현재 수준의 값의 차가 가장 크게 나타나 교육 요구가 가장 큰 항목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성실’, ‘반성적 사고’ 순으로 교육 요구 값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 교사들이 인식하는 ‘STEAM 교수 역량 개발을 위해 필요한 지원체계’ 요구는 ‘다양한 교수자료 개발 제공’, ‘업무경감을 통한 교수활동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조성’, ‘다양한 연수프로그램/연수비 개발 및 제공’ 등으로 나타났다. 현재, 여러 기관과 시․도에서 STEAM 교육에 대한 연수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으나 본 연구결과와 같이, 여전히 초등 교사들의 다양한 요구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현장 교사의 요구가 반영된 다양한 연수프로그램 및 실제적인 교수․학습 자료의 보급 등이 시급히 필요하다.

      • 간이식 환자의 퇴원 교육에 관한 연구 : 교육 요구도와 이해도

        이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간이식은 최근 의학 기술의 발전 및 면역 억제제의 개발로 인해 말기 간질환자 및 간 대사 장애로 인한 간 질환자들에게 최후의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고 점차 간이식의 횟수와 성공률 또한 증가하고 있다. 간이식 환자들은 다른 수술 환자와는 달리 수술 후 독특한 신체 변화 및 정서 변화를 경험하고 퇴원 후에는 가정 및 사회적응에 적지 않은 부담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이식 환자들의 퇴원 시 교육요구도와 이해도를 조사하여 간이식 환자들의 퇴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간이식 후 1년 이내인 환자로 2003년 4월부터 2004년 4월까지 수술을 받았던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문헌고찰 및 환자면담을 통해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대상자가 퇴원 시점에 교육 받기를 원하였던 것과 퇴원 시점에 의료인에게 받은 교육내용의 이해도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1.5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t-test, ANOVA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이식 환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성별은 남자(66.3%)가 많았고, 연령은 41-60세(82%)가, 학력은 대졸 이상(60.2%)이 가장 많았다. 이식 전 직업이 있었던 경우는 67.5%, 이식 후 직업이 없는 경우는 57.8%였다. 간이식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을 살펴보면 대상자의 81.9%가 이식 전 입원이나 수술 경험이 있었고 대상자의 26.5%가 이식 후 재입원 경험이 있었다. 간이식을 결심 하게 된 기간은 1년 미만(68.7%)이 가장 많았고 간이식에 대한 정보원은 의료인(36.2%)이, 가장 도움이 된 정보 또한 의료(36.1%) 이 가장 많았다. 간이식 환자의 영역별 교육 요구도와 이해도는 질병관련 영역, 약물관련영역, 신체 및 정서 상태영역, 퇴원 후 관리 영역, 영양관련 영역에서 모두 교육 요구도가 교육 이해도에 비해 높았다. 간이식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 요구도와 이해도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른 교육 요구도와 이해도 모두 남자가 가장 높았다. 학력에 따른 교육 요구도는 초등졸이 가장 높았으나 교육 이해도는 중졸이 가장 높았다. 간이식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교육 요구도와 이해도를 살펴보면 교육 요구도는 이식 후 재입원 경험이 있는 경우(t=2.306, p=.024)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높았다. 교육 이해도는 간이식을 결심하게 된 기간별로 보았을 때 1년 미만(t=3.146, p=.035)이 가장 높아 간이식을 결심하게 된 기간이 짧을 수 록 교육의 이해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간이식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영역별 교육 요구도를 살펴보면 이식 후 재입원 경험유무에 따라 질병 관련영역(t=3.857, p=.000)과 퇴원 후 관리영역(t=2.612, p= .011)에서 모두 이식 후 재입원 경험이 있는 경우가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간이식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영역별 교육 이해도는 가장 도움이 된 정보에 대해 퇴원 후 관리 영역에서 '기타'(t=2.823, p=.015)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기타'로는 '주변에 의사를 친구로 둔 친구', '대학 교수', '언론인', '의료인과 친분이 있는 교사' 등이다. 전체적으로 가장 도움이 된 정보는 의료인에 의한 정보였으나 퇴원 후 관리 영역에 대해서는 의료인에 의한 정보제공이 미흡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 간이식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교육 요구도와 이해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어 일반적 특성과는 무관하게 간이식 환자들에게 전반적으로 교육 요구도에 비해 교육 이해도가 유의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교육 요구도는 이식 후 재입원 경험 유무에 따라, 교육 이해도는 가장 도움이 된 정보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간이식 환자의 퇴원 시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여 환자들의 교육 요구에 맞는 교육내용의 개발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개별화 된 퇴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추후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Learning need and patients Comprehen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3 outpatients who have had liver transplantions within the past year and who are enrolled at the Asan Medical transplantation center in Seoul, Korea. A questionaries were performed from April to May in 2004. It consisted of 7 general questions, 5 disease related questions, 24 questions pertaining to the depth of the patient's Learning need and 24 questions pertaining to the depth of the patient's Compression of his or her disea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WIN 11.5 program which includes a real quantity, percentile,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66.3% of the total participates were male. Th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between 41and 60. The subjects with under graduate school diploma were highest percent, over 60.2%. 2.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81.9% of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hospitalization and surgery prior to their liver transplantation. 26.5% of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rehospitalization after their liver transplantation. 3. Results of Learning needs of liver transplantation Learning need related to knowledge of disease is the most and then Learning need related to medication, physical and emotional condition, discharge plan, nutrition. 4. Results of comprehension of teaching given according to period of decision of surgery Period of less than 1 year is the most comprehensi- ve . The more shorter, the more comprehensive. 5.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needs when having the readmissio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rehension about education provided to patients according to the decision time for operation. 6. There was a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needs of knowledge of disease according to the readmitted experie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arning needs about discharge care plan when having the readmission. 7. There was a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rehension about discharge care plan according to the disease characteristics. The most useful information of liver transplantation given to the patients is from Health Care Providers(36.1%). But discharge care plan is not enough to patients. As the results above, the patients's comprehension was lower than the Learning need. There was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gree of the Learning need an comprehension according to the disease characte- ristics. In the future, individualized teaching program an rehabilitation program needs to be developed for liver transplantation according to their need and background.

      • 간호사의 핵심역량 인식과 교육요구 분석

        신효숙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핵심역량에 대한 인식과 교육 참여 정도를 알아보고 핵심역량의 중요성과 수행 수준을 파악하여 교육 요구를 확인해 간호사들의 핵심역량을 높이는데 목적을 둔 실증적 연구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들의 핵심역량과 평생 교육의 인식과 참여는 어떠한가? 둘째 간호사들의 핵심역량 중요성과 역량 수준, 교육요구는 어떠한가? 셋째 간호사들의 핵심역량과 역량별 교육요구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목적을 실행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편의 표집 방법에 따라 C 대학 부속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에게 구조화된 조사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구조화된 조사도구는 핵심역량을 4개의 역량 군( 성취와 행동 역량 군, 대인 영향력 역량 군, 인지 전문성 역량 군, 개인 효과성 역량 군), 11개의 역량 변인, 4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역량 군 별 Cronbach's Alpha을 실시하여 내적 일관성을 확보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통계적인 자료 분석은 기본적으로 양적 연구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에서 얻은 응답은 기술적 통계에 의해 분석되었고, 인식과 참여 정도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역량들 사이의 관계는 Pearson상관계수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이나 학습용어는 잘 알고 있지만, 핵심역량 용어는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 경험은 낮고 역량 교육의 필요성과 참여 의향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역량 중요성에서는 기본간호역량, 성취지향성 역량이 높은 것으로 보였고, 역량수준에서는 기본간호역량, 대인관계역량이 교육요구에서는 기본간호역량, 윤리적 실무역량에서 높게 분석되었다. 역량 중요성과 역량 수준, 교육요구에서 인지전문성 역량군 중 기본간호역량은 세 영역에서 최우선 순위이고 중요성에서는 자질과 태도 영역5문항, 간호전문영역 5문항으로 나타났고, 역량 수준에서는 간호 전문영역 4문항, 자신의 자질과 태도에 관한 영역은 6문항이었으며, 교육요구 순위는 전문 간호 영역 7문항, 자질이나 태도 영역 3문항으로 분석 되었다. 셋째, 역량 중요성, 역량 수준과 교육요구의 상관성에서는 교육요구는 역량 중요성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역량 수준에서는 대인관계역량, 기본간호역량, 윤리적 실무역량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환자 관리 및 교육역량, 자기조절 및 확신역량에서는 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자영농업고등학교 학생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교육요구도

        이영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educational request level for field training in agricultural self-management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769 senor students in agricultural self-management division of agricultural self-management high school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concerning twenty-two question items of five spheres from July 5th through July 23rd, 2007. Out of a total769 questionnaire handouts 472 copies were taken back and with an exception of 58 insincere ones, 414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request level by sphere on field training was averaged 2.8 for planning, 1.98 for method, 1.98 for evaluation, and 1.33 for contents. Second, educational request level on field training by question item tended to be the highest average 3.84 for question item number 2, out of 17, "request level for reflecting the student's wish in an afore stage."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educational request level for field training by student's background variable can be summarized like this. (1) By gender, the general request level mean for girl student was 2.32, higher than for boy student. (2) By department, the general request level for food processing was 2.25, tending higher than the other spheres. (3) By aiming course, the general request level mean for wishing for entrance into an agriculture-part college was 2.47, tending higher than the other spheres. (4) By parent's occupation, it statisticall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5) By school location, the general request level mean for Eup-Myeon area was 2.15, tending higher than the urban area.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to enhance the effects of field training, agricultural self-management high schools should understand the students' request levels for field training at the beginning of a school year via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learners' request. Particularly, for the current agricultural self-management high school, it seems necessary to drive educational support more positively so that the student can take diverse programs selectively according to his request and future hope. Second, the field training program for the agricultural self-management high school can enhance its effect by applying varied methods and content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student's request level by background variable. Especially,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demander-oriented field training program is considered to be absolutely needed so that the field training can be carried on in accordance with the actuality of the locations of current 11 agricultural self-management high schools and each student's aiming course to advance. 이 연구의 목적은 자영농업고등학교 학생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자영농업고등학교 자영농과계열 3학년 학생 769명이었다. 설문조사는 2007년 7월 5일부터 7월 23일 사이에 5개영역 22문항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769부 중 472부가 회수되었고, 그 중 불성실한 58부를 제외한 41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영역별 교육요구도는 계획영역이 평균 2.8, 방법영역이 1.98, 평가영역이 1.98, 내용영역이 1.33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문항별 교육요구도는 17개 문항 중 2번 문항인‘사전단계에서 학생의 희망반영에 대한 요구도’가 평균 3.84로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현장체험학습의 교육 요구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성별에 따라서, 여학생의 전체 요구도 평균은 2.32로 남학생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 학과별에 따라서, 식품가공분야의 전체 요구도 평균은 2.25로 타 분야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진로목표별에 따라서, 농업계열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의 전체 요구도 평균은 2.47로 타 분야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4) 부모의 직업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학교소재지별에 따라서, 읍면 지역의 전체 요구도 평균은 2.15로 도시 지역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자영농업고등학교는 현장체험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학년 초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분석 과정을 통해 학생의 요구도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특히 현재의 자영농업고등학교는 학생이 자신의 요구와 희망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이수할 수 있도록 좀더 적극적으로 교육적 지원을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자영농업고등학교의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은 학생의 배경 변인별 요구도의 차이에 따라 프로그램의 방법과 내용을 다르게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현재의 11개 자영농업 고등학교가 위치한 지역상황과 각 학생의 진로 목표에 맞게 현장체험학습이 진행 될 수 있도록 수요자 중심적인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중등교사의 AI 활용 태도에 따른 AI 활용 수업 설계역량 수준 및 교육요구도 분석

        임민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AI 활용 태도에 따라 AI 활용 수업 설계역량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AI 활용 태도에 따른 집단별로 AI 활용 수업 설계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와 우선순위가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의 AI 활용 태도에 따른 집단별 AI 활용 수업 설계역량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등교사의 AI 활용 태도에 따른 집단별 AI 활용 수업 설계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현직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2023년 7월 2~3주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0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AI 활용 태도를 측정하고, AI 활용 태도에 따른 집단별로 AI 활용 수업 설계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보유도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교육요구가 높은 우선순위 항목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I 활용 태도에 따른 AI 활용 수업 설계역량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중등교사의 AI 활용 수업 설계역량에 대해 공통으로 우선순위가 높은 역량은 ‘학습활동 계열화’, ‘학생 데이터 관리’, ‘데이터 기반 학습 상황 정보 제공’, ‘데이터 기반 학습자 문제 해결 도움’으로 나타났다. 셋째, 설계 영역은 AI 활용 태도가 적극적인 교사 집단에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실행 영역은 AI 활용 태도가 소극적인 교사 집단에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개발 영역의 AI 활용 수업 역량에 대한 중등교사의 교육요구도는 낮게 나타났다. 여섯째, 평가 관련 역량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데이터 관련 역량이 우선순위에 다수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리한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AI 활용 수업 설계역량 개발을 돕기 위해서는 교사가 AI 활용에 적극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AI 활용 수업 설계역량 향상을 위한 교사 연수 또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교사의 AI 활용 태도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교사 교육에서 AI 활용 수업의 평가 사례나 활용할 수 있는 도구에 관한 내용이 필요하다. 넷째, 교사의 데이터 리터러시 개발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사의 AI 활용 태도가 AI 활용 수업 설계역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고, AI 활용 태도에 따라 교육요구도가 다르게 나타남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교육요구도가 교사의 AI 활용 수업 설계역량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미경험학습자의 교육요구분석을 위한 수정모델에 대한 연구 : 스마트교육 교원 역량을 중심으로

        조명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는 교육요구분석과 관련한 연구에서 그 연구대상의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동일한 우선순위결정방안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에 배경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미경험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요구분석에서 보다 타당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수정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요구분석에서 응답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에 중점을 두고, 이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미경험학습자의 중요도 점수가 가지는 의미와 그에 대한 해석, 해결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미경험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요구분석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기존 교육요구분석의 문제점과 한계를 논의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수정 모델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정모델의 타당성과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미경험학습자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스마트교육 교원역량을 중심으로 기존 교육요구도공식의 우선순위와 수정모델의 우선순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미경험학습자와 경험학습자의 교육요구도에 차이가 있는가? 1-1. 미경험학습자와 경험학습자의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1-2. 미경험학습자와 경험학습자의 보유도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1-3. 기존 요구도 공식을 적용한 미경험학습자와 경험학습자의 우선순위에 차이가 있는가? 2. 미경험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요구분석의 수정모델은 무엇인가? 3. 미경험학습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교육요구도는 수정모델과 기존모델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경험학습자와 경험학습자의 교육요구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선행연구들에서 언급한 배경지식에 따른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중요도와 보유도에 대한 순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전체 13개 역량 중 10개의 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다음으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스마트교원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기존에 사용되었던 대응표본 t 검정,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우선 순위부터 3순위까지 살펴보면, 예비교사의 경우 창의적 문제해결, 내용전문성, 대외협력관계 형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현직교사들은 대외협력관계 형성, 평가 및 성찰, 수업설계 및 개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요도 판정에 있어 배경지식과 경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미경험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요구분석을 위한 수정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정모델은 요구분석에서 배경지식이 부족한 학습자의 중요도 점수가 가지는 의미에 중점을 두고, 교육요구분석 연구들에서 두드러지는 문제에 관한 논의와 그 대안을 종합하여 좀 더 유용한 방안을 모색한 결과이다. 셋째, 미경험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요구도는 수정모델과 기존모델의 우선순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 Borich 요구도 공식을 적용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교육요구도 순위와 수정모델을 적용한 예비교사의 교육요구도 순위에 대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된 수정모델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판별근거의 타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정모델을 적용한 예비교사의 교육요구도 순위와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 따른 사분면을 비교한 결과, 교육요구도에서 1위에서 5순위에 속했던 역량(창의적 문제해결, 사회적 능력, 내용전문성, 윤리의식, 열정)이 HH분면 즉, 중요수준과 불일치 수준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기존모델에서는 중요도와 보유도의 불일치 수준이 낮았던 ‘열정’,‘윤리의식’,‘사회적 능력’이 수정모델을 적용했을 때는 높은 요구도 순위와 HH분면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요구분석에서 응답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응답자의 배경지식과 경험이 결과해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다. 다음으로 미경험학습자의 중요도 점수가 가지는 의미와 그에 대한 해석, 해결방안에 대해 국외연구들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미경험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국내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대다수의 연구들이 교육요구분석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문제—단순 선호도 혹은 인식된 요구와 요구의 혼동, 주요 대상 집단의 누락, 우선순위 미제시—들을 내포하고 있었다는 점을 밝히고, 경험학습자와 미경험학습자에게 동일한 우선순위결정방안 적용에 대한 문제점과 한계—배경지식의 고려, 내용의 선택, 집단의 관점고려, 항목의 구성, 결과의 해석 등—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둘째, 미경험학습자와 경험학습자에게 동일한 우선순위결 In recent years, a large number of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however, although the scope of research has expanded, the prioritization method has remained static. This study proposes a modified model for more valid prioritization in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Specifically, this model targets inexperienced learners whose background knowledge is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engages in a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background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target in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It also explores the meaning of importance scores, related issues, and solutions. Furthermore, it investigates trends in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studies in relation to inexperienced learners as a means of discussing the issues and limitations of these studies. A modified model is then proposed as a solution to these limitations. To verify the validity and usability of this model, the priorities of existing formulae for educational needs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modified model, which focuses on teacher competencies for SMART education amongst a sample of teacher candidates who are inexperienced learner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needs of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learners? 1-1.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importance between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learners? 1-2.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competence between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learners? 1-3.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priorities of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learners when the existing educational needs formula is applied? 2. What is the modified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model for inexperienced learners? 3. Do the existing models and the modified model demonstrat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needs of inexperienced learn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needs of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learners were examin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s related to background knowledge (as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importance and perceived competence rankings between teacher candidates and current teachers were verified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10 competencies out of 13.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 candidates and current teachers regarding competencies for SMART education were identified through the following: a paired sample t-test, the Borich formula for needs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mong teacher candidates, the top priority was “solving problems creatively,” followed by “developing specialized content and building external cooperative relationships.” Regarding current teachers, the top priority was “building external cooperative relationships,” followed by “evaluation and reflection” and “class design and development.” The findings reconfirm the significance of background knowledge and teacher experience in determining importance. Second, this study introduces a modified model for the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of inexperienced learners. The model was created after exploring issues with preceding studies, alternative models, and better methods. The model focused on the meaning of importance scores of learners with insufficient background knowledge. Third, the differences in the priorities of the existing model and the modified model, regarding the educational needs of inexperienced learners, were examined. This was achieved by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llowing: the ranking of educational needs of teacher candidates and current teachers based on the Borich formula and the ranking of educational needs of teacher candidates based on the modified model. Nosignificantcorrelationwasfoundbetweenthetwo. Thus, the modified model has validity in terms of determining the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Finally, the following were compared: the ranking of educational needs of teacher candidates based on the modified model and a quadrant based on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Competencies 1–5 in the ranking of educational needs (solving problems creatively, social skills, developing specialized content, ethics, passion) belonged to the HH quadrant. Thus, the level of their inconsistency with importance was high for all competencies. In the existing model, “passion,” “ethics,” and “social skills” showed a low level of inconsistency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and perceived competence. When the modified model was applied, however, these competencies were ranked high amongst educational needs and belonged to the HH quadr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significance. First, theoretical exploration of the background knowledge and experience of respondents revealed that the two aspec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educational need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meaning of importance scores of inexperienced learners in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along with related issues and solutions. Furthermore, trends in domestic studies on inexperienced learners were examined.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The majority of studies demonstrate problems with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identified the issues and limitations in applying the same prioritization method to experienced learners and inexperienced learners. Second, this study has reconfirmed the issues and limitations in applying the same prioritization method to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learners by actually applying the method to teacher candidates who are inexperienced learners. After combining related findings and alternatives, this study has created a modified model for educational needs assessment. Its validity and usability were

      • 대학 취업지도자의 직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김유리 韓國技術敎育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4년제 대학 취업정보실에 근무하는 행정직원을 대상으로 직무분석을 통하여 교육을 필요로 하는 직무영역을 도출해 낸 후, 영역별 세부직무의 교육요구를 분석하고 그 우선 순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현행 취업지도자 직무교육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분석한다. 연구문제 2. 취업지도자 직무분석을 통한 직무영역별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한다. 연구문제 2-1. 근속년수 변인에 따른 직무영역별 교육요구 우선순위 비교한다. 연구문제 2-2. 직무영역별 교육내용에 관한 요구를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대학생 취업지도 경력 5년 이상인 취업지도자를 대상으로 직무분석을 한 후, 3가지 직무영역을 도출해내었다. 교육요구분석을 하기 위한 도구로서 요구분석 관련 참고문헌을 검토함으로써 제작된 교육요구질문지를 전문가에게 타당성 검증을 거친 후 E-mail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육요구 질문지는 현행 취업지도자 직무교육프로그램 만족도에 대한 평가, 희망 교육방법 등 현행 취업지도자 직무교육프로그램 만족도를 묻는 설문문항을 직무영역별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이전에 삽입하였으며 대학 취업지도자의 3가지 직무영역별 교육요구에 관하여는 Misanchuk(1982)와 Scissions(1982)의 분석틀을 따랐으며 세부직무내용을 중요도, 숙달도, 기대수준 등으로 나누어 5점 리커르트 척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패키지는 SPSS 10.0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취업지도자들은 현행 취업지도자 직무교육 프로그램에 대하여 보통수준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이것이 공공기관 주관이든 사설 취업전문기관 주관이든 경력별 근속년수별로 프로그램을 나누어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그리고 현업에 도움이 되는 교육프로그램이어야 한다는 요구가 있었다. 둘째, 근속년수에 따른 직무영역별 교육요구 우선순위에 있어서 초보, 중급, 숙련 취업지도자 집단간에 뚜렷하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근속년수에 따라서 다른 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되어져야 한다기 보다 세 집단간에 공통적으로 교육요구가 높은 직무에 대한 심화 교육프로그램이 요청됨을 시사하고 있다. 단, 상담영역의 '진로 및 취업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하기' 직무에 대해서 초보, 중급 취업지도자 집단보다 숙련 취업지도자의 교육요구가 뚜렷하게 차이가 나는 직무내용에 대해서는 취업지도자의 근속년수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세 가지 직무영역 중 교육 및 지도영역 부문에 있어서 교육을 가장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것으로 미루어 보아, 취업지도자 세 가지 직무영역 중 상담영역, 행정영역보다는 교육 및 지도영역에의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연령, 학력, 직급, 근무년수에 따라 각 직무영역별로 교육내용에 있어 차이가 없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in detail of the job duties of administrators working at the university career service center after job analysis and are to determine the order of job duty priority. The subjects of study are as follows: 1. To analyze the current operational situation of job training programs according to the job duties. 2. To analyze the order of priority in training needs through job analysis. 2-1. To compare the order of priority of educational needs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service. 2-2. To analyze the needs for training contents in relation to three categories (Education and Guidance, Counseling, Administration) according to job duties. I analyzed the job duties of administrators with over five years experience in the university career center and then separated the job duties into the three categories. In order to analyze the training needs, I sent out surveys through E-mail after a careful inspection of the suitability of a questionnaire made by examining records related to training needs analysis. The survey was composed of questions like the assessment of feeling of satisfaction about the present job training program and the desired training method. The study follows the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Misanchuk(1982) and Sciccions(1982) using a training needs analysis in three categories of job duties. The contents of the detail job duties included 'Importance', 'Proficiency' and 'Expectation' made by five Rickert measure. I used the SPSS 10.0 statistics program for this study. This study has four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I found the satisfaction of the current training program to be normal. Regardless of under the auspices of the public institution and the private-run company, the desired program is believed to help in the performance of the present job duties, is systematic, and periodical. The program is also discriminated in relation to the length of service. Second, I found that there were not enough differences between beginner group, the intermediate group and the expert group in order of priority in the three categories of job duties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the length of service. As a result, it is not necessary to supply other program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service, but it is necessary to supply a more in depth training program for the common job duties. In particular, 'to develop and operate the career guidance program' of the Counseling duties should be given to the expert group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service rather than the beginner group or intermediate group. Third, I found the training needs for the Education and Guidance section is the highest of the three categories. As a consequence, I found the need for training program for the Education and Guidance category is higher than both the Counseling and the Administration categories. Fourth,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training contents according to age, academic background, job position or length of service.

      • 신규 후계농업경영인 교육요구분석

        김성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후계농업경영인의 교육 및 학습프로그램의 내용, 방법, 참여지원 환경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요구과 일반적 특성 등을 파악․분석하여 후계농업경영인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선과 수요자중심적인 교육 기획․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 신규 후계농업경영인대상 교육 발전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수행을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고찰, 설문지를 분석했다. 연구를 위해 천안연암대와 한국농수산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후계농업경영인 경영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2011년 선정된 신규 후계농업경영인과 2012년 후계농업경영인 희망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다. 설문을 위한 조사도구는 마상진(2005)의 ‘농업인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프로그램 개선방안’과 김진모(2006)의 ‘농어업인 교육정책혁신’에서 사용한 NESFI(New England Farm Institute)(1999)의 12개 전문 업무영역을 기본적으로 활용하였으며, 국가직무능력표준 중 농업분야(한국산업인력공단, 2007)을 분석․반영하는 등 수정․보완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응답자 특성으로 남성은 83.3%, 여성은 16.0%로 나타나고 있다. 연령으로는 20대 27.4%, 30대 36.4%, 40대 34.7%로 나타나 20대, 30대의 비교적 젊은 농업인력이 63.8%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학력은 고졸이 40.1%를 보이고 있으며, 전문대졸 30.0%, 4년제 대학졸 23.9%, 대학원 졸업 및 재학 2.7%로 집계됐다. 생산품목으로는 수도작, 한우(낙농 포함), 과수, 채소, 밭/특용작물), 양돈, 양계, 버섯 순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은 응답자의 47.8%가 5천만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농승계자(예정 포함)는 59.4%, 신규 창업은 35.2%인 것으로 분석됐다. 귀농 51.9%, 계속 농촌 거주 및 영농 종사 경우가 41.9%였으며 귀농기간을 묻는 문항에는 귀농기간이 2~5년 경과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농업경영에 필요하며 농업인력의 전문성을 구성하는 12개의 영역 중 마케팅, 경영관리, 사업기반 조성, 영농일손관리, 사업검토 및 재계획 영역의 능력이 부족하다고 느낀 응답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에 비해 영농계획 수립, 정보 획득, 가족․지역사회관계, 농기계 및 농장시설 관리, 생산관리, 작물재배, 직업윤리 등에 대한 요구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조사됐다. 교육생 규모에 대해서는 중규모(20~30%)를 선호하고 있었으나 10명 내외의 소규모에 대한 요구도 33.9%가 선택하여 중규모 이하의 규모를 희망하고 있었다. 교육참여방법은 견학식을 가장 우선적으로 꼽았으며, 실험/실습식, 직접 체험(도제식), 토론․참여식에 대한 요구도 높았다. 교육프로그램 세분화 기준으로는 영농작목을 가장 중요하게 선택했으며, 매출액 규모, 영농경력, 후계농업경영인 여부 순으로 조사됐다. 교육강사의 가장 중요한 자질로는 농업현실과 농업인 특성에 대한 이해(25.2%), 해당분야 전문지식(23.2%), 농업현장에서의 실제 성공경험(21.7%)의 결과를 보였다. 선호하는 강사 유형으로는 선도농업인(34.1%)을 월등히 선호하였으며, 민간전문가(컨설턴트 등)(20.1%)도 높은 편이었다. 교육시설에 대해서는 현장사례를 보고 느낄 수 있는 장소(45.7%)를 우선으로 꼽고 있으며, 최신 농업기술을 실습할 수 있는 장소(36.9%)도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다. 선호하는 교육시기는 1~3월이 36.4%로 가장 높았으며, 10~12월 25.9%, 7~9월 20.6% 순으로 응답했다. 하루 교육시간에 대한 요구는 5~6시간이 38.7%로 가장 높았으며, 7~8시간(26.2%), 4~5시간(23.5%)에 대한 요구경향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연간 교육기간에 대해서는 2~3일(64.4%)을 가장 우선적으로 선택했으며, 합숙 가능 여부에 대해서는 71.1%가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후계농업경영인 대상의 차별화 교육프로그램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한 편이다(50.2%), 매우 필요하다(36.3%)로 나타나 대다수 응답자들이 후계농업경영인 대상의 차별화된 교육프로그램을 원하고 있었다. 이유로는 후계농업경영인 대상 맞춤형 교육 필요(43.5%), 정책 사후관리 차원(23.1%), 영농인맥․네트워크 구축 필요성(22.1%)로 조사됐다. 교육 이수 후 사후관리 방안으로는 관련 영농정보 제공(30.3%), 연계된 영농컨설팅 제공(24.1%) 등 영농과 직접 연관된 서비스를 원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후계농업경영인의 효과적인 전문성 개발과 역량 강화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기획․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후 후계농업경영인 교육의 발전방안 모색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따른 현직교육과정 분석

        고은미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perating state of the current job training curriculums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the awareness of people in charge of their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depending on their job competencies, to analyze the curriculums by focusing on the job competencies for which childcare center directors had higher educational needs, and ultimately to seek ways of improving the job training curriculums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are the operating state of job training curriculums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and the awareness of people in charge of their education? 2. What are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depending on their job competencies? 3. How are the job training curriculums organized when their top job competency priorities are taken into account? In this study, the operating state of the job training curriculums provided by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to childcare center directors was analyzed, and the awareness of the people who were in charge of their education was analyzed. There were 2,640 curriculums offered by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in 18 cities and provinces across the nation for three years between July of 2013 and June of 2016. Out of them, 345 curriculums geared toward childcare center directors were analyzed, and 138 people who were in charge of the education in the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were surveyed to find out their awarenes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depending on their job competencies, a survey was conducted on 720 childcare center directors who took the courses offered by the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in order to determine their educational needs. And then how the curriculums were organized was analyzed by focusing on the job competencies to which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gave top priority as what they wanted to receive education on. As for data analysis, a statistical package PASW 18.0 was employed to obtain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esides,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the directors depending on their job competenci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training curriculums for childcare center teachers offered by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support centers were analyzed, there were 345 curriculums for principals, which accounted for 13.0 percent of the total 2,640 curriculums, and there was a gradual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se curriculums every year. The average number of class per curriculum was 1.4, and the mean number of hours for each curriculum was 2.9. The majority of the curriculums consisted of a class respectively and run three hours or less. The largest number of the curriculums that numbered 142(41.3%) was about financial accounting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 curriculums dealt with a class and run three hours or l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wareness of the people in charge of the education, more than half(64%) didn't think the number of the curriculums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was sufficient. As for the reason, they responded the curriculums offered by the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were geared toward daycare teachers. As a result of asking what they mainly considered in offering the curriculums, the biggest group answered the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job competences of directors as managers." Concerning the importance of the themes of the curriculums,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daycare teachers"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followed by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al/administrative management." What kind of job competences should urgently be improved through in-service education was asked, and they gave the most weight to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followed by "collaboration with parents and the outside" and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As a result of asking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 the current curriculums, the people who were in charge of the education gave top priority to "education tailored to teaching career and segmented, customized education," followed by "small-group education." As for ways of revitalizing in-service education, they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the fulfillment of legal measures about director education, supervision and consulting as a way of facilitat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directors," and they also attached the most importance to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ssistance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ogram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for job competenci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levels and required levels of all the 10 job competences and 49 sub-competency indexes. It implied that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job competency education. When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used to find out the priorities of their educational needs for job competencies, they gave top priority to 11 sub-competency indexes of six job competencies: "vision and target management," "childcare curriculum management," "infant and preschooler managemen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hildcare teaching staff,"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facility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It signified that they had the strongest educational need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hildcare teaching staff" and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about which there were three competency indexes each in the top priority group.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how the curriculums were organized in consideration of the top prioritie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directors for job competencies, 233 curriculums that were linked to the top six job competencies and 11 sub-competency indexes were offered for the three years by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The curriculums accounted for 67.5 percent of the entire curriculums, and the total educational hours for them was 620. 11 curriculums(41 hours) were related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ing staff" that was part of the top priority group for which the directors ha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and 18 curriculums(37.5 hours)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competencies of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20 curriculums(48 hours) were linked to the competency of "childcare curriculum management," and 25 curriculums(45 hours) were related to the competency of "vision and target management," Six curriculums(14.5 hours)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competency of "infant and preschooler management," and 153 curriculums(434 hours) were linked to the competency of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facility management." The curriculums that were related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ing staff" and the competency of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accounted for 12.4 percent of the entire curriculums offered for the three years, which was very insufficient, though the directors ha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for these job competencies, and as many as 153 curriculums were about financial accounting education related to the competency of "administrative, financial and facility management," which accounted for 65.7 percent of the total curriculums. Thus, the curriculums were found to have been lopsided.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how to provide in-service education for childcare center directors to reduce the gaps between their current and required levels of job competencies should carefully be considered from various angles, and that curriculums related to job competencies for which directors have higher educational needs should be offered by analyzing their needs accuratel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how to improve the curriculum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development of more systemized and specialized curriculums is required to enhance the job competencies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The national government should manage the quality of directors by developing curriculum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for teachers, by preparing guidelines and by offering a lot of opportunities for them to receive quality education. In terms of content, curriculums should be offered based on the educational needs of directors, who are clients, for job competencies. In terms of the management of curriculums, curriculums should be managed in diverse ways. For instance, diversified and segmented curriculums that deal with different themes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ir teaching career, and long-term curriculums or small-group ones should be offered.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legal foundation for supervision and consulting should be prepared,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ssistance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curriculums and ensure the systemicity of educational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운영현황과 교육담당자의 인식은 어떠한지,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따른 교육요구와 우선순위를 살펴보고, 교육요구도가 높은 직무역량을 기초로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운영현황 및 교육담당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따른 교육요구 및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최우선 순위 교육요구에 따른 현직교육과정의 편성 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실행하고 있는 현직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어린이집의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운영현황과 교육담당자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7월부터 2016년 6월까지 3년 동안 전국 18개소의 시·도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개설되었던 현직교육과정 총 2,640개 과정 중 원장대상 교육과정 345개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육아종합지원센터 교육담당자 138명의 인식을 설문조사 하였다.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따른 교육요구 및 우선순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육아종합지원센터의 현직교육과정에 참여한 어린이집 원장 720명을 대상으로 교육요구를 설문조사 하였다. 또한 어린이집 원장의 교육 요구가 높은 최우선 순위군 직무역량에 기초하여 현직교육과정의 편성 실태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을 활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따른 교육요구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시·도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3년간 개설된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은 전체 2,640개 과정 중 총 345개 과정(13.0%)이었으며, 연도별로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교육과정별 평균 교과목 수는 1.4개, 과정별 평균 교육시수는 2.9시간으로,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은 대부분 한 개의 교육과정이 한 개의 교과목으로 편성되고, 3시간 이내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설된 교육과정 중 ‘재무회계교육’ 과정이 총 142개(41.3%) 과정으로 가장 많았다. 교육담당자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개설 정도에 대해서 과반수 이상(64%)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는 주로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설하기 때문이라고 인식하였다.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 개설 시 주된 고려사항에 대해 ‘기관 운영자로서의 직무역량 향상’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원장대상 교육과정의 주제 중요도에 대해서는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신장’, ‘인사·조직 행정관리 교육’ 순으로 인식하였고, 현직교육을 통해 시급히 개발되어야 할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해서는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부모 및 대외협력 관계’, ‘인사 및 조직관리’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현직교육과정 개선 사항에 대하여 교육담당자들은 ‘원장의 교직경력별, 주제별 세분화된 맞춤형 교육’, ‘소그룹 교육’ 이 가장 많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원장대상 현직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는 ‘원장 교육, 장학 및 컨설팅 등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원장의 전문성 향상 지원’, ‘교육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와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10개의 직무역량과 49개의 역량지표에 대해서는 현재수준과 필요수준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집 원장들이 모든 직무역량에 대해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하여 The Locus for Focus 모델 유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높은 교육요구를 보인 최우선 순위 직무역량에는 ‘비전 및 목표관리’, ‘보육과정 운영’, ‘영유아 관리’,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신장’, ‘행·재정 및 시설관리’,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등 총 6개 직무역량의 11개 역량지표가 도출되었다. 이 중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도가 높은 최우선 순위군에 각 각 3개씩의 역량지표가 도출된 것은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신장’,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역량과 관련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최우선 순위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따른 현직교육과정의 편성 실태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최우선 순위 직무역량으로 도출된 6개 직무역량의 11개 역량지표와 관련하여 3년 동안 시·도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개설되었던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은 총 233개 과정으로 전체의 67.5%이였으며, 교육시수는 총 620시간이었다. 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은 최우선 순위군에 ‘보육교직원의 전문성 신장’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11개(41시간) 과정이었으며,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18개(37.5시간) 과정이었다. 다음으로 ‘보육과정 운영’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20개(48시간) 과정이었고, 다음으로 ‘비전 및 목표관리’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25개(45시간) 과정, ‘영유아 관리’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6개(14.5시간) 과정, ‘행·재정 및 시설관리’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153개(434시간) 과정이었다. 직무역량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았던 ‘보육교직원 전문성 신장’,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역량과 관련된 교육과정은 3년 동안 전체의 12.4%로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하게 편성되어 있었고, ‘행·재정 및 시설관리’ 역량과 관련된 재무회계교육과정은 153개 과정으로 전체의 65.7%로 편중되어 개설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어린이집 원장 현직교육과정을 통해서 원장 직무역량의 현재수준과 미래 필요수준의 차이를 감소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직무역량에 대한 체계적인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원장의 교육요구도가 높은 직무역량과 관련된 현직교육과정을 개설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어린이집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은 원장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성 있고 전문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중앙정부 차원에서 교사와는 차별화된 원장대상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지침을 마련하여 어린이집 원장들에게 일정 수준의 교육내용과 기회를 제공하는 등 국가적 차원에서 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적인 질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원장대상 현직교육과정은 내용적 측면에서 수요자인 원장의 직무역량 교육요구에 기초하여 교육과정을 개설하여야 하고, 운영방법 또한 원장의 교직 경력별, 주제별 세분화된 내용과 다회기 교육, 소그룹 교육과정 개설 등 운영 방법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어린이집 원장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원장 교육과 장학 및 컨설팅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과 함께 원장대상 교육과정의 질을 향상시키고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 학습지 교사의 역량모델 개발과 교육요구 분석

        반경숙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mpetence model for in-home tutors, and to analyze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the model. In this study, a draft of competence model was developed through behavioral event interviews with the 17 best performing teachers among those who have worked in this field more than 10 years. In addition, a potential competence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10 managers who have had more than 10 years of work experience in this field. Then, 14 experts investigate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model, measured the CVI and IRA values, and eventually confirmed the final competence model. Finally, with the survey results that were conducted on 101 in-home tutors, the educational need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 concept of competence of in-home tutors was categorized into 7 facets, which are: information utilization, performance orientation, communication, cooperation, self-improvement, change acceptance, and commitment to the community. Next, a total of 51 behavioral indices were derived from each of these competence facets; specifically, there were 13 items for measuring information utilization, 9 items for performance orientation, 7 items for communication, 4 items for cooperation, 4 items for self-improvement, 8 items for change acceptance, and 6 items for commitment to the community. Second, the most important facet among the 7 areas of competence was the self-improvement category. To elaborate, health, which is the most crucial for in-home tutors, the ability to acquir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is in accordance to the current trend, image-making as an educator, and need for education were rated to be the most significant indices, all of which were items of self-improvement. Because each tutor’s individual competence is one of the strongest predictors of the organizations’ goal achievement, it is definitely necessary to design longitudinal programs for developing tutors’ potentials, and to provide an organizational atmosphere that encourages the growth of the tutors. Third, the 2 facets of competence in which the tutors wanted the most educational interventions were the self-improvement facet and information-utilization facet. In common, there was a high demand for education on the precise understanding of teaching materials, and on the connection between these materials and textbooks of public schools. However, the educational needs for each of 7 facets of compete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ich signifies that the tutors themselves have a high level of intrinsic motivation to receive education. Therefore, organizations should give more varied educational programs to tutors, and try to construct competence development programs related to the other areas of competence. Lastly, this study reveals that the priority of development and needs for education are not always matched. Therefore, in order to design an effective and consistent educational plan, the areas of competence and behavioral indices that need educational intervention should be accurately analyz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지 교사의 역량모델을 개발하고 교육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0년 이상 장기근무 교사 중 고성과자 17명을 대상으로 행동사건 인터뷰를 실시하여 역량모델 초안을 도출하였으며, 10년 이상 근무한 팀장 10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잠정 역량모델을 도출하였다. 이후 전문가 패널 14명을 대상으로 내용타당도 조사를 실시하여 CVI값과 IRA값을 확보하여 잠정 역량모델에 따른 역량과 행동지표에 대한 타당도를 검정한 최종 역량모델을 확정하였다. 학습지 교사의 역량에 대한 교육 요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습지 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지 교사의 역량은 지식활용, 성과지향, 의사소통, 상호협력, 자기계발, 변화수용, 공동체 우선의식의 7개 역량과 지식활용 13개, 성과지향 9개, 의사소통 7개, 상호협력 4개, 자기계발 4개, 변화수용 8개, 공동체 우선의식 6개, 총 51개의 하위 행동지표로 도출되었다. 둘째, 7개의 역량 중 가장 중요한 역량은 자기계발 역량으로 나타났다. 학습지 교사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기초가 되는 건강과 시대의 흐름에 따라가는 지식과 정보 습득, 교사로서의 이미지 메이킹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 필요도가 다른 역량보다 높았다. 교사 개인 역량의 우수함이 조직의 목표달성과 성과창출에 직접적 결과를 견인하는 요소임으로 학습지 교사의 필수역량으로서 장기적인 프로그램 설정과 지속적 성장을 돕는 조직문화가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셋째, 교육적 개입이 가장 요구된 역량은 자기계발 역량과 지식활용 역량이었다. 그 중에서도 공통적으로 회원의 학습지도시 제품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교과서와의 연계를 알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핵심지표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다만 교육필요성은 7개 역량 모두에서 미미한 편차를 보였으며, 고르게 높아 교사들 스스로 교육에 대한 열망이 높은 것으로 유추된다. 이는 차 순위의 역량과 행동지표에 대해서도 폭넓은 교육기회와 역량개발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것은 역량의 개발 우선순위와 교육 필요도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역량 개발에 있어 교육적 개입과 교육 외적 처치가 필요한 역량과 핵심지표를 정확히 분석하여 효과적이고 일관된 교육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