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초기 자녀의 부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비동거 대학생 자녀를 중심으로

        전유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445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nflictual independence, self-soothing and adaptation in college life 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of early adulthood and to use the study results as the basic data for family life education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nd college student children who were not living with their parent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argeting 257 college students who were not living with their parent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3.0 program.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overall tendenc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nd college student children, ‘gratitude‘ to father was 4.22 and that to mother was 4.30.'indebtedness’ to father 4.06 and that to mother 4.13, ‘intimacy’ with father was 3.48 and that with mother was 3.71, ‘respect’ to father was 4.04 and that to mother was 4.19. Regarding the ‘conflict’ indicating the negative emo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onflict” with father was 1.85 and that with mother was 1.87, which showed lower levels than the other variables. Regarding the conflictual independence showed was 2.31 points with father and 2.29 with mother. Regarding sub-variables, self-soothing showed 4.87, self-disclosure showed 4.83, physical soothing showed 4.80 and resilience showed 4.49 points respectively. Lastly, regarding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ademic adaptation showed 4.78, social adaptation showed 3.43, physical adaptation showed 3.21 and attachment to college showed 3.35 points respectively.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the variables which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gratitude’ i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were resilience, physical soothing, self-disclosure, self-soothing, social, emotional and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was conflictual independence. The variables showing positive correlation with 'indebtedness’ were social and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Intima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self-disclosure, self-soothing, social, emotional and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Regarding 'conflict', only conflictual independ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and negative correlations were identified in resilience, self-disclosure, self-soothing, social, emotional,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Regarding ‘respect’, positive correlation was identified in resilience, physical soothing, self-disclosure, self-soothing, social, emotional,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Third, regarding the study results about relative influences that college students related variables affect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overall explanatory power of ‘gratitude’ i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showed 21.9% to father and 19.7% to mother. In related variables, ‘gratitude’ to father was identified higher as conflictual independence is low, attachment to college is higher, subjective economic level is higher and the father has brothers. And, ‘gratitude’ to mother was identified higher, as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emotional adaptation are lower and subjective economic level is higher. Explanatory power of ‘intimacy’ i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is 31.5% with father and 24.6% with mother. Significant influencing variables of father and mother showed low conflictual independence. As the social adaptation was higher, ‘intimacy’ with parents was identified to be higher. Regarding the study results about relative influences on ‘conflict’ i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explanatory power was identified 22.9% with father and 23.0% with mother respectively. Regarding variables related both to father and mother, higher conflictual independence with parents was identified in the cases of boarding and lodging. ‘Respect’ in parent-children relationship was identified 28.7% to father and 27.6% to mother. Regarding the significant influencing variables to father, ‘respect’ to father was higher as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emotional adaptation were lower, subjective economic level was higher, the grade was lower and the subjects had brother. ‘Respect’ to mother was higher as the subjects had lower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emotional adaptation and higher subjective economic level and education level of the parents and were lower grade students. There is a meaning in that this study showed that conflictual independence, self-sooth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have affected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of early adulthood children and that the study results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in family life education to improv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본 연구는 성인초기 자녀의 부모자녀관계에 갈등적 독립, 자기위로, 대학생활 적응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대학생 자녀와 부모와의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족생활교육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대학생 257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자녀의 부모자녀관계와 관련 변인의 전반적인 경향성은 '고마움’은 아버지 4.22점, 어머니 4.30점, '죄송함’은 아버지 4.06점, 어머니 4.13점, ‘친밀함’은 아버지 3.48점, 어머니 3.71점, ‘존경’은 아버지 4.04점, 어머니 4.19이었으며, 부모자녀간의 부정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갈등’은 아버지 1.85점, 어머니 1.87점으로 나머지 변인들 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갈등적 독립에서는 아버지는 2.31점, 어머니는 2.29점이었으며, 자기위로는 하위변인별로 스스로 위로하기는 4.87점, 자기노출은 4.83점, 신체적으로 위로하기는 4.80점, 회복력은 4.49점이었다. 마지막으로 대학생활 적응은 학문적 적응이 4.78점, 사회적 적응이 3.61점, 정서적 적응이 3.43점, 신체적 적응이 3.21점, 대학에 대한 애착이 3.35점이었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자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간의 관계성은 부모자녀관계에서의 '고마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변인은 회복력, 신체적 위로하기, 자기노출, 스스로 위로하기,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적응과 대학에 대한 애착이었으며, 부적인 상관관계는 갈등적 독립이었다. ‘죄송함‘에 대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변인은 사회적, 신체적 적응과 대학에 대한 애착이었으며, 갈등적 독립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친밀함'은 회복력, 자기노출, 스스로 위로하기, 사회적 , 정서적, 신체적 적응과 대학에 대한 애착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갈등적 독립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갈등’은 갈등적 독립만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부적인 상관관계는 회복력, 자기노출, 스스로 위로하기,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적응과 대학에 대한 애착으로 나타났다. '존경'은 회복력, 신체적 위로하기, 자기노출, 스스로 위로하기,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갈등적 독립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관련 변인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부모자녀관계에서의 ‘고마움’은 전체 설명력이 아버지 21.9%, 어머니 19.7%로 관련변인은 아버지는 갈등적 독립이 낮고 대학에 대한 애착이 높고 주관적 경제수준 높을수록, 형제가 있을수록 '고마움'이 높게 나타났으며, 어머니는 갈등적 독립과 정서적 적응이 낮으며, 주관적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고마움'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자녀관계에서의 ‘친밀함’의 설명력은 아버지 31.5%, 어머니 24.6%로 아버지와 어머니의 유의미한 영향변인은 갈등적 독립이 낮으며, 사회적 적응이 높을수록 부모에 대한 '친밀함'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자녀관계에서의 ‘갈등’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아버지 22.9%, 어머니 23.0%의 설명력을 보였고, 부모 모두 관련변인으로는 갈등적 독립이 높을수록, 기숙과 하숙일수록 부모에 대한 갈등을 나타냈다. 부모자녀관계에서의 '존경'은 아버지 28.7%, 어머니 27.6%로 아버지의 유의한 영향변인은 갈등적 독립과 정서적 적응이 낮으며, 주관적 경제수준이 높고, 저학년이며 형제가 있을수록 아버지에 대한 '존경'이 높았고, 어머니는 갈등적 독립과 정서적 적응이 낮으며, 주관적 경제수준과 부모학력이 높은 저학년일수록 어머니에 대한 '존경'이 높았다. 본 연구는 성인초기 자녀의 부모자녀관계에 갈등적 독립, 자기위로, 대학생활 적응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밝혔고,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자녀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족생활교육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영화운동의 제도화와 갈등적 협력 : - 한국독립영화협회 설립 이후 영화운동의 변화

        이미경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2398

        This study is an attempt to overcome the conflicting views about institutionalization and autonomy through an analysis of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film movement afte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film movemen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itutionalization and autonomy,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film movement was institutionalized by the mutual demands and needs of the government and the movement and their unique relationship emerges as conflictual cooperation rather than unilateral inclusion or exclusion. With awareness of this problem, this study classified the film movement that entered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as second generation film movement and revealed that there is a limitation to the dichotomous perspective abou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film movement by discovering actions to achieve the autonomy of the movemen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film movement took place by the combination of the effort of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to embrace the film movement camp in order to establish legitimacy and differentiation of their authority and the internal needs of the film movement camp who needed joint actions for the activation of independent films and the expansion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in the changed environment. During the period from the Kim Dae-Jung Administration to the Roh Mu-Hyun Administration, the government and the film movement camp achieved many results by building a mutual cooperative relationship around the support systems. The government could obtain the legitimacy of their authority by actively approaching the civil society and building progressive cultural images, while the film movement camp prepared the basic foundation for the production, showing, distribution, and education of independent films throug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independent films as well as the opening of the Media Center and Independent Film Theater.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y were in conflict in the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s such as the controversy about the freedom of expression in relation to the suspension of classification for independent films and limited showing and the disputes over the Vitality Institute and the Gangseo Media Center. However, their relationship began to change in the Lee Myoung-Bak Administration. After the candlelight rallies, the government adopted exclusion strategies for the film movement camp and reduced or abolished various support policies. The government exercised pressure by changing the Media Center and the Independent Film Theater to public contest. Such exclusion strategies were very contradictory. While the government unfolded support policies for independent films under the principle of choice and concentration, they tried to replace the people comprising the film movement camp with conservative people who were suitable to the needs of the government. Against such moves by the government, the film movement camp reconstructed their film festival based on their accumulated capabilities and autonomy, and turned the Media Center and the Independent Film Theater into private organizations, and built social solidarity through films. Such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film movement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conflictual cooperation, and shows the coexistence of institutionalization and autonomy. The cause of the repetitions of conflict and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film movement can be found in the setting of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civil society. To satisfy the conditions of democratization, the government and the civil society must form the relationship of check and solidarity, and the social movement which is the core element of a civil society undergoes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In this process, the government utilizes various embracing strategies for the social movement in their effort to take exclusive possession of the knowledge that the civil society has, in order to attain legitimacy of governance. Furthermore, the social movement makes strategic selections to partner or conflict with the government so as to achieve the continuity and stability of the movement. The leaders of the film movement succeeded in expanding the territory of the movement by reflecting the issues of independent films in policies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and exercising influence such as eliciting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Even when the government exercised institutional selectivity and the pressure of exclusion and inclusion, the strategic selections of the film movement camp did not lead to compromise to the simple issue of the survival of independent films or complete exclusion from the institution. At least in the relationship of conflict and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the film movement did not lose its identity nor changed their strategies in contradiction to its identity and has made steady and persistent effort to keep the mobility of the movement. The argument that institutionalization reduces the autonomy or mobility of the movement is valid to some degree, but it has limitation in inquiring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unless the overall process of practicing the movement and the capabilities of the movement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film movement is keeping its autonomy and mobility in its own way even in its relationship of conflictual cooperation with the government.

      • 부모기대-실제자기 불일치와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 갈등적 독립의 매개효과

        이수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96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부모기대-실제자 기의 불일치가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과 정적 상관을 갖는 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둘째, 부모기대-실제자기의 불일치와 심리 적 부적응 간의 관계가 갈등적 독립에 의해 매개되는지 살펴보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생(N=271)을 대상으로 설문 연구를 실시하였다. 한국판 부모기대 부응 척도(K-LPEI), 대학생활 적응 척도(SACQ)의 개인-정서적응 문항, 심리적 독립 척도(PSI)의 갈등적 독립 문항, 한국판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 단 축형(K-MC-13)이 사용되었다. 이후,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이 실시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부모기대와 실제자기의 차이가 크다 고 지각할수록 대학생활에서 높은 심리적 부적응을 경험하였다. 부모기대만을 독립변인으로 살펴보았을 때에는 심리적 부적응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기대와 실제자기의 불일치가 대학생의 심리적 부적응 에 미치는 영향은 갈등적 독립에 의해 완전 매개되었다. 즉, 부모 기대-실제자기 불일치를 크게 지각하는 학생들은 갈등적 독립 수 준을 낮게 보고하는 경향이 있었고, 이는 다시 대학생활에서의 높 은 심리적 부적응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기대-실제자기의 불일치가 부모에 대한 원 망, 죄책감, 분노 등의 갈등적 정서를 유발함으로써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을 야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상담 실제에 갖는 함의를 밝히고, 후속 연구에 관해 제언하면 다 음과 같다. 우선, 부모 기대와 연관된 심리적 부적응을 호소하는 내담자의 경우, 상담사는 부모 기대와 실제 자기에 대한 지각을 구분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필요한 경우,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상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이러한 불일치를 현실적인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부모기대-실제자기 불일치로 인해 심리적 부적응을 경험하는 내담자의 경우, 상담사는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개별화를 촉진하는 등 부모에 대한 갈등적 정서를 감소시키는 상 담 개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후속연구로는 오랜 기간 부모 기대에 과잉 부응하고 있는 자녀 혹은 높은 부모의 기대에 계속해서 부응하고 있는 자녀 등 특수집단에 대한 연구가 실시될 필요가 있다. 또한, 다른 문화 권의 대학생들의 경우에도 같은 결과가 도출되는지 확인하여야 한 다. 학업이나 진로 영역 외에, 자녀의 연애 관계에 관한 부모기대 -실제자기 불일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서도 추가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심리적 분리 뿐 아니라, 상호간 이해와 수용, 높은 친밀감을 경험하는 성숙한 부모자녀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종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부모기대-실제자 기 불일치의 인과적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실시될 필요 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iscrepancies between parental expectations and actual selves o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conflictual independence in this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research with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N=271). Korean version of Living up to Parental Expectations Inventory(K-LPEI),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items from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SACQ), Conflictual Independence items from Psychological Separation Inventory(PSI), Korean version of Marlowe Crowne 13 Items Social Desirability Scale(K-MC-13) were used. The major results from statistical analysis of correlation, regression, and mediation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to Korea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However, perceived parental expectations per se were not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and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as fully mediated by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parents. This result indicates that students who perceive high discrepancies between actual selves and parental expectations tend to report low levels of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be less psychologically adjusted to colle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rceived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may induce conflictual emotions(i.e., excessive guilt, anxiety, responsibility, resentment, and anger) in relation to parents, which lead to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when college students are suffering from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ssociated with their parental expectations, counselors should examine separately their parental expectations and actual selves. If necessary, counselors can help to reduce the present discrepancies to a realistic level by improving communication reciprocity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addition, when college students a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maladjustment due to the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counselors can decide to implement specific counseling practice which reduces the clients’ conflictual emotions toward parents, such as facilitating their psychological individuation from parents. For future studies, special groups such as college students who are overly living up to parental expectations or living up to extremely high levels of parental expectations should be examined. An examination of college students with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is also needed, since it may yield different results from this study. Furthermore, in addition to academic and career areas, further exploration on dating concerns is required when investigating the impact of perceived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Additionally,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s needed, which encompasses every aspect of highly mature parent-child relationships, where high levels of intimacy, reciprocal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as well as psychological separation, are achieved. Finally, additional research exploring the causal influence of the perceived discrepancies with parental expectations is needed.

      • 대학생의 갈등적 독립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과업의 이중매개효과

        김규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82

        This study intended to verify the dual-mediated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tion task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career adaptability targeting the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To this e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57 university students (84, male, 173) who were recruited from universities over the country regarding conflictual independence, career adaptabi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tion tasks, and the data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were measured and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flictual independence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it was confirmed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 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adaptation tasks and career adaptability. In addition,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exhibited between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career adaptation tasks. Second, the mediated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career adaptability. Third, no mediated effect of career adaptation tasks was exhibi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career adaptability. Fourth, the dual-mediated effect of bo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tion tasks was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career adaptability, on the other hand, it was revealed that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both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career adaptability was exhibited and only an indirect effec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ual independence and career adaptability. In other words, conflictual independence improve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hen its achievement level is high,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career adaptabil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at confidence in one’s own ability promotes the development of career adaptability by aggressively performing behaviors corresponding to the category of career adaptation task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for intervention that helps the university students not only believe in their ability for career decisions by making them become independent of the conflictualing emotions experienced from their parents in the intervention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adaptability but also perform specific career behaviors corresponding to career adaptation task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be used as empirical fundamental data for counseling intervention and program development that are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at a time when interventions are required for promoting career adaptability development in counseling for university students.

      • 청년기 우울에 관한 연구 : 부모애착과 심리적 독립을 중심으로

        박영준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63

        본 연구는 부모에 대한 애착 및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청년기 우울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탐색함으로써 부모와의 관계에서 오는 청년들의 우울수준과 신앙상담에 효과적인 개입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강북지역에 소재하는 4개 교회에 출석하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각 교회에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응답을 받았으며 전체 응답자 288명 가운데 분석에 적당하지 않은 21명을 제외하고, 성실하게 응답한 267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데이터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통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고, 부모에 대한 애착과 심리적 독립 및 우울수준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및 t검증을 하였다. 또한 부모애착과 심리적 독립이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 단순 상관관계분석을 하였으며, 신앙경력에 따른 부모애착과 심리적 독립이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수행된 연구에서 분석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과 심리적 독립 및 우울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에 대한 애착은 신뢰감에 대해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에 대한 애착은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신뢰감과 의사소통, 소외감 모두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애착의 경우 어머니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고, 아버지에 있어서만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인 이영선(1999:47)의 연구와 부분일치하며, 성별에 따라 유의하지 않았다고 보고한 김수경(2003:38), 이정자(2001:42)와도 일치한다. 또한 아버지에 대한 신뢰감 영역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난 점으로 보아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도 있지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모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어머니에 대한 애착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조금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Kenny(1987:17-29)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부모와의 좋은 관계를 유지한다고 한 연구와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심리적 독립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심리적 독립에서 남녀 차이를 보인 유나현(2005:45)의 연구와는 일치하지 않았으나 차이가 없었다는 류진영(2008:41)의 연구와 일치한다. 우울수준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성별에 따른 우울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현저하게 높았다는 이정자(2001:43)와 홍지연(2005:46-47)의 연구와 일치하며, 계윤정(1991:45), 김홍규(1982:38)와도 일치한다. 둘째, 성별에 따른 부모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남자는 부모애착과 우울에 상관관계가 없었고, 여자는 부모애착과 우울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즉 여자는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한 애착(신뢰감, 의사소통, 소외감)이 높아질수록 - 소외감은 역채점 문항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소외지수가 감소한다 - 우울수준이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와의 신뢰감이 잘 형성되고 의사소통이 원활하며, 소외감이 나타나지 않을수록 우울을 덜 경험 한다고 보고한 최소정(2008:42)의 연구에서 어머니의 부분과 일치한다. 또한 어머니와 안정적 애착을 형성하면 자신과 타인에 대해 긍정적인 내적실행모델을 가지게 되며, 이로써 우울에 빠져들 확률이 적어지고, 반면 불안정 애착을 형성하게 되면 자기와 타인에 대한 내적실행모델이 부정적이 되고 우울에 빠지기 쉽다고 보고한 구성륜(2009:58)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셋째, 성별에 따른 심리적 독립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남녀 모두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우울에 부적 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남녀 모두 아버지와 어머니와의 심리적 독립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독립의 하위 영역 중 일관되게 나타나는 갈등적 독립을 탐색하였는데, 이는 부모와의 관계에 있어서 지나친 불만, 불신, 불안, 화남, 억압, 책임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정도를 측정한 것이다. 환산하여 얻어진 점수는 갈등적 독립이 높을수록 부모로부터의 독립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여, 부모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으로부터 자유로울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과 우울에서 남녀 모두 갈등적 독립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는 김성란(2008:42)의 연구와 상반된 결과로 나타났으나, 대학생에 의해 보고된 정서적 문제들과 우울에 부적 상관이 있었다는 연구와 일치하고 있다.(Hoffman & Wess, 1987:157-58) 넷째, 성별에 따른 부모애착이 심리적 독립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남녀 모두 아버지에 대한 애착이 심리적 독립과 정적 상관이 있었고, 어머니에 대한 애착은 남자가 신뢰감과 의사소통에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여자는 어머니에 대한 신뢰감과 의사소통, 소외감에서 부적 상관이 있었다. 즉 남녀 모두 아버지에 대한 애착이 높을수록 심리적 독립이 높아지고, 반면에 어머니에 대한 애착에서 남자는 신뢰감과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심리적 독립이 낮아지며, 여자는 어머니에 대한 신뢰감과 의사소통, 소외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독립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애착이 잘 형성되어 있을수록 남녀 모두 아버지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있지만, 어머니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으로부터 자유롭게 나타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높을수록 심리적 독립이 어려워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녀 모두 아버지와의 애착이 잘 형성되어 있을수록 갈등적 독립이 높게 나타나며, 부모로부터 관계에서 느끼는 죄의식이나 불신, 분노로부터 자유로웠다고 보고한 선상화(2009:47)의 연구와 일치한다. 이것은 또한 부모와의 애착이 잘 형성되어 있을수록 여대생은 부모의 인정과 지지를 받으며 정서적으로 친밀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고, 부모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 신미(2006:44)의 연구와 부분 일치한다. 다섯째, 신앙경력에 따른 부모애착과 심리적 독립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로부터 심리적 독립과 신앙경력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심리적 독립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졌으며, 신앙경력이 높아질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신앙경력에 따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이 증가하면 우울수준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앙생활을 오래 안정적으로 할수록 부모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우울수준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독교 청년들의 우울과 신앙에 대해 알아보면서 조사연구를 통해 기독교 신앙이 우울을 극복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고한 김재연(2008:69-71)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또한 대학생의 우울과 신앙성숙도와의 상관성을 알아본 결과, 신앙고백·교회생활성·사회생활성·신앙성숙도가 높을수록 우울이 낮게 나타났다는 염남희(2007:127)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 심리적 통제와 안녕감의 관계에서 갈등적 독립의 매개효과 검증

        최명진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2333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통제와 우울감 및 자존감간의 관계에서 갈등적 독립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1에서 심리적 통제를 측정하는 PCS-YSR을 타당화 하였다. 대학생 169명을 대상으로 요인구조와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6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신뢰도와 타당도가 양호하였다. 연구 2에서 211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심리적 통제와 우울감 및 자존감간의 관계에서 갈등적 독립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부의 갈등적 독립이 부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감, 자존감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또한 모의 갈등적 독립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자존감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지만, 우울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논의에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다루었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후기청소년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 :대학생과 사회초년생의 다집단 분석

        정숙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33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how psychological independence (conflict independence) and ego-identity of post-adolescent college students and early career with multi-differentiation characteristics affect career decision levels, and tri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multi-group analysi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four-year college students aged 19 to 29 living in D and B, and a total of 312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measurement tools used conflicting independence,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AMOS 21.0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flict independence, ego-identity, and career decision levels between post-adolescent college student groups and early careers has a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 Second, ego-identity was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licting independence and career-decision levels of post-adolescent college students and early careers. Thir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oute between the group of college students in the post adolescence and the group of early career. Through this study, we confirmed the importance of ego-identity in the career-decision process of post-adolescent college students and early careers, and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refore, it suggests that active intervention is needed to establish ego-identity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among college students and early careers. 본 연구는 다분화의 특성을 지니는 후기청소년기 대학생과 사회초년생의 심리적 독립(갈등적 독립)과 자아정체감이 진로결정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두 집단 간 차이를 다집단분석 방법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시, B시에 거주하는 만19세~만29세에 해당되는 4년제 대학생과 근속기간이 3년 이하인 사회초년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31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로는 갈등적 독립, 자아정체감, 진로결정수준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후기청소년기 대학생 집단과 사회초년생 집단의 갈등적 독립, 자아정체감, 진로결정수준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후기청소년기 대학생과 사회초년생의 갈등적 독립과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후기청소년기 대학생 집단과 사회초년생 집단 간 경로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후기청소년기 대학생 집단과 사회초년생 집단의 진로결정 과정에서 자아정체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대학생 집단과 사회초년생 집단의 진로결정수준의 증진을 위해서는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모에 대한 심리적 독립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부에 대한 심리적 독립의 조절효과

        김은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18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at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father had the moderating effects on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mother and career maturity in college students. 361 college students completed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and career maturity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 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mother than female students did. Conflicting separation from father, functional separation from mother and attitudinal separation from mother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career maturity. Conflicting separation from father had an moderating role between functional separation from mother and career maturity. It was suggested that psychological separations from parents increase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