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건설사업관리용역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도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김명찬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건설사업관리용역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에 관하여 국내와 해외 건설사업관리용역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외 프로젝트에서 요구하는 건설사업관리단 조직구성과 건설사업관리자의 자격요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2014년 전면 시행된 건설기술진흥법은 발주청의 사업관리 역량 강화와 관련 업체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하여 감리와 건설사업관리를 통합함으로 건설사업관리 업무영역이 확대되었으나, 국내 도로분야 건설사업관리용역에서 운영하고 있는 사업관리단 조직구성과 관리체계, 건설기술 인력의 단순한 분류 시스템에 의한 전문분야 업무영역 구분은 해외시장에서 요구하는 직무별 전문기술자의 경력과 자격으로 인정받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세부 분야별 전문자격을 갖춘 건설기술자를 배출하지 못해 실질적인 해외사업 진출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해외 프로젝트에서는 사업관리단내에 분야별 전담부서를 운영하고 있고, 기술제안서에 다양한 분야의 전문 업무영역별 세부 직무의 전문지식과 경험, 자격을 제시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는 전담부서를 운영할 만큼 조직이 방대하지 않고 축소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기술자의 직무 전문분야도 도로, 철도 등 개괄적으로 분류되어 있어 기술제안서의 자격요건을 입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고 있다. 국내 건설기술자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하여 해외 프로젝트에서 요구하는 분야별 전담부서 운영과 세부 전문영역별 건설기술자의 직무를 구분하고, 이러한 기술자 전문 자격요건을 입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할 것이며,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는 국내 건설사업관리 대가수준이 현행 약 4%에서 최소 6%정도로 상향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omestic and overseas cases for the expansion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abroad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organization structure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team required for overseas projects and the qualifications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which was fully implemented in 2014, expanded the scope of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by integrating supervision and construction management to strengthen the project management capacity of the contracting office and to promote overseas expansion of related compani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be recognized as the experienced and qualified professional technician required by the overseas job market with the current construction management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management system in road projects and with the simpl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professional construction engineers, failing to produce the required qualified specialists, which is becoming a stumbling block to advance into overseas business. In the case of overseas projects, each department within the project management team is dedicated to its specific work and it is requires in technical proposals to present the expertise, experience and qualifications of detailed jobs in various fields of expertise. In Korea, however, the organization is not big enough and has a reduced form, and the professional field of the engineer is classified into roads, railways, etc., so that it does not have a system to prove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of the technical proposal.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construction engineer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dedicated departments for each sector required by overseas projects and the jobs of construction engineers by specialty, and establish a system that can prove these professional qualification requirements. And to construction this system, domestic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budget should be increased to about 6% from about 4%.

      • 건축물 유지관리 종사자의 편의시설 확보방안 : 설계단계에서의 체크리스트 제안

        최진달미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전국에는 수많은 건축물이 존재한다. 모든 건축물은 용도를 불문하고 건설된 이후, 사용하는 기간 동안 필연적으로 유지관리업무 종사자가 필요하다. 건축물의 설비관리, 청소위생관리, 건축영선업무, 조경관리, 경비보안, 주차관리 등에 종사하는 유지관리업계 근로자는 업무 유형에 따라 설비제실, 방재실, 경비실, 주차 정산소, 로비, 복도, 화장실 등 건축물의 공용공간에서 근무를 한다, 이들은 대부분 주 근무지에서 휴식을 취할 수 없기 때문에 휴게실, 샤워실 등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부동산의 수익성이 우선시되는 사회적 경향과 일상적인 업무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사유로 유지관리종사자의 휴게시설이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용노동부가 제정한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하는 근로자 휴게시설 설치의무 대상은 사업자로 한정되어 있다. 건물 유지관리 종사자의 편의시설 설치가 건설단계에서 법적 의무사항이 아니므로, 건축주와 건설관계자들이 이를 간과하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공사 준공 이후 유지관리 종사자의 편의시설이 부족하다 판단되어 추가로 설치하려 해도 공용면적 추가는, 테넌트 계약조건인 전용면적이 축소하는 사안이므로 현실적으로 실행이 어렵다, 또한, 실행하더라도 건설단계에서 설치비용과 비교했을 때 더 많은 공사비가 소요된다. 본 연구는 이런 현황에서 설계단계에서 건축물 유지관리 종사자들의 편의시설 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이론적 배경의 토대를 세우고, 건물 관리 종사자 및 건설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건축주와 설계자들이 유지관리 종사자들의 직종별 업무 특성을 이해하고, 건축계획 시 활용할 수 있는 설계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건물 유지관리 종사자 편의시설 반영을 위해 건축물의 기획, 설계, 시공, 운영단계별 개선사항을 반영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체크리스트와 프로세스를 토대로, 향후 건축물 관리 업무 종사자들의 휴게실 등 편의시설이 건설단계에서 확보되어, 유지관리업 종사자의 보건, 안전 환경이 개선되어지기를 기대한다. There are innumerable buildings throughout the country. Regardless of their purpose, all the buildings need maintenance once it’s constructed such as facility management, cleaning and sanitizing management, repair work, landscaping, building security, or parking management. The common workplace of these maintenance workers is a public space, like a restroom, hallway, lobby or parking ticket booth and exposed Due to the unique situation of their workplace and the nature of the job, they need rest facilities such as a lunch/break room or shower room. However, the importance of it is not sufficiently considered because of the social tendency that prioritizes the profitability of real estate and the failur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daily work.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defines that Workers' rest facility installation obligations are limited to business operators. Because the install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building maintenance workers is not a legal obligation at the construction stage, the phenomenon of overlooking this has continued. Even if the needs are recognized after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it is almost impossible to add the rest facilities even when you want to because it means reducing the area dedicated to the tenant in the contract. Furthermore, even if implemented, it requires more construction cost compared to the installation at the construction stag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pare a plan to secure rest facilities for building maintenance workers at the design stag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undation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established through analysis of prior research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building management workers and construction personnel. Through this, I propose a design checklist that can be used in planning stage to help the clients and architects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work by each type of maintenance workers and a process which reflects consideration of adding rest facilities in each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and operation stages of a building. With the proposed checklist and process, it is hoped to secure future facilities such as the resting area of building management workers at the construction stage, and improve the health and safety environment of maintenance workers.

      • 포스트 코로나 건설 현장 보건 위생 관리개선에 관한 연구

        문창섭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감염병은 인류 문명의 탄생 이래로 꾸준히 함께해 왔다. 초기의 감염병은 열약한 식생 환경에서 나왔다. 중세 유럽을 휩쓴 흑사병은 유럽 인구의 30%를 말살했다. 첨단 문명 시대의 시대에 대부분의 국가가 국경을 넘어 자유롭게 여행이 가능한 지금, 바이러스는 바다와 하늘을 막지 않는 이상 지구 어디든 도달할 수 있다. 특히, 교통발달로 국제간 교류가 빈번해지면서 해외 유입 신종 감염병의 국내 전파가 빨라짐에 따라 이제 감염병은 국제적 차원의 사회재난으로 간주되고 있으며(정인숙, 유정옥, 하미정, 2017) 우리나라에도 전파된 해외 감염병 재난은 10년 사이 3번 이상을 경험을 하고 있다(이다은, 2017). 이번에 발생한 코로나19는 현재까지(5월 23일 기준) 전 세계 감염자가 5,168,433명, 사망자 335,936, 완치자 1,985,656명을 기록하고 있다. 코로나19는 주요 증상인 고열과 기침, 호흡곤란과 최대 14일의 잠복기를 갖는 특징적 증상을 가졌다. 감염원은 동물로 추정되며 사람 간 전파는 주로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전파된다. 전파력이 강한 코로나19는 사회·산업 전반에 걸쳐 막대한 타격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국내 건설현장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파악했다. 건설현장은 인력 활용이 많고 밀집 작업과 숙소 등 단체생활로 인하여 확진자 발생 시 집단감염의 위험이 있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가 많고 한 명이 여러 건설 현장을 출입하는 근로자가 많기 때문에 코로나19 감염의 취약성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다. 그뿐만 아니라 고령 근로자의 비중까지 높아 고령일수록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코로나19에 노출될 경우 회복 가능성이 매우 낮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가 국외에서 국내로 유입하여 소강상태를 보이는 5월까지의 단계를 관찰했는데 건설근로자의 확진자가 일반인의 확진자 수에 비해 훨씬 적었다. 그 이유는 기저 질환자 사전 제어, 초기 의심증상 근로자의 효과적 통제, 기 비치된 마스크 신속 활용 등 이었다. 그러나 해외 건설 근로자가 폭증할 시기를 대비하여 싱가포르의 사례분석을 통해 근로자 외부 숙소 상시점검의 필요성을 끌어냈다. 코로나 관리 모범국가였던 싱가포르 건설 현장의 재확산 요인이 외국인 건설근로자 구역의 통제 불능에서 기인한 점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건설업에 적합한 체계적인 초기 대응과 사업장 측면의 규제 관리는 물론 근로자의 외부 숙소의 상시 보건점검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본 연구는 주요 대책 이외에도 현장 내부에서 강화할 수 있는 부분, 즉 효과적인 통제, 위생관리 및 과밀방지 강화를 제고할 수 있도록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현장 외부요인 즉 근로자 외부 숙소 등 통제 사각지대의 위생관리를 제도화하여 열악한 환경을 개선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결론적으로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병 발생 시 건설 현장에서 대응할 수 있는 대책을 매뉴얼화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를 둔다. Infectious diseases have been together steadily since the birth of human civilization. Early infectious diseases came from a poor vegetation environment. The Black Death that swept through medieval Europe wiped out 30 percent of Europe's population. Now that most countries are free to travel across borders in the age of high-tech civilization, viruses can reach anywhere on Earth unless they block the sea and the sky. In particular, as traffic development increases the spread of new infectious diseases introduced into the country, infectious diseases are now regarded as an international social disaster (Jung In-sook, Yoo Jeong-ok, Ha Mi-jeong, 2017), and overseas infectious diseases disasters that have also been spread to Korea have experienced more than three times in 10 years (Eun, 2017). The latest outbreak of COVID-19 has so far recorded 5,168,433 infections worldwide, 335,936, and 1,985,656 fatalities. Corona19 has major symptoms: high fever and cough, shortness of breath and a maximum incubation period of 14 days. Infection sources are estimated to be animals, and human-to-human propagation is mainly spread through respiratory secretions. The powerful COVID-19 has dealt a huge blow to society and industry as a whol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impact of the COVID-19 virus o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Construction sites utilize a lot of manpower and there is a risk of collective infection in case of confirmed cases due to group life such as intensive work and accommodation. It is also one of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vulnerability of COVID-19 infections, as there are many foreign workers and one person entering and leaving several construction sites. In addition, the high proportion of elderly workers makes it very unlikely to recover if exposed to COVID-19, which has a higher mortality rate as they get older. In this study, we observed the stage until May when COVID-19 flowed into the country from abroad and showed a lull, and the confirmed number of construction workers wa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general public. The reasons were pre-control of the underlying patients, effective control of workers with early suspected symptoms, and rapid use of the masks provided. However, in preparation for a surge in the number of overseas construction workers, a case analysis in Singapore has drawn the need for a regular inspection of the workers' accommodation outside the country. It can be said that the reason for the re-proliferation of the construction site in Singapore, which used to be a model country for Corona management, is largely due to the out of control of the foreign construction worker zone.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systematic initial response suitable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regulatory management on the site side as well as regular health checks of workers' outside accommodation were needed. In addition to the main measures, this study proposed improvements to enhance the areas that can be strengthened inside the site: effective control, hygiene control and overpopulation prevention. In addition, the focus was on improving the poor environment by institutionalizing the hygiene control of controlled blind spots, such as on-site external factors, such as workers' external accommodation. In conclusion, it is meaningful to manualize measures to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viruses at construction sites so that they can be dealt with promptly.

      • 발전프로젝트 글로벌스태프 협업 시 안전관리 향상에 관한 연구

        김주인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Currently, in domestic construction sites for development projects, there is a lack of collaboration among global construction staff. While collaboration among global personnel is observed in other architectural and civil engineering projects, a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approach is not in place, leading to frequent major accidents. However, with the changing times, it is anticipated that global construction staff will increasingly collaborate on domestic development projects due to factors such as a declining population and high labor costs. In this context, it is imperative to develop safety management measures that are tailored specifically for global construction staff, as replicating the same management approach used in other projects will not effectively reduce accidents caused by the global construction workfo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safety management capabilities of global construction staff, thereby deriving measures to reduce the accident rate among global personnel during collaborative phases in future development projects. Through the analysis of high-risk tasks currently being carried out and the identification of institutional and managerial issues,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improvements in the classification of high-risk tasks for global staff, the deployment process through visas, the employment of safety managers from the respective nationalities, and the implementation of tailored special education programs. By redefining the classification of high-risk tasks suitable for global construction staff based on case analyses and improving the deployment process through visa regulations, verified staff members can work on-site. Furthermore, inspired by safety management systems implemented in other industries, this research suggests a personnel appointment system based on the number of personnel from a specific nationality rather than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Additionally, the introduction of customized special education programs for high-risk tasks enables global construction staff to acquire knowledge of the risks and safety points associated with their assigned tasks. The enhancement of capabilities among global construction staff, as derived from this study, offers a viable solution to reduce the accident rate in South Korea, which has the highest accident and fatality rates among major OECD countries. Moreover, by applying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to upcoming projects, including development projects, the influx of global construction staff to domestic construction sites can be managed effectively, leading to a reduction in accident rates. Furthermore, this can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an image that prioritizes safety, thus moving away from the perception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a hazardous field prone to frequent accidents. 현재 국내 건설 현장 중 발전 Project에는 글로벌 건설 스태프들이 협업하고 있지 않다. 다른 건축, 토목 Project에는 글로벌 인력들이 협업 중이지만 별도의 체계적인 안전관리를 하고 있지 않아 중대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인구의 감소와 고임금 등의 문제로 향후 국내 발전 Project에도 글로벌 건설 스태프가 협업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현재 타 Project에서 관리방안을 똑같이 시행한다면 글로벌 건설스태프의 사고를 줄일 수 없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건설 스태프의 안전관리 향상을 통하여 향후 발전 Project에 협업하는 시기에 글로벌 인력들의 재해율을 감소시키는 방안 도출에 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고위험작업의 분류 분석과 제도적, 관리적 문제점의 분석을 통하여 글로벌 스태프 고위험작업 분류와 비자를 통한 투입 절차의 개선, 해당 국적 안전관리자 고용, 맞춤형 특별교육을 도출하고자 한다.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글로벌 건설 스태프에게 알맞은 고위험작업 분류의 재구성을 통하여 고위험작업의 관리사항을 보완하였고 비자 제도의 개선을 통해 투입 절차를 보완하여 검증된 스태프가 현장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타업종 안전관리자 선임제도를 바탕으로 공사금액에 따른 선임제도가 아닌 해당 국적 인원수에 따른 선임 제도를 제안하였고 맞춤형 고위험작업 특별교육제도의 도입으로 글로벌 건설스탭들도 해당 작업의 위험 사항 및 안전 포인트를 습득 후 작업이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글로벌 건설 스태프들의 역량 강화는 OECD 주요 선진국 중에서 사고 사망률이 가장 높은 대한민국의 재해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며 발전 Project를 시작으로 타 Project 들도 본 연구의 결과물을 적용하여 다가오는 시대에 국내건설 현장에 글로벌 건설 스태프의 유입이 증가하여도 재해율감소를 이룰 수 있다. 나아가 건설 현장이 안전하지 않고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는 눈길의 직종에서 벗어나 어느 직종보다 안전을 중요시하는 직종이라는 이미지 구축을 촉진할 수 있다.

      • 내국인 건설 기능공 고용 증대 방안 : 정부정책 중심으로

        신동호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s in a state of emergency insecuring labor due to the decreasing number of professionalconstruction technicians and aging trends, and the inflow offoreign workers into Korea continues to rise to solve this problem.There are many prior research papers on the problem of theshortage of domestic construction engineers, but most paperspresent solutions to the problem of the shortage of constructionworkers, focusing on the inevitable construction environment dueto the propert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addition, most ofthe solutions are comprehensive, such as the suggestion ofgovernment policies, improvement of the construction environmentand improvement of workers' welfare.The present study looked at the problems of the government policy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the employment environmentin the existing construction market and drew improvement measures.Comparing the trend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s income overthe past seven years with the typical manufacturing sector,compared with the average labor income of the entire industry, itis, and far lower than, the current poor working environment. Forthis reason, the advantages of pursuing a career in theconstruction industry are disappearing and the insufficientpersonnel are filled with foreign workers who entered the countrylegally 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The vicious circle further hinders the wage increase ofconstruction workers, which makes the job environment in theconstruction market worse.Among the government's major policies regarding construction andemployment environment, first of all, the problem of theemployment permit system is to introduce foreign workers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without an accuratestatistical investigation of illegal foreign workers. Second, theabolition of the construction participation system is actually losingits purpose to prevent back pay because there are many thingsthat do not fit the reality. Third, the purpose of the constructionretirement benefit system has well-intention, but it is insufficientto fully protect workers who are in the blind spot of the law.As a way to improve government policy,First, Statistics Korea, Ministry of Justice, Ministry of Employmentand Lab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Management Corporation and related government agencies suggested that a clear survey of foreign workers is needed toreduce illegal foreign workers.Second, it was proposed that the appropriate labor cost reflectionon the increase in indirect labor costs should be made mandatoryfor certain specialized industries.The last, it was proposed that the government's obligation to signup for the construction retirement benefit system of constructionworkers should be made to all workplaces regardless of the sizeof the construction. Also, the electronic commuting card systemshould be mandatory to complement the problems of the existinggovernment's.The proposed improvement is expected to help the employmentenvironment of the construction market a little bit and contributeto the increase in the use of domestic construction skilled workers. 국내 건설 산업은 전문 건설 기능공 감소 및 고령화 추세로 노동력 확보에 비상이 걸린 상태이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외국인 근로자의 국내 유입이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국내 건설 기능공의 부족 문제에 관하여 많은 선행 연구 논문들이 있으나, 대부분의 논문들은 기능공 부족 문제에 대하여 건설산업의 특성상 어쩔 수 없는 건설 환경에 논점을 두고 해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해결방안으로 정부정책 제시, 건설 환경 개선, 근로자 복지향상 등과 같은 포괄적인 의미의 해결안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기존 건설 시장 고용환경 개선 관련 정부정책의 문제점을 현 시점에서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건설산업의 과거 7년간 근로소득의 추이를 대표적인 제조업과 비교하여 보고 전체 산업의 평균 근로소득과도 비교하여 보면 현재의 열악한 근로 환경에 비하여도 그렇고 턱없이 낮다. 이러한 이유로 건설업을 직업으로 삼으려는 장점이 사라지고 있으며, 이에 부족한 인원 충원을 합법적으로 고용 허가제를 통하여 입국한 외국인 근로자로 채워지고 있다. 이러한 악순환은 건설근로자의 임금상승의 발목을 더욱 잡고 있어서 건설 시장의 고용환경은 더욱 열악해 지고 있다. 이에 건설 고용환경 관련 정부의 주요 정책중에서 첫째, 고용허가제의 문제는 불법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정확한 통계 조사없이 고용허가제를 통한 외국인 근로자를 유입하는데 있다고 본다. 둘째, 시공참여제 제도 폐지가 현실에 맞지 않는 부분이 많아서 실제로 임금체불 방지를 위한 본 목적을 상실하고 있다. 셋째, 건설근로자 퇴직공제 제도의 취지는 좋으나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근로자를 완전히 보호하는데에 부족하다. 이러한 정부정책의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통계청, 법무부, 고용노동부,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및 유관 정부 기관의 유기적인 협업으로 불법외국인 근로자 축소를 위한 명확한 외국인 근로자 파악 조사가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둘째, 일부 특수 전문 공종에 관하여는 재하도가 필요하고 재하도 금지에 따른 공종에 관하여는 간접노무비 증가분에 관한 적정노무비 반영이 의무화 되어야 한다고 제안 하였다. 셋째, 건설근로자 퇴직공제 제도의 가입의무화가 공사 규모에 관계없이 전 사업장으로 해야하고 전자 출퇴근 카드제를 의무화 하면 기존 정부정책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이러한 개선 제안점은 건설시장 고용환경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어 내국인 건설 기능공 고용증대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운용성을 중심으로

        김세훈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재해 발생률이 높은 건설현장에 대하여 안전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국내 대형 종합건설회사 위주로 시행되고 있던 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건설현장의 실질적인 시공 주체인 전문건설 업체로 보급되고 있으며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운용성 제고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인력 의존과 공종 간의 간섭, 한시적, 고용 불안정 등 불완전한 작업환경 및 조건으로 전문건설 업체의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은 운용성 제고로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로의 구축 및 운영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건설 업체의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운용성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실태 조사·분석을 통하여 주요 영향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운용성 제고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들을 T-Test 검정을 통한 IPA 기법으로 분석을 실시하여 그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로는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성요소 중 저 순위 20개 구성요소에 대하여 점진적 개선이 요구되며, 집중 1개 구성요소는 시급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운용성 제고를 위한 주요 영향 요인으로 ‘시스템 운영주체인 팀·반장 근로자에 대한 교육 및 훈련’ ‘시스템 운영활동 시 필수요소인 위험요소와 아차사고 DB화 및 공유’ ‘전문건설 업체의 규모 및 매출액, 경영 환경, 업종의 종류, 지역 등이 반영된 계층화 및 세분화로 전문건설 업체 특성에 따르는 운용기준과 심사기준의 적용’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통일된 모니터링 기법으로의 전환’이 도출 되었으며 개선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한 전문건설업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활용하여 장·단기적으로 전문건설 업체의 재해 감소, 재해보상액 감소, 사고처리 직·간접 비용의 감소, 생산성 및 안전수준 향상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A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business used to be implemented mainly by large-scale domestic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companies to maintain sustainable safety at construction sites with high accident rates. This system has been recently operated by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ies in charge of actual on-site construction in order to enhance the operability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the specialized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it is difficult for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ies to establish and operate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hat leads to a virtuous cycle for improved operability due to conditions that cause instability in th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dependence on human resources, interference in different construction tasks, and job insecurity in temporary work. In this study, key factors affecting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the specialized construction industry were identified to improve operability by conducting a survey and research, and then the results were examined by performing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IPA) supplemented with a t-tes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20 low-ranking system components required gradual improvement, while one of the key components needed urgent improvement, In addition, key factors for enhancing operability of the system were identified as 1) providing education and training to team leaders and supervisors in charge of system operation, 2) establishing and sharing database on risk factors and near-miss accidents as required elements for system operation. 3) applying company-specific standards for operation and review reflecting the size and sales, management environment, business type, and location of each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y, and 4) shifting to a unified monitoring method for two-way communication. Moreover,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improvement methods to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will help specialized construction companies by reducing compensation and the number of accidents, saving direct and indirect costs for handling accidents, and improving productivity and safety level in the short and long terms by resolving issues, and providing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in the specialized construction industry.

      • 한국, 일본 건설 ICT 활용 현황 비교 연구

        허철호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고령화로 인한 건설 인구 감소, 젊은 층의 건설 시장 유입이 줄어 외국인 노동자가 건설산업에 유입되자 품질저하, 안전관리 비용 증가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여 생산성에 위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건설산업에 ICT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을 도모하려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건설 관련 ICT 상품의 정보가 산발적이고 지식이 파편화 되어 있어 집중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체계적 지식 Platform이필요하다. 언론 매체, 연구보고서, 학술 논문 등에 의하면 일본이 한국보다 적극적으로 ICT를 건설산업에 활용하고 있다고 판단되어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Platform을 작성하고 비교분석하여 한국 건설 시장의 현주소와 취약부분을 가시화 시켜 집중 연구해야 할 부분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ICT건설 활용 상품을 3단계(연구, 시범운영, 상용화)로 구분하여 공종별(토공, 철골, 골조, 내장, 마감)로 Platform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드론, 중장비 자동화, IoT 안전관리분야 에서는 일본은 상용화, 한국은 시범운영단계 차이가 있다. 하지만 로봇 분야에서는 철골, 골조 단계에서 일본은 상용화 단계이고 한국은 연구단계인 차이를 보였다. 내장공사, 마감공사에서 일본은 시범운영단계이고 한국은 연구단계인 차이를 보였다. 비교분석을 통하여 한국의 취약점이 로봇분야인 점을 도출했다. 단기간에 취약 분야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한국 건설산업의 주력상품은 아파트이다. 한국은 산업용 로봇 강국이다. 한국형 건설 로봇 개발을 추후 연구과제로 제안한다. 한국 건설 기업도 일본의 로봇협력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로봇의 초기 인터페이스를 공동개발하면 연구개발비, 양산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The recent decline in the construction population due to aging and the influx of young people to the construction market has decreased. As foreign workers enter the construction industry,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in quality and increase in safety management costs have occurred, threatening productivity. For this reas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improve productivity by utilizing ICT technology. However, since information on construction-related ICT products is sporadic and knowledge is fragmented, a systematic knowledge platform is needed for intensiv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According to media outlets, research reports, and academic papers, it is judged that Japan is using ICT more activel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an Korea, so by creating a platform and comparing and analyzing cases of Korea and Japan, the current position and weakness of the Korean construction market are visualized. It aimed at capturing areas to be studied. ICT construction products in Korea and Japan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research, pilot operation, commercialization), and a platform was created by type of construction (earthwork, steel frame, frame, interior, and finish). As a result, in the fields of drones, heavy equipment automation, and IoT safety management, there are differences in commercialization in Japan and pilot operation in Korea. However, in the field of robotic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eel frame and frame stage, which is in the commercialization stage in Japan and the research stage in Korea. In interior construction and finishing work, Japan was in the pilot operation stage and Korea was in the research stag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it was derived that Korea's weakness is in the robot field. In order to overcome the weak field in a short period of tim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are required. The main product of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s apartments. Korea is a powerhouse for industrial robots. The development of a Korean construction robot is proposed as a future research project. It is believed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R&D and mass production costs if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also benchmark Japanese robotic cooperation cases and jointly develop the initial interface of the robot.

      • 국내 공공기관 건설공사 감리자 선정방식 개선방안

        신현국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국내 건설시장은 신규 발주 물량의 축소, 부동산 침체등으로 인한 건설시장의 위축 현상이 두드러지지만, 건축물의 형태와 규모는 점점 더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을 요하는 시설물로 계획되고 있다. 최근 건축물 성향은 친환경, 에너지효율, 저탄소등의 에너지 중심에서 기능형, 지능형 건축물로 한단계 더 발전되어져 가고 있다. 이러한 초지능형, 친환경 건축물의 관리 감독을 위해서는 감리와 건설사업관리(CM)용역 부분에서도 이에 상응하는 기술력과 건설공사 관리 능력을 요구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공기관 발주 건축물을 감독할 수 있는 능력과 기술력을 겸비한 감리자를 선정하는데 있어 획일적이고 일률적인 감리자 선정 평가방법을 지적하고 공공기관에서 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감리자 선정 방식의 혁신적인 개선안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국내 공기업에서 발주하는 건설공사 감리용역을 대상으로, 감리비 10억원 이상의 감리용역 발주사례를 통해 현제도의 문제점과 평가방식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연면적 실적에만 의존하는 획일적인 입찰 참가제한의 문제점과 특정기관(공공기관) 건축물 준공실적만 인정하는 참가 제한의 문제점, 그리고 기술자평가(SOQ)와 기술제안서평가(TP)의 모호성, SOQ, TP평가시 평가위원 구성에 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SOQ, TP 평가의 강제배분식 채점방식의 문제점은 2단계 강제 배점 평가에서 1위를 한 업체가 가격입찰에서도 반드시 유리한 작용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님을 최근 6개월간 조달청에서 공개하는 개찰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공공기관의 사업 특성을 고려한 참가 제한의 다양화와 수행실적 인정 범위의 확대를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기술자평가(SOQ)는 참여기술자의 심층 면접강화를, 기술제안서평가(TP)는 회사 조직력과 기술지원체계, 그리고 책임감리원의 기술역량과, 책임성, 관리능력을 검증하는 면접 강화를 제안하였다. 또한 2단계 평가까지 우위를 점하고도 최종 가격입찰에서 예정가격 변동 폭을 가늠하기가 어려워 결국 낙선하는 경우를 최소화 하는 대안으로, 1,365개 복수예비가격의 기초가격대인 중앙을 기점으로 예정가격 운동의 폭을 차순위 업체 점수차 폭에 따라 반비례로 움직이는 복수예가 방식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으로, 공공기관별 사업의 특성을 고려한감리자 선정의 다양화와 권한부여를 제안하였고, 기술평가에 대한 면접강화와 가격입찰의 복수예가 방법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정성적인 개선방안에 대한 정량적 방식의 활용성 검증이 부족했고, 전문가 그룹의 인지조사 미반영의 아쉬움을 남겼다. 본 연구와 관련한 과제로서 가격입찰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감리자 선정 이후 사후 평가등에 관한 연구 과제를 남겼다. Due to recent reduction in ordering quantities and depression in real estate,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suffers from its shrinkage but, at the same time, forms and scales of buildings are required and planned to be more complex and to have multiple functions. The recent trend in buildings has been developed from focusing on energy-centered elements such as the environment friendliness, energy efficiency, low carbon emissions to emphasizing functional and intelligent buildings. This study points out a uniform evaluation method in selecting a supervisor with technical skills and abilities to surveil buildings constructed under orders from public organizations and mentions that there should be innovative improvements in methods for selecting supervisors by public organizations'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rojects in parts of research backgrounds and purposes. With these objects, this study selects supervision services on construction projects ordered from public enterprises and draws problems in the current system and the evaluation method through cases of supervision services over costs of one billion won. It is found that the supervision services are ordered with a uniform selection method in spite of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each project.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s problems of: (i) restrictions on participating in bidding depending only on records of total ground area, (ii) constraints on participation acknowledging completion records only in certain organizations (public organizations), (iii) ambiguity in SOQ and TP and (iv) composition of evaluation committee for SOQ and TP. In addition, it also indicates problems in scoring of SOQ and TP evaluations with forced distribution. Through results of bidding during the last six months opened by Public Procurement Service, it is also examined that one enterprise ranked the first in the forced distribution evaluations on the second screening does not always take the lead in price bids. For improvements to these problems, the study suggests diversifying restrictions on participatio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in each project of public organizations and expanding ranges of acknowledged records. It proposes intensified in-depth interviews on participating technicians in terms of SOQ. The intensified interviews are also applied in TP to verify organizational power and technical assistance systems of an enterprise and technology and management capabilities and responsibilities of supervisors in charge. To minimize the number of cases in failing in a bid due to difficulties in predicting the range of fluctuation in predetermined amount even after holding a lead up to the second screening, the study suggests a method using a median of 1,365 estimated contract prices as starting point and making the fluctuation rang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gap in scores between the median and the second ranked enterprise. As a result obtained through these research processes, it is proposed to apply diversification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ublic organizations' projects. The intensified interviews for technology evaluation and improvements of the method using a median of estimated contract prices as a starting point and making the fluctuation rang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gap in scores between the median and that of the second ranked enterprise are suggested. This thesis, however, lacks quantitative verification on application of qualitative improvements. For further studies, various studies on price bids and on post-evaluation of selecting supervisors are required.

      • 국내 건설 기업의 ESG 역량 강화 방안에 대한 연구 : 글로벌 이니셔티브 공시 및 평가 중심

        하지연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ESG경영이 화두가 되고 있음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큰 규모의 투자 흐름과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에 있어 ESG 요소들이 기업의 가치를 결정하는 데에 주요 지표로 작용하고 있다. 즉, 기업 경영에서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3가지 핵심 요소이다. 타 산업과 마찬가지로 건설산업에서도 경영에서의 비재무 리스크를 관리하고 이를 사업 포트폴리오에 적용하는 관점에서의 ESG의 역할은 증대되고 있으며, 그 중요성 또한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기업 경영에서 이러한 ESG 요소를 적절히 관리하고 적용함에 있어 국내 건설기업들은 타 산업 대비 지속가능경영의 도입이 낮은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ESG 공시와 평가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건설기업들의 대응 실태를 알아보고 취약 부분을 도출하여 기업 역량 강화의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또한, 글로벌 공시 및 평가 기관에서 제시하는 지표의 특성과 각 기관의 차이, 국내와 글로벌 간의 격차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의 현 주소를 파악하고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국내 건설기업이 일반적으로 채택하는 ESG 공시 기관과 평가 기관에서 제공하는 지표 항목을 소개하고, 각 기관별 지표의 특성과 공시 및 평가 목적을 중심으로 차이를 설명한다. 또한, 국내 건설기업 중 시공능력평가액 10위권 내에 위치하는 기업의 공시와 평가 현황을 중심으로 기업별 대응 현황 차이를 분석한다. 앞의 분석에서 도출한 차이점을 기반으로 국내 건설기업의 ESG 공시 및 평가 대응을 위한 역량 강화 방안 및 개선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국내 건설기업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 째, 기업들은 ESG 경영의 목적을 분명히 하여 변화하고 고도화되는 ESG 공시 및 평가 지표 관리를 선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둘 째, 글로벌 평가에서 영역별 가중치가 큰 지배구조와 항목 특수성이 있는 청정기술 부문에 대한 준비를 하여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도록 한다. 셋 째, 기업별 ESG 담당 인력 및 부서를 지정하고 교육하여 국내 건설업계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에 대한 낮은 이해도와 내용 질의 개선이 가능하도록 하며, 다가오는 국내 기업 공시 의무화에 대해서도 준비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혹은 기업 IR 등의 수단을 통하여 객관적이고 신빙성 있는 ESG 성과를 외부 기관들에 전달하도록 한다. 이로서 기업은 각사의 강점을 살린 ESG 공시 및 평가 지표에 대응이 가능하고, 내부 ESG데이터 관리 및 대외 공시의 지속가능성을 증대할 수 있으며, 이는 국내 건설기업의 ESG 역량 강화 및 지속가능경영 추진에 기여하는 방향이다. As ESG has recently become a hot topic, ESG factors are acting as a major indicator in determining the value of a company in the conversion of large-scale investment flows and business portfolios around the world. In other words, three key factors to achieve sustainability in corporate management. Like other industries, it is true that ESG's role in managing non-financial risks in management and applying them to the business portfolio is increasing, and its importance is also increas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in properly managing and applying these ESG factors in corporate management,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have a lower introduction of sustainable management than other indus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ponse status of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from the perspective of ESG disclosure and rating, and to derive vulnerable parts to present measures to strengthen corporate capabilities. In addition, through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cators presented by global disclosure and rating institutions, the difference between each institution, and the gap between Korea and global, we would like to identify our current address and present guidelines. The research method introduces the index items provided by ESG disclosure institutions and rating institutions generally adopted by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and explains the differences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stitution's indicators and the purpose of disclosure and rating. In addition, it analyzes the difference in response status by company, focusing on the disclosure and rating status of companies located in the top 10 in construction capacity evaluation amount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Based on the differences derived from the previous analysis, a plan to strengthen capacity and improvement points for responding to ESG disclosure and rating of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is presented.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deriv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nies can selectively respond to ESG disclosure and rating index management that changes and advances by clarifying the purpose of ESG management. Second, in the global evaluation, preparation for the clean technology sector with large area-specific governance structures and item specificity is made to be competitive in the global market. Third, ESG personnel and departments for each company are designated and trained to improve low understanding and quality of sustainable management reports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and to be prepared for the upcoming mandatory disclosure of domestic companies. Finally, objective and reliable ESG performance is delivered to external institutions through the publication of sustainable management reports or corporate IRs. As a result, companies can respond to ESG disclosure and rating indicators that utilize their strengths, and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internal ESG data management and external disclosure, which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ESG capabilities and promoting sustainable management of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 건설시공관리자 BIM 교육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박기경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대한민국 건설 사업은 생산성 저하라는 화두와 경제위기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부단히 하고 있다. 이러한 해결책의 하나로 BIM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생산성 향상을 위한 BIM 교육이 대학교, 산업체를 통하여 시행되고 있지만 건설시공관리자에 대한 교육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회사 내부 BIM 교육은 직무와는 상관없이 단순 BIM 3차원 모델링 교육만이 실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은 피교육자의 학습의욕을 떨어뜨리며 나아가 BIM 무용론으로 발전할 수도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 관련된 직무를 분석하고 직무 연관성이 있는 BIM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시공관리자의 BIM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소 도출을 목적으로 국가직무능력에서 제시한 건설시공관리자의 직무요소 중 BIM 도입이 가능한 요소를 식별해 내었고 BIM 기능을 정의, 건설시공관리자의 직무와 BIM 기능과의 연관성 및 중요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에서 제시한 건설시공관리자의 대분류 직무 중 BIM과의 연관성을 가지는 직무는 5개 이며 이들 직무의 연관성 순서는 건설공무능력, 건설공정관리능력, 건설환경관리능력, 유지관리능력, 공통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설환경관리능력은 BIM 교육을 위한 선호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BIM TOOL이 없음이 지적되어 본 연구에서는 한 개의 중분류만 포함되었다. 이를 위한 향후 BIM TOOL이 개발된다면 본 연구결과에서와는 다른 결과가 도출될 것이다. 셋째, BIM TOOL의 기능 중 건설시공관리 업무와 관련된 기능은 총 9개 이며 이중 빈도가 가장 높은 기능은 정보의 시각화, 공사비관리, 물량산출, CP관리, 설계검토 및 관리, 시뮬레이션, WBS관리, 시뮬레이션, 이력관리, 간섭체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분류 건설공정관리 중분류 지연공기만회대책실행 세부사항 공사비 관리의 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세부항목 상위 순위 10개가 모두 중분류 건설공정관리능력과 건설공무관리능력에 포함되며 이는 델파이 기법에서 도출된 결과와 같다. 본 연구를 통하여 건설시공관리자의 BIM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 요소 도출이 이루어 졌으며 향후 교육과정 개발 및 연구에서 상세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하는 바이다. The construction business in the Republic of Korea is steadily striving to solve a problem called economic crisis in addition to the topic dubbed a drop in productivity. One of this solution, the necessity of BIM is being emerged. To enhance productivity, BIM education is being operated through universities and industries. However, education on construction field manager is not being performed. Company's internal BIM education is being carried out just simple BIM 3D modeling education regardless of job. This education may drop subjects' learning desire and further develop into the usefulness of BIM. To solve the above problem, it is necessary for analyzing job related to construction and for BIM education related to job.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duct elements for deve- loping BIM curriculum for construction field managers. It distin- guished elements available for introducing BIM among construction field managers' job elements that were suggested i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and aimed to define the function of BIM and to elicit correlation and importance between construction field manager's job and BIM function. First, jobs, which have correlation with BIM, are 5 jobs among large-classification jobs for construction field manger suggested by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The correlation in these jobs was indicated to be in order of construction technical-work ability, construction process-management ability, construction environment- management ability, maintenance ability, and common ability. Second, the construction environment-management ability was indicated to be high in preference for BIM education, but was indicated to have no BIM TOOL. Only this one middle classification was included in this study. If BIM TOOL is developed in the future for this, a different result will be elicit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ird, among BIM TOOL functions, the functions related to construction field management task are totally 9 pieces. The functions with high frequency among these things were indicated to be in order of the visualization in information, the management in construction cost, the estimation in quantities, CP management, design examination & management, simulation, WBS management, simulation, history management, and interference check. Fourth, it was indicated to be the highest placing in the cons- truction cost of the detailed matter for the construction delay measure execution of middle classification in construction process management of large classification. 10 pieces in upper placing of the detailed items are included all in the construction process- management ability and the construction technical-work mana- gement ability of middle classification. This is same as the result that was elicited in Delphi method. Through this study, the deduction of education elements of developing BIM curriculum for construction field managers was made. A detailed research is desired to be performed in develop- ment and research of curriculum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