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성애자들을 위한 사회적 공간의 구축

        허철호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1 . 동성애에 대한 고찰 이성에게 느끼는 애정, 애완동물에게 느끼는 애정, 부모님에게 느끼는 애정 등, 여러 가지 애정이 우리주위에는 널려있다. 이중 어느 것이 우리가 진정으로 느껴야 하는 애정이라고 꼭 집어서 끄집어내기는 어려울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동성친구에게 애정을 느낄 수도 있을 것이고, 때에 따라서는 동성과의 관계를 적절하지 못하게 나타날 수도 있다. 이성이 아닌 동성에게 애정을 느끼는 동성애는 정신적으로 일반 사람과는 분명하게 다른 애정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우리가 동성애라는 또 다른 방식의 애정행위를 또 하나의 장애라는 관점에서 바라 볼 수 있다면, 동성애자들이 가지는 사회적 억압, 혹은 차별이 여기에서 시작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역으로 본다면, 차별을 받고 있기에 그 어떤 장애의 하나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해 본다면 차별과 차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로 할 것으로 보인다. 고로, 동성애자나 비동성애자들이 각자의 생각을 가지고 애정을 느끼는 "대상이 다르다"라는 차이점을 받아들일 수 있다면, 서로에게서 생기는 편협한 오해들은 쉽게 가라앉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2. 동성애를 표현하기 위한 건축적 접근 방법 "건축은 장소의 특성을 시각화 한다"는 미국의 철학자 수잔 랭어의 말을 굳이 빌리지 않더라도 우리는 건축이 가지는 장소성에 대한 않은 의미를 두고 있다. 또한 장소성의 원인으로 고려될 수 있는 것은 문화적 생활의 패턴, 사회적 인지성 등, 모든 사회적 연결 고리 망을 좀처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여기서 우리가 고려해야 하는 것은 익명성의 성적 교환은 동성애자들만이 가질 수 있는 특별한 성격의 것으로 판단될 뿐만 아니라, 동성애와 비동성애간의 차이를 나타내 주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가 분명할 것이다. 이러한 성적교환이 일어나는 도시의 사적공간을 주거의 공적공간으로 끌어들여 새로운 도시의 사회적 공간을 보여주고자 한다. 과연 누가 동성애자인지, 이성애자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공간적 다이어그램의 형식을 빌려 그 속에서 일어나는 정체성의 변화의 추이를 지켜보고자 한다. 정치적,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동성애자들의 존재의 확인과 그들에게 살아갈 수 있는 공간의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있을 수 없을 것이다. 이런 그들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들을 도시적 드러내기를 통하여 또 하나의 사회적 코드를 만듦으로써 참여와 소통이 있는 사회적 구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 그들을 위한 도시적 커밍아웃의 장소로서의 동성애자들을 위한 사회적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그들이 가지는 사회적인 존재의 확인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하는 바이다. 1. Consideration of Homosexuality We have many and manifold affections such as to my family, friends, and even pet. Among them, it is hard to judge what is real one or what I choose. Sometime, someone could feel the affection to same-sex person what we call "Homosexuals". If the realtionship between them is going on, they could have a sex including a kissing, anal sex, or fellatio. We could mention that Homosexuality which has not love with opposite sex is obviously another affection in a viewpoint of mental affair. If we consider that Homosexuality as another way of affection is another way of obstacle, it would be a starting point of social distinction and suppression. In reverse, we can have a supposition that Homosexuals have been distinctive, they might become handicapped people as a result. What we know from this situation is that we have to understand between distinction and difference in details. Therefore, if the heterosexuals and homosexuals can accept that the object they feel affection is not same as other, the misunderstanding between them would be erased, blurred, and disappeared. 2. How to access to homosexuality using architectural process We have a lot of understanding about the PLACENESS according to "Architecture makes visible the characteristic of place" by Susan Raenger. Also, we can consider that the reason of the placeness is connective social network such as a cultural living pattern or social human knowledge which would be the keyword in showing what is different between heterosexuality and homosexuality. Therefore, we could mix the 'urban private space' where homosexuals appear in with 'housing public space' where homosexuals are living in for showing the new social space. Using the diagram functioning to express who is gay or not, we can notice the change of identity. It is not going to far that the homosexuals who can not become a political and social member need to be confirmed their existing and demand the gay ghetto. We can make a communicative and participative social structure through making the social code using the urban comming-out. I suggest that we can know the existing of the homosexual offering the social space for the gay exposed himself onto the urban.

      • 국제개발협력(ODA)사업의 사업기간 지연과 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허철호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time overrun in the business period of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s in Korea and the analysis of the its causes. It is relatively recent that Korea has started the ODA project in earnest since 1991 when the KOICA(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was established. However, despite carrying out many ODA projects,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inevitably experiencing “Project schedule delay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e of delay in the ODA business period. To this end, the expecting time table calculated from the date of RD signing or loan agreement to the completion date and the not-expecting time table are compared and analyzed, focusing on construction projects conducted by EDCF and KOICA. The analysis of the cause of delay specified in the termination evaluation report or post-evaluation report for each project shows that some of reason is by the recipient country with responsibility, and some of reason is by the donor country. However, it is sure that the responsibility of the recipient country and the donor country coexist at the same time for most of the delay. On the one hand, it can be seen that delays due to force majeure causes such as natural disasters are common.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risk management of the ODA project to be discovered in the future can be written more closely. It is time for aid projects to establish guidelines for efficient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s and make Korea's image more positive.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국제개발협력(ODA) 사업의 사업 기간 지연과 그 원인분석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가 국제개발협력(ODA)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세워진 1991년 이후로 30년 이상이 경과하였다. 오랜 경험 축적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제개발협력(ODA)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사업들은 상당한 사업 지연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연된 사업들은 그 성과가 높게 평가되지 못해 긍정적인 기대를 할 수 없게 한다. 국제개발협력(ODA) 사업이 지연되는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EDCF 및 KOICA에서 수행한 사업 중에서 건축 부분이 포함된 사업을 중심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지난 2011년도부터 2020년도까지 사후평가가 이루어진 54개의 EDCF 사업과 2022년도에 사후평가 결과가 발표된 76개의 KOICA 사업의 사후평가 보고서를 분석하여 사업 지연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사업 지연의 판단 기준은 RD(Record of Discussion) 체결 혹은 차관계약을 맺은 날부터 준공일까지를 산정한 ‘예정 기간’ 대비 실제 사업 소요 기간의 차이를 ‘지연 기간’으로 정의하고 사업 지연의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였다. 각 사업별 종료평가 혹은 사후평가에 명기된 지연 원인을 분석해 보면 ‘수원국의 책임’과 ‘원조국의 책임’이 혼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으로는 자연재해 같은 불가항력적 원인으로 지연된 경우도 빈번함을 알 수 있다. 분석 결과가 추후에 발굴되는 국제개발협력(ODA) 사업에 대한 면밀한 위험관리 방안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효율적인 국제개발협력(ODA) 사업관리의 가이드라인을 세우고, 한국의 이미지를 보다 긍정적으로 만들 수 있는 원조사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 공작기계 부품의 조립공정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모터 내장형 주축 중심

        허철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studied a criterion for evaluating ease of assembly for a built-in spindle with manual assembly working. And we evaluate the assembly process through case studies to identify weak processes and optimal evaluation methods. 29-assembly processes were analyzed, 5-detailed ease and 12-detail eas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evaluation were determined. As for the weighting of detailed ease, we created two scenarios by analyzing the evaluation methods of the existing ease of assembly related studies. And the weighting was calculated for each scenario. The influencing factor's weighting was analyzed by AHP. We quantitatively assessed the ease of assembly for each scenario and compared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ducted to the expert group in the field. In conclusion, we have established an evaluation method that is more suitable for the machine tool's spindle. 공작기계 조립공정은 작업자의 수 조립으로 공정이 수행되기 때문에 정량적으로 평가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고, 조립공정에 대한 평가기준 미비로 생산 현장에서도 공정분석 및 취약공정에 대한 판단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된 조립용이성을 활용하여 공작기계 주축 조립공정을 평가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사례 연구를 통해 조립공정을 평가하여 상대적으로 취약공정 및 최적 평가방법을 제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29개 조립공정 분석을 통해 조립용이성 평가를 위한 세부용이성 및 세부용이성 영향요소를 도출하였고, 공정 평가표(Check Sheet)를 작성하였다. 세부용이성의 가중치는 기존의 조립용이성 관련 연구의 평가방법을 분석하여 2가지 시나리오를 작성하였고 각각의 시나리오에 맞게 세부용이성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세부용이성 영향요소 가중치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시나리오별 조립용이성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진행하였고 현장의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와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어떤 평가방법이 가장 적합한지 비교 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공작기계 주축 조립공정의 조립용이성 평가를 위한 기준을 수립하였고, 공작기계 주축의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조립공정을 평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한국, 일본 건설 ICT 활용 현황 비교 연구

        허철호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고령화로 인한 건설 인구 감소, 젊은 층의 건설 시장 유입이 줄어 외국인 노동자가 건설산업에 유입되자 품질저하, 안전관리 비용 증가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여 생산성에 위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건설산업에 ICT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을 도모하려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건설 관련 ICT 상품의 정보가 산발적이고 지식이 파편화 되어 있어 집중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체계적 지식 Platform이필요하다. 언론 매체, 연구보고서, 학술 논문 등에 의하면 일본이 한국보다 적극적으로 ICT를 건설산업에 활용하고 있다고 판단되어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Platform을 작성하고 비교분석하여 한국 건설 시장의 현주소와 취약부분을 가시화 시켜 집중 연구해야 할 부분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ICT건설 활용 상품을 3단계(연구, 시범운영, 상용화)로 구분하여 공종별(토공, 철골, 골조, 내장, 마감)로 Platform을 작성하였다. 그 결과 드론, 중장비 자동화, IoT 안전관리분야 에서는 일본은 상용화, 한국은 시범운영단계 차이가 있다. 하지만 로봇 분야에서는 철골, 골조 단계에서 일본은 상용화 단계이고 한국은 연구단계인 차이를 보였다. 내장공사, 마감공사에서 일본은 시범운영단계이고 한국은 연구단계인 차이를 보였다. 비교분석을 통하여 한국의 취약점이 로봇분야인 점을 도출했다. 단기간에 취약 분야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한국 건설산업의 주력상품은 아파트이다. 한국은 산업용 로봇 강국이다. 한국형 건설 로봇 개발을 추후 연구과제로 제안한다. 한국 건설 기업도 일본의 로봇협력 사례를 벤치마킹하여 로봇의 초기 인터페이스를 공동개발하면 연구개발비, 양산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The recent decline in the construction population due to aging and the influx of young people to the construction market has decreased. As foreign workers enter the construction industry,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in quality and increase in safety management costs have occurred, threatening productivity. For this reas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improve productivity by utilizing ICT technology. However, since information on construction-related ICT products is sporadic and knowledge is fragmented, a systematic knowledge platform is needed for intensiv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According to media outlets, research reports, and academic papers, it is judged that Japan is using ICT more activel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an Korea, so by creating a platform and comparing and analyzing cases of Korea and Japan, the current position and weakness of the Korean construction market are visualized. It aimed at capturing areas to be studied. ICT construction products in Korea and Japan w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research, pilot operation, commercialization), and a platform was created by type of construction (earthwork, steel frame, frame, interior, and finish). As a result, in the fields of drones, heavy equipment automation, and IoT safety management, there are differences in commercialization in Japan and pilot operation in Korea. However, in the field of robotic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eel frame and frame stage, which is in the commercialization stage in Japan and the research stage in Korea. In interior construction and finishing work, Japan was in the pilot operation stage and Korea was in the research stag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it was derived that Korea's weakness is in the robot field. In order to overcome the weak field in a short period of tim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are required. The main product of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s apartments. Korea is a powerhouse for industrial robots. The development of a Korean construction robot is proposed as a future research project. It is believed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R&D and mass production costs if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also benchmark Japanese robotic cooperation cases and jointly develop the initial interface of the robot.

      • 컴퓨터 과학 중심의 중등학교 컴퓨터 교과과정

        허철호 전북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전반부는 중등학교의 컴퓨터교육을 일본과 미국의 컴퓨터 교육과 비교 분석하여서 한국의 컴퓨터 교육을 깊이 있게 분석한다. 한국의 컴퓨터 교육은 컴퓨터 소양교육에 지나치게 치우쳐있고, 그 교육내용의 대부분은 응용프로그램 다루기와 인터넷의 사용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교육이 계속된 결과 학생들은 과학으로서의 컴퓨터에 대한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낮은 난이도의 교육내용은 학생들에게 지루함을 더해 준다. 초 · 중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은 위계적이지 않고 연계성을 지니지 않고 있다. 그러나 몇몇 나라들은 컴퓨터 소양교육과 컴퓨터 과학교육의 균형이 잘 맞추어져 있다. 후반부에서는ACM에서 컴퓨터 과학교과과정을 토대로 새로운 교과과정을 제시한다. 이 새로운 교과과정의 두드러진 특징은 컴퓨터 소양교육과 컴퓨터 과학교육의 균형이 잘 잡혀 있다는 것과 학생들의 지적 호기심을 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교과과정의 적용을 위해 몇 개의 예를 부록에 수록한다. The first part of this thesis analyses deeply Korean computer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ompares it with United States and Japan. The computer education in Korea is highly inclined to computer literacy, and most of its contents are about how to use application softwares and Internet. As a result, students can't realize the value of computer as a science. Repetition of low-level computer usage makes students boring. Computer curricula from elementary to secondary schools are not systematically related. Some of other countries education is well balanced between computer literacy and computer science. In the second part, the thesis proposes a novel curriculum model which is based on A Model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proposed by ACM on 2003. Most prominent features are the balance between computer literacy and computer science, and leading students to be intellectually inquisitive on computer science. To make it concrete, some of sample teacher guidelines are also given.

      • Developments of Two-Photon Fluorescent Probes for Amyloid-β Plaques and EGF-Conjugated Two-Photon Fluorescent Probes for Real-Time Monitoring of pH in Living System

        허철호 아주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15

        Optical imaging with fluorescence microscopy is an important tool in biological and biomedical research. Recently, two-photon microscopy (TPM) has become a powerful tool for bio imaging. TPM utilizes low energy of two near-IR photons for excitation; it allows 1) higher spatial resolution images with minimum background emission, 2) reduced attenuation in biological specimens, 3) higher tissue penetration depth, and 4) prolonged observation time. However, the improvement in this field is limited by the lack of two-photon (TP) probes for specific cellular events. Therefore, there is a pressing need to explore various TP probes for specific applications. To meet such demands, we have developed TP probes that can detect amyloid-β plaques and pH in live cells and living mice. The outline of the present thesis, “Developments of two-photon fluorescent probes for amyloid-β plaques and two-photon bioconjugates for real-time monitoring of pH,” the abstract is as follows. Alzheimer’s disease (AD) is most common type of dementia that loss of brain function. AD is the accumulation of beta amyloid (Aβ) plaques and neurofibrillary tangles are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degradation of the neurons in the brain. The Aβ plaques are a major pathogenesis of AD. Molecular imaging of Aβ plaques in vivo is a challenging task for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AD. Herein, we present new Aβ plaque-specific TP probes (SAD1, QAD1), which show a large significant TP action cross section, high selectivity for Aβ plaque specifically and readily crossed the blood brain barrier (BBB). Moreover, these probes can monitor direct 3D of the individual plaque at more than 400 µm deep inside of living mice brains with minimum background emission and photobleaching artifacts. The high photostability, low cytotoxicity, and excellent staining ability of these probes for amyloid plaques demonstrate that these probes are promising candidates for practical AD markers in biomedical research under the guidance of TPM. The acidic pH plays crucial roles in many cellular metabolisms, such as endocytic processes, signalling, apoptosis, and defence. Endocytosis is a type of active transport that moves particles, such as large molecules, parts of cells, and even whole cells, into a cell. It is an essential function in all cells and is required for nutrient uptake, receptor internalization, and synaptic transmission. The pH values change in the endocytic pathways, with acidification increasing from the endocytic vesicles and early endosomes to late endosomes and lysosomes. Herein, we developed a series of EGF-conjugates ratiometric TP probes for acidic pH (BH1-S series) that can perform real-time monitoring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acidic vesicles’ pH values during endocytic pathways. These probes are designed by a simple and flexible strategy, for acidic pH and conjugated with protein. Moreover, the ratiometric TPM imaging reveals that BH1-S3-EGF, an EGF conjugated pH probe for endocytosis, exhibits easy loading by EGFR, and thus allowing quantitative analysis of endocytic vesicles pH values during endocytosis. BH1-S3-EGF is able to monitor the change of acidic vesicles pH values during endocytosis along with their activity in live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