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캠퍼스 시설의 친환경적 설계에 관한 연구 : 경원대학교 본관 계획안

        김정수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우리나라의 대학은 80년대 이후 급속한 양적성장을 이루며 부족한 대학시설을 확충하기 위해 무계획적인 팽창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90년대 후반 들어 대학시설 확충에 있어서 제반시설과 공간에 대한 미래예측적인 계획이 강조되었으며, Master Plan 계획 시에 성장과 변환 가능성을 고찰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의 외부광장 및 운동장 지하 공간 개발 등 캠퍼스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 성남시 경원대학교의 경우 새로운 정문지구는 기존 캠퍼스 공간구성체계와는 다른 공간의 중심축을 형성하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캠퍼스 중심공간에 대한 재해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 기술관 부지에 정문지구와의 연계를 통한 캠퍼스 중심축을 형성하도록 본관시설을 계획하였으며, 그 기본 계획방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불리한 서향을 극복하면서 새롭게 형성되는 캠퍼스 코아와의 연계를 통하여 전체 캠퍼스에서의 중추적인 공간을 형성한다, 둘째, 기존의 도로체계를 변경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지상에 보행자를 위한 넓은 외부공간을 확보한다. 셋째, 기본적으로 캠퍼스에서 영장산으로 이어지는 녹지축을 형성하도록 계획하여 친환경 캠퍼스를 조성하고 기능적, 공간적, 시지각적인 연계를 통하여 대학본관으로서 가지는 상징성을 부여한다. 넷째, 대상지의 입지적 이점을 활용하여 BIPV시스템, 이중외피(Double Skin), 옥상녹화 등과 같은 친환경 기술요소를 도입하여 에너지 저감형 시설을 계획한다. 대지의 환경적 요인들의 영향을 연구 분석함으로써 캠퍼스 시설의 특성과 연계하여, 본관건물의 특성상 효율성, 쾌적성, 상징성 등을 고려하여 기존의 불합리한 배치를 환경에너지 활용의 최대화를 통해 보완하고, 본관건물 이전에 따른 현 기술관 부지의 활용방안을 친환경적 접근에 의한 분석을 통하여 그 대안을 검토/제시하고자 한다. The university in this country has achieved rapid quantitative growth since 1980s and unplanned expansion has been showed to expand and improve sufficient college facilities. However, in the latter half of 1990s, future-predicting plans about all of the infrastructure and space were stressed in expanding college facilities, and possibilities to grow and convert them has begun to be considered in projecting the master plan. Accordingly, cases have increased to use campus space effectively including the existing outside squares and playgrounds and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In case of Kyungwon University in Seong Nam city, the new front gate area formed the central axis of other space than space composition systems of the existing campus, and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reinterpret central space of the campu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lanned the main building so that it can form the central axis of the campus in the site of the present technology building through connection with the area of the front gate, and its basic planning direc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entral space is formed in the entire campus in close association with the campus core to be constructed newly overcoming the existing west exposure which is disadvantageous. Second, accessibility is enhanced mending the existing the system of the roads, and wide outside space is secured for pedestrians on the ground. Third, basically, the environment-friendly campus is constructed by planning to form the green track of land connected from the campus to Mt. Young Jang and symbolic meaning is given as the main building of college through functional, spatial and visual connections. Fourth, using spatial advantage of the target area, environment-friendly technical elements are introduced including BIPV system, double skin) and outdoor tree-planting on the roof to plan facilities for energy reduction. The characteristics of campus facilities are linked by studying and analyzing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earth, and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main building, efficiency, comfortableness, and symbolic meaning etc are considered and the existing disadvantageous arrangement is complemented by maximizing use of green and clean energy, and alternatives are to be examined and proposed by analyzing methods to use the site of the present technology building by environment-friendly approach as they move the main building of the university to another building.

      • 일부 경기도 지역 대학교 급식소의 음식과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객 만족도 조사

        임지영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일부 경기도 지역 대학교 급식소의 이용실태 및 음식과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고객 만족도 조사를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 급식소를 이용하는 학생들의 불만사항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보다 나은 급식소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음식과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통해 주 고객인 대학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급식소의 음식 및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조사는 다인서브(DINESERVE)와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용된 문항들을 바탕으로 개발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각 질문 항목에 대해 학생들의 기대 정도를 측정하는 중요도(Importance)와 실제 급식소에서 제공받는 음식과 서비스 수준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인지 정도를 측정하는 수행도(Perception)의 두 영역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각 항목에서 조사된 중요도와 수행도의 갭(Gap)으로 만족도를 평가하였으며, 이 갭(Gap)이 작을수록 만족도가 큰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 중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서비스 품질의 5가지 차원인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확신성, 공감성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경기도에 위치한 K대학교 남·여 재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2009년 11월 23일부터 12월 10일 까지 학기 중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들은 주당 평균 3.12 회 정도 급식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교내 급식소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생들이 교내 급식소를 이용하는 주된 이유는 시간 절약을 위한 것이고, 급식소의 메뉴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음식의 맛이며, 가장 개선되기를 바라는 점은 메뉴의 다양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급식소의 음식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모든 평가 차원에 있어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음식에 대한 불만이 서비스에 대한 불만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음식의 경우 음식의 맛과 메뉴의 다양성에 대한 평가가, 그리고 서비스의 경우 대응성과 유형성 차원에서의 평가가 중요도와 수행도의 갭(Gap)이 크게 나타나 특히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성의 경우 품절메뉴에 대한 대처, 실수나 불만사항에 대한 즉각적인 수정에 대한 불만이 높게 나타났으며, 유형성의 경우 식당 내부의 청결함, 주방의 청결함이 특히 학생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급식소의 음식과 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남·여 학생간과 학년별 차이는 유의미하게 크지 않아, 대학교 급식소에 대한 낮은 만족도 수준은 성별이나 학년별 구분 없이 학생들 모두가 공감하는 문제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교내에 위치하여 편리하고 저렴한 급식소를 이용하고자 하는 대학생들의 욕구와 수요는 상당하나. 급식소들의 음식 및 서비스 측면에서의 실제 수행 수준은 학생들의 기대 수준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이 갭(Gap)을 극복할 수 있는 보다 시스템적 접근 방식을 갖춘 대학 급식소의 체제 마련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즉, 급식소의 음식 및 서비스에 대한 정기적인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생들의 불만사항을 파악하고, 이의 원인인 급식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대학생들의 교내 급식소의 음식과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 향상은 물론 더 나아가 교육 서비스의 전반적인 품질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customer satisfaction of meal and service qualities in university foodservices.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mainly based on the DINESERV model. To evaluate the level of customer satisfaction, it was assessed the difference between customers' judgements on importance and customers' perceptions with actual meal and service qualities delivered by university foodservice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0 university students, and a total of 240 students were collected with a usable response rate of 80%. Statistical data analyses were completed using a SPSS program; descriptive analyses,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1) the mean frequency of students' visiting university foodservices was 3.12 per week. The mean frequency of male students(3.64) was larg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2.59). The main reason was time-saving why students chose university foodservices from other alternatives. The priority was given to the criterion of food tastes when students ordered a menu in university foodservices. The primary factor that students wanted to improve in foodservices was the diversity of menus. 2) overall, stu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meal and service qualities of university foodservices. The gaps between the importance mean scores and the perception mean scores were 1.35 for meals and 0.974 for services, which showed that students were more unsatisfied with the qualities of meals in foodservices. For the qualities of services, students were particularly unsatisfied with the dimensions of responsiveness and tangibles in foodservices.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ustomer satisfactions by gender and by grade of university students. It proved that regardless of gender and grade, student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meal and service qualities of university foodservices in gener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university should implement a more systematic approach to improve current problems in university foodservices.

      • 한국과 미국 회계학 교육의 현황에 대한 비교 분석

        조선혜 경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 회계학교육의 변화와 개선과정을 고찰하고, 양국 주요 대학의 최근 교과과정 운영현황을 비교·분석하여 회계학 교육의 개선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미국에서 이루어진 회계학 교육의 개선 및 발전을 위한 그 동안의 변화 과정을 고찰한다. 둘째, 미국의 각 회계전문단체와 대학에서 그 동안 제시하고 있는 회계학 교육모형을 고찰한다. 셋째, 한국과 미국의 주요 대학에 대한 회계학 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회계학 교육의 개선방안을 연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수집하여 검토하였으며, 미국 워싱턴주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의 연구교수들의 도움을 얻어 현지의 인터뷰나 현지답사자료에 의하여 미국 대학의 회계학 교육자료의 입수하였다. 또한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미국과 한국 주요 대학의 회계학 교육 관련 규정의 입수 등의 자료조사를 실시하였다. 입수된 자료를 통하여 미국과 한국 대학의 회계학 교육에 대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대 이후 회계학 전공자나 수강자의 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회계학교육의 위기로 인식된 바 있다. 그러나 2002년의 회계부정사건을 계기로 회계학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대되고, 회계전문가나 회계전공자의 수요가 증대되면서 회계학 전공자의 고용과 대우면에 있어서 최고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의 경우는 1990년대의 학부제 도입 이후 회계학교육의 위기를 맞이하였으나 1997년말 IMF 외환위기 이후 회계학 교육의 중요성 인식 및 공인회계사제도의 개선으로 회계전공자의 수도 증가하고 회계전문직에 대한 인식도 개선되었다. 둘째, 미국회계학회 및 미국공인회계사회 등의 회계전문단체에서 회계학 교육개선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그에 따라 미국회계학회의 회계학교육개선위원회가 활동하여 연구보고서를 제출하여 회계학 교육과정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미국공인회계사회는 회계학전공자와 회계학수강자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키는 계기를 가져온 150학점을 제안하여 회계학교육의 개선과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이에 따라 대학이 학부과정 이후에 대학원 석사과정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다양하고 심도있는 회계학 교육과정을 제공하게 되었으며, 석사과정의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한국의 경우에도 1990년대 후반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회계학 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시된 바 있으며, 특히 2002년도에 한국회계학회가 회계학교육의 개선방향 모색을 위한 특별연구서를 발간하여 회계학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셋째, 많은 대학들이 커뮤니케이션능력을 강조하여 교양이나 기초과정에서 중요시하고 있으며, 미국회계학회의 회계학 교육개선위원회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국 대학의 경우 학부과정에서 교양과목이 전체 졸업학점의 50%에 이르고 있는 실태이다. 그러나 한국 대학의 경우 학부과정에서 교양과목에 대한 학점은 30%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대학원 과정을 통하여 회계전문인력을 양성하는데 있어서도 전공과 관련된 과목을 이수하도록 함으로써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력의 배양에 기여하고 있다. 특히 박사과정에서는 수리통계학이나 경제학, 재무론 등 기초과목 및 관련 학문에 대한 이수를 강조하고 있으며, 연구방법론의 터득에 많은 학점이수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연구역량을 갖추어 단독 연구자로 자립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한국 대학의 경우 학과교수진의 다양성 부족 및 학제간 연구의 미흡으로 대학원 과정에서 기초적인 연구방법론 분야와 인접학문에 대한 소양을 갖출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한 현실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중심대학의 경우 교수진의 다양한 구성이 필요하고 교육중심의 대학의 경우에는 학제간 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미국 회계학 교육의 현황과 실태가 우리나라 회계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교육에서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최근 대학 이수학점의 축소에 따라 많은 대학에서 교양과정의 학점이 축소되고 있는 바, 커뮤니케이션능력의 향상이나 대인관계능력의 배양을 위하여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무분별한 축소는 지양되어야 한다. 둘째, 공인회계사제도를 개선하여 대학의 회계학 교육과 연계시키는 방안이 강조되어야 한다. 최근 공인회계사시험제도의 개정이 대학의 회계학 교육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나, 미국의 경우와 같이 공인회계사시험에 응시요건으로서 회계관련 학점이수를 크게 강화하여 대학원 교육과도 연결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원 석사과정의 교육프로그램을 공인회계사의 직무교육과 연계하여 재구성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셋째, 대학원 박사과정에서 기초학문 및 인접학문의 이수가 강화되어야 한다. 특히 수리통계분야와 연구방법론, 재무론과 경제학분야의 개설이 필요하다. 또한 기초과목이나 관련 과목에 대하여 학점이수로 충분하나 전공과목에 대하여는 이수 후 실시되는 필기시험을 강화하여 일정 수준의 유지가 되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학위논문에 대하여 심사위원회가 일찍 구성되어 심도있는 토론과 지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수행하면서 제기되는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를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즉, 미국 회계학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인터넷을 통한 교과과정의 검토, 미국 일부 지역의 회계학 교수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나 실태 파악만으로 미국 회계학 교육의 실태를 모두 파악할 수 있다고 확신할 수는 없다. 또한 한국의 경우에도 일부 대학만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으므로 일반화하는데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연구에서는 미국의 다양한 지역의 대학으로 대상을 보다 확대하고 세밀한 분야까지 조사를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실험이나 면접 등의 방법을 통하여 미국 회계학 교육의 실태와 시사점을 파악하 (이후원문누락)

      • 한국과 중국의 회계교육에 대한 비교 연구

        김청옥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한중대학 회계교육에 대한 발전의 흐름을 분석, 비교하여 한중회계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찾아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이제까지 한·중회계교육의 주된 흐름이 어디에 있는 지를 파악할 수 있다. 연구목적을 위해 국내외의 대학의 웹사이트, 게재된 논문을 검토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회계교육목표를 명확히 설정하는 것이 우선 과제일 것이다. 중국의 정부와 대학에서 회계교육의 목표를 수립할 때 회계교육발전의 전략원칙과 발전방향을 고려하는 동시에 시장의 수요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대학에서는 시장의 수요에 맞는 특색 있고 풍부한 전문지식을 습득한 인재의 양성을 목표로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대학은 교양교육과정에 대하여 커뮤니케이션능력의 향상이나 대인관계능력의 배양이 강조되고 있어서 교양과목에 대한 충실화를 위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고 중국대학은 좀 지나친 교양과목의 설치로 불필요한 교양과목의 설치를 취소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셋째, 수강과목에 대하여 한국대학은 약간의 통제와 제한이 필요할 것이다. 다방면의 지식의 습득도 좋지만 체계적으로 지식을 쌓아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중국대학은 학생들이 다방면의 지식을 배울 수 있도록 규정된 과목을 줄이고 선택과목을 늘이는 방법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넷째, 회계실무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다. 회계실무를 강화하기 위하여 회계실무를 담당할 실무 계 인사를 겸임교수 등으로 초빙할 필요가 있다. 이와 동시에 중국대학은 적극적으로 회계교육이 발전된 나라의 교재를 연구하여, 사회와 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섯째, 강의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한중대학 모두 일방적(단일)교육에서 쌍방향교육으로 변화를 시키고 “사례+토론”중심의 교육방법을 채택하여 기존의 이론중심교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회계환경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창의적이고 진취적인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사례 제시 및 풀이 수업과 토론, 발표 및 프로젝트 식 강의 등을 도입하고 활발하게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한계점을 고려하여 결론을 해석하여야 할 것이며 다음과 같은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본 논문은 기재 된 논문과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다소 객관화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객관화시킬 수 있는 연구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한중대학 회계교육의 비교에 있어 한국대학과 중국대학의 특히 회계교육과정에 관한 비교대상을 일부대학만으로 선정하였고 또한 본인지식의 한계로 인하여 결론이 다소 미흡한 점이 많기 때문에 향후에는 더 많은 대학을 선정하여 통계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주요 어: 한국, 중국, 회계교육, 회계교육과정 The aim of this study is that a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Korea and China development history to find out the Korea and China accounting education problems and to give advice on improvement. The study also can master the main flow in Korea and China accounting education and know the weak point in education. In order to reach the study purpose, collect the Korea and China web documentation and website information from univerdity, and reading reference study about it. The results and improvem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riority No. 1 for accounting education innovation is setting the goal of new accounting education. Whenever build up the goal of education, Chinese government and university should be consider strategy principle and development direction, but also consider market needs. Especially in university, main task is to grow up the students who have abundance knowledge and meet market needs. Secondly,For the Cultural Education in Korea University, it focus on the improvement o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ability, so, it should need to improvement on cultural education substantiality. In case of Chinese University, its too much focus on cultural education, so it will effective if delete some classes. Thirdly, Korean Universities need to control and limit the courses. It’s better to systemize to gain the knowledge than wide knowledge. In other way, Chinese Universities need to add optional course, reduce the regular courses, in order that, students can get wide knowledge. Fourthly,For the Cultural Education in Korea University, it focus on the improvement on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ability, so, it should need to improvement on cultural education substantiality. In case of Chinese University, its too much focus on cultural education, so it will effective if delete some classes. Fifthly, Korean Universities need to control and limit the courses. It’s better to systemize to gain the knowledge than wide knowledge. In other way, Chinese Universities need to add optional course, reduce the regular courses, in order that, students can get wide knowledge. This study has limitations, so it should be consider the limitations and providing ideas for further conclusion and give the study directions. Firstly, the thesis is mainly based on history thesis and documentation, so it is not completely objectivity. In future, it should be need developed model with objectivity Secondly, the study for comparison on Korea and China accounting education, the limitation is selecting special university and my own knowledge. So, it needs to update after selecting much more university analysis.

      • 사이버강의 학습운영의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상명 경원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waves of knowledge information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our society in the 21st century. It is expected that the efforts to build the internet-based cyber education in the similar environment as the real face-to face class environment and the investment to develop varied contents will go on and the cyber education in more developed forms will appear. Moreover, education circumstances require the flexible changes of learning methods using various up-to-date media technology, which is follow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cyber education system used more positively. Cyber education means the education which is carried out by means of a computer in a cyber space and practiced through the combination with the network connected to learners' virtual space activities. For this purpose, cyber education enabled a learner to interact with others through e-mail, bulletin, discussion, etc., and pursue an individual self-study. Domestic cyber education situations witness the management of 17 Cyber Universities at present, and it is estimated that 114 colleges in the general universities give cyber lectures through the internet. Nevertheless, the transmitting effect of lectures lessen and a reciprocal reliability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eaken due to the lack of face-to-face lectures. In addition, there appeared lots of problems such as the difficulty of the real time process over question-and-answer, the lack of facilities for off-line discussion, and technical support for cyber education. K university first introduced cyber lecturing system in 2001 and now operates cyber lectures by upgrading 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in 2006. Now, the newly-invited cyber lectures require students' evaluation thereon.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attempted to figure out how much the students of K University are satisfied with cyber lectures, and further I have analyzed the problems which they felt in learning with the system and have presented the orientation of the betterment. In order to execute more advanced cyber education in future, we shall have to perform a more intensive research on each of the presented affairs for the methods of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opefully, the related universities will find out the problems of cyber education system, prepare the methods of improvement which the learners of a visual space are satisfied with and operate the cyber lecture system effectively. 21세기 지식 정보화의 물결은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다 주었다. 인터넷 기반의 사이버 교육을 실제의 면대면 수업환경과 비슷한 환경으로 구축하려는 노력과 다양한 콘텐츠 개발 투자는 계속될 것이며, 보다 발전된 형태의 사이버 교육이 나타날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교육환경 또한 각종 첨단 매체 기술을 이용한 융통성 있는 학습 방식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한 사이버 교육체제의 도입으로 이어지고 있다. 사이버 교육은 사이버 공간을 통한 교육으로 컴퓨터를 매개로 이루어지며, 가상의 공간 활동을 위해 학습자들을 연결시켜 주는 네트워크와의 결합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을 말한다. 이를 위해 사이버 교육에서는 이메일, 게시판, 토론방 등의 모든 상호작용과 학생 중심의 개별학습이 가능하게 되었다. 국내 사이버교육 현황은 17개 사이버대학이 운영되고 있고 일반대학에서 사이버강의를 하고 있는 대학은 114개로 추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수와의 대면 부재로 인하여 강의의 전달효과 감소 및 상호 신뢰감이 약해진다. 또한 질의응답에 대한 실시간 처리가 어려웠고, 학습을 위한 오프라인 모임에 대한 시설의 부족, 사이버교육의 기술적 지원 미비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K대학에는 2001년도 사이버강의시스템을 처음 도입하였고 2006년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하여 사이버강의를 운영하고 있다. 이에 새롭게 도입된 사이버 강의에 대한 학습자들의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K대학의 학습자들이 사이버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아울러 학습을 할 때 느껴지는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향후 보다 발전된 사이버교육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개선방안으로 제시된 사항들 각각에 대해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하여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찾아내어 가상공간의 학습자들이 사이버강의에 만족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관련 대학들은 사이버강의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기 바란다.

      • 우리나라 大學의 均衡成果表 導入效果에 관한 硏究

        이성재 暻園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8623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making empirical analysis on the adoption effects of BSC(balanced scorecard) in Korean universities. To put it concretely, I studied whether the characteristics factors of university(administrative characteristic,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perception characteristic) have an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BSC and the performance of university organization. In order to atta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 reviewed related theories and previous research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rofessors, staff and research center officers who were carrying out teaching and administrative services in Korean universities. Among 298 questionnaires recovered from the subjects, 11 questionnaires answered inadequately were excluded and a total of 287 questionnaires from subjec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were exam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for the collected data were tested by Cronbach's alpha test and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ANOVA (F-test), t-test were used to the hypotheses test and additional analyses by the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ir implic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factors(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of work)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tention to use BSC. Also, the administrative characteristic factors(CEO‘ support, education & training)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tention to use BSC. And the constituent's perception factors(user's value, perceived ease of use)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tention to use BSC. Second,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factors(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of work)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ing and growth performance of BSC. Though the education & training of administrative characteristic factor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ing and growth performance of BSC, the CEO‘ support has not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ing and growth performance of BSC. And the user's value of constituent's perception factor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ing and growth performance of BSC. but the perceived ease of use has not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ing and growth performance of BSC. Third,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factors(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of work)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nal process performance of BSC. Also, the administrative characteristic factors(education & training, CEO‘ support)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nal process performance of BSC. And the constituent's perception factors(user's value, perceived ease of use)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nal process performance of BSC. Fourth,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factors(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of work)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ustomer performance of BSC. Though the education & training of administrative characteristic factor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ustomer performance of BSC, the CEO‘ support has not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ustomer performance of BSC. And the user's value of constituent's perception factors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ustomer performance of BSC, but the perceived ease of use has not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ustomer performance of BSC. Fifth,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factors(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of work)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BSC. Also, the administrative characteristic factors(education & training, CEO‘ support)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BSC. And the constituent's perception factors(user's value, perceived ease of use)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BSC. Sixth, the intention to use BSC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learning and growth performance, internal process performance of BSC. Also, the intention to use BSC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ustomer performance, financial performance of BSC. This study has limitations as follows. First, becau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ome professors, staff and research center officers who were carrying out teaching and administrative services in Korean universities. these groups have limitation in representing the whole populations, and therefore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econd,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data collection. Becaus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qualitative items were quantified using a 7‐point scale. Therefore, there is a possibility of bias in measuring. Third, as there is a few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comparing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suggestions are made as follows for future research. First, the subjects of research should be sampled accurately and largely by professors, staff and research center officers who are carrying out teaching and administrative services in Korean universities. Secon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the questionnaire survey used in this study, I need to utilize experimental methods, observation of actual materials, etc. Third, in addition to the independent variables selected in this study, more various, objective and valid independent variables need to be selected and tested as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BSC and adoption effects of BSC. By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and conducting more in‐depth research in consideration of the suggestions above, I expect to get ad 대학은 비영리조직으로서 전통적으로 성과평가제도의 실시에 대하여 소극적이었으나, 최근 글로벌 경쟁과 경영을 추구하면서 대학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조직 혁신과 성과 향상을 위한 성과평가제도로서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 : BSC)의 도입 및 활용에 대한 논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대학에서 BSC 도입 및 활용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조직에서 BSC 도입에 대한 영향요인이 BSC의 사용의도 및 도입효과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대학이 BSC를 도입하는데 있어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조직에서 BSC 도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조직특성, 관리특성 및 구성원 인식특성 요인이 BSC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둘째, 대학조직에서 BSC 도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조직특성, 관리특성 및 구성원 인식특성 요인이 BSC 도입효과(학습 및 성장성과, 내부프로세스 성과, 고객성과, 재무성과)에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대학조직의 구성원들에게 있어서 BSC에 대한 사용의도는 BSC의 도입효과(학습 및 성장성과, 내부프로세스 성과, 고객성과, 재무성과)에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넷째, 대학조직에서 BSC 도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조직특성, 관리특성 및 구성원 인식특성 요인 및 BSC의 사용의도에 대하여 이해관계자집단의 인구통계적 요인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대학조직의 구성원들에게 있어서 BSC의 도입효과(학습 및 성장성과, 내부프로세스 성과, 고객성과, 재무적 성과)에 대하여 이해관계자집단의 인구통계적 요인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점과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선행연구는 BSC의 도입과 관련하여 공공부문(공기업, 정부부문)이나 민간부문(사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 중 대학에서 BSC를 도입하는데 있어서의 영향요인 및 도입효과를 검증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둘째, 대학을 대상으로 한 BSC 관련 선행연구로서 이상훈(2008)은 BSC를 대학에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BSC 도입시 각 관점의 배열과 관점별 전략목표를 추출하고 전략목표에 따른 성과지표를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BSC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BSC에 대한 사용의도와 조직성과(도입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다는 면에서 차이가 있다. 셋째, 조직성과(도입효과)를 BSC의 4가지 관점별로 평가한 선행연구로서 정철호(2008)는 ERP를 도입한 기업의 경우 그 도입으로 인하여 조직성과가 향상되었는지를 BSC의 4가지 관점에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SC의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BSC 4가지 관점별로 조직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다는 면에서 차이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적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이어서 실증연구방법으로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방법(survey research method)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자(subjects)로는 전국의 대학에 근무하고 있는 교수, 직원 및 조교/연구원들이었으며, 이들에게는 1, 2차에 걸쳐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298부 중 기재내용이 부실한 11부를 제외한 287부를 대상으로 하여 통계분석에 연구자료로서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연구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우선 연구도구로서 설문지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각회전방법(varimax rotation)에 의한 요인분석(factorial analysis)과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조직특성 등의 독립변수가 균형성과표의 사용의도와 균형성과표의 도입효과 등의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선형회귀분석(sim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또한, 균형성과표의 사용의도와 균형성과표의 도입효과에 미치는 요인들은 이해관계자집단의 인구통계적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추가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조직특성 요인이 균형성과표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조직특성 요인 중 의사소통과 업무표준화 요인이 사용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의 관리특성 요인이 균형성과표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관리특성 요인 중 최고경영자 지원, 교육훈련이 사용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구성원의 인식특성 요인이 균형성과표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구성원 인식특성 요인 중 이용자 가치와 사용용이성은 사용의도에 유의적인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검증결과는 대학조직이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업무표준화가 이루어지며, BSC에 대한 최고경영자로서 총장의 지원과 대학구성원에 대한 교육훈련이 잘 이루어진다면 BSC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욕이 높아질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학구성원들에게 BSC가 이용할 가치가 있으며, 사용이 어렵지 않다는 점을 인식시킴으로써 BSC의 도입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대학의 조직특성 요인이 균형성과표의 학습 및 성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조직특성 요인 중 의사소통, 업무표준화 요인이 균형성과표의 학습 및 성장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의 관리특성이 균형성과표의 학습 및 성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관리특성 요인 중 교육훈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최고경영자 지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아, 대학의 관리특성 요인 중 교육훈련은 학습 및 성장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최고경영자 지원은 균형성과표의 학습 및 성장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대학구성원의 인식특성 요인이 균형성과표의 학습 및 성장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인식특성 요인 중 이용자 가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인식된 사용용이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대학구성원의 인식특성 요인 중 이용자 가치는 학습 및 성장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인식된 사용용이성은 균형성과표의 학습 및 성장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검증결과는 대학조직이 의사소통과 업무표준화가 잘 이루어지고 구성원에 대한 교육훈련이 잘 이루어지며, BSC가 이용가치가 높다는 것을 인식시킴으로써 BSC의 학습 및 성장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대학의 조직특성 요인이 균형성과표의 내부프로세스성과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또한 조직특성 요인 중 의사소통, 업무표준화 요인은 균형성과표의 내부프로세스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의 관리특성 요인이 균

      • 음악과 임용고사 출제경향의 분석을 통한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과과정 개선방안 연구 : 2000년-2007년도 국악이론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황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라는 어느 국악인의 평소 말씀처럼 음악과의 7차 교육과정은 국악의 소중함을 깨닫고, 음악문화 창달을 위해 국악교육을 그 목표 중 하나로 삼고 개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처음 치러진 2000년도부터 2007년도까지의 중등 음악과 임용고사의 출제문항 중 국악이론영역의 분석을 통해서 출제 경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이를 통해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과과정 개선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임용고사의 출제문항 분석은 국악을 예로 든 교과교육학 문항과 국악이론의 교과내용학 문항을 내용 및 내용별 요소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고,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과과정은 각 대학의 홈페이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실시된 중등 음악과 임용고사의 출제문항을 연도별, 내용별로 분석하여 세부 분포와 내용의 균형유지 상태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대학 음악교육과 교과과정의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임용고사 출제문항 분석 결과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을 예로 든 교과 교육영역의 평균 배점율을 분석해 본 바, 그 문항의 배점율이 근래에 와서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음악과 임용고사 전공필기시험을 100%로 보았을 때, 교과교육영역의 8년간의 평균 배점율은 29%이다. 29% 중 국악을 예로 든 교과 교육영역의 평균 배점율이 4.9%로, 8년간의 평균은 높지 않지만, 2006년에 8.8%, 2007년에 13.1%로 최근에 와서 국악을 예로 든 교과교육영역의 비중이 커졌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교과내용영역을 국악이론영역과 서양음악이론영역으로 나누어 그 평균 배점율을 분석한 결과 국악이론의 배점율이 서양 음악이론의 배점율보다 0.3% 많았다. 음악과 임용고사 전공필기시험을 100%로 보았을 때, 2000년부터 국악이론영역의 평균 배점율은 36.7%, 35%, 37.1%, 32.9%, 30.0%, 38.8%, 36.9%, 36.9%로 평균 배점율이 35.5%이고, 33.3%, 35%, 37.1%, 38.6%, 41.1%, 33.8%, 28.1%, 35%의 평균 배점율을 나타낸 서양이론은 평균 35.2%의 평균 배점율을 보여 주었다. 셋째, 악전, 형식, 장단, 악기, 악곡, 국악사의 6가지 유형으로 구분지어 지는 국악이론 문항의 배점은 음악과 임용고사 전공필기시험을 100%로, 그 중 국악이론영역의 배점율을 총 35.5%로 보았을 때, 악전, 형식, 장단, 악기, 악곡, 국악사의 각각의 평균 배점율이 7.8%, 0.5%, 6.4%, 3.1%, 13.5%, 4.4%를 나타냈다. 이상으로 악곡이 13.5%로 가장 높은 배점율을 가지고, 형식 문항의 배점이 0.5%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고, 년도별 문항 출제를 살펴보았을 때, 장단, 악곡, 국악사는 8년간 매 해 출제 되었지만, 악전, 형식, 악기는 간헐적으로 출제되었으며, 특히 형식 문항은 2003년도 단 한해에만 출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항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을 수집·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과과정은 서양음악영역:국악이론영역의 비중도가 58.3 : 9.1로 중등교원양성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으로서 중등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었고, 임용시험의 출제 흐름에도 동떨어져 있었다. 따라서,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에 중등학교 7차 교육과정의 내용과, 중등 임용고사 출제 경향을 반영하여 국악영역의 수업을 좀 더 다양하게 하고 그 전체 이수학점을 늘리는 등의 개선으로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은 좀 더 실용적인 교육과정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둘째, 9개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과영역 비중도에 대한 표준편차는 전공실기 및 부전공실기, 서양음악, 국악, 음악교육 및 지도법 순으로 각각 2.7, 2.3, 3.14, 2.1이며, 국악이 4가지 영역 중 각 학교간의 표준편차가 가장 컸다. 이는 아직 국악영역에 대한 대학 음악교육과의 영역별 체계가 잡혀있지 않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각 대학별로 영역별 기본 이수학점에 대한 체계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대학 간의 정보교류 등으로 전체 음악교육과의 기본이수과목에 대한 틀이 갖춰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 개선을 통하여 국악과 서양악의 독특한 느낌을 심도있게 발전·계승시켜 나갈 수 있는 교원의 양성이 이루어지고,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입지가 굳게 다져지기를 기대한다.

      • 대학등록금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승복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23

        오늘날 우리나라 대학은 세계대학과의 경쟁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으며, 학생소비자 시대의 구현이나 대학운영의 합리화라는 흐름을 직시하여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반영하여 대학등록금의 수준이나 계열별 차이도 및 대학의 교육여건 등을 고려한 등록금 결정 등에 합리적 근거나 타당성을 고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현재 시행되고 있는 최소전공인정학점제하에서 학생들의 복수전공 및 연계전공을 위하여 계열간 이동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대학등록금의 타당한 근거나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은 시급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우리나라 4년제 대학의 등록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그러한 요인들에 대한 대학의 이해관계자들의 중요성 인식을 검증하여 향후 대학당국의 등록금 결정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대학등록금 수준이나 계열별 공평성 및 결정기준이나 방식에 대하여 대학의 중요한 이해관계자집단인 대학재직자, 학생 및 학부형간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둘째, 대학등록금 결정요인들에 대하여 대학의 중요한 이해관계자집단이 대학재직자, 학생 및 학부형간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셋째, 대학등록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중요도 순위에 대하여 대학의 중요한 이해관계자집단인 대학재직자, 학생 및 학부형간의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다. 넷째, 대학등록금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양적 및 질적 자료들을 입수하여 이 자료들이 대학등록금 수준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적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이어서 실증연구방법으로서 설문지법을 적용하여 대학의 이해관계자인 대학재직자, 학생 및 학부형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또한 한국사학진흥재단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4년제 사립대학의 실제 재무 및 교육여건 관련 자료를 입수 및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인 전국의 4년제 대학의 재직자, 학생 및 학부형에게 각 집단별로 300부씩 총 900부를 우편으로 배포하여 회수한 설문지 중 불성실한 것은 제외하고 총 456부(대학재직자용 151부, 학부형용 158부 및 학생용 147부)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및 한국사학진흥재단 홈페이지를 통하여 입수한 자료에 대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먼저 가설검증을 실시하기 전에 자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분석으로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분석기법으로는 각 변수들 간의 관계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영향력 검증 및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중요도 순위분석을 위하여 크루스칼 윌리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인 우리나라 4년제 사립대학 140개에 대한 재무지표를 분석한 결과, 운영비율(운영수익/순운영비용)은 평균 88.45%로서 운영수익으로 운영비용을 충당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건비구성비율(인건비/운영수익)은 평균 39.32%를 나타내 운영수익 중 거의 40%가 인건비에 충당되고 있다. 인건비구성비율의 표준편차는 다른 변수들에 비하여 가장 작게 나타난 점에서 볼 때, 인건비구성비율은 사립대학 모두에게 중요한 문제라는 것을 지적해 준다. 또한 총자산증가율의 표준편차는 다른 변수들에 비하여 가장 크게 나타나 사립대학간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향후 대학간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인 우리나라 4년제 사립대학 140개에 대한 교육여건지표를 분석한 결과, 등록금환원율((1인당교육비/1인당등록금)의 평균은 165.54%로서 학생들이 납부한 등록금에 비하여 65.54P%를 초과하여 교육비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학생등록률(등록학생수/등록대상학생수)은 평균 82.93%로서 이러한 저조한 등록율은 인구감소와 학생들의 학교간 이동(편입학 등)이 활발해진 것으로 분석되며, 또한 취업난 및 경제난에 따른 후유증으로도 분석된다. 교육여건지표에 대한 표준편차가 대부분의 경우 크게 나타나 교육여건에 있어서 대학간에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등록금환원율, 학생1인당교육비, 학생등록률, 학생1인당 실험실습비, 교수1인당연구비 등의 변수에 있어서 대학간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현행 등록금 전반 현황이나 결정방식에 대하여 대학의 이해관계자인 대학재직자, 학생 및 학부형간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이해관계자 집단별로 등록금수준, 계열별 형평성, 총교육비 초과여부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등록금 수준결정 방식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는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making empirical analysis of difference among university employees, parents of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perception on factors affecting the determination of university tuition fees and the importance of the determinants of university tuition fees, and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necessary for rational determination of university tuition fee. In order to atta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 reviewed related theories and previous research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real data collection in web cit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iversity employees, parents of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mong questionnaires recovered from the subjects, those answered inadequately were excluded and a total of 456 questionnaires from subjec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were exam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subjects was analyzed through F test and chi-square test. In addition, Kruskal-Wallis One 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priority of the determinants of university tuition fee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see the effect of determinants of university tuition fee on the university tuition fee.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ir implic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testing whether there was parti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ir perception on the determinants of professor-related factors. Namely, professor guarantee ratio, professor salary, professor research expense, the number of salaried assistant per a professor variable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s. And subjects perceived the number of student per a professor variable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determination of tuition fee. Second, in the results of testing whether there was not almost a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ir perception on the determinants of student-related factors. Namely, only the number of undergraduate student and scholarship student ratio variabl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subjects perceived the number of undergraduate student and practice -experimental expense per a student variable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determination of tuition fee. Third, in the results of testing whether there was not a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ir perception on the determinants of facilities-related factors. And subjects perceived the school building guarantee ratio and lecture-practice room guarantee ratio variable as important variable in determination of tuition fee. Fourth, in the results of testing whether there was partially a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ir perception on the determinants of annual revenue-related factors. Namely, a government aid ratio, corporation aid ratio and non-educational revenue variabl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subjects perceived the government aid ratio, donation ratio and corporation aid ratio variable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determination of tuition fee. Fifth, in the results of testing whether there was parti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ir perception on the determinants of annual expenditure -related factors. Namely, professor salary ratio, staff salary ratio, student activity expenditure ratio and non-educational expenditure ratio variable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subjects perceived the research expenditure ratio, student expenditure ratio and professor salary ratio variable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determination of tuition fee. Sixth, in the results of testing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ir perception on the priority of the determinants of tuition fee,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ubjects’ priority among the professor related determinants of tuition fee was high in order of the number of student per a professor, professor guarantee ratio, the amount of research per a professor. And the dependence ratio on part-time lecturer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Seventh, in the results of testing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ir perception on the priority of the determinants of tuition fee, subjects’ priority among the student related determinants of tuition fee was high in order of scholarship student ratio,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the number of undergraduate student. And the number of student per a staff, the book purchasing expenditure per a student, scholarship student ratio, the percentage of employmen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Eighth, in the results of testing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ir perception on the priority of the determinants of tuition fee, subjects’ priority among the facilities-related determinants of tuition fee was high in order of the school building guarantee ratio and lecture-practice room guarantee ratio show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Ninth, in the results of testing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ir perception on the priority of the determinants of tuition fee,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ubjects’ priority among the annual revenue -related determinants of tuition fee was high in order of the government aid ratio. And donation ratio, corporation aid ratio, the other educational revenue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Tenth, in the results of testing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heir perception on the priority of the determinants of tuition fee, subjects’ priority among the annual expenditure-related determinants of tuition fee was high in order of the professor salary ratio. And professor salary ratio, staff salary ratio, the annual research revenue in the school ground, student activity ratio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 스포츠용품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소비자반응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진범 경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용품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소비자반응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6년 현재, 서울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유층집락무선 표집의 방법으로 연구대상을 추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추출절차는 먼저, 서울지역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를 대상으로 표집 틀을 작성한 다음 6개의 대학교를 무선배정하고 각 대학교별로 100명씩 총 600명을 집락표집 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노출시킬 3가지의 광고소구는 유형별로 2개의 대학을 무선으로 배정하고 광고소구를 노출시켰다. 표집 된 600명 가운데 설문조사에 참가한 인원 555명 중 불성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자료를 제외하고 실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제품 지향적 소구 173명, 감정적 소구 175명, 성적 소구 173명, 총 521명의 설문 내용이다. 최종적으로 이 연구에서 사용된 521명이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시키고 분석 가능한 자료를 선별하여 Windows SPSS 12.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의 목적에 따라 처리하였다. 배경변인에 따른 소비자반응 및 구매의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는 LSD를 사용하였다. 스포츠용품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소비자반응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는 LSD를 사용하였다. 스포츠용품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구매의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는 LSD를 사용하였다. 스포츠용품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소비자반응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표준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소비자반응 및 구매의도의 차이는 성별에 따라서는 인지적반응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고, 정서적반응에서도 남자가 여자보다 높으며, 구매의도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연령에 따라서는 인지적, 정서적, 구매의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제수준에 따라서는 인지적반응과, 정서적반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고, 구매의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관여도에 따라서는 인지적반응과, 정서적반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고, 구매의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용품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소비자반응은 차이가 있다. 소비자반응의 하위용인인 인지적반응과 정서적반응 모두 스포츠용품 광고소구유형 중 성적광고소구가 가장 높고 감정적 광고소구가 가장 나자다 셋째, 스포츠용품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구매의도는 차이가 있다. 구매의도에 있어서 스포츠용품 광고소구유형 중 성적광고소구가 가장 높고 제품지향적, 감정적 광고소구가 가장 낮다. 넷째, 스포츠용품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소비자반응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스포츠용품 광고소구유형 모두 소비자반응의 하위요인인 인지적반응과 정서적반응이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높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