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C부재의 현장생산을 위한 공기-원가 동적 리스크 관리 모델

        임지영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전 세계적으로 최근 10여 년간 건설시장의 추이를 살펴보면, 중·저층의 저밀도 건축물보다는 대형 구조물의 건설이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물류창고시설은 상품의 보관, 하역, 출고, 배송 등 다양한 절차(process)를 처리하기 위해 규모가 대형화, 고층화될 뿐 아니라 층고가 높아지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대형 물류창고시설은 투자비 회수를 위한 조속한 건설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기단축에 의한 공사관리비 (인건비, 장비비, 제경비) 절감 및 조기운영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고려하여야 한다. 장비비, 재료비는 저하되고 인건비가 상승하는 현 시점에서는 자본집약적인 PC공법이 유리하다. 공장에서 생산된 PC부재의 원가는, 공장의 이윤 및 간접비가 부재 제작비의 약 10-15%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C부재를 현장생산할 경우는 공장생산보다 공사비의 약 14.5-21.6%가 절감된다는 것이 문헌을 통해 조사되었다. 또한, 동등한 생산 조건에서 PC부재의 현장생산은 공장생산 대비 동등 이상의 품질을 확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장생산은 프로젝트(project) 관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risk)로 인하여 기피한다. 그러나 PC부재의 현장생산 수행 전 리스크 요인을 분석하고 그에 대응한다면 현장생산 기회를 높일 수 있다. PC부재 현장생산 리스크는 “현장생산에 대한 경험의 부재에서 오는 불확실성(uncertainty)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이다. PC부재의 현장생산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직접적인 요인을 중심으로 영향요인(리스크 요인)을 단순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의 동적 연관관계를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 요인들은 현장생산 공기에 영향을 미치고 최종적으로 현장생산 원가에까지 영향을 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PC부재 현장생산의 리스크 요인들을 현장생산 원가, 현장생산 공기, 현장생산 물량, 리드타임(lead-time), 몰드(mold) 수, 생산 사이클(cycle), 크레인 수, 야적면적 등으로 정의하고, 이들 간의 동적 관계를 분석하는 리스크 관리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생산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생산면적만을 고려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몰드 배치를 위한 생산면적보다 생산된 PC부재의 야적면적이 리스크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야적 규칙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수학식을 도출하였다. 이는 야적장 및 야적면적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개발된 RISP(risk management model for in-situ production)는 PC부재 현장생산을 위하여 리스크 관리의 개념적 모델 및 수학적 모델을 활용하여 구축되었고, 리스크 요인별 연관관계를 정립하였다. RISP는 이론적으로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하였고, 방법론적으로 Expert Powersim Studio 10 소프트웨어(software)를 활용하여 다양한 현장여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모델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제너레이션 모델, 시뮬레이션 모델, 최적화 모델, 리스크 관리 모델에 대한 정의를 통해 동적 리스크 관리를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프로세스가 체계적으로 정립되었다. 이것은 현장생산뿐 아니라 건설공사의 다양한 리스크 관리 관련 연구에 활용 가능하다. 넷째, A 및 B 사례 프로젝트의 공사 진행에서 가정조건을 수립하여 이를 RISP에 적용하였다. 최적값을 도출한 결과, PC부재 100%를 현장생산할 경우 최대 28.8%까지 원가 절감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장생산 적용 시 공장생산보다 15% 원가 절감 가능한 몰드 수, 현장생산 물량, 리드타임, 크레인 수에 대한 관리한계 범위를 산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장생산 준비 단계 시 최대 원가 절감 비율을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현장생산 단계 시 발생 가능한 리스크 요인을 사전 관리함으로써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섯째, 공사 진행 중에 발생되는 현장생산 리스크에 대한 의사결정에 RISP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리스크 대응에 활용된 대안이 공사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검토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RISP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이때 활용된 자료는 리스크에 대한 의사결정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RISP는 PC부재 현장생산을 위해 야적장 선정 및 야적장 활용순서, 야적장 내의 야적순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입력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야적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RISP는 PC부재 현장생산을 대상으로 개발된 것이지만, 모델링 알고리즘과 영향요인들이 다양한 시설 및 공사의 리스크 관리 모델로 응용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global construction market trends over the past 10 years, the construction of large buildings are increasing more than the construction of middle and low-rise buildings. In particular, logistics warehouses are not only large-scale and high-rise, but also the their story height is increasing to handle various processes such as warehousing, loading, unloading, and delivery of goods. Large logistics warehouses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reduction of construction expenses (labor cost, equipment cost, overhead expenses) by time reduction and economical benefit of early operation for the prompt construction for the return on investment. At present, capital-intensive PC method is advantageous, as equipment and material costs are falling and labor costs are rising. The cost of the PC member produced at plant can be confirmed that the profit and the overhead of plant include about 10-15% of the production cost. It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literature that when the PC members are produced in-situ, it is saved about 14.5-21.6% of the construction cost than in-plant production. In addition, in-situ production of PC members under equivalent production conditions is possible to ensure quality equal to or better than in-plant production. Despite these advantages, in-situ production is avoided due to the risks that can arise in the project management process. However, if it is analyzed the risk factors before the in-situ production of PC members and responded accordingly, in-situ production opportunities will increase. The risk to in-situ production of PC members means "losses due to uncertainty, etc., resulting from the absence of in-situ production experience". In order to manage effectively the in-situ production risk of an PC members,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influence factors(risk factors) by focusing on direct factors related to this, and to analyze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their dynamic relation. And these factors affect in-situ production time and finally, also affect in-situ production cos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risk factors of in-situ production of PC members as in-situ production cost, in-situ production air, in-situ production quantity, production cycle, lead-time, number of mold, number of crane, ​​stocking area, and to develop risk management model that analyzes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ier studies related to in-situ production considers only the production area. However,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tocking area of ​​produced PC members is a risk factor rather than the production area for ​​the mold layout. In addition, various stocking rules were established and mathematical formulas were derived. Thi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study on the stock yard and stock area. Second, the developed RISP(Risk Management Model for In-situ Production) was constructed by using the conceptual model and the mathematical model of risk management for PC member in-situ production, and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by risk factors. RISP is respondable model that in various changes of site conditions using the system dynamics technique theoretically and Expert Powersim Studio 10 software methodologically. Third, in this study, the processes to be performed for dynamic risk management we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through definition of generation model, simulation model, optimization model, and risk management model. This can be used not only for in-situ production but also for various risk management studies of construction projects. Fourth, assumptions and scenarios were created for A and B case projects and applied to RISP. As a result of deriving the optimal value, it was confirmed that cost reduction is possible up to 28.8% when in-situ production of PC member is 100%. In addition, it is calculated the management limit range for the number of molds, in-situ production, lead time, and number of cranes that can reduce the cost by 15% compared to in-plant production. It is confirmed that the maximum cost reduction ratio can be derived during the in-situ production preparation stage, risk can be minimized by pre-managing possible risk factors in the in-situ production stage. Fifth, RISP was used to make decisions about in-situ production risks that occur during construction work. It i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review the impact of the alternatives used for risk response on the construction and verified the availability of RISP. The used data will be the basis for decision making on risk. The RISP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not be input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election and use order of stock yard, and stock order in the stock yard for PC members in-situ production. And further research on stocking is needed. Although RISP is developed for PC members in-situ production, modeling algorithms and influencing factors can be applied to various facilities and construction risk management models.

      •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 사용자 만족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임지영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ly there are problems that the neglected class who do not receive welfare benefit and those who doubly receive welfare. To prevent leak of welfare budget and discover the neglected class, above all, the role of social welfare public servant is important. However, as the administration work of social welfare public servants has increased along with increasing demand on welfare, there's a difficulty in dealing welfare duty of the original work, such as field visit, case management work, etc. Also, the public servants, who actually utilize social welfare information system, are still complaining of inconvenience of system use such as complexity of civil complaint dealing and limitation of data approach of welfare target, etc.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information system quality on user satisfaction. Also, this research comprehended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of social welfare civil servant based on introduction of system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information system user. And intended to suggest the problem and improvement plan for social welfare information system by comprehending obstructive factors of system utilization. As the research scope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 this research reviewed advanced research on social welfare information, the background of introducing information system, and information system quality measurement. Also, comprehended system use factor and obstructive factors and suggested problem of system use by analyzing the state of system utilization through system user cognitive investigation. Accordingly, this research establish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to measure and investigate influence factors that influence user satisfaction, and selected local government civil servants who undertake social welfare duty as the user cognitive investigation analysis target. Here, this research investigated includ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civil servants, and as the research method, this research analyze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data of social welfare information institute to analyze introduction background and the state of use of academic materials as domestic and overseas scientific papers, research reports on social welfare information, information system outcome measurement, and service quality as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The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investigating the response distribution of each factor, overall average of social welfare information system user satisfaction appeared 2.74, overall average of service quality appeared 2.53, the overall average of information quality appeared 2.92, and the overall average of system quality appeared 2.58.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respon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 according to user satisfaction of social welfare information system, the subordinate factor, gender difference in user satisfaction appear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user satisfaction, work treatment, quality of work, and standardization of work. Third, when investiga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o comprehend influence relation of independent variable along with independent variable, service quality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however it was determined that service quality influenced social welfare information system user satisfaction to a certain degree, since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appeared within 0.1%. Also, information quality and system quality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of influence of independent factors on independent factor displayed highest value on system quality, next, appeared to influence user satisfaction in order of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When suggesting policy implication to improve social welfare information system user satisfaction, first, to improve service quality, it is necessary to compose social welfare information system considering user convenience and concretely provide use method to determine and actively utilize necessary information. Also, it is necessary to resolve difficulty by solving the error or obstacle that can occur in social welfare information system as soon as possible. Second, to improve information quality, it is necessary to raise reliability of information and check the information of welfare target based on lots of information by continuously updating various information of social welfare information system. Third, to improve system quality, work speed of users should be improved by easily understanding and handling the menu of social welfare information system. Considering that the reason of using such system is to improve work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improve work handling speed of social welfare information system. Also, security should be continuously reinforced to stably provide data of social welfare information system. 최근 복지수혜를 받지 못하는 소외계층과 복지혜택을 중복으로 받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복지예산의 누수를 막고 복지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소외계층을 발굴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늘어나는 복지수요에 따라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의 행정업무량이 증가하여 본연의 업무인 현장방문 및 사례관리 업무 등 복지업무를 담당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실제로 사용하는 공무원들은 여전히 민원 처리의 복잡성, 복지대상자 자료접근 제한 등 시스템 사용의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보장정보시스템 품질이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정보시스템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의 업무효율성이 향상되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시스템 활용의 장애요인을 파악하여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범위로는 정보시스템 도입 배경인 사회복지정보화에 관한 이론과 정보시스템 품질 측정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시스템 사용자 인식조사를 통하여 시스템 활용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시스템 사용요인과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시스템 사용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측정하고 규명하기 위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고 사용자 인식조사 분석대상으로는 사회복지업무를 담당하는 지자체 공무원으로 선정하였다. 이때 사회복지 담당 공무원의 개인적 특성도 포함하여 조사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로 사회복지정보화, 정보시스템 성과측정 및 서비스품질에 관한 국내외 학위논문, 연구보고서 등의 학술적 자료들과 사회보장정보시스템 도입배경 및 사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보건복지부 및 사회보장정보원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각 변수의 응답분포를 살펴보면,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사용자 만족도의 전체 평균은 2.74, 서비스 품질의 전체 평균은 2.53, 정보 품질의 전체 평균은 2.92, 시스템 품질의 전체 평균은 2.58로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수인 시회보장정보시스템의 사용자 만족도에 대한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사용자 만족도에 대한 성별 차이는 사용자 만족도, 업무처리, 업무의 질, 업무의 표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다중회귀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서비스 품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유의확률이 0.1%이내의 수치를 보이고 있어 서비스 품질이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사용자 만족도에 일정 수준 영향을 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정보 품질과 시스템 품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독립변수들이 종속변수에 주는 영향력의 정도는 시스템 품질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고 그 다음으로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 순으로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고 있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첫째,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사용자 편의를 고려하여 구성하여야 하고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용방법이 구체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보장정보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장애들을 빠른 시간에 해결하여 어려움을 해소해나가야 한다. 둘째, 정보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의 다양한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고 많은 정보들을 바탕으로 복지대상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시스템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의 메뉴를 쉽게 이해하고 다루어 사용자들의 업무속도를 높여야 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는 이유는 업무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의 업무처리속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사회보장정보시스템상의 자료들을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보안을 강화해야 한다.

      • 고등학교 수학 교과와 물리 교과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임지영 순천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ntents of mathematics is related to the one of physics in curriculum a lot. Therefore, teaching and study should be carried out by using connectedness between the two subjects. This research, survey connectedness and comparison of the progress order mathematics with physics from 7th curriculum, investigate the point where the connectedness is improved from 2007 revision curriculum and this is for aid professor to teach and study about connectedness of mathematics and physics by investigation cognition of their association in order to make the most effective learning possible and the result of research with afterwords is the same. Firstly, there was a part which was not considered about connectedness of the two subjects in the 7thcurriculum. Secondly, There was a part where the connectedness is improved from 2007 revision of education curriculum Thirdly, students were recognizing a deep connectedness of mathematics and physics, and they were feeling more difficulty to the mathematics applied to physics than the mathematics applied to physics. Fourthly, although teachers were recognizing the connectedness between two subjects, it was confirmed that instruction using the connectedness is hard in the real.

      • 전기로 산화 슬래그 골재의 콘크리트 구조 부재 적용에 관한 연구

        임지영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Steel manufacture has the complex progress such as material, steelmaking and rolling. Also steel manufacture generates many products and wastes. Slag is the by-product having large percentage more than others. Iron manufactural slag is consisted by blast furnace slag, electric arc furnace slag, converter slag. Electric furnace slag takes ratio of 5~7% and ratio of electric furnace slag has been increased steadily until 2007. So it is necessary to refine the method of electric furnace slag. The main ingredient of electric furnace slag is CaO and SiO2 that are matched to general rock and mineral and shows alkalinity same as portland cement or concrete. It is prospective to use as a aggregate. But it has been reclaimed because of it's expansibility caused by f-MgO. Recently, researches 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electron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for structural members have been in process and a basis of utility of electric furnace slag as an alternative material of natural aggregate by presentation of KS F 4571. The pro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imate bond capacity for applying Electron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ggregate to structural members as a basic test. As a result of test, a specimen using electron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ggregate shows similar bond stress or more than a specimen using natural aggregate. Also bond capacity of a specimen using electron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ggregate is higher than the value from a formula of Fujii-morita. This study consist of six chapters. Contents are as follows. Chapter Ⅰ : Introduction Chapter Ⅱ : A summary and status of electric furnace slag Chapter Ⅲ : Evaluation of the structural capacity of concrete using electron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ggregate Chapter Ⅳ : Conclus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pecimen applied electron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ggregate shows higher bond capacity more than 150% as it compares with others used natural aggregate. 2. Specimen applied electronic arc furnace oxidizing slag aggregate satisfies flexural capacity. 3. Specimen used electronic oxidizing slag aggregate shows holdbace effect than specimen used natural aggregate. 4. Deformation on axis of tension followed by moment on Specimen used electronic oxidizing slag aggregate was taken charge of by several cracks in extended area.

      • ≪西廂記≫ 구성 및 인물형상 연구

        임지영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西廂記》는 당대 소설 《鶯鶯傳》으로부터 전해내려오던 鶯鶯故事를 王實甫가 재창조한 작품으로 中國戱劇史의 代表作라 할 수 있다. 그 내용이나 주제 구성면에서도 이전의 戱曲들과는 확연히 달라진 모습을 보인다. 본 논문은 ≪西廂記≫에 드러난 원대의 시대적ㆍ문학적 배경을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하여 작품의 연원, 구성과 인물형상 분석,이를 통해 나타난 주제사상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첫째,《西廂記》는 당대의 《鶯鶯傳》에서 부터 여러 가지 형태로 전승되어 오던 설화로 이전 작품에 비해 외형적 모습도 변모했지만 더욱 높이 평가할 것은 극의 내용과 구조의 치밀함과 인물성격 등이 입체적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즉, 비극에서 희극으로의 주제 변경, 극적 갈등 구조의 도입, 입체적인 인물형상의 완성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西廂記》의 주제는 기만에 가득찬 문벌중심의 봉건혼인제도에 저항하는 자유연애사상의 추구이다. 이로 인해 당대 청춘남녀들에게 새로운 인간상을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주제사상의 표출과정에서 풍자와 해학, 미묘한 관계들을 생동감있게 그려내어 관중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탄탄한 극적 구조를 창조하였다. 셋째, 인물형상의 측면에서 《董西廂》등은 등장인물들은 봉건적이고 전형적인 인물형상 묘사에 그쳤다면 《西廂記》는 봉건주의와 자유연애 사상의 극적 대립 구도 속에서 펼쳐지는 인물들 간의 관계, 언행을 통해 평면적인 요소를 탈피하여 전형적으로 봉건적 인물인 老夫人, 이에 반하는 자유연애 사상을 추구하는 적극적 인물형상인 張生, 紅娘과 내부적 갈등 요소를 지니는 鶯鶯까지 개성적이고 입체적인 인물 형상의 창조에 성공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문학적 우수함과 봉건적 한계 극복, 자유연애 사상의 고취를 통한 진보적인 교육효과를 통해 명, 청대의 戱曲을 비롯하여 후세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창작이래로 700여년 동안《西廂記》는 중국에서 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번역되어 읽혀지고 연구되어 지고 있다는 점에서 인간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고 하겠다. 《西廂記》is based on the legend of the 鶯鶯. 王實甫 recreated characters and story from 《鶯鶯傳》, the contemporary novel. It can be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novel in modern Chinese literature. It shows completely different aspects in the contents and the theme from the previous plays. This article reviewed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Yuan and literary background shown in ≪西廂記≫ , investigated the origin of the work, analyzed the composition and figures in the work and identified its theme. First, 《西廂記》 is based on the contemporary work, 《鶯鶯傳》 which dealt with a story orally transferred in various forms but it changed a lot in the exterior. Not only changing exterior, it made the structure stronger and figures in three dimension. In other words, it changed the theme from a tragedy to a comedy, introduced dramatic conflicts and completed three-dimensional figures. Second, the theme of《西廂記》 is the pursuit of free love against the feudal marriage based on the family which is full of deception. With this, it provided new prototype of human beings to contemporary young men and women and created strong dramatical structure in which audience feel interest by using humor and satire during the process to show the theme and describing the delicate relationship vividly. Third, from the perspective of descriptions of characters, while 《董西廂》 and other similar works made typical and feudal figures only in their novels, 《西廂記》succeeded in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in the dramatical conflict between the old feudalism and new liberalism and creating characteristic and three-dimensional figures such as Old Lady (老夫人) who is typically feudal, 張生 and 紅娘 who are actively seeking free love and 鶯鶯 who has internal conflicts. As we reviewed above, this work made great effects on the plays in Ming and Qing and later periods through progressive educational effects based on its excellence in literature, overcoming the feudal limitations and encouraging free love. Its deep insight on the human beings can be confirmed from the fact that it has been translated and read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many other countries for more than seven hundred years since it was created.

      • 건설현장에서 안전재해예방을 위한 발주자의 역할에 대한 연구

        임지영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설공사의 대형화, 복잡화 추세에 따라 노무자, 자재, 장비 등의 투입자원의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커지고 있다. 이에 대비하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안전조직관리, 안전교육 등의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건설재해는 타 산업에 비하여 높은 수준이다. 그 이유는 안전관리 프로그램이 시공단계에서만 운영되고 있어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편, 아직도 안전재해의 원인을 시공현장과 공사의 직접적인 참여자인 시공자, 근로자에서 찾으려고 하는 경우가 관습적으로 남아 있어 건설현장의 안전에 대한 책임과 역할이 그들에게만 맡겨진다. 그러나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원인은 시공자뿐만 아니라, 발주자, 설계자 등 공사 프로젝트와 관련된 모든 건설사업주체의 역할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발주자는 어느 참여자보다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업무에 관여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건설공사의 영향력이 가장 높은 건설사업주체인 발주자로 한정하고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재해 예방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안전관리에 대한 발주자의 역할을 시공이전단계, 시공단계, 시공이후단계로 나누고 시공이전단계를 기획단계와 설계 및 공사계획단계로 세분하여 제안하였다. 그러나 설문조사를 통하여 아직도 시공자에게만 안전관리의 책임을 묻는 경우가 허다하고 발주자 스스로도 이와 같이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공사계획단계와 시공단계에 비해 기획단계와 시공이후단계의 발주자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떨어지므로 발주자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고취시키는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영국과 한국 등의 문헌분석을 통해 작성된 발주자의 역할 이 외에도 설문에 대답한 전문가들이 발주자의 역할에 대한 다수의 중요한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예를 들어, 안전시설물 설치가 용이한 구조물 설계, CPM공정표 개발 및 유지관리, 사업분류체계 개발, 각종 현장기록 관리 및 검색기능 보유 등이 있었다. 발주자의 역할을 재정립하는 과정을 통해 건설사업의 안전관리를 위한 업무는 하나의 주체가 단독으로 수행할 수 없고 서로 연계되어 있음을 알았다. 즉, 건설프로세스의 핵심주체인 발주자를 중심으로 설계자, 시공자와 함께 종합적인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참조한 문헌들은 실제 현장의 안전관리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태에서 이루어졌으므로 추가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그리고 도출된 발주자의 안전관리 역할과 추가 제안사항들을 바탕으로 안전관리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연구를 해야 하고 안전관리규정을 재정립하여 안전관리법규체계를 일원화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앞으로 발주자의 역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이와 관련한 제도적 장치가 구축되어야 한다. Larger and more sophisticated building construction requires more input resources such as worker, materials and devices. Growing resource volume brings risks at a construction site. The industry makes an effort to protect probable incidents at the site by organizing a safety management team, conducting a safety instruction and etc, but losses especially in the construction are higher than other industries. Major reason is that the safety management program is conducted only at the step of construction work and a root cause is not eliminated. Conventionally a concerned party shifts the blame to other parties such as constructer and site workers who are direct participants in the construction site. However, the whole causes of incidents go to the all subject of the construction not only the constructor but the client, designer and others related in the construction, and especially the clients are heavily involved in general concerns of the project. This study is defined the role of the clients in nations and domestic condition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s investigated. And it is analyzed surveys to prevent incidents at construction sites, and suggested the role of the clients which is classified pre and post construction, and in the middle of construction, and also categorized planning and design & construction schedule especially for the pre-construction level. However the survey indicated the client still tends to shift the responsibility for the safety management to the contractor and the client well recognizes the reality. The client’s recognition on its role particularly at the construction plan stage and the post-construction stage, not to mention at the construction schedule stage and the construction stage, appeared to have been far behind, which requires establishing the measure to let them better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lient’s role. Besides the roles of the client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ocuments in UK, USA and Korea, the experts offered many significant recommendations on client’s role in their responses to the inquiries in survey, which included, for instance, designing the structure which will be easy to install the safety facilities,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CPM schedule, development of work breakdown structure and maintenance of filed records and search function. Through the process of reestablishing the role of the client, it proved that the safety management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couldn’t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by a single organization as it’s interlinked throughout the project. That is, the client-led integrated safety management system shall be structured in collaboration with the designer and the contractor. The data and documents referred in this study need to be further supplemented as the safety management practice at the sites deemed not to be fully incorporated. And based on client’s role in safety management identified and the recommendations, the study to develop the safety management program needs to be conducted and the measure to unify the safety management laws and regulations through the reestablishment efforts needs to be developed. And the further study on client’s role, along with structuring the systematic tools, shall be implemented as well.

      • 김구림의 초기 영상 연구 : <1/24초의 의미>(1969)를 중심으로

        임지영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 논문은 김구림(金丘林, 1936~)의 초기 영상 작품인 <1/24초의 의미>(1969)를 분석한 글이다. 김구림이 1969년에 제작한 <1/24초의 의미>는 국내에 예술 매체로 소개된 ‘초기’의 영상 작품이자 ‘최초’의 영상 작품으로서 특별한 의미가 있다. 이때 <1/24초의 의미>는 김구림이 ‘필름’을 영상 제작 매체로 선택했다는 점에서 ‘영화’로 분석되기도 하지만, 김구림의 서양화가로서의 정체성으로 인해 미술사적 분석 역시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이는 1960년대 말 미술계와 영화계 사이의 일련의 상호작용이 있었을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때문에 본 연구는 김구림이 ‘필름’을 자신의 영상 매체로 선정한 까닭을 1960년대 한국의 시대적 상황과 미술사적 배경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1960년대 한국, 특히 서울은 ‘근대화’ 시기를 거치며 빠른 속도로 도시화되고 산업화되기 시작했다. 예술계 역시 변화하는 도시를 감지하고, 이에 영향을 받은 다양한 작품들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김구림의 <1/24초의 의미> 역시 변화하고 있는 서울의 모습을 촬영, 빠른 속도로 편집해 서울이 겪은 근대화를 아카이빙하듯 담아낸 작품에 해당한다. 때문에 본 연구는 1960년대 한국의 ‘도시화’와 ‘산업화’와 관련지어 <1/24초의 의미>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때, <1/24초의 의미> 영상, 포토몽타주 형태로 제작된 리플릿, 그리고 <1/24초의 의미>와 퍼포먼스 가 결합된 작품 <무제>(1969) 모두를 살펴봄으로써 영상 분석에 보다 유기적 통일성을 부여하고자 한다. 가장 먼저, 영상 작품 <1/24초의 의미>의 경우에는 1960년대 예술가들에게 소개되기 시작하던 실험영화적 측면에서 분석한다. 특히 베르토프의 ‘키노-아이’ 이론을 적용하여 김구림이 제시한 다양한 서울의 이미지들이 관람객으로 하여금 어떠한 새로운 의미를 찾아낼 수 있도록 유도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리플릿의 경우에는 ‘편집’과 ‘기록’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김구림이 리플릿을 포토몽타주 형식으로 제작한 이유를 본 영상과의 관계성 속에서 분석한다. 또, <무제>의 경우 1960년대 국내 미술계에 소개되던 ‘해프닝’ 개념을 중심으로 1960년대 김구림이 총체예술을 어떠한 맥락에서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특히 <1/24초의 의미>의 특정 장면들과 리플릿에서 러시아 아방가르드 작가들의 작품과의 연관성이 발견된다는 것에 집중하여, 1960년대 당시 김구림이 러시아 아방가르드 작가들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었던 배경을 조사해보고자 한다. 러시아 아방가드르 작가들이 가지고 있었던 미래에 대한 기대와 장르를 넘나드는 예술적 실험이 김구림의 예술 세계에서는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전반적으로 파악해보고자 한다. <1/24초의 의미>에 담긴 김구림의 예술론은 제4집단으로 이어졌지만, <1/24초의 의미>와 제4집단의 다양한 활동들은 당대 사회의 몰이해 속에서 젊은 작가들이 벌이는 ‘기이한 해프닝’으로 치부되어왔다. 그러나 <1/24초의 의미>는 격동의 시기를 보내고 있었던 1960년대 한국 사회와 국내 미술계의 변화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작품으로, 앞으로도 국내 근대미술 담론에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시대의 흐름을 온 몸으로 받아내며 격변하는 시대를 예술로 기록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1/24초의 의미>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 대학생용 학업적 자기구실만들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임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적 자기구실만들기를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 증거를 수집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선행연구의 검토를 통해 학업적 자기구실만들기를 구성하는 요인을 결정하고, 문항을 제작하였다. 대학생 356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검사 문항을 결정하였다. 본검사는 준거관련 타당도 증거를 검토하기 위한 척도를 포함하였으며 대학생 53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문항분석을 통해 최종 척도에 포함할 문항을 결정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개발된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 증거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회피목표, 사회적 바람직성, 완벽주의, 방어적 기대, 학업적 적응과의 하위구인 간 상관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업적 자기구실만들기에 성차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MIMIC 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고 결과를 분석한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검토를 통해 학업적 자기구실만들기를 언어적 자기구실만들기와 행동적 자기구실만들기의 2개 요인으로 구성하였고, 기존 문항과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23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문항양호도 분석을 실시하여 총 17문항의 본검사를 구성하고, 관련된 변인들과 함께 본검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16문항을 선정한 후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증거 수집을 위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최종적으로 결정된 16개의 학업적 자기구실만들기 척도의 내적합치도 분석을 통한 신뢰도는 언어적 자기구실만들기 .79, 행동적 자기구실만들기 .75로 각 하위구인을 비교적 일관적으로 측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확정된 문항과 이론적 검토를 통해 상정된 구인 간의 관계 구조가 경험적 자료를 통해 지지되는지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발된 학업적 자기구실만들기 척도는 비교적 수용할 수 있는 적합도를 나타냈다. 셋째, 개발된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 증거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회피목표, 사회적 바람직성, 학업적 완벽주의, 방어적 기대, 학업적 적응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자기구실만들기의 각 하위구인은 수행회피목표, 방어적 기대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학업적 적응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내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지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바람직성과 완벽주의와는 선행연구에서 일치하지 않는 결과가 나타나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넷째, 학업적 자기구실만들기의 성차를 알아보기 위해 MIMIC 모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학업적 자기구실만들기의 각 하위구인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언어적 자기구실만들기를 많이 한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였으나, 남성이 여성보다 행동적 자기구실만들기를 많이 한다는 선행연구와는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학업적 자기구실만들기 척도는 자기구실만들기의 목적과 자기구실만들기를 하는 시점을 분명하게 반영하는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또한 언어적 자기구실만들기와 행동적 자기구실만들기를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이다. 기존척도는 학업적 자기구실만들기의 조작적 정의를 충실하게 반영하지 못하였고, 하위구인을 구분하지 못할 뿐 아니라, 한국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학업적 자기구실만들기 척도는 자기구실만들기의 동기, 자기구실만들기와 관련된 변인들을 포함하는 후속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학업적응의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 대해, 학업에 방해가 되는 행동과 그 의도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척도를 제공함으로써 학교상담에서 보다 정교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academic self-handicapping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e review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suggested that the self-handicapping could be conceptualized as two-dimensional construct that consisted of verbal and behavioral sub-constructs. Items were modified, or deleted after a small group discussion. The 23 items of preliminary scale was given to 356 college students. After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7 items remained to constitute for the final scale. The final scale and the scales for securing evidences of criterion-related validity were administered to 539 college students. One item was eliminated from the final scale after the main data analysis resulting in a 16-item scale of self-handicapping which contains nine for the verbal and seven for the behavioral sub-scale.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provided some construct validity evidence of the two-factor model for the self-handicapping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Next, the evidence for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obtained from the analyses of correlations among academic self-handicapping, performance avoidance, social desirability, perfectionism, defensive expectation, and academic adjustment scales. Lastly, gender differences in self-handicapping were examined using MIMIC model. Discuss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application ideas of utilizing the scale were follo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